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0797A -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 Google Patents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797A
KR20100010797A KR1020080071838A KR20080071838A KR20100010797A KR 20100010797 A KR20100010797 A KR 20100010797A KR 1020080071838 A KR1020080071838 A KR 1020080071838A KR 20080071838 A KR20080071838 A KR 20080071838A KR 20100010797 A KR20100010797 A KR 2010001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incision
network
mesh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종
Original Assignee
(주)일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산금속 filed Critical (주)일산금속
Priority to KR102008007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797A/ko
Publication of KR2010001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체를 말아 원통형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들을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여 지면에 고정핀을 박아 연결 고정한 후 흙을 채워 절개지 사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자연친화적인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절개지 사면을 보강함에 있어서, 통형상의 망체(10a),(10b)를 상기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고, 복수의 고정핀(11)을 지표에 박아 상기 망체(10a),(10b)들을 고정하고, 상기 망체(10a),(10b) 내부 및 외부에 흙이나 잡석을 채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망체(10a),(10b)들은 서로 밀착되게 포설하고, 인접한 망체(10a),(10b)들과의 접면부에 상기 고정핀(11)을 박아 각 망체(10a),(10b)들을 연결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 보강토 공법 및 구조물은, 절개지 사면에 포설되어 고정핀에 의해 서로 얽어매어진 망체에 의해 절개지 사면의 표토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식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각종 풀이나 나무의 식재가 가능하여 장기적으로는 식물에 의해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도록 하는 자연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함과 아울러 시공도 간편하여 적은 시공비용으로 신속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강토, 망, 핀, 절개지, 사면, 식생, 배수공

Description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망체를 말아 원통형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들을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여 지면에 고정핀을 박아 연결 고정한 후 흙을 채워 절개지 사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자연친화적인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둑, 제방을 위해 부득이 형성되는 절개지 사면이 형성된다. 만일, 절개지 사면을 방치해둘 경우에는 토사가 무너져 내려 둑이나 제방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거나 도로의 기능을 무력화시키게 된다.
때문에 상기 절개지 사면에는 석재나 블록, 콘크리트 등과 같은 것들로 옹벽을 형성하거나 또는 돌망태나 개비온으로 절개지 사면을 보강한다.
그 외에도 지표면에 큰 앵커핀을 박아 이에 콘크리트나 금속 구조물을 결합하여 절개지 사면의 표토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공법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옹벽, 돌망태, 개비온 등과 같은 보강구조물은 수목의 식재공간이 없거나 식재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랜 시간이 지남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비용이 높고 공기가 길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절개지 사면이 높을 경우에는 더욱더 작업이 난해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순한 형상의 망체 구조물을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여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서로를 얽어매어 망체 내에 채워진 절개지 사면의 표토를 견고히 안정화시켜 절개지 사면이 무너지거나 유실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 구조물 외부 노출을 최대한 억제함과 아울러 식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식물에 의해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도록 하는 자연친화적인 보강토 구조물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 사면을 보강함에 있어서,
통형상의 망체를 상기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고,
복수의 고정핀을 지표에 박아 상기 망체들을 고정하고,
상기 망체 내부 및 외부에 흙이나 잡석을 채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통형상의 망체와,
상기 절개지 사면에 포설된 망체를 지표에 박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망체는,
복수의 배수공을 형성한 길이를 갖는 금속판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고,
상기 금속판을 말아 양 말단부를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망체의 하부에 개방된 배수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에 형성된 개방형 배수공과 배수공 사이에 지면에 박힘 되는 첨단부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보강토 공법 및 구조물은, 절개지 사면에 포설되어 고정핀에 의해 서로 얽어매어진 망체에 의해 절개지 사면의 표토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식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각종 풀이나 나무의 식재가 가능하여 장기적으로는 식물에 의해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도록 하는 자연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함과 아울러 시공도 간편하여 적은 시공비용으로 신속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구조물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구조물 시공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시공 완료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는 보강 구조물은 원통형의 망체(10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망체(10a)는 길이가 긴 철망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말아 양 말단부를 연결수단 즉, 볼트나 용접 또는 그 외의 부착방법으로 연결하면 높이를 갖는 원통형 망체(10a)가 형성된다. 물론 망체(10a)의 형상은 원통형 외에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선택하여 채택할 수 있다. 망체의 높이는 절개지 사면의 여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체(10a)와 더불어 상기 망체(10a)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 하기 위한 고정핀(11)이 구성된다. 고정핀(11)은 망체(10a)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걸고리(12)가 형성되어 망체(10a)의 상단을 걸도록 구성되고 하단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힘 되도록 첨단부(16)를 이룬다.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핀(11)이 지면에 박힘 된 후 역으로 뽑히지 않도록 고정핀(11)의 둘레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핀(11)을 지면에 박는 방법 중 하나는 하단의 첨단부(16)를 상기 망체의 구멍을 지그재그로 관통시킨 후 절개지 사면에 박아 망체(10a)를 고정시는 방법도 있다.
망체(10a)는 절개지 사면에 포설되는데,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서로를 인접되게 밀착시킨 후 밀착된 망체(10a)들의 접면부에 상기 고정핀(11)을 박아 각 망체(10a)들을 연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각 망체(10a)들이 연결됨에 따라서 서로를 지지하므로 더욱더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0a)의 상단에 보조지지부재(13)를 연결설치할 수 있다. 이는 지지력이 취약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품인데, 주로 고정핀(11)이 박힘 설치된 부분과 최대 멀리 떨어진 위치를 연결하여 보강한다. 이 보조지지부재(13)는 망체(10a)의 찌그러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망체(10a)가 절개지 사면에 설치완료되면, 상기 망체(10a)의 상부에 주변의 흙이나 잡석과 같은 채움물을 채운다. 좀더 견고한 지면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움물을 다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망체(10a)의 내부와 외부에 채움물이 채워지면 채워진 채움물이 외부로 유실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표면마감망(14)을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 절개지 사면의 조건 즉, 경사각의 정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토 구조물이 시공 완료되면 채움물(흙)에 원하는 식물을 식재한다. 일반적으로 생명력이 뛰어난 잔디나 풀 나무 등과 같은 식물을 심는다. 식재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큰 나무를 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공이 완료되면 보강토 구조물인 망체(10a)나 고정핀(11) 등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그 상단만 노출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상기 보강토 구조물이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주변의 자연환경과 잘 어울리게 된다.
또한, 시간이 흘러 식재된 식물들의 생장이 활발히 진행되면, 식물의 뿌리로 인하여 더욱더 견고한 절개지 사면을 이룰 수 있으므로 더욱더 자연친화적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보강토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망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금속판체(내부식성이 양호한 재질이 바람직함)에 복수의 배수공(15a)을 형성한 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둥글게 말은 후 그 양 말단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수공(15a)은 주로 타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방법은 용접이나 융착에 의할 수도 있고, 양단을 겹친 후 피스나, 나사, 볼트와 같은 것으로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망체(10b)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단순히 철망으로 이루어진 망체보다 재질은 고가이지만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공정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a에서는 망체(10b)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15b)이 하향 개방되어 있다. 이 하향 개방형 배수공(15b)은 지표로 유입된 빗물이 표토의 내부로 자연 배수되도록 한다. 만일, 망체(10b)의 하부가 단순한 배수공(15a) 구조일 경우에는 망체(10b)의 하단부가 차단막 기능을 하여 원활한 물흐름에 장애가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망체(10b) 하부의 배수공(15b)을 하향 개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물은 망체(10b)에 지장을 받지 않고 개방형 배수공(15b)을 통해 원활히 흐르게 된다.
도 5b에서는 망체(10b)의 하부에 하향 개방형 배수공(15b)과의 사이에 하향 첨단부(16)를 형성하였다. 상기 첨단부(16)는 지표면에 박힘 되어 망체(10b) 내의 채움물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첨단부(16)가 경시지 지면에 박힘 되어 지면과의 마찰력 및 부착력을 대폭 향상시킨다. 따라서 절개지 사면을 더욱더 견고하게 보강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 망체에 보강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망체에 형성된 보강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10b)의 길이방향으로 보강살(16)을 띠를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도면에서 표현된 상기 보강살(16)은 판 형상의 망체(10b)의 상부 또는 하부를 도 7에서와 같이 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띠를 이루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망체(10b)에 보강살(16)이 형성됨에 따라 망체(10b)의 내부에 채 워지는 토사와 같은 채움물에 의해 압력을 받더라도 변형이 없는 견고한 내구력을 발휘하므로 지반의 지지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망체(10a),(10b)는 금속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신장시켜 형성하는 플라스틱 망상체 등) 또는 폐합성수지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즉, 합성수지판에 복수의 배수공(15a)(15b)을 형성하여 망체(10b)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망체(10b)는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망체(10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속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구조물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구조물 시공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시공 완료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또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망체에 보강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망체에 형성된 보강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망체 11 - 고정핀
12 - 걸고리 13 - 보조지지부재
14 - 표면마감망 15a,15b - 배수공
16 - 첨단부

Claims (7)

  1. 절개지 사면을 보강함에 있어서,
    통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망체(10a),(10b)를 상기 절개지 사면에 포설하고,
    인접한 상기 망체(10a),(10b)들과의 접면부에 상기 고정핀(11)을 지표에 박아 각 망체(10a),(10b)들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망체(10a),(10b) 내부 및 외부에 흙이나 잡석을 채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1)으로 절개지 사면에 설치된 망체(10a),(10b)에 채움물이 채워진 후 그 상부에 표면마감망(14)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토 공법.
  3. 절개지 사면을 보강하는 것에 있어서,
    길이를 갖는 망체를 통 형상을 말아 그 양단을 연결고정하여 구성된 복수의 망체(10a),(10b)와;
    인접한 상기 망체(10a),(10b)들을 절개지 사면에 포설한 후 인접하는 각 망체(10a)(20b)들의 접면부에서 지면으로 박아 상기 망체(10a)(10b)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핀(1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복수의 배수공(15a)을 형성한 길이를 갖는 판체를 말아 그 양 말단부를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10b)의 하단에 하향 개방된 복수의 배수공(15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10b)의 하부에 하향 개방된 배수공(15b)과 배수공(15b) 사이에 지면에 박힘 되는 첨단부(16)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 구조물.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망체의 길이방향으로 보강살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사면의 보강 구조물.
KR1020080071838A 2008-07-23 2008-07-23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KR20100010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38A KR20100010797A (ko) 2008-07-23 2008-07-23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38A KR20100010797A (ko) 2008-07-23 2008-07-23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97A true KR20100010797A (ko) 2010-02-02

Family

ID=4208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38A KR20100010797A (ko) 2008-07-23 2008-07-23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7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17B1 (ko) * 2010-05-20 2013-01-07 재 술 나 토사 흐름방지 및 녹화를 위한 사면 안정화 시공방법
CN105910873A (zh) * 2016-07-07 2016-08-31 河海大学 一种加筋植物土力学特性室内试验原状样制备方法
KR20230102535A (ko) * 2021-12-30 2023-07-07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17B1 (ko) * 2010-05-20 2013-01-07 재 술 나 토사 흐름방지 및 녹화를 위한 사면 안정화 시공방법
CN105910873A (zh) * 2016-07-07 2016-08-31 河海大学 一种加筋植物土力学特性室内试验原状样制备方法
KR20230102535A (ko) * 2021-12-30 2023-07-07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KR20200009620A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0737768B1 (ko) 식생게비온판넬
JP7498486B2 (ja) 植生マットの施工方法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RU258281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100010797A (ko)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874961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101230275B1 (ko)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
JP3431783B2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0514576B1 (ko) 사면녹화 안정공법
KR20130037781A (ko)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102232402B1 (ko)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CN212316949U (zh) 边坡的支护结构
KR102180601B1 (ko)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JP3720969B2 (ja) 法面、壁面等の緑化構造
KR102602839B1 (ko) 식생토낭 고정장치
JPH0136990Y2 (ko)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