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49A - Cooker - Google Patents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0249A KR20100010249A KR1020080071149A KR20080071149A KR20100010249A KR 20100010249 A KR20100010249 A KR 20100010249A KR 1020080071149 A KR1020080071149 A KR 1020080071149A KR 20080071149 A KR20080071149 A KR 20080071149A KR 20100010249 A KR20100010249 A KR 201000102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in body
- cooking
- cooking vessel
- hea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1 glass-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on which a cooking vessel is placed on a top plate, a movable heat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the main body, and heats the cooking vessel, and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he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sensed by the sensor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cooking even when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any posi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란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조리기기는 오븐, 쿡탑, 가스 레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쿡탑은 주로 전기를 이용하여 복사 가열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cooking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by heating food using gas or electricity. The cooking apparatus may be classified into an oven, a cooktop, and a gas range. Among them, a cooktop is a device that mainly heats and cooks food by radiativ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쿡탑은 내부에 가열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부분인 쿡존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조리용기를 정해진 위치에 올려 조리하였다.In the cooktop, the heating unit is fixed inside, and the cook zone, which is a portion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the top plate,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ooks the cooking vessel by placing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cooking even if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any posi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리기기에 올려진 조리용기를 위치를 파악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for locating a cooking container placed on the cook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이동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in which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is movab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laced in the cooking vessel on the top plate, a movable heat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body and heats the cooking vessel,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top plate,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abl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복사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heating unit may heat the cooking vessel by radiant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이동되는 레일부를 포 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ail unit to which the movable heating unit is mo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하부에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상판의 상측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상기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sensor unit may be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p plate, by detec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after emi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position the cooking vessel It may be detecte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can detect the pressure by the cooking vesse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열부는 원형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 가열부를 이동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heating unit is circular, and the driving unit may move the movable heating unit such that the movable heating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ed heating unit provided to prevent movement within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용기가 놓여질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in which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placed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동되기 전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o operate the moving heating unit, and the moving heating uni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operating unit before being moved by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가열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횡축 레일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횡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횡축 모터와, 상기 이동 가열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종축 레일과, 상기 이동 가열부를 상기 종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종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a horizontal axis rail to which the movable heating unit is moved left and right, a horizontal axis motor to move the movable heating unit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axis rail, a vertical axis rail to which the movable heating unit is moved up and down, The moving heating unit may include a longitudinal axis motor for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rai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조리용기를 조리기기의 아무 위치에 올려놓아도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cooking vessel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even if placed on any posi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둘째, 조리기기에 조리용기를 잘못 올려놓아 조리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king vessel is incorrectly placed on the cooking appliance to eliminate the problem of not cooking properly or wasting power.
셋째, 조리기기의 상판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부분인 쿡존이 표시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도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k zone, which is a portion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the top plate of the cooking appliance, does not need to be displayed.
넷째, 이동하는 가열부 외에 고정된 가열부가 구비되어 용량이 큰 조리용기에 대비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Fourth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fixed heating part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oving heating part, so that two or more cooking containers can be heated at the same time in preparation for a large capacity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1, an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판(115)에 조리용기(10)가 놓여지는 본체(110)와,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이동 가열부(120)와, 본체의 상판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30)와, 센서부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열부를 이동하는 구동부(140 내지 170)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10)는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는 상판(115)으로 덮인 구조를 갖는다. 조리기기가 쿡탑인 경우 상판(115)은 글라스 세라믹(Glass-cerami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조리용기(10)가 놓여질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체(110)의 내부에는 이동 가열부(120) 및 구동부(140 내지 170)가 구비되며,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30)는 본체의 내부 또는 본체의 상판(115) 상측에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이동 가열부(120)는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동 가열 부(12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높여지는 조리용기(10)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 가열부(120)는 구동부(140 내지 170)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동 가열부(120)는 조리기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조리용기(10)가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조작부(18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이동 가열부(120)는 조리용기(10)를 가열한다. 이동 가열부(120)는 복사 가열 방식인 경우 전기를 이용하여 고온을 발생하는 핫 플레이트로 구현되며 유도 가열 방식인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가열부(120)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진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광 센서, 진동 센서,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30)는 광 센서로 구현되며,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가 광 센서인 경우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하부에 복수로 배열된다. 이 경우 센서부(130)는 구동부(140 내지 170) 또는 조작부(180)와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센서부(130)는 조리용기(10)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서부는 본체의 상판(1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센서부(130)는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위치 정보를 구 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한다. 조리용기의 위치 정보는 x-y 평면 좌표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구동부(140 내지 170)는 조리용기(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 가열부(120)를 이동한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상하좌우평면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도르래 및 와이어, 또는 기어 및 레일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가 좌우로 이동되는 횡축 레일(140)과, 이동 가열부를 횡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횡축 모터(150)와, 이동 가열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종축 레일(160)과, 이동 가열부를 종축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종축 모터(17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횡축 레일(140)은 제 1 횡축 레일(141) 및 제 2 횡축 레일(142)로 구성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축 레일(160)은 제 1 종축 레일(161) 및 제 2 종축 레일(162)로 구성되어 횡축 레일(140)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축 모터(150)는 종축 레일(160)에 구비되어 종축 레일 자체가 횡축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종축 모터(170)는 이동 가열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 가열부가 종축 레일(16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The
조작부(18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상판(1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80)는 사용자 조작하는 조작버튼과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는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부(180)의 조작버튼은 본체(110)의 상판(115)에 드러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본체(110)의 상판(115)에 조리용기(10)를 올려 놓고, 조작부(180)를 통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킨다.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센서부(130)가 작동을 한다.The user places the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에 놓여진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한다.The
센서부(130)가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좌표를 구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한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조리용기(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 가열부(12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조작부(180)의 하측(120a)에서 조리용기(10)의 하측(120b)으로 이동시킨다. 즉, 횡축 모터(150)는 종축 레일(160)을 횡축 레일(140)을 따라 이동시키고, 종축 모터(170)는 이동 가열부(120)를 종축 레일(160)을 따라 이동시킨다.The
이동 가열부(120)의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 가열부는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를 시작한다.When the movement of the movin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 상측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30)는 후드(20)에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상판(115) 전체를 스캔할 수 있도록 위상각이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FIG. 5, the
센서부(130)는 본체(110)와 이격하여 구비되므로, 조리용기(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리용기의 위치정보를 무선을 통하여 구동부(140 내지 17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리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6.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10) 내부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가열부(175)를 더 포함한다. 고정 가열부(175)는 이동 가열부(120)가 가열하기에 너무 큰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되거나, 이동 가열부(120)가 이동할 수 없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2개 이상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ed
고정 가열부(175)가 배치되는 위치는 센서부(130)가 조리용기(10)의 유무를 판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 가열부의 하측에는 센서부가 배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구동부(140 내지 170)는 이동 가열부(120)가 고정 가열부(175)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position where the fixed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이동 가열부(120)가 이동될 수 있는 영역(111)을 표시하고, 고정 가열부(175)가 위치하는 영역(112)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조리용기 20: 후드10: cooking vessel 20: hood
110: 본체 115: 상판110: main body 115: top plate
120: 이동 가열부 130: 센서부120: moving heating portion 130: sensor portion
140: 횡축 레일 150: 횡축 모터140: horizontal rail 150: horizontal motor
160: 종축 레일 170: 종축 모터160: longitudinal rail 170: longitudinal motor
180: 조작부180: control panel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1149A KR20100010249A (en) | 2008-07-22 | 2008-07-22 | Coo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1149A KR20100010249A (en) | 2008-07-22 | 2008-07-22 | Coo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0249A true KR20100010249A (en) | 2010-02-01 |
Family
ID=4208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1149A Ceased KR20100010249A (en) | 2008-07-22 | 2008-07-22 | Coo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0249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232Y1 (en) * | 2012-06-28 | 2013-02-07 | 김민상 | Electric range capable of heater size adjustment |
ES2401614R1 (en) * | 2011-07-28 | 2013-06-17 |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 Cooking Field Device |
KR20150137837A (en) * | 2014-05-30 | 2015-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cking apparatus |
KR101616649B1 (en) * | 2014-12-26 | 2016-04-28 | 신덕수 | Food roaster having heating part increased moving range |
WO2019182238A1 (en) * | 2018-03-23 | 2019-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device |
KR102252570B1 (en) * | 2019-11-27 | 2021-05-17 | (주)신화셀렉스 | Electric range capable of recognizing shape and size of cooking vessel using capacitance sensors |
EP3751962A4 (en) * | 2018-02-08 | 2021-11-10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DEVICE |
-
2008
- 2008-07-22 KR KR1020080071149A patent/KR2010001024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401614R1 (en) * | 2011-07-28 | 2013-06-17 |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 Cooking Field Device |
KR200465232Y1 (en) * | 2012-06-28 | 2013-02-07 | 김민상 | Electric range capable of heater size adjustment |
KR20150137837A (en) * | 2014-05-30 | 2015-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cking apparatus |
US10887950B2 (en) | 2014-05-30 | 2021-01-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king apparatus |
KR101616649B1 (en) * | 2014-12-26 | 2016-04-28 | 신덕수 | Food roaster having heating part increased moving range |
EP3751962A4 (en) * | 2018-02-08 | 2021-11-10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DEVICE |
US12256478B2 (en) | 2018-02-08 | 2025-03-18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aratus |
WO2019182238A1 (en) * | 2018-03-23 | 2019-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device |
KR102252570B1 (en) * | 2019-11-27 | 2021-05-17 | (주)신화셀렉스 | Electric range capable of recognizing shape and size of cooking vessel using capacitance sens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0249A (en) | Cooker | |
EP2261568B1 (en) | Control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 |
KR20080025603A (en) | Heating cooker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632742B1 (en) | Induction range | |
KR102260903B1 (en) | Full free zone induction range | |
KR20100010248A (en) | Coo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 |
KR102631230B1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the object to be heated | |
CN109793431A (en) | Subregion oven | |
CN109864607A (en) | Oven | |
JP2016025031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EP3336436B1 (en) | Cooking hob with a monitoring device | |
CN108348088B (en) |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191695B2 (en) | System kitchen | |
KR102752832B1 (en) | Electric range for providing specific function based on the uer's gesture | |
KR20200122710A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 |
JP2008218280A (en) | Heating equipment | |
KR102752831B1 (en) | Electric range in which operation is controlled based on physical state of object to be heat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WO2018168011A1 (en) | Induction-heating cooker | |
KR101987052B1 (en) | Electric range equipped with a movable heating zone | |
KR101897176B1 (en) | Induction range with mixed structure | |
KR102754037B1 (en) | Electric range with heat power control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heating element | |
JP5381443B2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KR102388092B1 (en) | Smart artificial intelligence induction heating device | |
KR20240129860A (en) |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30076590A (en) | Electric r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6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