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137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373A
KR20100061373A KR1020090114998A KR20090114998A KR20100061373A KR 20100061373 A KR20100061373 A KR 20100061373A KR 1020090114998 A KR1020090114998 A KR 1020090114998A KR 20090114998 A KR20090114998 A KR 20090114998A KR 20100061373 A KR20100061373 A KR 2010006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mating
contact
sliding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37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단자끼리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방법) 단자 (20) 는, 상대 커넥터 (2) 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그 상대 커넥터 (2) 의 단자인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 가압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접촉부 (21) 를 갖고 있고, 그 접촉부 (21) 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에서 상대 단자 (50) 를 유도하는 유도면 (21A) 과, 그 유도면 (21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대 단자 (50) 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를 갖고,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상기 가압 방향에서 상기 유도면 (21A) 보다 돌출되고,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고 있다.
전기 커넥터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출 때, 전기 커넥터의 단자끼리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혹은 단자의 면에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이물질로는 진애 등을 들 수 있고, 피막으로는 단자의 표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된 산화 피막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 등은 단자끼리의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기 쉽다.
특허 문헌 1 에는,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질 때에, 그 전기 커넥터의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단자인 상대 단자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그 단자와 상대 단자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제거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 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인 플러그 콘택트는 띠 형상의 금속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인 리셉터 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접촉부는 그 리셉터클 콘택트를 향하여 완만하게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와, 그 돌기부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리셉터클 콘택트를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그 돌기부보다 좁은 폭 치수로 하방향을 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突條) 를 이루는 2 개의 볼록부를 갖고 있다. 그 돌기부와 볼록부는 같은 양만큼 돌출되어 있고, 돌출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리셉터클 콘택트는, 띠 형상의 금속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대략 가로 S 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휨부에는, 플러그 콘택트를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과정에서, 리셉터클 콘택트의 접촉 볼록부에 대하여, 먼저, 상기 플러그 콘택트의 돌기부가 그 완만한 곡면에서 상기 접촉 볼록부를 유도하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그 직후에, 2 개의 볼록부가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먼저, 상기 접촉 볼록부와 폭이 넓은 상기 돌기부의 상대 탄성 변위에 기초한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넓은 범위에서 단자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 접촉 볼록부와 상기 2 개의 좁은 볼록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그 볼록부에 있어서의 강한 힘으로 추가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656호
그러나,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촉 볼록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접촉한 후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2 개의 볼록부는, 그 돌기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돌기부와 볼록부는 돌출량이 동일하여 동일 레벨의 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촉 볼록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돌기부로 유도될 때, 그리고 그 후에 볼록부와 슬라이딩 접촉하기 시작할 때, 그 접촉 볼록부가 그 돌기부 그리고 볼록부로 매끄럽게 이행되기 때문에, 이행시에 탄성 변위량이 급격히 증대된다는 경우는 없고, 이 결과, 그 볼록부에 있어서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효과는 별로 크게 얻어지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단자끼리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단자를 갖는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단자는,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그 상대 커넥터의 단자인 상대 단자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 가압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접촉부 를 갖고 있고, 그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에서 상대 단자를 유도하는 유도면과, 그 유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를 갖고, 그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가압 방향에서 상기 유도면보다 돌출되고,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가압 방향에서 유도면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단자는 유도면에 의해 유도된 후, 슬라이딩 접촉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단 (前端) 과 맞닿아 탄성 변위량을 급격히 증대시키고, 이러한 후 그 슬라이딩 접촉부의 정상부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대 단자는 슬라이딩 접촉부의 정상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앞서,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과 큰 접압 (接壓) 으로 맞닿는다. 따라서, 그 전단과의 맞닿음에 의해 이물질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이 각각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대 단자가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과 동시에 맞닿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발생하는 맞닿음시의 충격적 총저항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이 용이해진다.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이,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접촉부의 유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대 단자는, 슬라이딩 접촉부의 테이퍼 형상의 전단으로 안내된 후, 슬라이딩 접촉부의 정상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의 맞닿음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이 더욱 용이해진다.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이 삼각 형상 또는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유도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 슬라이딩 접촉부의 정상부와 상대 단자의 슬라이딩 접촉에 앞서 그 상대 단자를 그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과 큰 접압으로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상대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의 맞닿음에 의해, 단자 사이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커넥터끼리의 접촉 불량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간단히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서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제 단자 (20) 와,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이하, 「단자 배열 방향」이라고 한다) 의 단부 (端部) 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제 고정 금구 (30)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20) 는 2 열로 배열되어 있고, 그 2 열로 배열된 단자 (20) 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 및 커넥터 높이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단자의 열끼리가 대향하는 방향을 「단자 대향 방향」이라고 한다.
하우징 (10) 은, 그 하우징 (10) 의 중앙부에,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1 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는 중앙 오목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중앙 오목부 (11)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부 (12) 및 단자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2 개 측벽부 (12)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벽부 (13) 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그 중앙 오목부 (11) 는,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 (2) 의 중앙 벽부 (42) 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측벽부 (12)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부 (15) 와, 서로 인접하는 그 격벽부 (15)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 (14) 를 갖고 있다. 그 연결 벽부 (14)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단자 (20) 와 동일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벽부 (14) 는, 그 벽면이 격벽부 (15) 보다 단자 (20) 를 수용하는 깊이만큼 몰입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몰입 공간은 단자 (20) 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부 (14A) 를 이루고 있다 (도 3(A) 참조). 그 단자 수용부 (14A) 는, 단자 (20) 의 폭과 거의 같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단자 (20)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단자 수용부 (14A) 에서 커넥터 외방 근처 위치의 부분에, 후술하는 단자 (20) 의 압입부 (23) 가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 압입부 (23) 의 압입시, 그 압입부 (23) 의 양 측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술하는 피유지 돌출부 (23A) 는 상기 단자 수용부 (14A) 의 단자 배열 방향으로 대향하는 내측 벽면인 단자 유지부 (14A-1) 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격벽부 (15) 는,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외방측 부분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양 벽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함몰됨과 함께 커넥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의 바닥면은 상기 압입부 (23) 의 피유지 돌출부 (23A) 를 가압하는 상기 단자 유지부 (14A-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벽부 (13) 는, 단자 대향 방향 양 단부에, 고정 금구 (30) 를 유지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유지 홈부 (13A) 가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유지 홈부 (13A) 내에는, 고정 금구 (30)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도시 생략) 가 커넥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단자 (2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 단자 (20) 는, 띠 형상 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또한 가압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도 2 에 있어서의 상하로 연장되는 접촉부 (21) 와, 그 접촉부 (21) 의 상단으로부터 그 접촉부 (21) 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행부 (22) 와, 그 이행부 (22) 와 연결되고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압입부 (23) 와, 그 압입부 (23) 의 하단으로부터 그 압입부 (23) 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 (21) 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즉, 그 단자 (20)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상하 방향에서 평행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촉부 (21) 및 압입부 (23) 의 상단부를 상기 이행부 (22) 가 연결하여 형성된 부분이 역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그 압입부 (23) 의 하단으로부터 접속부 (24) 가 동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그 압입부 (23) 및 그 접속부 (24) 가 L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형성된 커넥터 (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20) 의 이행부 (22) 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 맞추어진다 (도 3(A) 및 도 3(B) 참조). 즉,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상방이 끼워맞춤 방향 전방이 된다.
상기 접촉부 (21) 는, 역 U 자 형상 부분의 단자 판두께 방향에서의 외측면, 즉 압입부 (23) 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있어서의 상단측으로부터 중간부에 걸친 부분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상대 단자 (50) 를 유도하는 유도면 (21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의 하단측 부분에는, 상기 유도면 (21A) 보다 돌출되고,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상하 방향) 으 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는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가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 (21B-1) 의 위치끼리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일치하고 후단(後端) (21B-2) 의 위치끼리가 동 방향에서 일치하고 있다. 그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그 접촉부 (21) 의 폭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의 폭 치수보다 좁은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또한,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이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 참조).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전단 (21B-1) 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유도면 (21A)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후단 (21B-2) 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유도면 (21A) 과 동일 레벨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압입부 (23)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20) 의 폭 방향 양 단에서 상기 접촉부 (21) 보다 넓은 폭으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유지 돌출부 (23A) 를 갖고 있다. 또한, 그 압입부 (23) 는,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역 U 자 형상 부분의 외측면, 즉 접촉부 (21) 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그 면의 전역에 걸친 오목부로서 피걸림 오목부 (23B) 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피걸림 오목부 (23B) 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단자 (50) 의 걸림부 (51C)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서로 걸 림으로써, 상대 커넥터 (2) 로부터의 커넥터 (1) 의 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 참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형성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접촉부 (21) 가 하우징 (10) 의 중앙 오목부 (11) 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고, 그 접촉부 (21) 에 형성된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그 중앙 오목부 (11) 내방을 향하여 유도면 (21A) 보다 돌출되어 있다 (도 3(A) 도 참조). 또한, 그 단자 (20) 의 압입부 (23) 가 하우징 (10) 의 그 단자 수용부 (14A) 에 있어서의 커넥터 외방 근처 위치의 부분에 압입됨과 함께 피가압 유지되어 있고, 접속부 (24) 가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외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고정 금구 (30) 는, 금속판을 타발 가공하여 제조된다. 그 고정 금구 (30) 는, 역 U 자 형상을 이루는 장착부 (도시 생략) 와, 그 장착부 일방의 다리부 하단으로부터 그 다리부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31)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금구 (3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부 (31) 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외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 (10) 에 대한 그 고정 금구 (30) 의 장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그 고정 금구 (30) 는 필수는 아니다.
커넥터 (1) 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먼저, 단자 (20) 에 있어서의 접촉부 (21), 이행부 (22) 및 압입부 (23) 에 의해 형성된 역 U 자 형상 부분이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접속부 (24) 의 단부가 하우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그 단자 (20) 를 도 1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상방으로부터 그 하우징 (10) 의 단자 수용부 (14A) 에 수용한다. 그 단자 (20) 의 수용시에, 그 단자 (20) 의 압입부 (23) 를 그 단자 수용부 (14A) 의 커넥터 외방 근처 위치의 부분으로 압입한다. 이 결과, 그 압입부 (23) 의 양 측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유지 돌출부 (23A) 가 단자 수용부 (14A) 의 내벽면인 단자 유지부 (14A-1) 에 파고들어, 단자 (20) 는 단자 수용부 (14A)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압입부 (23) 의 압입 과정에서, 접촉부 (21), 이행부 (22) 및 압입부 (23) 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역 U 자 형상 부분에, 그 하개방측으로부터 연결 벽부 (14) 가 진입한다. 단자 (20) 가 단자 수용부 (14A) 내에서 유지된 상태에서, 단자 (20) 의 접촉부 (21) 와 하우징 (10) 의 연결 벽부 (1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 참조).
다음으로, 고정 금구 (30) 의 역 U 자 형상 부분이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고정부 (31) 가 단자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그 고정 금구 (30) 를 도 1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상방으로부터 그 하우징 (10) 의 유지 홈부 (13A) 로 압입한다. 그 고정 금구 (30) 의 압입 과정에서, 유지 홈부 (13A) 내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부 (도시 생략) 가 그 고정 금구의 역 U 자 형상 부분에 그 하개방측으로부터 진입한다. 그리고, 그 압입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역 U 자 형상 부분에 의해 끼워져 가압됨으로써, 고정 금구 (30) 가 유지 홈부 (13A) 내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자 (20) 및 고정 금구 (3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됨으로써,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장착을 고정 금구 (30) 의 장착보다 먼저 실시하기로 했지만, 장착 순서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고정 금구 (30) 의 장착을 단자 (20) 의 장착보다 먼저 실시해도 된다.
도 3(A) 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에 있어서의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B) 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에 있어서의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 도 3(A) 및 도 3(B)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 에 있어서, 커넥터 (1) 는 도 1 에 있어서의 자세를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2) 는, 합성 수지제 하우징 (40) 과, 복수의 금속제 단자 (50) (이하, 「상대 단자 (50)」라고 한다) 와, 복수의 고정 금구 (도시 생략) 를 갖고 있다. 복수의 상대 단자 (50) 는, 도 3(A) 에 있어서 지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상대 단자 (50) 는 2 열로 배열되어 있고,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2 열로 배열된 상대 단자 (50) 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하우징 (40) 은, 단자 배열 방향, 즉 도 3(A) 에 있어서의 지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있다. 그 하우징 (40) 은 도 3(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2 열을 이루는 좌우의 상대 단자 (50) 끼리 사이의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좌측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 하우징 (40) 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도 2 에 있어서의 역 U 자 형상 부분, 즉 도 3(A) 에 있어서의 U 자 형상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수용 오목부 (41) 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2 열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2 개의 수용 오목부 (41) 끼리의 사이, 즉 그 수용 오목부 (41) 의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벽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41) 를 형성하는 내벽면에는, 상대 단자 (50) 의 판두께와 거의 같은 치수의 폭을 갖고 도 3(A)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 몰입되는 수용 홈부 (41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 에 있어서 실선 및 파선으로 도시).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용 홈부 (41A) 는, 중앙 벽부 (42) 의 면에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용 홈부 (41A-1), 하우징 바닥부를 따라 커넥터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용 홈부 (41A-2), 후술하는 단자 유지부 (44) 의 내벽면에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용 홈부 (41A-3) 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로서 U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 (40)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 (41) 의 외벽을 이루는 측벽부 (43) 에, 상대 단자 (50) 를 유지하기 위한 단자 유지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부 (44) 는, 그 벽면이 측벽부 (43) 보다 상대 단자 (50) 를 수용하는 깊이만큼 몰입된 형 상을 이루고 그 몰입 공간을 유지 홈부 (44A) 로 하고 있다. 또한, 몰입 공간으로서 형성된 유지 홈부 (44A) 는, 상대 단자 (50) 의 폭과 거의 같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상대 단자 (50)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후술하는 상대 단자 (50) 의 역 U 자 형상의 피유지부 (51) 가 단자 유지부 (44) 에 압입된다. 압입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부 (44) 가 피유지부 (51) 의 2 개의 다리부에 의해 끼워져 가압된다.
상대 단자 (50) 는, 금속판을 타발 가공하고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3(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가로 S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상대 단자 (50) 의 판면은, 도면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다. 서로 대향하는 상대 단자 (50) 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에 있어서의 좌방측에 위치하는 상대 단자 (50) 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 도면의 우방측에 위치하는 상대 단자 (5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의 좌방측의 상대 단자 (50) 는, 단자 대향 방향의 커넥터 외방 근처 위치에서 하우징 (40) 의 단자 유지부 (44) 를 끼워 가압하는 역 U 자 형상의 피유지부 (51) 와, 내측 수용 홈부 (41A-1) 내에서 그 중앙 벽부 (42) 와의 사이에 단자 대향 방향에서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면서 그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 접촉부 (52) 와, 그 피유지부 (51) 의 2 개의 다리부 중 외측 수용 홈부 (41A-3) 내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단과 상기 대응 접촉부 (52) 의 하단을 연결하고 하측 수용 홈부 (41A-2) 내에서 단자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53) 와, 상기 피유지부 (51) 의 2 개의 다리부 중 수용 홈부 (41A) 밖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단으로부터 단자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 (54) 를 갖고 있다.
상기 피유지부 (51) 는, 역 U 자 형상의 각각의 다리부에 상기 단자 유지부 (44) 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 (51A, 51B) 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수용 홈부 (41A-3) 내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단으로부터는 중앙 벽부 (42) 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51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응 접촉부 (52) 의 하단에는 중앙 벽부 (42) 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부 (52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대응 접촉부 (52) 의 상단에는 단자 유지부 (44)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접촉 돌출부 (52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 (52A) 는, 상대 커넥터 (2) 와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 (1) 를 빼낼 때에,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50) 가 커넥터 빼냄 방향으로 부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1) 를 빼내는 중에 그 커넥터 (1) 가 비집혔을 때, 단자끼리의 마찰에서 기인하여, 상대 단자 (50) 에 있어서의 피유지부 (51) 의 일방의 다리부, 대응 접촉부 (52) 및 연결부 (53) 로 형성되는 U 자 형상 부분이 걸림부 (51C) 근방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수반하여 커넥터 빼냄 방향으로 부상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부상 직후에 스토퍼부 (52) 가 중앙 벽부 (42) 에 맞닿음으로써 그 이상의 부상이 방지된다.
상기 대응 접촉부 (52) 는, 도 3(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을 향하고 중앙 벽부 (42) 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50)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피유지 부 (51) 의 걸림부 (51C) 와 대응 접촉부 (52) 의 접촉 돌출부 (52B) 사이의 단자 대향 방향 거리 (P1) 는,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부 (21) 와 압입부 (23) 사이의 단자 대향 방향 치수 (P2) 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리 (P1) 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20) 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정상부와 압입부 (23) 의 피걸림 오목부 (23B) 의 바닥면 사이의 단자 대향 방향 치수 (P2') 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대 커넥터 (2)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상대 커넥터 (2)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금구 (도시 생략) 를 갖고 있다. 그 고정 금구는, 커넥터 (1) 의 고정 금구 (30) 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그 고정 금구는 필수는 아니다.
상대 커넥터 (2) 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먼저, 피유지부 (51) 의 역 U 자 형상 부분이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접속부 (54) 의 단부가 하우징 (40)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그 상대 단자 (50) 를 도 3(A) 에 있어서의 하우징 (40) 의 상방으로부터 그 하우징 (40) 의 단자 유지부 (44) 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유지부 (51) 의 2 개의 다리부 사이에 단자 유지부 (44) 를 압입한다. 이 결과, 그 피유지부 (51) 의 돌기부 (51A, 51B) 가 그 단자 유지부 (44) 의 외면에 파고듦으로써, 상대 단자 (50) 가 단자 유지부 (44) 에 의해 유지되고 그리고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피유지부 (51) 의 역 U 자 형상 부분의 일방의 다리부, 대응 접촉부 (52) 및 연결부 (53) 로 이루어지는 U 자 형상 부분이 수용 홈부 (41A) 내에 수용됨과 함께, 걸림부 (51C) 및 접촉 돌출부 (52B) 가 그 수용 홈부 (41A) 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으로, 고정 금구 (도시 생략) 를 하우징 (40) 에 장착한다. 그 고정 금구의 장착 요령은 커넥터 (1)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에 대한 고정 금구 (30) 의 장착 요령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상대 단자 (50) 및 고정 금구가 하우징 (40) 에 장착됨으로써, 도 3(A) 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 (2) 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대 단자 (50) 의 장착을 고정 금구의 장착보다 먼저 실시하기로 했지만, 장착 순서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고정 금구의 장착을 상대 단자 (50) 의 장착보다 먼저 실시해도 된다.
이하, 도 3(A), 도 3(B) 및 도 4 에 기초하여,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끼워맞춤에 앞서,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하고, 상대 커넥터 (2) 를 다른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속부 (24) 를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고정 금구 (30) 의 고정부 (31)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50) 의 접속부 (54) 를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고정 금구의 고정부를 그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그 커넥터 (1) 의 중앙 오목부 (11) 가 하방으로 개구된 자세를 유지한 채로, 도 3(A) 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2) 의 상방으로부터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2) 측, 즉 하방을 향하여 끼워 맞춘다. 먼저, 끼워맞춤 동작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에 있어서의 유도면 (21A) 하단의 곡부(曲部) 부분이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의 접촉 돌출부 (52B) 를 유도함과 함께, 그 단자 (20) 의 압입부 (23) 하단의 곡부 부분이 상대 단자 (50) 의 피유지부 (51) 의 걸림부 (51C) 에 맞닿는다.
또한 커넥터 (1) 를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의 접촉 돌출부 (52B) 가 단자 (20) 의 접촉부 (21) 에 의해 중앙 벽부 (42) 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그 대응 접촉부 (52) 가 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 상기 걸림부 (51C) 와 상기 접촉 돌출부 (52B) 사이의 수용 간격이 눌려서 확대된다. 그리고, 도 3(A) 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에서 접촉부 (21), 이행부 (22) 및 압입부 (23) 로 형성되는 U 자 형상 부분이, 상대 단자 (50) 에 있어서 피유지부 (51) 의 다리부, 대응 접촉부 (52) 및 연결부 (53) 로 형성되는 U 자 형상 부분으로의 진입을 개시한다.
또한 커넥터 (1) 를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단자 (20) 의 유도면 (21A) 은 상대 단자 (50) 의 접촉 돌출부 (52B)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대 단자 (50) 의 걸림부 (51C) 는 단자 (20) 의 압입부 (23) 에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슬라이딩 접촉한 후, 그 걸림부 (51C) 의 선단부가 그 압입부 (23) 의 피걸림 오목부 (23B) 내에 들어간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이 진행되면, 상기 접촉 돌출부 (52B) 는 상기 접촉부 (21) 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전단 (21B-1) 으로 안내된 후,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에 올라타서 그 접압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정상부 (21B-3) 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그대로 슬라이딩 접촉한다. 따라서, 단자 (20) 와 그 상대 단자 (50)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기 접촉 돌출부 (52B) 와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정상부 (21B-3) 의 높은 접압에 의한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그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접촉 돌출부 (52B) 의 표면에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그 산화 피막이 깎여 제거된다. 이 결과, 커넥터끼리의 접촉 불량이 양호하게 회피된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이 진행되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2) 의 중앙 벽부 (42) 의 상단 면이 커넥터 (1) 의 중앙 오목부 (11) 의 바닥부에 맞닿음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커넥터 끼워맞춤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대 단자 (50) 의 접촉 돌출부 (52B) 는 단자 (20) 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와 높은 접압으로 접촉되고, 커넥터 (1) 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상대 커넥터 (2) 가 장착된 다른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 도 3(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 (21) 는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연결 벽부 (14) 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완료 상태에서,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 (50) 의 걸림부 (51C) 의 선단은 단자 (20) 의 피걸림 오목부 (23B)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걸림부 (51C) 와 피걸림 오목부 (23B) 의 걸림에 의해, 커넥 터끼리의 부주의한 빠짐이 방지된다.
종래와 같은, 단자의 슬라이딩 접촉부가 접촉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 부분과 동일 레벨의 면 상에 있고 그 전방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이 그 전방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의 접촉 돌출부와 단자의 슬라이딩 접촉부가 슬라이딩 접촉하기 시작할 때, 그 접촉 돌출부가 상기 전방 부분으로부터 그 슬라이딩 접촉부로 매끄럽게 이행되기 때문에 접압은 거의 변하지 않고, 그 대응 접촉부의 탄성 변위량이 급격히 증대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효과는 별로 크게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서는, 단자 (20) 의 접촉부 (21) 의 슬라이딩 접촉부 (21B) 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그 접촉부 (21) 의 유도면 (21A)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단자 (50) 의 대응 접촉부 (52) 의 접촉 돌출부 (52B) 는 유도면 (21A) 에 의해 유도된 후,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전단 (21B-1) 과 맞닿아 탄성 변위량을 급격히 증대시키고, 바꿔 말하면, 접압이 급격히 증대되고, 이러한 후에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정상부 (21B-3) 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즉, 상기 접촉 돌출부 (52B) 는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정상부 (21B-3) 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앞서, 그 슬라이딩 접촉부 (21B) 의 전단 (21B-1) 과 큰 접압으로 맞닿는다. 이 결과, 그 전단 (21B-1) 과의 맞닿음에 의해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을,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유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대 단자의 접촉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으로 안내된 후, 슬라이딩 접촉부의 정상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시한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의 맞닿음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의 위치끼리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이 각각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대 단자의 접촉 돌출부가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과 동시에 맞닿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2 개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전단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이미 서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발생하는 맞닿음시의 충격적 총저항력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이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그 단면 형상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삼각 형상 등, 상대 단자의 접촉 돌출부와 정상부에서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또한, 사다리꼴 등, 상대 단자의 접촉 돌출부와 면에서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 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2 개 형성함으로써 대응 접촉부의 접촉 돌출부와 2 지점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촉부가 1 개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접촉시에 대응 접촉부의 폭 방향에서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는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슬라이딩 접촉부를 3 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이미 서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접촉부의 수가 많은 만큼, 이물질 등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딩 접촉시에 대응 접촉부의 자세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부와 연결 벽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하우징의 연결 벽부가 단자의 접촉부 및 압입부에 의해 단자 대향 방향에서 끼워져 가압되어 있고, 그 접촉부와 연결 벽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커넥터의 단자가 커넥터 외방을 향하여 노출되는 접촉부를 가짐과 함께,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커넥터의 중앙 벽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 돌출부가 형성된 대응 접촉부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단자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A) 가 커넥터 끼워맞춤 전, (B) 가 커넥터 끼워맞춤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단자와 상대 단자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슬라이딩 접촉부의 위치에 있어서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1A : 유도면
2 : 상대 커넥터
21B : 슬라이딩 접촉부
10 : 하우징
21B-1 : 전단
20 : 단자
50 : 상대 단자
21 : 접촉부

Claims (4)

  1.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그 상대 커넥터의 단자인 상대 단자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 가압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접촉부를 갖고 있고,
    그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에서 상대 단자를 유도하는 유도면과, 그 유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를 갖고,
    그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가압 방향에서 상기 유도면보다 돌출되고,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이 각각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접촉부의 유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촉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이 삼각 형상 또는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전기 커넥터.
KR1020090114998A 2008-11-28 2009-11-26 전기 커넥터 Ceased KR20100061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4352 2008-11-28
JP2008304352A JP4804526B2 (ja) 2008-11-28 2008-11-28 電気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07A Division KR101450401B1 (ko) 2008-11-28 2012-11-02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373A true KR20100061373A (ko) 2010-06-07

Family

ID=42223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98A Ceased KR20100061373A (ko) 2008-11-28 2009-11-26 전기 커넥터
KR1020120123707A Active KR101450401B1 (ko) 2008-11-28 2012-11-02 전기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07A Active KR101450401B1 (ko) 2008-11-28 2012-11-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3146B2 (ko)
JP (1) JP4804526B2 (ko)
KR (2) KR20100061373A (ko)
CN (1) CN101752713B (ko)
TW (1) TWI422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833B2 (ja) * 2009-11-09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
JP2012018781A (ja) * 2010-07-07 2012-0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5232202B2 (ja) * 2010-08-03 2013-07-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099276A (ja) * 2010-10-29 2012-05-24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469722B2 (en) * 2011-11-24 2013-06-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405640B1 (ja) * 2012-10-05 2014-0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86027B2 (en) * 2012-10-31 2015-03-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JP5404957B1 (ja) 2013-06-24 2014-02-0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6084133B2 (ja) * 2013-08-08 2017-02-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1595B1 (ja) * 2013-08-20 2014-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5008116A (ja) * 2013-10-28 2015-01-1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60748B2 (ja) 2017-03-07 2021-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909139B2 (ja) * 2017-11-30 2021-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1093444B2 (en) * 2018-07-02 2021-08-17 Weka.IO Ltd. Access redirection in a distributive file system
JP2020123513A (ja) * 2019-01-31 2020-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CN113508046B (zh) * 2019-03-27 2024-03-19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以及车辆用门锁装置的制造方法
US20210408708A1 (en) * 2020-06-26 2021-12-30 I-Pex Inc. Terminal
JP7534164B2 (ja) * 2020-09-11 2024-08-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JP7536659B2 (ja) * 2021-01-05 2024-08-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227A (ja) * 1992-01-13 1993-07-30 Fujikura Ltd 端子金具
JP4841756B2 (ja) * 2001-06-08 2011-12-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JP2004111081A (ja) *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3860823B2 (ja) * 2004-08-19 2006-12-2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4532308B2 (ja) * 2005-02-21 2010-08-25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の接続端子
TW200633315A (en) * 2005-03-01 2006-09-16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al connector
JP3975222B2 (ja) * 2006-06-26 2007-09-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8270085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CN201060970Y (zh) * 2007-06-11 2008-05-14 江苏华富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13130Y (zh) * 2007-09-25 2008-09-1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35832U (en) * 2008-01-18 2008-07-01 Jiangsu Famfull Electronics Co Lt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17A (ko) 2012-11-30
TWI422103B (zh) 2014-01-01
CN101752713A (zh) 2010-06-23
TW201021306A (en) 2010-06-01
CN101752713B (zh) 2013-03-20
KR101450401B1 (ko) 2014-10-14
JP4804526B2 (ja) 2011-11-02
US7993146B2 (en) 2011-08-09
JP2010129445A (ja) 2010-06-10
US20100136841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373A (ko) 전기 커넥터
KR10192111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9088113B2 (en) Connector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46402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1305502B (zh) 安装于电路板上的板对板连接器
KR10205481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2846409A2 (en) Connector
WO2010143520A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5514687B (zh) 电连接器组装体以及插座式连接器
JP2007165194A (ja) コネクタ
KR20150055584A (ko) 전기 커넥터
EP2846414A1 (en) Connector
JP5259658B2 (ja) 電気コネクタ
JP7272011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70032896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JP2021180196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2652901A (zh) 连接器
JP5869346B2 (ja) ホルダ、平型導体付ホルダおよび該平型導体付ホルダ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立体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WO2020129563A1 (ja) コネクタ
JP7287803B2 (ja) コネクタ
JP7643265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6103394A (ja) ワイピング部材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100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220

Appeal identifier: 2012101009406

Request date: 201211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02

Effective date: 201312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102

Decision date: 20131220

Appeal identifier: 2012101009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