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33089A -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089A
KR20090133089A KR1020090055360A KR20090055360A KR20090133089A KR 20090133089 A KR20090133089 A KR 20090133089A KR 1020090055360 A KR1020090055360 A KR 1020090055360A KR 20090055360 A KR20090055360 A KR 20090055360A KR 20090133089 A KR20090133089 A KR 2009013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unting
housing
mounting surface
m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508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조지 데일리
매튜 에드워드 모스톨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13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5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실장면(316)과 대향면(318) 사이에서 연장하는 개구부(116)를 갖는 기판(118)에 실장되기 위해 커넥터 어셈블리(104)가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하우징(114)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점(1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4)은 전단부(216)와 말단부(218)를 가지며, 내부 챔버가 결합 인터페이스(mating interface)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114)의 전단부(216)는 하우징 실장 표면(208)이 상기 기판(118)의 실장면(316)에 결합 될 때까지 상기 기판(118)의 개구부(116)를 통해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접점(112)은 결합단과 접점 실장 표면(202)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접점 실장 표면(202)은 상기 기판(118)의 상기 실장면(316)에 실장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4)과 상기 접점 실장 표면(202)은 실장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와 상기 실장 평면 간의 거리는 적어도 상기 기판(118)의 두께만큼의 크기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 관통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Description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본 주제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면 실장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많은 커넥터들은 회로기판의 상부 표면에 실장되고 회로기판의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회로기판의 도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를 또는 회로기판의 표면 및/또는 측면을 따라 연장된 도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커넥터들은 결합 커넥터들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결합 인터페이스(mating interface)를 갖는다. 결합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의 상부 평면에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공지된 커넥터들은 어떤 적용사례에서는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 위로 너무 큰 높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들(LED)의 결합에 사용되는 많은 커넥터들의 프로파일은 LED에 비해서 너무 커서 커넥터들이 LED들에 의한 빛의 일부를 방해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계다가, 기판상에 더 작은 전자 소자들 및 더 밀집되게 패킹되는 전자 소자들과 커넥터들이 배열되는 경향에 따라, 커넥터들의 높이 프로파일의 감소가 요구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공지된 커넥터들에 비해 작은 높이 프로파일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실장면과 대향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기판에 실장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하나의 하우징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점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단부와 말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단부에서 정의된 결합 인터페이스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내부 챔버를 갖는다. 상기 내부 챔버는 결합 커넥터와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는 상기 기판의 개구부를 통해서 하우징 실장 표면이 상기 기판의 실장 표면에 결합될 때까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점은 실장단과 접점 실장 표면 사이에 연장된다. 상기 결합단은 상기 내부 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커넥터의 결합 접점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점 실장 표면은 상기 기판의 실장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과 접점 실장 표면들은 실장 평면에서 사실상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와 실장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상기 기판의 두께만큼 커야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LED조명 장치들과 같은 커넥터의 작은 높이 프로파일을 요 구하는 장치들에서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결합 커넥터(102) 및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포함한다. 결합 커넥터(102)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4)에 삽입되어 그와 결합하는 형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커넥터(102)는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 커넥터(102)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접점(미도시)을 고정하는 플러그 말단(108)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커넥터(102)는 플러그 말단(108)의 결합 접점들에서 마감되는 내부 도체(미도시)를 갖는 복수의 케이블들(108)에 케이블-실장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커넥터(102)는 케이블 실장 되기보다 보드 실장 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기판(118)에서 개구부(116)를 통해 부분적으로 돌출된 하우징(114)을 포함한다. 기판(118)은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하나 이상의 전도성의 배선들(도 3의 310)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들(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층이다. 예를 들면, 기판(118)은 금속 클래드 인쇄회로기판(PCB) 도는 FR4 PC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8)의 다른 실시예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14)은 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 및/또는 그로부터 형성될 수 있 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챔버(110)는 하우징(114)에 위치하며 플러그 말단(108)을 수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챔버(110)는 하우징(114)의 결합 인터페이스(120)에서부터 하우징(114)의 말단부(도 2의 218)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플러그 말단(108)이 로딩된 하우징(114)의 전면 로딩면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결합 커넥터(10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114)은 결합 인터페이스(120)가 기판(118)에 근접 및 지나쳐서 위치하도록 적어도 개구부(116)를 통해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실질적으로 기판(118)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개구부(116)에서 부분적으로 오목한 모양을 가진다. 복수의 접점(112)들이 내부 챔버(110)에 삽입될 경우에 접점들(112)은 플러그 말단(108) 내의 접점들(미도시)에 맞물린다. 접점들(112)은 결합 커넥터(102)와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플러그 말단(106) 안의 접점들에 맞물린다. 도 1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방식의 커넥터들이 여기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4)은 전단부(216)와 말단부(218) 사이에 연장되고, 전단부(216)에는 결합 인터페이스(120)가 위치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접점(112) 각각은 결합 인터페이스 말단(200)과 실장 표면(202) 사이에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접점(112)들을 나타내었지만, 각각 다른 개수의 접점들(112)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인터페이스 말단(200)은 하우징(114)의 내부 챔버(110) 안에 위치하고, 실장 표면들(202)은 내부 챔버(1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출부들(210)은 하우징(114)의 대향면들(212, 214)로부터 연장되고 하우징(114)의 말단부(도 2의 218)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인터페이스(120)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들(210)은 하우징(114)이 개구부(116) 안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들(210)은 상기 하우징(114)이 상기 개구부(116) 안으로 얼마나 삽입될 수 있는지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탭들(204) 각각은 돌출부들(210)로부터 연장된다. 탭들(204)은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상기 기판(도 1의 118)에 실장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텝들(204)은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기판(118)에 고정시키고 기판(118)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솔더링 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기판(118)에 부착될 수 있다.
탭들(204) 각각은 압인 및 성형되는 물질로 형성되어 굴곡부(206) 및 실장 표면(208)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탭들(204)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부터 압인 및 성형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탭들(204) 각각은 탭들(204)의 삽입부분(도5의 514)을 하우징(114)의 대응되는 슬롯들(220)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14)에 연결될 수 있다. 슬롯들(220)은 돌출부(210)에 제공될 수 있다. 탭들(204)은 슬롯(220) 내에 탭(204)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슬롯(220) 안에 삽입되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 돌기들(도 5의 516)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206)는 상기 도시한 실시예에서 거의 90도 만큼 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굴 곡부(206)는 90도 이외의 각도가 된다. 결합 표면들(208)은 일 실시예에서의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실질적으로 평행이 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탭들(204)의 실장표면(208)과 접점들(112)의 실장 표면들(202)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도 5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점들(112) 각각은 삽입부(500), 평판부(304), 모서리부(306) 및 실장부(308)를 포함한다. 접점들(112)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접점들(112)은 내부 챔버(도 1의 110)의 결합 인터페이스 말단(200)과 내부 챔버(110) 외부의 실장 표면(202)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접점들(11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부(500), 평판부(304), 모서리부(306) 및 실장부(30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 5에서의 접점들(112)과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접점들(112)은 단지 일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공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500)는 하우징(114)의 말단부(218)의 개구부(302)를 통해서 내부 챔버(110)로 삽입되는 접점(112)의 일부를 포함한다. 삽입부(500)는 결합 인터페이스 말단(200)과 평판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평판부(304)는 도시한 실시예의 말단부(218)를 따라 그리고 부분적으로 하우징(114)의 한 측면(302)의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평판부(304)는 상부 슬롯(502) 안으로 수용되어 평판부(304)의 표면(504)이 말단부(218)와 동일 평면상이 될 수 있다. 평판부(304)는 삽입부(500)와 모서리부(30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모서리부(306)는 실장부(308)와 평판부(304) 사이와 하우징(114)의 한 측면(320)을 따라 서 연장되는 모난 표면(506)을 포함한다. 모서리부(306)는 모난 표면(506)의 맞은편의 모서리부(306)의 한 측면 위에 고정 돌기(50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508)는 하우징(218)의 측면(320)의 하부 슬롯(510)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슬롯(510)은 하우징(218)의 전단부(216)로부터 말단부(218)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슬롯(510)은 고정 돌기(508)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레지(512, ledge)에서 그 끝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며, 접점(112)은 하부 슬롯(510)과 상부 슬롯(502)에 로딩되어 고정 돌기(508)가 상기 레지(512)와 결합한다. 레지(512) 간의 결합은 접점(112)이 하우징(114)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서리부(306)는 평판부(304)와 실장부(308) 사이에서 연장된다. 실장부(308)는 모서리부(306)에서 부분적으로 떨어져서 연장된다. 실장부(308)는 실장 표면(202)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들(204)은 실장 표면(208)에 연결되는 삽입부(514)를 포함하며 이때 삽입부(514)와 실장 표면(208) 사이에 굴곡부(206)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삽입부(514)는 삽입부(514)의 측면들과 마주보는 고정 돌기들(516)을 포함한다. 고정 돌기들(516)은 슬롯(220)에서 탭(20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분(514)이 슬롯(220)에 삽입되는 경우에 슬롯(도 2의 220)의 안쪽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탭들(204)은 억지 끼워 맞춤(press-fit) 연결을 통해서 슬롯(220)에 고정된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기판(118)의 개구부(116)에 삽입하기 전과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기판(118)에 실장 하기 전의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사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8)은 도전성 트레이스들(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촉 패드들(312)을 포함한다. 접촉 패드들(312)은 도전성 트레이스들(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 및/또는 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패드들(312)은 노출된 도전성 트레이스들(310)의 일부분들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8)은 절연 물질로 된 복수의 층들(미도시)을 포함하며 (도전성 트레이스들(310)과 같은)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상기 층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에 제공되어 있는 PCB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8)은 그의 실장면(316)과 대향면(318)에 도전성 트레이스(310)가 있는 PCB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8)은 기판(118)의 실장면(316)에만 있는 접촉패드들(312)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도전성 트레이스들(310)을 갖는 PCB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18)은 일 실시예로서 금속 클래드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18)은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물질로 에워싸인 전도성 물질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118)은 기판(118)의 실장면(316)에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들을 갖는 조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금속 클래드 보드이다.
기판(118)은 복수의 실장 패드들(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패드들(314)은 탭들(204)의 결합 표면(208)을 기판(118)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패드들(314)은 솔더 패드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결합 표면(208)은 실장 패드들(314)에 솔더링 될 수 있다.
조립되는 동안,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개구부(116)에 하우징(114)을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접점들(112)의 실장 표면들(202)을 접촉 패드들(312)에 연결하며, 탭들(204)의 실장 표면들(208)을 실장 패드들(314)에 고정시킴으로써 기판(118)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탭들(204)의 실장 표면들(208)을 결합 패드들(314)에 고정시킴으로써 기판(118)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지 예시로서, 탭들(204)의 실장 표면들(208)은 실장 표면(208)과 실장 패드들(314)을 함께 솔더링함으로써, 실장 패드들(314)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실장 표면들(208)은 수작업이나 표면실장 솔더링 방법들에 의해 솔더링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실장 표면들(208)은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실장 패드들(314)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표면들(208)은 전도성 에폭시와 같은 에폭시를 사용하여 실장 패드들(314)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접점들(112)의 결합 표면들(202)을 접촉 패드들(3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기판(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표면들(202)과 접촉 패드들(312)은 함께 솔더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104)는 기판(118)의 오직 한 면 위의 기판(118)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탭들(204)의 실장 표면들(208)은 커넥터 어셈블리(104)와 제공되어 있는 기판(118) 간에 다른 어떠한 기계적 결합 없이 실장 패드들(31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기판(118) 상에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평면도이다. 개구부(116)는 기판(118)의 실장면들(316)과 대향면들(318)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우 징(114)의 돌출부분(404)은 기판(118)의 대향면(318)을 지나 기판(118)의 개구부(도 1의 116)를 통해서 돌출된다. 돌출부분(404)은 커넥터 어셈블리(104)가 기판(118)에 결합될 경우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대향면(318) 사이에서 연장된다. 돌출 부분(404)은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결합 인터페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대향면(318) 사이의 높이(406)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높이(406)는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대향면(318)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대향면(318) 간의 거리이다. 높이(406)는 커넥터 조립체(104)의 총 높이(408), 기판(118)의 두께(410) 및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실장 측면부(414)의 높이(412)의 변화와, 하우징(114)의 돌출부들(도 2의 210)의 높이(도 5의518)의 조절 및/또는 슬롯(도 2의 220) 안으로의 탭들(204)의 삽입부분(도 5의 514)의 삽입 조절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돌출부들(210)의 높이(518)는 돌출부들(210)이 말단부(218)와 떨어져서 연장되는 거리이다.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실장 측면부(414)는 기판(118)의 실장면(316)과 하우징(114)의 말단부(218) 사이에서 연장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일부분이다. 실장 측면부(414)의 높이(412)는 일 실시예에서 말단부(218) 및 실장면(316)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말단부(218)와 실장면(316) 간의 거리이다.
실장 측면부(414)의 높이(412)는 커넥터 어셈블리(104)가 낮은 프로파일 커넥터를 정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412)는 실장면(316) 상에 커넥터 어셈블리와 근접하게 위치한 LED가 실장 측면부(414) 또는 결합 커넥터(102)에 의해 빛을 차단당하지 않고 커넥터 어셈블리(104) 너머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412)는 말단부(218)가 기판(118)의 실장면(316)에 근접하게 위치할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들(112)의 실장 표면들(202,208) 및 탭들(204)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평면상에 놓일 수 있다. 실장 표면들(202, 208)이 서로 동일평면을 이루는 평면을 실장 평면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장 평면은 실장면(316)과 동일평면상에 놓인다.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실장면(316) 또한 실장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장 평면은 실장면(316)과 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도 1의 114)은 탭들(204)과 접점들(112)이 연결되어 접점들(112)의 실장 표면들(202, 208)과 탭들(204)이 실장면(316)과 동일평면상에 놓인 동안 하우징(114)이 실장면(316)을 가로지르는 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실장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커넥터 어셈블리(104)의 플러그 말단(106)을 로딩 방향(418)을 따라 움직여서 결합 커넥터(도 1의 102)의 플러그 말단(도 1의 106)이 커넥터 어셈블리(104)와 결합되도록 기판(118)의 대향면(318)에 평행할 수 있다. 로딩 방향(418)은 기판(118)과 기판(118)의 대향면(318)에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실장 평면을 가로지르는 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4)은 탭들(204)과 접점들(112)에 연결되어 접점들(112)의 실장 표면들(202, 208)과 탭들(204)이 실질적으로 실장면(316)과 동일평면상에 있는 동안 하우징(114) 및 결합 인터페이스(120)가 실장면(316)과 각을 이룰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실장 평면과 결합 인터페이스(120) 간의 거리(416)는 돌출부분(404)의 높이(406)보다 커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대향면(318)을 지나쳐 제공된다. 도 4에서 나타내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개구부(116)에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416)는 기판(118)의 두께보다 작아서 결합 인터페이스(120)가 기판(118)의 실장면(316)과 대향면(3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416)는 실질적으로 결합 인터페이스(120)에 대해 수직이다. 거리(416)가 높이(406)보다 더 큰 경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대향면(318)을 지나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장 평면과 결합 인터페이스(120) 간의 거리(416)는 기판(118)의 두께(410)와 거의 같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대향면(318)과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놓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의 한쪽 면 위로 상당한 높이만큼 연장되지 않는 낮은 프로파일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기판의 적어도 한쪽 면 위로 연장된 커넥터의 높이를 줄이는 것은 낮은 프로파일의 커넥터들이 필요한 응용사례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들 및 LED들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구성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많은 조명기구들에 있어서, 커넥터는 충분히 낮은 프로파일을 가짐으로써 커넥터 및 대응되는 결합 커넥터가 LED들이 발산하는 빛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로서, 도 1에서의 기판의 개구부에 커넥터 어셈블리를 삽입하기 전과 커넥터 어셈블리를 기판에 실장하기 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기판에 실장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결합 커넥터 104: 커넥터 어셈블리
110: 내부 챔버 112: 접점
114: 하우징 116: 개구부   
118: 기판 120: 결합 인터페이스
202: 접점 실장 표면
208: 하우징 실장 표면
218: 말단부 216: 전단부
310: 도전성 트레이스 316: 실장면
318: 대향면

Claims (8)

  1. 실장면(316)과 대향면(3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부(116)를 갖는 기판(118)에 실장 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104)에 있어서,
    전단부(216)와 말단부(218)를 가지되, 상기 전단부(216)에서 정의되는 결합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부 챔버(110)를 가지며, 상기 내부 챔버(110)는 결합 커넥터(1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실장 표면(208)이 상기 기판(118)의 상기 실장면(316)에 결합될 때까지 상기 기판(118)의 개구부(116)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14)의 상기 전단부(216)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114); 및
    결합단(200)과 접점 실장 표면(202) 사이에 연장되되, 상기 결합단(200)은 상기 내부 챔버(100) 안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커넥터(102)의 결합 접점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점 실장 표면(202)은 상기 기판(118)의 실장면(316)에 실장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4)과 상기 접점 실장 표면(202)은 실장 평면에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을 이루고,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상기 실장 평면 간의 거리는 적어도 상기 기판(118)의 두께와 같은 접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평면 및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거리는 상기 실장 평면 및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상기 기판(118)의 상기 대향면(318)과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4)에 결합된 탭(204)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탭(204)은 상기 하우징 실장 표면(2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8)의 상기 실장면(316) 상에서만 상기 기판(118)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실장 표면(202)은 상기 기판(118)의 도전성 트레이스(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14)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해 돌출되고 상기 기판(118)의 상기 대향면(318)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인터페이스(120)는 상기 실장 평면을 가로지르는 각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4).
KR1020090055360A 2008-06-23 2009-06-22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Active KR101169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44,241 US7704082B2 (en) 2008-06-23 2008-06-23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US12/144,241 2008-06-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14A Division KR20120064665A (ko) 2008-06-23 2012-05-31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089A true KR20090133089A (ko) 2009-12-31
KR101169508B1 KR101169508B1 (ko) 2012-07-27

Family

ID=41040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360A Active KR101169508B1 (ko) 2008-06-23 2009-06-22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KR1020120058014A Withdrawn KR20120064665A (ko) 2008-06-23 2012-05-31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14A Withdrawn KR20120064665A (ko) 2008-06-23 2012-05-31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4082B2 (ko)
EP (1) EP2139079B1 (ko)
JP (1) JP5574403B2 (ko)
KR (2) KR101169508B1 (ko)
CN (1) CN101630800B (ko)
CA (1) CA2668614C (ko)
MX (1) MX2009006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1796B2 (ja) * 2010-04-20 2012-10-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65521B2 (ja) * 2010-12-17 2015-02-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Led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2015038810A (ja) * 2011-01-12 2015-0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35221B2 (ja) * 2011-01-20 2013-07-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93824B2 (ja) * 2011-04-13 2012-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26616B2 (ja) * 2011-04-25 2015-06-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Led照明用電気的接続装置及びハーネス
US9407020B2 (en) * 2011-09-06 2016-08-02 Apple Inc. Edge mount connector
TWM428525U (en) * 2011-09-26 2012-05-0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Vert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CN102496793B (zh) * 2011-11-21 2015-07-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led灯条的pcb板及led灯条
US8851903B2 (en) * 2012-07-17 2014-10-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US8764459B2 (en) 2012-07-17 2014-07-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ES2543111B1 (es) * 2014-02-14 2016-06-07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DE102014102845A1 (de) * 2014-03-04 2015-09-1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Klemmenblock
DE202014101999U1 (de) * 2014-04-29 2015-07-30 Zumtobel Lighting Gmbh Verbinder und damit gebildete Leiterplattenanordnung
EP3029779B1 (en) 2014-12-02 2018-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 socket, power co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83119B1 (ko) * 2014-12-02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N204696277U (zh) * 2015-04-27 2015-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及其组合
CN205039288U (zh) * 2015-08-27 2016-02-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20170256873A1 (en) * 2016-03-07 2017-09-07 JST Perform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a circuit
JP6678521B2 (ja) * 2016-06-02 2020-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の実装構造
KR102449899B1 (ko) 2018-02-02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084U (ko) * 1987-06-26 1989-01-11
JPH02215068A (ja) * 1989-02-15 1990-08-28 Nippon Kaiheiki Kogyo Kk プリント基板用制御機器
JPH0379170U (ko) * 1989-12-06 1991-08-12
JPH03119976U (ko) * 1990-03-23 1991-12-10
JP2555593Y2 (ja) * 1991-06-14 1997-1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5169322A (en) * 1991-11-04 1992-12-08 Amp Incorporated Receptacle header of low height for connector to multiple pins
SG49161A1 (en) * 1992-07-17 1998-05-18 Connector Systems Tech Nv Flat back card connector
US5823801A (en) * 1996-08-05 1998-10-2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in contacts with surface mount edges
GB9617178D0 (en) * 1996-08-15 1996-09-25 Amp Holland Low height modular jack receptacle
JPH1116647A (ja) * 1997-06-20 1999-01-22 Nec Corp 低背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20020098743A1 (en) * 1998-04-17 2002-07-25 Schell Mark S. Power connector
US6089902A (en) 1998-12-01 2000-07-18 Lucent Technologies, Inc. Miniature connector assembly, a miniature connector retrofit kit and a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0251989A (ja) * 1999-03-01 2000-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基板接続構造及び基板接続方法
US6190210B1 (en) * 1999-03-10 2001-02-20 Berg Technology, Inc. Low profile modular jack
DK1196966T3 (da) * 1999-04-23 2004-04-13 Sonionmicrotronic As Konnektor og fremgangsmåde til etablering af lodningsfrie forbindelser mellem en stiv hoved-PCB og dermed forbundne ledere
DE19962120A1 (de) * 1999-12-21 2001-06-28 Mannesmann Vdo Ag Steckeraufnahme
US6558205B1 (en) * 2001-12-27 2003-05-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odular jack
US7309260B2 (en) * 2002-04-15 2007-12-18 Lantronix, Inc.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7501329B2 (en) * 2003-05-21 2009-03-10 Micron Technology, Inc. Wafer gettering using relaxed silicon germanium epitaxial proximity layers
US6848950B2 (en) * 2003-05-23 2005-02-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ulti-interface power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same
US7335043B2 (en) * 2003-12-31 2008-02-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tacts and connectors comprising same
US7458839B2 (en) * 2006-02-21 2008-12-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power contacts with alignment and/or restraining features
CN101882718B (zh) * 2003-12-31 2012-11-21 Fci公司 电源触头及包括电源触头的连接器
JP4133895B2 (ja) * 2004-03-26 2008-08-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ボトムエントリ型コネクタ
US7074054B2 (en) * 2004-08-06 2006-07-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MT terminal block
TWI280697B (en) * 2005-05-13 2007-05-01 Asustek Comp Inc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transmission line thereof
US7266852B2 (en) * 2005-10-31 2007-09-11 Woodlark Circle, Inc. Inflatable transfer mattress
JP2008146888A (ja) * 2006-12-07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US7513793B2 (en) * 2006-12-22 2009-04-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 poke in connector
US7540761B2 (en) 2007-05-01 2009-06-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D connector assembly with heat sink
US7547214B2 (en) * 2007-05-22 2009-06-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dge-to-edge connector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7470160B1 (en) * 2007-06-06 2008-12-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rd edge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8614C (en) 2016-02-02
EP2139079B1 (en) 2016-03-23
JP5574403B2 (ja) 2014-08-20
CA2668614A1 (en) 2009-12-23
US20090317989A1 (en) 2009-12-24
KR20120064665A (ko) 2012-06-19
CN101630800B (zh) 2013-07-24
EP2139079A3 (en) 2011-10-05
CN101630800A (zh) 2010-01-20
EP2139079A2 (en) 2009-12-30
US7704082B2 (en) 2010-04-27
MX2009006739A (es) 2010-01-18
JP2010003688A (ja) 2010-01-07
KR101169508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508B1 (ko)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7850466B2 (en)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EP2688150B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CN106921060B (zh) 刚性-柔性电路连接器
US9373922B2 (en)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edge connector
US9160086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WO2006026036A1 (en) Flat circuit connector
CN2596616Y (zh) 模组连接器(十一)
CN102790332A (zh) Led连接器及照明器具
KR20030041797A (ko) 표면 장착 직각 전기 커넥터
US7922509B2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ulated pin
CN103283097A (zh) 连接器
JP2011171073A (ja) 電気コネクタ
US6685504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reliable grounding capabilities
US20030216086A1 (en)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130078831A1 (en) Vert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2013157108A (ja) コネクタ
CN2891382Y (zh) 电连接器组合
CN222620214U (zh) 电连接器
CN1314732A (zh) 一种电连接器的制造
JP2025034791A (ja) コネクタ組立体
US20100029101A1 (en) Low-profile cable assembly and its complementary connector
KR101212808B1 (ko) 커넥터가 실장된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706

Appeal identifier: 2012101004232

Request date: 2012050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8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207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