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3946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946A
KR20090123946A KR1020097021021A KR20097021021A KR20090123946A KR 20090123946 A KR20090123946 A KR 20090123946A KR 1020097021021 A KR1020097021021 A KR 1020097021021A KR 20097021021 A KR20097021021 A KR 20097021021A KR 20090123946 A KR20090123946 A KR 2009012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iaper
skin contact
skin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나오 미나토
가이요 나카지마
나오코 다카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98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02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08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827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94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배설물에 의해 피부를 더럽히는 일이 없는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기저귀(1)는 액체 투과성 톱 시트(32)의 내면측에 피부 접촉용 시트편(32b)을 갖는다. 피부 접촉용 시트편(32b)의 전후 방향(A)에는, 배설물을 톱 시트(32)를 향하여 통과시키는 개구부(38, 39)가 형성되고, 개구부(38, 39)의 폭 방향(B)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의 시트편(32b)의 측부(40)에는, 전후 방향(A)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37)가 부착된다. 피부 접촉용 시트편(32b)의 폭 방향(B)의 외측에는, 샘 방지벽(58)이 형성되어 있고, 피부 접촉용 시트편(32b)의 측부(40)가 샘 방지벽(58)에 대하여 샘 방지벽(58)의 베이스 가장자리부와 자유 가장자리부 사이에 있어서 접합된다. 피부 접촉용 시트편(32b)은, 전후 방향(A)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서는 샘 방지벽(58)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배설물에 의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044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9-510385호 공보(특허 문헌 2)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044호 공보에 개시된 기저귀는 팬츠형의 것이며, 흡수체를 피복하고 있는 액체 투과성 톱 시트의 상방에 스킨 컨택트 시트를 갖는다. 이 스킨 컨택트 시트는, 길이 방향 양단부가 톱 시트 또는 백 시트에 접합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에 변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탄성 부재가 그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스킨 컨택트 시트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를 착용하면, 스킨 컨택트 시트가 톱 시트로부터 부상(浮上)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9-510385호 공보에 개시된 기저귀는 개방형의 것이며, 세로 방향 대칭축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긴 가요성 플랩을 갖고 있다. 플랩의 각각은, 세로 방향의 측가장자리(side edge) 중 한쪽을 따라서 내측 케이싱 시 트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세로 방향 대칭축을 향하여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넓어지는 부분이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다른 한쪽의 플랩에 접합되어 있다. 단, 플랩의 세로 방향의 측가장자리끼리는, 변 배설점의 중심에서 최대 6 ㎝ 이격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04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9-51038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는, 스킨 컨택트 시트에 의해, 변 등의 배설물이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개구부를 통과한 배설물이 톱 시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흘렀을 때에 기저귀의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에 의해 다리 둘레의 피부를 더럽힌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저귀는, 세로 방향 대칭축의 양측에 마련된 가요성 플랩의 측가장자리 중 한쪽이 내측 액체 투과성 케이싱 시트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액체 투과성 케이싱 시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흐르는 배설물이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저귀에서는, 플랩의 다른 한쪽의 측가장자리끼리를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액체 투과성 시트로부터 기립하여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접촉해야 할 그 플랩이 액체 투과성 케이싱 시트를 향하여 쓰러져 버려, 다리 둘레의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배설물이 다리 둘레로부터 새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그 결과로서, 배설물이 다리 둘레의 피부에 닿는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점은,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의 해소를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 몸통 둘레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의 내면측에 마련된 액체 투과성 시트와 외면측에 마련된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가 개재되고, 상기 내면측에서의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더 내면측에는,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부 접촉용 시트편은, 상기 전후 방향의 양단 부분이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 주변이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 주변에서의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은, 상기 개구부의 상기 폭 방향 양측 각각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를 가지며, 상기 측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줄의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에는 또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외측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연장되는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에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변형이 자유로운 자유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전후 방향의 양단 부분 각각을 형성하는 전후 고정단 부분의 각각을 가지며, 상기 자유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상기 측부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샘 방지벽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자유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중앙 부분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에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개구부가 2개 형성되고, 이들 2개의 개구부가 상기 기저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그것을 착용할 때에, 피부 접촉용 시트편이 그 측부에 부착된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액체 투과성 시트로부터 이격되도록 끌어올려진 상태가 되면, 피부 접촉용 시트편은, 그 측부가 샘 방지벽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샘 방지벽의 기립을 촉진할 수 있다. 샘 방지벽이 기립하면, 그 자유 가장자리 부분은,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한 접촉이 용이해져, 다리 둘레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측부가, 기저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서는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측부가 샘 방지벽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피부 접촉용 시트의 상방으로의 이동 거리가 규제되지 않고, 피부 접촉용 시트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추종할 수 있어, 보다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어 다리 둘레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편에 개구부가 2개 형성되고, 기저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 의해 2개의 개구부가 구획되는 형태의 본 발명 기저귀에서는, 피부 접촉용 시트편이 가랑이 영역에서 착용자에게 접촉하여, 개구부 각각에, 기저귀 착용자의 외음부와 항문의 각각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기저귀의 전개도.
도 4는 도 3의 기저귀의 분해 조립도.
도 5는 체액 흡수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5의 VII-VI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일회용 기저귀
8: 액체 불투과성 시트(샘 방지 시트)
11: 가랑이 영역 12: 앞 몸통 둘레 영역
13: 뒤 몸통 둘레 영역 31: 코어재
32: 액체 투과성 시트(톱 시트)
33b: 피부 접촉용 시트편(피부 접촉용 시트)
37, 37L, 37R: 탄성 부재 38: 전방 개구부
39: 후방 개구 40, 40L, 40R: 측부
58, 58L, 58R: 샘 방지벽 59a: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저변)
59c: 자유 가장자리 부분(정상변)
59d: 고정단 부분(전단 부분) 59e: 고정단 부분(후단 부분)
63, 63L, 63R: 탄성 부재 A: 전후 방향
B: 폭 방향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도 2는,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그 사시도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의 기저귀(1)는, 그것이 착용되었을 때의 상태에 있고, 전후 방향과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이 A, B, C로 표시되어 있으며, 팬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복부(2)와, 피복부(2)의 내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액 흡수부(3)를 갖는다. 피복부(2)는, 내면측 피복 시트(6)와, 외면측 피복 시트(7)와, 이들 시트(6, 7) 사이에 개재되는 액체 불투과성 샘 방지 시트(8)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11)과, 가랑이 영역(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12)과, 가랑이 영역(11)의 후방에 위치하는 뒤 몸통 둘레 영역(13)을 갖는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3)은, 서로의 측가장자리부(15, 16)가 합장(合掌)형으로 중첩되고, 도 1의 높이 방향(C)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위(17)에서 접합되어 몸통 둘레 개구(18)를 형성함과 아울러 가랑이 영역(11)과 협동하여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9)를 형성하고 있다. 몸통 둘레 개구(18)와 다리 둘레 개구(19)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는, 복수 줄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1)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22)가 내면측 피복 시트(6)와 외면측 피복 시트(7) 사이에 있으며, 이들 시트(6, 7) 중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체액 흡수부(3)는, 가랑이 영역(11)에 있어서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액체 흡수성 패널(33a)과 피부 접촉용 시트(33b)를 포함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33a)은 흡수재(31a)를 티슈 페이퍼(31b)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된 체액 흡수성 코어재(31)와, 코어재(31)의 표면 중 적어도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하는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톱 시트(32)를 포함하고, 피부 접촉용 시 트(33b)는 톱 시트(32)보다 더 내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의 전후 방향(A)에 있어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전단 부분(34)과 후단 부분(36)이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3)에서 톱 시트(32)에 고정되는 한편, 중간 부분(35)이 가랑이 영역(11)에서 톱 시트(32)로부터 그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코어재(31)는, 가랑이 영역(11)의 내면측에 마련된 톱 시트(32)와 가랑이 영역(11)의 외면측에 마련된 샘 방지 시트(8)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그 샘 방지 시트(8)에 의해 기저귀(1)의 외면측으로부터 피복된 상태에 있어, 코어재(31)에 흡수된 체액은 기저귀(1)로부터 새는 일이 없다.
도 3은 도 1의 부위(17)에서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3)의 접합을 해제하여, 기저귀(1)를 전후 방향(A)과 폭 방향(B)으로 전개해서 얻어지는 기저귀(1')의 평면도로서, 몸통 둘레 영역 탄성 부재(21)로 총칭되는 전후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1F, 21R), 다리 둘레 탄성 부재(22)에 의해 총칭되는 좌우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22L, 22R), 및 피부 접촉용 시트(33b)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에 의해 총칭되는 좌우의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L, 37R)가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좌우란, 기저귀(1)의 착용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를 의미하고 있으며, 기저귀(1')는, 폭 방향(B)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P)과, 전후 방향(A)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Q)을 갖고, 세로 중심선(P-P)에 관해서 좌우 대칭이다.
도 3에 있어서, 피복부(2)는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체액 흡수 부(3)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액 흡수부(3)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시트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며, 액체 흡수성 패널(33a)의 양측 가장자리(33L, 33R)를 따라서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는 양측부(40L, 40R)를 갖고, 이들 양측부(40L, 40R)가 중간 부분(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양측부(40L, 40R)와 중간 부분(35)은, 가랑이 영역(11)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12)을 향하여 연장되는 U자형의 전방 개구부(38)를 구획함과 아울러, 가랑이 영역(11)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13)을 향하여 연장되는 U자형의 후방 개구부(39)를 구획하고 있다. 전방 개구부(38)는, 측가장자리(71)로 총칭되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71L, 71R)와, 이들 양측 가장자리(71L, 71R)를 연결하는 만곡된 바닥 가장자리(72)를 갖는다. 또한, 후방 개구부(39)는, 측가장자리(73)로 총칭되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73L, 73R)와, 이들 양측 가장자리(73L, 73R)를 연결하는 만곡된 바닥 가장자리(74)를 갖는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L, 37R)는, 바람직하게는 각 하나의 실고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개구부(38)와 후방 개구부(39) 각각의 측방을 지나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1)의 가랑이 영역(11)이 도 1, 도 2와 같이 전후 방향(A)에 있어서 만곡되면, 이들 탄성 부재(37L, 37R)는 전후 방향(A)으로 수축해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전후 방향(A)의 치수를 축소하여, 중간 부분(35)을 톱 시트(32)로부터 그 상방으로 이격시키도록 작용한다(도 2 참조).
체액 흡수부(3)에는 또한, 샘 방지벽(58)이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벽(58)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양측부(40L, 40R)의 각각에 겹쳐져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샘 방지벽(58L, 58R)의 총칭이다.
도 4는 기저귀(1')의 분해 조립도이다. 외면측 피복 시트(7)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도면에서의 상면)에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21)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22)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그 내면에는 또한,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샘 방지 시트(8)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외면측 피복 시트(7)와 샘 방지 시트(8)의 내면에는, 외면측 피복 시트(7)와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내면측 피복 시트(6)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내면측 피복 시트(6)의 내면(도면에서의 상면)에는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체액 흡수부(3)에서의 액체 흡수성 패널(33a)의 외면(도면에서의 하면)의 거의 전체가 접합된다.
도 1의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개구부(38)에 착용자의 외음부가 향하고, 후방 개구부(39)에 항문이 향하며, 중간 부분(35)이 외음부와 항문 사이에서 피부에 접촉하도록 착용 상태를 정비한다. 그 착용 상태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전방 개구부(38)에서의 바닥 가장자리(72)는 가로 중심선(Q- Q)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개구부(39)에서의 바닥 가장자리(74)는 가로 중심선(Q-Q) 위, 또는 가로 중심선(Q-Q)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그것이 유유아용(乳幼兒用)의 것인지 어른용의 것인지에 따라, 기저귀의 각부의 치수는 크게 다르다. 또한, 그 기저귀가 도시예의 팬츠형의 기저귀(1)인지, 그렇지 않으면 개방형의 기저귀인지에 따라서도 각부의 치수는 크게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기저귀(1)에서의 세로 중심선(P-P) 상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35)의 전후 방향(A)의 치수(D1)(도 3 참조)는, 20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개구부(38)와 후방 개구부(39)의 폭 방향(B)에서의 최대 치수(D3, D4)(도 3 참조)는, 50 ㎜∼4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도 8은, 체액 흡수부(3)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체액 흡수부(3)를 확대함과 아울러 부분적으로 파단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고, 도 6∼도 8은 도 5에서의 VI-VI선, VII-VII선, VIII-VIII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VIII-VIII선은, 가로 중심선(Q-Q)에 일치하고 있다.
도 5∼도 8에 있어서, 체액 흡수부(3)의 액체 흡수성 패널(33a)은,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재(31a)의 집합체와 티슈 페이퍼(31b)로 형성된 코어재(31)와, 톱 시트(32)를 포함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33a)에 대해서는, 기저귀(1')의 세로 중심선(P-P)과 가로 중심선(Q-Q)도 나타나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그것을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의 도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L, 37R)를 세로 중심선(P-P)에 관하여 대칭이 되도록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해서 신장 상태로 부착한 것이다.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L)는, 전방 개구부(38)의 측가장자리(71L)와 후방 개구부(39)의 측가장자리(73L)를 따르는 제1, 제2 부분(81L, 82L)이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간 부분(35)에 있어서 바닥 가장자리(72와 74)를 따르는 제3 부분(83L)이 세로 중심선(P-P)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다른 한쪽의 가랑이 영역 탄성 부재(37R)는, 전방 개구부(38)의 측가장자리(71R)와 후방 개구부(39)의 측가장자리(73R)를 따르는 제1, 제2 부분(81R, 82R)이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간 부분(35)에 있어서 바닥 가장자리(72와 74)를 따르는 제3 부분(83R)이 세로 중심선(P-P)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폭 방향(B)에 있어서, 탄성 부재(37L과 37R)는, 중간 부분(35)에서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양측부(40L, 40R) 각각은, 전후 방향(A)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49)를 통해 톱 시트(32)에 접합되어 있는 전후단 부분(34, 36)과, 양측부(40L, 40R)를 연결하여 전후 방향(A)으로 치수(D1)(도 3 참조)를 갖는 중간 부분(35)과, 전단 부분(34)과 중간 부분(35) 사이에 있는 전방 영역(78)과, 후단 부분(36)과 중간 부분(35) 사이에 있는 후방 영역(79)을 갖는다.
도 5에 있어서, 체액 흡수부(3)에 마련되는 샘 방지벽(58L, 58R)은,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시트편을 Z자형 또는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샘 방지벽(58L, 58R)에는 전후 방향(A)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63)로 총칭되는 탄성 부재(63L, 63R)가 포함되어 있다. 도 6∼도 8에는, 그 샘 방지벽(58) 중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진 샘 방지벽(58L)이 도시되어 있다.
체액 흡수부(3)에서는,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 58R)이 접착제(61d)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61d)는,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전방 영역(78)과 후방 영역(79)의 일부분에 대하여 도포되어 있으나, 중앙 부분(35)과 그 부근에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도 6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후단 부분(36)을 가로지르는 VI-VI선 단면도이고, 도 7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후방 영역(79)을 가로지르는 VII-VII선 단면도이며, 도 8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중간 부분(35)을 가로지르는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후단 부분(36)을 가로지르는 절단면이지만, 전단 부분(34)을 가로질러 VI-VI선에 평행한 절단면도, 도 6과 거의 동일한 상태에 있다. 도 6에 있어서, 후단 부분(36)은, 그 폭 방향의 거의 전체가 핫멜트 접착제(49)를 통해 톱 시트(32)에 접합되어 있다. 샘 방지벽(58L)은, 폭 방향(B)에 있어 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저변(59a)이 핫멜트 접착제(61a)를 통해 액체 흡수성 패널(33a)의 외면에 접합되고, 중간변(59b)이 핫멜트 접착제(61d)를 통해 피부 접촉용 시트(33b)에 접합되어 있다. 샘 방지벽(58L)의 중간변(59b)과 정상변(59c)은 핫멜트 접착제(61e)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명백하듯이, 샘 방지벽(58L)의 전후단 부분(59d, 59e)에서의 중간변(59b)이 피부 접촉용 시트(33b)로부터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핫멜트 접착제(61d)를 통해 톱 시트(32)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후방 영역(79)을 지나는 절단면이지만,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전방 영역(78)을 지나 VII-VII선에 평행한 절단면도, 도 7과 거의 동일한 상태에 있다. 도 7에 있어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후방 영역(79)은, 톱 시트(3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톱 시트(32)로부터 이격 가능한 상태에 있다. 샘 방지벽(58L)은, 저변(59a) 중에서, 접착제(61a)에 의해 액체 흡수성 패널(33a)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으로 하고, 정상변(59c) 중에서, 탄성 부재(63L)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에 병행하고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자유로운 부분을 자유 가장자리부로 하는 것이며,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이들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자유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서 샘 방지벽(58)에 접합되어 있다.
도 5의 체액 흡수부(3)를 갖는 기저귀(1)가 도 1의 상태가 되면, 피부 접촉 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은, 각각의 탄성 부재(37L, 63L)가 수축하여, 도 7의 가상선의 상태가 된다. 즉, 도 7의 피부 접촉용 시트(33b)가 톱 시트(32)로부터 부상(浮上)하도록 이격되어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면, 피부 접촉용 시트(33b)에 의해 샘 방지벽(58L)의 중간변(59b)이 기립하도록 끌어올려진다. 이러한 샘 방지벽(58L)은,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용이하게 기립하는 것이다. 또한,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그것에 접합되어 있는 중간변(59b)의 폭 방향(B)에서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으며, 샘 방지벽(58L)이 폭 방향(B)에서 가랑이 영역(11)의 외측으로, 즉 도 7의 우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로서, 기저귀(1)에서는, 폭 방향(B)으로 흐르는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75)을 톱 시트(32)와 샘 방지벽(58L) 사이에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포켓(75)은, 폭 방향(B)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또한, 그것이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전방 개구부(38)나 후방 개구부(39) 주변에서의 피부가 톱 시트(32) 상의 배설물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중간 부분(35)을 지나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이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중간 부분(35)에서 비접합 상태에 있고, 그 샘 방지벽(58L)은 접착제(61a)를 통해 액체 흡수성 패널(33a)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가 도 1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8의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이 가상선의 상태가 되어, 포켓(75) 이 형성된다. 이 포켓(75)은, 전후 방향(A)에서 도 7의 포켓(75)에 연결되어 있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중간 부분(35)은, 액체 흡수성 패널(33a)을 횡단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가상선의 상태가 되면, 기저귀 착용자의 외음부와 항문 사이에서의 피부에 용이하게 접촉하여, 배설물을 흡수한 액체 흡수성 패널(33a)과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중간 부분(35)에서도, 샘 방지벽(58L)의 기립이 용이해지도록 작용함과 아울러 샘 방지벽(58L)이 가랑이 영역(11)의 외측을 향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샘 방지벽(58L)이, 그것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 부재(63L)의 수축에 의해 기립할 때에, 피부 접촉용 시트(33b)를 톱 시트(32)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작용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본 형태의 체액 흡수부(3)를 갖는 기저귀(1)에 있어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에서의 탄성 부재(37L, 63L)가 수축하면, 피부 접촉용 시트(33b)와 샘 방지벽(58L)의 각각이,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전방 영역(78)과 후방 영역(79)에서는 도 7의 경우와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지만, 도 8에 도시하는 중간 부분(35)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가상선과 같이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기립한다. 따라서, 피부 접촉용 시트(33b)의 상방으로의 이동 거리, 환언하면 내면 시트(32)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샘 방지벽(58L)에 의해 작게 억제된다고 하는 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예컨대, 기립한 상태의 샘 방지벽(58L)의 높이가 낮으면, 가로 중심선(Q-Q) 부근에서 그 샘 방지벽(58L)에 접합되어 있는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상방으로의 이동 거리가 샘 방지벽(58L)에 의해 구속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킬지도 모르지만, 체액 흡수부(3)가 도 8의 형태에 있으면,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피부 접촉용 시트(33b)는 그 이동 거리가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으며, 가랑이부에 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2)

  1.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 몸통 둘레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의 내면측에 마련된 액체 투과성 시트와 외면측에 마련된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가 개재되고, 상기 내면측에서의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더 내면측에는,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부 접촉용 시트편은, 상기 전후 방향의 양단 부분이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 주변이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 주변에서의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은, 상기 개구부의 상기 폭 방향 양측 각각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를 가지며, 상기 측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에는 또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외측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샘 방지벽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연장되는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에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변형이 자유로운 자유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전후 방향의 양단 부분 각각을 형성 하는 전후 고정단 부분의 각각을 갖고, 상기 자유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의 상기 측부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샘 방지벽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자유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중앙 부분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용 시트편에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개구부가 2개 형성되고, 이들 2개의 개구부가 상기 기저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기저귀.
KR1020097021021A 2007-03-19 2008-02-18 일회용 기저귀 Withdrawn KR20090123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9879 2007-03-19
JP2007069879A JP5140295B2 (ja) 2007-03-19 2007-03-19 使い捨てのおむつ
JP2008008532A JP5238270B2 (ja) 2008-01-17 2008-01-17 使い捨てのおむつ
JPJP-P-2008-008532 2008-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946A true KR20090123946A (ko) 2009-12-02

Family

ID=3976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021A Withdrawn KR20090123946A (ko) 2007-03-19 2008-02-1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106127A1 (ko)
EP (1) EP2127622A4 (ko)
KR (1) KR20090123946A (ko)
AU (1) AU2008227777A1 (ko)
BR (1) BRPI0808249A2 (ko)
CA (1) CA2680463A1 (ko)
CO (1) CO6251355A2 (ko)
EA (1) EA200901265A1 (ko)
MX (1) MX2009010017A (ko)
WO (1) WO200811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9010018A (es) * 2007-03-19 2009-10-12 Uni Charm Corp Pañal desechable.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WO2015134375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US10973702B2 (en) 2015-08-2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 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CN105232234A (zh) * 2015-10-30 2016-01-13 浙江优全护理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气节能的结合式尿裤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JP6537658B1 (ja) * 2018-03-28 2019-07-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050Y2 (ja) * 1992-07-01 1998-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SE502548C2 (sv)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SE502549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tt öppningsförsett toppskikt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480859B2 (ja) 2000-06-29 2010-06-16 王子製紙株式会社 おむつ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599096B2 (ja) * 2004-05-31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987094B2 (ja) * 2005-10-14 2007-10-0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19020B1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972335B2 (ja) * 2006-02-09 2012-07-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MX2009010018A (es) * 2007-03-19 2009-10-12 Uni Charm Corp Pañal desechable.
JP5140295B2 (ja) * 2007-03-1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WO2008114556A1 (ja) * 2007-03-19 2008-09-25 Uni-Charm Corporation 使い捨てのおむつ
JP2009125315A (ja) * 2007-11-22 2009-06-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27777A1 (en) 2008-09-25
EA200901265A1 (ru) 2010-04-30
CA2680463A1 (en) 2008-09-25
BRPI0808249A2 (pt) 2014-08-05
WO2008114557A1 (ja) 2008-09-25
MX2009010017A (es) 2009-10-12
EP2127622A4 (en) 2012-12-19
CO6251355A2 (es) 2011-02-21
US20100106127A1 (en) 2010-04-29
EP2127622A1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04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720922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90123945A (ko) 일회용 기저귀
JP2561675B2 (ja) 漏れ抵抗二重カフスを有する一体的使い捨て吸収性製品
KR20090123950A (ko) 일회용 기저귀
JP5160863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90123946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20098913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8061898A (ja) 使い捨てのおむつ
US20110015606A1 (en) Absorbent article
BRPI0619676A2 (pt) fralda descartável
KR10260599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08135751B (zh) 一次性穿着物品
KR20090110358A (ko) 일회용 기저귀
JP5238270B2 (ja) 使い捨てのおむつ
JP5140444B2 (ja) 使い捨てのおむつ
JP5238271B2 (ja) 使い捨てのおむつ
KR20100139031A (ko)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JP2002200116A (ja) 使い捨ておむつ
JPH1129982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919859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