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2003A -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 - Google Patents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003A
KR20100022003A KR1020097023405A KR20097023405A KR20100022003A KR 20100022003 A KR20100022003 A KR 20100022003A KR 1020097023405 A KR1020097023405 A KR 1020097023405A KR 20097023405 A KR20097023405 A KR 20097023405A KR 20100022003 A KR20100022003 A KR 2010002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yrrole
methyl
oxo
alkyl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 조 탕
이동 수
얄리 리
레이 쟝
후치앙 쟈오
찌아리앙 양
잉 주
핑얀 비에
광타오 치안
밍강 주
Original Assignee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0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1/00Drugs used in surgical methods, e.g. surgery adjuvants for preventing adhesion or for vitreum sub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docri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besit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로 표기되는 신규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제조방법, 이 유도체 함유 약학 조성물 및 치료제로서의 이러한 유도체들의, 용도, 특히 프로테인 키나제 저해제로서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일반식 (I)의 개개 치환기는 본원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PYRROLO-NITROGENEOUS HETEROCYCLIC DERIVATIVES, THE PREPARATION AND THE PHARMACEUTICAL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이러한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치료제, 특히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 저해제로서 이러한 유도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포성 신호 전달 과정은 세포외 자극이 세포 내부로 전달되고 이어서 다양한 세포성 과정을 조절하는 근본 기전이다. 이러한 신호는 증식, 분화, 세포사멸, 및 이동성을 포함하는 세포내 다양한 물리적 반응을 조절한다. 이러한 세포외 신호들은 파라크린(paracrine), 오토크린(autocrine), 및 엔도크린(endocrine) 인자뿐만 아니라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해성 인자의 형태를 수용한다. 특이적 세포간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서, 성장인자 리간드(growth factor ligans)는 세포외 신호를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로 교통하게 하며, 결국 개개 세포가 세포외 신호에 반응하게 한다. 이러한 신호 전달 과정의 다수는 특이적 프로테인 키나제 및 포스 파타제와 관련된 단백질의 인산화의 가역적 과정을 이용한다.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 PKs)는 단백질의 티로신, 세린 및 쓰레오닌기상의 히드록실기를 인산화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효소인데 반하여, 프로테인 포스파타제(protein phosphatase)는 인산화된 프로테인 기질로부터 인산 기를 가수분해하는 작용을 갖는다. 프로테인 키나제 및 프로테인 포스파타제간의 전환 기능은 신호 전달 과정상의 신호 흐름을 균형잡고 조절한다. 어느 단백질의 인산화 상태는 그 배위, 효소활성 및 세포상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프로테인 키나제 및 프로테인 포스파타제의 상호간 작용을 변형된다. 인산화 공정은 세포 전달 과정, 및 그 과정중의 결국 비정상적인 세포 분화, 형질 전화 및 성장을 초래하는 변이에서 중요한 조절 기전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세포는 그 DNA의 일부가 종양형질 유전자(oncogene)로 형질전환하기 위한 암 발생화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몇몇의 이러한 종양형질 유전자는 성장 인자, 예를 들어, 티로신 카나제(tyrosine kinase)의 수용체인 단백질을 코드화한다. 티로신 키나제는 또한, 다양한 인간 세포로 형질 전환을 초래하는 구조적으로 활성화된 형으로 변이될 수도 있다. 호환적으로, 정상 티로신 키나제 효소의 과발현은 또한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을 초래한다.
프로테인 키나제(PKs)에는 두가지 종류, 프로테인 티로신 키나제 (Protein Tyrosine Kinase; PTKs) 및 세린-쓰레오닌 키나제 (Serine-threonine kinases; STKs)가 존재한다. PTKs는 단백질의 티로신 기를 인산화한다. STKs는 단백질의 세린 또는/및 쓰레오닌 기를 인산화 한다. 티로신 키나제는 수용체-형(receptor- type; 세포외, 세포간 및 세포내 도메인(domain)을 갖는) 뿐만 아니라 비-수용체-형(non-receptor-type; 전부 세포내인)일 수가 있다. PTK 활성의 주요한 측면 중 하나는 세포-표면(cell-surface) 단백질인 성장 인자 수용체(growth factor receptors)와의 관련성이다. PTK 활성을 갖는 성장 인자 수용체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로 알려져 있다. 약 90개의 티로신 키나제가 인체 게놈(genome)에서 동정되었으며, 여기에서 약 60개는 수용체 형이고 약 30개는 비-수용체 형이다. 이들은 이들과 결합하는 성장 인자의 과(families)에 따른 20개의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아-과(subfamilies) 및 10개의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아-과로 구분될 수 있다 (Robinson et al., Oncogene, 2000, 19, pp5548-5557).
상기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RTKs) 과(family)는 (1)EGF, TGFα, Neu 및 erbB 수용체와 같은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EGF 과(family); 인슐린 및 IGF1 수용체와 같은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인슐린 과(insulin family) 및 인슐린-관련 수용체(IRR); (3) 예를 들어 PDGFα및 PDGFβ수용체와 같은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수용체; 줄기세포 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stem cell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SCF RTK-통상적으로 c-kit으로 알려짐), fms-관련 티로신 키나제 3(fms-related tyrosine kinase 3; Flt3)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및 콜로니-자극 인자 1 수용체(colony-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CSF-1R) 티로신 키나제 및 유사체와 같은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를 포함한다. 이들은 세포 성장 및 분화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성장 인자 및 시 토킨(cytokines)의 생산을 이끄는 세포성 신호의 주요한 매개자이다. (Schlessinger and Ullrich, Neuron 1992, 9, 383). 이러한 키나제의 부분적이고 비-제한적인 리스트(list)에는 Abl, ARaf, ATK, ATM, bcr-abl, Blk, BRaf, Brk, Btk, CDK1,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8, CDK9, CHK, AuroraA, AuroraB, AuroraC, cfms, c-fms, c-Kit, c-Met, cRaf1, CSF1R, CSK, c-Src, EGFR, ErbB2, ErbB3, ErbB4, ERK, ERK1, ERK2, Fak, fes, FGFR1, FGFR2, FGFR3, FGFR4, FGFR5, Fgr, FLK-4, Fps, Frk, Fyn, GSK, gsk3a, gsk3b, Hck, Chk, Axl, Pim-1, Plh-1, IGF-lR, IKK, IKK1, IKK2, IKK3, INS-R, Integrin-linked kinase, Jak, JAK1, JAK2, JAK3, JNK, JNK, Lck, Lyn, MEK, MEK1, MEK2, p38, PDGFR, PIK, PKB1, PKB2, PKB3, PKC, PKCa, PKCb, PKCd, PKCe, PKCg, PKC1, PKCm, PKCz, PLK1, Polo-like kinase, PYK2, tie1, tie2, TrkA, TrkB, TrkC, UL13, UL97, VEGF-R1, VEGF-R2, Yes 및 Zap70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테인 키나제들은 알츠하이머(Alzheimer's) (Mandelkow, E. M. et al. FEBS Lett. 1992, 314, 315; Sengupta, A. et al. Mol. Cell. Biochem. 1997, 167,99), 통증 감각(pain sensation) (Yashpal, K. J. Neurosci. 1995, 15, 3263-72),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Badger, J. Pharmn Exp. Ther. 1996, 279, 1453), 소양증 (Dvir, et al. J. Cell Biol. 1991, 113, 857),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 (Tanaka et al, Nature, 1996, 383, 528), 암 (Hunter and Pines, Cell 1994, 79, 573), 동맥경화증 (Hajjar and Pomerantz, FASEB J. 1992, 6, 2933), 혈전증 (Salari, FEBS 1990,263,104), 당뇨병과 같은 대 사성 질환 (Borthwick, A. C.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5,210,738), 신생혈관형성증과 같은 혈관증식성 질환 (Strawn et al. Cancer Res. 1996, 56, 3540; Jackson et al. J. Pharm. Exp. Ther. 1998, 284, 687), 자가면역질환 및 장기이식 거부증 (Bolen and Brugge, Ann. Rev. Immunol. 1997, 15, 371) 바이러스성 (Littler, E. Nature 1992,358,160), 및 진균성 감염 (Lum, R. T. PCT Int Appl., WO 9805335 A1 980212) 과 같은 감염성 질환 등과 같은 중앙신경계(CNS)에서의 목표 타겟(target)으로서 관련되어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TKs 매개 신호 전달은 특이적 성장 인자(리간드)간의 세포외 상호반응으로 시발되어, 수용체 이량체화(receptor dimerization), 내인성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활성 및 인산화의 일시적 자극이 발생한다. 이 결합 부위는 세포간 신호 전달 물질을 위해 창제되고 예를 들어, 세포 분열(증폭)과 같은 적절한 세포 반응 및 세포외 환경에 대한 반응을 촉진시키는 세포질성 신호 물질의 스펙트럼(spectrum)과의 복합체 형성을 초래한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에 대하여, 티로신 인산화 부위는 신호 물질의 SH2 (src 유사성) 도메인(domain)으로서 기능을 함이 또한 알려진 바 있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와 관련된 다수의 세포간 기질이 동정된 바 있다. 여기에는 2개의 주요 군, 즉 (1) 촉매학적 도메인을 갖는 기질 및 (2) 이러한 도메인은 결핍되었으나 어댑터(adaptors)로서 작용하고 촉매학적으로 활성 물질을 수반하는 기질로 대별 가능하다.
수용체 또는 단백질간 및 이러한 기질의 SH2 도메인 사이의 상호 작용 상의 특이성은 상기 인산화된 티로신 기를 즉시 둘러싸는 아미노산 기에 의해 결정된다. SH2 도메인 및 특정 수용체 상의 포스포티로신(phosphotyrosine) 치환기를 둘러 싸는 아미노산 서열 간의 결합 친화력 상의 상이성은 기질 인산화 양상(substrate phosphorylation profiles) 상의 관찰되는 상이성과 일치한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개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기능은 그 발현 양상 및 리간드 이용성뿐만 아니라 특정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하위 신호 전달 경로의 배열에 의해서도 결정되는 것을 제시한다. 따라서, 인산화 과정은 분화 인자 수용체(differentiation factor receptors) 뿐만 아니라 특정 성장 인자 수용체에 의해 순항되는 신호 경로의 선택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조절 단계를 제공한다. 프로테인 티로신 키나제에서의 비정상 발현 또는 변이는 조절불가능한 세포 증식 (예를 들어, 악성 암종 성장) 또는 주요 발달 과정상의 결함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로신 키나제의 이러한 변이 및 과발현된 형태는 백혈병, 유방암, 전립선암, 페의 선암 및 편평세포 암을 포함하는 비-소세포성 페암(NSCLC), 결장, 직장 및 위 암을 포함하는 위장관 암, 방광암, 식도암, 난소암 및 췌장암 등과 같은 통상적인 인체 암에 다량 분포하는 것으로 동정된 바 있다. 추가적인 인체 암 조직에 대해 시험함에 따라, 티로신 키나제의 광범위한 발병 범위 및 관련도가 추가적으로 확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를 들어, EGFR 티로신 키나제는 폐, 두경부, 위장관, 유방, 기도, 난소, 방광, 및 갑상선의 암을 포함한 인체 암에서 변이되고 과발현됨이 밝혀졌다.
하나의 아과(subfamily)는 EGFR(상피 성장 인자), HER2,HER3 및 HER4을 포함하는 "HER" 또는 "Erb"RTKs이다. 이러한 RTKs는 세포외 글리실화 리간드 결합 도메인(extracellular glycosylated ligand binding domain), 세포간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단백질의 티로신 기를 인산화할 수 있는 세포간 세포질성 촉매학적 도메인(intracellular cytoplasm catalytic domain)으로 구성된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효소활성은 수용체의 과발현 또는 리간드-매개 이량체화(ligand-mediated dimerization)로 자극 가능하다. 이종이량체 (heterodimers) 뿐만 아니라 동종 이량체(homodimers)의 생성은 HER2 수용체 과(receptor family)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동종 이량체화 (homodimerization)의 예로는 리간드의 EGF 과(E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알파(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베타 셀룰린(betacellulin), 헤파린-결합 EGF, 및 에피레귤린(epiregulin)을 포함)에 의한 HER1의 이량체화(EGF 수용체)이다. 4개의 HER 수용체 키나제중 이종 이량체화(Heterodimerization) 는 리간드의 헤레굴린(heregulin) 군(또한 뉴로굴린(neuregulin)으로 지칭됨)과의 결합에 의해 촉진가능하다. HER2 및 HER3, 또는 HER3 및 HER4 조합과 관련된 이러한 이종 이량체화(heterodimerization)는 수용체(HER3)의 하나가 효소학적으로 불활성임에도 불구하고 수용체 이량체의 티로신 키나제 활성의 유의적인 자극을 초래한다. HER2의 키나제 활성은 또한 다양한 세포 형에서 수용체 단독의 과발현을 위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 졌다. 수용체 동종이량체 및 이종 이량체의 활성화는 수용체 및 기타 세포간 단백질상의 티로신 기의 인산화를 초래한다. 미세튜블 관련 프로테인 키나제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kinase; MAP kinase)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제 (phosphatidylinositol3-kinase; PI3 kinase) 등과 같은 세포간 신호 경로의 활성화가 뒤따른다. 이러한 경로들의 활성화는 세포 증식 및 세포 사멸의 저해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하나의 RTK 아과(subfamily)는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IR), 인슐린-양 성장 인자 I 수용체 (insulin-like growth factor I receptor; IGF-1R) 및 인슐린 수용체 관련 수용체(insulin receptor related receptor; IRR)을 포함한다. IR 및 IGF-1R는 세포 막을 교차하고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을 포함하는 2개의 전체 세포외 글리코실화 α 서브유니트(subunits) 및 2개의 β 서브유니트의 이종사량체(heterotetramer)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슐린, IGF-I 및 IGF-Ⅱ과 상호반응을 한다.
3번째 RTK 아과(subfamily)는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PDGFR)군으로도 지칭되는데, 여기에는 PDGFRα, PDGFRβ, CSFIR, c-Kit 및 c-fms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용체들은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이 관련되지 않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간섭되는, 면역 글로불린-유사 루프(immunoglobin-like loops)의 다양한 군 및 세포간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글리코실화된 세포외 도메인(glycosylated extracellular domains)으로 구성된다.
PDGFRα 및 PDGFRβ 과 같은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s)도 또한 세포간 티로신 키나제 (transmembrance tyrosine kinase receptors)이다. 상기 리간드와 결합하면, 이들은 동종 이량체(homodimers; PDGF-AA, PDGF-BB) 또는 이종이량체(heterodimers; PDGF-AB)를 생성한다. 이후에 수용체 이량화가 발생하고, 그 티로신 키나제가 활성화된다. 이 현상은 하위 전달 신호를 유발하고 결국 암 성장을 지탱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의 변이는 리간드 결합과 무관한 수용체 활성화를 허용하고 종양형성에 대하여 추진력으로 발현된다. PDGFR를 활성화는 성장인자인 PDGF의 발현이 서로 다른 종양 세포 주, 특히, 유방, 결장, 난소, 전립선 암종(carcinoma), 육종(sarcoma) 및 교모세포종(glioblasomas) 상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종양 중에서, 뇌 종양 및 전립선 암종 (선암 및 골전이증)에서 발견됨이 특히 흥미롭다. 또한 악성 신경 교종(malign gliomes)에서도 흥미로운 데이터를 제공한다.
c-Kit은 PDGF 수용체 과에 속하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이고 이의 리간드인 SCF (줄기세포 인자; stem-cell factor)과의 결합으로 활성화된다. c-Kit의 발현 양상을 예를 들어, 다양한 1차 고형암 페널(panel)에서 연구하였다. c-Kit의 강력한 발현 양상이 특히, 암종, 위장관 기질세포(GIST), 정상교종(seminoma) 및 암양종(carcinoids)에서 발견될 수 있다. [Weber et al., J. Clin. Oncol. 22(14S), 9642 (2004)]. GISTs는 비-상피성 종양(non-epithelial tumors)이다. 위에서 다수 발병하고, 소장에서는 조금, 기도에서는 매우 적게 발생한다. 간, 장막 및 복강으로의 확산도 발견가능하다. GISTS는 장의 자율신경계 일부를 통상 형성하는 장간막 카잘 세포(Interstitial Cajal Cells; ICC)로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보이고 연동성 조절에 참가한다. GISTS의 대부분 (50 내지 80%)은 c-Kit 유전자 변이 로 기인한다. 장에서, c-Kit/CD117에 대해서 염색 양성 반응은 GIST인 것 같다. c-Kit의 변이는 c-Kit 기능이 SCF에 의한 활성화와 무관하게 하고, 높은 세포 분열 비율을 초래하고 게놈성 불안정을 유발가능하다. 또한 비만 세포 종양에서 뿐만 아니라 비만세포종, 수반된 척수증식성 질환 및 색소성 두드러기에서 c-Kit의 변형이 발견 가능하다. c-Kit의 발현 및/또는 변형이 급성 미엘로이드성 빈혈(acute myeloicanemia; AML) 및 악성 림프종(malign lymphomas)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c-Kit 발현은 소세포 기관지 암종(bronchial carcinoma), 정상피종(seminomas), 인체생식세포종양(dysgerminomas), 고환 상피내 신생물(testicular intraepithelial neoplasias), 흑색종(melanomas), 유방 암종(mamma carcinomas),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s), 유잉육종(Ewing sarcoma), 몇몇 연조직 육종(soft part sarcomas) 뿐만 아니라 유두성/모낭성 갑상선 육종(papillary/follicular thyroid carcinoma)에서도 입증가능하다 (Schutte et al., innovartis 3/2001 참조). RET (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 프로토-온코진(proto-oncogene)의 유전성 변이는 예를 들어, 크롬친화성 세포종(pheochromocytoma), 연수 갑상선 암종(medullary thyroid carcinoma) 및 부갑상선 증식증/선종(parathyroid hyperplasia/adenoma)을 유발가능한 다발성 내분비 선종(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 2) 환자에서 발암성이 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Huang et al., Cancer Res. 60, 6223-6 (2000) 참조).
PDGFR 아과(subfamily)와의 유사성 때문에, 후술 군에 가끔 포함되는 또 다른 군은 태아 간 키나제(fetus liver kinase; Flk) 수용체 아과(receptor subfamily)이다. 이러한 군은 키나제 삽입 도메인-수용체 간 키나제(kinase insert domain-receptor fetal liver kinase-1; KDR/FLK-1, VEGFR2), Flk-1R, Flk-4 및 Fms-유사(like) tyrosine kinase 1 (Flt-1)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티로신 키나제 성장 인자 수용체 과(tyrosine kinase growth factor receptor family)의 추가적인 군은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수용체 아군(receptor subgroup)이다. 이 그룹은 4개의 수용체들, FGFR1-4, 7개 리간드, 및 FGF1-7으로 구성된다.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진 않았으나, 상기 수용체들은 티로신 키나제 서열이 관련되지 않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간섭되는, 면역 글로불린-유사 루프(immunoglobin-like loops)의 다양한 군 및 세포간 도메인을 포함하는 글리코실화된 세포외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로신 키나제 성장 인자 수용체 과의 또 다른 군으로는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VEGF) 수용체 아군(subgroup)이고, VEGF는 PDGF와 유사한 이량체 당단백(dimeric glycoprotein)이나 서로 상이한 생물학적 기능 및 생체 내에서 서로 상이한 목표 분자 특이성을 갖는다.
특히, VEGFRs는 신생혈관 형성의 개시를 조절하는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형암이 우수한 혈관 공급, VEGFRs 저해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생혈관형성은 예상되는 결과를 보이는 이러한 고형암의 치료법으로 임상실험 중이다. VEGF는 또한 백혈병 및 임프종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악성 질병으로 진행하는 것과 매우 상관성이 있는 다양한 고형 악성 종양에서 높게 발현된다. VEGFR-2 (KDR) 발현을 갖는 암 질환의 예로는 폐암종(lung carcinomas), 유방암종(breast carcinomas), 비-호치킨스성 림프종(Non Hodgkin's lymphomas), 난소 암종(ovarian carcinoma), 췌장암(pancreatic cancer), 악성 중피종(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및 흑색종(melanoma)들이다. 이의 혈관신생 활성에 부가적으로, VEGFR, VEGF의 리간드는 종양 세포에서 직접적인 후-생존 효과(pro-survival effects)에 의하여 종양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PDGF는 또한 종양 성장을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새로운 혈관 혈성과정인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과도 관련된다. 정상적으로, 신생혈관형성은 배아 발달, 상처 치유, 및 여성 생식 기능의 몇몇 구성요소와 같은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거나 병리학적인 신생혈관형성은 당뇨망박병증, 소양증,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죽종,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및 혈관종을 포함하는 다수의 질병 상태와 관련된다. 신생혈관형성은 내피 세포 성정의 촉진을 통하여 자극된다. 시험관내에서 내피세포 성장 촉진 활성을 갖는 다수의 폴리펩티드들이 산성 및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들(aFGF 및 bFGF) 및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VEGF)을 포함하여 동정되었다. 이의 수용체들의 제한된 발현을 위해, VEGF의 성자인자 활성은 aFGF 및 bFGF의 성자인자 활성과 비교시에 내피세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특이적이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VEGF는 정상 및 병리적 혈관신생형성과 혈관 투과성 모두에 대한 중요한 촉진작용을 나타냄이 밝혀졌다. 이러한 시토킨(cytokine)은 병리학적 혈관신생형성의 특징인 과도한 투과성 및 미성숙된 혈관성 네트워크(network)의 형성을 촉진하는 모세성 튜브(capillary tubes)의 생성을 후속하여 초래하는, 내피세 포 증식, 프로테아제(protease) 발현 및 이동을 유도함으로서 혈관 발아 표현형(vascular sprouting phenotype)을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VEGF 활성의 길항작용은 혈관신생형성 또는 암, 특히 암의 전개를 저해함에 있어서 증가된 혈관 투과성을 수반하는 다수의 질병 상태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FLT3 (fms-like tyrosine kinase)은 타입 III형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type Ill receptor tyrosine kinase; RTK) 과의 하나이다. FLT3 유전자의 비정상적 발현은 특히, 급성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3계통 골수이형성증(trilineage myelodysplasia; AML/TMDS)을 갖는 A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골수이형성증 질병 (myelodysplastic syndrome; MDS)뿐만 아니라 MLL (혼합-계통 백혈병: mixed-lineage leukemia)을 포함한 성인 및 소아에서 발견되어 왔다. FLT3 수용체의 활성 변이체가 급성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고 불량한 예후를 수반하는 환자의 약 35%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공통적인 변이체는 아스파라긴(asparagine) 835에서 포인트 변이(point mutation)을 갖는 환자의 추가의 5-10% 환자에서 막근접 도메인(juxtamembrane domain) 내에서 프레임내 복제(in-frame duplicatio)과 관련된다. 이러한 변이체 모두는 FLT3의 티로신 키나제 활성의 구조적 활성화를 수반하고 리간드가 없이 증식 및 생존 신호를 발생한다. 수용체의 변이형을 발현하는 환자는 치료를 위한 감소된 기회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간 백혈병 및 골수이형성증 질환에서 과활성화된(변이된) FLT3 키나제 활성에 대하여 역할을 위한 축적된 증거이다.
상기 간세포 성장 인자 (HGF) 수용체 (c-MET or HGFR)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RTK)는 증강된 이동성, 침습성 및 전이성을 갖는 종양형성 및 암 발달과정과 관련되는 것으로 다수의 인간 암에서 발견되어 왔다. (Ma, P.C. et al. (2003b). Cancer Metastasis Rev, 22, 309-25; Maulik, G. et al. (2002b). Cytokine Growth Factor Rev, 13, 41-59 참고). c-MET (HGFR)은 소세포성 페암(SCLC)을 포함한 다양한 인체 암에서 과발현 또는 변이과정을 통하여 활성화 가능하다. (Ma, P.C. et al. (2003a). Cancer Res, 63, 6272-6281).
c-MET은 Met 전발암(proto-oncogene)에 의해 코드화가 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이고 간세포 성장 인자(HGF)의 생물학적 효과를 변환시킨다. 다수-세포 증식 및 분열에 기여하는 것은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갖는 막투과성 당단백질(transmembrane glycoprotein)이다. 상기 c-Met 전발암은 병리적 단계, 암 침습, 및 전이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다수의 인체 악성 종양, 특히 갑상선 암에서 과발현된다.
공지의 RTK 아과(subfamilies)의 보다 완전한 리스트는 본원에서 참고로만 인용되는 문헌 (Plowman et al., DN&P 7(6): 334-339 (1994)) 에 개시되어 있다.
PTKs이외에도, 추가적인 세포 효소 과(family)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receptor tyrosine kinases inhibitor; 약어 "CTK")라고 지칭되는 것이다. 현재, 7개 아과(subfamilies)(Src, Frk, Btk, Csk, Abl, Zap70, Fes/Fps, Fak, Jak, Ack 및 LIMK)를 포함하는, 24개 이상의 CTKs가 동정되었다. 현재, CTKs의 Src 아과(subfamily)는 가장 다수의 PTKs로 구성되고 Src, Yes, Fyn, Lyn, Lck, Blk, Hck, Fgr 및 Yrk을 포함한다. 효소의 Src 아과(subfamily)는 종양형성과 연계되어 왔다. CTKs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모든 도를 포함하여 본원에서 참고로만 인용되는 문헌(Bolen, 1993, Oncogen 8: 2025-203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세린/쓰레오닌 키나제(serine/threonine kinases), 또는 CTKs와 유사한 STKs는 STK 형의 적은 수의 수용체 키나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세포간 영역에 주로 분포한다. STKs는 가장 통상적인 세포질성 키나제, 즉, 세포질성 세포기관 및 세포골격보다 세포질의 일부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키나제이다. 시토졸(cytosol)은 세포의 매개성 대사성 및 생합성 활성이 많이 발생하는 세포내의 영역; 예를 들어, 단백질이 리보좀(ribosomes)상에서 합성되는 것은 시토졸 내이다.
암과 같은 과증식성 질병의 추가적인 특징은 정상적인 진핵세포에서 단백질 인산화의 예고된 케스케이드(cascade)와 관련되는 세포주기를 통하여 조절이 진행되는 세포성 경로에 있어서의 손상이다. 신호 전달 기전에 있어서, 단백질 키나제의 몇몇 과(families)들이 세포 주기 케스케이드에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에 있어서, 암 발달을 촉진하는 과도한 세포증식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한 가정 중 2개는 PK 조절이라고 알려진 기능에 관한 것이다. 소위, 악성 세포 성장이 세포 분열 또는 분화를 조절하는 기전 상의 붕괴로 기인한 것이라고 제시되었다. 다수의 전발암 과정의 단백질 산물은 세포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전발암 과정의 단백질 산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세포외 성장인자, 막통과성 성장인자(transmembrane growth factor) PTK 수용체 (RTKs), 세포질성 PTK (cytoplasmic PTKs; CTKs) 및 세포질성 STKs을 포함한다.
항암 세포 증식 활성을 갖는 신규하고 저분자 저해제에 대한 개발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저분자 물질은 하나 이상의 RTKs, CTKs 또는 STKs을 저해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RTKs, CTKs 또는 STKs 매개성, 신생혈관형성 매개성 또는 과증식성 질병을 치료 또는 개선시키는 데 유용할 것이다.
특허 (US-6599902 B2)에 보고된 강력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SU-11248) 및 피롤로폐환된 헤테로환 구조(pyrrolofused heterocycle Formula) (화합물 X)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은 보다 우수한 약물학적 데이터를 갖는 피롤로폐환된 다중-환구조의 아자-헤테로환 유도체(pyrrolofused multiple-membered aza-heterocyclic derivatives)를 구도하고 합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피롤로폐환된 다중-환구조의 아자-헤테로환 유도체의 약물동력학적 양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 구조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의 화합물들은 선행기술에 개시된 기존 화합물과는 명백하게 상이한 구조를 갖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좋은 기능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선행기술에 개시된 기존 화합물과는 명백하게 상이한 구조를 갖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좋은 기능을 나타낸다.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따라서, 선행기술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을 갖는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pyrrolo-nitrogenous heterocyclic
derivatives), 그 호변체(tautomers), 광학이성질체(enantiomers),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s), 라세믹체(racematesor),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대사체(metabolites), 전구체(precursor) 또는 프로드럭(prodrug), (여기에서 상기 호변체는 Z 배위 및 E 배위 포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2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 메틸기, 아릴기(aryl) 및 아르알킬기(aralky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메틸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추가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시클로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 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시클로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아미노알킬기(aminoalkyl),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헤테로시클로 알킬기(heterocyclo alkyl), 카르복실 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 산 에스테르(carboxylic ester)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됨);
단, X가 질소원자인 경우는, R5 은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단, X가 탄소원자인 경우는, R5,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cyano),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z 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3 가 메틸기인 것이다.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 가 수소원자인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A)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3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됨);
단, X 가 질소원자인 경우, R5 는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단, X 가 탄소원자인 경우, R5, R6, R7,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B)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4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 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됨);
단, X 가 질소원자 인 경우, R5 는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단, X 가 탄소원자 인 경우, R5, R6, R7,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임의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표1의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
실시예 번호 구조 명 명
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5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 [3,2-c]아제핀-4-온
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6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 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 피롤로[3,2-c]아제핀-4-온
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7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 (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 아제핀-4-온
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8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 아제핀-4-온
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09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 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 피롤로 [3,2-c]아제핀-4-온
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0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 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 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7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 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2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 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3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 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
1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4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5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6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7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 [3,2-c]아제핀-4-온
1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8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 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5- (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19
5-(2-디에틸아미노-에틸)-2-(6- 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0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2- (4-메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 피롤로[3,2-c]아제핀-4-온
1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1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 히드록시-에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2
N-{5-플루오로-3-[3-메틸-5-(2- 모로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1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3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 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 1H-피롤로[3,2-c]아제핀-4-온
2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4
N-{5-플루오로-3-[3-메틸-5-(2- 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7-일}-포름아미드
2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5
N-{5-플루오로-3-[3-메틸-5-(2- 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2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6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 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3- 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 아제핀-4-온
2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7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 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 피롤로[3,2-c]아제핀-4-온
2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8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 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 피롤로[3,2-c]아제핀-4-온
2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29
5-(2-디메틸아미노-에틸)-2-(5- 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0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 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 포름아미드
2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1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 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2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2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3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 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7-일}-포름아미드
3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4
N-{3-[3-메틸-4-옥소-5-(2-피롤리딘- 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 디히드로-1H- 인돌-5-일}-아세트아미드
3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5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 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3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6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 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7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8
2-[5-(4-메톡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39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 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0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 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1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 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3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2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 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3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3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 아세트아미드
4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4
2-[4-(2,6-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5
5-(2-디메틸아미노-에틸)-2-[4-(3- 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6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7
5-(2-디메틸아미노-에틸)-2-[5- 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8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 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2- 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4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49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 [3,2-c]아제핀-4-온
4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0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 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1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2
3-메틸-2-(2-옥소-5-페닐-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3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 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4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5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 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 아세트아미드
5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6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 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 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 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5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7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 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8
3-메틸-2-(2-옥소-4-피리딘-4-일-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59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0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1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 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2
3-메틸-2-(4-메틸-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3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 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4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
6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5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
6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6
5-(2-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 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7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말레이트
6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8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69
2-[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2- 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0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1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2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3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4
(Z)-2-((5-(2,6-디클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5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6
(R,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7
(R,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 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4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8
(Z)-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 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6,7,8- 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 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5
Figure 112009068885042-PCT00079
2-((Z)-(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R)-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6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0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7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1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2-((6-메톡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2
(S,Z)-2-((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9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3
(S,Z)-2-((5-클로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0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4
(S,Z)-2-((5-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1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5
(S,Z)-2-((4-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2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6
(S,Z)-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3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7
(S,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일반식(I)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를 구조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프로테인 키나제의 촉매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TKs), 비수용체성 프로테인 티로신 키나제(non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s; CTKs) 및 세린-쓰레오닌 프로테인 키나제(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s; STK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원에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말릭산 (m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익산(male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메탄설폰산 (methanesulfonic acid), 황산(sulfu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초산(acetic acid) 및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trifluoroacet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으로 생성되는 염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일반식(I)의 화합물 합성중에서 중간체인 일반식 (IC) 또는 (ID)로 표기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8
Figure 112009068885042-PCT00089
상기 식에서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 메틸기, 아릴기(aryl) 및 아르알킬기(aralky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 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추가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아미노알킬기(aminoalkyl),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카르복실 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 산 에스테르(carboxylic ester)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 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추가로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z 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protein kinase related disorders)으로 고통받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VEGFR-2, EGFR, HER-2, HER-3, HER-4, PDGFR, c-Kit, c-Met, FGFR, 및 Flt3과 관련된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백혈병(leukemias), 당뇨병(diabete), 자가면역증 질환(autoimmune diseases), 증식증(hyperplasias), 소양 증(psoria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신생혈관형성증(angiogenesis), 심혈관계 질병(cardiovascular diseases), 본 헤펠-린도 질병 (von Heppel-Lindau disease),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s), 및 섬유화증(fibrosis)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비-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성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림프종(lymphoma), 갑상선 선종(thyroid adenocarcinoma),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 암(head and neck cancer), 자궁암(uterine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흑색종(melanoma), 방광암(bladder cancer), 방광 및 비뇨기계에서의 암육종(carcinosarcoma), 위장관 암종(gastrointestinal carcinoma), 신경교종(gliomas), 결장암(colorectal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게다가, 포유동물의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나아가, 본 방법은 상기 포유동물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의 택솔(taxol) 또는 카보플라틴(carboplat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암제를 공동-투여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VEGFR-2, EGFR, HER-2, HER-3, HER-4, PDGFR, c-Kit, c-Met, FGFR 및 Flt3과 관련된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호환적으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백혈병(leukemias), 당뇨병(diabete), 자가면역증 질환(autoimmune diseases), 증식증(hyperplasias), 소양증(psoria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류마티스성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신생혈관형성증(angiogenesis), 심혈관계 질병(cardiovascular diseases), 본 헤펠-린도 질병 (von Heppel-Lindau disease),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s), 및 섬유화증(fibrosis)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비-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성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림프종(lymphoma), 갑상선 선종(thyroid adenocarcinoma),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 암(head and neck cancer), 자궁암(uterine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흑색종(melanoma), 방광암(bladder cancer), 방광 및 비뇨기계에서의 암육종(carcinosarcoma), 위장관 암종(gastrointestinal carcinoma), 신경교종(gliomas), 결장암(colorectal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IC)의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구조식(IC-1)의 피롤 메틸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methyl carboxylic diester) 출발물질을 상온에서 초산 존재하에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로 암모늄 세릭 니트레이트(ammonium ceric nitrate)와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수득하는 제 1단계; 및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0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카르브에톡시 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carbethoxy methylene)triphenylphosphorane)과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하에서 위티그 반응( Witting reaction)을 수행하여 하기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복실 산 디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1
하기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복실 산 디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을 상온에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에 의해 환원시켜 하기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수득하는 제 3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2
하기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수성 수산화 리튬 용액에서 가수분해하여 하기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4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3
하기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20 내지 -5 °C 온도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하에서 보란-테트라히드로퓨란 (borane-tertrahydrofuran) 용액으로 환원시켜 하기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수득하는 제 5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4
하기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20 내지 -5°C 온도 및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용매하에서 메실화시켜(mesylating) 하기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6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5
하기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상이한 아민들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7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6
하기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을 환류하에 톨루엔 용매에서 트리메틸 알루미늄(trimethyl aluminmum)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8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7
하기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아르곤 대기하에 30~50°C온도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포름알데히드(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formaldehyde)를 수득하는 제 9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8
.
상기 식에서
R2, R3 및 R4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ID)의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를 아르곤 가스 대기하에서 상온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조건 하에서 그리그나드 시약인 시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cyclopropylmagnesium bromide)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수득하는 제 1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099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메탄올 용매에서 브롬산(hydrobromic acid)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0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상온에서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서 환원시켜 하기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수득하는 제 3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1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환류하에서 디클로로메탄중 상이한 아민으로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수득하는 제 4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2
하기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환류 하에서 톨루엔중 트리에틸 알루미늄과 반응시켜 구조식(ID-4)의 피롤폐환된 8원 아자-헤테로환 알데히드 (pyrrolofused eight-membered aza-heterocyclic aldehyde ID)를 수득하는 제 5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3
상기 식에서
R2, R3 및 R4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일반식 (IC) 또는 (ID)의 옥스인돌(oxindole)을 염기하에서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등과 같은) 하기 일반식 (III)의 알데히드와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12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pyrrolo-nitrogenous heterocyclic derivatives)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4
(IC)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5
(ID)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6
(III)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및 R8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테인 키나제를 발현하는 세포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접촉시키고 세포에 대한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프로테인 키나제 활성을 분별할 수 있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인공 제조한 재조합 프로테인 키나제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접촉시키고 ELISA 방법으로 키나제의 활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프로테인 키나제 활성을 분별할 수 있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
별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원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는 하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알킬기(Alkyl)"는 C1~C20 직쇄 및 가지상 군을 포함한 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methyl), 에틸기(ethyl), 프로필기(propyl), 2-프로필기(2-propyl), n-부틸기(n-butyl), iso-부틸기(iso-butyl), tert-부틸기(tert-butyl), 펜틸기(pentyl) 및 유사체와 같은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중간 크기의 알킬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methyl), 에틸기(ethyl), 프로필기(propyl), 2-프로필기(2-propyl), n-부틸기(n-butyl), iso-부틸기(iso-butyl) 또는 tert-부틸기(tert-butyl) 및 유사체와 같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이다. 상기 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 가능하다. 치환시, 바람직한 치환기(들)로는 할로겐원자(halo), 히드록시기, 저급알콜시기(lower alkoxyl), 아릴기(aryl), 아릴옥시기(aryloxyl),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또는 -NHCO2R10 이다.
"시클로알킬기 (Cycloalkyl)"는 하나 이상의 환이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나 완전하게 공액(conjugated) pi-전자계(electron system)를 갖지는 않는, 3 내지 8 원 모두-탄소원자 구성 단일환(all-carbon monocyclic ring), 모두-탄소원자 구성 5원/6원 또는 6원/6원 융합성 이중환 (all-carbon 5-membered/6-membered or 6-membered/6-membered fused bicyclic ring) 또는 다중 융합환 (multicyclic fused ring) (여기에서 "융합된(fused)" 환계 (ring system)은 각 계(system)의 환이 다른 기타 계의 다른 환과 인접한 탄소쌍을 공유함을 의미함)을 지칭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판(cyclopropane), 시클로부탄(cyclobutane), 시클로펜탄(cyclopentane), 시클로펜텐(cyclopente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시클로헥사디엔(cyclohexadiene), 아다만탄(adamantane), 시클로헵탄(cycloheptane), 시클로헵타트리엔(cycloheptatriene) 및 그 유사체를 들 수있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가능하다. 치환시, 상기 치환기(들)로는 바람직하게는, 저급알킬(lower alkyl), 트리할로 알킬기(trihalo alkyl), 할로기(halo), 히드록시기(hydroxyl), 저급알콕시기(lower alkoxyl), 아릴기(aryl)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aryloxy)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 가능), 6-원 헤테로 아릴기(membered heteroaryl)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 가능한 환내 1 내지 3개 질소원자, 환내 탄소원자를 갖는다), 5-원 헤테로 아릴기(membered heteroaryl)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롤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이종원자를 갖으며,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 가능함), 5원- 또는 6-원 헤테로환 알킬기(membered hetercyclo alkyl)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이종원자를 갖으며, 존재시,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 의로 치환 가능함), 머캅토기(mercapto), 시아노기(cyano), 니트로기(nitro),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이다.
"알케닐기(Alkenyl)" 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원자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상술한 알킬기를 지칭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케닐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의 에테닐(ethenyl), 1-프로페닐(propenyl), 2-프로페닐(propenyl), 1-, 2-, 또는 3-부테닐(butenyl) 및 그 유사체에서 유래된 치환기들이다. 상기 알케닐기는 할로겐 원자(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가능하다.
"알키닐기(Alkynyl)" 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원자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탄소-탄소 3중 결합을 갖는 상술한 알킬기를 지칭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키닐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의 에티닐기(ethynyl), 1-프로피닐기(propynyl), 2-프로피닐기(propynyl), 1-, 2-, or 3-부티닐기(butynyl), 및 그 유사체로부터 유래된 치환기이다. 상기 알키닐기(alkynyl)는 할로겐 원자(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 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가능하다.
"아릴기(Aryl)" 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 환, 즉, 모두-탄소원자(all-carbon) 구성 시클릭 아릴기(cyclic aryl),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융합-환 폴리시클리 아릴기(fused-ring polycyclic aryl)를 포함하는, 완전하게 공액(conjugated) pi-전자계(electron system)를 갖는 방향환을 갖는 치환기를 지칭한다.
상기 아릴기는 할로겐기(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가능하다.
"헤테로아릴기(Heteroaryl)"는 잔존 환 원자가 탄소원자이고, 환 원자로서 O, S, 및 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의 환 이종원자를 갖는 아릴기(aryl)를 지칭한다.
상기 환은 5 또는 6 원환이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헤테로아릴기의 예로는 퓨란(furan), 티오펜(thiophene), 피리딘(pyridine), 피롤(pyrrole), N-알킬 피롤, 피리미딘(pyrimidine), 피라진(pyrazine), 이미다졸(imidazole) 및 그 유사체이다.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할로겐기(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가능하다.
"헤테로환 알킬(Heterocyclo alkyl)" 기는 잔존 환 원자가 탄소원자이고,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S(O)n (n 0 내지 2의 정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갖는 환 내에 갖는 5 내지 9원 단일환(monocyclic) 또는 융합된(fused) 환기를 지칭한다. 상기 환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을 수 있으나, 완전하게 공액(conjugated) pi-전자계(electron system)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는 비치환된 헤테로환 알킬기의 예로는 피롤리딘(pyrrolidine), 피페리딘(piperidine), 피페라진(piperazine), 모르폴린(morpholine), 티오모르폴린(thiomorpholine), 호모피페라진(homopiperazine) 및 그 유사체이다. 상기 헤테로환 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시, 상기 치환기(들)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기(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으로 구 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가능하다.
"히드록시기(Hydroxyl)"는 -OH 기를 지칭한다.
"알콕시(Alkoxyl)기"는 -O-(알킬) 및 -O-(비치환 시클로알킬) 기 모두를 지칭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표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methoxy), 에톡시기(ethoxy), 프로폭시기(propoxy), 부톡시기(butoxy), 시클로프로필옥시기(cyclopropyloxy), 시클로부틸옥시기(cyclobutyloxy), 시클로펜틸옥시기(cyclopentyloxy), 시클로헥실옥시기(cyclohexyloxy)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알콕시기는 임의로 할로겐기(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가능하다.
"할로알콕시(Haloalkoxy)"기는 -O-(할로알킬)기를 지칭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표적인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trifluoromethoxy), 트리브로모메톡시기(tribromoethoxy) 및 그 유사체이다.
"아릴옥시(Aryloxyl)"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O-아릴(aryl) 및 -O-헤테로아릴기(heteroaryl group)를 지칭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표적인 예로는, 페녹시(phenoxy), 피리디닐옥시(pyridinyloxy), 퓨라닐옥시(furanyloxy), 티에닐옥시(thienyloxy), 피리미디닐옥시(pyrimidinyloxy), 피라지닐옥시(pyrazinyloxy) 및 그 유사체,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아릴옥시기는 임의로 할로겐기(halo), 트리할로메틸기(trihalomethyl), 히드록시기(hydroxyl), 니트로기(nitro), 시아노기(cyano), 알콕시기(alkoxyl), 알킬기(alk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carboxylic ester), -OR9, -NR9R10, -COR9, -O[CH2CH2O]rR11, -NR9COR10, -SO2R9 및 -NHCO2R1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가능하다.
"히드록시알킬(Hydroxyalkyl)"기는 -(CH2)nOH기를 지칭한다.
"할로겐원자(Halo)"는 불소(fluoro), 염소(chloro), 브롬(bromo) 또는 요오드 (iodo)기, 바람직하게는, 불소 또는 염소기를 치칭한다.
"트리할로메틸(Trihalomethyl)"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X를 갖는 -CX3 를 지칭한다.
"임의(Optional)" 또는 "임의로(optionally)"는 연속적으로 개시된 이벤트(event) 또는 상황(circumstance)이 발생 또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및 이벤트 또는 상황이 발생 또는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설명(description)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 임의로 알킬기로 치환된 헤테로환(heterocycle)기"은 알킬기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설명은 헤테로환 기가 알킬기로 치환되는 경우 및 헤테로환 기가 알킬기로 치환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설명이다.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원에서 개시한 하나 이상 의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럭과 생리학적/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같은 기타 화학 구성요소와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약학 조성물의 목적은 화합물의 기관으로의 투여를 촉진시키고자 함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합성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을 완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한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적절한 합성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과정에 따라 제조가능하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7
구조식(IC-1)의 피롤 메틸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methyl carboxylic diester) 출발물질을 상온에서 초산 존재하에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로 암모늄 세릭 니트레이트(ammonium ceric nitrate)와 반응시켜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수득하는 제 1단계;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카르브에톡시 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carbethoxy methylene)triphenylphosphorane)과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하에서 위티그 반응(Witting reaction)을 수행하여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복실 산 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 복실 산 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를 상온에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에 의해 환원시켜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수득하는 제 3단계;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실산 에스테르를 수성 수산화 리튬 용액에서 가수분해하여 하기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4단계;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20 내지 -5°C온도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하에서 보란-테트라히드로퓨란 (borane-tertrahydrofuran) 용액으로 환원시켜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수득하는 제 5단계;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20 내지 -5°C 온도 및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용매하에서 메실화시켜(mesylating)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6단계: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상이한 아민들과 반응시켜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을 수득하는 제 7단계: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을 환류하에 톨루엔 용매에서 트리메틸 알루 미늄(trimethyl aluminmum)과 반응시켜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8단계;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아르곤 대기하에 30 내지 50°C온도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구조식(IC)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포름알데히드(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formaldehyde)를 수득하는 제 9단계: 구조식(IC)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포름알데히드를 옥스인돌(oxindole)과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등과 같은 염기하에서 2 내지 12 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켜 일반식 (IA)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유도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derivatives)를 제조하는 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8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를 아르곤 가스 대기하에서 상온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조건 하에서 그리그나드 시약인 시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cyclopropylmagnesium bromide)과 반응시켜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수득하는 제 1단계: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메탄올 용매에서 브롬산(hydrobromic acid)과 반응시켜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상온에서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서 환원시켜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수득하는 제 3단계: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환류하에서 디클로로메탄중 상이한 아민으로 반응시켜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수득하는 제 4단계: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환류 하에서 톨루엔중 트리에틸 알루미늄과 반응시켜 구조식(ID-4)의 피롤폐환된 8원 아자-헤테로환 알데히드 (pyrrolofused eight-membered aza-heterocyclic aldehyde ID)를 수득하는 제 5단계: 구조식(ID)의 피롤폐환된 8원 아자-헤테로환 알데히드를 옥스인돌(oxindole)과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등과 같은 염기하에서 2 내지 12 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켜 일반식 (IB)의 피롤로폐환된 8원 아자-헤테로환 유도체(pyrrolofused eight-membered aza-heterocyclic derivatives)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에서, 일반식 (I)의 이중결합은 Z 배위(configuration(시스체; cis)이고, 이는 NMR 데이터로 확인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피롤 NH 수소원자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는 약 9ppm이나, 상기에서 얻은 화합물의 피롤 NH 수소원자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는 약 14ppm이다. NH 수소원자의 저자장 이동(downfield shift)은 주로 피롤 NH 수소원자 및 인접하는 옥스인돌(oxindole)의 카르보닐기 산소원자 상의 분자내 수소원자 결합 상호작용 때문이며, 이는 국제특허 WO 0160814 호 (Su-11248)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염뿐 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로서의 약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환원하면,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로서의 약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구조식 (I)의 화합물은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고 발현 호모사피엔스 암 세포주 (homo sapiens cancer cell-HUVEC cell)의 증식 및 조합 인간 VEGF-R2의 시험관내 키나제 활성( in vitro kinase activity)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HT-29 인간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므로 프로테인 키나제를 관련 질환인 백혈병(leukemias), 당뇨병(diabete), 자가면역증 질환(autoimmune diseases), 증식증(hyperplasias), 소양증 등의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하기의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는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참고예 1.
화합물들의 구조는 핵자기공명스펙트럼(NMR) 또는 질량 스펙트럼(MS)에 의해 확인되었다. NMR 이동(shift; δ)는 ppp(parte per million)으로 표시되었다. NMR 기기분석은 용매로 중수소로 치환된 용매들, 즉, CDCl3 및 DMSO-D6를 사용하고; 내부 표준물질로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silane; TMS)를 이용하여, 기기(Bruker AVANCE-400)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s)은 ppm으로 표시하여 수행하였다.
MS 측정은 기기 (FINNIGAN LCQAd; ESI)) 질량 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키나제 VEGFR에 대한 저해율의 평균은 HTScan (신호 전달; Cell Signaling)로 결정하였다.
키나제EGFR/HER-2에 대한 저해율의 평균은 NovoStar (BMG LABTECH in Germany)로 결정하였다.
박층 실리카겔(Thin-layer silica gel0은 Yantai Huanghai HSGF254 또는 Qingdao GF254 실리카겔을 사용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은 일반적으로 담체로서 Yantai Huanghai 200~300 메쉬 실리카겔을 사용하였다.
DMSO-D6: 중수소치환 디메틸설폭시드(deutorated dimethyl sulfoxide).
CDCl3: 중수소치환 클로로포름(deutorated chloroform).
실시예 1.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3,2-c]아제핀-4-온
Figure 112009068885042-PCT00109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0
단계 1. 5-포르밀-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3,5-디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 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a (30 g, 0.113 mol)를 30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360 ml 초산 및 300 ml 물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에, 상기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한 부분(portion)의 암모늄 세릭 니트레이트 (246 g, 0.449 몰)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반응 용액 색이 주홍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800 ml 빙수에 부었고, 밝은 황색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또 0.5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진공하에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5-포르밀-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b (31.13 g, 수율 98%)을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82.0[M+1]
단계 2. 5-5-(2-에톡시카보닐-비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포르밀-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b (23 g, 81.7 mmol) 및 (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34.66 g, 99.4 mmol)을 45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상온 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황색 오일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을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혼합물 (V:V=20:1)에 용해시키고, 모래 펀넬 비압축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and funnel decompression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2-에톡시카르보닐-비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c (24 g, 수율 84%)을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52.1[M+1]
단계 3.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2-에톡시카르보닐-비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c (24 g, 68.3 mmol)을 교반하에 무수 에탄올 (18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상 팔라듐 (2.44 g, 10%)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수소 대기하에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활성탄상 팔라듐 제거를 위해 여과하고 소량의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d (23 g, 수율 95%)를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54.40[M+1]
단계 4. 5-(2-카르복시-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d (23.6 g, 66.8 mmol)를 19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90 ml 메탄올을 넣으면서 교반하고, 수성 수산화 리튬 용액 (80 ml, 10 mol/L, 0.8 mol)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 색이 밝은 황색에서 청록색으로 점차적으로 변하였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교반하에서 염산 용액 (2 mol/L)으로 빙수에서 pH를 2로 적정하였다. 백색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5-(2-카르복시-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e (24 g, 수율 98%)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26.1[M+1]
단계 5. 5-(3-히드록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2-카르복시-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 르 4-에틸 에스테르 1e (9.75 g, 30 mmol)을 90 ml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에 교반하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10 내지 -5°C 온도에서 빙-염 욕조에서 상온을 유지하면서, 테트라히드로퓨란중 보란(borane) 용액 (90 ml, 1 mol/L, 90 mmol)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반응을 완료후에, 상기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상승하도록 방치하였고 2-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00 ml 포화 소듐 비카보네이트 용액(sodium bicarbonate solution) 및 100 ml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용해시까지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100 ml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한 후에 감압 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3-히드록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f (9.2 g, 수율 98%)을 밝은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12.3[M+1]
단계 6.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히드록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f (9.20 g, 30 mmol)를 교반하면서 15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약 -10°C 온도에서 빙-염 욕조에서 상온을 유지하면 서, 트리에틸아민 (7.0 ml, 50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후, 혼합물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3.5 ml, 45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잘 혼합하여 교반한 후에, 상기 반응계를 상온까지 상승하도록 방치하고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트리에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희석된 염산 (0.5 mol/L, 80 ml×2) 세척, 과잉 염산을 제거하기 위해 포화 소듐 카보네이트 용액 (80 ml×2) 및 포화 염수 (80 ml) 세척을 마친 후에,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11.4 g, 수율 99%)를 갈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90.5[M+1]
단계 7. 5-[3-(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8.24 g, 21 mmol)을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에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 (15 ml, 100 mmol)에 용해시켰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에 100 ml 에틸아세테이트 및 100 ml 포화 염수를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하고, 층으로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염수 (100 ml×4)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였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3-(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h (8.2 g, 수율 95%)를 무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10.2[M+1]
단계 8.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5-[3-(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h (3.547 g, 8.67 mmol)을 70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톨루엔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5.6 ml, 2 mol/L, 11.27 mmol)df 첨가하고, 더 이상 백색 연기가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4시간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자연적으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을 에탄올(10 ml, 95%)로 정지하고, 무수 에탄올 (60 ml)을 첨가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pad of Celite)로 여과시키고, 무수 에탄올로 세척하고 (200 ml×4)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 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i (0.413 g, 수율 75.7%)를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64.1[M+1]
단계 9.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i (0.413 g, 1.14 mmol)를 교반하에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1.5 ml, 20 mmol)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오일욕조에서 5분간 40°C로 가열하였고, 교반하면서 빙-염에서 -5°C로 냉각시켰으며, 트리에톡시 메탄 (0.34 ml, 1.7 mmol)을 가하고 2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상승하도록 방치하였으며 약 2시간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에 3 ml 빙수 및 10 ml 디클로로메탄을 가하고,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2 mol/L) 으로 pH 11로 적정한 후에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10 ml×3).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에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0.271 g, 수율 55%)를 밝은 갈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92.3[M+1]
단계 10.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0.271 g, 0.93 mmol) 및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0.127 g, 0.84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에 1.4 ml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암소에서 10분간 교반하고, 피페리딘 (0.15 ml, 1.4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오일 욕조에서 약 1.5시간동안 70°C에서 환류반응시켜 다량의 오렌지색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혼합물이 자연적으로 상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여고하고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 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 -1H-피롤로[3,2-c] 아제핀-4-온 1 (0.288 g, 수율 80.76%)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5.3[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0(s, 1H, 피롤-NH), 10.903(s, 1H, 인돌-NH), 7.753~7.782(dd, 1H, -ArH), 7.744(s, 1H, -CH=C), 6.914~6.965(m, 1H, -ArH), 6.834~6.867(m, 1H, -ArH), 3.483~3.518(t, 2H, 7-원 환내-CH2N),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7~2.944(t, 2H, 7-원 환내-CH2C=C), 2.529~2.581(m, 6H, 3×-CH2N), 2.455(s, 3H, 피롤-CH3), 2.040~2.079(m, 2H, 7-원 환내 -CH2), 0.956~0.992(t, 6H, 2×-CH3).
실시예 2.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1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5-클로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 제핀-4-온 2 (27 mg, 수율 60.0%) 을 주홍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41.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3(s, 1H, 피롤-NH), 11.002(s, 1H, 인돌-NH), 7.987~7.991(d, 1H, -ArH), 7.798(s, 1H, -CH=C), 7.132~7.158(dd, 1H, -ArH), 6.867~6.888(d, 1H, -ArH), 3.483~3.518(t, 2H, 7-원 환내-CH2N),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7~2.944(t, 2H, 7-원 환내-CH2C=C), 2.529~2.581(m, 6H, 3×-CH2N), 2.455(s, 3H, 피롤-CH3), 2.040~2.079(m, 2H, 7-원 환내-CH2), 0.956~0.992(t, 6H, 2×-CH3).
실시예 3.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2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3
Step 1
단계 1. (5-플루오로-2,4-디니트로-페닐)-아세트 산의 제조
(3-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3a (31.5 g,0.204 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황산 (64 ml, 98%)에 용해시키고, 약 35°C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질산 (65%-68%) 및 황산 (98%) 혼합물(V:V=1:1, 100 ml)을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후에, 상기 혼합물을 3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에 얼음을 첨가하고 얼음을 제거후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2,4-디니트로-페닐)-아세트산 3b (49 mg)을 밝은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43.5[M-1]
단계 2. (2,4-디아미노-5-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의 제조
(5-플루오로-2,4-디니트로-페닐)-아세트산 3b (10 g, 38.7 mmol)을 교반하면서 150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활성탄상 팔라듐 (1.5 g, 5%)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3 Mpa 수소원자 하에서 수소화(hydrogenated)시켰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2회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2,4-디아미노-5-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3c (7.12 g)을 갈색 고체상을 수득하였다.
단계 3. 5-플루오로-6-아미노-인돌-2-온의 제조
(2,4-디아미노-5-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3c (7.12 g,38.7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염산 (100 ml, 1 mol/L)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1시간 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빙욕조에서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0 ml, 1 mol/L)으로 중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25 ml×4)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6-아미노-인돌-2-온 3d (5.3 g, 수율 82.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65.3[M-1]
단계 4.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6-아미노-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3d (2.26 g, 13.6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40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얻은 용액을 빙수 욕조에서 0°C까지 냉각시켰고, 상기 용액에 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1.5 ml, 13.6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수득된 용액을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1.08 g, 28.5 mmol)을 첨가하고 18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빙수를 넣어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었고 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50 ml ×3).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e (1.67 g, 수율 45%)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75[M+1]
단계 5.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e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 디히드로-인돌- 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61 mg, 수율 62.2%) 을 적갈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48.3[M+1]
1H NMR(400 MHz, DMSO-d6) δ13.416(s, 1H, 피롤-NH), 10.520(s, 1H, 인돌-NH), 7.573~7.602(d, 1H, -ArH), 7.366~7.401(m, 2H, -ArH), 7.350(s, 1H, -CH=C), 7.141~7.185(m, 2H, -ArH), 6.410~6.415(m, 1H, -ArH), 6.038~6.057(d, 1H, -ArH), 4.346~4.361(d, 2H, 아닐린-CH2), 3.466~3.501(t, 2H, 7-원 환내-CH2N),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7~2.944(t, 2H, 7-원 환내-CH2C=C), 2.529~2.581(m, 6H, 3×-CH2N), 2.388(s, 3H, 피롤-CH3), 2.011~2.039(m, 2H, 7-원 환내-CH2), 0.967~1.063(t, 6H, 2×-CH3).
실시예 4.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4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5
단계 1.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a (1.5 g, 0.01 mol)을 교반하에 15 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N-브로모숙시니미드(bromosuccinimide; 1.8 g, 0.01 mol)를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교반하여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b (2 g, 수율 87%)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28.3[M-1]
단계 2.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 발물질로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b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55 mg, 수율 61.1%)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03.6[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3(s, 1H, 피롤-NH), 11.181(s, 1H, 인돌-NH), 7.848~7.876(dd, 1H, -ArH), 7.794(s, 1H, -CH=C), 7.242~7.270(dd, 1H, -ArH), 3.485~3.520(t, 2H, 7-원 환내-CH2N), 3.338~3.366(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2~2.969(t, 2H, 7-원 환내-CH2C=C), 2.527~2.582(m, 6H, 3×-CH2N), 2.470(s, 3H, 피롤-CH3), 2.031~2.093(m, 2H, 7-원 환내-CH2), 0.954~0.990(t, 6H, 2×-CH3).
실시예 5.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6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 (59 mg, 수율 67.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5.5 [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0(s, 1H, 피롤-NH), 11.008(s, 1H, 인돌-NH), 8.113~8.117(d, 1H, -ArH), 7.803(s, 1H, -CH=C), 7.260~7.286(dd, 1H, -ArH), 6.825~6.845(d, 1H, -ArH), 3.482~3.516(t, 2H, 7-원 환내-CH2N),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7~2.944(t, 2H, 7-원 환내-CH2C=C), 2.490~2.578(m, 6H, 3×-CH2N), 2.464(s, 3H, 피롤-CH3), 2.039~2.067(m, 2H, 7-원 환내-CH2), 0.954~0.990(t, 6H, 2×-CH3).
실시예 6.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7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8
단계 1.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의 제조
4-브로모-1H-인돌 6a (29.4 g, 150 mmol)을 교반하면서 600 ml 디메틸설폭시드에서 용해시키고, 연속적으로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bis(pinacolato)diboron; 41.9 g, 165 mmol), 포타슘 아세테이트(potassium acetate; 44.1 g, 450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 듐 [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dichloropalladium; 3.6 g, 4.8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80°C 온도에서 2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에 물 (2 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 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염수(2 L×5)로 세척,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건조제 제거를 위한 여과 및 감암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재결정을 수행하여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 (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1H-indole 6b; 20 g, 수율 60%)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43.9[M+1]
단계 2. 4-(2,3-디플루오로-페닐)-1H-인돌의 제조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 6b (1.22 g, 5 mmol)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교반하면서 2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1-브로모-2,3-디플루오로-벤젠 (0.97 g, 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tetrakis (triphenylphosphine)palladium; 0.17 g, 0.15 mmol) 및 수산화 나트륨 용액(7 ml, 2 mol/L) 을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반응계를 하룻밤동안 오일 욕조에서 7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켰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10 ml)로 세척,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건조제 제거를 위한 여과 및 감압농축을 수행하였다. 잔사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2,3디플루오로-페닐)-1H-인돌 6c (800 mg, 수율 70%)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28.4[M-1]
단계 3.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4-(2,3-디플루오로-페닐)-1H-인돌 6c (744 mg, 3.25 mmol)을 교반하에 12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연속적으로 tert-부탄올 (21 ml), 빙초산 (6.4 ml) 및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pyridinium tribromide; 3.12 g, 9.7 mmol)을 사온에서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반응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고, 빙초산 (16 ml) 및 아연 더스트(zinc dust; 1.1 g, 16.25 mmol)을 첨가하고, 추가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였다.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 (30 ml)를 넣고, 연속적으로 물 (10 ml), 포화 소듐 비카보네이트 용액 (10 ml) 및 포화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건조제 제거를 위하여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 (780 mg, 수율 9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46.6[M+1]
단계 4.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 (43 mg, 수율 61.4%)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9.6[M+1]
1H NMR(400 MHz, DMSO-d6) δ13.531(s, 1H, 피롤-NH), 11.133(s, 1H, 인돌-NH), 7.617~7.640(m, 1H, -ArH), 7.429~7.442(m, 1H, -ArH), 7.305~7.340(m, 1H, -ArH), 7.232~7.270(m, 1H, -ArH), 6.997~7.017(d, 1H, -ArH), 6.874~6.893(d, 1H, -ArH), 6.710(s, 1H, -CH=C), 3.445~3.478(t, 2H, 7-원 환 내-CH2N), 3.313(m,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68~3.904(t, 2H, 7-원 환 내-CH2C=C), 2.465~2.542(m, 6H, 3×-CH2N), 2.002~2.032(m, 2H, 7-원 환 내-CH2), 1.794 (s, 3H, 피롤-CH3), 0.930~0.965(t, 6H, 2×-CH3).
실시예 7.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19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0
단계 1.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6-아미드-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3d (2.028 g, 12.2 mmol)을 교 반하에 30 ml 테르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1.3 ml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계를 드라이 아이스-에탄올 욕조(dry ice-ethanol bath)에서 약 -50°C로 냉각시켰다. 테트라히드로퓨란(20 ml) 중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methoxy-acetyl chloride; 1.35 g, 12.5 mmol)를 상기 반응계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아이스-에탄올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상승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결과 고체상을 물 (10 mL×3)로 세척하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 (1.18 mg, 수율 40.6%)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39.3[M+1]
단계 2.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 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 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37 mg, 수율 53.6%)을 갈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2.5[M+1]
1H NMR(400 MHz, DMSO-d6) δ13.605(s, 1H, 피롤-NH), 10.893(s, 1H, 인돌-NH), 9.320(s, 1H, 아미드-NH),7.838~7.866(d, 1H, -ArH), 7.350(s, 1H, -CH=C), 7.540~7.556(d, 1H, -ArH), 4.064(s, 2H, -CH2O), 3.483~3.517(t, 2H, 7-원 환내-CH2N), 3.336~3.362(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14(s, 3H, -CH3O), 2.902~2.939(t, 2H, 7-원 환내-CH2C=C), 2.530~2.562(m, 6H, 3×-CH2N), 2.444(s, 3H, 피롤-CH3), 2.037~2.066(m, 2H, 7-원 환내-CH2), 0.958~0.993 (t, 6H, 2×-CH3).
실시예 8.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1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2
단계 1. 아세트 산 1-(5-플로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바모일)-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플루오로-6-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d (450 mg, 2.71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dry ice-acetone)욕조에서 -45°C까지 냉각시키고 364 μl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중 초산 1-클로로카르보닐-에틸 에스테르 (423 mg, 2.71 mmol)를 상기 반응계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드라이 아이스-아세톤(dry ice-acetone)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상승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물로 세척하고 얻어진 고체를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아세트 산 1-(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바모일)-에틸 에스테르 8a (840 mg)를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도록 백색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81.5[M+1]
단계 2.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아세트산 1-(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르바모일)-에틸 에스테르 8a (1.86 g, 6.4 mmol)을 교반하면서 20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 ml 물 및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 ml, 0.7 mol/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염산으로(1 mol/L) 중화시키고 감압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건조하여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8b (1.0 g, 수율 70%)을 백색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39.6 [M+1]
단계 3.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 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8b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 프로피온아미드 8 (28 mg, 수율 40.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2.4[M+1]
1H NMR(400 MHz, DMSO-d6) δ13.594(s, 1H, 피롤-NH), 10.902(s, 1H, 인돌-NH), 9.245(s, 1H, amide-NH), 7.856~7.884(d, 1H, -ArH), 7.725~7.741(d, 1H, -ArH), 7.663(s, 1H, -CH=C), 6.057~6.070(d, 1H, -ArH), 4.206~4.236(q, 1H, -CHO), 3.480~3.514(t, 2H, 7-원 환내 -CH2N), 3.336~3.362(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2~2.939(t, 2H, 7-원 환내-CH2C=C), 2.530~2.562(m, 6H, 3×-CH2N), 2.443(s, 3H, 피롤-CH3), 2.037~2.066(m, 2H, 7-원 환내-CH2), 1.328~1.345(d, 3H, -CH3), 0.958~0.993 (t, 6H, 2×-CH3).
실시예 9.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3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4
단계 1. 아세트산 1-(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르바모일)-1-메틸-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플루오로-6-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d (410 mg, 2.47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dry ice-acetone) 욕조에서 -45°C까지 냉각시키고 322 μl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중 초산 1-클로로카르보닐-에틸 에스테 르 (423 mg, 2.71 mmol)를 상기 반응계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드라이 아이스-아세톤(dry ice-acetone)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상승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물로 세척하고 얻어진 고체를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아세트산 1-(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바모일)-1-메틸-에틸 에스테르 9a (792 mg)를 다음단계에서 바로 사용하도록 백색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93.7[M-1]
단계 2.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1-(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바모일)-1-메틸-에틸 에스테르 9a(2.035 g, 6.9 mmol) 을 교반하면서 20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산화 나트륨 용액 (20 ml, 0.7 mol/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염산으로(1 mol/L) 중화시키고 감압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건조하여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 9b (900 mg, 수율 59.2%)을 백색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53.6[M+1]
단계 3.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 9b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아미드 9 (39 mg, 수율 62.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6.4 [M+1]
1H NMR(400 MHz, DMSO-d6) δ13.591(s, 1H, 피롤-NH), 10.900(s, 1H, 인돌 -NH), 9.284(s, 1H, 아미드-NH), 7.862~7.890(d, 1H, -ArH), 7.774 ~ 7.791(d, 1H, -ArH), 7.661(s, 1H, -CH=C), 6.052(s, 1H, -OH), 3.480 ~ 3.514(t, 2H, 7-원 환내-CH2N), 3.334~3.361(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2 ~ 2.939 (t, 2H, 7-원 환내-CH2C=C), 2.530~2.562(m, 6H, 3×-CH2N), 2.443 (s, 3H, 피롤-CH3), 2.037~2.066(m, 2H, 7-원 환내-CH2), 1.377(s, 6H, 2×-CH3), 0.958~0.993 (t, 6H, 2×-CH3).
실시예 10.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5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6
단계 1. 3-메틸-5-[3-(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수득한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5.812 g, 15 mmol) 및 2-모르폴린-4-일-에틸아민 (10.725 g, 82.5 mmol)을 수욕조에서 30°C에서 용해시키고 5.5 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 및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5분간 교반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 (100 ml×4)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제거를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메틸-5-[3-(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0a (2.238 g, 수율 87%)을 밝은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4.9[M+1]
단계 2.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3-메틸-5-[3-(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0a (2.238 g, 5.29 mmol)를 교반하면서 50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톨루엔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용액 (3.9 ml, 2 mol/L, 7.9 mmol)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계를 백색연기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30분간 교반하고, 오일 욕조에서 추가로 3시간동안 환류반응시켰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오일 욕조 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소량의 물로 반응을 정지하고, 수산화 나트륨 용액(2 mol/L)으로 적정하고 포화 염수 (50 ml)로 세척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50 ml×3).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b (1.218 g, 수율 61%)을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78.2[M+1]
단계 3.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b (725 mg, 1.92 mmol)을 교반하면서 빙수 욕조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2.6 ml, 34.2 mmol)으로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분간 수욕조에서 40°C에서 교반하였고, 트리에톡시 메탄 (triethoxy methane; 0.42 ml, 2.5 mmol) 일부를 빙수 욕조에서 -5°C에서 첨가하였고, 2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상기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 이르도록 방치하여 갈색으로 변하였고 추가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소량의 물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희석된 수산화 나트륨 용액 (2 mol/L)으로 pH 8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탄 (5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 축하여 적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클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3-methyl-5-(2-morpholin-4-yl-ethyl)-4-oxo-1,4,5,6,7,8-hexahydro-pyrrolo[3,2-c]azepine-2-carbaldehyde) 10c(240 mg, 수율 40%)을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06.3[M+1]
단계 4.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0c (53 mg, 0.174 mmol) 및 5-클로로-1,3-디히드로- 인돌-2-온 (29 g, 0.84 mmol)을 교반하면서 0.9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0.1 ml, 1.0 mmol)을 상기 용액에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오일 욕조상에서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면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0 (30 g, 수율 38%) 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5.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82(s, 1H, 피롤-NH), 11.009(s, 1H, 인돌-NH), 7.992~7.997(d, 1H, -ArH), 7.804(s, 1H, -CH=C), 7.138~7.164(dd, 1H, -ArH), 6.873~6.894(d, 1H, -ArH), 3.572~3.583(m, 6H, N 7-원환 -CH2, 2×-CH2O), 3.346~3.360(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8~2.974(t, 2H, -CH2C=C), 2.463(s, 3H, 피롤-CH3), 2.438~2.510(m, 6H, 2×-CH2N), 2.054~2.083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11.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7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 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1 (29 mg, 수율 51.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9.3[M+1]
1H NMR(400 MHz, DMSO-d6) δ13.727(s, 1H, 피롤-NH), 10.908(s, 1H, 인돌-NH), 7.756~7.785(dd, 1H, -ArH), 7.746(s, 1H, -CH=C), 6.917~6.968(m, 1H, -ArH), 6.838~6.871(m, 1H, -ArH), 3.571~3.600 (m, 6H, N 7-원 환-CH2, 2×-CH2O), 3.344~3.371(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4~2.971(t, 2H, -CH2C=C), 2.454(s, 3H, 피롤-CH3), 2.438~2.510(m, 6H, 2×-CH2N), 2.053~2.082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12.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8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6의 단계 3에서 수득한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2 (20 mg, 수율 29%)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33.3 [M+1]
1H NMR(400 MHz, DMSO-d6) δ13.546(s, 1H, 피롤-NH), 11.135(s, 1H, 인돌-NH), 7.598~7.662(m, 1H, -ArH), 7.409~7.461(m, 1H, -ArH), 7.306~7.343(m, 1H, -ArH), 7.234~7.273(m, 1H, -ArH), 6.700~7.019(d, 1H, -ArH), 6.875~6.894(d, 1H, -ArH), 6.712(s, 1H, -CH=C), 3.547~3.560(m, 6H, N 7-원 환-CH2, 2×-CH2O), 3.295~3.310(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97~2.933(t, 2H, -CH2C=C), 2.410~2.510(m, 6H, 2×-CH2N), 1.999~2.061 (m, 2H, 7-원 환내-CH2), 1.794(s, 3H, 피롤-CH3).
실시예 13.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2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4-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3 (30 mg, 수율 45.5%) 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85.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34(s, 1H, 피롤-NH), 11.184(s, 1H, 인돌-NH), 8.589(s, 1H, -CH=C), 7.220~7.240(d, 1H, -ArH), 7.056~7.096(m, 1H, -ArH), 6.938~6.957(d, 1H, -ArH), 3.491~3.524(t, 2H, 7-원 환내-CH2N), 3.346~3.373(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0~2.966(t, 2H, 7-원 환내-CH2C=C), 2.508~2.569(m, 6H, 3×-CH2N), 2.412(s, 3H, 피롤-CH3), 2.030~2.095(m, 2H, 7-원 환내-CH2), 0.959~0.994(t, 6H, 2×-CH3).
실시예 14.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0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4 (23 mg, 수율 33.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6.2[M+1]
1H NMR(400 MHz, DMSO-d6) δ13.472(s, 1H, 피롤-NH), 11.636(s, 1H, 인돌-NH), 8.487(s, 1H, 피리딘-CH), 8.116(s, 1H, 피리딘-CH), 7.889(s, 1H, -CH=C), 3.505(t, 2H, 7-원 환내-CH2N), 3.35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0~2.966(t, 2H, 7-원 환내-CH2C=C), 2.508~2.569(m, 6H, 3×-CH2N), 2.472(s, 3H, 피롤-CH3), 2.030~2.095(m, 2H, 7-원 환내-CH2), 0.959~0.994(t, 6H, 2×-CH3).
실시예 15.
5-(2-디에틸아미노-에틸)-2-(6-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1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6-메톡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에틸아미노-에틸)-2-(6-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5 (31 mg, 수율 52.7%) 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7.4[M+1]
1H NMR(400 MHz, DMSO-d6) δ13.466(s, 1H, 피롤-NH), 10.852(s, 1H, 인돌-NH), 7.670~7.691(d, 1H, -ArH), 7.496(s, 1H, -CH=C), 6.575~6.596(d, 1H, -ArH), 6.463(s, 1H, -ArH), 3.769((s, 3H, -CH3), 3.477~3.510(t, 2H, 7-원 환내-CH2N), 3.316~3.347(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88~2.924(t, 2H, 7-원 환내-CH2C=C), 2.489~2.573(m, 6H, 3×-CH2N), 2.416(s, 3H, 피롤-CH3), 2.030~2.095(m, 2H, 7-원 환내-CH2), 0.954~0.982(t, 6H, 2×-CH3).
실시예 16.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2-(4-메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4-메틸-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2-(4-메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6 (25 mg, 수율 44.1%)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1.5[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0(s, 1H, 피롤-NH), 10.927(s, 1H, 인돌- NH), 7.566(s, 1H, -CH=C), 7.034~7.072(m, 1H, -ArH), 6.768~6.835(dd, 2H, -ArH), 3.483~3.517(t, 2H, 7-원 환내-CH2N), 3.339~3.366(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9~2.946(t, 2H, 7-원 환내-CH2C=C), 2.489~2.573(m, 6H, 3×-CH2N), 2.590(s, 3H, 벤젠-CH3), 2.386(s, 3H, 피롤-CH3), 2.041~2.069(m, 2H, 7-원 환내-CH2), 0.956~0.991(t, 6H, 2×-CH3).
실시예 17.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히드록시-에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3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4-(2-히드록시-에틸)-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에틸아미노-에틸)-2-[4-(2-히 드록시-에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 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7 (18 mg, 수율 29.5%)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1.5 [M+1]
1H NMR(400 MHz, DMSO-d6) δ13.722(s, 1H, 피롤-NH), 10.924(s, 1H, 인돌-NH), 7.652(s, 1H, -CH=C), 7.045~7.065(m, 1H, -ArH), 6.772~6.847(dd, 2H, -ArH), 4.871(s, 1H, -OH), 3.726~3.73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O), 3.486~3.502(t, 2H, 7-원 환내-CH2N), 3.342~3.556(t, 2H, -CH2), 3.095(t, 2H, 벤젠-CH2), 2.910~2.946(t, 2H, 7-원 환내-CH2C=C), 2.504~2.566(m, 6H, 3×-CH2N), 2.398(s, 3H, 피롤-CH3), 2.092(m, 2H, 7-원 환내-CH2), 0.957~0.993(t, 6H, 2×-CH3).
실시예 18.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4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 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18 (47 mg, 수율 60%)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6.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08(s, 1H, 피롤-NH), 10.884(s, 1H, 인돌-NH), 9.308(s, 1H, -NHCO), 7.827~7.854(d, 1H, -ArH), 7.659(s, 1H, -CH=C), 7.534~7.550(d, 1H, -ArH), 4.056(s, 2H, -CH2O), 3.561~3.571(m, 6H, N 7-원 환-CH2, 2×-CH2O), 3.397(s, 3H, -CH3O), 3.331~3.34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8~2.954(t, 2H, -CH2C=C), 2.432(s, 3H, 피롤-CH3), 2.431~2.500(m, 6H, 2×-CH2N), 2.040~2.067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19.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5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3의 단계 4에서 수득한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e 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9 (57 mg, 수율 69%) 을 양홍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6.1[M+1]
1H NMR(400 MHz, DMSO-d6) δ13.423 (s, 1H, 피롤-NH), 10.515(s, 1H, 인돌-NH), 7.565~7.595(d, 1H, -ArH), 7.359~7.394(m, 2H, -ArH), 7.343(s, 1H, -CH=C), 7.134~7.177(m, 1H, -ArH), 6.404(m, 1H, -NH), 6.032 ~ 3.051(d, 1H, -ArH), 4.399~4.353(d, 2H, 아닐린-CH2), 3.544~3.555 (m, 6H, N 7-원 환-CH2, 2×-CH2O), 3.310~3.326(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70~2.906(t, 2H, -CH2C=C), 2.378(s, 3H, 피롤-CH3), 2.416~2.500(m, 6H, 2×-CH2N), 2.014~2.041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20.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 포름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6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7
단계 1. 5-플루오로-7-니트로 -인돌-2-온의 제조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a (5.0 g, 33 mmol)을 -5°C에서 교반하면서 황산 (17.6 ml, 98%)에 용해하고, 0°C 이하 온도를 유지하면서 질산 (2.1 ml, 65%-68%)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해빙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를 물로 3회 세척하고, 생성된 고체를 재결정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7-니트로-인돌-2-온 20a (4.0 g, 수율 62.5%)을 오렌지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96.3[M+1]
단계 2. 7-아미노-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5-플루오로-7-니트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a (4.0 g, 20 mmol)을 교반하에 200 ml 초산에 용해시켰고, 상온에서 활성탄 상 팔라듐 (1.0 g, 5%)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계는 수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7-아미노-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b (3.2 g, 수율 97.5%)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67.4[M+1]
단계 3. 5-플루오로-7-포름아미도- 인돌-2-온의 제조
무수초산 (0.8 ml) 및 포름산 (0.6 ml) 혼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상기 혼합물에 30 ml 테트라리드로퓨란 중 7-아미노-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b (2.0 g, 12 mmol)을 첨가하고, 피리딘 (0.02 ml)을 첨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침전물이 생성될 때까지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조 산물(crude product; 1.95 g)을 얻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7-포름아미도- 인돌-2-온 20c (700 mg, 수율 30.4%)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95.1[M+1]
단계 4.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 20c 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 20 (37 mg, 수율 52%)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0.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5 (s, 1H, 피롤-NH), 10.424(s, 1H, 인돌-NH), 9.801(s, 1H, -NHCO), 8.330(s, 1H, -CHO), 7.757(s, 1H, -CH=C), 7.610 ~ 7.633(d, 1H, -ArH), 7.428 ~ 7.461(dd, 1H, -ArH), 3.562~3.592 (m, 6H, N 7-원 환-CH2, 2×-CH2O), 3.331~3.34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35~2.971(t, 2H, -CH2C=C), 2.451(s, 3H, 피롤-CH3), 2.431~2.500(m, 6H, 2×-CH2N), 2.046~2.074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21.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8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보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8b 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21 (44 mg, 수율 5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6.1[M+1]
1H NMR(400 MHz, DMSO-d6) δ13.599(s, 1H, 피롤-NH), 10.895(s, 1H, 인돌-NH), 9.236(s, 1H, -NHCO), 7.846~7.874(d, 1H, -ArH), 7.718~7.734(d, 1H, -ArH), 7.663(s, 1H, -CH=C), 6.051~6.064(d, 1H, -OH), 4.199~4.229(t, 1H, -CHO), 3.560~3.586(m, 6H, N 7-원 환-CH2, 2×-CH2O), 3.331~3.34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8~2.954(t, 2H, -CH2C=C), 2.456(s, 3H, 피롤-CH3), 2.431~2.500(m, 6H, 2×-CH2N), 2.048~2.077 (m, 2H, 7-원 환내-CH2), 1.321~1.338(d, 2H, -CH3).
실시예 22.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3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0c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피롤로[2,3-b]피리딘-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2 (59 mg, 수율 60%)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00.0[M+1]
1H NMR(400 MHz, DMSO-d6) δ13.474(s, 1H, 피롤-NH), 11.004(s, 1H, 인돌-NH), 8.475(d, 1H, 피리딘-CH), 8.102~8.107(d, 1H, 피리딘-CH), 7.873(s, 1H, -CH=C), 3.560~3.591 (m, 6H, N 7-원 환-CH2, 2×-CH2O), 3.336 ~ 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46 ~ 2.983(t, 2H, -CH2C=C), 2.456(s, 3H, 피롤-CH3), 2.425 ~ 2.500(m, 6H, 2×-CH2N), 2.048 ~ 2.077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23.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0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1
단계 1. 5-[3-(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수득한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11.964 g, 25.7 mmol)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12 ml, 97 mmol)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80 ml) 및 포화 염수 (80 ml)를 첨가하 고, 5분간 교반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을 제거하기 위해 포화 염수 (80 ml×4)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 제거를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3-(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23a (5.85 g, 수율 45.9%)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82.2 [M+1]
단계 2.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5-[3-(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 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23a (5.85 g, 13.8 mmol)를 교반하면서 130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톨루엔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용액(12 ml, 2 mol/L, 24 mmol)을 상기 용액에 서서히 적가한다. 상기 첨가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더 이상 백색 연기가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고, 오일 욕조에서 3시간 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빙수를 넣어 반응을 멈춘다. 상기 반응계가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된 후에 상기 혼합물에 염산용액 (50ml, 2 mol/L)을 넣고 10분간 교반한다. 상기 혼합물을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2 mol/L)으로 pH 9로 적정하고, 디클로메탄 (50 ml×4)으로 추출한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무수 황선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 제거를 위해 여과하고 감 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3b (3.3 g, 수율 71.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36.2[M+1]
단계 3.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3b(774 mg, 2.3 mmol)를 교반하에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3.1 ml, 20 mmol)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아르곤 대기하에 오일 욕조에서 5분간 40 °C로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에 -5 °C로 빙-염 욕조에서 냉각시키고, 트리에톡시 메탄 (0.5 ml, 3.0 mmol) 을 첨가하고 2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상승시키고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빙수 (3 ml) 및 디클로로메탄 (10 ml)을 첨가하고,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2 mol/L)으로 pH 11으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적갈색 오일을 얻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 2-카르브알데히드 23c (223 mg, 수율 37%)을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64.2[M+1]
단계 4.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carbaldehyde) 23c (53 mg, 0.2 mmol) 을 교반하에 1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5-클로로-1,3-디히드로-인돌-2-온 (34 mg, 0.2 mmol) 및 피페리딘 (0.1 m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암소에서 잘 혼합되도록 교반하고,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고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시켰다. 상기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3 (62 mg, 수율 75%)을 오렌지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13.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7(s, 1H, 피롤-NH), 11.004(s, 1H, 인돌-NH), 7.990(s, 1H, -ArH), 7.799(s, 1H, -CH=C), 7.134~7.159(m, 1H, -ArH), 6.869~6.890(m, 1H, -ArH), 3.533~3.567(t, 2H, N 7-원 환-CH2),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9~2.945(t, 2H, -CH2C=C), 2.463(s, 3H, 피롤-CH3), 2.401~2.434(t, 2H, -CH2N), 2.204(s, 6H, 2×-CH3N), 2.035~2.079 (m, 2H, 7-원 환내 -CH2).
실시예 24.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4 (71 mg, 수율 77%) 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7.0[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3(s, 1H, 피롤-NH),11.011(s, 1H, 인돌-NH), 8.118(s, 1H, -ArH), 7.804(s, 1H, -CH=C), 7.262~7.287(m, 1H, -ArH), 6.826~6.847(m, 1H, -ArH), 3.533~3.567(t, 2H, N 7-원 환-CH2),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9~2.945(t, 2H, -CH2C=C), 2.465(s, 3H, 피롤-CH3), 2.401~2.434(t, 2H, -CH2N), 2.204(s, 6H, 2×-CH3N), 2.035~2.079 (m, 2H, -원 환내-CH2).
실시예 25.
5-(2-디메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3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 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메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5 (205 mg, 수율 68%)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97.0[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4(s, 1H, 피롤-NH), 10.904(s, 1H, 인돌-NH), 7.760~7.783(m, 1H, -ArH), 7.744(s, 1H, -CH=C), 6.915 ~ 6.943(m, 1H, -ArH), 6.836~6.868(m, 1H, -ArH), 3.533~3.567(t, 2H, N 7-원 환-CH2),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9~2.945(t, 2H, -CH2C=C), 2.457(s, 3H, 피롤-CH3), 2.401~2.434(t, 2H, -CH2N), 2.204(s, 6H, 2×-CH3N), 2.035~2.079 (m, 2H, 7-원 환외-CH2).
실시예 26.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4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2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르아미드 20c 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 26 (71 mg, 수율 79%)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40.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3(s, 1H, 피롤-NH), 10.437(s, 1H, 인돌-NH), 9.814(s, 1H, -NHCO), 8.339(s, 1H, -CH=O), 7.768(s, 1H, -CH=C), 7.621~7.649(m, 1H, -ArH), 7.440~7.473(m, 1H, -ArH), 3.533~3.567 (t, 2H, N 7-원 환-CH2), 3.336~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9~2.955(t, 2H, -CH2C=C), 2.463(s, 3H, 피롤-CH3), 2.403~2.436(t, 2H, -CH2N), 2.204(s, 6H, 2×- CH3N), 2.035~2.079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27.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5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6
단계 1. 아세트 산 (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르바모일)-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6-아미노-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3d (500 mg, 3.0 mmol)을 교반하에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0.4 ml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잘 혼합되도록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드라이-아이스 욕조(dry ice-acetone bath)에서 -40°C로 냉각시켰다.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중 아세트산 클로로카보닐메틸 에스테르(acetic acid chlorocarbonylmethyl ester; 420 mg, 3.0 mmol) 용액을 상기 반응계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드라이-아이스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승온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수득된 고체상을 3회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아세트 산 (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르바모일)-메틸 에스테르 27a (562 mg, 수율 70.4%)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265.3[M-1]
단계 2.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아세트산 (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카바모일)-메틸 에스테르 27a (58 mg, 0.22 mmol)을 교반하에 1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1 ml 물 및 수산화 나트륨 (15 mg, 0.375 mmol)을 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상을 물로 3회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27b (46 mg, 수율 93.8%)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223.7 [M-1]
단계 3.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27b 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27 (80 mg, 수율 83.4%)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70.1[M+1]
1H NMR(400 MHz, DMSO-d6) δ13.599(s, 1H, 피롤-NH), 10.893(s, 1H, 인돌-NH), 9.233(s, 1H, -NHCO), 7.854~7.879(m, 1H, -ArH), 7.725(s, 1H, -CH=C), 7.663~7.688(m, 1H, -ArH), 5.950(s, 1H, -OH), 4.053(s, 2H, -CH2O), 3.544 (t, 2H, N 7-원 환-CH2), 3.315~3.340(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4(t, 2H, -CH2C=C), 2.464(t, 2H, -CH2N), 2.442(s, 3H, 피롤-CH3), 2.199(s, 6H, 2×-CH3N), 2.044 (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28.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7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8
단계 1. 3-메틸-5-[3-(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8.462 g, 21.75 mmol)를 교반하면서 2-피롤리딘-1-일-에틸아민 (6.3 ml, 49.79)에 용해시켰고, 얻어진 용액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기까지 에틸아세테이트 (200 ml) 및 소량의 메탄올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30 ml×3), 포화 염수 (40 ml×2)로 세척하고 감압 농축하여 밝은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5-[3-(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28a (4.488 g, 수율 63.5%)를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06.5[M-1]
단계 2.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3-메틸-5-[3-(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28a (6.754 g, 16.6 mmol)를 교반하면서 150 ml 톨루엔에 용해시켰고, 아르곤 대기하에 상기 용액에 톨루엔 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용액(16.6 ml, 2 mol/L, 33.2 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더 이상 백색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상온에서 20 분간 교반하였고 오일 욕조에서 추가로 3.5시간동안 환류반응시켰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오일 욕조를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소량의 에탄올 (95%)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를 첨가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8b (3.894 g, 수율 65%)를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62.2[M+1]
단계 3.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carbaldehyde)의 제조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8b (3.562 g, 9.87 mmol)을 교반하면서 5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9.7 ml, 260 mmol)를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30분 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염 욕조에서 -5°C로 냉각시켰고, 부분적으로 트리에톡시 메탄(2.96 ml, 14.8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상기 반응계에 물(25 ml)을 첨가하고, 희석 수산화 나트륨 용액 (2 mol/L)으로 약 pH 11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탄(10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적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carbaldehyde) 28c (1.116 g, 수율 49%)울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90.2[M+1]
단계 4.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실시예 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40mg, 0.134 mmol) 및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을 교반하에 0.3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피페리딘 (0.03 ml, 0.3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 후, 상기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28 (40 mg, 수율 5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7.2[M+1]
1H NMR(400 MHz, DMSO-d6) δ13.532(s, 1H, 피롤-NH), 11.132(s, 1H, 인돌-NH), 7.598~7.620(m, 1H, -ArH), 7.421~7.434(m, 1H, -ArH), 7.307~7.323(m, 1H, -ArH), 7.232~7.271(m, 1H, -ArH), 7.001~7.021(d, 1H, , -ArH), 6.865~6.884(d, 1H, -ArH), 6.698(s, 1H, -CH=C), 3.499~3.533(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273~3.302(t, 2H, N 7-원 환-CH2), 2.854~2.891(t, 2H, -CH2C=C), 2.536~2.570(t, 2H, -CH2N), 2.498~2.515(m, 4H, N 5-원 환-CH2N), 1.982~2.012(m, 2H, N 7-원 환-CH2), 1.777(s, 3H, 피롤-CH3), 1.657(m, 4H, 5-원 환-CH2).
실시예 29.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 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4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2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 20c 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7-일}-포름아미드 29 (59 mg, 수율 9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66.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9(s, 1H, 피롤-NH), 10.868(s, 1H, 인돌-NH), 8.324(s, 1H, -HCO), 7.796(s, 1H, -ArH), 7.747(s, 1H, -CH=C), 7.601~7.629 (dd, 1H, -ArH), 7.424~7.454(dd, 1H, -ArH), 3.543~3.577(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30~3.357(t, 2H, N 7-원 환-CH2), 2.907~2.944 (t, 2H, -CH2C=C), 2.576~2.610(t, 2H, -CH2N), 2.498~2.515(m, 4H, 5-원 환-CH2N), 2.449(s, 3H, 피롤-CH3), 2.026~2.055(m, 2H, 7-원 환-CH2), 1.679(m, 4H, 5-원 환-CH2).
실시예 30.
N-{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0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1
단계 1. 5-니트로-인돌-2-온의 제조
1,3-디히드로-인돌-2-온 30a (20.0 g, 150 mmol)을 교반하에 빙-수에서 황산 (100 ml, 98%)에 용해시키고, 온도를 0°C이하로 유지하면서 질산 (10 ml, 65%-68%)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혼합물은 0°C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얼음을 가하고 해빙후 여과했다. 상기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물 (20 ml×3)로 세척하고, 얻어진 고체상을 재결정하여 목적물질인 5-니트로-인돌-2-온 30b (25.3 g, 수율 92.4%)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77.3[M-1]
단계 2. 5-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5-니트로-1,3-디히드로-인돌-2-온 30b (3.56 g, 20 mmol)을 교반하에 200 ml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활성탄상 팔라듐 (1.0 g, 5%)을 첨가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교반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고 목적물질인 5-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0c (2.04 g, 수율 68.9%)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49.4[M+1]
단계 3. 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5-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0c (3.5 g, 23.6 mmol)을 교반하에 2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3.6 ml, 26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dry ice-acetone) 욕조에서 -30°C로 냉각시키고, 온도를 -20°C 이하로 유지하면서 아세틸 클로라이드 (acetyl chloride; 1.8 ml, 24.8 mmol)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승온시키고 20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ml)을 첨가하면 회색 고체상을 생성하고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는 물 (70 ml×3)로 세척하여 2.5 g 고체상을 수득하였다. 여과물을 에틸아세테이트(20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고체와 조합하여 목적물질인 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30d (4.0 g, 수율 89%)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 하였다.
MS m/z (ESI): 191.2[M+1]
단계 4. N-{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30d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30 (50 mg, 수율 80%)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62.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9(s, 1H, 피롤-NH), 10.868(s, 1H, 인돌-NH), 9.806(s, 1H, -NHCO), 7.796(s, 1H, -ArH), 7.447(s, 1H, -CH=C), 7.231~7.256(dd, 1H, -ArH), 6.789 ~ 6.710 (s, 1H, -ArH), 3.513~3.547 (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03 ~ 3.330 (t, 2H, N 7-원 환-CH2), 2.866~2.903(t, 2H, -CH2C=C), 2.540 ~ 2.574 (t, 2H, -CH2N), 2.461~2.513(m, 4H, 5-원 환-CH2N), 2.388(s, 3H, 피롤-CH3), 2.002~2.024(m, 2H, 7-원 환-CH2), 2.024(s, 3H, -CH3), 1.648(m, 4H, 5-원 환 -CH2).
실시예 31.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27의 단계 2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27b 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 아세트아미드 31 (50 mg, 수율 76%)을 황 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6.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8(s, 1H, 피롤-NH), 10.857(s, 1H, 인돌-NH), 9.426(s, 1H, -NHCO), 7.826~7.854(d, 1H, -ArH), 7.694~7.710(d, 1H, -ArH), 7.640(s, 1H, -CH=C), 5.717(s, 1H, -HO), 4.035(d, 2H, -CH2O), 3.536~3.570(t, 2H, N 7-원 환-CH2), 3.33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89~2.926(t, 2H, -CH2C=C), 2.562~2.596(t, 2H, -CH2N), 2.483~2.513(m, 4H, 5-원 환 -CH2N), 2.427(s, 3H, 피롤-CH3), 2.034(m, 2H, 7-원 환-CH2), 1.673(m, 4H, 5-원 환-CH2).
실시예 32.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3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4
단계 1. 3-메틸-5-[3-(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10.64 g, 27.3 mmol)을 2-피페리딘-1-일-에틸아민 (7 ml, 49.2 mmol)에 용해하고, 상기 반응 용액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이 투명할 때까지 에틸아세테이트 (200 ml) 및 소량의 메탄올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물 (30 ml×3)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포화 염수 (40 ml×2)로 세척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5-[3-(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32a (5.35 g, 수율 46.5%)을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2.3[M+1]
단계 2.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3-메틸-5-[3-(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프로필]-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32a (225 mg, 0.534 mmol)을 교반하에 5 ml 드라이(dry)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계를 빙-수 욕조에서 냉각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톨루엔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용액 (0.534 ml, 2 mol/L, 1.07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계를 백색 연기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20분간 교반하였고, 오일 욕조에서 추가로 3시간동안 환류반응시켰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오일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수 (10 ml) 및 에틸아세테이트 (2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하고 여과했다. 상기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 (10 ml×3)로 세척했다. 여과물을 에틸아세테이트 (10 ml×2)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 (10 ml×2)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고 목적물질인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2b(105 mg)을 무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m/z (ESI): 376.2[M+1]
단계 3. 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2b (953 mg, 2.54 mmol)를 교반하에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빙-수 욕조에서 염산 (3.2 ml, 12 mol/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빙-수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오일 욕조에서 60°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10 mol/L)으로 약 pH 7로 적정하고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10 mol/L)으로 약 pH 10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2c (395 m, 수율 5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76.1[M+1]
단계 4.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36 ml, 559 mmol)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 (1.637 ml, 20.9 mmol)을 아르곤 대기하에 빙-염 욕조에서 5분간 -15°C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phosphorus oxychloride; 1.07 ml, 11.5 mmol)을 서서히 적가하고 -10°C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3-메틸-5-(2-피페린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2c (1.26 g, 4.58 mmol)을 1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상기 용액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빙수로 반응을 중지하고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10 mol/L)으로 약 pH 10 으로 적정하고 30분간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993 mg, 수율 71.4%)를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04.1[M+1]
단계 5.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 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50mg, 0.165 mmol) 및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22.4 mg, 0.15 mmol)을 교반하에 0.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피페리딘 (0.05 ml, 0.5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5시간동안 오일욕조에서 40~50°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황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에탄올 (2 ml)에 용해시키고, 30분간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2 (38 g, 수율58%)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7.1[M+1]
1H NMR(400 MHz, DMSO-d6) δ13.720(s, 1H, 피롤-NH), 10.900(s, 1H, 인돌-NH), 7.749~7.779(dd, 1H, -ArH), 7.740(s, 1H, -CH=C), 6.912~6.963(m, 1H, -ArH), 6834~6.867(d, 1H, -ArH), 3.539~3.572(t, 2H, 7-원 환내-CH2N), 3.326~3.35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2~2.958(t, 2H, 7-원 환내-CH2C=C), 2.452(s, 3H, 피롤-CH3), 2.386~2.431(m, 6H, 3×-CH2N), 2.027~2.091(t, 2H, 7-원 환내-CH2), 1.474~1.499(m, 4H, 6-원 환 2×-CH2), 1.379~1.391(m, 2H, 6-원 환-CH2).
실시예 33.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5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6의 단계 3에서 수득한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 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3 (51 mg, 수율 80.9%)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31.2[M+1]
1H NMR(400 MHz, DMSO-d6) δ13.540(s, 1H, 피롤-NH), 11.130(s, 1H, 인돌- NH), 7.618~7.640(m, 1H, -ArH), 7.429~7.461(m, 1H, -ArH), 7.306~7.360(m, 1H, -ArH), 7.232~7.2710(m, 1H, -ArH), 6.998~7.017(d, 1H, -ArH), 6.874~6.893(d, 1H, -ArH), 6.709(s, 1H, -CH=C), 3.504~3.536(t, 2H, 7-원 환내-CH2N), 3.289~3.312(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87~2.923(t, 2H, 7-원 환내-CH2C=C), 2.365~2.417(m, 6H, 3×-CH2N), 2.009~2.038(t, 2H, -CH2), 1.792(s, 3H, 피롤-CH3), 1.456~1.468(m, 4H, 6-원 환-2×-CH2), 1.368~1.377(m, 2H, 6-원 환-CH2).
실시예 34.
2-[5-(4-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6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5-(4-메톡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4-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4 (68 mg, 수율 68.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5.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3(s, 1H, 피롤-NH), 11.003(s, 1H, 인돌-NH), 7.930~7.850(d, 1H, -ArH), 7.668(s, 1H , -CH=C), 7.583~7.605(d, 2H, -ArH), 7.251~7.274(d, 1H, -ArH), 7.017~7.071(m, 3H, -ArH), 3.804(s, 3H, -CH3O), 3.541~3.574(t, 2H, 7-원 환내-CH2N), 3.343(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6~2.962(t, 2H, 7-원 환내-CH2C=C), 2.386~2.449(m, 9H, 피롤-CH3, 3×-CH2N), 2.062(m, 2H, 7-원 환내-CH2), 1.475~1.487(m, 4H, 6-원 환-2×-CH2), 1.379~1.391(m, 2H, 6-원 환-CH2).
실시예 35.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7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5-클로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5 (44 mg, 수율 64.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3.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4(s, 1H, 피롤-NH), 11.003(s, 1H, 인돌-NH), 7.989(s, 1H, -ArH), 7.799(s, 1H, -CH=C), 7.135~7.155(d, 1H, -ArH), 6869~6.890(d, 1H, -ArH), 3.545~3.576(t, 2H, 7-원 환내-CH2N), 3.313~3.342(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5~2.962(t, 2H, 7-원 환내-CH2C=C), 2.399~2.459(m, 9H, 피롤-CH3, 3×-CH2N), 2.047~2.074(t, 2H, 7-원 환내-CH2), 1.490(m, 4H, 6-원 환-2×-CH2), 1.385(m, 2H, 6-원 환-CH2).
실시예 36.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8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36 (43 mg, 수율 57.6%)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7.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0(s, 1H, 피롤-NH), 11.010(s, 1H, 인돌-NH), 8.114(s, 1H, -ArH), 7.802(s, 1H, -CH=C), 7.262~7.283(d, 1H, -ArH), 6.826~6.846(d, 1H, -ArH), 3.542~3.574(t, 2H, 7-원 환내-CH2N), 3.315~3.33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4~2.960(t, 2H, 7-원 환내-CH2C=C), 2.389~2.460(m, 9H, 피롤-CH3, 3×-CH2N), 2.045~2.074(t, 2H, 7-원 환내-CH2), 1.476~1.489(m, 4H, 6-원 환-2×-CH2), 1.381(m, 2H, 6-원 환-CH2).
실시예 37.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5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 -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 아세트아미드 37 (59 mg, 수율 75%)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4.2[M+1]
1H NMR(400 MHz, DMSO-d6 ) δ13.613(s, 1H, 피롤-NH), 10.890(s, 1H, 인돌-NH), 9.316(s, 1H, -NHCO), 7.835~7.863(d, 1H, -ArH), 7.668(s, 1H, -CH=C), 7.542~7.558(d, 1H, -ArH), 4.064(s, 2H, -CH2O), 3.540 ~ 3.572(t, 2H, 7-원 환내-CH2N), 3.406(s, 3H, CH3O), 3.315~3.340(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8~2.954(t, 2H, 7-원 환내-CH2C=C), 2.390~2.467(m, 9H, 피롤-CH3, 3×-CH2N), 2.043~2.072(t, 2H, 7-원 환내-CH2), 1.478~1.490(m, 4H, 6-원 환-2×-CH2), 1.382~1.393(m, 2H, 6-원 환-CH2).
실시예 38.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0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8의 단계 2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8b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드 38 (49 mg, 수율 62.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4.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03(s, 1H, 피롤-NH),10.900(s, 1H, 인돌-NH), 9.246(s, 1H, -NH), 7.853~7.881(d, 1H, -ArH), 7.726~7.743(d, 1H, -ArH), 7.659(s, 1H, -CH=C), 6.058 ~ 6.070(d, 1H, -OH), 4.207 ~ 4.237(m, 1H, -CHO), 3.541 ~ 3.573(t, 2H, 7-원 환내-CH2N), 3.326~3.35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7~2.954(t, 2H, 7-원 환내-CH2C=C), 2.392~2.440(m, 9H, 피롤-CH3, 3×- CH2N), 2.025~2.089(t, 2H, 7-원 환내-CH2), 1.478~1.490(m, 4H, 6-원 환-2×-CH2), 1.383 (m, 2H, 6-원 환-CH2), 1.330~1.347(d, 3H, CH3O).
실시예 39.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1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39 (75 mg, 수율 76.5%)을 갈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4.1[M+1]
1H NMR (400 MHz, DMSO-d6) δ13.607(s, 1H, 피롤-NH), 10.894(s, 1H, -NH), 9.320(s, 1H, -NHCO), 7.840~7.868(d, 1H, -ArH), 7.673(s, 1H, -CH=C), 7.540~7.557(d, 1H, -ArH), 4.064(s, 2H, -CH2O), 3.531~3.564 (t, 2H, N 7-원 환-CH2), 3.406(s, 3H, -CH3O), 3.333~3.35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4~2.941(t, 2H, -CH2C=C), 2.445(s, 3H, 피롤-CH3), 2.404~2.420(t, 2H, -CH2N), 2.206(s, 6H, 2×-CH3N), 2.029~2.057 (m, 2H, 7-원 환내 -CH2).
실시예 40.
2-[4-(2,6-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4-(2,6-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2,6-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0 (36 mg, 수율 36.4%)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1.1[M+1]
1H NMR(400 MHz, DMSO-d6) δ13.552(s, 1H, 피롤-NH), 11.075(s, 1H, 인돌-NH), 7.661(m, 1H, -ArH), 7.338~7.378(m, 2H, -ArH), 7.238~7.277(m, 1H, -ArH), 7.008~7.027(m, 1H, -ArH), 6.895~6.914(d, 1H, -ArH), 6.652(s, 1H, -CH=C), 3.488~3.522(t, 2H, N 7-원 환-CH2), 3.280~3.316(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68~2.904(t, 2H, -CH2C=C), 2.355~2.388(t, 2H, -CH2N), 2.171(s, 6H, 2×-CH3N), 1.992~2.021 (m, 2H, 7-원 환내-CH2), 1.764(s, 3H, 피롤-CH3).
실시예 41.
5-(2-디메틸아미노-에틸)-2-[4-(3-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3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4-(3-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메틸아미노-에틸)-2-[4-(3-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1 (37 mg, 수율 38.9%)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73.2[M+1]
1H NMR(400 MHz, DMSO-d6) δ13.533(s, 1H, 피롤-NH), 11.075(s, 1H, 인돌-NH), 7.595~7.610(m, 1H, -ArH), 7.286~7.343(m, 3H, -ArH), 7.191~7.229(m, 1H, -ArH), 6.942~6.962(d, 1H, -ArH), 6.830~6.844(d, 1H, -ArH), 6.811(s, 1H, -CH=C), 3.488~3.521(t, 2H, N 7-원 환-CH2), 3.277~3.31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59~2.896(t, 2H, -CH2C=C), 2.361~2.394(t, 2H, -CH2N), 2.176(s, 6H, 2×-CH3N), 1.989~2.018(m, 2H, 7-원 환내-CH2), 1.774(s, 3H, 피롤-CH3).
실시예 42.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4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6의 단계 3에서 수득한 4-(2,3-디플루오로-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 6d 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2,3-디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2 (25 mg, 수율 25.2%)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1.2[M+1]
1H NMR(400 MHz, DMSO-d6) δ13.532(s, 1H, 피롤-NH), 11.132(s, 1H, 인돌- NH), 7.618~7.640(m, 1H, -ArH), 7.429~7.442(m, 1H, -ArH), 7.306~7.340(m, 1H, -ArH), 7.232~7.271(m, 1H, -ArH), 6.998~7.017(d, 1H, -ArH), 6.874~6.893(d, 1H, -ArH), 6.712(s, 1H, -CH=C), 3.491~3.525(t, 2H, N 7-원 환-CH2), 3.292~3.31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69~2.905(t, 2H, -CH2C=C), 2.362~2.395(t, 2H, -CH2N), 2.176(s, 6H, 2×-CH3N), 1.993~2.018(m, 2H, 7-원 환내-CH2), 1.795(s, 3H, 피롤-CH3).
실시예 43.
5-(2-디메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5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 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3의 단계 4에서 수득한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e 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5-(2-디메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 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3 (50 mg, 수율 43.7%)을 적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0.1[M+1]
1H NMR(400 MHz, DMSO-d6) δ13.421(s, 1H, 피롤-NH), 10.523(s, 1H, 인돌-NH), 7.574~7.603(d, 1H, -ArH), 7.367~7.402(m, 2H, -ArH), 7.513(s, 1H, -CH=C), 7.142~7.186(m, 2H, -ArH), 6.41(t, 1H, -NH), 6.041~6.059(d, 1H, -ArH), 4.348~4.362(d, 2H, 아닐린-CH2), 3.982~3.996(d, 2H, -CH2O), 3.531~3.564 (t, 2H, N 7-원 환-CH2), 3.316~3.34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56 ~ 2.893(t, 2H, -CH2C=C), 2.398~2.415(t, 2H, -CH2N), 2.390(s, 3H, 피롤-CH3), 2.192(s, 6H, 2×-CH3N), 2.002~2.030(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44.
N-{3-[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 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2-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6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7
단계 1. 아세트 산 (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카르바모일)-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5-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0c (500 mg, 3.38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1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드라이 아이스- 아세톤 욕조에서 -40°C에서 상기 용액에 피리딘(470μl, 5 mmol)을 첨가하였다. 아세트산 클로로카르보닐메틸 에스테르(Acetic acid chlorocarbonylmethyl ester; 473 mg, 3.48 mmol)을 1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상기 반응액에 서서히 적가하였 다. 첨가완료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을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승온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물 (10 ml×3)로 세척하고 재결장하여 목적물질인 아세트 산 (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카르바모일)-메틸 에스테르 44a (510 mg, 수율 60.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47.7[M-1]
단계 2. 2-히드록시-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아세트산 (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카르바모일)-메틸 에스테르 44a (2.43 g, 10 mmol)을 교반하에 60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산화 나트륨 용액 (20 ml, 2 mol/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염산 용액(6 mol/L)으로 중화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2-히드록시-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44b (402 mg, 수율 19.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05.3 [M-1]
단계 3. 2-히드록시-N-{3-[3-메틸-5-(2-메틸아미노-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3의 단계 3에서 수득한 5-(2-디메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3c 및 출발물질로 2-히드록시-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44b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히드록시-N-{3-[3-메틸-5-(2-메틸아미노-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44 (52 mg, 수율 50.5%) 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2.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8(s, 1H, 피롤-NH), 10.857(s, 1H, -NH), 9.426(s, 1H,- NHCO), 7.939~7.942(d, 1H, -ArH), 7.513(s, 1H, -CH=C), 7.485~7.489(d, 1H, -ArH), 6.820 ~ 6.841(d,1H,-ArH), 5.717(s, 1H, -HO), 3.982~3.996(d, 2H, -CH2O), 3.531 ~ 3.564 (t, 2H, N 7-원 환-CH2), 3.337~3.36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8~2.944(t, 2H, -CH2C=C), 2.433(s, 3H, 피롤-CH3), 2.394~2.411(t, 2H, -CH2N), 2.199(s, 6H, 2×-CH3N), 2.031~2.059(m, 2H, 7-원 환내-CH2).
실시예 45.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8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5 (61 mg, 수율 80.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3.1[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5(s, 1H, 피롤-NH),10.902(s, 1H, 인돌-NH),7.752~7.782(m, 1H, -ArH),7.743(s, 1H, -CH=C),6.937~6.965(m, 1H, -ArH) ,6.835~6.867(d, 1H, -ArH),3.548~3.582(t, 2H, 7-원 환내 -CH2N),3.337~3.365(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14(m, 4H, 5-원 환-2×-CH2N),2.990~3.027(t, 2H, 7-원 환내-CH2C=C),2.573~2.607(t, 2H, -CH2N),2.473(s, 3H, 피롤-CH3),2.101~2.129(m, 2H, 7-원 환내-CH2),1.751(m, 4H, 5-원 환-CH2).
실시예 46.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6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 2-c]아제핀-4-온 46 (61 mg, 수율 70.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5.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4(s, 1H, 피롤-NH), 11.007(s, 1H, 인돌-NH), 8.113~8.114(d, 1H, -ArH), 7.803(s, 1H, -CH=C), 7.261~7.286(m, 1H, -ArH), 6.825~6.846(d, 1H, -ArH), 3.548~3.582(t, 2H, 7-원 환내-CH2N), 3.337~3.364(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12(m, 4H, 5-원 환-2×-CH2N), 2.905~2.942(t, 2H, 7-원 환내-CH2C=C), 2.573~2.606(t, 2H, -CH2N), 2.462(s, 3H, 피롤-CH3), 2.028~2.057(m, 2H, 7-원 환내-CH2), 1.751(m, 4H, 5-원 환-CH2).
실시예 47.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0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5-클로로-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클로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7 (61 mg, 수율 77.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9.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4(s, 1H, 피롤-NH), 11.046(s, 1H, 인돌-NH), 8.038(s, 1H, -CH=C), 7.838~7.845(d, 1H, -ArH), 7.179~7.205(dd, 1H, -ArH), 6.915~6.935(d, 1H, -ArH), 3.612~3.629(t, 2H, 7-원 환내-CH2N), 3.384~3.412(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37~3.384(m, 4H, 5-원 환-2×-CH2N), 2.990~3.027(t, 2H, 7-원 환내-CH2C=C), 2.650~2.684(t, 2H, -CH2N), 2.473(s, 3H, 피롤-CH3), 2.101~2.129(m, 2H, 7-원 환내-CH2), 1.751(m, 4H, 5-원 환-CH2).
실시예 48.
3-메틸-2-(2-옥소-5-페닐-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1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5-페닐-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3-메틸-2-(2-옥소-5-페닐-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8 (41 mg, 수율 62.3%)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1.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06(s, 1H, 피롤-NH), 10.070(s, 1H, 인돌-NH), 8.174(s, 1H, -CH=C), 7.843(s, 1H, -ArH), 7.722~7.741(d, 2H, -ArH), 7.443~7.480(m, 3H, -ArH), 7.314~7.351(t, 1H, -ArH), 6.961~6.981(d, 1H, -ArH), 3.554~3.588(t, 2H, 7-원 환내-CH2N), 3.362~3.376(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289~3.347(m, 4H, 5-원 환-2×-CH2N), 2.990~3.027(t, 2H, 7-원 환내-CH2C=C), 2.650~2.684(t, 2H, -CH2N), 2.473(s, 3H, 피롤-CH3), 2.101~2.129(m, 2H, 7-원 환내-CH2), 1.751(m, 4H, 5-원 환-2×-CH2).
실시예 49.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4-브로모 -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49 (40 mg, 수율 60.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83.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97(s, 1H, 피롤-NH), 11.244(s, 1H, 인돌- NH), 8.650(s, 1H, -CH=C), 7.281~7.301(d, 1H, -ArH), 7.118~7.158(m, 1H, -ArH), 7.000~7.190(d, 1H, -ArH), 3.618~3.652 (t, 2H, 7-원 환내-CH2N), 3.410~3.438(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56~3.378(m, 4H, 5-원 환-2×-CH2N), 2.990~3.027(t, 2H, 7-원 환내-CH2C=C), 2.650~2.684(t, 2H, -CH2N), 2.473(s, 3H, 피롤-CH3), 2.101~2.129(m, 2H, 7-원 환내-CH2), 1.751(m, 4H, 5-원 환-CH2).
실시예 50.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 피롤리덴-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3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4의 단계 1에서 수득한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 인돌-2-온 4b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 피롤리덴-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0 (51 mg, 수율 73.2%) 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01.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0(s, 1H, 피롤-NH), 11.177(s, 1H, 인돌-NH), 7.857~7.875(d, 1H, -ArH), 7.798(s, 1H, -CH=C), 7.251~7.269(d, 1H, -ArH), 3.556~3.590(t, 2H, 7-원 환내-CH2N), 3.317~3.35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294~3.359(m, 4H, 5-원 환-2×-CH2N), 2.935~2.971(t, 2H, 7-원 환내-CH2C=C), 2.587~2.620(t, 2H, -CH2N), 2.473(s, 3H, 피롤-CH3), 2.059(m, 2H, 7-원 환내 -CH2), 1.751(m, 4H, 5-원 환-CH2).
실시예 51.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4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j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3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N-(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30d 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3-[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일}-아세트아미드 51 (12 mg, 수율 18.9%) 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64.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9(s, 1H, 피롤-NH), 10.868(s, 1H, 인돌-NH), 9.806(s, 1H, 아미드-NH), 7.841(s, 1H, -ArH), 7.472(s, 1H, -CH=C), 7.251~7.256(d, 1H, -ArH), 6.806~6.827(s, 1H, -ArH), 3.499(t, 2H, 7-원 환내-CH2N), 3.322~3.347(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02~2.939(t, 2H, 7-원 환내-CH2C=C), 2.530~2.562(m, 6H, 3×-CH2N), 2.423(s, 3H, 피롤-CH3), 2.029~2.051(m, 2H, 7-원 환내-CH2), 2.029(s, 3H, -CH3CO), 0.958~0.993 (t, 6H, 2×-CH3).
실시예 52.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5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7의 단계 1에서 수득한 N-(5-플루오로-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아세트아미드 7a을 이용하여 실시예 28의 단계 4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N-{5-플루오로-3-[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일메틸렌]-2-옥소-2,3-디히드로-1H-인돌-6-일}-2-메톡시- 아세트아미드 52 (45 mg, 수율 63.7%)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0.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52(s, 1H, 피롤-NH), 10.936(s, 1H, 인돌-NH), 9.362(s, 1H, -NHCO), 7.882~7.910(d, 1H, -ArH), 7.714(s, 1H, -CH=C), 7.582~7.598(d, 1H, -ArH), 4.110(s, 2H, -CH2O), 3.597~3.631(t, 2H, 7-원 환내-CH2N), 3.447(s, 3H, -CH3O), 3.381~3.408(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331~3.355(m, 4H, 5-원 환-2×-CH2N), 2.945~2.981(t, 2H, 7-원 환내-CH2C=C), 2.660(m, 2H, -CH2N), 2.489(s, 3H, 피롤-CH3), 2.069~2.099(m, 2H, 7-원 환내-CH2), 1.731(m, 4H, 5-원 환-CH2).
실시예 53.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6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7
단계 1: 4-옥시라닐메틸-모르폴린(4-Oxiranylmethyl-morpholine)의 제조
모르폴린 53a (8.712 ml, 0.1 mol)을 상온에서 교반하에 tert-부탄올 (4.5 ml)에 용해시키고, (R)-(-)-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epoxypropane) (8.05 ml, 0.1 mol)을 상기 용액에 빙-수 욕조에서 0°C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승온시키고 24시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 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10°C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테트라히드로퓨란 중 포타슘 tert-부톡시드 용액 (60 ml, 1.67 mol/L, 100 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고, 용액이 밝은 황색에서 백색 혼탁한 용액으로 점차로 변하였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물 (50 ml)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ml×2)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4-옥시라닐메틸-모르폴린 53b (12.7 g, 수율 88.8%)을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44.4[M+1]
단계 2: 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의 제조
4-옥시라닐메틸-모르폴린 53b (6.3 g, 44 mmol)에 빙-수 욕조에서 0°C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암모니아 (450 ml, 25%, 6.6 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승온시키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 53c (7 g, 수율 99%)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161.1[M+1]
단계 3: 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1.13 g, 2.9 mmol)을 교반하에 5.6 ml 디클로로메탄을 용해시키고, 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 53c (0.93 g, 5.8 mmol)을 상기 용액에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오일 욕조에서 45°C에서 14시간 동안 가열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에 포화 염수 (15 ml)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20 ml×3)으로 추출했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53d (600 mg, 수율 72.5%)을 무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54.2[M+1]
단계 4: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53d (580 mg, 1.28 mmol)을 교반하에 6 ml 톨우엔에 용해시키고, 톨루엔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1.9 ml, 2 mol/L, 3.84 mmol)을 아르곤 대기하에 빙-수 욕조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빙-수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24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염산 용액(20 ml, 6 mol/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12 mol/L)으로 약 pH 12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탄 (50 ml×2)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3e (300 mg, 수율 57.6%)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08.2[M+1]
단계 5: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클로로메틸렌)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130 mg, 0.977 mmol)을 교반하에 3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빙-수 욕조에서 0°C로 냉각시켰다.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 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3e (300 mg, 0.977 mmol)을 2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0°C이하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반응계에 서서히 적가하였고 20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12 mol/L)으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포화염수(10 ml)로 세척하고,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의 용매 혼합물 (V:V=10:1, 10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히드록시-3-몰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200 mg, 수율 61%)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36.2[M+1]
단계 6: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50 mg, 0.149 mmol)를 교반하에 261 μ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28 mg, 0.134 mmol) 및 피페리딘 (7.3 μl, 0.074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80°C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암소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오일 욕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 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3 (40 g, 수율 5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69.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25(s, 1H, 피롤-NH), 10.907(s, 1H, 인돌-NH), 7.760~7.783(m, 1H, -ArH), 7.747(s, 1H, -CH=C), 6.914~6.939 (m, 1H, -ArH), 6.835~6.867(m, 1H, -ArH), 4.719~4.731(d, 1H, -OH), 3.897(m, 1H, -CHO), 3.749~3.792(dd, 1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570~3.592(t, 4H, 모르폴린-2×-CH2O), 3.384~3.351(t, 2H, N 7-원 환-CH2), 3.138~3.191(dd, 1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7~2.953(t, 2H, -CH2C=C), 2.457(s, 3H, 피롤-CH3), 2.418~2.507(m, 4H, -CH2N, 모르폴린-CH2N), 2.289~2.313(t, 2H, 모르폴린-CH2N), 2.076(m, 2H, 7-원 환-CH2).
실시예 54.
3-메틸-2-(2-옥소-4-피리딘-4-일-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8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4-피리딘-4-일-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3-메틸-2-(2-옥소-4-피리딘-4-일-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 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4 (40 mg, 수율 5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6.2[M+1]
1H NMR(400 MHz, DMSO-d6) δ13.530(s, 1H, 피롤-NH), 11.115(s, 1H, 인돌-NH), 8.738~8.753(d, 2H, -CH=N), 7.498(s, 2H, 피리딘-CH=C), 7.219~7.258(m, 1H, -ArH), 6.976~6.996(d, 1H, -ArH), 6.808~6.830(d, 1H, -ArH), 6.808(s, 1H, -CH=C), 3.499~3.532(t, 2H, 7-원 환내-CH2N), 3.270~3.298(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79~2.916(t, 2H, 7-원 환내-CH2C=C), 2.361~2.413(m, 6H, 3×-CH2N), 2.055~2.084(t, 2H, 7-원 환내-CH2), 1.732(s, 3H, 피롤-CH3), 1.453~1.478(m, 4H, 6-원 환-2×-CH2), 1.365~1.377(m, 2H, 6-원 환-CH2).
실시예 55.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2-피페린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79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3의 단계 4에서 수득한 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1,3-디히드로-인돌-2-온 3e 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플루오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2-피페린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5 (77 mg, 수율 90.8%)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60.1[M+1]
1H NMR(400 MHz, DMSO-d6) δ13.425(s, 1H, 피롤-NH), 10.520(s, 1H, -NH), 7.572~7.602(d, 1H, -ArH), 7.349(s, 1H, -CH=C), 7.367~7.402(m, 2H, -ArH), 7.141~7.186(m, 2H, -ArH), 6.398~6.422(m, 1H, -NH), 6.040~6.059(m, 1H, -ArH), 4.347~4.361(d, 2H, 아닐린-CH2), 3.524~3.557(t, 2H, 7-원 환내-CH2N), 3.314~3.337(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869~2.906(t, 2H, 7-원 환내-CH2C=C), 2.390~2.467(m, 9H, 피롤-CH3, 3×-CH2N), 1.999~2.063(t, 2H, 7-원 환내-CH2), 1.476~1.489(m, 4H, 7-원 환-2×-CH2), 1.383~1.393(m, 2H, 6-원 환-CH2).
실시예 56.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르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0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실시예 4의 단계 1에서 수득한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b 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 피페리딘-1-일-에틸)-5,6,7,8-테르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6 (63 mg, 수율 76.4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15.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1(s, 1H, 피롤-NH), 11.184(s, 1H, 인돌-NH), 7.848~7.876(dd, 1H, -ArH), 7.794(s, 1H, -CH=C), 7.242~7.240(dd, 1H, -ArH), 3.545~3.571(t, 2H, 아미드 N 7-원 환내-CH2), 3.331~3.358(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50~2.986(t, 2H, 7-원 환내-CH2C=C), 2.390~2.467(m, 9H, 피롤-CH3, 3×-CH2N), 2.055~2.084(t, 2H, 7-원 환내-CH2), 1.476~1.489(m, 4H, 6-원 환-2×-CH2), 1.383~1.393(m, 2H, 6-원 환-CH2).
실시예 57.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 -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1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4-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4-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7 (68 mg, 수율 91.2%)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9.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82(s, 1H, 피롤-NH), 11.232(s, 1H, 인돌-NH), 8.634(s, 1H, -CH=C), 7.267~7.287(m, 1H, -ArH), 7.105~7.144(m, 1H, -ArH), 6.988~7.007(d, 1H, -ArH), 3.595~3.627(t, 2H, 7-원 환내-CH2N), 3.402(t, 2H, 아 미드 N 7-원 환외-CH2), 2.991~3.028(t, 2H, 7-원 환내-CH2C=C), 2.454~2.556(m, 9H, 피롤-CH3, 3×-CH2N), 2.102~2.131(t, 2H, 7-원 환내-CH2), 1.523~1.550(m, 4H, 6-원 환-2×-CH2), 1.429~1.441(m, 2H, 6-원 환-CH2).
실시예 58.
3-메틸-2-(4-메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2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수득한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및 출발물질로 4-메틸-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5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3-메틸-2-(4-메틸-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8 (46 mg, 수율 70.9%)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3.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03(s, 1H, 피롤-NH), 10.926(s, 1H, 인돌-NH), 7.567(s, 1H, -CH=C), 7.035~7.074(m, 1H, -ArH), 6.769~6.838(dd, 2H, -ArH), 3.544~3.576(t, 2H, 7-원 환내-CH2N), 3.331~3.359(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26~2.962(t, 2H, 7-원 환내-CH2C=C), 2.591(s, 3H, 벤젠-CH3), 2.383~2.437(m, 9H, -CH3, 피롤-3×-CH2N), 2.030~2.092(t, 2H, 7-원 환내-CH2), 1.479~1.491(m, 4H, 6-원 환-2×-CH2), 1.383~1.394(m, 2H, 6-원 환-CH2).
실시예 59.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3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53의 단계 5에서 수득한 5-(2-히드록시-3-모르폴린-4- 일-프로필)-3-메틸-4-옥소- 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53의 단계 6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59 (30 mg, 수율 63%) 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29.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4(s, 1H, 피롤-NH), 11.014(s, 1H, 인돌-NH), 8.116~8.120(d, 1H, -ArH), 7.807(s, 1H, -CH=C), 7.262~7.287(dd, 1H, -ArH), 6.826~6.846(d, 1H, -ArH), 4.719~4.731(d, 1H, -OH), 3.897(m, 1H, -CHO), 3.748~3.758(dd, 1H, 아미드 N 7-원 환외-CH2), 3.570~3.593(t, 4H, 모르폴린 2×-CH2O), 3.433(t, 2H, N 7-원 환-CH2), 3.159(dd, 1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7~2.954(t, 2H, -CH2C=C), 2.465(s, 3H, 피롤-CH3), 2.418~2.465(m, 4H, -CH2N, 모르폴린-CH2N), 2.290~2.314(t, 2H, 모르폴린-CH2N), 2.061~2.092(m, 2H, 7-원 환-CH2).
실시예 60.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cyclopentacycloocten)-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4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5
단계 1: 5-(시클로프로필-히드록시-메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시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Cyclopropylmagnesium bromide; 15 ml, 0.5 mol/L)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빙-염 욕조에서 -10°C로 냉각하였다. 5-포르밀-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b (1.26 g, 4.5 mmol)를 교반하에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10°C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에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후, 빙-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해 반응을 중지하고, 황산 용액(20 ml, 10%)을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50 ml)로 세척,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시클로프로필-히드록시-메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a (576 mg, 수율 39.6%)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22.2[M-1]
단계 2: 5-(4-브로모-부트-1-에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시클로프로필-히드록시-메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a (323 mg, 1mmol)을 교반하에 4 ml 에탄올에 용 해시키고, 용액에 수소화브롬산(hydrobromic acid; 2.8 ml, 40%)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10 ml×5)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4-브로모-부트-1-에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5-(4-bromo-but-1-enyl)-3-methyl-1H-pyrrole-2,4-dicarboxylic acid 2-tert-butyl ester 4-ethyl ester 60b; 345 mg, 수율 89.5%)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29.4[M+1]
단계 3: 5-(4-브로모-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4-브로모-부트-1-에닐)-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b (30 mg, 0.08 mmol)을 교반하에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상 팔라듐 (6 mg, 5%)을 상기 용액에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45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4-브로모-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c (21 mg, 수율 70% )을 무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88.0[M+1]
단계 4: 5-(4-디에틸아미노-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4-브로모-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c (220 mg, 0.57 mmol)에 교반하에 5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 (164 μl, 1.13 mmol)을 첨가하고 오일 욕조에서 30분간 환류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추가로 1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수행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4-디에틸아미노-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d (187 mg, 수율 78%)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4.3[M+1]
단계 5: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4,5,6,7,8,9-헥사히드로-1H-1,5-디아자- 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트리메틸 알루미늄(489μl, 2 mol/L)을 교반하에 3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6 ml 톨루엔중 5-(4-디에틸아미노-부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0d (345 mg, 0.82 mmol) 용액을 상온 에서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오일 욕조에서 2시간 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고, 추가적인 트리메틸 알루미늄(900μl, 2 mol/L)을 가하고 추가의 7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염산 용액 (1 ml, 2 mol/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10%)으로 약 pH 10로 적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25 ml×3).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25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4,5,6,7,8,9-헥사히드로-1H-1,5-디아자- 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2-카르브알데히드 [5-(2-diethylamino-ethyl)-3-methyl-4-oxo-4,5,6,7,8,9-hexahydro-1H-1,5-diaza-cyclopentacyclooctene-2-carbaldehyde 60e; 60 mg, 수율 26.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78.2[M+1]
단계 6: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의 제조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4,5,6,7,8,9-헥사히드로-1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2-카르브알데히드 60e (20 mg, 0.066mmol)를 교반하에 서 1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9.9 mg, 0.066mmol) 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용해시까지 암소에서 교반하고, 0.1 ml 피페리딘을 첨가하고,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자연적으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 60 (14 mg, 수율 48.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39.2 [M+1]
1H NMR(400MHz, DMSO-d6) δ13.462(s, 1H, 피롤-NH), 10.874(s, 1H, 인돌-NH), 7.739~7.758(d, 1H, -ArH), 7.715(s, 1H, -CH=C), 6.832~6.933(m, 2H, -ArH), 3.406(m, 4H, 2×-CH2NCO), 2.874(t, 2H, -CH2C=C), 2.597~2.630(t, 2H, -CH2N), 2.486~2.538(q, 4H, 에틸 2×-CH2N), 2.322(s, 3H, 피롤-CH3), 1.733(m, 4H, 8-원 환외-2×-CH2), 0.963~0.968(t, 6H, 2×-CH3).
실시예 61.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6
목적 화합물을 실시예 60의 단계 5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4,5,6,7,8,9-헥사히드로-1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2-카르브알데히드 60e 및 출발물질로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60의 단계 6에 개시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2-(5-브로모-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5-(2-디에틸아미노-에틸)-3- 메틸-6,7,8,9-테트라히드로-1H,5H-1,5-디아자-시클로펜타시클로옥텐-4-온 61 (16 mg, 수율 6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99.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0(s, 1H, 피롤-NH), 11.008(s, 1H, 인돌-NH), 8.113~8.117(d, 1H, -ArH), 7.803(s, 1H, -CH=C), 7.260~7.286(dd, 1H, -ArH), 6.825~6.845(d, 1H, -ArH), 3.406(m, 4H, 2×-CH2NCO), 2.874(t, 2H, -CH2C=C), 2.597~2.630(t, 2H, -CH2N), 2.486~2.538(q, 4H, 에틸 2×-CH2N), 2.322(s, 3H, 피롤-CH3), 1.733(m, 4H, 8-원 환내-2×-CH2), 0.963~0.968(t,6H,2×-CH3).
실시예 62.
5-(2-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7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8
단계 1: 5-[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 tert -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수득한 5-(2-카르복시-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e (9.85 g, 30.3 mmol) 을 교반하에 아세토니트릴 (50 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8.2 g, 60.6 mmol) 및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1.6 g, 60.6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물 (200 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0 ml×4)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2a (8 g, 수율 65%)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10.1[M+1]
단계 2: 2-[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3-메틸-1H-피롤-2,4- 디카르복 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62a (818 mg, 2 mmol)을 교반하에서 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염산 용액 (5ml, 12 mol/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오일 욕조에서 60°C에서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으로 약 pH 12로 적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2-[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62b (600 mg, 수율 9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10.1[M+1]
단계 3: 2-[3-(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2-[2-(2-아세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에틸]-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62b (600 mg, 1.94 mmol)을 교반하에 4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 상기 용액에 빙-수 욕조에서 테트라히드로퓨란 중 보란(borane) 용액 (7.79 ml, 1 mol/L, 7.79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염산으로 반응을 중지하고, 상 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으로 약 pH 12로 적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2-[3-(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62c (170 mg, 수율 31%)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282.2[M+1]
단계 4: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2-[3-(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4-메틸-1H-피롤-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62c (350 mg, 1.245 mmol) 및 트리메틸 알루미늄 (1.25 ml, 2.49 mmol)을 교반하에 75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24시간동안 140°C동안 환류반응을 위하여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염산 (6 mol/L) 으로 약 pH 3로 적정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3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2d (450 mg)을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m/z (ESI): 236.0[M+1]
단계 5: 에틸-[2-(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일)-에틸]- 카르바믹 산(carbamic acid) tert -부틸에스테르의 제조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 4-온 62d (450 mg, 1.91 mmol)을 교반하에 2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834 mg, 3.83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 (528 mg, 3.83 mmol)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30 m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물 (50 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에틸-[2-(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일)-에틸]- 카르바믹 산(carbamic acid) tert-부틸에스테르 62e (40 mg, 수율 6%)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36.2[M+1]
단계 6: 에틸-[2-(2-포르밀-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일)-에틸]-카르바믹 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에틸-[2-(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 일)-에틸]-카르바믹 산 tert-부틸에스테르 62e (40 mg, 0.119 mmol)를 교반하에 25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클로로메틸렌)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15.92 mg, 0.12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12 mol/L)으로 반응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추가로 15분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에틸-[2-(2-포르밀-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일)-에틸]-카르바믹 산 tert-부틸 에스테르 62f (54 mg)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m/z (ESI): 364.1[M+1]
단계 7: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에틸-[2-(2-포르밀-3-메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5-일)-에틸]-카르바믹산 tert-부틸 에스테르 62f (43 mg, 0.118 mmol)를 교반하에 10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72 μl, 3.55 mmol)을 첨가하고 빙-수 욕조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62j 을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m/z (ESI): 264.1[M+1]
단계 8: 5-(2-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5-(2-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62j (45 mg, 0.118 mmol)을 교반하에 5 ml 엔탄올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5-플루오로-1,3-디히드로- 인돌-2-온 (16 mg, 0.106 mmol) 및 피페리딘 (0.15 ml, 1.49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오일 욕조에서 90°C에서 환류반응을 수행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소량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목적물질인 5-(2-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 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2 (34 mg, 수율 76%)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97.1[M+1]
1H NMR ( 400 MHz, DMSO-d6 ) δ(s, 1H, 피롤-NH), 10.920(s, 1H, 인돌-NH), 7.781~7.788(d, 1H, -ArH), 7.759(s, 1H, -CH=C), 6.925~6.976(td, 1H, -ArH), 6.845~6.877(dd, 1H, -ArH), 3.637~3.688(t, 2H, N 7-원 환-CH2), 3.371~3.398(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59~3.026(m, 4H, -CH2C=C, -CH2N), 2.864~2.918(q, 2H, 에틸-CH2), 2.488(s, 3H, 피롤-CH3), 2.056~2.083(m, 2H, 7-원 환-CH2), 1.136~1.172(t, 3H, 에틸-CH3)
실시예 63.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베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말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89
실시예 1에서 수득한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 일리덴메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1 (2.01 g, 4.75 mmol)을 교반하에 279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일부로 상기 용액에 2-히드록시-숙신산 (0.953 g, 7.11 mmol) 을 첨가하였다. 상기 오렌지색 용액을 감압농축하고, 45 ml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오일 욕조에서 30분간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오일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5-(2-디에틸아미노-에틸)-2-(5-플루오로-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베틸)-3-메틸-3a,5,6,7,8,8a-헥사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말레이트 63 (2.02 g, 수율 76.2%)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425.1[M+1]
1H NMR(400 MHz, DMSO-d6) δ13.742(s, 1H, 피롤-NH), 10.925(s, 1H, 인돌-NH), 7.784~7.790(dd, 1H, -ArH), 7.755(s, 1H, -CH=C), 6.922~6.951(m, 1H, -ArH), 6.840~6.873(m, 1H, -ArH), 3.631~3.665(t, 2H, 7-원 환내-CH2N), 3.374~3.401 (t, 2H, 아미드 N 7-원 환외-CH2), 2.911~2.958(t, 2H, 7-원 환내-CH2C=C), 2.536~2.575(m, 6H, 3×-CH2N), 2.471(s, 3H, 피롤-CH3), 2.053~2.079(m, 2H, 7-원 환내-CH2), 1.137(t, 6H, 2×-CH3).
실시예 64.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0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1
단계 1: 5-클로로설포닐-인돌-2-온의 제조
1,3-디히드로-인돌-2-온 64a (13.3 g, 100 mmol)을 빙-수 욕조에서 클로로설퓨릭산(chlorosulfuric acid; 26.6 ml, 400 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상온에서 추가로 1시간동안 교반하고, 68°C에서 1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교반하에 물 (400 ml)을 서서히 적가하고, 교반하여 황색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여과 케이크를 물 (20 ml×4)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5-클로로설포닐-인돌-2-온 64b (15.0 g, 수율 6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Acta Pharmacol Sin,; 2007, 28(1), 140-152).
단계 2: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소듐 모노히드로겐 포스페이트 12수화물 (Sodium monohydrogen phosphate dodecahydrate) (142 g, 1.0 mol) 및 소듐 설피트(sodium sulfite; 252 g, 2.0 mol)를 상온에서 2 L 물에 용해시키고, 30 °C로 가열하고, 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설포닐 클로라이드 64b (232 g, 1.0 mol)를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16시간동안 60°C에서 교반하였다. 아세톤중 (1.8 L) 2,6-디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 (240 g, 1.0 mol) 용액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1시간동안 60°C에서 교반하고, 추가로 아세톤 (200 ml)을 첨가하고 추가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물 (5 L)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1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케이크를 물 (1 L) 및 아세톤 (1 L)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314 g, 수율 88%) 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57.3 [M+1]
1H NMR(400 MHz, DMSO-d6) δ10.90(s, 1H, 인돌-NH), 7.56(m, 4H, -ArH), 7.43(m, 1H, -ArH), 6.99(d, 1H, -ArH), 4.59(s, 2H, -ArCH2)
(참고문헌: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03, 7, 313-317).
단계 3: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0c (100 mg, 0.325 mmol) 및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104 mg, 0.293 mmol)을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5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4 (166 mg, 수율 8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643.3[M+1]
1H NMR(400 MHz, DMSO-d6) δ13.63(s, 1H, 피롤-NH), 11.42(s, 1H, 인돌-NH), 8.28 (s, 1H, -ArH), 7.90(s, 1H, -ArH), 7.51(m, 3H, -ArH), 7.42(s, 1H, -CH=C), 7.06(m, 1H, -ArH), 4.88(s, 2H, -ArCH2), 3.58~2.08(m, 18H, 지방족 H), 2.44(s, 3H, 피롤-CH3)
실시예 65.
2-[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2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3
단계 1: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소듐 모노히드로겐 포스페이트 12수화물(Sodium monohydrogen phosphate dodecahydrate) (142 g, 1.0 mol) 및 소듐 설피트(sodium sulfite; 252 g, 2.0 mol)를 상온에서 2 L 물에 용해시키고, 30°C로 가열하고, 2-옥소-2,3-디히드로-1H-인돌-5-설포닐 클로라이드 64b (232 g, 1.0 mol)를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16시간동안 60°C에서 교반하였다. 아세톤중 (1.8 L) 5-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1.9 g, 10 mmol) 용액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60°C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고, 용매 혼합물(물; 아세톤=1:1(V:V), 20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1.8 g, 수율 59%) 을 밝은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304.1[M-1]
1H NMR(400 MHz, DMSO-d6) δ10.85(s, 1H, 인돌-NH), 7.42(m, 2H, -ArH), 7.21(m, 3H, -ArH), 6.95(d, 1H, -ArH), 4.59(s, 2H, -ArCH2)
(참고문헌: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03, 7, 313-317).
단계 2: 2-[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의 제조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carbaldehyde) 28c (60.2 mg, 0.21 mmol) 및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57.6 mg, 0.19 mmol)을 2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50 피페리딘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2-[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2-옥소-1,2-디히드로-인돌-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65 (90 mg, 수율 81.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77.3[M+1]
1H NMR(400 MHz, DMSO-d6) δ12.133(s, 1H, 인돌-NH), 8.99(s, 1H, -ArH), 8.61(s, 1H, -ArH), 7.88(s, 1H, -CH=C), 8.14~7.76(m, 4H, -ArH), 7.75(d, 1H, -ArH), 5.39(s, 2H, -ArCH2), 4.33(m, 2H, -NCH2), 4.11~3.25(m, 12H, 지방족 H), 3.70(m, 2H, -NCH2), 2.81(m, 2H, -NCH2), 2.46(s, 3H, 피롤-CH3).
실시예 66.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4
3-메틸-4-옥소-5-(2-피롤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28c (75 mg, 0.262 mmol) 및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84 mg, 0.236 mmol)을 2.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4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롤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6 (117 mg, 수율 79.6%)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627.3[M+1]
1H NMR(400 MHz, DMSO-d6) δ12.18(s, 1H, 인돌-NH), 9.04(s, 1H, -ArH), 8.66(s, 1H, -ArH), 8.25(s, 1H, -CH=C), 8.23~8.16(m, 3H, -ArH), 7.99(d, 1H, -ArH), 5.64(s, 2H, -ArCH2), 4.34(m, 2H, -NCH2), 4.12~3.26(m, 12H, 지방족 H), 3.70(m, 2H, -NCH2), 2.81(m, 2H, -NCH2), 2.46(s, 3H, 피롤-CH3).
실시예 67.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5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57.6 mg, 0.21 mmol) 및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57.6 mg, 0.19 mmol)을 2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용액에 4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4-플로올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 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7 (84 mg, 수율 76%)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91.3[M+1]
1H NMR(400 MHz, DMSO-d6) δ13.61(s, 1H, 피롤-NH), 11.39(s, 1H, 인돌-NH), 8.24(s, 1H, -HCO), 7.86(s, 1H, -ArH), 7.17(s, 1H, -CH=C), 7.39~7.13(m, 4H, -ArH) , 6.99(d, 1H, -ArH), 4.64(s, 2H, -ArCH2), 3.58(m, 2H, -NCH2), 3.29~2.40(m, 11H, 지방족 H), 2.97(m, 2H, -NCH2), 2.08(m, 2H, -NCH2), 1.49(s, 3H, 피롤-CH3).
실시예 68.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6
3-메틸-4-옥소-5-(2-피페리딘-1-일-에틸)-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32d (57.6 mg, 0.21 mmol) 및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67.2 mg, 0.19 mmol)을 2.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4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피페리딘-1-일)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8 (93 mg, 수율 77.5%)을 오렌지색 고체상을 수득하였다.
MS m/z (ESI): 641.2[M+1]
1H NMR(400 MHz, DMSO-d6) δ8.79(s, 1H, -ArH), 7.90(s, 1H, -CH=C), 7.51~7.41(m, 3H, -ArH), 7.05(d, 1H, -ArH), 4.89(m, 2H, -ArCH2), 3.57(m, 2H, -NCH2), 3.35(m, 2H, -NCH2), 2.97(m, 2H, -NCH2), 3.31~2.39(m, 15H, 지방족 H), 2.07(m, 2H, -NCH2).
실시예 69.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7
3-메틸-5-(2-모르폴린-4-일-에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0c(80 mg, 0.26 mmol) 및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72 mg, 0.24 mmol) 을 2.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4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2-모르폴리노에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69 (120 mg, 수율 85.7%)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93.5[M+1]
1H NMR(400 MHz, DMSO-d6) δ13.61(s, 1H, 피롤-NH), 11.39(s, 1H, 인돌-NH), 8.24(s, 1H, -ArH), 7.86(s, 1H, -ArH), 7.40(m, 1H, -ArH), 7.24(m, 3H, 3×-ArH), 7.21(s, 1H, -CH=C), 7.01(d, 1H, -ArH), 4.64(s, 2H, -ArCH2), 3.58~2.07(m, 18H, 지방족 H), 2.44(s, 3H, 피롤-CH3).
실시예 70.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8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j(60 mg, 0.21 mmol) 및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67 mg, 0.19 mmol) 을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52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 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0 (95 mg, 수율 79%)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629.3[M+1]
1H NMR(400 MHz, DMSO-d6) δ13.62(s, 1H, 피롤-NH),11.42(s, 1H, 인돌-NH), 8.29(s, 1H, -ArH), 7.90(s, 1H, -ArH), 7.49(s, 1H, -CH=C),7.52(m, 2H, -NCH2), 7.06(s, 1H, -ArH), 4.89(s, 2H, -ArCH2), 3.52~2.07(m, 14H, 지방족 H), 2.50(s, 3H, 피롤-CH3), 1.00(m, 6H, 2×-CH3).
실시예 71.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199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j(60 mg, 0.21 mmol) 및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58 mg,0.19 mmol) 을 2 ml 에탄올에 용해시 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34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1 (73 mg, 수율 66%)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79.3[M+1]
1H NMR(400 MHz, DMSO-d6) δ13.59(s, 1H, 피롤-NH),11.39(s, 1H, 인돌-NH), 8.24(s, 1H, -ArH), 7.86(s, 1H, -ArH), 7.21(s, 1H, -CH=C), 7.24~7.13(m, 3H, -ArH), 7.01(d, 1H, -ArH), 4.64(s, 2H, -ArCH2), 3.52~2.06(m, 14H, 지방족 H), 2.50(s, 3H, 피롤-CH3), 1.00(m, 6H, 2×-CH3).
실시예 72.
(R,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0
5-(2-히드록시옥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80 mg, 0.24 mmol) 및 5-(2,6-디클로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4c (75 mg, 0.21 mmol)을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30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4분간의 교반후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에서 4분간 120°C에서 반응시켰고 오렌지색 혼탁한 용액이 되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2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R,Z)-2-((5-(2,6-디클로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 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2 (120 mg, 수율 85%)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673.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3(s, 1H, 피롤-NH), 11.42(s, 1H, 인돌-NH), 8.29(d, 1H, -ArH), 7.90(s, 1H, -ArH), 7.52(m, 4H, -ArH), 7.42(s, 1H, -CH=C), 7.06(d, 1H, -ArH), 4.89(s, 2H, -ArCH2), 4.74(m, 1H, -CHO), 3.92~2.33(m, 18H, 지방족 H), 2.44(s, 3H, 피롤-CH3).
실시예 73.
(R,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1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80 mg, 0.24 mmol) 및 5-(4-플루오로-페닐메탄설포닐)-1,3-디히드로-인돌-2-온 65a (64 mg, 0.21 mmol)을 3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30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4분간의 교반후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에서 4분간 120°C에서 반응시켰고 오렌지색 혼탁한 용액이 되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2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R,Z)-2-((5-(4-플루오로벤질설포닐)-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 온 73 (100mg, 수율 76%)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621.3[M-1]
1H NMR(400 MHz, DMSO-d6) δ13.61(s, 1H, 피롤-NH),11.38(s, 1H, 인돌-NH), 8.24(d, 1H, -ArH), 7.86(s, 1H, -ArH), 7.40(m, 1H, -ArH), 7.24(m, 1H, -ArH), 7.17(m, 1H, -ArH), 7.13(s, 1H, -CH=C), 7.01(d, 1H, -ArH), 4.74(m, 1H, -CHO), 4.64(s, 2H, -ArCH2), 3.92~2.32(m, 18H, 지방족 H), 2.44(s, 3H, 피롤-CH3).
실시예 74.
(Z)-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3
단계 1: 1-아이오도(Iodo)-2-메틸-3-니트로-벤젠의 제조
2-메틸-3-니트로-페닐아민 74a (21.28 g, 0.14 mol)을 빙-수 욕조에서 농축된 염산 70 ml 에 용해시키고, 물 (40 ml)을 첨가하고, 0~5°C에서 교반하여 황녹색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산 용액 (40 ml, 3.6 M)에 적가하고, 15분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0~5°C에서 포타슘 요오드 용액에 (280 ml, 5.25 M)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 물, 소듐 티오설페이트(sodium thiosulfate; 5%),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 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갈색 오일(34.4 g)을 수득하였다. 조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1-아이오도(Iodo)-2-메틸-3-니트로-벤젠 74b (30.1 g, 수율 81.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단계 2: 3-(2-아이오도-6-니트로-페닐)-2-옥소-프로피온 산의 제조
빙-수 욕조에서 소듐 에톡시드 용액(Sodium ethoxide solution; 35 ml, 44 mmol)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에탄올 중 1-아이오도-2-메틸-3-니트로-벤젠 74b 용액 (35 ml, 40 mmol)으로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다량의 갈색 침전물이 생성될 때까지 교반하였고, 일부로서 디에틸 옥살레이트 (6 ml, 44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 0.5시간동안 오일 욕조에서 100℃로 환류반응시키고, 물 (70 ml)을 첨가하고 추가로 1시간동안 환류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농축하였고, 염기 조건하에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세척하고, 염산 (1M)으로 pH 3으로 적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0 ml×3).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3-(2-아이오도-6-니트로-페닐)-2-옥소-프로피온 산 74c (2.94 g)을 갈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334.2[M-1].
단계 3: (2-아이오도-6-니트로-페닐)-아세트산의 제조
3-(2-아이오도-6-니트로-페닐)-2-옥소-프로피온산 74c (2.086 g, 6.2 mmol)을 교반하에 6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20 ml 물 및 7 ml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2)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상기 여과 케이크와 합치고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2-아이오도-6-니트로-페닐)-아세트산 74d (1.77 g, 수율 70%)을 갈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단계 4: 1-히드록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2-아이오도-6-니트로-페닐)-아세트산 74d (0.91 g, 3 mmol) 을 에탄올(30 ml, 95%)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상 팔라듐 (30 mg, 3%)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1-히드록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 74e (516 mg, 수율 63.4%)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274.1[M-1]
단계 5: 5-플루오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1-히드록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 74e (326 mg, 1.19 mmol) 을 드라이-아이스 욕조에서 24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25°C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로라이드(trifluoride) (0.16 ml, 1.19 mmol)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투명해 질때까지 10분간 -2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소듐 비카보네이트 용액으로 반응을 중지하고, 포화 염수 (30 ml)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포화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여 황색 고체(284 mg)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5-플루오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 74f (114 mg, 수율 34.7%)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276.6[M-1]
단계 6: 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의 제조
5-플루오로-4-아이오도-1,3-디히드로-인돌-2-온 74f (277 mg, 1 mmol)을 10 ml N,N-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상기 용액에 2,3-플루오로 페닐보릭산 (phenylboric acid; 158 mg, 1 mmol), 소듐 비카보네이트 (168 mg, 2 mmol) 및 물r (10 m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잘 혼합하여 교반하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 듐(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109 mg, 0.15 mmol)을 첨가하고 하룻밤동안 환류반응을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염산용액 (10 ml, 1 M)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성 추출물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74g (42 mg, 수율 16%)을 회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262.0 [M+1].
단계 7: (Z)-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 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5-(2-디에틸아미노-에틸)-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 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1j (73 mg, 0.25 mmol) 및 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74g (60 mg,0.23 mmol)을 2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35 of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반응하기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Z)-5-(2-(디에틸아미노)에틸)-2-((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 일리덴)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4 (23 mg, 수율 19%)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37.2 [M+1]
1H NMR(400 MHz, DMSO-d6) δ13.58(s, 1H, 피롤-NH), 11.178(s, 1H, 인돌-NH), 8.24(s, 1H, -HCO), 7.70~6.998(m, 5H, -ArH), 6.65(s, 1H, -CH=C), 4.36(m, 2H, -NCH2), 2.91(m, 2H, -NCH2), 2.54(s, 3H, 피롤-CH3),1.2~3.4(m, 14H, 지방족 H), 2.20(m, 2H, -NCH2).
실시예 75.
2-((Z)-(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R)-2- 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4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 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84 mg, 0.25 mmol) 및 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74g (60 mg, 0.23 mmol) 을 2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35 of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반응하기 위해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에탄올 (3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2-((Z)-(4-(2,3-디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R)-2- 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5 (100 mg, 수율 78%)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 581.3[M+1]
1H NMR(400 MHz, DMSO-d6) δ13.57(s, 1H, 피롤-NH), 11.12(s, 1H, 인돌-NH), 7.704~6.98(m, 5H, -ArH), 6.65(s, 1H, -CH=C), 4.69(m, 1H, -CHOH), 3.86(m, 2H, -NCH2), 2.89(m, 2H, -NCH2), 2.33(m, 2H, -NCH2), 3.86~2.28(m, 12H, 지방족 H)
실시예 76.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5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30 mg, 0.09 mmol) 및 4-메틸-1,3-디히드로-인돌-2-온 (12 mg, 0.08 mmol)을 156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4.4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6(12 mg, 수율 30%)을 오렌지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65.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s, 1H, 피롤-NH),10.92 (s, 1H, 인돌-NH), 7.57(s, 1H, -CH=C), 7.07~6.77(m, 3H, -ArH) , 4.72(d, 1H, -OH),3.90(m, 1H, -CHOH), 3.78(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8(t, 4H, 모르폴린 환내 2×- CH2O), 3.40(m, 2H, 7원 환 -NCH2), 3.17(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94(t, 2H, 피롤-CH2), 2.59(s, 3H, 벤질메틸), 2.44(m, 4H, 모르폴린 환내 2×CH2N), 2.39(s, 3H, 피롤 -CH3), 2.29(m, 2H, 모르폴린 환외-NCH2), 2.08(m, 2H, 7원 환 CH2-CH2-CH2)。
실시예 77.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2-((6-메톡시-2-옥소인돌린-3-일리덴) 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6
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 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53f (30 mg, 0.09 mmol) 및 6-메톡시-1,3-디히드로-인돌-2-온 (13 mg, 0.08 mmol)을 156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4.4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R,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2-((6-메톡시-2-옥소인돌린-3-일리덴) 메틸)-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7 (22 mg, 수율 51%)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81.2(M+1)
1H NMR(400 MHz, DMSO-d6) δ13.47(s, 1H, 피롤-NH),10.94 (s, 1H, 인돌-NH), 7.68(d, 1H, -ArH), 7.40(s, 1H, -CH=C), 6.60(d, 1H, -ArH), 6.46(s, 1H, -ArH), 4.70(d, 1H, -OH),3.89(m, 1H, -CHOH), 3.77(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8(t, 4H, 모르폴린 환내 2×-CH2O), 3.41(m, 2H, 7원 환 -NCH2), 3.17(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93(t, 2H, 피롤-CH2), 2.41(s, 3H, 피롤-CH3), 2.34(m, 4H, 모르폴린 환내 2×-CH2N), 2.29(m, 2H, 모르폴린 환외-NCH2), 2.07(m, 2H, 7원 환CH2-CH2-CH2)。
실시예 78.
(S,Z)-2-((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08
단계 1: (S)-4-옥시라닐메틸(Oxiranylmethyl)-모르폴린의 제조
모로폴린 78a (4.356 ml,50 mmol)을 상온에서 2.5 ml tert-부틸 알콜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0°C로 냉각시키고, 상기 용액에 (S)-(+)-2-클로로메틸-옥시란(chloromethyl-oxirane; 4.02 ml, 50 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계를 자연적으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상기 반응 계를 빙-수 욕조로 10°C롤 냉각시키고, 테트라히드로퓨란중 포타슘 tert-부톡시드(butoxide) 용액 (30 ml, 1.67 mol/L, 50 mmol)를 첨가하니, 용액의 색이 밝은 황색에서 백색 현탁액으로 변했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혼합물을 30분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을 중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20 ml 물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ml×3)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조합된 유기층을 포화염수(100 ml×1)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목적물질인 (S)-4-옥시라닐메틸(Oxiranylmethyl)-모르폴린 78b(5.52 g, 수율 77.2%)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144.4(M+1)
단계 2:(R)-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의 제조
(S)-4-옥시라닐메틸-모르폴린 78b (5.52 g, 38.6 mmol) 을 0°C이하로 유지하면서 빙-수 욕조에서 395 ml 수성 암모니아 (25%, 5.8 mol)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자연스럽게 상온으로 승온시키고, 추가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을 중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감압농축하여 목적물질인 (R)-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 78c (6.1 g, 수율 99%)을 밝은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161.3(M+1)
단계 3:(S)-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5-(3-메탄설포닐옥시-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1g (1.13 g, 2.9 mmol)를 교반하에 5.6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상온에서 (R)-1-아미노-3-모르폴린-4-일-프로판-2-올 78c (0.93 g,5.8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14시간동안 45°C로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을 중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에 15 ml 포화 염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3)으로 추출하고, 상기 조합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S)-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피롤-2,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78d(600 mg, 수율 72.5%) 을 황색 오일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54.2(M+1)
단계 4:(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 히드로-1H-피롤로 [3,2-c]아제핀-4-온의 제조
(S)-5-[3-(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3-메틸-1H- 피롤-2 및 4-디카르복실산 2-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78d (580 mg,1.28 mmol)을 아르곤 대기하에 6 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냉각시키고, 또한 톨루엔중 트리에틸알루미늄 용액(1.9 ml, 2 mol/L, 3.84 mmo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상기 빙-수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용액을 환류반응을 위해 24시간 가열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을 중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반응용매를 제거하고, 20 ml 염산 (6 mol/L)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고, 빙-수 욕조에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약 pH 12로 적정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 ml×2)으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 [3,2-c]아제핀-4-온 78e(300 mg, 수율 57.6%)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308.2(M+1)
단계 5:(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클로로메틸렌)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30 mg, 0.977 mmol)을 아르곤 대 기하에 교반하면서 3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빙-수 욕조에서 0°C로 냉각하였다.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3,2-c]아제핀-4-온 78e(300 mg, 0.977 mmol)을 교반하에 2 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0°C이하로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상온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용액에 반응을 중지하기 위해 수산화 나트륨 용액 (12 mol/L)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에 10 ml 포화 염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 혼합용매 (V:V=10:1) (100 ml×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 층을 포화염수 (100 ml×1)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제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질인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200 mg, 수율 61%)을 백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336.2(M+1)
단계 6:(S,Z)-2-((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 (50 mg, 0.149 mmol) 을 교반 하에 261 μ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28 mg, 0.134 mmol) 및 피페리딘(7.3 μl, 0.074 mmol) 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오일 욕조에서 80°C 온도로 암소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용액을 정지시키고, 오일욕조를 제거하였다. 반응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건조하여 목적물질인 (S,Z)-2-((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8(40 mg, 수율 57%)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69.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3(s, 1H, 피롤-NH),10.91 (s, 1H, 인돌-NH), 7.79~6.84(m, 3H, -ArH), 7.56(s, 1H, -CH=C),4.73(d, 1H, -OH),3.90(m, 1H, -CHOH), 3.76(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8(t, 4H, 모르폴린 2×-CH2O), 3.42(m, 2H, 7-원 환 -NCH2), 3.15(dd, 1H, 7-원 환외 아미드 -NCH2), 2.94(t, 2H, -CH2C=C), 2.457(s, 3H, 피롤-CH3), 2.413(m, 4H, 모르폴린 내 2×-CH2N), 2.306(m, 2H, 모르폴린 외-NCH2), 2.08(m, 2H, 7-원 환 CH2-CH2-CH2)
실시예 79.
(S,Z)-2-((5-클로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 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40 mg, 0.12 mmol l) 및 5-클로로-1,3-디히드로-인돌-2-온 (20 mg, 0.12 mmol)을 1.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엣 상기 용액에 6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S,Z)-2-((5-클로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79 (46 mg, 수율 79%)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85.2(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9(s, 1H, 피롤-NH),11.008 (s, 1H, 인돌- NH), 7.994(s, 1H, -ArH), 7.803(s, 1H, -CH=C), 7.159~6.869(m, 2H, -ArH), 4.727(d, 1H, -OH), 3.90(m, 1H, -CHOH), 3.76(dd, 1H, 7-원 환외 아미드 -NCH2), 3.58(t, 4H, 모르폴린 2×-CH2O), 3.418(m, 2H, 7-원 환 -NCH2), 3.15(m, 1H, 7-원 환외 아미드 -NCH2), 2.937(t, 2H, -CH2C=C), 2.464(s, 3H, 피롤-CH3), 2.428(m, 4H, 모르폴린 내 2×-CH2N), 2.299(m, 2H, 모르폴린 외 -NCH2), 2.076(m, 2H, 7-원 환 CH2-CH2-CH2)
실시예 80.
(S,Z)-2-((5-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0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 (40 mg, 0.12 mmol)
및 5-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 (25 mg, 0.12 mmol)을 1.5 ml 에탄올에 용해 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6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S,Z)-2-((5-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0 (51 mg, 수율 81%)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529.1(M+1)
1H NMR(400 MHz, DMSO-d6) δ13.673(s, 1H, 피롤-NH),11.014 (s, 1H, 인돌-NH), 8.120~8.115(s, 1H, -ArH), 7.807(s, 1H, -CH=C), 7.287~7.262(dd, 1H, -ArH), 6.847~6.826(d, 1H, -ArH), 4.734~4.722(d, 1H, -OH), 3.90(m, 1H, -CHOH), 3.792~3.748(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8(t, 4H, 모르폴린 2×-CH2O), 3.437~3.398 (m, 2H, 7-원 환 -NCH2), 3.193~3.140(m,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936(t, 2H, -CH2C=C), 2.465(s, 3H, 피롤-CH3), 2.431~2.420(m, 4H, 모르폴린 내 2×-CH2N), 2.315(m, 2H, 모르폴린 외-NCH2), 2.09(m, 2H, 7-원 환CH2-CH2-CH2)
실시예 81.
(S,Z)-2-((4-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린 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1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 (40 mg, 0.12 mmol) 및 4-브로모-1,3-디히드로-인돌-2-온 (25 mg, 0.12 mmol) 을 1.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6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S,Z)-2-((4-브로모-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모르폴린프로필)-3-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1 (34 mg, 수율 54%)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529.3(M+1)
1H NMR(400 MHz, DMSO-d6) δ13.647(s, 1H, 피롤-NH),11.185 (s, 1H, 인돌-NH),8.588(s, 1H, -CH=C), 7.238~7.218(d, 1H, -ArH), 7.095~7.055(t, 1H, -ArH), 6.956~6.936(d, 1H, -ArH), 4.739~4.726(d, 1H, -OH), 3.90(m, 1H, -CHOH), 3.800~3.757(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93~3.570(t, 4H, 모르폴린 2×-CH2O), 3.446(m, 2H, 7-원 환 -NCH2), 3.192(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956(t, 2H, -CH2C=C), 2.447~2.428(m, 4H, 모르폴린 내 2×-CH2N), 2.411(s, 3H, 피롤-CH3), 2.301(m, 2H, 모르폴린 외 -NCH2), 2.08(m, 2H, 7-원 환 CH2-CH2-CH2)
실시예 82.
(S,Z)-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르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2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40 mg, 0.12 mmol) 및 7-브로모-5-플루오로-1,3-디히드로-인돌-2-온 4b (27 mg, 0.12 mmol) 을 1.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6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S,Z)-2-((7-브로모-5-플루오로-2-옥소인돌린-3-일리덴)메틸)-5-(2-히드록시-3- 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5,6,7,8-테르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2 (48 mg, 수율 73.8%)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547.5(M+1)
1H NMR(400 MHz, DMSO-d6) δ13.665(s, 1H, 피롤-NH),11.188 (s, 1H, 인돌-NH),7.876~7.848(dd, 1H, -ArH), 7.797~7.055(s, 1H, -ArH), 7.270~7.241(dd, 1H, -ArH), 4.74(m, 1H, -OH), 3.93(m, 1H, -CHOH), 3.75 (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3.583(t, 4H, 모르폴린 2×-CH2O), 3.480~3.415(m, 2H, 7-원 환 -NCH2), 3.15(dd,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471(s, 3H, 피롤-CH3), 2.430(m, 4H, 모르폴린 내 2×-CH2N), 2.310(t, 2H, 모르폴린 외 -NCH2), 2.086(m, 2H, 7-원 환 CH2-CH2-CH2)
실시예 83.
(S,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 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의 제조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3
(S)-5-(2-히드록시-3-모르폴린-4-일-프로필)-3-메틸-4-옥소-1,4,5,6,7,8- 헥사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2-카르브알데히드 78f (40 mg, 0.12 mmol l) 및 4-메틸-1,3-디히드로-인돌-2-온 (18 mg, 0.12 mmol)을 1.5 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상기 용액에 6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첨가완료후, 반응혼합물을 16시간동안 45°C에서 교반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출발물질이 소멸됨을 확인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시키고,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무수 에탄올 (1 ml×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질인 (S,Z)-5-(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3-메틸-2-((4-메틸-2-옥소인돌린-3- 일리덴)메틸)-5,6,7,8-테트라히드로피롤로[3,2-c]아제핀-4(1H)-온 83 (35 mg, 수율 63.6%)을 황색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MS m/z (ESI):465.2(M+1)
1H NMR(400 MHz, DMSO-d6) δ13.715(s, 1H, 피롤-NH),10.934(s, 1H, 인돌-NH),7.572(s, 1H, -CH=C), 7.057(t, 1H, -ArH), 6.840~6.821(d, 1H, -ArH), 6.790~6.771(d, 1H, -ArH), 4.737~4.725(d, 1H, -OH), 3.92(m, 1H, -CHOH), 3.75 (dd, 1H, 7-원 환내 아미드 -NCH2), 3.58(t, 4H, 모르폴린 2×-CH2O), 3.441(m, 2H, 7-원 환 -NCH2), 3.15(m, 1H, 7-원 환외 아미드-NCH2), 2.939(t, 2H, -CH2CH=C), 2.594(s, 3H, 피롤-CH3), 2.426 (m, 4H, 모르폴린 내 2×-CH2N), 2.388(s, 3H, 피롤-CH3), 2.309~2.293(m, 2H, 모르폴린 외-NCH2), 2.078(m, 2H, 7-원 환 CH2-CH2-CH2)
실험예 1. 생물학적 시험법(세포 증식 억제 시험)
하기 시험관내 시험법(in vitro assay)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고 발현 호모사피엔스 암 세포주 (homo sapiens cancer cell-HUVEC cell)의 증식 억제(세포독성)에 미치는 활성도 및 서로 상이한 효과를 결정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본원에 개시된 세포 시험법은 항-신생혈관형성(anti-angiogenesis) 및 증식 저해활성 및 시험관내에서 화합물들의 암 세포주에 대한 VEGFR를 통한 효능을 시험하고자 함이다. 상기 효과 및 활성은 암세포를 죽이는 IC50 수치로 표기된다. 시험용 일반적인 절차는 하기와 같다: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고 발현 호모사피엔스 암 세포주를 선택하고 적절한 농도 (exp 5000 cells/ml 배지)에서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 상기세포를 약 85%로 충만시까지 이산화탄소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세포 배양 배지를 일련의 농도(일반적인 6 내지 7 농도들)로 시험화합물을 처리한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상기 세포를 배양기에 돌려 놓고 연속적으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후, 상기 세포들을 화합물들에 노출시키고 대조용 세포는 설포로다민 B(SRB) 방법을 이용하여 증식을 시험하는 데 사용하였다. 시험용 세포상의 화합물들의 IC50 는 일련 농도의 시험용 화합물들의 저해율 데이터로서 계산되었다.
1-1. 재료 및 방법
a.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Sinophma chemical reagent company, 제품 번호. T20050806)
b. HUVEC 세포 (구입처: Institute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c. 팔콘(Falcon) 100 mm 세포 배양 플레이트 (Baton Dickison Labware, Baton Dickison and company, 제품 번호.18677)
d. Corning 96-well 배양 클러스터(culture cluster) (Corning Incorporated, 제품 번호. 3599)
e. Fisher 피펫(Pipette) (Fisher scientific, 제품 번호. 03-692-164)
f. DMEM/F12 세포 배지 (Gibco, 제품 번호. 12400-024)
g.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호주 원산 (Gibco, 제품 번호. 10099-141)
h. 인산 완충 식염수 (Gibco, 제품 번호. 10010-072)
i. 0.25 % 트립신(Trypsin)-EDTA (Gibco, 제품 번호. 25200-056)
j. 설포로다민(Sulforhodamine) B (Sigma, 제품 번호. 3520-42-1)
k. 아세트 산 (Sinophma chemical reagent company, 제품 번호. T20060508)
l. 트리클로로초산(Trichloroacetic Acid; Sinophma chemical reagent company, 제품 번호. T20060305)
m. Tris 염기(base) (Amresco, 제품 번호. 0826)
n. Class II A/B3 Biological safety cabinet (ThermoForma, 제품 번호. HB0053-03)
o. Series II water jacketed CO2 배양기(incubator) (ThermoForma, 모델명(Model): 3111)
p. 원심분리기 (Fisher Scientific Marathon 8 k, 제품 번호 0027-02)
q. Novastar Plate reader (BMG Labtech, 제품 번호.700-0081)
r. Orbital Shaker (Qilinbeier, 제품 번호. TS-1)
1-2. 실험과정
하기 과정은 HUVEC 세포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IC50 수치의 세포 독성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1. HUVEC 세포를 37 °C, 5 % CO2하에서 100 mm 배양 플레이트(corning culture plates)에서 성장 배지(DMEM/F12, 10 % FBS 첨가)에서 완전 배양도(confluence)까지 성장시켰다.
2. HUVEC 세포를 FBS로 100 mm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세포를 트립신처리하여(trypsinization) 수확하고 6 웰/각 플레이트를 대조군으로 비어 놓고 50000 cells/ml 농도로 코닝(corning)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3. 상기 세포를 배양도(85%)까지 37 °C, 5 % CO2 조건하에서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서 성장시켰다.
4. 20 mM 농도로 후보 화합물들을 용해시키기 위해 DMSO를 이용하여 화합물 스톡 용액(stock solution)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DMSO를 여러 농도의 시험 화합물 용액 (즉, 2 mM, 1 mM, 0.2 mM, 20μM , 2 μM , 0.2 μM )로 스톡 용액을 희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5. 세포 배양 배지를 상기 화합물 용액를 희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이 경우는, DMEM/F12, 10 % FBS 첨가). 각 DMSO 일련 농도 화합물 용액을 95 ㎕ 배양 배지가 되도록 5 ㎕ DMSO 화합물 용액을 첨가하여 세포 배양물을 20배로 희석하고, 보르텍스(vortex)로 혼합하였다. 이는 HUVEC 세포가 노출되는 DMSO 농도가 0.5%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6. HUVEC 세포가 디쉬(dish) 바닥면에 부착하고 배양도가 약 85%이었고, 배양 배지를 10 % FBS 배지를 첨가한 새로운 DMEM/F12로 새로 갈아 주었다. 각 웰 에 180 ㎕ 배지를 넣고, 5 단계에서 얻은 시험용 화합물 배지 용액 20 ㎕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 세포로, 0.5 % 순수 DMSO를 포함한 20 ㎕ 배양 배지를 첨가하였다. 그래서, HUVEC 세포를 일련의 최종 농도가 100 μM , 10 μM , 5 μM , 1 μM , 0.1 μM , 0.01 μM , 및 0.001 μM 인 농도에서 각 시험 화합물에 노출시켰다.
7. 배양 플레이트를 배양기에 집어 놓고, 37 °C, 5 % CO2 하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8. 72 시간 후, 배양물을 배양기에서 제거하여 멸균된 작업장으로 옮겼다.
9. TCA에 시약급 물을 첨가하여 고정액 (50 % Trichloroacetic Acid-TCA) 을 준비하고, 성장 배지 상단에 찬 TCA 용액 50 ㎕ 를 깔아서 부드럽게 세포를 고정시켰다.
10. 플레이트를 4 °C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TCA, 혈청 단백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수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자연건조하고 사용전까지 보관하였다. 블랜드 배경 광학 밀도(Bland background optical density)를 세포 없이 성장 배지로 배양한 웰에서 측정하였다.
11. 0.4 % 설포로다민 B 용액을 10 % 초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50 ㎕ 설포로다민 B 용액을 96-웰 플레이트의 개개 웰에 첨가하였다.
12. 각 세포를 30분간 염색하였다. .
13. 10 % 아세트 산 세척용 용액을 준비하였다. 염색 기간 종료시에, 염색약을 제거하고 세포들을 1% 아세트 산으로 신속하게 제거했다. 비함침된 염색시약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단백질-결합 염색약(protein-bound dye)의 탈착(desorption)를 감소시키기 위해 세척 시간을 최소화했다. 세척후, 배양물을 자연건조시켰다.
14. 함침된 염색약을 동일 용량의 설포로다민 B에 용해시켰다. 가용화 용액(Solubilization solution; 10 mM Tris)을 배양 배지의 원래 용량와 일치시켰다. 그리고, 배양물을 상온에서 5분간 세워 놓고, 염색약의 혼합을 선회 진탕기(gyratory shaker)로 향상시켰다.
15. 흡광도를 흡수파장(565 nm)에서 분광기기로 측정하였다. 690nm에서의 96-웰 플레이트의 배경 흡광도를 측정하고 흡수파장(565 nm)에서의 측정치로부터 감산했다.
16. 저해율 (IR)은 하기 식과 같이 측정했다:
IR= 100×(대조군 흡광도(Absorbance of control cells)-개개 농도의 시험 화합물에 노출된 세포 흡광도(Absorbance of cells exposed to tested compounds at each concentration)/ 대조군 세포의 흡광도(Absorbance of control cells) %.
IC50 수치는 다양한 농도 경사에서의 화합물의 IRs로부터 산출가능하다.
1-3. 본 발명 화합물들의 활성 :
본 발명 화합물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상기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IC50 수치를 측정하고 하기 표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번호 IC 50 (VEGFR/HUVEC)(μM)
1 0.09
2 0.288
3 0.1
4 0.404
5 0.1
6 0.28
8 0.308
9 0.068
10 0.123
11 0.207
12 0.3
13 0.804
14 0.457
15 1.2
16 0.21
17 0.129
19 0.146
실험예 2: VEGF-R2 키나제 시험법(Kinase Assay)
본 시험법은 ELISA 시험법에서 재조합 인간 VEGF-R2의 시험관내 키나제 활성( in vitro kinase activity)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2-1. 재료 및 시약:
a. 세척용 완충액(Wash Buffer; PBS-T Buffer): 1x PBS (137 mM NaCl, 2.7 mM KCl, 4.3 mM Na2HPO4, 1.4 mM KH2PO4, pH 는 7.2로 적정) 및 0.05 % Tween-20.
b. PBS-T 완충액중 1 % 우태아혈청(Bovine Serum Albumin; BSA, Calbiochem #136593).
c. 중지용 완충액(Stop Buffer): 50 mM EDTA , pH 8.0.
d. DELFIAEuropium-표지 항-마우스(Anti-mouse) IgG (PerkinElmer Life Sciences #AD0124).
e. DELFIAEnhancement 용액 (PerkinElmer Life Sciences #1244-105).
f. DELFIAStreptavidin 피복(coated), 96-웰, 황색 플레이트 (PerkinElmer Life Sciences #AAAND-0005).
g. 재조합 인간 VEGF-R2 키나제 (50 mM Tris-HCl (pH 8.0), 100 mM NaCl, 5 mM DTT, 15 mM 환원 글루타치온(reduced glutathione)로 제공) 및 20 % glycerol) (Cell signaling technology #7787).
h. 10 mM ATP 용액 (Cell signaling technology #9804).
i. Biotin-Gastrin Precursor (Tyr87) 펩티드(Peptide) (Cell signaling technology #1310).
j. 포스포-티로신 마우스(Phospho-Tyrosine Mouse) mAb (P-Tyr-100) (Cell signaling technology #9411).
k. HTScan™Tyrosine 키나제 완충액(Kinase Buffer) (4x)
1x 키나제 완충액:
60 mM HEPES
5 mM MgCl2
5 mM MnCl2
3 μM Na3VO4
(Cell signaling technology #9805).
l. 1.25 M DTT (1000x) (Cell signaling technology).
2-2. 시험과정 :
하기 공정이 사용됨:
1. 시험용 화합물을 원하는 최종 시험 농도가 되도록 DMSO로 희석하였다. 1 ㎕ 시험 화합물, 음성 대조군 (어떠한 시험 화합물이 없는 시료), 1 ㎕ DMSO 을 각 시험에 첨가하였다.
2. 6 μM 기질 펩티드(substrate peptide; Tyr87)을 dH2O (1:1)로 희석하고, 15 ㎕ 를 각 시험에 첨가하였다.
3. VEGF-R2 효소를 즉시 80°C에서 얼음으로 이동하고, 효소를 얼음에서 녹도록 하였다.
4. 2.2 ㎍ VEGF-R2 효소를 각 효소 튜브에 넣었다.
5. 10 ㎕ DTT (1.25 M)을 2.5 ml of 4x HTScan™Tyrosine 키나제 완충액(240 mM HEPES pH 7.5, 20 mM MgCl2, 20 mM MnCl2, 12 μM Na3VO4)에 DTT/Kinase 완충액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하였다.
6. 0.75 ml DTT/Kinase 완충액을 4x 반응 칵테일(reaction cocktail)을 제조하기 위해 각 효소 튜브에 이동하고, 7.5 ㎕ 4x 반응 칵테일을 각 시험에 첨가하였다.
7. 2 ㎕ ATP (10 mM)을 498 dH2O에 첨가하고, 7.5 ㎕ 를 각 시험에 첨가하였다.
30 ㎕ 반응물을 위한 최종 시험 조건
60 mM HEPES pH 7.5
5 mM MgCl2
5 mM MnCl2
3 μM Na3VO4
1.25 mM DTT
10 μM ATP
1.5 μM 기질 펩티드
22 ng VEGF-R2 키나제
8. 본 반응 튜브는 25°C에서 30 분간 배양하였다.
9. 30㎕ / 어세이 중지 완충액(assay stop buffer; 50 mM EDTA, pH 8.0)을 반응을 중지하기 위해 첨가하였다.
10. 25 ㎕ 각 반응물 및 75 ㎕ dH2O/웰을 상온에서 60분간 진탕하면서, 96-웰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피복된 플레이트로 이동하였다.
11. 각 웰을 200 ㎕ PBS-T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과잉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종이 타올로 두들겼다.
12. 1차 항체, Phospho-Tyrosine mAb (P-Tyr-100)을 1% BSA로 PBS-T 완축액중 1:1000로 희석하고, 100 희석 항체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13. 반응 튜브를 60분동안 상온에서 진탕하면서 배양하였다.
14. 상기 11단계에 개시된 대로 세척을 수행하였다.
15. Europium 표지 항-마우스 IgG을 1% BSA로 PBS-T 완축액중 1:500로 희석하고, 100 ㎕ 희석 항체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16. 각 반응 튜브를 30분동안 상온에서 진탕하면서 배양하였다.
17. 각 웰을 200 ㎕ PBS-T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과잉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종이 타올로 두들겼다.
18. 100 ㎕ /well DELFIA Enhancement 용액을 첨가하였다.
19. 각 반응 튜브를 5분동안 상온에서 진탕하면서 배양하였다.
20. 형관 방출 파장(fluorescence emission)은 적절한 판독기기(Time-Resolved Plate Reader)로 615 nm에서 측정하였다.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저해율(inhibition rate: IR) (%) =100- 100*(X-B)/ (N-B)
X=시험 화합물 함유 웰의 형광 값 (the fluorescence value of the well contained test compound)
N=음 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B=블랭크(blank)
IC50 수치는 다양한 농도 경사에서의 화합물의 IRs로부터 산출가능하다.
2-3. 본 발명 화합물들의 활성
본 발명 화합물들의 생화학적 활성은 상기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IC50 수치를 측정하고 하기 표3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번호 IC 50 (VEGFR/bio)(μM)
1 0.014
2 0.021
3 0.28
4 0.041
5 0.0085
6 0.023
7 0.69
8 0.115
9 0.49
10 0.014
11 0.001
12 0.001
13 0.003
14 0.004
15 0.002
16 0.0013
17 0.001
18 0.01
19 0.012
20 0.072
21 0.16
실험예 3. 생체내 약물동력학적 시험 (PHARMACODYNAMIC ASSAYS IN VIVO)- 누드 마우스의 HT-29 인간 암 세포주의 이종이식에 대한 본 발명 실시예 63 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
1. 요약:
누드 마우스의 HT-29 인간 암 세포주의 이종이식에 대한 본 발명 실시예 63 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 63 화합물의 연속적인 경구투여가 HT-29 인간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강력하게 저해하고 종양 크기를 감소시켰으며, 마우스는 화합물에 잘 견딜 수 있었다.
2. 목적:
누드 마우스의 HT-29 인간 암 세포주의 이종이식에 대한 본 발명 실시예 63 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3. 시험 약물:
약물 명 및 배취(Drug name and batch): 실시예 63 화합물은 황색 분말이다.
조제 방법: 실시예 63 화합물은 증류수로 사응하는 농도로 제조하였다.
4. 시험 동물:
6 내지 7 주령의 BALB/cA-누드 웅성 마우스(nude female mice)를 회사( Slaccas Experimental Animal. Certificate No.: SCXK(Shanghai) 2003~0003에서 구입하였다. 사육 조건: SPF 수준.
5. 시험 과정:
누드 마우스를 HT-29 인간 결장 암세포주가 피하 주사된 것이다. 종양이 100-300mm3로 성장한 후에 마우스를 무작위로 팀(d0)들을 나누었다. 투여방법 및 용량은 하기 표 4에 표기되었다. 종양크기 및 마우스 체중은 주당 2-3회 측정하였다. 종양 크기(V)의 계산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V=1/2×a×b2, a: 종양 길이, b: 종양 폭.
누드 마우스에서의 HT-29 인간 암 세포주의 이종이식에 대한 본 발명 실시예 63 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
용량 (mg/kg) 투여법 동물수 TV (X±SD,mm3) RTV T/C (%)
d0/dn d0 dn X±SD
Control p.o 9/9 291±66 729±298 2.54±1.01
실시예 63 화합물 40 d0~12 5/5 364±46 300±154 0.80±0.42 31.5*
d0: 초회 투여 시간; dn: 최초 투여후 13일째 날; TV: 종양 크기; RTV: 상대적 종양 크기; *P<0.01 vs 대조군.
6. 결론:
실시예 63 화합물은 HT-29 인간 결장 암세포의 성정을 명백하게 저해하였고 종양 크기를 감소시켰고; 마우스는 뚜렷한 독성없이 화합물에 잘 견딜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식 (I)의 화합물은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고 발현 호모사피엔스 암 세포주 (homo sapiens cancer cell-HUVEC cell)의 증식 및 조합 인간 VEGF-R2의 시험관내 키나제 활성( in vitro kinase activity)을 효과적 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HT-29 인간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므로 프로테인 키나제를 관련 질환인 백혈병(leukemias), 당뇨병(diabete), 자가면역증 질환(autoimmune diseases), 증식증(hyperplasias), 소양증 등의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Claims (19)

  1. 하기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4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 메틸기, 아릴기(aryl) 및 아르알킬기(aralky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메틸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추가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시클로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 킬기, 헤테로시클로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아미노알킬기(aminoalkyl),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헤테로시클로 알킬기(heterocyclo alkyl), 카르복실 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 산 에스테르(carboxylic ester)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됨);
    단, X가 질소원자인 경우는, R5 은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단, X가 탄소원자인 경우는, R5,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cyano),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 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z 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의 R3 가 메틸기인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의 R1 및 R2 가 수소원자인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4.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IA)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5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됨);
    단, X 가 질소원자 인 경우, R5 는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단, X 가 탄소원자 인 경우, R5, R6, R7,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 로 구성된 군으 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IB)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6
    상기 식에서
    X 는 탄소원자 및 질소원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 는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및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됨);
    단, X 가 질소원자 인 경우, R5 는 없고, R6, R7,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할로겐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단, X 가 탄소원자 인 경우, R5, R6, R7,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알킬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OR9, -O[CH2CH2O]rR11, -NR9R10, -(CH2)nCO2R9, -(CH2)nCONR9R10, -COR9, -NR9COR10, -SO2R9 및 -NHCO2R1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환 알킬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임의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1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2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3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4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5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6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7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89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0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1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2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3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4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5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6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7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8
    Figure 112009068885042-PCT00299
    .
  7.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의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말릭산 (m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익산(male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메탄설폰산 (methanesulfonic acid), 황산(sulfu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초산(acetic acid) 및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trifluoroacet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으로 생성되는 염인 피롤로-니크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
  9. 일반식(I)의 화합물 합성중에서 중간체인 일반식 (IC) 또는 (ID)로 표기되는 화합물: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0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1
    상기 식에서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는 알킬기, 트리플로오로 메틸기, 아릴기(aryl) 및 아르알킬기(aralky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추가로 치환됨);
    R4 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아릴기,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CH2)n(OCH2CH2)rR11, -[CH2CH(OH)]rCH2NR9R10 및 -(CH2)n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여기에서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 기, 아미드기, 아미노카보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아미노알킬기(aminoalkyl), 히드록시알킬기(hydroxyalkyl), 헤테로환 알킬기(heterocyclo alkyl), 카르복실 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 산 에스테르(carboxylic ester)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됨);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aryloxy),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임);
    R9 및 R10 는 인접된 원자들과 서로 연결되어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5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N, O 및 S 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를 추가로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원 내지 8원 헤테로 환은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알킬기(haloalkyl),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헤테로환 알킬기,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NR9R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추가로 치환됨);
    R11 은 수소원자 및 알킬기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n 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z 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및
    r 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10.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IC)의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하기 구조식(IC-1)의 피롤 메틸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methyl carboxylic diester) 출발물질을 상온에서 초산 존재하에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로 암모늄 세릭 니트레이트(ammonium ceric nitrate)와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수득하는 제 1단계; 및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2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 IC-2)를 (카르브에톡시 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carbethoxy methylene)triphenylphosphorane)과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하에서 위티그 반응( Witting reaction)을 수행하여 하기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복실 산 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3
    하기 구조식(IC-3)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테닐 디카르복실 산 에스테르(pyrrole ethoxycarbonyl ethenyl dicarboxylic ester)을 상온에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에 의해 환원시켜 하기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수득하는 제 3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4
    하기 구조식(IC-4)의 피롤 에톡시카르보닐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수성 수산화 리튬 용액에서 가수분해하여 하기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4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5
    하기 구조식(IC-5)의 피롤 카르복실 에틸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carboxyl ethyl dicarboxylic ester)를 -20 내지 -5°C 온도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하에서 보란-테트라히드로퓨란 (borane-tertrahydrofuran) 용액으로 환원시켜 하기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수득하는 제 5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6
    하기 구조식(IC-6)의 피롤 히드록시 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pyrrole hydroxypropyl dicarboxylic ester)을 -20 내지 -5°C 온도 및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용매하에서 메실화시켜(mesylating) 하기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6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7
    하기 구조식(IC-7)의 피롤 메틸설포닐-프로필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methylsulfonyloxy-propyl dicarboxylic ester)를 상이한 아민들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을 수득하는 제 7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8
    하기 구조식(IC-8)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pyrrole amide dicarboxylic ester)을 환류하에 톨루엔 용매에서 트리메틸 알루미늄(trimethyl aluminmum)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수득하는 제 8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09
    하기 구조식(IC-9)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에스테르(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ester)를 아르곤 대기하에 30 내지 50°C온도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C)의 피롤로폐환된 7원 아자-헤테로환 포름알데히드(pyrrolofused seven-membered aza-heterocyclic formaldehyde)를 수득하는 제 9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0
    .
    상기 식에서
    R2, R3 및 R4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ID)의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하기 구조식(IC-2)의 피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ldehyde carboxylic diester)를 아르곤 가스 대기하에서 상온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조건 하에서 그리그나드 시약인 시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cyclopropylmagnesium bromide)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수득하는 제 1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1
    구조식(ID-1)의 피롤 시클로프로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cyclopropyl hydroxycarboxylic diester ID-1)를 메탄올 용매에서 브롬산(hydrobromic acid)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수득하는 제 2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2
    구조식(ID-2)의 브로모-부테닐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enyl pyrrole diester)를 상온에서 팔라듐/탄소로 촉매화된 수소로 무수 에탄올 용매하에서 환원 시켜 하기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수득하는 제 3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3
    구조식(ID-3)의 브로모-부틸 피롤 디에스테르 (bromo-butyl pyrrole diester ID-3)를 환류하에서 디클로로메탄중 상이한 아민으로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수득하는 제 4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4
    하기 구조식(ID-4)의 피롤 아미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pyrrole amide dicarboxylic diester ID-4)를 환류 하에서 톨루엔중 트리에틸 알루미늄과 반응시켜 구조식(ID-4)의 피롤폐환된 8원 아자-헤테로환 알데히드 (pyrrolofused eight-membered aza-heterocyclic aldehyde ID)를 수득하는 제 5단계: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5
    상기 식에서
    R2, R3 및 R4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2. 옥스인돌(oxindole)을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페리딘의 존재하에 알데히드와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 내지 12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의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pyrrolo-nitrogenous heterocyclic derivatives)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여기에서 알데히드는 하기 일반식 (IC) 또는 (ID)이고, 옥스인돌은 하기 일반식 (III)이다):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6
    (IC)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7
    (ID)
    Figure 112009068885042-PCT00318
    (III)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및 R8 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3.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를 제1 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피롤로-니크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가능한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프로테인 키나제의 촉매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TKs), 비수용체성 프로테인 티로신 키나제(non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s; CTKs) 및 세린-쓰레오닌 프 로테인 키나제(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s; STK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5.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개시된 화합물의 용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VEGFR-2, EGFR, HER-2, HER-3, HER-4, PDGFR, c-Kit, c-Met, FGFR 및 Flt3과 관련된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백혈병(leukemias), 당뇨병(diabete), 자가면역증 질환(autoimmune diseases), 증식증(hyperplasias), 소양증(psoria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류마티스성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신생혈관형성증(angiogenesis), 심혈관계 질병(cardiovascular diseases), 본 헤펠-린도 질병 (von Heppel-Lindau disease),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s), 및 섬유화증(fibrosis)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인 키나제 관련 질환은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비-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성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림프종(lymphoma), 갑상선 선종(thyroid adenocarcinoma),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 암(head and neck cancer), 자궁암(uterine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흑색종(melanoma), 방광암(bladder cancer), 방광 및 비뇨기계에서의 암육종(carcinosarcoma), 위장관 암종(gastrointestinal carcinoma), 신경교종(gliomas), 결장암(colorectal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로부터 선택된 암인 용도.
  19.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를 제 7항에 기재된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프로테인 키나제의 촉매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
KR1020097023405A 2007-05-14 2008-05-14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 Ceased KR20100022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107463 2007-05-14
CN200710107463.8 2007-05-14
CN2008100875648A CN101307052B (zh) 2007-05-14 2008-04-11 吡咯并n杂环类衍生物的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200810087564.8 2008-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003A true KR20100022003A (ko) 2010-02-26

Family

ID=4000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405A Ceased KR20100022003A (ko) 2007-05-14 2008-05-14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329682B2 (ko)
EP (1) EP2157093A4 (ko)
JP (1) JP5342547B2 (ko)
KR (1) KR20100022003A (ko)
CN (2) CN101307052B (ko)
AU (1) AU2008250895B2 (ko)
BR (1) BRPI0811865A2 (ko)
CA (1) CA2685757A1 (ko)
MX (1) MX2009011964A (ko)
TW (1) TWI409263B (ko)
UA (1) UA99617C2 (ko)
WO (1) WO2008138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8184A1 (fr) * 2007-05-14 2008-11-20 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Ltd. Dérivés de pyrrolo-azacycles,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ant qu'inhibiteurs de protéine kinases
WO2011056985A2 (en) * 2009-11-04 2011-05-12 Gilead Sciences, Inc.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CN102146082A (zh) * 2010-02-04 2011-08-10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吡咯并n杂环类衍生物的可药用的盐、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DK2918588T3 (en) 2010-05-20 2017-08-28 Array Biopharma Inc Macrocyclic compounds as TRK kinase inhibitors
AU2013211888B2 (en) * 2012-01-26 2017-08-31 Angion Biomedica Corp. Antifibrot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IN2015DN00659A (ko) * 2012-08-07 2015-06-26 Janssen Pharmaceutica Nv
CN104119321B (zh) * 2013-04-28 2017-09-08 齐鲁制药有限公司 二氢吲哚酮衍生物的二马来酸盐及其多晶型物
EA035049B1 (ru) 2015-07-16 2020-04-22 Аррэй Байофарма Инк. СОЕДИНЕНИЯ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О[1,5-a]ПИРИДИН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RET КИНАЗЫ
KR102708246B1 (ko) * 2016-01-08 2024-09-23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식도암을 치료하기 위한 퀴놀린 유도체의 용도 및 치료방법,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키트
JOP20190077A1 (ar) 2016-10-10 2019-04-09 Array Biopharma Inc مركبات بيرازولو [1، 5-a]بيريدين بها استبدال كمثبطات كيناز ret
TWI704148B (zh) 2016-10-10 2020-09-11 美商亞雷生物製藥股份有限公司 作為ret激酶抑制劑之經取代吡唑并[1,5-a]吡啶化合物
US11168090B2 (en) 2017-01-18 2021-11-09 Array Biopharma Inc. Substituted pyrazolo[1,5-a]pyrazines as RET kinase inhibitors
WO2018136663A1 (en) 2017-01-18 2018-07-26 Array Biopharma, Inc. Ret inhibitors
JOP20190213A1 (ar) 2017-03-16 2019-09-16 Array Biopharma Inc مركبات حلقية ضخمة كمثبطات لكيناز ros1
JP7352284B2 (ja) * 2017-05-15 2023-09-28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LSD-1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ピロロ〔2,3-c〕ピリジン及び関連類似体
TWI791053B (zh) 2017-10-10 2023-02-01 美商亞雷生物製藥股份有限公司 6-(2-羥基-2-甲基丙氧基)-4-(6-(6-((6-甲氧基吡啶-3-基)甲基)-3,6-二氮雜雙環[3.1.1]庚-3-基)吡啶-3-基)吡唑并[1,5-a]吡啶-3-甲腈之結晶形式及其醫藥組合物
TWI876442B (zh) 2017-10-10 2025-03-11 美商絡速藥業公司 6-(2-羥基-2-甲基丙氧基)-4-(6-(6-((6-甲氧基吡啶-3-基)甲基)-3,6-二氮雜雙環[3.1.1]庚-3-基)吡啶-3-基)吡唑并[1,5-a]吡啶-3-甲腈之調配物
WO2019097112A1 (en) 2017-11-17 2019-05-23 Fermion Oy Synthesis of a 2-indolinone derivative known as intermediate for preparing nintedanib
CN111971286B (zh) 2018-01-18 2023-04-14 阿雷生物药品公司 作为RET激酶抑制剂的取代的吡咯并[2,3-d]嘧啶化合物
US11472802B2 (en) 2018-01-18 2022-10-18 Array Biopharma Inc. Substituted pyrazolyl[4,3-c]pyridine compounds as RET kinase inhibitors
WO2019143991A1 (en) 2018-01-18 2019-07-25 Array Biopharma Inc. SUBSTITUTED PYRAZOLO[3,4-d]PYRIMIDINE COMPOUNDS AS RET KINASE INHIBITORS
JP2022500383A (ja) 2018-09-10 2022-01-04 アレイ バイオ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t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縮合複素環式化合物
CN112538086B (zh) * 2020-12-14 2021-11-12 承德医学院 杂卓并三唑环同吲哚羧酸拼合物及其盐、其制备方法及医药用途
CN113634240B (zh) * 2021-08-26 2023-10-27 宏葵生物(中国)股份有限公司 荧光磁性复合纳米纤维、其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702A (en) 1996-08-02 1999-02-02 Cv Therapeutics, Incorporation Purine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 2
AU3363599A (en) * 1998-03-26 1999-10-18 Max-Planck Institut Fur Biochemie Heterocyclic families of compounds for the modulation of tyrosine protein kinase
ES2267605T3 (es) * 1999-12-22 2007-03-16 Sugen, Inc. Uso de compuestos de indolinona para la fabricacion de productos farmaceuticos destinados a modular la funcion de la c-kit-tirosina-proteina-quinasa.
CO5280092A1 (es) 2000-02-15 2003-05-30 Sugen Inc Indolinas susutituidas con pirroles inhibidoras de proteinquinasas
US6465507B2 (en) * 2000-02-28 2002-10-15 Sugen, Inc. 3-(pyrolyllactone)-2-indolinone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CA2410509A1 (en) 2000-06-02 2001-12-13 Sugen, Inc. Indolinone derivatives as protein kinase/phosphatase inhibitors
WO2002002551A1 (en) * 2000-06-30 2002-01-10 Sugen, Inc. 4-heteroaryl-3-heteroarylidenyl-2-indolinones and their use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2055517A2 (en) * 2000-12-20 2002-07-18 Jingrong Cui 4-(hetero)aryl substituted indolinones
US6599902B2 (en) * 2001-05-30 2003-07-29 Sugen, Inc. 5-aralkysufonyl-3-(pyrrol-2-ylmethylidene)-2-indolino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BR0212435A (pt) * 2001-09-10 2004-08-17 Sugen Inc Derivados de 3-(4,5,6,7-tetraidroindol-2-ilmetilideno)-2-indolinona como inibidores de cinase
US20040186160A1 (en) * 2002-12-13 2004-09-23 Sugen, Inc. Hexahydro-cyclohepta-pyrrole oxindole as potent kinase inhibitors
CN101007815B (zh) * 2006-01-27 2010-06-2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吡咯并六元杂环化合物及其在医药上的用途
CN101007814A (zh) * 2006-01-27 2007-08-01 上海恒瑞医药有限公司 吡咯并六元杂环化合物及其在医药上的用途
PT1973910E (pt) * 2006-01-27 2013-09-06 Shanghai Hengrui Pharm Co Ltd Inibidores de pirrolo [3,2-c] piridina-4-ona 2-indolinona proteína cinase
WO2008138184A1 (fr) * 2007-05-14 2008-11-20 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Ltd. Dérivés de pyrrolo-azacycles,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ant qu'inhibiteurs de protéine kin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50895B2 (en) 2012-08-02
CN101307052B (zh) 2011-08-17
US8329682B2 (en) 2012-12-11
CN101675061A (zh) 2010-03-17
RU2009141799A (ru) 2011-06-20
MX2009011964A (es) 2009-12-01
US20130303518A1 (en) 2013-11-14
JP2010526838A (ja) 2010-08-05
TWI409263B (zh) 2013-09-21
JP5342547B2 (ja) 2013-11-13
TW200946530A (en) 2009-11-16
WO2008138184A1 (fr) 2008-11-20
AU2008250895A1 (en) 2008-11-20
CN101675061B (zh) 2012-07-04
US20100075952A1 (en) 2010-03-25
UA99617C2 (ru) 2012-09-10
CN101307052A (zh) 2008-11-19
EP2157093A1 (en) 2010-02-24
HK1137027A1 (en) 2010-07-16
HK1121757A1 (en) 2009-04-30
EP2157093A4 (en) 2012-03-07
CA2685757A1 (en) 2008-11-20
BRPI0811865A2 (pt)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2003A (ko) 피롤로-니트로겐성 헤테로환 유도체, 이의 제법 및 이의 약학적 용도
ES2426448T3 (es) Inhibidores de proteína quinasa de pirrolo[3,2-c]piridin-4-ona 2-indolinona
WO2007085205A1 (fr) Dérivés de 2-indolinone à substitution pyrolle,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médicales
TW200835480A (en) Azulene compounds
WO2008138232A1 (fr) Dérivés pyrrolo-azotés hétérocycliques, leur pré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WO2007082470A1 (fr) Dérivés de pyrrolo-pyridazine,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CN104109160B (zh) 吡咯并n杂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RU2473543C2 (ru)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азотистые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рола, их получение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WO2007115473A1 (fr) Inhibiteurs à base de dérivés de pyrrole, leurs utilisations thérapeutiques
HK1115879B (en) Pyrrolo [3,2-c] pyridine-4-one 2-indolinone protein kinase inhibitors
HK1121757B (en) Pyrroloazacyclic derivatives, preparing method and use thereof
HK1137027B (en) Pyrrolo-nitrogenous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the pharmaceutical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