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024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49A
KR20100010249A KR1020080071149A KR20080071149A KR20100010249A KR 20100010249 A KR20100010249 A KR 20100010249A KR 1020080071149 A KR1020080071149 A KR 1020080071149A KR 20080071149 A KR20080071149 A KR 20080071149A KR 20100010249 A KR20100010249 A KR 2010001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cooking
cooking vessel
heat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249A/ko
Publication of KR2010001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조리기기, 쿡탑, 이동 가열부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란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조리기기는 오븐, 쿡탑, 가스 레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쿡탑은 주로 전기를 이용하여 복사 가열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쿡탑은 내부에 가열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부분인 쿡존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조리용기를 정해진 위치에 올려 조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리기기에 올려진 조리용기를 위치를 파악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이동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복사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이동되는 레일부를 포 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하부에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상판의 상측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상기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원형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용기가 놓여질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동되기 전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횡축 레일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횡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횡축 모터와,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종축 레일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종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종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리기기에 조리용기를 잘못 올려놓아 조리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조리기기의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부분인 쿡존이 표시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이동하는 가열부 외에 고정된 가열부가 구비되어 용량이 큰 조리용기에 대비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115)에 조리용기(10)가 놓여지는 본체(110)와,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120)와,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30)와,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140 내지 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는 상판(115)으로 덮인 구조를 갖는다. 조리기기가 쿡탑인 경우 상판(115)은 글라스 세라믹(Glass-cerami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조리용기(10)가 놓여질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이동 가열부(120) 및 구동부(140 내지 170)가 구비되며,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30)는 본체의 내부 또는 본체의 상판(115) 상측에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 가열부(120)는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동 가열 부(12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높여지는 조리용기(10)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 가열부(120)는 구동부(140 내지 170)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동 가열부(120)는 조리기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조리용기(10)가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조작부(18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가열부(120)는 조리용기(10)를 가열한다. 이동 가열부(120)는 복사 가열 방식인 경우 전기를 이용하여 고온을 발생하는 핫 플레이트로 구현되며 유도 가열 방식인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가열부(120)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진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광 센서, 진동 센서,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30)는 광 센서로 구현되며,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가 광 센서인 경우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하부에 복수로 배열된다. 이 경우 센서부(130)는 구동부(140 내지 170) 또는 조작부(180)와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0)는 조리용기(10)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서부는 본체의 상판(1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0)는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위치 정보를 구 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한다. 조리용기의 위치 정보는 x-y 평면 좌표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조리용기(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 가열부(120)를 이동한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상하좌우평면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도르래 및 와이어, 또는 기어 및 레일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가 좌우로 이동되는 횡축 레일(140)과, 이동 가열부를 횡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횡축 모터(150)와, 이동 가열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종축 레일(160)과, 이동 가열부를 종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종축 모터(170)를 포함한다.
횡축 레일(140)은 제 1 횡축 레일(141) 및 제 2 횡축 레일(142)로 구성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축 레일(160)은 제 1 종축 레일(161) 및 제 2 종축 레일(162)로 구성되어 횡축 레일(140)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축 모터(150)는 종축 레일(160)에 구비되어 종축 레일 자체가 횡축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종축 모터(170)는 이동 가열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 가열부가 종축 레일(16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조작부(18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상판(1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80)는 사용자 조작하는 조작버튼과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는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부(180)의 조작버튼은 본체(110)의 상판(115)에 드러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본체(110)의 상판(115)에 조리용기(10)를 올려 놓고, 조작부(180)를 통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킨다.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센서부(130)가 작동을 한다.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진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가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좌표를 구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한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조리용기(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 가열부(12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조작부(180)의 하측(120a)에서 조리용기(10)의 하측(120b)으로 이동시킨다. 즉, 횡축 모터(150)는 종축 레일(160)을 횡축 레일(140)을 따라 이동시키고, 종축 모터(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종축 레일(160)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 가열부(120)의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 가열부는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를 시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 상측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30)는 후드(20)에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 전체를 스캔할 수 있도록 위상각이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본체(110)와 이격하여 구비되므로,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위치정보를 무선을 통하여 구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리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10) 내부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가열부(175)를 더 포함한다. 고정 가열부(175)는 이동 가열부(120)가 가열하기에 너무 큰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되거나, 이동 가열부(120)가 이동할 수 없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2개 이상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 가열부(175)가 배치되는 위치는 센서부(130)가 조리용기(10)의 유무를 판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 가열부의 하측에는 센서부가 배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가 고정 가열부(175)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이동 가열부(120)가 이동될 수 있는 영역(111)을 표시하고, 고정 가열부(175)가 위치하는 영역(112)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리용기 20: 후드
110: 본체 115: 상판
120: 이동 가열부 130: 센서부
140: 횡축 레일 150: 횡축 모터
160: 종축 레일 170: 종축 모터
180: 조작부

Claims (12)

  1.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
    상기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복사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이동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하부에 복수개가 배열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상판의 상측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상기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원형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용기가 놓여질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동되기 전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횡축 레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횡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횡축 모터;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종축 레일; 및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종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종축 모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80071149A 2008-07-22 2008-07-22 조리기기 Ceased KR20100010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49A KR20100010249A (ko) 2008-07-22 2008-07-2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49A KR20100010249A (ko) 2008-07-22 2008-07-2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49A true KR20100010249A (ko) 2010-02-01

Family

ID=4208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149A Ceased KR20100010249A (ko) 2008-07-22 2008-07-2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24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32Y1 (ko) * 2012-06-28 2013-02-07 김민상 화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레인지
ES2401614R1 (es) * 2011-07-28 2013-06-17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KR20150137837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KR101616649B1 (ko) * 2014-12-26 2016-04-28 신덕수 이동범위가 증대된 가열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구이장치
WO2019182238A1 (ko) * 2018-03-23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252570B1 (ko) * 2019-11-27 2021-05-17 (주)신화셀렉스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조리용기 형상 및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
EP3751962A4 (en) * 2018-02-08 2021-11-10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1614R1 (es) * 2011-07-28 2013-06-17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KR200465232Y1 (ko) * 2012-06-28 2013-02-07 김민상 화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레인지
KR20150137837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US10887950B2 (en) 2014-05-30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KR101616649B1 (ko) * 2014-12-26 2016-04-28 신덕수 이동범위가 증대된 가열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구이장치
EP3751962A4 (en) * 2018-02-08 2021-11-10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US12256478B2 (en) 2018-02-08 2025-03-1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WO2019182238A1 (ko) * 2018-03-23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252570B1 (ko) * 2019-11-27 2021-05-17 (주)신화셀렉스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조리용기 형상 및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0249A (ko) 조리기기
EP2261568B1 (en) Control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KR20080025603A (ko) 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KR20100010248A (ko) 조리기기 및 온도 제어 방법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N109793431A (zh) 分区烤箱
CN109864607A (zh) 烤箱
CN108348088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6025031A (ja) 誘導加熱調理器
EP3336436B1 (en) Cooking hob with a monitoring device
JP5191695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WO2015106762A1 (en) Induction heating and stirring device
KR102752832B1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00122710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1897176B1 (ko) 복합구조를 갖는 인덕션레인지
JP690995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10078795A (ko) 피가열체의 물리적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746497B1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190037505A (ko) 이동형 가열존을 구비한 전기레인지
JP538144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388092B1 (ko) 스마트 인공 지능 유도 가열 장치
KR20240129860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76590A (ko) 전기 레인지
CN206488324U (zh) 一种电磁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6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