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23002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002A
KR20110023002A KR1020090080566A KR20090080566A KR20110023002A KR 20110023002 A KR20110023002 A KR 20110023002A KR 1020090080566 A KR1020090080566 A KR 1020090080566A KR 20090080566 A KR20090080566 A KR 20090080566A KR 20110023002 A KR20110023002 A KR 2011002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ecess
semiconductor device
annealing process
isolation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060B1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8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060B1/ko
Priority to US12/643,861 priority patent/US8357578B2/en
Publication of KR2011002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0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01L21/3247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for altering the shape, e.g. smoothing the surfa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2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2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 H10D64/513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within recesses in the substrate, e.g. trench gates, groove gates or buried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리세스 게이트 영역을 형성한 후, 고온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 게이트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 물질을 채워 넣어서 더 넓은 채널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셀 커렌트(Cell Current)를 증가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온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더 넓은 채널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리세스 게이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의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Parameter)의 하나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 Vt)이다. 문턱 전압은 게이트 산화막 두께, 채널 도핑(Channel Doping) 농도, 옥사이드 차아지(Oxide Charge) 및 게이트에 사용되는 물질에 의존하는 변수이다. 이러한 문턱 전압은 소자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이론치와 일치하지 않는 여러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게이트 채널 길이(Gate Channel Length)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숏 채널효과이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나노(nm)급 소자에서는 속도 향상과 1 ~ 2V의 낮은 동작전압에서 작동하는 소자를 요구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문턱 전압도 낮은 전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문턱 전압은 더 낮아지게 되면 숏 채널효과에 의해 소자를 제어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숏 채널효과는 핫캐리어(Hot Carrier)에 의한 DIBL(Drain Induced Built-in Leakage) 현상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숏 채널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해결책은 여전히 미완상태이다.
현재 연구가 되고 있는 방향은 도핑(Doping)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해결책을 찾고자 하지만 이는 궁극적인 숏 채널효과의 해결 방법은 되지 못한다. 현재 알려진 연구방법은 수직에 가까운 경사이온주입(Vertically Abrupt Channel Doping) 을 통한 SSR(Super Steep Retrograde Channel), 이온 임플란트 채널(Ion Implant Channel)을 형성하는 방법, 측면 경사이온주입(Laterally Abrupt Channel Doping) 방법, 큰 각의 경사이온주입(Large Angle Tilt Implant)을 통한 할로 구조(Halo Structure)를 갖는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및 채널 농도를 이용한 숏 채널효과의 감소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리세스 게이트(Recess Gate)를 이용하여 채널 길이를 확보하고, 셀 정션(Junction)의 자유도를 높여주고 있으며, 핀(Fin) 게이트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 폭을 확대함으로써, 셀 커렌트(Cell Current)를 확보하고 누설 전류를 조절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세스 게이트 및 핀(Fin) 게이트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 길이를 확보하는 기술은 셀 크기가 30nm 이하에서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리세스 게이트 영역을 형성한 후, 고온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 게이트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 물질을 채워 넣어서 더 넓은 채널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셀 커렌트(Cell Current)를 증가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 영역은 1300Å ~ 2500Å 깊이(depth)로 식각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 공정은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 공정 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어닐링 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후, HF 물질을 이용한 클 리닝(Cleaning)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후, 고농도의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 공정을 추가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영역은 터널(tunne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리세스 영역,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과 격리되어 형성된 분리 영역 및 상기 리세스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에 매립된 게이트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 공정은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 공정 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어닐링 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 영역은 1300Å ~ 2500Å 깊이(depth)로 식각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영역은 터널(tunne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리세스 게이트 영역을 형성한 후, 고온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 게이트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 물질을 채워 넣어서 더 넓은 채널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셀 커렌트(Cell Current)를 증가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6F2 구조의 바(Bar) 형의 활성 영역(130)이 사선 방향의 아일랜드(Island) 타입으로 배열되어 정의되고, 활성 영역(130) 사이의 영역에는 소자분리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활성 영역(130)의 길이(Length)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활성 영역(130)을 교차하는 리세스 게이트(210)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리세스 게이트(210) 형성 시, 상기 활성 영역(130) 및 소자분리막(140)을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도 2a의 150)을 형성한다. 이러한 리세스 영역(도 2a의 150)에 고온의 어닐링 공정을 실시하여 리세스 영역(도 2a의 150)과 격리된 분리 영역(도 2b의 170)을 형성한다. 이후, 분리 영역(도 2b의 170) 내에 게이트 전극층 이 매립되어 상기 분리 영역(도 2b의 170)의 주변 영역을 채널(Channel)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 영역(도 2b의 170)의 주변 영역을 채널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게이트 제어능력(Controllability)이 좋아진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을 식각하여 트랜치(미도시)를 형성하고, 트랜치를 포함한 전면에 패드 산화막(110) 및 패드 질화막(120)을 증착한다. 이후, 패드 질화막(120) 상에 절연막(미도시)을 매립한다.
다음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절연막, 패드 질화막(120) 및 패드 산화막(110)을 평탄화 식각(Chemical Mechanical Polishing)하여 활성 영역(130)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140)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활성 영역(130) 및 소자분리막(140)을 포함한 전면에 감광막을 형성한 후, 리세스 게이트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활성 영역(130) 및 소자분리막(140)을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150)을 형성한다. 이때, 리세스 영역(15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세스 영역의 형성 깊이(depth)보다 더 깊게 식각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리세스 영역(150)은 1300Å ~ 2500Å 깊이로 식각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후속 공정 시, 실리콘(Si)이 분리될 수 있도록 리세스 영역(150)을 포함한 전면에 HF 계열의 물질을 이용한 클리닝(Cleaning)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리세스 영역(150)의 상부에 남은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 공정을 실시 한다. 또한, 클리닝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후속 공정 시 낮은 온도(750℃)에서 실리콘(Si)의 분리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즉, 후속 열 처리 공정 시, 고온(950℃ 이상) 및 장시간 열처리 공정이 진행되면 실리콘의 표면 및 산화막의 표면이 영향을 받아 표면 프로파일(Profile)의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리세스 영역(150)을 포함한 전면에 H2 어닐링(Annealing, 160)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150)과 격리된 분리 영역(170)을 형성한다. 이때, 어닐링(160) 공정은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 범위에 따라서 어닐링 공정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영역(170)은 리세스 영역(150)의 하부에 형성되며, 터널(tunnel) 형상을 갖는다.
다음에는, 리세스 영역(150) 및 분리 영역(170)을 포함한 전면에 더 많은 농도의 H2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실리콘 간의 불포화 결합(Dangling bond)을 감소시킨다. 이때, H2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추가 실시하는 단계는 고농도의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 공정을 추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 영역(130)에 채널(Channel) 이온 주입을 실시한 후, 상기 리세스 영역(150) 및 분리 영역(170)을 포함한 전면에 게이트 산화(Oxidation) 공정을 통해 게이트 산화막(180)을 증착한다. 이후, 리세스 영 역(150)에만 게이트 산화막(180)이 남도록 패터닝한다.
다음에는, 게이트 산화막(180)을 포함한 전면에 게이트 전극층(190) 및 게이트 하드마스크층(200)을 적층한다. 이때, 분리 영역(170) 내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180) 및 게이트 전극층(190)이 매립되어 상기 분리 영역(170)의 주변 영역을 채널(Channel)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 영역(170)의 주변 영역을 채널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게이트 제어능력(Controllability)이 좋아진다.
이후, 리세스 게이트 식각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게이트 하드마스크층(200) 및 게이트 전극층(190)을 식각하여 리세스 게이트(210)를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B-B'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의 핀(fin)형 활성 영역(135)과 분리 영역(17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 영역(170)을 게이트 금속층(190)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분리 영역(170)의 주변 영역을 채널(Channel)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게이트 제어능력(Controllability)이 좋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리세스 게이트 영역을 형성한 후, 고온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 게이트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 물질을 채워 넣어서 더 넓은 채널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셀 커렌트(Cell Current)를 증가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Claims (14)

  1. 반도체 기판상에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과 격리된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세스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에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은 1300Å ~ 2500Å 깊이(depth)로 식각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은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 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어닐링 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후, HF 물질을 이용한 클리닝(Cleaning)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후,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 공정을 추가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은 터널(tunne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리세스 영역;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리세스 영역과 격리되어 형성된 분리 영역; 및
    상기 리세스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에 매립된 게이트 전극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은 H2 분위기에서 750℃ ~ 950℃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 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어닐링 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은 1300Å ~ 2500Å 깊이(depth)로 식각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리세스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은 터널(tunne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90080566A 2009-08-28 2009-08-2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66A KR101140060B1 (ko) 2009-08-28 2009-08-2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2/643,861 US8357578B2 (en) 2009-08-28 2009-12-2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66A KR101140060B1 (ko) 2009-08-28 2009-08-2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02A true KR20110023002A (ko) 2011-03-08
KR101140060B1 KR101140060B1 (ko) 2012-05-02

Family

ID=4362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5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060B1 (ko) 2009-08-28 2009-08-2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57578B2 (ko)
KR (1) KR101140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5659B2 (en) 2015-02-12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350B1 (ko) * 2012-10-26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라인 형 트렌치들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11195950B2 (en) 2019-07-02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at least a portion of gate electrode enclosed by an insul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09B1 (ko) * 2002-10-01 200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5096B1 (ko) * 2004-11-15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4755946B2 (ja) * 2006-07-11 2011-08-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58687B2 (en) 2007-01-30 2011-11-15 Alpha & Omega Semiconductor, Ltd. Split gate with different gate materials and work functions to reduce gate resistance of ultra high density MOSF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5659B2 (en) 2015-02-12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263084B2 (en) 2015-02-12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886375B2 (en) 2015-02-12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060B1 (ko) 2012-05-02
US8357578B2 (en) 2013-01-22
US20110049619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03516B (zh) 浅沟槽隔离结构及其形成方法
US806779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cess channe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23718A (ko) 종형 전력 트랜지스터 트렌치 게이트 반도체 디바이스제조 방법
US20160111322A1 (en) Finfet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ocal buried oxide
JP2006121074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6366A (ja) 半導体素子のトランジスタ製造方法
KR10114006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372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0736B1 (ko) 확장된 채널을 갖는 단전자 트랜지스터 및 그 공정방법
CN102403233B (zh) 垂直沟道的隧穿晶体管的制造方法
CN103413829B (zh) 一种u型围栅隧穿晶体管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539008B1 (ko) 핀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TW201419532A (zh) 具有低米勒電容之金氧半場效電晶體元件及其製作方法
CN108074974A (zh) 半导体装置及其形成方法
CN108682685B (zh) 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KR10119439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51307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2904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CN105226095B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KR100506455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1004482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100079968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903806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101068137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90099409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