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2072U - 조립식 건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72U
KR20110002072U KR2020090011036U KR20090011036U KR20110002072U KR 20110002072 U KR20110002072 U KR 20110002072U KR 2020090011036 U KR2020090011036 U KR 2020090011036U KR 20090011036 U KR20090011036 U KR 20090011036U KR 20110002072 U KR20110002072 U KR 20110002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refabricated building
roof
beams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금수
Original Assignee
서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금수 filed Critical 서금수
Priority to KR2020090011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072U/ko
Publication of KR20110002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7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조립식 건물이 개시된다. 이 조립식 건물은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몸체와 지붕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 또는 지붕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조립식 건물, 연결부,

Description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공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야외 장소에는 사람들이 쉼터로 사용되는 정자와 같은 건물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건물은 골조를 절단하고 절단된 골조를 상호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작공정은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조립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물로서,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이 제공된다.
상기 지붕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빔; 및 상기 각 경사빔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빔과 상기 연결빔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와, 상기 수평빔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빔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지붕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 및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빔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몸체에는 상기 경사빔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각 수직빔의 하부영역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빔은, 상기 하부 몸체 연결부에 의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빔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루부는, 상기 하부 수평빔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와 지붕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 또는 지붕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와 지붕(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3)와 지붕(5)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3) 또는 지붕(5)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조립식 건물(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3)는 수직빔(10)과, 수평빔(20)과 몸체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빔(10)은 조립식 건물(1)의 각 코너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 개의 코너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직빔(10)은 네 개이다. 이러한 네 개의 수직빔(10)은 상측에서 볼 때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직빔(10)의 개수 및 배치는 예시에 불과하고, 복수의 수직빔이 상측에서 볼 때 다각형 형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수직빔(10)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빔(10)의 무게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내부가 채워진 형태의 수직빔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직빔(10)의 하단부에 지지 브라켓(12)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2)은 지면과 같은 지지면(미도시)과 접촉하여 수직빔(10)을 지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브라켓(12)의 바닥면은 앵커 볼트에 의해 지지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수직빔(10) 사이에 수평빔(20)이 배치될 수 있다. 수평빔(20)은 이웃하는 수직빔(10)을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빔(20)은 수직빔(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하부 수평빔(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수평빔(20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마루부(40)는 몸체(3)의 내측으로 들어온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마루패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루패널(42)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접 배치된 복수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루패널(42)은 하부 수평빔(20a)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부(40)는 하부 수평빔(20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빔(44)은 하부 수평빔(20a)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46)에 의해 하부 수평빔(20a)과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46)은 하부 수평빔(20a)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빔(44)은 마루패널(42)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빔(20)은 수직빔(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상부 수평빔(2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수평빔(20b)은 이웃하는 수직빔(10)을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수평빔(20)은 몸체 연결부(30)에 의해 수직빔(10)과 연결된다. 도 3은 본고 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31)와 수평빔(20)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3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직빔(10)은 두 개의 수평빔(20)과 연결되기 때문에 몸체 연결부(30)는 두 개의 수평 개구부(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 개구부(32)는 수직 개구부(31)와 만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30)의 높이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 연결부(30)는 수직 개구부(31)를 통해 수직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된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과 볼트 결합되어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몸체 연결부(30a)는 수직빔(10)과 하부 수평빔(20a)를 상호 연결한다.
하부 몸체 연결부(30a)는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 수평빔(20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련된 마루부(4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 연결부(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 연결부(30b)는 수직빔(10)과 상부 수평빔(20b)을 상호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지붕(5)은 경사빔(50)과, 몸체/지붕 연결부(60)와, 지붕 연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빔(50)은 수직빔(1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빔(10)이 네 개이기 때문에 경사빔(50)은 네 개이다.
경사빔(50)의 내측 단부는 몸체(3)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된다. 경사빔(50)의 외측 단부는 몸체(3)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처마 영역이란 몸체(3)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붕(5)의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사빔(50)은 몸체/지붕 연결부(60)에 의해 수직빔(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지붕 연결부(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지붕 연결부(60)는 적어도 일부가 수직빔(10)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61)와, 연결부 몸체(61)의 일 측에 마련되고 경사빔(50)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몸체(61)는 수직빔(10)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6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사빔(50)의 내측 단부는 지붕 연결부(70)와 결합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지붕 연결부(7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붕 연결부(70)에는 경사빔(50)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72)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빔(50)은 삽입홈부(72)에 삽입되어 지붕 연결부(7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경사빔(50)은 삽입홈부(72)에 억지 끼움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빔(50)은 네 개이기 때문에 지붕 연결부(70)에는 네 개의 삽입홈부(7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연결부(70)에 의해 각 경사빔(50)의 내측 단부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연결부(7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연결부(70)를 포함하는 지붕(5)이 몸체(3)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붕 연결부(70)는 몸체(3)의 내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빔(50)이 몸체(3)에 대해 균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붕(5)은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빔(80)과, 경사빔(50)과 연결빔(80)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경사빔 연결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사빔 연결부(90)는 경사빔(50)의 외측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빔 연결부(90)에는 경사빔(50)의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부(9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빔(50)은 제 1 삽입홈부(91)에 삽입되어 경사빔 연결부(9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경사빔(90)은 제 1 삽입홈부(91)에 억지 끼움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경사빔 연결부(90)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 연결빔(8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경사빔 연결부(90)에는 두 개의 연결빔(80)이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 2 삽입홈부(92)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빔(80)은 제 2 삽입홈부(92)에 삽입되어 경사빔 연결부(9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빔(80)은 제 2 삽입홈부(9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붕(5)은 이웃하는 경사빔(50)과,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연결하는 연결빔(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지붕 패널(9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붕 패널(95)은 네 개이고, 각 지붕 패널(95)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패널(95)은 이웃하는 경사빔(50)과,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연결하는 연결빔(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커버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와 지붕(5)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3) 또는 지붕(5)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 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의 높이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지붕 연결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지붕 연결부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경사빔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건물 3 : 몸체
5 : 지붕 10 : 수직빔
20 : 수평빔 30 : 몸체 연결부
40 : 마루부 50 : 경사빔
60 : 몸체/지붕 연결부 70 : 지붕 연결부
80 : 연결빔 90 : 경사빔 연결부

Claims (8)

  1. 조립식 건물로서,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립식 건물.
  3.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빔; 및
    상기 경사빔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빔과 상기 연결빔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와, 상기 수평빔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지붕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 및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빔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몸체에는 상기 경사빔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각 수직빔의 하부영역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빔은, 상기 하부 몸체 연결부에 의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빔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는,
    상기 하부 수평빔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KR2020090011036U 2009-08-24 2009-08-24 조립식 건물 Ceased KR201100020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36U KR20110002072U (ko) 2009-08-24 2009-08-24 조립식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36U KR20110002072U (ko) 2009-08-24 2009-08-24 조립식 건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72U true KR20110002072U (ko) 2011-03-03

Family

ID=4420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036U Ceased KR20110002072U (ko) 2009-08-24 2009-08-24 조립식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0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3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CN111677130A (zh) * 2020-06-27 2020-09-18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集装箱模块建筑的一体化梁柱节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3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CN111677130A (zh) * 2020-06-27 2020-09-18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集装箱模块建筑的一体化梁柱节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456B1 (ko)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10002072U (ko) 조립식 건물
JP4648736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JP5308168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89635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29335B1 (ko) 조립식 칸막이
JP6233395B2 (ja) 建物架構
JP6075341B2 (ja) 木造軸組建物
JP6233371B2 (ja) 仮設住宅
JP6233394B2 (ja) 住宅
JP2963507B2 (ja) スキップフロア用住宅ユニット
KR102682326B1 (ko) 데크로드용 기능성 울타리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무바닥 외돌출형 벤치구조
JPH1193272A (ja) 建物ユニット
JP7126202B2 (ja) 手すり
JP4783703B2 (ja) ユニット式建物
CN213233815U (zh) 观景房
JP7639369B2 (ja) 建物
KR101839469B1 (ko) 복층 처마를 구성하기 위한 한옥의 기둥구조
JP416332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10013876A (ja) バルコニー
JP5775333B2 (ja) バルコニー用ユニット、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2604324Y2 (ja) バルコニーの囲い構造
JP5066354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4047211B2 (ja) 手摺および手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0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