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471A -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9471A KR20100109471A KR1020100028261A KR20100028261A KR20100109471A KR 20100109471 A KR20100109471 A KR 20100109471A KR 1020100028261 A KR1020100028261 A KR 1020100028261A KR 20100028261 A KR20100028261 A KR 20100028261A KR 20100109471 A KR20100109471 A KR 20100109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pers
- donor
- rail
- main pedestal
- railro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8—Longitudinal sleepers; Longitudinal sleepers integral or combined with tie-rods; Combin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leepers; Layers of concrete supporting both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철도용 침목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용 H형 침목은 선로의 배수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궤도 틀림을 방지하고 도상 횡저항력과 종저항력을 1.8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도록 침목의 중앙부에 도상자갈 연결대를 설치하고, 침목 측면에 경사부를 두어 침목의 상하유동을 방지하여 궤도 틀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그리고 레일 지지부를 평면으로 제작함으로써 레일의 편마모를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륜의 횡저항력을 감소시켜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도상자갈 저항대의 저면에 원추형의 요부를 만들고, 요부의 첨단부는 반원형으로 제작하여 도상 종저항력과 도상 횡저항력을 증대시키고 음각으로 인한 침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침목과 레일의 체결위치를 대각선 또는 레일과 직각 또는 레일길이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하여 궤도의 틀림 및 비틀림(트위스트)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한다. 그리고 선로의 도상자갈 저항대는 횡저항력과 종저항력을 더욱 증대시켜, 선로의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철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도2는 도1의 상하방향 단면도.
도3은 도1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4는 실시예1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의 단면도.
도6은 도4의 BB'의 단면도.
도7은 도4의 CC'의 단면도.
도8은 실시예2의 평면도.
도9는 실시예2의 설치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평면도.
21:강선 유지부 21a:강선홈
22:바닥면 23:격판
24:볼트 25:너트
27:간격유지부
30:도상자갈 저항대 형성부 31:이동판
32:고정핀
50:가이드부
100:레일
200:메인 받침대 200R:레일 지지부
210:상부 경사면 220:하부 경사면
300:도상자갈 저항대 330:요부
500:보강부 510:노출면
511:노출면의 일단부 512:노출면의 타단부
700:유동 방지 돌기
Claims (12)
- 레일(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철도용 침목(T)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레일(100)이 안착되며,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일자형 메인 받침대(200);
상기 메인 받침대(200)의 측면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도상자갈 저항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대(200)는 PC(prestressed concrete)로 제작되고,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는 RC(reinforced concrete)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대(200)의 상면 중 상기 레일이 안착되는 레일 지지부(200R)는 경사가 형성되지 않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대(200)는 폭방향 양측면이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가면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면(210)과, 상기 상부 경사면(210)의 하단에 연접하며 상기 상부 경사면(210) 보다 더 큰 기울기로 하방향으로 가면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면(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대(200)와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가 상호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부위에는 수평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보강부(500)가 상하방향을 따라 추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500)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510)의 일단부(5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라운드 처리되며 상기 메인 받침대(200)에 연접되고,
상기 보강부(500)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510)의 타단부(512)는 수평 방향을 따라 라운드 처리되며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에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에는 하면으로부터 음각된 요부(330)가 형성되되, 상기 요부(330)는 첨단부가 반원형이고 상기 첨단부로부터 개방부에 이르는 둘레면이 원추형 또는 포물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의 폭방향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레일(100)까지 거리가 각각 40cm 이상이 되도록,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300)의 너비는 30 ~ 5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대(200)의 폭방향 외측면에는 상호 이웃하여 설치되는 철도용 침목(T)의 상기 메인 받침대(200)에 접촉 가능한 유동 방지 돌기(70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 제1항에 따른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22);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구비되며, 레일이 안치되는 메인 받침대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메인 받침대 형성부(20a, 20b);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인 받침대 형성부(20a)의 중앙부에서 다른 하나의 메인 받침대 형성부(20b)를 상호 연결하여 H형을 이루기 위한 도상자갈 저항대 형성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메인 받침대 형성부(20a, 20b)의 단부에는 강선홈(21a)이 형성된 강선 유지부(21)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메인 받침대 형성부(20a, 20b) 및 도상자갈 저항대 형성부(30)로 둘러싸인 빈 공간에는 간격유지부(27)가 구비되고,
상기 도상자갈 저항대 형성부(30)는 철도용 H형 침목이 형성된 후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판(31)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31)은 고정핀(32)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철도용 H형 침목 제작을 위한 거푸집.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2)과 한 쌍의 메인 받침대 형성부(20a, 20b) 및 도상자갈 저항대 형성부(30)의 경계에는 가이드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제작을 위한 거푸집.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1)의 일측에는 격판(23)이 구비되며, 상기 격판(23)과 상기 바닥면(22)은 상호 볼트(24) 및 너트(25)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H형 침목 제작을 위한 거푸집.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1931 WO2010114280A2 (ko) | 2009-03-31 | 2010-03-30 |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
CN201080015257.4A CN102439227B (zh) | 2009-03-31 | 2010-03-30 | 铁道h型枕木及用于制造该铁道h型枕木的模具 |
KR1020120003865A KR101364613B1 (ko) | 2009-03-31 | 2012-01-12 |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347A KR20100110906A (ko) | 2009-03-31 | 2009-03-31 | 철도용 다지형 침목 |
KR1020090027347 | 2009-03-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865A Division KR101364613B1 (ko) | 2009-03-31 | 2012-01-12 |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471A true KR20100109471A (ko) | 2010-10-08 |
KR101128031B1 KR101128031B1 (ko) | 2012-03-29 |
Family
ID=431304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347A Ceased KR20100110906A (ko) | 2009-03-31 | 2009-03-31 | 철도용 다지형 침목 |
KR1020100028261A Active KR101128031B1 (ko) | 2009-03-31 | 2010-03-30 |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347A Ceased KR20100110906A (ko) | 2009-03-31 | 2009-03-31 | 철도용 다지형 침목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20100110906A (ko) |
CN (1) | CN102439227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41458A (ko) * | 2011-10-17 | 2013-04-25 | 한국철도공사 | 왕(王)자형 철도 침목 |
KR101358141B1 (ko) * | 2011-03-24 | 2014-02-06 | 김해곤 | 철도용 h형 침목의 제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90914043A (en) * | 1909-06-15 | 1910-06-09 | John Sherwood Todd | Improvements in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
US1106423A (en) * | 1914-04-17 | 1914-08-11 | Alfred L Stevens | Railway cross-tie. |
US1475106A (en) * | 1923-01-10 | 1923-11-20 | Jr Joseph Francis Balme | Railway tie and rail fastening |
US3687366A (en) * | 1970-07-20 | 1972-08-29 | British Railways Board | Railway track |
CN2173271Y (zh) * | 1993-12-10 | 1994-08-03 | 铁道部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 一种预应力混凝土轨枕 |
JPH09273102A (ja) * | 1996-04-03 | 1997-10-21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まくらぎ |
AT410226B (de) * | 1999-03-22 | 2003-03-25 | Riessberger Klaus | Unterschwellung für eisenbahngleise |
CN2381458Y (zh) * | 1999-03-26 | 2000-06-07 | 北京市城建设计研究院 | 一种后张拉轨枕模具 |
CN2511701Y (zh) * | 2001-09-24 | 2002-09-18 |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抗爬铁路砼轨枕 |
CN2510522Y (zh) * | 2001-11-23 | 2002-09-11 | 北京中铁建协技术开发有限公司 | 用10×Φ6.25mm螺旋肋钢丝配筋的Ⅱ型预应力混凝土轨枕 |
KR100463989B1 (ko) * | 2002-04-18 | 2004-12-30 | 주식회사 삼성산업 | 콘크리트 침목 제조용 몰드 |
DE10254973A1 (de) * | 2002-11-26 | 2004-06-09 | Plica, Peter, Dr.-Ing. | Rahmenschwelle mit variabler Anzahl von Schienenbefestig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chwelle |
KR200391816Y1 (ko) * | 2005-05-04 | 2005-08-09 | 주식회사 삼성산업 | 슬라브형 침목 |
KR100702251B1 (ko) * | 2006-02-24 | 2007-04-03 | 한국철도공사 | 다지형 철도용 침목 |
-
2009
- 2009-03-31 KR KR1020090027347A patent/KR20100110906A/ko not_active Ceased
-
2010
- 2010-03-30 CN CN201080015257.4A patent/CN10243922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3-30 KR KR1020100028261A patent/KR101128031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8141B1 (ko) * | 2011-03-24 | 2014-02-06 | 김해곤 | 철도용 h형 침목의 제작방법 |
KR20130041458A (ko) * | 2011-10-17 | 2013-04-25 | 한국철도공사 | 왕(王)자형 철도 침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0906A (ko) | 2010-10-14 |
CN102439227B (zh) | 2014-12-24 |
CN102439227A (zh) | 2012-05-02 |
KR101128031B1 (ko) | 2012-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2729B1 (ko) | 모노레일용 곡선 궤도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 | |
KR102078321B1 (ko) | 레일매립궤도 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 |
KR100454405B1 (ko) |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 |
KR101364613B1 (ko) |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 | |
KR101128031B1 (ko) |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 |
CN109235151A (zh) | 一种铁路钢桁梁桥上弹性长枕埋入式无砟轨道构造 | |
CN110106788B (zh) | 轨道梁对接处的后浇段施工方法 | |
KR20130009391A (ko) | 철도 궤도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궤도 부설방법 | |
CN110258190B (zh) | 一种普速及重载铁路波形钢腹板挡砟墙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358141B1 (ko) | 철도용 h형 침목의 제작방법 | |
KR101160187B1 (ko) | 철도교량용 프리캐스트 일체형 궤도거더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 |
KR20120006917U (ko) | 왕자형 침목 | |
KR20130022219A (ko) | T자형 침목 | |
CN210657801U (zh) | 一种普速及重载铁路波形钢腹板挡砟墙结构 | |
KR20080093263A (ko) | 강합성 형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 |
KR20120110457A (ko) | H형 침목 | |
CN108560331A (zh) | 一种外包钢板的新型轨枕 | |
KR200498427Y1 (ko) | 트램용 세미 프리캐스트 슬라브 패널 | |
CN217298470U (zh) | 一种城市轨道交通道岔用桁架式预应力混凝土长轨枕 | |
KR20130041458A (ko) | 왕(王)자형 철도 침목 | |
CN217997675U (zh) | 一种预制装配可分离的凹凸槽连接式轨道结构 | |
KR1012703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와 강재 세그먼트를 구비한 합성형 거더 | |
JP3665909B2 (ja) | 橋梁の改築工法 | |
CN103266544B (zh) | 机车洗刷库整体道床与轨道结合施工方法 | |
KR100729844B1 (ko) |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3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3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