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1706A -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 - Google Patents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706A
KR20100061706A KR1020107006832A KR20107006832A KR20100061706A KR 20100061706 A KR20100061706 A KR 20100061706A KR 1020107006832 A KR1020107006832 A KR 1020107006832A KR 20107006832 A KR20107006832 A KR 20107006832A KR 20100061706 A KR20100061706 A KR 20100061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power
regulator circuit
switch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000B1 (ko
Inventor
발터 배츠
존 크로스
베른하르트 에르틀
토르스텐 쿠스케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6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0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 조명 시스템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조명 제어 모듈, 램프, 및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가진 안정기를 포함한다. 조명 제어 모듈은 입력에 응답하여 안정기에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한다. 안정기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전원으로부터 공급 전압 및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함수로서 안정기의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가 공급될 때, 안정기의 제어기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정기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METAL HALIDE LAMP BALLAST CONTROLLED BY REMOTE ENABLE SWITCHED BIAS SUPPLY}
메탈 할라이드(metal halide) 램프들은 그들이 워트당 보다 많은 가시 광을 방출하고 보다 긴 예상 수명을 가지기 때문에 차량 조명 시스템들(예를 들어, 자동차 헤드라이트 시스템들)의 할로겐 램프들에 비해 바람직하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들은 또한 주어진 광량에 대해 가시도를 개선하는 태양과 유사한 주파수 프로파일을 가진 가시 광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할로겐 램프들과 달리, 메탈 할라이드 램프들은 차량 전원(power supply)(즉, 차량의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구동될 수 없고 안정기의 사용을 요구한다. 안정기는 램프를 점화(strike)하고, 램프가 그의 설계 수명을 달성하도록 적당한 세기의 광을 방출하기 위해 램프에 인가된 주파수 및 전류를 조절한다.
전자 안정기들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스테이지(stage)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안정기가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슬립 상태(sleep state)에 놓여 질 수 있고, 이런 슬립 상태는 저전력 스위치 또는 전자 신호(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공된 신호)가 램프를 턴온 및 턴오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슬립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기에 제공하는 비교적 간단하고 값싼 바이어스 회로는 비교적 짧은 시간 기간에 걸쳐 차량의 전력 공급을 소모하기에 충분히 큰 전류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의 제어기를 갖는 전자 안정기는 주말에 걸쳐 자동차의 배터리를 소모시킬 수 있어서, 자동차의 소유자는 배터리에 부가적인 전력을 제공하지 않고서는 주중의 시작에서 차를 시동시킬 수 없다. 허용 가능한 레벨까지 이런 슬립 상태 바이어스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바이어스 회로 및 제어기(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는 전자 안정기로 설계될 수 있지만, 비교적 복잡하고 값비싸다.
일반적으로, 전자 안정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차량들에 사용된 3가지 타입의 조명 제어 모듈들이 있다. 제 1 타입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값비싸며 차량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작동되며, 차량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직접적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고전력 스위치이다. 제 2 타입은 차량 오퍼레이터에 의해 작동되고, 전원으로부터 전기기계적 릴레이로 전력을 제공하는 값싸고 보다 작은 저전력 스위치이다. 저전력 스위치는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전력을 릴레이에만 제공할 수 있다; 릴레이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상당히 많은 전력을 제공한다.
조명 제어 모듈의 제 3 타입은 전자식이다. 전자 조명 제어 모듈은 램프를 조명할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센서들(예를 들어, 주위(ambient) 광 센서) 및 다른 소스들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전자 조명 제어 모듈이 램프가 조명되어야 하는 것을 결정할 때(예를 들어, 차량 엔진이 운행되고, 트랜스미션이 구동 중에 있고, 그리고 주위 광이 거의 없음), 상기 전자 조명 제어 모듈은 전력을 안정기에 직접 제공하거나 차량 전원으로부터 램프 안정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전자기계적 릴레이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따라서, 전자 조명 제어 모듈은 전자 제어 모듈 같은 차량의 기존 전기 컴포넌트에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조명 제어 모듈은 직접적으로 안정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요구된 비교적 높은 소스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능력을 가지도록 설계되거나 전력을 안정기에 제공하도록 전자기계적 릴레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한 어느 해결책(고전류 전자 조명 제어 모듈 또는 전자기계적 릴레이의 부가)도 차량 조명 시스템에 비용을 부가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전력을 전자 안정기에 제공하는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 조명 제어 모듈(예를 들어, 저전력 스위치, 고전력 스위치, 또는 전자 제어부)을 사용하는 차량 조명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차량 조명 시스템(100)의 종래 기술 전자 안정기(102)는 릴레이(106)로부터의 수신 전력에 응답하여 전력을 램프(104)에 제공한다. 이런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차량의 전원(108)(즉, 차량의 충전 시스템)은 차량 조명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및 교류 발전기를 포함한다. 동작시, 차량의 오퍼레이터는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예를 들어, 차량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입력을 제공한다. 오퍼레이터 제공 입력을 기반으로,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은 릴레이(106)에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은 차량 전원(108)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오퍼레이터가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턴온할 때 수신된 전력을 릴레이(106)에 제공한다. 반대로,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은 차량 전원(108)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지만, 오퍼레이터가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턴오프할 때 릴레이(106)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다.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이 릴레이(106)에 에너지를 공급할 때, 릴레이(106)는 차량 전원(108)으로부터 안정기(102)의 입력 필터(112)에 공급 전압을 제공한다. 입력 필터(112)는 릴레이(106)에 의해 제공된 공급 전압으로부터의 잡음(noise)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급 전압을 안정기(102)의 바이어스 조절기(bias regulator)(114) 및 전력 스테이지(power stage)(116)에 제공한다. 바이어스 조절기(114)는 필터링된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안정기(102)의 제어기(118)에 대한 제 1 바이어스 전압, 및 안정기(102)의 전력 스테이지(116)에 대한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한다. 제어기(118)는 램프(104)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스테이지(116)를 제어한다. 따라서, 안정기(102)는 전원(108)으로부터 릴레이(106)를 통하여 수신한 공급 전압에 응답하여 램프(104)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 조명 시스템은 램프, 조명 제어 모듈, 및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가진 안정기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조명 제어 모듈에 의해 제공된 원격 인에이블 신호(remote enable signal)의 함수로서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으로 안정기의 바이어스 조절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바이어스 조절기가 바이어스 제어 회로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때,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안정기의 제어기에 제공한다. 제어기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정기의 전력 스테이지를 제어한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입력부로부터 접지로의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로우 측(low side)으로부터 접지로의 저항 경로들을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제어기에 대한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조절기의 제 1 부분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또한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입력부로부터 접지로의 그리고 제 2 스위치의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의 저항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전력 스테이지에 제공된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조절기의 제 2 부분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함수로서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인에이블 상태로 제공된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조절기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바이어스 조절기는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될 때 제 1 바이어스 전압 및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한다. 생성된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전력 스테이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에서 수신된다. 생성된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전원으로부터의 공급 전압과 함께 전력 스테이지에서 수신되고, 전력 스테이지는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 요약은 상세한 설명에서 하기에 추가로 기술된 간략화된 형태의 개념들의 선택을 도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 주제의 핵심 특징들 또는 필수 특징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청구 주제의 범위를 결정할 때 도움을 위한 것도 아니다.
다른 특징들은 부분적으로 명백하고 부분적으로 지적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전원으로부터 안정기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차량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정기가 전원으로부터 공급 전압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차량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안정기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함수로서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문자들은 도면들 전체에서 대응 부분들을 가리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안정기(20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한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조절기(114)(예를 들어,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를 포함한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차량은 안정기(204), 램프(104) 및 조명 제어 모듈(110)을 포함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208)을 가진다. 동작시, 전원(108)은 계속적인 공급 전압을 조명 제어 모듈(110) 및 안정기(204)에 제공한다. 안정기(204)의 입력 필터(112)는 전원(108)에 의해 안정기(204)에 제공된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공급 전압으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한다. 입력 필터(112)는 필터링된 공급 전압을 안정기(204)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 및 전력 스테이지(116)에 계속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입력 필터(112), 전력 스테이지(116), 및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안정기(204)가 램프(104)에 전력을 제공하는지에 무관하게 차량 전원(108)으로부터 전력을 계속적으로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 전압은 9-16 볼트 DC 전압이고, 입력 필터(112)는 전력을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 및 전력 스테이지(116)에 제공하기 위한 캐패시티브 네트워크(capacitive network) 및 인덕티브 네트워크(inductive network)를 포함한다.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은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의 함수로서 안정기(204)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에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은 센서 신호일 수 있거나/있고 오퍼레이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차량 조명 제어 모듈(110)은 주위 광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낮은 광 조건을 가리키거나, 오퍼레이터가 차량의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온 위치로 돌리는 경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안정기(204)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두 개의 상태들을 가진 디지털 신호이고 안정기(204)에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인에이블 상태에서,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12 볼트 직류(DC) 전압이고, 디스에이블 상태에서,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0 볼트 DC 전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가 이에 따라 구성되는 경우, 인에이블 상태가 0 볼트 DC일 수 있고, 디스에이블 상태가 12 볼트 DC일 수 있다는 것은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조명 제어 모듈(110)은 고전력 스위치일 수 있거나, 저전력 스위치일 수 있거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조명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한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조절기(114)(예를 들어,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에너지가 공급될 때, 바이어스 조절기(114)는 입력 필터(112)에 의해 제공된 필터링된 공급 전압으로부터 제 1 바이어스 전압 및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한다. 제 1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8.5 볼트 DC)은 안정기의 제어기(118)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제 2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12 볼트 DC)은 전력 스테이지(116)를 인에이블한다. 제어기(118)는 전원(108)으로부터 램프(104)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스테이지(116)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스테이지(116)는 램프(104)에 약 35 와트의 전력의 구형파 500 헤르쯔 공칭 신호를 공급하고, 램프(104)는 타입 D3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조절기(114)는 제어기(118) 및 전력 스테이지(116) 둘다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인에이블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한다.
전력 스테이지(116)는 DC 대 DC 컨버터(224) 및 H 브리지(bridge)(226)를 포함한다. DC 대 DC 컨버터(224)는 입력 필터(112)로부터 필터링된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제어기(1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압된(stepped up) DC 전압을 H 브리지(226)에 제공한다. 동작시, DC 대 DC 컨버터(224)는 바이어스 조절기(114)가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즉, 안정기(204)가 램프(104)에 전력을 제공할 때), 승압된 DC 전압을 H 브리지(226)에만 제공한다. 제어 신호는 DC 대 DC 컨버터(224)에 의해 H 브리지(226)에 제공된 승압된 DC 전압의 전압을 지시한다. H 브리지(226)는 제어기(118)에 의해 제공된 기준 주파수에 따라 DC 대 DC 컨버터(224)에 의해 제공된 승압된 DC 전압을 스위칭한다. 따라서, H 브리지(226)는 비교적 고전압 구형파 교류 전류 전력 신호를 램프(104)에 제공한다.
제어기(1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0) 및 펄스 폭 변조(PWM) 제어기(22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 및 PWM 제어기(222)는 입력 필터(112)에 의해 제공된 전압 및 전류와 DC 대 DC 컨버터(224)에 의해 H 브리지(226)에 제공된 승압된 DC 전압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협력한다. 이들 감지된 입력들을 기반으로, PWM 제어기(222)는 램프(104)에 공급된 파형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DC 대 DC 컨버터(224)에 제공된 제어 신호를 조절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램프(104)에 제공된 파형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H 브리지(226)에 제공된 기준 주파수를 조절한다. 정상-상태 동작시, 램프(104)에 제공된 파형은 공칭 500 헤르쯔의 구형파 40-90 볼트 AC 신호이다. 당업자는 상기 파형의 주파수와 전압이 램프(104)에 제공된 전력량을 제어하고 램프(104)의 점화(striking) 및 워밍업(warm-up)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변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바이어스 회로(202)의 일 실시예는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입력 필터(112)를 통한 공급 전압(VSUPPLY) 외에 DC 대 DC 컨버터(224)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의 드레인 전압(VDS)을 수신한다. 공급 전압(VSUPPLY)이 낮을 때, 다이오드(D15) 및 캐패시터(C5)는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의 버퍼 회로(302)에 VSUPPLY(즉, 드레인 전압 VDS)보다 높은 전압을 제공하도록 협력하여,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적당하게 동작한다. 버퍼 회로(302)는 조명 제어 모듈(110)로부터의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점퍼(jumper)(310)에서 수신하고 제 1 스위치(304) 및 제 2 스위치(306)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한다. 즉,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버퍼 회로(302)는 제 1 스위치(304) 및 제 2 스위치(306)가 전기를 도전시키도록 하고,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버퍼 회로(302)는 제 1 스위치(304) 및 제 2 스위치(306)를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제 1 스위치(304) 및 제 2 스위치(306)가 전기를 도전시키지 않는다. 제 1 스위치(304)는 입력 필터(112)로부터의 공급 전압(VSUPPLY)에 접속된 하이 측(high side)(312), 버퍼 회로(302)에 접속된 입력부(314), 및 제 1 스위치(304)로부터 전기를 수신할 때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1 부분에 접속된 로우 측(low side)(316)을 가진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로부터 바이어스 조절기의 제 1 부분으로의 출력은 VCC로 도시된다. 제 2 스위치(306)는 DC 대 DC 컨버터(224)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정류된 드레인 전압(VDS)에 접속된 하이 측(322), 버퍼 회로(302)에 접속된 입력부(324), 및 제 2 스위치(306)로부터 전기를 수신할 때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2 부분에 접속된 로우 측(326)을 가진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로부터 바이어스 조절기의 제 2 부분으로의 출력은 VOUT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18)는, 제 1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8.5 볼트 DC)을 수신할 때,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PWM 제어기(222)에 대한 바이어스 전압에 제공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220)를 위한 제 3 전압(예를 들어, 5 볼트 DC)으로 강하되게 조절한다.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또한 DC 대 DC 컨버터(224)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어기(118)에 의해 사용된다.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전력 스테이지의 H 드라이브에 제공된다.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또한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미리 결정된 양만큼 감소할 때 제 2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12 볼트 DC)이 제 1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8.5 볼트 DC)에 다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이 적당한 방향으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 출력들(VCC 및 VOUT)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를 접속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버퍼 회로(302)의 입력 저항과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은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를 인에이블하도록 조명 제어 모듈(110)에 요구된 소스 전류 캐패시티(capacity)를 결정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저항기들(R103, R15 및 R104)의 총 저항은 8.8kOhms이고, 이런 총 저항은 12 볼트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대한 소스 전류 캐패시티가 1.25 밀리암페어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조명 제어 모듈(110)에 대한 비교적 작은 소스 전류 요구는 임의의 타입의 조명 제어 모듈(110)이 집적 회로(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 제어 모듈)로부터의 직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하는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작시,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실질적으로 영 암페이어와 같은 전류를 유도한다. 저항기들(R94 및 R97)은 제 1 스위치(304)의 로우 측(316)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제 1 스위치(304)의 입력부(314)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한다. 이들 저항 경로들은 제 1 스위치(304)의 입력부(314) 및 로우 측(316)에서 전하 축적을 방지하고, 이것은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제 1 스위치(304)가 전기를 도전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저항기들(R96 및 R95)은 제 1 스위치(306)의 로우 측(326)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제 2 스위치(306)의 입력부(324)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한다. 이들 저항 경로들은 제 2 스위치(306)의 입력부(324) 및 로우 측(326)에 전하 축적을 방지하고, 이것은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제 2 스위치(306)가 전기를 도전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는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최소 전류를 유도하여, 안정기(204)가 계속하여 전원(108)에 접속되고, 종래 기술 도 1에 도시된 릴레이(106) 같은, 안정기(204)를 전원(108)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높은 전력 캐패시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위치(304) 및 제 2 스위치(306)는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이고,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2 부분은 제 2 스위치(306)의 출력부(VOUT)에서의 과도 현상(transient)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캐패시티브 네트워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2 부분은 집적 회로 조절기이다. 당업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들(304,306)이 임의의 타입의 스위치일 수 있고,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임의의 타입의 조절기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스위치들은 mosFET들일 수 있고,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2 부분은 집적 회로 조절기들일 수 있는 반면 바이어스 조절기(114)의 제 1 부분은 캐패시티브 네트워크이다. 부가적으로, 바이어스 제어 회로(202)의 다른 실시예들은 단지 공급 전압만을 수신할 수 있거나, DC 대 DC 컨버터(224) 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아닌 차량 조명 시스템 내 소스들로부터의 전압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함수로서 전원으로부터 램프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도시된다. 상기 방법은 402에서 전원이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404에서, 인에이블 상태의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서 수신되고, 406에서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바이어스 조절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408에서, 바이어스 조절기는 제 1 바이어스 전압 및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한다. 410에서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제어기에서 수신되고, 412에서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공급 전압과 함께 전력 스테이지에서 수신된다. 414에서, 제어기는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 스테이지를 제어한다.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동작의 실행 또는 수행 순서는 다르게 지정되지 않으면 필수적이지 않다. 즉, 만약 다르게 지정되지 않으면 동작들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에 개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동작 이전, 다른 동작과 동시에, 또는 다른 동작 후 특정 동작을 실행 또는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측면들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실행 가능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들은 상기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의 임의 수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측면들은 도면들에 도시되고 여기에 기술된 특정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 또는 특정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기능을 가진 다른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측면들의 엘리먼트들을 도입할 때, 관사들 "부정관사", "정관사" 및 "상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리먼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용어들 "포함"은 포함을 의도하고 리스트된 엘리먼트들과 다른 부가적인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측면들을 상세히 기술하여, 변형들 및 변화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측면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변화들이 본 발명의 측면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기 구성들, 제품들, 및 방법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주제가 제한적인 측면이 아닌 도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31)

  1.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기로서,
    상기 안정기는 조명 제어 모듈로부터의 원격 인에이블 신호(remote enable signal)에 응답하고, 상기 안정기는: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전력을 상기 램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스테이지(stage);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energize)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될 때, 상기 제어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안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될 때 상기 전력 스테이지를 인에이블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안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전력 스테이지를 인에이블하는,
    안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은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과 동일한,
    안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약 0 볼트의 디스에이블 상태(disable state) 및 약 12 볼트의 인에이블 상태(enable state)를 가진 디지털 신호이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인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안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영 암페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누설 전류를 유도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안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가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 실질적으로 영 볼트와 동일한,
    안정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high side),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low side),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진 제 1 스위치 ―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1 부분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base current interrupt) 회로를 포함하는,
    안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진 제 2 스위치 ―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2 부분으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 회로를 더 포함하는,
    안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제 1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제 2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전원은 차량 충전 시스템이고, 상기 차량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 및 교류 발전기(alternator)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무관하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캐패시티브 네트워크(capacitive network)를 포함하는,
    안정기.
  11.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함수로서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은 공급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통해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가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기에서 상기 생성된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기는 전력 스테이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함 ― 를 포함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가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은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과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약 0 볼트의 디스에이블 상태 및 약 12 볼트의 인에이블 상태를 가진 디지털 신호이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인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영 암페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누설 전류를 유도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생성된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가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 영 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의 제 1 스위치를 통한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1 부분으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스위치의 로우 측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제 1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의 제 2 스위치를 통한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2 부분으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에 의해 제공된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제 2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제 2 저항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제 1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제 2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전원은 차량 충전 시스템이고, 상기 차량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 및 교류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고;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 및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무관하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의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캐패시티브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원으로부터 램프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21. 입력의 함수로서 광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차량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조명 시스템은:
    수신 전력에 응답하여 광을 제공하기 위한 램프;
    공급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 전원;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의 함수로서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차량 조명 제어 모듈;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램프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안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기는: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전력을 상기 램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스테이지;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상기 제어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상기 전력 스테이지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전력 스테이지를 인에이블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은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과 동일한,
    차량 조명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차량의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제공된 오퍼레이터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는 약 0 볼트의 디스에이블 상태 및 약 12 볼트의 인에이블 상태를 가진 디지털 신호이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인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차량 조명 시스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는 영 암페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누설 전류를 유도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차량 조명 시스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가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 영 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차량 조명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진 제 1 스위치 ―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1 부분으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하이 측,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에 접속된 로우 측, 및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진 제 2 스위치 ―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제 2 부분으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함 ―;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로우 측으로부터 접지로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접지로 저항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베이스 전류 인터럽트 회로를 더 포함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제 1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제 2 듀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차량 전원은 배터리 및 교류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원격 인에이블 신호 상태에 무관하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이어스 제어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 상기 바이어스 조절기 회로의 상기 제 2 부분은 캐패시티브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시스템.
KR1020107006832A 2007-08-29 2008-08-15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24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47,004 2007-08-29
US11/847,004 US7446488B1 (en) 2007-08-29 2007-08-29 Metal halide lamp ballast controlled by remote enable switched bias supply
PCT/US2008/009775 WO2009029174A1 (en) 2007-08-29 2008-08-15 Metal halide lamp ballast controlled by remote enable switched bias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06A true KR20100061706A (ko) 2010-06-08
KR101124000B1 KR101124000B1 (ko) 2012-03-27

Family

ID=3991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4000B1 (ko) 2007-08-29 2008-08-15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46488B1 (ko)
EP (1) EP2183945B1 (ko)
JP (1) JP5044698B2 (ko)
KR (1) KR101124000B1 (ko)
CN (1) CN101690410B (ko)
CA (1) CA2635502C (ko)
TW (1) TWI348431B (ko)
WO (1) WO2009029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4296B2 (en) * 2008-10-28 2012-03-13 Chia Chun Lee Regulating circuitry for automobile light systems
US20120185130A1 (en) * 2011-01-18 2012-07-19 Ekchian Gregory J Vehicle lighting
CN102135771B (zh) * 2011-03-08 2012-12-12 傲视恒安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直流网络电源控制器
CN103152962B (zh) * 2013-03-03 2015-04-01 南安市柳城高捷图文设计工作室 借助继电器实现安定器的交直流混用
JP6566511B2 (ja) * 2015-04-07 2019-08-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点灯回路
RU2695032C1 (ru) * 2018-10-08 2019-07-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РВЭЙ" Система инфракрасного ночного вид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009A (en) * 1978-02-27 1980-12-16 Paul Jon D Electronic ballast
US4298939A (en) * 1978-10-30 1981-11-03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regulated voltage
JPH05347192A (ja) * 1992-06-15 1993-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用高輝度放電ランプ点灯回路装置
IT1261596B (it) * 1993-09-30 1996-05-23 Marelli Autronica Circuito di comando per una lampada a scarica di gas,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CN1114098A (zh) * 1994-06-02 1995-12-27 陈洪成 电子镇流器
JPH08207652A (ja) * 1995-02-08 1996-08-13 Nippondenso Co Ltd 電源回路
DE19520999A1 (de) 1995-06-08 1996-12-12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Wendelvorheizung von Leuchtstofflampen
JPH09167693A (ja) * 1995-12-19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電ランプ点灯装置
DE19708792A1 (de) 1997-03-04 1998-09-10 Tridonic Bauelemen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des in einer Gasentladungslampe auftretenden Gleichrichteffekts
DE19711183A1 (de) 1997-03-18 1998-09-24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Entladungslampe
US6587573B1 (en) * 2000-03-20 2003-07-01 Gente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xterior vehicle lights
ES2167927T3 (es) 1997-07-22 2002-05-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istema de iluminacion con una lampara de descarga de barrera dielectrica y con una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la generacion de secuencias de impulsos de tension.
DE19748007A1 (de) * 1997-10-30 1999-05-12 Tridonic Bauelemente Schnittstelle für ein Lampenbetriebsgerät
DE19923945A1 (de) 1999-05-25 2000-12-28 Tridonic Bauelemente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für mindestens eine Niederdruck-Entladungslampe
JP2001130314A (ja) * 1999-08-20 2001-05-15 Miyata Ind Co Ltd 自転車用照明制御装置
US6181077B1 (en) * 1999-11-04 2001-01-30 Eg&G Ilc Technology, Inc. Safe and reliable power supply for xenon arc lamp
US6362578B1 (en) * 1999-12-23 2002-03-26 Stmicroelectronics, Inc. LED driver circuit and method
GB2384328A (en) * 2002-01-16 2003-07-23 Mitel Knowledge Corp Regulated power supply starting circuit
DE10330117A1 (de) 2003-07-03 2005-01-2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einer Hochdruckentladungslampe
DE10345610A1 (de) 2003-09-29 2005-05-12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Niederdruckentladungslampe
US20050194908A1 (en) * 2004-03-04 2005-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Ceramic metal halide lamp with optimal shape
US7057356B2 (en) 2004-11-10 2006-06-06 Osram Sylvania Inc.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boost circuit
US7211965B2 (en) 2004-11-10 2007-05-01 Osram Sylvania Inc.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current sense resistor
JP2006172784A (ja) * 2004-12-14 2006-06-2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回路
US7187132B2 (en) 2004-12-27 2007-03-06 Osram Sylvania, Inc. Ballast with filament heating control circuit
JP4385966B2 (ja) * 2005-02-22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US7333313B2 (en) 2005-06-15 2008-02-19 Osram Sylvania Inc. Multiplexed temperature sensing circuit for HID lamp ball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90410A (zh) 2010-03-31
TW200920623A (en) 2009-05-16
TWI348431B (en) 2011-09-11
CA2635502C (en) 2018-03-20
CA2635502A1 (en) 2009-02-28
US7446488B1 (en) 2008-11-04
JP5044698B2 (ja) 2012-10-10
EP2183945B1 (en) 2020-06-17
EP2183945A1 (en) 2010-05-12
EP2183945A4 (en) 2014-04-23
WO2009029174A1 (en) 2009-03-05
JP2010537877A (ja) 2010-12-09
CN101690410B (zh) 2013-06-05
KR101124000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6894B2 (ja) 点灯回路
KR101124000B1 (ko) 원격 인에이블 스위칭 바이어스 공급기에 의해 제어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안정기
EP1459599B1 (en) Led driver circuit with pwm output
JP4647674B2 (ja) 点灯回路
US9288871B2 (en) Actuation of a lighting module
WO2006096638A3 (en) Automotive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circuit
JP2010118245A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CN108882438A (zh) 驱动电路、车用灯具
KR20100003202A (ko) 비상 안정기의 오동작 방지 회로
JP4519613B2 (ja) Led点灯装置
EP1236639B1 (en) Dynamo control circuit for a bicycle
US671736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or use in motor vehicle
JP2003178893A (ja) 車両用電源装置
TW201637519A (zh) 開關裝置及開關系統
JP2008131837A (ja) 電源装置
JP2004259582A (ja) ランプ制御回路、およびランプ制御方法
JP2023017175A (ja) 灯具
JP2006147360A (ja) Led点灯装置
JP2008131838A (ja) 電源装置
JP2017199590A (ja) Ledランプ点灯装置
JP2004355887A (ja) ランプ駆動制御装置
JP2008218457A (ja) Led車両用灯具の調光回路
KR20180077796A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JP5446221B2 (ja) 照明システム
JP2006252921A (ja) 放電灯点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