[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82624A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624A
KR20110082624A KR1020117013176A KR20117013176A KR20110082624A KR 20110082624 A KR20110082624 A KR 20110082624A KR 1020117013176 A KR1020117013176 A KR 1020117013176A KR 20117013176 A KR20117013176 A KR 20117013176A KR 20110082624 A KR20110082624 A KR 2011008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light source
guide plate
light guide
push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151B1 (ko
Inventor
에이지 유아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285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having a symmetric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9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with a tactile symbol or indication, e.g. for blind peo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4Profile 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44Edge lighting of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7/00Mechanism between key and laykey
    • H01H2237/004Cantilev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는, 스위치 본체를 조작하기 위한 푸시 버튼의 표면의 일부에 이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마크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와 푸시 버튼 사이에는 도광판이 마련되어 있다. 도광판의 마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입사된 광을 확산하는 마크용 확산부가 마련되어 있다. 마크용 광원부는 마크용 확산부를 향해서 도광판 내로 광을 입사시킨다.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 {PUSH-BUTTON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버튼 장치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 등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목적층의 지정 혹은 도어의 개폐 등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는, 푸시 조작시에 있어서의 클릭감을 얻기 위해서 태크틸 스위치(tactile switch)를 이용하고, 또한, 푸시 버튼을 내측으로부터 조명하여 스위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명부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는, 조작 버튼의 기능을 시각 장애자에게 판별시키기 위해서, 조작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심볼이 버튼 표면에 돌기하여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특개 2003-272473호 공보
[특허 문헌 2]특개 2003-12248호 공보
엘리베이터 스위치에는, 벽면에 묻는 형식과,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패널에 장착하는 벽걸이 형식이 있다. 벽걸이 형식에서는, 조작 패널의 돌출량을 작게 한 후, 푸시 버튼 스위치를 가능한한 박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클릭감을 야기하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촉감으로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태크틸 스위치는 클릭감을 야기하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스위치로서도 유용하다. 그러나,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을 반전 변형시킴으로써 클릭감을 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구성을 높이고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가동 접점을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박형화와 내구성과의 양립이 곤란하여, 벽걸이 형식의 엘리베이터 스위치로서의 이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스위치에서는 조작면 전면(全面)을 시각상 위화감이 없는 레벨로 균일하게 조명함으로써 의장면에서 고급감을 낼 수 있다. 상기한 종래 구조에서는, 푸시 버튼 스위치 전체의 박형화와 조작면 전면(全面)의 균일 조광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광판과 LED를 이용한 평평한 조명부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조명부가 케이스 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부를 피하도록 가동 부품을 배치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푸시 버튼의 두께가 두꺼워지던가 외형이 양측으로 넓어져 엘리베이터 스위치로서의 이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는, 약시(弱視)의 이용자에게 있어서, 심볼이 어디에 있는지가 인지하기 어렵고, 심볼을 찾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조작에 시간이 소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릭감을 확보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조작면 전면(全面)의 균일한 조광을 실현하며, 또한, 약시의 이용자에게도 신속히 기능을 판별시킬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는, 투광재로 이루어진 푸시 버튼을 구비한 플런저, 플런저를 평행 이동시키는 레버 링크 기구, 및 플런저의 푸시 작동에 수반해 조작되는 스위치 본체를 베이스에 장착하며, 레버 링크 기구는, 베이스에 중간 지지점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맞대어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링크와, 레버 링크의 맞대어진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여, 레버 링크를 플런저에 의해서 조작 가능하게 하며, 스위치 본체에 대향하는 조작편을 양 레버 링크끼리 걸쳐 가설하고, 또한 각 레버 링크의 바깥 단부에 걸려진 용수철에 의해서 양 레버 링크를 끌어당겨 가압하여, 플런저의 변위에 수반하는 레버 링크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레버 링크 기구가 플런저의 이동 방향으로 스냅 작동 가능하게 하며, 레버 링크 기구의 작동에 수반하여 플런저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편에 의해서 스위치 본체를 가압 조작하도록 구성하며, 푸시 버튼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평평한 조명부를, 플런저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푸시 버튼의 일부에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전하기 위한 마크가 마련되어 있고, 조명부는 스위치 본체와 푸시 버튼 사이에 마련된 도광판과, 마크용 광원부를 가지고 있고, 도광판의 마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입사된 광을 확산하는 마크용 확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마크용 광원부로부터 마크용 확산부를 향해서 도광판 내로 광이 입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릭감을 확보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조작면 전면(全面)의 균일한 조광을 실현하며, 또한, 약시의 이용자에게도 신속히 기능을 판별시킬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 부분을 보다 더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조명부를 보다 더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조명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베이스 부분을 보다 더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베이스(1)에는, 회로 기판(2), 스위치 본체(3), 플런저(4), 플런저(4)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 링크 기구(5), 및 스위치 본체(3)를 가압 조작하는 조작편(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저면부의 주위에 낮은 둘레 벽(1a)을 배치한 얕은 박스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의 저면부의 중앙에는 개구(1b)가 마련되어 있다. 둘레 벽(1a)에는 개구(1c)가 마련되어 있다.
회로 기판(2)은 개구(1b)에 면하도록 베이스(1)의 저면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2)은 베이스(1)의 이면측(裏面側)으로부터 개구(1b)에 삽입되어 베이스(1)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의 이면(裏面)에는 명판(銘坂, 33)이 붙여져 있다. 개구(1b)는 명판(3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3)는 베이스(1)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회로 기판(2) 상에 실장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3)로서는 박형의 리프 스위치(leaf switch)가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 본체(3)의 상면에는 조작 돌기(7)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스위치 본체(3)의 측부로부터는 한 쌍의 판 모양의 외부 단자(8a, 8b)가 도출되어 있다. 이들 외부 단자(8a, 8b)는 회로 기판(2) 상의 회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2) 상의 단부에는 외부 배선이 접속되는 커넥터(9)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9)는 개구(1c)를 통해 베이스(1)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레버 링크 기구(5)는 금속 선재를 コ 자 모양으로 굴곡한 한 쌍의 레버 링크(11a, 11b)와, 레버 링크(11a, 11b)의 양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조인트 부재(12a, 12b)와, 스냅 작동용의 한 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을 가지고 있다. 레버 링크(11a, 11b)의 일단부는 조인트 부재(12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 레버 링크(11a, 11b)의 타단부는 조인트 부재(12b)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 링크(11a, 11b) 사이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편(6)은 두꺼운 판의 금속재를 타발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작편(6)의 양단부에는 걸림부(6a, 6b)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6a)는 레버 링크(11a)의 중간부에 걸려진다. 걸림부(6b)는 레버 링크(11b)의 중간부에 걸려진다.
조작편(6)의 중앙부에는 개구(6c)가 마련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13a)은 개구(6c)의 가장자리와 걸림부(6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13b)은 개구(6c)의 가장자리와 걸림부(6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 링크(11a, 11b)가 서로 끌어당겨져 있다. 또, 조작편(6)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을 수용하는 노치부(6d, 6e)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조작편(6)의 중앙부에는 조작 설부(舌部, 6f)가 외팔보 모양으로 잘라내어져 형성되어 있다. 조작 설부(6f)는 조작 돌기(7)의 상면(조작면)에 맞닿게 된다.
둘레 벽(1a)의 내면에는, 4조의 상부 돌기(1d) 및 하부 돌기(1e)가 형성되어 있다. 각 레버 링크(11a, 11b)는 상부 돌기(1d)와 하부 돌기(1e)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된 부분을 지지점(도 3의 p)으로 하여 요동된다. 또, 레버 링크(11a, 11b)의 중간부는 플런저(4)에 마련된 걸림 돌기(4a, 4b)에 걸려져 있다.
플런저(4)는 사각 모양의 얕은 상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1)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플런저(4) 내에는 사각 모양으로 편평한 조명부(14)가 끼워 넣어져 있다. 조명부(14) 상에는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사각 모양의 푸시 버튼(15)이 마련되어 있다. 푸시 버튼(15)은 조명부(14)를 덮도록 플런저(4)에 끼워 넣어져 있다.
조명부(14)와 푸시 버튼(15) 사이에는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표시(여기에서는 층번호)가 붙여진 표시 시트(16)가 개재되어 있다. 푸시 버튼(15)의 표면의 일부에는 촉감에 의해 이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마크(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마크(17)는 푸시 버튼(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대응하는 행선지층의 층번호를 정보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의 조명부(14)를 보다 더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조명부(14)는 평판 모양의 도광판(18), 주광원부(19), 마크용 광원부(20), 제1 배선(21), 제2 배선(22), 광원측 커넥터(23), 주확산부(24), 마크용 확산부(25), 제1 광원 커버(26) 및 제2 광원 커버(27)를 가지고 있다.
주광원부(19) 및 마크용 광원부(20)는 도광판(18)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도광판(18) 내로 광을 입사시킨다. 주광원부(19)는 가늘고 긴 제1 광원 기판(28)과, 제1 광원 기판(28)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 LED(29)를 가지고 있다. 제1 LED(29)는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 있다. 마크용 광원부(20)는 가늘고 긴 제2 광원 기판(30)과, 제2 광원 기판(30)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2 LED(31)를 가지고 있다. 제2 LED(31)는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1 LED(29)는 도광판(18)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 도광판(18)의 전체로 광을 입사시킨다. 제2 LED(31)는 도광판(18)의 폭방향의 일부, 즉 마크용 확산부(25)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어 도광판(18)에 부분적으로 광을 입사시킨다. 따라서, 제2 LED(31)의 개수는 제1 LED(29)의 개수보다 적다.
주광원부(19) 및 마크용 광원부(20)에는 제1 및 제2 배선(21, 22)을 매개로 광원측 커넥터(23)가 접속되어 있다. 광원측 커넥터(23)는 회로 기판(2)에 마련된 기판측 커넥터(32)에 접속된다. 주광원부(19) 및 마크용 광원부(20)는 각각 독립해 점등ㆍ소등된다.
주확산부(24) 및 마크용 확산부(25)로서는 도광판(18) 내로 입사된 광을 확산(산란)하는 확산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주확산부(24)는 도광판(18)의 이면(異面) 전체와 광원부(19, 20)가 마련되지 않은 측면을 덮고 있다.
마크용 확산부(25)는 도광판(18)의 전면(前面)의 마크(17)가 마련된 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마크용 확산부(25)는 마크(17)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마크(17)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광원 커버(26, 27)의 양단부는 플런저(4)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광판(18) 및 광원부(19, 20)가 플런저(4)에 고정된다.
도 8은 도 5의 조명부(1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LED(29)의 위치는 주확산부(24)와 같다. 또,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제2 LED(31)의 위치는 마크용 확산부(25)와 같다. 즉, 주확산부(24)와 마크용 확산부(25)는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주광원부(19)로부터 도광판(18)으로의 광의 입사 위치와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 도광판(18)으로의 광의 입사 위치가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런저(4)가 복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링크(11a, 11b)는 그들 양단부(맞대어진 단부)가 중간부(바깥 단부)보다도 조금 베이스(1)의 저면 측에 위치하는 골짜기 모양으로 접힌 자세(valley fold posture)로 되어 있다. 이 때, 조작 설부(6f)는 스위치 본체(3)의 조작 돌기(7)로부터 떨어져 있어 스위치 본체(3)는 오프 상태로 있다.
푸시 버튼(15)에 푸시 조작력이 더해져 플런저(4)가 베이스(1) 측으로 이동되면, 레버 링크(11a, 11b)의 양단부도 베이스(1) 측으로 변위되어 레버 링크(11a, 11b)는 지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레버 링크(11a, 11b)의 중간부의 간격이 넓어져,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이 인장되고, 이것에 수반해 조작 저항이 조금 커진다.
레버 링크(11a, 11b)가 더 요동되어 레버 링크(11a, 11b)의 중간부가 지지점(p)보다도 베이스(1)의 저면측으로 이동되면,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의 복원력에 의해서 레버 링크(11a, 11b)의 중간부끼리가 끌어 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레버 링크(11a, 11b)는 순간에 산 모양으로 접힌 자세(peak fold posture)로 변형된다. 이 때, 가압 방향을 반전시키는 스냅 동작에 의해, 푸시 조작에 대한 저항이 순간 경감되고, 이것에 의해 이용자의 손가락에 클릭감이 부여된다.
레버 링크 기구(5)가 스냅 동작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이 베이스(1)의 저면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조작편(6)도 같은 방향으로 변위되어, 조작 설부(6f)에 의해 조작 돌기(7)가 눌려 스위치 본체(3)가 온 상태로 된다.
이 후, 푸시 버튼(15)에 대한 푸시 조작을 해제하면, 조작 돌기(7)의 복귀력에 의해서 조작편(6)이 베이스(1)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의 스냅 동작에 의해 레버 링크 기구(5)가 원래의 골짜기 모양으로 접힌 자세로 복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플런저(4)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아울러 스위치 본체(3)는 오프 상태로 된다.
여기서, 스위치 본체(3)가 온 상태로 되면, 주광원부(19)가 점등되어, 주광원부(19)로부터 도광판(18) 내로 광이 입사된다. 주광원부(19)로부터 도광판(18) 내로 입사된 광은 주확산부(24)에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해, 푸시 버튼(15) 및 표시 시트(16)의 전체가 조명되어 행선지층등록이 실행된 것이 표시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도착하면 주광원부(19)는 소등된다.
한편, 마크용 광원부(20)는 주광원부(19)의 점등ㆍ소등에 관계없이 항상 점등되어 있다.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 도광판(18) 내로 입사된 광은 마크용 확산부(25)에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해, 마크(17)는 스위치 본체(3)의 조작 상태에 의하지 않고 항상 조명된다.
이와 같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는, 클릭감을 확보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조작면 전면(全面)의 균일한 조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푸시 버튼(15)에 마크(17)를 마련하고, 게다가 도광판(18)의 마크(17)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크용 확산부(25)를 마련하여, 마크용 확산부(25)를 향해서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 도광판(18) 내로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마크(17)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약시의 이용자에게도 신속하게 기능을 판별시킬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주확산부(24)와 마크용 확산부(25)가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의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광원부(19)로부터의 광과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의 광과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어, 주확산부(24)를 이용한 조명과 마크용 확산부(25)를 이용한 조명을 각각 독립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주광원부(19)와 마크용 광원부(20)가 도광판(18)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명부(14)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주광원부(19) 및 마크용 광원부(20)에 LED(29, 31)를 이용했으므로, 소형화, 전력 절약화 및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마크용 확산부(25)는 마크(17)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정면에서 볼 때 마크(17)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마크(17)의 형상을 보다 분명하게 보이게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마크용 광원부(20)가 도광판(18)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의 광은 마크용 확산부(25)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조사된다.
또, 제1 LED(29)와 제2 LED(31)는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의 거의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LED(29, 31)의 위치를 오프셋함으로써 제1 및 제2 LED(29, 31)로부터의 광의 간섭을 피했지만,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마크용 광원부(20)로부터 도광판(18) 내로의 광의 입사각도를 바꿈으로써 광의 간섭을 피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는, 도광판(18)의 표면측으로부터 마크용 광원부(20)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를 한층 박형화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LED(29, 31)는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오프셋시켜 공통의 광원 기판(34)에 마련되어 있다. 즉, 주광원부(19)와 마크용 광원부(20)는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 기판(34)에는, 배선(35)을 매개로 광원측 커넥터(23)가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는, 주광원부(19)와 마크용 광원부(20)를 일체화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도광판(18)의 폭방향에 대해서 제1 및 제2 LED(29, 31)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도광판(18)의 폭방향에 대해서 제1 및 제2 LED(29, 31)의 위치가 오프셋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1 및 제2 LED(29, 31)가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으로 줄지어 배치되어 있지만,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줄지어 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3과 같다.
이와 같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는, 도광판(18)의 두께 방향의 제1 및 제2 LED(29, 31)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체를 한층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주확산부(24) 및 마크용 확산부(25)로서 도광판(18)과는 별도의 확산 시트를 이용했지만, 주확산부(24) 및 마크용 확산부(25)는 도광판(18) 자체에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주확산부(24) 및 마크용 확산부(25)는, 예를 들면 레이저 가공(레이저 마킹 가공)에 의해 도광판(18)에 형성된 미소한 요철이어도 좋다. 또, 광을 확산하는 도료를 도포해 확산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마크(17)를 푸시 버튼(15)의 표면의 1개소에만 마련했지만, 복수 개소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마크용 확산부(25)도 복수 개소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마크용 확산부(25)의 형상을 마크(17)와 같게 했지만, 마크(17)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으면 다른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단순한 구형이나 원형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마크용 광원부(20)를 항상 점등시켰지만, 필요한 때에만 점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스위치 본체(3)로서는 박형화의 용이한 리프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릭 작동 기능이 없는 다른 종류의 스위치를 이용해도 된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광원으로서 LED(29, 31, 점광원)을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작은 직경의 직관(直管) 모양의 램프(선 광원)를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배선(21, 22, 35) 및 커넥터(23, 32)를 이용해 광원 기판(28, 30, 34)과 회로 기판(2)을 접속했지만, 탄성 변형 가능한 도통 접촉편을 광원 기판(28, 30, 34)으로부터 회로 기판(2) 측으로 돌출시켜, 이 도통 접촉편이 접촉하는 전극을 회로 기판(2)에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3a, 13b)을 이용했지만, 용수철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코일 용수철을 걸림부(6a, 6b)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주확산부(24)를 도광판(18)의 이면(裏面)에 마련하고, 마크용 확산부(25)를 도광판(18)의 전면에 마련했지만, 이것들을 도광판(18)의 내부에 마련해도 된다.
또, 주확산부(24)를 도광판(18)의 전면(前面) 측에 마련하고, 마크용 확산부(25)를 도광판(18)의 이면 측에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마크(17)를 푸시 버튼(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켰지만, 함몰부로서 함몰시켜도 되며, 평면 모양이어도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버튼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베이스 2 : 회로 기판
3 : 스위치 본체 4 : 플런저
5 : 레버 링크 기구 14 : 조명부
18 : 도광판 19 : 주광원부
20 : 마크용 광원부 24 : 주확산부

Claims (5)

  1. 투광재로 이루어진 푸시 버튼을 구비한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평행 이동시키는 레버 링크 기구, 및 상기 플런저의 푸시 작동에 수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 본체를 베이스에 장착하며,
    상기 레버 링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중간 지지점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맞대어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링크와, 상기 레버 링크의 맞대어진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 링크를 상기 플런저에 의해서 조작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에 대향하는 조작편을 상기 양 레버 링크끼리 걸쳐 가설하고, 또한 상기 각 레버 링크의 바깥 단부에 걸려진 용수철에 의해서 상기 양 레버 링크를 끌어당겨 가압하여, 상기 플런저의 변위에 수반하는 상기 레버 링크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레버 링크 기구가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으로 스냅 작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레버 링크 기구의 작동에 수반하여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조작편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본체를 가압 조작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푸시 버튼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평평한 조명부를, 상기 플런저와 일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푸시 버튼의 일부에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마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푸시 버튼 사이에 마련된 도광판과, 마크용 광원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도광판의 상기 마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입사된 광을 확산하는 마크용 확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크용 광원부로부터 상기 마크용 확산부를 향해서 상기 도광판 내로 광이 입사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도광판 내로 광을 입사하는 주광원부를 더 가지며,
    상기 도광판에는 상기 주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는 주확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크용 확산부와 상기 주확산부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 방향의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크용 광원부와 상기 주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광원부는 복수의 제1 LED를 포함하며,
    상기 마크용 광원부는 상기 제 1의 LED보다 적은 복수의 제2 LED를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용 확산부는 상기 마크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마크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0117013176A 2009-02-13 2009-02-13 푸시 버튼 스위치 Active KR101229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2407 WO2010092679A1 (ja) 2009-02-13 2009-02-13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624A true KR20110082624A (ko) 2011-07-19
KR101229151B1 KR101229151B1 (ko) 2013-02-01

Family

ID=4256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176A Active KR101229151B1 (ko) 2009-02-13 2009-02-13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9699B2 (ko)
EP (1) EP2398031B1 (ko)
JP (1) JP5121943B2 (ko)
KR (1) KR101229151B1 (ko)
CN (1) CN102246253B (ko)
WO (1) WO2010092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9919A1 (de) * 2012-05-29 2013-12-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mechan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EP2669918A1 (de) * 2012-05-29 2013-12-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mechanisches Befehlsgerät
JP6248825B2 (ja) * 2014-06-19 2017-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6004767A (ja) * 2014-06-19 2016-01-12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413852B2 (ja) * 2015-03-10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9746168B1 (en) 2015-10-30 2017-08-29 American Opto Plus Led Corporation Light-emitting touch buttons
JP6447492B2 (ja) * 2015-12-25 2019-01-09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CN108022780A (zh) * 2018-01-24 2018-05-11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超薄电梯按钮
TWI672719B (zh) * 2018-05-11 2019-09-2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具有開關按鈕之電子裝置及其開關按鈕
US11769642B2 (en) * 2019-04-10 2023-09-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ush switch and illuminated switch device
KR102823769B1 (ko) * 2020-08-28 202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CN113555240A (zh) * 2021-05-27 2021-10-26 宁波昌隆机电有限公司 一种亮度均匀的按钮
US12198874B2 (en) * 2022-02-10 2025-01-14 Crespo Computing Creations Holding Corporation Magnetic keycap assembly for mechanical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1633B2 (ja) 2001-07-02 2009-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盤
JP4126937B2 (ja) 2002-03-13 2008-07-30 オムロン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2004227997A (ja) 2003-01-24 2004-08-12 Alps Electric Co Ltd 照光式タッチパネル
CN1260755C (zh) * 2003-07-07 2006-06-21 欧姆龙株式会社 按钮开关
US20060130263A1 (en) * 2004-12-17 2006-06-22 Coughlin Timothy J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8624140B2 (en) * 2006-07-10 2014-01-07 Fujitsu Component Limited Key switch and keyboard
TWI329483B (en) 2006-11-30 2010-08-21 Lite On Technology Corp Thin light-gui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973302B2 (ja) * 2006-12-13 2012-07-11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720737B2 (ja) * 2006-12-13 2011-07-13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ーフスイッチ
JP2008251364A (ja) * 2007-03-30 2008-10-16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8247714B2 (en) * 2010-06-08 2012-08-21 Sunrex Technology Corp Back lighted membrane keyboard with components being secured together by subjecting to ultrasonic welding
US8592702B2 (en) * 2011-11-16 2013-11-26 Chicony Electronics Co., Ltd. Illuminant keyboar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9699B2 (en) 2014-06-24
JP5121943B2 (ja) 2013-01-16
CN102246253B (zh) 2014-01-01
EP2398031A4 (en) 2013-12-04
KR101229151B1 (ko) 2013-02-01
WO2010092679A1 (ja) 2010-08-19
US20110209974A1 (en) 2011-09-01
EP2398031B1 (en) 2016-12-14
EP2398031A1 (en) 2011-12-21
JPWO2010092679A1 (ja) 2012-08-16
CN102246253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151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508362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4014358A (ja) クリック感付きスイッチユニット
TW201421511A (zh) 發光鍵盤
JP2012074393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44749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1253685A (ja) 押釦式スイッチ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
JP2005116326A (ja) 押釦構造
JP64138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4022378A (ja) スイッチ
JP2005044521A (ja) スイッチ
WO2020208940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照明付きスイッチ装置
US20030067371A1 (en) Switch with magnetically coupled rocker armature
JP2003086050A (ja) 押釦スイッチ
JP4317042B2 (ja) 片側シーソつまみの構造
JP4470731B2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JPH0743891Y2 (ja) 照光型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00422789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導光構造
JP2003045270A (ja) 押釦スイッチ
JP4710646B2 (ja) 操作ボタン構造
NL1022408C2 (nl) Druktoets met inwendige lichtgever.
JP2001035312A (ja) 照光式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H0686234U (ja) 照光型キー装置
JPH074739Y2 (ja) 透過照明式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H03263720A (ja) 照光型メンブレ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