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20163A - 휴대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163A
KR20100120163A KR1020107018570A KR20107018570A KR20100120163A KR 20100120163 A KR20100120163 A KR 20100120163A KR 1020107018570 A KR1020107018570 A KR 1020107018570A KR 20107018570 A KR20107018570 A KR 20107018570A KR 20100120163 A KR20100120163 A KR 2010012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mode
displayed
display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094B1 (ko
Inventor
기미코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0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91Constructional arrangement for sub-div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1Illuminating devices for spatial active dimm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력 소비를 절감하고 화상을 용이하면서도 가시적인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휴대전화는 제1처리와 제2처리를 각각 실행하기 위한 제1처리실행부(45)와 제2처리실행부(47),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부분표시영역과 제2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LCD,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LCD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부(43),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과 상기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상기 제1처리 및 상기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제2화상을 각각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부(4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정보처리장치{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정보처리장치 및 화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화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는 전화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수신기능 및 웹사이트 브라우징 기능과 같은 복수의 기능들을 구비하므로, 보다 오랜 시간 동안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휴대전화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장착된 전지들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전력 소비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전화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서, 전체 액정디스플레이를 조명하기 위하여 전력 소비가 큰 제1의 고휘도 백라이트와 액정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조명하기 위하여 전력 소비가 적은 제2의 저휘도 백라이트가 장착되어, 백라이트에 의해 조명되는 범위가 목적, 즉 액정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실행될 기능들에 따라 절환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전화는 필요한 정보를 충분하게 항상 표시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표시 영역이 액정디스플레이의 일부분만을 조명하여 제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가지 처리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예컨대, 이메일을 보면서 전화 호출이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들 중 단 하나의 결과만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된 화상의 영역이 크다면, 액정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만 표시되는 화상을 거의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 액정디스플레이가 조명되도록 하는 절환 조작이 필요하게 되므로, 조작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가시적인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가시적인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처리장치는, 복수의 처리들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실행수단;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제1부분표시영역 및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상기 복수의 처리 중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중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제1부분표시영역 및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복수의 처리 중 제1처리 및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각각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제2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전체 표시영역의 표시에 비해 소비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는 복수의 처리들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복수의 화상들 각각이 동시에 표시되므로 복수의 처리들의 결과들을 동시에 볼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화상이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2처리가 실행될 때, 상기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화상을 상기 제2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화상이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처리가 실행될 때, 상기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화상을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제1화상이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제2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복수의 처리 결과들을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화상이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제1화상 대신에 제2화상이 표시되어, 소비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화상이 표시되는 타이밍에 따라 전력 소비의 절감과 편의성 간에 우선순위가 절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처리장치는 화상을 부분적으로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화상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제1모드와 제2모드 간에 절환이 이루어진다. 화상의 데이터량이 크다면, 화상이 전체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게 된다. 화상의 데이터량이 적으면, 화상이 부분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전력 소비를 줄이게 된다. 그 결과,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상기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정보처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기 위한 명령수취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까지 하나의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고,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 화상이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처리장치는,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사용자에 의한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기 위한 명령수취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상기 표시된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까지 하나의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표시되므로, 전력 소비가 절감된다.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 적어도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표시되므로,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휴대정보처리장치는 전지; 및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절환수단은, 상기 잔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절환시킨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전지의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을 때,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되어서, 전력 소비가 강제적으로 절감되어 장시간 동안에도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소정의 마크를 추가하기 위한 마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은,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제1부분표시영역 및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화상을 부분적으로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은,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은,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될 때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상기 표시된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가시적인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정보처리장치 및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린 스타일의 휴대전화를 도시한 외부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힌 스타일의 휴대전화를 도시한 외부사시도;
도 2는 LCD의 복수의 부분표시영역들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예시적인 기능들을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4는 휴대전화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5는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1흐름도;
도 6은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2흐름도;
도 7은 표시제어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8a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제1도;
도 8b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제2도;
도 8c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제3도;
도 8d는 제2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1변형예의 휴대전화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10은 제1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1흐름도;
도 11a는 제1변형예의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제1도;
도 11b는 제1변형예의 LCD 상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 제2도;
도 12는 제2변형예의 휴대전화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13은 제2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1흐름도; 및
도 14는 제2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2흐름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다. 그 명칭과 기능들 또한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전화를 도시한 외부사시도이다. 휴대전화(1)는 휴대통신단말의 일례이다. 도 1a는 열린 스타일의 휴대전화의 외부도를 보여주고, 도 1b는 닫힌 스타일의 휴대전화의 외부도를 보여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전화(1)는 조작측부(3) 및 표시측부(2)를 포함한다. 조작측부(3) 및 표시측부(2)는 서로 힌지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합체되어,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휴대전화(1)가 접혀,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닫힌 상태에 있으면, 휴대전화(1)가 닫힌 스타일로 있다. 휴대전화(1)가 열려,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열린 상태에 있으면, 휴대전화(1)가 열린 스타일로 있다.
조작측부(3)는 전원키(14A), 10개의 키, 통화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키(14), 및 그 내측면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13)을 포함한다. 표시측부(2)는 액정디스플레이(LCD)(15) 및 그 내측면에 배치된 리시버를 형성하는 제1스피커(11)를 포함한다.
휴대전화(1)는 LCD(15)의 뒷면 상에 제공되는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백라이트에 의해 발광되는 광로는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백라이트는 LCD(15)의 뒷면 상에 제공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 광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은 복수의 광원 가운데, 발광하는 광원들의 조합을 변경하여 LCD(15)에 형성된다.
도 2는 LCD의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는 LCD(15)의 뒷면 상에 제공되는 리플렉터, LCD(15)의 제1부분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에 각각 대응하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점선들은 예시의 편의를 위하여 그려졌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부분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은 LCD(15)의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을 구성한다.
제1광원(16)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고, LCD(15)의 제1부분표시영역의 뒷면으로부터 제1부분표시영역(15A)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LCD(15)의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는 화상이 가시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제2광원(17)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고, LCD(15)의 제2부분표시영역(15B)의 뒷면으로부터 제1부분표시영역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LCD(15)의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되는 화상이 가시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제3광원(18)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고, LCD(15)의 제3부분표시영역(15C)의 뒷면으로부터 제3부분표시영역(15C)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LCD(15)의 제3부분표시영역(15C)에 표시되는 화상이 가시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전화(1)가 LCD(15)를 포함하지만, LCD(15) 대신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사용은 백라이트의 필요성을 소거시킨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는, LCD(15)의 경우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보다 작고, 전력 소비가 보다 덜하게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예시적인 기능들을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전화(1)는 전체로서 휴대전화(1)를 제어하기 위한 CPU(21), 안테나(22A)에 연결된 무선회로(22),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부(28), 코덱부(28)에 각각 연결된 마이크로폰(13)과 스피커(11), 사용자의 조작의 입력을 수취하는 조작키(14), 액정디스플레이(LCD)(15), 제1광원(16), 제2광원(17), 제3광원(18), CPU(21)의 작업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32),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비휘발성 방식으로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33), 카드 인터페이스(I/F)(27) 및 전지(37)를 포함한다.
무선회로(22)는 안테나(22A)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된 무선 신호를 CPU(21)로 출력한다. 변조된 무선 신호가 오디오 신호이라면, CPU(21)는 오디오 신호를 코덱부(28)로 출력한다. 무선회로(22)는 CPU(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다음, 변조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22A)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가 코덱부(28)로부터 입력되면, CPU(21)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회로(22)로 출력한다.
코덱부(28)는 CPU(2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 다음,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11)로 출력한다. 또한, 코덱부(28)는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를 인코딩한 다음,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CPU(21)로 출력한다.
전지(37)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리튬-이온 전지, NiCad 전지 또는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전지와 같은 2차전지이다.
제거가능한 플래시메모리(27A)가 카드 I/F(27)에 부착된다. CPU(21)는 카드 I/F(27)를 통해 플래시메모리(27A)에 액세스할 수 있다. CPU(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플래시메모리(27A)에 저장되어, 프로그램이 플래시메모리(27A)로부터 판독되어 CPU(21)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플래시메모리(27A)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디스크, 카셋트 테잎, 광 디스크(CD-ROM(컴팩트 디스크-ROM)/MO(자기 광학 디스크)/MD(미니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c)), IC 카드, 광학 카드, 마스크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또는 EEPROM(Electronically EPROM) 등과 같은 반도체메모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프로그램은 CPU(21)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소스 프로그램, 압축 프로그램, 암호 프로그램 등도 포함한다.
도 4는 휴대전화의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PU(21)는 전지(37)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부(41), 표시모드들을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부(43),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부(49) 및 처리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1처리실행부(45) 및 제2처리실행부(47)를 포함한다.
제1처리실행부(45)는 제1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1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지는 화상(이하, "제1화상"이라고 함)을 표시제어부(49)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처리는 이메일을 보는 것의 처리이다. 이 경우, 제1화상은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을 포함한다.
제2처리실행부(47)는 제2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2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지는 화상(이하, "제2화상"이라고 함)을 표시제어부(49)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처리는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는 처리이다. 이 경우, 제2화상은 "착신" 문자, 날짜와 시간 및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잔량검출부(41)는 전지(37)에 저장된 잔여 전기 용량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용량을 모드절환부(43)로 출력한다.
모드절환부(43)는 제1모드와 제2모드 간에 표시모드를 절환한다. 사용자가 조작키(14)를 조작하여 표시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모드절환부(43)는 입력 명령에 따라 표시모드를 절환시킨다. 표시모드가 제2모드에 절환되어 있으면, 모드절환부(43)는 잔량검출부(41)에 의해 검출되는 전지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 상기 표시모드를 제1모드로 절환시킨다. 모드절환부(43)는 상기 표시모드를 표시제어부(49)로 출력한다.
표시제어부(49)는 소정의 마크를 추가하기 위한 마킹부(51)와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부(48)를 포함한다. 화상이 전체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표시된 경우, 마킹부(41)는 소정의 마크를 중첩 방식으로 상기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추가한다. 소정의 마크는 표시되지 않은 화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마크로서, 여기서는 3개의 부호 ">>>"로 형성된 부호이다.
제1표시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타이머부(53)는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이후 경과한 시간을 측정한다.
제1표시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는 제1광원을 구동시켜,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출력되는 제1화상을 제1부분표시영역에 표시한다. 그 후, 제1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2화상이 제2처리실행부(47)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화상은 타이머부(53)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에 따라, 제1부분표시영역(15A) 또는 제2부분표시영역(15B) 중 어느 것에 표시된다. 제2화상이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되면, 표시제어부(49)가 제2광원(17)을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머부(53)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이 소정시간이면, 예컨대 15초 이상이면, 제1화상이 15초에 걸쳐 표시되어, 사용자가 제1화상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표시제어부(49)는 제1화상이 소정시간 동안 표시된 후에 제1화상 대신에 제2화상을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하게 된다. 그 결과,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타이머부(53)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이 소정시간보다 짧다면, 표시제어부(49)는 제2광원(17)을 구동하고, 제2화상을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메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가시적으로 표시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착신 호출이 도달한다면,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2화상이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화상과 제2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제3광원(18)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들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에 비해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제2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는 제1광원(16), 제2광원(16) 및 제3광원(17)을 구동하고,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출력되는 제1화상을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그 후, 제1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2화상이 제2처리실행부(47)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2화상은 제1화상 대신에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제2모드에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 모두가 구동되는 반면, 제1모드에서는,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고 제3광원(18)은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보다 적게 된다.
LCD(15) 대신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제1모드에서보다 제2모드에서 작으므로, LCD(15)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보다 적다. 그러므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도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상기 표시절환처리는 CPU(21)가 화상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2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PU(21)는 제1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1). 상기 처리는 제1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01에서 NO), 제1처리가 실행되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2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처리는 이메일 뷰잉 처리이므로, 이메일을 보는 것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 S02에서는, 표시모드가 결정된다.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3으로 진행된다. 표시모드가 제2모드에 절환되어 있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03에서, 제1부분표시영역(15A)이 활성화된다. 여기서, 제1광원(16)이 구동된다. 다음 단계 S04에서는,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의 표시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단계 S05에서, 타이머가 개시된다.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이후 시간을 상기 타이머가 계수한다. 다음 단계 S06에서, 제1처리가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이메일을 보는 것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가 판정된다. 제1처리를 종료하기 위한 명령이 검출된다면, 상기 처리가 단계 S13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7로 진행된다. 단계 S13에서, 제1부분표시영역(15A)의 표시가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 제1광원(16)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1처리가 단계 S06에서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면, 제2처리가 실행되는지의 여부가 다음 단계 S07에서 판정된다. 제1처리의 실행 동안에 제2처리가 실행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2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검출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6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는, 제2처리가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는 처리이므로, 착신 호출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08에서는, 타이머값이 임계값 T1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이후 임계값 T1 시간 이상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임계 T1 이상이 경과하였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9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14로 진행된다.
단계 S09에서는,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의 표시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임계 T1 시간은 사용자가 제1화상을 보고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임계 T1 시간이 경과한 후 제1화상 대신에 제2화상이 표시된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없게 된다. 여기서는, 임계값 T1이 15초로 설정된다. 나아가,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되므로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 제2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제2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10에서 NO), 제2처리가 종료되면(단계 S10에서 YES), 상기 처리가 단계 S11로 진행된다. 단계 S11에서,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의 표시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할당된다. 이는 제2처리가 종료되는 경우에도 제1처리가 여전히 실행 중이므로 제1화상을 다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진행 중인 제1처리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여기서는 제2처리가 종료된 후, 여기서는 호출이 종료된 후에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을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단계 S12에서, 제1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제1처리가 종료될 때까지(단계 S12에서 NO) 대기한다. 제1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3에서, 제1부분표시영역(15A)에서의 표시가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LCD(15) 상에 표시될 화상의 부존재 시, 제1광원(16)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14에서는, 제2부분표시영역(15B)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광원(17)이 구동된다. 다음 단계 S15에서는,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의 표시가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이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2가지 각각의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2가지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2가지 처리들의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단계 S16에서는, 제2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2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7로 진행된다. 제2처리가 종료되지 않는다면, 단계 17을 건너뛴 다음, 상기 처리가 단계 S18로 진행된다. 단계 17에서, 제2부분표시영역(15B)에서의 표시가 정지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18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부분표시영역(15B)에서의 제2화상의 표시가 정지되고, 또한 제2광원(17)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2광원(17)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제2부분표시영역(15B)에서의 표시가 이미 정지되었다면, 상기 처리가 더이상 어떤 것도 행하지 않고 단계 S18로 진행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 S18에서는, 제1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1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19로 진행된다. 제1처리가 종료되지 않는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6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19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에서의 표시가 정지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19A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에서의 제1화상의 표시가 정지되고, 제1광원(16)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1광원(16)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제1부분표시영역(15A)에서의 표시가 이미 정지되었다면, 상기 처리가 어떤 것도 행하지 않으면서 단계 S19A로 진행된다.
단계 S19A에서는, 제1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1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제1처리가 종료되지 않는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6으로 되돌아간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처리가 단계 S20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표시모드가 제2모드에 절환되어 있다. 표시모드가 제2모드라면, 우선 전지(37)의 잔량(Q)이 검출된다(단계 S20). 그 후,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1).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에서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처리가 단계 S03으로 진행된다. 전지(37)의 잔량(Q)이 소정의 임계값 T2 보다 적다면, 표시모드가 강제적으로 제1모드로 절환된다. 이는 전지의 잔량이 낮은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력 소비를 줄여, 휴대전화(1)가 가능한 한 오래 사용되도록 한다.
단계 S22에서는,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이 구동된다. 단계 S23에서는,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의 표시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제1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그 후, 제2처리가 실행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2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28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는,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의 표시가 전체표시영역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 상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제2화상이 넓은 영역으로 표시되므로, 제2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단계 S26에서는, 제2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제2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26에서 NO). 제2처리가 종료된다면(단계 S26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27로 진행된다. 단계 S27에서는,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의 표시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할당된다. 이는 제2처리가 종료되는 경우에도 제1처리가 여전히 실행 중이므로 제1화상을 다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진행 중인 제1처리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 여기서는 제2처리가 종료된 후, 여기서는 호출이 종료된 후에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을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단계 S28에서는, 제1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1처리가 종료된다면(단계 S28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29로 진행된다. 제1처리가 종료되지 않는다면(단계 S28에서 NO), 상기 처리는 단계 S24로 되돌아간다. 단계 S29에서는,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서의 표시가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의 구동이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LCD(15) 상에 표시될 화상의 부존재 시,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표시제어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표시제어처리는 CPU(21)가 화상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2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나아가, 상기 표시제어처리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당되는 제1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또는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제1처리 또는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하여 출력되는 제1화상 또는 제2화상이 표시될 때 실행되는 처리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1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 가운데,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당되는 것을 표시영역이라고 하며, 이하 상기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CPU(21)는 표시될 화상을 취득한다(단계 S31). 표시될 화상은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또는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이다. 그 후, 취득한 화상 모두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3). 상기 취득한 화상의 크기는 상기 표시영역의 화상 크기와 비교된다. 취득한 화상의 크기가 상기 표시영역의 화상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다. 표시가 가능하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7로 진행된다. 표시가 불가능하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7에서는, 단계 S31에서 취득한 화상이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38로 진행된다.
단계 S33에서는, 표시될 표시부분이 단계 S31에서 표시 목표로서 취득되는 화상으로부터 결정된다. 예를 들어, 화상의 최상부로부터 몇 줄이 표시부분으로 결정된다. 그 후, 상기 표시부분의 끝에 심볼이 추가된다(단계 S34). 구체적으로는, 표시부분의 마지막 줄에 심볼이 위에 겹쳐써진다. 상기 심볼은 화상이 아래에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3개의 부호 ">>>"로 형성된 마크이다.
그 후, 표시부분의 화상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단계 S35). 단계 S36에서는, 표시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스크롤 명령이 수취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크롤 명령이 수취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3으로 되돌아간다. 수취되지 않는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8로 진행된다. 단계 S33에서는, 스크롤링 이후의 표시부분이 결정된다.
단계 S38에서는, 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1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에서 점선들은 예시의 편의를 위하여 그려졌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8a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제1도이다. 도 8a는 이메일 뷰잉 처리가 제1처리로서 실행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제1화상은 단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된다. 제1화상의 표시부분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분은 끝부분에 심볼 ">>>"을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1화상이 아래에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링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되지 않는 제1화상의 부분을 볼 수 있다.
도 8b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표시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제2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 이후 15초가 경과한 후에 전화 호출이 도달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주고,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는 처리가 제2처리로서 실행된다. 상기 제2화상은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된다. 상기 제2화상은 년, 월, 일, 시, "착신" 문자 및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도 8c는 제1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제3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 이후 15초가 경과하지 전에 전화 호출이 도달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주고, 착신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는 처리가 제2처리로서 실행된다. 상기 제1화상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고, 상기 제2화상은 제2표시영역(15B)에 표시된다. 편리하게도, 사용자는 제1화상과 제2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나아가, 제1화상의 표시부분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분은 끝부분에 심볼 ">>>"을 포함한다. 상기 화면에서도, 사용자는 스크롤링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되지 않는 제1화상의 부분을 볼 수 있다.
도 8d는 제2모드에서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는 이메일 뷰잉 처리가 제1처리로서 실행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제1화상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표시된다. 나아가, 상기 제1화상의 표시부분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분은 끝부분에 심볼 ">>>"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1화상이 아래에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링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되지 않는 제1화상의 부분을 볼 수 있다. 제1화상이 넓은 영역에 표시되므로, 상기 제1화상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화면을 스크롤링하는 조작의 빈도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1)에 따르면,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두 제1화상과 제2화상이 각각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소비되는 전력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서의 표시에 비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복수의 각각의 화상들이 동시에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복수의 처리 결과들을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화상은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15초)이 경과하기 전에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된다.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은 동시에 표시되어서, 사용자가 동시에 그들을 볼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15초)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제1화상 대신에 제2화상이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된다. 상기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되므로,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화상이 표시되는 타이밍에 따라 전력 소비의 절감과 편의성 간에 우선순위가 절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전력 소비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모드가 제2모드에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지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일 때, 상기 표시모드가 강제적으로 제1모드로 절환되어, 전력 소비를 강제적으로 저감시키면서도 장시간 표시를 실현하게 된다.
더욱이,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볼 ">>>"이 상기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추가되어, 사용자에게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제1변형예>
이하, 휴대전화(1)의 제1변형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상술된 휴대전화(1)와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제1변형예의 휴대전화의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기능들과 동일한 기능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기능들과의 차이점을 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CPU(21)는 전지(37)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부(41), 표시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부(43A),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량검출부(55),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부(49A), 제1처리실행부(45) 및 명령을 수취하기 위한 명령수취부(57)를 포함한다.
제1처리실행부(45)는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표시제어부(49A) 및 데이터량검출부(55)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처리는 이메일을 보는 것의 처리이고, 상기 제1처리를 실행하는 제1처리실행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은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을 포함한다. 데이터량검출부(55)는 처리를 실행하는 제1처리실행부(45)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모드절환부(43A)에 출력한다.
모드절환부(43A)는 제1모드와 제2모드 간에 표시모드를 절환시킨다. 모드절환부(43A)는 데이터량검출부(5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토대로 표시모드를 절환하고, 상기 표시모드를 표시제어부(49A)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값 T3 보다 작다면, 상기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된다.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값 T3 이상이면, 표시모드가 제2모드로 절환된다. 임계값 T3이 여하한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예컨대 LCD(15)의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화상의 데이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한 번에 표시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표시모드가 제2모드로 절환되어, 스크롤링의 횟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성을 개선하게 된다.
모드절환부(43A)는, 데이터량이 임계값 T3 이상인 경우에도, 잔량검출부(41)로부터 입력되는 전지의 잔량이 임계값 T2 이하인 경우에는 제1모드로 절환시킨다. 이는 전지의 잔량이 적을 때 전력 소비를 저감시켜, 휴대전화(1)를 가능한 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제어부(49A)는 모드절환부(43A)로부터 입력되는 표시모드에 따라 LCD(15) 상에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제1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는 LCD(15)의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 중 하나 이상에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모드에서, 표시제어부(49A)가 제1광원(16)과 제2광원(17) 양자 모두를 구동시키는 패턴 및 제1광원(16)을 구동시키는 패턴 중 하나로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을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제1모드에서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가시적으로 표시되고,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과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되는 2가지 패턴으로 화상이 표시된다. 디폴트에 의하면, 표시제어부(49A)는 제1광원(16)을 구동하고, 화상을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한다. 단지 제1광원(16)만이 구동되므로, 전력 소비가 가능한 한 많이 저감될 수 있다.
LCD(15) 대신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 제1모드에서보다 제2모드에서 더욱 작다. 그러므로, LCD(15)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보다 적다. 그러므로, 전력 소비를 저감하기 위하여 가능할 때마다 표시모드를 제1모드로 절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제어부(49A)는 마킹부(51)를 포함한다. 제1처리실행부(45)에 의해 출력되는 모든 화상이 화상의 표시를 위해 할당되는 제1부분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또는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킹부(51)가 소정의 마크를 중첩된 방식으로 상기 화상의 표시된 부분 상으로 추가한다.
사용자가 확대표시명령을 위해 할당되는 조작키(14)를 조작하여 표시영역을 확대시키는 경우, 명령수취부(57)가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한다.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면, 명령수취부(57)가 확대표시명령을 표시제어부(49A)로 출력한다.
제1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A)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A)는 화상을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한다. 확대표시명령이 명령수취부(57)로부터 추후에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A)는 아직 표시되지 않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된 화상의 부분을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하기 위하여 제2광원(17)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2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A)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에는, 표시제어부(49A)가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LCD(15)의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표시한다. 표시제어부(49A)는 제2모드에서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을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제2모드에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 모두가 구동되는 반면, 제1모드에서는,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고, 제3광원(18)은 구동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1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보다 많게 된다.
도 10은 제1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제1흐름도이다. 제1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는 CPU(21A)가 화상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21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CPU(21)는 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 상기 처리는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41에서 NO). 처리가 실행된다면(단계 S41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42로 진행된다.
단계 S42에서는,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데이터량(A)이 검출된다. 다음 단계 S43에서는, 데이터량(A)이 임계값 T3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임계값 T3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5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4로 진행된다. 단계 S44에서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된 다음, 상기 처리가 단계 S45로 진행된다.
단계 S45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이 구동된다. 그 후,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표시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할당된다(단계 S46). 이에 따라,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다음 단계 S47에서는,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된다면, 상기 처리가 단계 S4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50으로 진행된다. 단계 S48에서는, 제2부분표시영역(15B)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광원(17)이 구동된다. 그 후,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할당된다.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이 구동되므로, 상기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제1부분표시영역(15A) 보다 넓은 영역에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 S50에서는, 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5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47로 되돌아간다. 단계 S51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서의 화상의 표시가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의 구동이 정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52에서는, 전지(37)의 잔량(Q)이 검출된다. 그 후,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5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4로 진행된다. 상기 전지(37)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되어, 휴대전화(1)가 가능한 한 오래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이라면, 표시모드가 제2모드로 절환된다(단계 S54). 그 후,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이 활성화된다(단계 S55).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이 구동된다. 그 후, 상기 화상의 표시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할당된다(단계 S56). 이에 따라, 상기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단계 S57에서는, 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57에서 NO).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면(단계 S57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58로 진행된다. 단계 S58에서는,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서의 표시가 정지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제2광원(17) 및 제3광원(18)의 구동이 정지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변형예의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에서 점선들은 예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그려졌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1a는 제1변형예의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제1도이다. 도 11a는 제1모드에서의 제1처리로서 이메일 뷰잉 처리가 실행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메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표시된다.
도 11b는 제1변형예의 LCD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제2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화면이 나타나는 상태에서 확대 명령이 수취될 때 LCD(15) 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제1부분표시영역(15A)과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화상이 표시된다. 두 라인의 표시가 네 라인의 표시로 확대되어, 이메일의 내용의 가시성을 개선하게 된다.
화상의 크기가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 보다 크다면, 상기 표시모드가 제2모드로 절환되어, 도 8d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화면이 LCD(15) 상에 나타나게 된다.
제1변형예의 휴대전화(1)는 화상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제1모드와 제2모드 간에 절환가능하다. 화상의 데이터량이 크다면, 상기 화상이 전체표시영역에 표시되어,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화상의 데이터량이 적다면, 상기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화상들이 표시되는 영역들은 화상들의 데이터량에 따라 절환되게 되어, 전력 소비의 저감과 편의성이 데이터량에 따라 절환될 수 있게 된다.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까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화상이 표시되고,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경우, 상기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되어,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1변형예에서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을 때,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화상이 표시된다. 하지만, 제1부분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 중 어느 것에 또는 그들로부터 선택된 두 영역에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화상이 표시되는 것은 화상의 데이터량에 따라 제1부분표시영역(15A),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 가운데 결정될 수도 있다.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의 조합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의 조합보다 큰 표시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일부 경우에는,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의 조합이 전체 화상의 표시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의 조합이 전체 화상의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부분표시영역(15B) 및 제3부분표시영역(15C)에서의 화상의 표시가 스크롤링 조작의 필요성을 소거시키므로 편리하게 된다. 또한, 제1광원(16)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가 저감될 수 있다.
<제2변형예>
도 12는 제2변형예의 휴대전화의 CPU의 기능들의 개요를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모드절환부(43B)와 표시제어부(49B)에서 변경된다는 점에서 도 9에 도시된 기능블럭도와 상이하다. 도 9에 도시된 기능들과의 차이점을 주로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확대하고자 확대표시명령을 위해 할당된 조작키(14)를 조작하는 경우, 명령수취부(57)는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한다.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면, 명령수취부(57)는 확대표시명령을 모드절환부(43B) 및 표시제어부(49B)로 출력한다.
모드절환부(43B)는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하나로 상기 표시모드를 절환시킨다. 디폴트에 의하면, 모드절환부(43B)는 표시모드를 제1모드로 절환시키고, 상기 표시모드를 표시제어부(49B)로 출력한다. 확대표시명령이 명령수취부(57)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모드절환부(43B)는 데이터량검출부(5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표시모드를 제2모드로 절환시키고, 상기 표시모드를 표시제어부(49B)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값 T3 보다 작다면, 상기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값 T3 이상이라면, 상기 표시모드는 제2모드로 절환된다. 임계값 T3은 여하한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예컨대 LCD(15)의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화상의 데이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한 번에 표시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표시모드가 제2모드로 절환되어, 스크롤링의 횟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성을 개선하게 된다.
모드절환부(43B)는, 데이터량이 임계값 T3 이상인 경우에도, 잔량검출부(41)로부터 입력되는 전지의 잔량이 임계값 T2 이하인 경우에는 제1모드로 절환시킨다. 이는 전지의 잔량이 적을 때 전력 소비를 저감시켜, 휴대전화(1)를 가능한 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제어부(49B)는 모드절환부(43B)로부터 입력되는 표시모드에 따라 LCD(15) 상에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제1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B)는 제1광원(16)을 구동시키고, LCD(15)의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제1처리실행부(4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가시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디폴트에 의하면, 표시제어부(49B)가 제1광원(16)만을 구동시킴으로써, 전력 소비가 가능한 한 많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모드가 모드절환부(43B)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B)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확대표시명령이 명령수취부(57)로부터 추후에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49B)는 데이터량검출부(5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토대로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값 T4 이상인 경우에, 제2광원(17)이 구동되고, 제1부분표시영역(15A)과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화상이 표시된다. 임계값 T4는 임계값 T3 보다 작은 값이다. 여기서는, 임계값 T4가 제1부분표시영역(15A) 플러스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대응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화상의 데이터량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1부분표시영역(15A)과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화상의 데이터량이 임계값 T4 보다 작다면, 표시제어부(49A)는 제2광원(17)을 구동하지 않는다. 임계값 T4는 여하한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예컨대 제1부분표시영역(15A) 플러스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대응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화상의 데이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과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한 번에 표시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면, 제2부분표시영역(15B)이 구동되어, 스크롤링의 횟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성을 개선하게 된다. 나아가, 화상의 데이터량이 임계값 T4 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약간의 스크롤링 조작에 의해 전체 화상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제2광원(17)이 구동되지 않으면서도 전력 소비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제2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변형예의 표시절환처리는 CPU(221B)가 표시절환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CPU(21B)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CPU(21B)는 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1). 상기 처리는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61에서 NO). 상기 처리가 실행되면, 상기 처리는 단계 S62로 진행된다.
단계 S62에서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된다. 다음 단계 S63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이 구동된다. 그 후, 단계 S64에서는,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단계 S65에서는,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65에서 NO).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66으로 진행된다. 단계 S66에서는, 상기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데이터량(A)이 검출된다. 그 후, 데이터량(A)이 임계값 T3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67). 여기서, 임계값 T3은 LCD(15)의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화상의 데이터량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데이터량(A)이 임계값 T3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7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68로 진행된다. 단계 S68에서는, 데이터량(A)이 임계값 T4 이상인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데이터량(A)이 임계값 T4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7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69로 진행된다.
단계 S69에서는, 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69에서 NO). 처리가 종료된다면(단계 S69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70으로 진행된다. 단계 S70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에서의 표시가 정지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의 구동이 정지된다.
단계 S71에서는, 제2부분표시영역(15B)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광원(17)이 구동된다. 다음 단계 S72에서는, 상기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할당된다.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이 구동되게 되므로, 상기 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제1부분표시영역(15A)에만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비해, 표시 영역이 증가되므로, 상기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73에서는, 처리가 종료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73에서 NO). 상기 처리가 종료되면(단계 S73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74로 진행된다. 단계 S74에서는,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서의 화상의 표시가 정지된 다음,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원(16) 및 제2광원(17)의 구동이 정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75에서는, 전지(37)의 잔량(Q)이 검출된다. 그 후, 전지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인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76).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이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7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68로 진행된다. 전지(37)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표시모드가 제1모드로 절환되어, 휴대전화(1)가 가능한 한 오래 사용가능하도록 만들게 된다.
전지(37)의 잔량(Q)이 임계값 T2 이상이라면, 표시모드는 제2모드로 절환된다(단계 S77). 단계 S77 내지 S81의 하기 처리는 도 10의 단계 S55 내지 S58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변형예의 휴대전화(1)가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부분표시영역(15A)에 표시되었던 화상을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그러므로,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까지 제1광원(16)만이 구동되므로, 전력 소비가 저감되게 된다. 그 후,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면, 화상이 제1부분표시영역(15A) 및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표시되어, 상기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화상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화상이 제2부분표시영역(15B)에 가시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러므로, 전력 소비의 저감과 편의성 간의 우선순위가 데이터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표시모드가 제1모드에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의 데이터량이 임계값 T3 이상인 상태에서,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 제2모드로 절환되어, 화상이 전체표시영역(15A, 15B, 15C)에 표시되게 된다. 그러므로, 화상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 소비의 저감과 편의성 간의 우선순위가 상기 데이터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가 휴대정보처리장치의 일례로서 예시되었지만, 소지가능하기만 하다면 PDA와 같은 여하한의 정보장치가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도 5 내지 도 7, 도 10 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출력방법, 또는 상기 화상출력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화상출력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형태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 도시된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균등론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예들이 가능하도록 의도된다.
1 휴대전화, 2 표시측부, 3 조작측부, 11 스피커, 13 마이크로폰, 14 조작키, 15 LCD, 15A 제1부분표시영역, 15B 제2부분표시영역, 15C 제3부분표시영역, 16 제1광원, 17 제2광원, 18 제3광원, 21 CPU, 22 무선회로, 27 카드 I/F, 27A 플래시메모리, 28 코덱부, 32 RAM, 33 EEPROM, 37 전지, 41 잔량검출부, 43, 43A, 43B 모드절환부, 45 제1처리실행부, 47 제2처리실행부, 49, 49A, 49B 표시제어부, 51 마킹부, 53 타이머부, 55 데이터량검출부, 57 명령수취부

Claims (16)

  1. 휴대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처리들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실행수단;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제1부분표시영역 및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상기 복수의 처리 중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중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화상이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2처리가 실행될 때, 상기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화상을 상기 제2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화상이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처리가 실행될 때, 상기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화상을 상기 제1부분표시영역에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지; 및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절환수단은, 상기 잔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절환시키는 휴대정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소정의 마크를 추가하기 위한 마킹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5. 휴대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부분적으로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정보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상기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정보처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기 위한 명령수취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전지; 및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절환수단은, 상기 잔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절환시키는 휴대정보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소정의 마크를 추가하기 위한 마킹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9. 휴대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수단;
    사용자에 의한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기 위한 명령수취수단;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상기 표시된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정보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전지; 및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잔량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절환수단은, 상기 잔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절환시키는 휴대정보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모든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 화상의 표시된 부분에 소정의 마크를 추가하기 위한 마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가운데 상기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분표시영역을 결정하는 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모드절환수단은,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이 소정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될 때 상기 제2모드로 절환시키는 휴대정보처리장치.
  14.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부분표시영역 중 제1부분표시영역 및 제2부분표시영역 각각에, 제1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1화상 및 제2처리의 실행에 의해 출력되는 제2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표시방법.
  15. 화상을 부분적으로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에 있어서,
    화상의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부분표시영역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표시방법.
  16.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표시영역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1모드와 상기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제2모드 간에 절환시키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확대표시명령을 수취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가 스위치 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에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하나에 화상이 가시적으로 표시될 때 상기 확대표시명령이 수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표시영역 중 둘 이상에 상기 표시된 화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표시방법.
KR1020107018570A 2008-01-30 2009-01-29 휴대정보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9732 2008-01-30
JP2008019732A JP5122993B2 (ja) 2008-01-30 2008-01-30 携帯情報処理装置
PCT/JP2009/051441 WO2009096458A1 (ja) 2008-01-30 2009-01-29 携帯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163A true KR20100120163A (ko) 2010-11-12
KR101166094B1 KR101166094B1 (ko) 2012-07-23

Family

ID=4091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5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094B1 (ko) 2008-01-30 2009-01-29 휴대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89722A1 (ko)
JP (1) JP5122993B2 (ko)
KR (1) KR101166094B1 (ko)
WO (1) WO2009096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921B1 (ko) * 2009-08-14 2015-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5355466B2 (ja) * 2010-03-25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20120032888A (ko) * 2010-09-29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JP2013235083A (ja) * 2012-05-08 2013-11-21 Sharp Corp 表示装置
CN103092327B (zh) * 2013-02-04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及其显示方法
KR102023067B1 (ko) 2013-03-15 2019-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150177821A1 (en) * 2013-12-20 2015-06-25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Execution Unit Processor Core
US20210134236A1 (en) * 2018-06-15 2021-05-06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JP7183597B2 (ja) * 2018-07-12 2022-1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レビュー画像表示装置及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80672B (en) * 1999-03-15 2004-03-21 Seiko Epson Corp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1103152A (ja) * 1999-09-29 2001-04-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JP2001202053A (ja) * 1999-11-09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情報携帯端末
JP3783515B2 (ja) * 2000-03-27 2006-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源供給装置
JP4424872B2 (ja) * 2001-03-29 2010-03-03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US20010052887A1 (en) * 2000-04-11 2001-12-20 Yusuke Tsutsui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device
JP2002204297A (ja) * 2000-11-02 2002-07-19 Sharp Corp 携帯情報機器
JP3726892B2 (ja) * 2001-10-15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213376B2 (ja) * 2001-10-17 2009-0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携帯情報端末
JP4190862B2 (ja) * 2001-12-18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4191876A (ja) * 2002-12-13 2004-07-0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3874351B2 (ja) * 2002-12-19 2007-01-31 ローム株式会社 自発光型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バッテリ駆動式情報表示装置
JP4547670B2 (ja) * 2005-02-28 2010-09-22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画面の照明方法及び携帯電話機
US20060227122A1 (en) * 2005-04-07 2006-10-12 Microsoft Corporation Implementing multiple display modes on one display panel
US20070146344A1 (en) * 2005-12-22 2007-06-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0927A (ja) 2009-08-13
JP5122993B2 (ja) 2013-01-16
US20100289722A1 (en) 2010-11-18
KR101166094B1 (ko) 2012-07-23
WO2009096458A1 (ja)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094B1 (ko) 휴대정보처리장치
US853848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233813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program thereof
US8449118B2 (en) Device-adjacent ambiently displayed image
KR101177418B1 (ko) 휴대기기 및 조작접수방법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070077970A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51192B2 (en) Utilization of interactive device-adjacent ambiently displayed images
JP5136101B2 (ja) 携帯端末装置
US7221559B1 (en) Multipurpose bumper system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JP3908740B2 (ja) 携帯電話機
JP2009251111A (ja) 情報処理装置
JP511516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9282320A (ja) 携帯端末装置
JP2010107885A (ja) 情報処理装置
JP5274517B2 (ja) 携帯通信端末
JP5262895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01196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계층적인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3811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028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772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변경장치 및 방법
KR200501134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JP2013158035A (ja) 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