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2251B1 - 다지형 철도용 침목 - Google Patents

다지형 철도용 침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251B1
KR100702251B1 KR1020060018139A KR20060018139A KR100702251B1 KR 100702251 B1 KR100702251 B1 KR 100702251B1 KR 1020060018139 A KR1020060018139 A KR 1020060018139A KR 20060018139 A KR20060018139 A KR 20060018139A KR 100702251 B1 KR100702251 B1 KR 10070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rail
sleeper
railwa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곤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06001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16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steel
    • E01B3/20Sleeper construction for special purposes, e.g. with openings for ballast wor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32Fastening on steel sleepers with clamp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끝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간 나뭇가지 형태로 형성된 다지형 철도용 침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길이가 궤간에 비하여 짧도록 형성되어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상에 놓이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 끝에 서로 좌우대칭이도록 각각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받치는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는 각각 한쪽 측면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대의 양 끝에 연결된 세로대와, 한쪽 끝이 상기 세로대의 다른 쪽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일이 상면에 얹히며 서로 간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 개의 가로대로 구성되므로 부설할 때 소요되는 침목재료의 소비량이 절감되고 기존의 보선장비로도 기계보선이 가능하며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움직임이 강력하고 균형 있게 방지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에 관한 것이다.
도상저항, 요철, 철도, 침목

Description

다지형 철도용 침목{Tie of multi-branch type for railroad}
도 1a 및 도 1b는 철도선로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용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용 침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용 침목의 부설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가 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요철부의 여러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와 레일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대 11 : 전기선 배선통로
12 : 포크 끼움부 20a, 20b :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
21 : 세로대 22 : 가로대
23 : 보강대 24 : 손잡이부
25 : 숄더부 30 : 요철부
31 : 요부 32 : 철부
35 : 보강리브
본 발명은 양 끝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간 나뭇가지 형태로 형성된 다지형 철도용 침목에 관한 것이다.
철도선로에서 자갈(쇄석을 포함한다)을 깔아 만든 도상(道床), 철도차량 주행방향을 유도하는 레일 등과 함께 궤도를 구성하는 침목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을 제외한 전체가 도상에 묻힌 형태로 침목간격(tie spacing, 표준은 625㎜이다)을 두고 나열되고, 또 그 상면에 레일이 레일체결장치의 체결작용으로 정착되어 레일을 매개로 전달되는 철도차량 하중(압력ㆍ진동ㆍ충격 등 철도차량의 주행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넓게 도상에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침목은 이전까지는 도 1a와 같이 일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철도차량 주행 시 안정성ㆍ내구성ㆍ부설에 따른 용이성과 경제성ㆍ향후 유지관리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경쟁력 있도록 그 형태를 일직선형에서 탈피한 타입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용 침목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용 침목은 완만하게 휜 S자형으로 형성된 1쌍의 I형강(I-steel)으로 이루어지고 이 I형강이 한쪽은 서로 근접하지만 다른 쪽은 서로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어 대략 Y자형을 이루는 메인보디(1)와, 일직선형으로 형성된 2개의 I형강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메인보디(1)를 이루는 I형강의 다른 쪽(서로 떨어져 있는 쪽)에서 바깥쪽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보조보디(2)와, 메인보디(1)의 I형강을 서로 체결함과 아울러 각 보조보디(2)를 메인보디(1)에 체결하는 3개의 사각철판(3) 및 2개의 ㄱ자형철판(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메인보디(1)의 I형강은 위로 레일이 위치되고 레일과 직각을 이루 며 서로가 근접하도록 배치된 제1수직선부분(1a)과, 마찬가지로 위로 레일이 위치되고 레일과 직각을 이루지만 서로가 떨어져 있도록 배치된 제2수직선부분(1b)과,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제1수직선부분(1a)과 제2수직선부분(1b)을 연결하는 사선부분(1c)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철판(3)은 3개 중에서 하나는 서로 근접한 제1수직선부분(1a)의 상부에 걸친 형태로 위치되어 상측플랜지에 용접되고, 나머지 2개는 제2수직선부분(1b)과 보조보디(2)의 상부에 각각 걸친 형태로 위치되어 상측플랜지에 용접되는 바, 그 각각의 사각철판(3)의 위에는 레일이 얹혀져 레일체결장치로 정착된다.
또한 ㄱ자형철판(4)은 2개 중에서 하나는 서로 근접한 제1수직선부분(1a)의 하부에 걸친 형태로 위치되어 하측플랜지에 용접되고, 나머지는 제2수직선부분(1b)과 보조보디(2)의 각 하부에 모두 걸친 형태로 위치되어 하측플랜지에 용접된다.
한편 제2수직선부분(1b)은 그 상부에 각각 위치된 사각철판(3)이 침목간격을 두도록 서로 떨어져 있고, 제1수직선부분(1a)의 상부에 위치된 사각철판(3)은 제2수직선부분(1b) 사이를 좌우(횡)방향으로 반분하는 가상선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Y자형침목은 일직선형의 침목과 비교하여 볼 때, 메인보디(1)의 사선부분(1c)이 도상저항력(도상에서 침목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을 증대시켜 주어 도상에서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특징이 있다.(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움직임이 적을수록 철도차량의 안전주행 확보에 유리하다)
그러나 설명한 바와 같은 Y자형침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Y자형침목은 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를 보수하고자 기계보선을 할 때 멀티플 타이 탬퍼(multiple tie tamper, 도상의 면ㆍ수평ㆍ줄을 맞춤과 동시에 다지는 장비), 밸러스트 콤팩터(ballast compactor, 도상을 다지는 장비) 등 기존의 보선장비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Y자형침목의 경우, 형태의 특성상 도 4b와 같이 전후에 배치되는 침목과 서로 좌우가 교호하도록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갈지자(지그재그)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좌우가 비대칭이 된다. 이에 대하여 기존의 보선장비는 좌우대칭인 일직선형의 침목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둘째, 도 3에서 보았을 때 철도차량 하중에 의하여 메인보디(1)가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은 사선부분(1c)의 간격이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저항을 크게 받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메인보디(1)가 좌측으로 움직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저항을 덜 받기 때문에 좌우방향 움직임을 방지함에 있어서 불균형적인 구조였다.
셋째, ㄱ자형철판(4)이 하측으로 돌출된 것 때문에 보관 및 적재하기 위하여 포개어 쌓아 두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넷째, 도상에는 신호설비용 케이블 등 각종 전기선이 궤도를 횡단하는 형태로 매설되어 있는데, 이 전기선이 하등의 보호대책 없이 무방비로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보선작업, 특히 기계보선 시 보선장비와의 간섭으로 훼손되기 일쑤였다.
그렇지만 전기선이 침목을 관통하여 궤도를 횡단하게 한다면 전기선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이 같은 기능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다섯째, 레일체결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를 침목 위에 설치한 후 베이스플레이트의 숄더 사이에 타이패드를 깔고 그 위에 레일을 얹은 다음 인슐레이터로 레일의 저부를 감싼 뒤 레일파스너로 숄더에 결합, 레일의 저부를 압박하는 순으로 레일이 침목에 체결되는 바, 구성요소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였고, 체결함에 있어서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어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였다.
물론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이나 침목의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하도록 그 구성이 변화되는 것이므로 도 5와 같은 타입 이외에도 여러 타입들이 있겠으나, 이들 대부분 그 기본적인 형태가 도 5와 같은 타입에서 크게 벗어남이 없어 구조가 복잡하고 체결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안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레일체결장치의 구성요소 일부분을 미리 침목에 만들어 놓는다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체결작업을 간단히 이룰 수 있는 바, 이 같은 기능 또한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이 얹히는 양쪽을 다수 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구성하되 이 양쪽의 갈래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부설할 때 소요되는 침목재료의 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보선장비를 이용하여 보선할 수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쪽의 갈래가 각각 다수의 가로부재와 이 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 둘 모두의 움직임을 효과적이면서 균형 있게 방지할 수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의 일부분을 올록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도상에서 이 올록볼록한 부분과 자갈이 서로 맞물리는 작용에 의하여 좌우방향은 물론이고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을 포함한 다방면적 유동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좌우로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궤도에 요구되는 각종 전기선을 안전하게 배선할 수 있고, 또 바닥에 놓았을 때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취급할 때 지게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원이 안정감 있게 파지하여 취급할 수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체결장치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침목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놓음으로써 레일체결장치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가 궤간에 비하여 짧도록 형성되어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상에 놓이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 끝에 서로 좌우대칭이도록 각각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받치는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는 각각 한쪽 측면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대의 양 끝에 연결된 세로대와, 한쪽 끝이 상기 세로대의 다른 쪽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일이 상면에 얹히며 서로 간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 개의 가로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대,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는 도상의 자갈과 서로 맞물려 걸리도록 상면을 제외한 표면 전체에 걸쳐 요철부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길이를 따라 좌우로 관통되는 형태의 전기선 배선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지게차가 포크를 삽입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저면에 전후로 통하는 홈 형태의 포크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는 상기 세로대와 마주하는 반대쪽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가로대는 상기 레일이 얹히는 상면의 양쪽에 상기 레일을 레일파스너로 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파스너가 결합되는 숄더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는 일반적인 침목과 마찬가지로 도상에 그 상면을 제외한 전체가 묻힌 형태로 나열되는 것으로 일직선형의 연결대(10)와, 이 연결대(10)의 양 끝에 다수 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각각 형성된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연결대(10)는 그 길이가 궤간에 비하여 약간 짧도록 형성되어 레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상에 좌우(횡)방향으로 놓이고, 이에 따라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는 각각 레일의 아래에 위치되어 레일을 받친다.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는 서로가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 연결대(10)에 대하여 수직인 세로대(21), 이 세로대(21)에 대하여 수직이고 연결대(10)에 대하여 평행인 2개의 가로대(22) 및 이 가로대(22)의 사 이(간격)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대(23)로 구성된다.
세로대(21)는 그 한쪽 측면의 중앙 부분(좌측받침대의 세로대는 우측의 중앙 부분에 해당되고, 우측받침대의 세로대는 좌측의 중앙 부분에 해당된다)이 연결대(10)의 양 끝에 각각 연결된다.
가로대(22)는 그 한쪽 끝(좌측받침대의 가로대는 오른쪽 끝에 해당되고, 우측받침대의 세로대는 왼쪽 끝에 해당된다)이 세로대(21)의 다른 쪽 측면(좌측받침대의 세로대는 좌측에 해당되고, 우측받침대의 세로대는 우측에 해당된다)에 각각 연결되는 바, 각각은 서로 간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간격(침목간격, 표준 625㎜)을 두고, 그 상면에는 레일이 얹힌다.
보강대(23)는 각 가로대(22) 사이에 위치되도록 양 끝이 가로대(22)에 각각 연결되는 바, 구체적으로 그 위치는 가로대(22)에 얹힌 레일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배치구조는 보선작업, 특히나 멀티플 타이 탬퍼, 밸러스트 콤팩터 등 보선장비를 이용할 때 보선장비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좌측받침대(20a)와 우측받침대(20b)가 좌우대칭인 것은 좌우대칭인 일직선형의 침목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기존의 보선장비와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보선장비에 의한 기계보선을 가능하게 하고, 좌 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가 다수 갈래로 갈라진 형태인 것은 부설 시 소비되는 재료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 좌측받침대(20a)와 우측받침대(20b)가 서로 대칭인 것과 더불어 그 세로대(21)가 연결대(10)에 대하여 수직인 것은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강력하고 균형 있게 방지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에는 도상에서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다방면적 유동을 방지하는 요철부(30), 전기선 배선통로(11), 운반ㆍ적재 등 지게차를 이용하여 취급할 때 사용되는 포크 끼움부(12), 인력으로 직접 취급할 때 사용되는 손잡이부(24) 및 레일을 가로대(22)에 정착시킬 때 사용되는 숄더부(25)가 각각 형성된다.
요철부(30)는 연결대(10),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의 표면 중에서 도상에 설치된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을 제외한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서, 오목한 요부(31)와 상대적으로 볼록한 철부(32)로 구성된다. 이때 요부(31)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철부(32)는 이 요부(31)의 각 홈 사이에 위치되는 표면 그 자체로 이루어진다.
즉 요철부(30)는 연결대(10),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의 표면에 요부(31)를 형성, 이로써 자연히 철부(32)가 형성되는 음각형태의 요철로서, 이처럼 구성한 것은 표면을 평평하도록 형성하였을 때 보관 또는 적재하기 위하여 차곡 차곡 쌓는 것이 양각형태의 요철에 비하여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요철부(30)는 도상에서의 유동 방지를 도상의 자갈과 서로 맞물려 걸리는 작용에 의하여 구현하는 바, 요부(31)를 이루는 각 홈은 도상에 설치된 때 도상의 자갈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면적이 이 도상의 자갈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상에 설치하면, 도상의 자갈은 자연히 요철부(30)의 요부(31)에 끼워지게 되는 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도상의 자갈은 철부(32)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요철부(30)의 철부(32)는 도상의 자갈을 물고 있는 상태가 되어 도상의 자갈과 요철부(30)는 서로 맞물려 걸린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유동이 보다 확고히 방지되어 철도차량의 안전주행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연결대(10), 좌측받침대(20a) 및 우측받침대(20b)의 저면에 위치한 요철부(30)는 전후(종)방향 및 좌우방향 유동만을 방지하는 것에 대하여 둘레(전후ㆍ좌우)에 위치한 요철부(30)는 전후 및 좌우방향 유동은 물론, 더불어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위에서 요부(31)의 형상은 정사각형인 것으로 설명하고 도 6 내지 도 8에도 정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삼각형이나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원형이나 타원형, 격자형, 파형 등 도상의 자갈이 끼워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든 가능하 다. 또 그 배열이 규칙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불규칙적이어도 무방하다.(도 10 참조)
전기선 배선통로(11)는 신호설비용 케이블 등 궤도를 횡단하는 각종 전기선을 종래에는 도상에 매설하였던 것을 연결대(10)의 내부에 배선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연결대(10)를 좌우로 관통하는 통로 형태의 구멍이다.
이러한 전기선 배선통로(11)는 그 양끝 중 한쪽으로 전기선을 넣어 반대쪽으로 나오게 하면 배선이 완료되는 바, 보선작업 시 외부와의 차단작용으로 보선장비와 전기선의 간섭을 방지, 전기선을 보호한다.
포크 끼움부(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를 바닥에 놓았을 때 바닥과의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게 일정한 크기의 틈새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연결대(10)의 저면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지게차의 포크를 연결대(10)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삽입하여 들어올릴 수 있게 전후로 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그 폭은 물론 일반적인 지게차의 포크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2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1실시예를 취급할 때 작업원이 양쪽에 파지하여 들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노브(knob)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파손 등을 고려할 때 손끝을 끼운 형태로 파지 가능하도록 홈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이 홈의 내부 형상은 파지한 상태가 안정적이도록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L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는 보강대(23)의 외측, 즉 세로대(21)와 마주하는 반대쪽에 각각 형성된다.
숄더부(25)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레일체결장치 중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숄더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로 각 가로대(22)의 상면 중 레일이 얹히는 부분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도 11 참조)
이와 같은 숄더부(25)는 레일 체결작업에 있어서, 종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침목에 정착시켜야 하였던 것을 생략 가능하게 하는 바, 곧바로 레일의 저부가 압박되도록 레일파스너를 숄더부(25)에 결합하여 레일을 가로대(22)의 상면에 밀착시키면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지형 철도용 침목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가로대(22)의 개수가 더 많다는 점 등이 상이하다.
즉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가로대(22)를 2개가 아닌 3개 또는 4개로 이룰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경우 세로대(21)의 길이가 자연히 길어지게 되므로 세로대(21)가 전후방향으로 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 세로대(21)와 연결대 (10)의 사이에 보강리브(35)가 각각 형성되고, 제2실시예의 경우 전기선 배선통로(11)가 중앙에 위치한 가로대(22)에 가려지게 되므로 길이를 연장하여 가로대(22)를 좌우로 관통하는 형태로 변경할 필요가 있겠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부설 시 소요되는 재료의 소비량을 보다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1>연결대와, 이 연결대의 양 끝에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로 구성되고, 이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가 레일이 위에 얹히는 다수의 가로대와, 이 가로대를 연결대에 연결하는 세로대로 구성되기 때문에 ①부설할 때 소요되는 침목재료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고 ②좌우가 대칭인 것에 의하여 기존 일직선형의 침목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보선장비로 기계보선을 할 수 있으며 ③좌우대칭인 것과 세로대에 의하여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강력하고 균형 있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2>연결대, 좌측받침대 그리고 우측받침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도상에 설치된 때 요철부가 도상의 자갈과 서로 맞물려 걸리는 작용으로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상하ㆍ전후(종)ㆍ좌우(횡)방향 등 다방면적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요철부가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홈 사이에 철부가 형성되는 음각형태의 요철이므로 전체적으로 표면이 평평하도록 형성하면 보관ㆍ적재할 때 안정되게 쌓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연결대에 좌우로 관통하는 전기선 배선통로가 형성되어 신호설비용 케이블 등 궤도를 횡단하여 매설되었던 각종 전기선을 안전하게 배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연결대의 저면에 포크 끼움부가 형성되는 한편 보강대의 외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지게차나 인력을 이용한 보관ㆍ적재 등 취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6>가로대에서 레일이 얹히는 부분의 양쪽에 숄더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레일을 가로대에 체결시키는 레일체결장치의 구성 및 그 체결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전기선을 배선할 수 있는 전기선 배선통로와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포크 끼움부가 마련되어있고, 길이가 궤간에 비하여 짧도록 형성되어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상에 놓이는 연결대와; 한쪽 측면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대의 양끝에 연결된 세로대와, 한쪽 끝이 상기 세로대의 다른 쪽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일이 상면에 얹히며 서로 간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가로대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대의 양끝에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연결되는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로 구성된 통상의 철도용 침목에 있어서,
    상기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는
    상기 연결대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의 사이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대; 및 상기 각 세로대와 연결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 개수의 증가 따라 상기 세로대가 전후방향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는 철도차량의 이동에 따른 좌우/전후/상하의 다방면적 유동을 균형있게 방지하기 위해 도상의 자갈과 서로 맞물려 걸리도록 상면을 제외한 표면 전체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좌측받침대 및 우측받침대에 비해 면적이 좁고, 철도차량 하중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상면을 제외한 표면 전체에 걸쳐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지형 철도용 침목.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018139A 2006-02-24 2006-02-24 다지형 철도용 침목 KR10070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39A KR100702251B1 (ko) 2006-02-24 2006-02-24 다지형 철도용 침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39A KR100702251B1 (ko) 2006-02-24 2006-02-24 다지형 철도용 침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251B1 true KR100702251B1 (ko) 2007-04-03

Family

ID=3816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39A KR100702251B1 (ko) 2006-02-24 2006-02-24 다지형 철도용 침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2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80A2 (ko) * 2009-03-31 2010-10-07 한국철도공사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KR101128031B1 (ko) * 2009-03-31 2012-03-29 김해곤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WO2020002957A1 (en) 2018-06-27 2020-01-02 MÁRTONFFY, István Sleep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01A (ja) * 1990-09-07 1993-01-26 Hitachi Ltd 鉄道車両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H0557001U (ja) * 1991-10-01 1993-07-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枕 木
KR20000000706A (ko) * 1998-06-03 2000-01-15 윤대현 낮은 산소분압하에서 고상-기상 반응에 의한고체윤활제의 합성방법 및 합성장치
KR20020078841A (ko) * 2001-04-10 2002-10-19 김진국 고무를 이용한 철도 침목
KR20030000937A (ko) * 2001-06-27 2003-01-06 김상복 전기석을 추출하는 방법, 이에 따라 추출된 액정 전기석추출액 및 추출된 액정의 이용방법
KR20040000047A (ko) * 2002-06-19 2004-01-03 장명수 컴퓨터 인쇄 지시에 의한 산업용 물품 칼라인쇄방법
KR200391816Y1 (ko) * 2005-05-04 2005-08-09 주식회사 삼성산업 슬라브형 침목
KR200410824Y1 (ko)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01A (ja) * 1990-09-07 1993-01-26 Hitachi Ltd 鉄道車両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H0557001U (ja) * 1991-10-01 1993-07-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枕 木
KR20000000706A (ko) * 1998-06-03 2000-01-15 윤대현 낮은 산소분압하에서 고상-기상 반응에 의한고체윤활제의 합성방법 및 합성장치
KR20020078841A (ko) * 2001-04-10 2002-10-19 김진국 고무를 이용한 철도 침목
KR20030000937A (ko) * 2001-06-27 2003-01-06 김상복 전기석을 추출하는 방법, 이에 따라 추출된 액정 전기석추출액 및 추출된 액정의 이용방법
KR20040000047A (ko) * 2002-06-19 2004-01-03 장명수 컴퓨터 인쇄 지시에 의한 산업용 물품 칼라인쇄방법
KR200391816Y1 (ko) * 2005-05-04 2005-08-09 주식회사 삼성산업 슬라브형 침목
KR200410824Y1 (ko)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016801 *
2000706860000 *
2003937630000 *
2004047830000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80A2 (ko) * 2009-03-31 2010-10-07 한국철도공사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WO2010114280A3 (ko) * 2009-03-31 2010-12-23 한국철도공사 철도용 h형 침목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KR101128031B1 (ko) * 2009-03-31 2012-03-29 김해곤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CN102439227A (zh) * 2009-03-31 2012-05-02 金海坤 铁道h型枕木及用于制造该铁道h型枕木的模具
KR101364613B1 (ko) * 2009-03-31 2014-02-21 김해곤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
CN102439227B (zh) * 2009-03-31 2014-12-24 金海坤 铁道h型枕木及用于制造该铁道h型枕木的模具
WO2020002957A1 (en) 2018-06-27 2020-01-02 MÁRTONFFY, István Slee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9041B (zh) 下穿铁路道岔群顶进大跨度箱桥施工的软架空加固顶进法
RU2517595C2 (ru) Оград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линии
KR101981601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KR100702251B1 (ko) 다지형 철도용 침목
EP2166150B1 (en) Safety device for a rail
KR20100017217A (ko)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KR101297713B1 (ko) 철도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0675226B1 (en) Ladder-type sleepers and railway tracks
FI72571C (fi) Armeringsmatta foer staolbetong.
US7093768B2 (en) Rigid track
JP4956634B2 (ja) 橋桁上への床版の敷設方法
CN105923290B (zh) 一种集装箱钢卷加固方法
US20120248215A1 (en) Railroad tie
KR101364613B1 (ko)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
KR101890905B1 (ko)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JP2015124476A (ja) 工事桁、及び、工事桁の架設方法
KR102101169B1 (ko)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28031B1 (ko) 도상자갈용의 철도용 h형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JP2020158970A (ja) トラフ防護装置
JP3233121U (ja) 分岐器用枕木
CN207079430U (zh) 用于隧道换底操作的线路架空装置
KR100566179B1 (ko) Pc 침목 및 이를 이용한 pc 침목의 배치구조
CN215481982U (zh) 一种木枕垫板
KR102308917B1 (ko) 지진대비용 크레인 레일 체결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