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147A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4147A KR20090074147A KR1020097002680A KR20097002680A KR20090074147A KR 20090074147 A KR20090074147 A KR 20090074147A KR 1020097002680 A KR1020097002680 A KR 1020097002680A KR 20097002680 A KR20097002680 A KR 20097002680A KR 20090074147 A KR20090074147 A KR 20090074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data
- transmission
- cycle
- recep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네트워크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211)은, TCP 등의 플로우 제어를 갖는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I/F부(108)와, 통신 I/F부(108)로의 전원의 투입과 차단을 전환하는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통신 품질에 따라, 사이클 간격 Tc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결정하고, 상술의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이용해, 사이클 간격 Tc마다,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버스트적으로 송신시킴과 더불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시키며,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된 기간(시각 T2 ~ T3)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력 절약을 목적으로 한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및 전력 절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즉, PC(Personal Computer) 뿐만 아니라, 텔레비젼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등의 거치형의 가전 기기에 있어서의 IP 네트워크의 이용이 보급하기 시작함과 함께,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 단말에 있어서의 IP 네트워크의 이용도 보급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기기를 통신 장치로 부른다.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에서는, 음악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의 다운로드나 업로드, 또한 음성 등의 스트리밍 데이터의 송수신 등이 행해지고, 장시간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IP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경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디바이스 중에서도, IP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특히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는, 유선에 의해 IP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디바이스와 무선에 의해 IP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전력 절약 기술은, 상술과 같은 무선이나 유선을 불문하고, 다양한 기기에 대해서 검토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형 단말에서는, 내장의 배터리만으로 장시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법이 상정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 기술을 특별히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형 단말에 있어서의 전력 절약 기술의 예를 설명한다.
휴대형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로서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디바이스의 이용이 주목되고 있다. 무선 LAN 디바이스는 비교적 큰 전력을 소비하므로, 그 전력 절약화는 중요한 검토 과제이며, 많은 전력 절약화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무선 LAN의 표준 규격인 IEEE802.11에서는, 무선 단말의 전력 절약화의 방법으로서, 전원 관리의 모드(파워 세이브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무선 단말은,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무선 기지국(액세스 포인트)으로부터 비컨이 송신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수신 동작을 행하고, 그 이외의 동안은 수신 동작을 행하지 않는 상태(도스 모드)에 들어간다. 무선 단말은, 도스 모드에 있어서, 그 무선 단말에 구비된 무선 LAN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의 무선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무선 단말은, 송신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수신한다. 이 때, 무선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도 1 중의 「B」의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송신될 때마다, 또는 복수의 비컨의 송신에 1회의 타이밍으로, 수신 상태(전원이 투입된 상태)에 들어가, 그 비컨을 수신한다. 여기에서는, 이 무선 단말이 비컨을 수신하는 일정한 간격을, 「슬립 간격」이라고 부른다. 슬립 간격은, 무선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시퀀스 등에 의해, 무선 단말로부터 설정 또는 변경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스 모드의 기간 중에 무선 단말 앞으로 송신된 패킷은, 일단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된다. 무선 단말이 다음에 비컨을 수신했을 때에는, 무선 단말은, 자기 앞의 패킷이 도달해 있는 것이 통지되므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 PS-Poll(Power Save Poll) 패킷을 송신한다. PS-Poll 패킷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그 무선 단말 앞으로의 패킷을 합쳐 송신하므로, 도스 모드의 기간에 송신된 패킷은 바르게 무선 단말에 수신된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전력 절약 효과와 통신 품질(지연 시간이나 대역)을 양립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의 데이터 송신 간격에 대해서, 슬립 간격이 길게 설정되어 있으면, 큰 통신 지연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최대, 슬립 간격에 상당하는 시간분만큼의 통신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필요 이상으로 슬립 간격을 짧게 설정하면, 쓸데없는 폴링이 발생해, 전력 절약 효과가 작아진다. 또, 본래, 네트워크의 통신 상황이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건(예를 들면, 지연 시간이나 대역의 제한 등)에 따라, 적절한 슬립 간격은 상이하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슬립 간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적절한 전력 절약 효과와 통신 품질을 얻을 수 없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통신 데이터 대역에 따라 슬립 간격을 설정 및 변화시키는 것으로,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를 양립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2는, 상기 특허 문헌 1의 무선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은, 도 2에 나타내는 전력 절약 설정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고, 그 전력 절약 설정 리스트에는 슬립 간격(전력 절약 설정)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절약 설정 리스트에는, 무선 단말에서 실행되는 각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데이터 속도에 대응하는 0 ~ 10까지의 전력 절약 레벨과, 그 전력 절약 레벨에 대응하는 슬립 간격(전력 절약 설정)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빠른 데이터 속도가 요구되는 음성 스트리밍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전력 절약 설정 「비컨을 매회 수신」 및 전력 절약 레벨 「1」이 등록되고, 그것보다 약간 느린 데이터 속도가 요구되는 웹 브라우저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전력 절약 설정 「비컨을 2회에 1회 수신」 및 전력 절약 레벨 「2」가 등록되어 있다. 또 빠른 데이터 속도가 요구되지 않는 전자 메일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메일 소프트)에는, 전력 절약 설정 「비컨을 10회에 1회 수신」 및 전력 절약 레벨 「10」이 등록되고, 지극히 빠른 데이터 속도가 요구되는 동화 스트리밍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전력 절약 설정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도스 모드에 들어가지 않는다)」 및 전력 절약 레벨 「0」이 등록되어 있다.
무선 단말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 또는 종료시에, 전력 절약 설정 리스트를 바탕으로, 실행중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전력 절약 레벨이 낮은 것을 검색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은, 그 검색 결과의 전력 절약 레벨에 따라 전력 절약 설정(슬립 간격)을 변경하고, 액세스 포인트에도 전력 절약 설정 변경 통지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무선 단말(통신 장치)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질에 따라, 비컨을 수신하는 간격(슬립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적절한 지연 시간이나 대역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특허공개 2004-18700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의 통신 장치이더라도,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를 충분히 양립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방식은,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식 상에서 동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무선 LAN 특유의 과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제한된다고 하는 제1 과제와, 전력 절약 제어와 리얼타임 통신을 양립할 수 없다고 하는 제2 과제와, 액세스 포인트에서 데이터의 미획득이 발생한다고 하는 제3 과제가 발생한다.
우선, 제1 과제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IEEE802.11 규정의 전력 절약 기능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포인트에 따라서는, IEEE802.11 규정의 전력 절약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것이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디폴트로 OFF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한 환경에서는, 설령 휴대형 단말측(통신 장치측)에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력 절약 기능을 탑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휴대형 단말의 전력 절약화를 행할 수 없다. 또, 같은 이유 때문에, 휴대형 단말(통신 장치)이 IEEE802.11 이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해 통신(예를 들면, 유선 통신이나 IEEE802.11 이외의 무선 통신)할 때에는, 특허 문헌 1 기재의 전력 절약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방식은,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조건이 제한되어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종류나 다른 통신 기기의 실장 상황에 의해, 전력 절약화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2 과제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통신 장치는, 슬립 간격을 변화시키지만, 단순히 슬립 간격의 비컨 송신 간격에 대한 배율을 변화시키는 것뿐이기 때문에, 비컨 송신 간격 자체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통신 장치에 의한 데이터 수신은, IEEE802.11의 전력 절약 방식과 동일하게 비컨의 송신에 연동한 타이밍으로 행해진다. 그 결과, 특허 문헌 1의 통신 장치로는, 리얼타임 통신에 필요한 지연 시간이나 대역의 요건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다.
이하, 제2 과제를, 지연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와 통신 대역이 낮게 억제된다고 하는 문제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제2 과제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슬립 간격은, 비컨 송신 간격보다 짧게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단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하면, 지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송신 간격이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연 시간의 증대에 의해서, 음성 품질이 저하한다.
또, 비컨 송신 간격이 짧아도,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복수의 무선 단말(통신 장치)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연 시간이 증대하는 일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복수의 무선 단말(통신 장치)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비컨 송신마다 동시에 복수의 무선 단말로부터 PS-Poll(무선 단말로의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는 패킷)이 송신된다. 그 경우, IEEE802.11로 규정되어 있는, 송신시의 백 오프 알고리즘(무선 단말이 송신 가능 상태가 된 후에 실제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 어느 임의의 시간만큼 기다리고 나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알고리즘)에 의거하면, 특정의 무선 단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이 먼저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먼저 송신을 개시한 무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할 때까지, 그 특정의 무선 단말은 데이터 송신을 기다리게 되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VoIP 등의 지연 시간에 제한이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지연 시간의 증대가 문제가 된다. 또한, 무선 단말측에서는, 비컨을 수신하여 실제로 데이터 수신을 마칠 때까지 도스 상태로 돌아올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대기 시간도, 쓸모없이 전원을 계속 투입하게 되고, 전력 절약 효과가 작아진다.
다음으로, 제2 과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이 낮게 억제된다고 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비컨 송신 간격이 긴 조건에서 특허 문헌 1의 전력 절약화를 행하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서의 통신 대역이 낮게 억제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TCP의 플로우 제어의 구조에 의해, 한 번에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즈가, 수신(무선 단말)측의 TCP의 수신 버퍼의 사이즈로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높은 대역에서 데이터 수신을 행하려면, 큰 수신 버퍼를 준비해 한 번에 수신하는 데이터를 크게 하거나, 데이터 수신의 간격(=슬립 간격)을 짧게 설정하거나 어느 쪽인가가 필요하게 된다.
비컨 송신 간격이 긴 경우, 슬립 간격도 비컨 송신 간격보다 짧게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대역의 통신을 행하는 데에는 방대한 수신 버퍼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이 TCP의 수신 버퍼를 64[KByte]탑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비컨 송신 간격이 200[msec]인 경우, 최대의 처리량은, 2.6[Mbps]정도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전력 절약 제어 및 통신 장치에서는, 데이터 수신을 비컨 송신의 타이밍에 연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연 시간 증대나 대역 저하의 과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지연 시간이나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스 모드에 들어가지 않는다(전력 절약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고 하는 전력 절약 설정을 선택할 수 밖에 없고, 리얼타임 통신과 전력 절약 제어를 양립하는 것을 충분히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제3 과제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식으로는, IEEE802.11의 전력 절약 방식과 동일하게, 액세스 포인트가 도스 모드 중의 무선 단말(통신 장치) 앞의 패킷을 버퍼링하고 있다. 그렇지만, 송신측 장치와 휴대형 단말(통신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항상 일정 레이트는 아니며, 통신 장치 내에서의 처리의 지연이나 네트워크 내에서의 지터 등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 버퍼링되는 데이터량은 변화한다. 따라서, 상정 이상의 데이터량이 버스트적으로 도착하면, 액세스 포인트가 버퍼링을 다 하지 않고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와,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과,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예를 들면 ACK 패킷이나 TCP의 데이터 패킷 등)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과, 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데이터 사이즈인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윈도우 이하의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억제 수단은,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정 송신 요구 데이터로 하여, 당해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킨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킨다.
이것에 의해, 억제 수단에 의한 임의의 타이밍에서,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고, 그 때에 통신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이 삭감되기 때문에,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에 관계없이, 즉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조건에 제한되지 않고, 통신 품질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적절한 타이밍에서, 적극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IEEE802.11 규정의 무선 LAN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력 절약화의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무선 LAN의 네트워크 환경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 이 때문에, 유선 통신이나 IEEE802.11 이외의 무선 통신시에도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IEEE802.11 규정의 무선 LAN 환경을 상정했을 경우에도, 본 발명은 종래의 특허 문헌 1의 기술과 비교해 이하의 2개의 이점이 있다.
우선 첫째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수신이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송신의 타이밍에 연동하지 않고,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이나 대역에 맞춘 타이밍으로 데이터 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얼타임 통신을 행하면서, 즉, 리얼타임 통신에 필요한 지연 시간이나 대역의 요건을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전력 절약 제어도 양립할 수 있다.
또 둘째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방법과 같이 도스 모드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동안에는, 원래 송신측 장치(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없는 상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송신측 장치의 처리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하등의 지터가 발생했다고 해도, 액세스 포인트에서 데이터 오버플로우가 일어나는 것과 같은 과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로서 송신되어야 할,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며,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통신 제어 수단에 생성시켜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따라,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과 동시에, 상기 긍정 응답 패킷에 대해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킨다.
이것에 의해,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사용하는 TCP에 따른 통신에 있어서,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의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에, 수신 윈도우로서 0을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상대측 장치는, 일정 기간 중에, 수신 윈도우로서 0을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을 때에는, 먼저 송신한 데이터가 통신 장치에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그 데이터를 재송하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수신 윈도우로서 0을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통신 상대측 장치에 송신되기 때문에,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억제한 상태로, 통신 상대측 장치에 있어서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사이즈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상기 수신 윈도우로 하여,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고,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을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며,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해,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을 다음 사이클의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여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의 처리를 상기 사이클 시간마다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요구되는 통신의 성능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사이클 시간(사이클 간격) 내에 있어서,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과, 그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 처리를 포함하는 1개의 사이클을 행하며, 또한, 그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으로,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는 통신 대역이나 지연 시간 등의 조건(성능)이 충족된 상태에서, 그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다음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있어도, 상술한 통신 대역이나 지연 시간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또,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가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후,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간헐적 데이터 송수신의 1 사이클에 있어서, 통신 수단에서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는, 당해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소실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지 않은 것을 검지하면,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사이즈인 송신 윈도우를 감소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윈도우 이하가 되는 것과 같은 윈도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순차적으로 수신된 각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연속인지 불연속인지를 판별하고, 불연속이라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고 판별한다. 또는,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순차적으로 수신된 각 데이터의 합계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에 이르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이르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고 판별한다.
통신 상대측 장치가, 데이터가 소실되어 통신 수단에 수신되지 않은 것을 검지하면, 즉 패킷 로스를 검지하면, 송신 윈도우(폭주 윈도우)가 감소하기 때문에, 수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사이클 데이터 사이즈)가 송신 윈도우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통신 장치의 통신 수단은, 송신 요구 데이터를 송신해도, 그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고, 송신 윈도우만큼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만일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통신 장치의 전환 제어 수단은, 통신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지 못하며, 전력 절약화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수신 윈도우를 저하시키거나 송신 윈도우를 사이클 사이즈 이상으로 회복시키거나 하도록, 상기 수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윈도우 이하가 되는 것과 같은 윈도우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패킷 로스가 발생해도 수신 윈도우 ≤ 송신 윈도우의 관계를 유지해, 상술과 같은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함과 더불어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윈도우 제어로서, 후에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패킷 로스가 발생해도 수신 윈도우 ≤ 송신 윈도우의 관계를 확실에 유지하여,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함과 더불어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감소된 상기 송신 윈도우를 증가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송신 윈도우의 증가에 수반해,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패킷 로스 등에 의해서, 송신 윈도우 및 수신 윈도우가 감소되어도, 각각 증가되기 때문에, 각각을 원래의 값으로 하여, 통신 상태를, 패킷 로스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 수신 윈도우를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반복해서 송신되고 있는 동안,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시간을 짧게 하여,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짧아진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하며, 상기 수신 윈도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수신 윈도우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아져도, 사이클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에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통신 수단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일정하게, 즉 처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감소된 상기 송신 윈도우를 증가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송신 윈도우가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아지고 나서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이상이 될 때까지의 윈도우 회복 기간, 상기 윈도우 제어로서,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패킷 로스 등에 의해 감소된 송신 윈도우를 원래의 값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다음에 수신해야 할 데이터의 식별 번호를 통지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통지하는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며, 상기 윈도우 회복 기간에서는,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서로 다른 상기 식별 번호를 갖는 복수의 긍정 응답 패킷으로 나누어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 장치가 긍정 응답 패킷을 통신 상대측 장치에 송신하고, 그 긍정 응답 패킷에 대해서 통신 상대측 장치가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하는, 데이터 송수신의 회수를, 분할된 긍정 응답 패킷의 수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상대측 장치의 감소된 송신 윈도우를 지급히 원래의 값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킨다. 또는,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응답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통신 장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도, 통신 수단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으며, 통신 품질을 해치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한층 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 단말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종래의 통신 단말과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에서 행해지는 TCP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에도, 통신 수단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으며,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긍정 응답 패킷을 송신시키고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송신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긍정 응답 패킷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 패킷의 송신을 재개시킨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통신 장치가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송신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에서도, 억제 수단에 의한 임의의 타이밍에서,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 패킷의 송신이 억제되어, 그 때에 통신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이 삭감되기 때문에,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에 관계없이, 즉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조건에 제한되지 않고, 통신 품질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적절한 타이밍에서, 적극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송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을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며,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긍정 응답 패킷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송신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며,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을 다음 사이클의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여,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부터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의 처리를 상기 사이클 시간마다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이클 시간(사이클 간격) 내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과, 그 송신 데이터에 대한 긍정 응답 패킷의 수신과, 송신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 처리를 포함하는 1개의 사이클을 행하고, 또한, 그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으로,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는 통신 대역이나 지연 시간 등의 조건(성능)이 충족된 상태로, 그 간헐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다음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있어도, 상술한 통신 대역이나 지연 시간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병렬로 행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에서 일정 시간마다 송수신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의 송수신과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이 동기하도록, 상기 일정 시간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정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고정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정 시간에 의거해서 상기 사이클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사이클 시간을 상술한 일정 시간으로 동일하게 하면, 억제 수단이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고 있는 기간을,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맞출 수 있다. 즉,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동기시킬 수 있고, 상술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병렬로 행하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고정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과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 및 해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 시간을 상기 일정 시간으로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과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이 일치하기 때문에, 억제 수단이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고 있는 기간을,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맞출 수 있다. 그 결과, 그 기간에 있어서 통신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통신 장치는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술한 것과 같은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상기 통신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간헐 수신 실시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간헐 수신 실시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에, 상기 통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과 동시에,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이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후,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긍정 응답 패킷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송신 완료된 송신 데이터를, 다음 사이클의 최초의 송신 데이터로서 상기 통신 수단에 재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이,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 후,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이 상기 통신 수단에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이 도달할 때까지, 상기 통신 수단에 송신 완료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재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데 필요로 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패킷수인 지연 응답 회피 패킷수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송신 데이터를 상기 지연 응답 회피 패킷수의 정수배로 분할하는 것을 상기 통신 제어 수단에 대해서 요구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를 상기 지연 응답 회피 패킷수의 정수배로 분할하여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일정 시간마다 처리의 개시 및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헐 처리 수단은, 상기 간헐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의 개시 및 정지의 시간 간격을, 상기 사이클 시간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일정 시간마다 처리의 개시 및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헐 처리 수단은, 상기 간헐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의 개시 시점을,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기대값보다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기대값보다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후에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수신 윈도우를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 값으로 하며, 또한 후에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수신 윈도우를 상기 값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기대값보다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시간을 짧게 하고,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짧아진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하며, 상기 수신 윈도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통신 장치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통신 장치를 포함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나, 그 통신 장치가 통신하는 통신 방법이나, 그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전력 절약 방법이나, 그 통신 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억 매체나, 집적 회로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또,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이용한 전력 절약 제어를 가지며, 운반 가능한 통신 장치(일반적으로는, 무선 단말)가, 리얼타임 통신을 하면서 전력 소비도 억제하려는 것과 같은 사용법(예를 들면,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장시간에 걸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무선 LAN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통신이나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한 통신 등, 여러 가지 네트워크 환경의 통신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종래의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법에 있던,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 용량 오버플로우에 의한 데이터 로스의 과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동 상기의 수신측 장치인 휴대형 단말과 송신측 장치의 기본적인 처 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다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또 다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동 상기의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동 상기의 파라미터 결정부에 의해 생성된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송신측 장치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동 상기의 수신 윈도우(RWIN) = 0인 ACK 패킷이 송신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송신측 장치의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동 상기의 패킷 로스 검지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동 상기의 재송 유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동 상기의 CWIN 추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동 상기의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동 상기의 CWIN 저하 기간 중에 있어서 행해지는 간헐 수신의 1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2는,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3은, 동 상기의 수신측 장치와 휴대형 단말과 송신측 장치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5는, 동 상기의 송신측 장치인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수신측 장치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수신측 장치의 정상 상태에서, RTT 사이도 전원 차단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1a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UDP에 관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b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UDP에 관한 다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a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TCP에 관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b는, 동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가 관리하는 TCP에 관한 다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UD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와, TC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의 통신에 있어서, 송신 간격과 사이클 간격이 동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4는, 사이클 간격과 송신 간격이 상이한 경우에 억제 재개 제어부가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5는,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UD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와, TC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의 통신에 있어서, 송신 간격과 사이클 간격이 동기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6은, 동 상기의 휴대형 단말과, TC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수신측 장치와, TC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의 통신에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8은, 동 상기의 휴대형 무선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9는, 동 상기의 휴대형 무선 장치와 휴대형 단말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통신 어플리케이션부 102 :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
103 : 파라미터 결정부 104 : 억제 재개 제어부
106 : 전원 제어부 107 : 통신 제어부
108 : 통신 I/F부 202 : 무선 기지국
203 : 송신측 장치 204 : 인터넷(WAN)
211, 212 : 휴대형 단말(통신 장치)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211, 212)과 무선 기지국(202)과 인터넷(204)과 송신측 장치(203)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형 단말(211, 212)은,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한 통신 장치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탑재한 무선 단말로서 구성되어 있다. 휴대형 단말(211, 212)은, 무선 기지국(202)을 통해 인터넷(204)에 접속한다.
송신측 장치(203)는, 인터넷(204) 상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장치이다. 송신측 장치(203)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접속을 받고, 상대에게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형 단말(211, 212)은, 인터넷(204)을 통해 송신측 장치(203)와 접속하고,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같은 플로우 제어를 갖는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휴대형 단말(211, 212)은, 각각 동등의 구성을 구비하고, 동등의 동작을 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휴대형 단말(21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휴대형 단말(211)을 수신측 장치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은, 플로우 제어를 이용한다. 플로우 제어란, 수신측 장치의 데이터 수신 처리가 미치지 않게 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수신측 장치가 송신측 장치에 데이터 송신의 정지 및 재개를 지시하는 제어이다. 이 제어는, 수신측 장치에서의 데이터 과잉을 막기 위한 제어로서 각종의 통신 프로토콜로 행해지고 있다.
이하, TCP에 있어서의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TCP 레벨의 플로우 제어는, 수신 윈도우(일반적으로, 수신측 장치의 TCP 수신 버퍼의 빈 용량에 상당)를 송신측 장치에 전하는 것으로, 그 이상의 데이터가 수신측 장치에 보내어지지 않도록 조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윈도우는, TCP 헤더의 「윈도우 사이즈」의 필드에 격납되고, 수신측 장치로부터 송신측 장치로의 ACK 패킷(긍정 응답 패킷)을 사용해 통지된다. 송신측 장치에서는, ACK 패킷을 감시하고, 송신된 데이터 사이즈와 ACK 패킷으로 통지된 수신 윈도우의 관계로부터,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의 상한을 알아, 그 상한을 넘어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TCP 헤더에는, 또한 시퀀스 번호(송신하는 데이터의 스트림 전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와 ACK 번호(다음에 수신하는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의 필드가 있으며, 수신측 장치는 ACK 패킷의 ACK 번호를 사용해, 어디까지의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송신측 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수신측 장치의 처리가 막혔을 경우와 같이, 수신측 장치가 수신 윈도우를 갱신하지 않는(ACK 패킷을 돌려보낼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면, 송신측 장치의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가 0이 되면, 송신측 장치로부터 그 이상의 데이터의 송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수신을 나타내는 ACK 패킷을 받지만, 보다 큰 수신 윈도우가 통지될 때까지는, 송신측 장치는 송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 그 후, 수신측 장치가 데이터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다시 ACK 패킷을 송신측 장치에 보내어, 새로운 수신 윈도우를 통지하면, 송신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재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수신측 장치의 정체 등에 의한) 데이터 과잉 회피의 목적이 아니라, 수신측 장치가 송신측 장치로부터의 간헐적 데이터 송신을 능동적으로 실행시키는 목적으로 이용한다.
도 4는, 수신측 장치인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의 기본적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휴대형 단말(211)(상술의 수신측 장치에 상당한다)과 송신측 장치(203)는, TCP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우선,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203)가 버스트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사이즈의 상한을 결정해 그것을 수신 윈도우로서 송신측 장치(203)에 통지한다 (단계 S701). 예를 들면, 송신측 장치(203)가 1 패킷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사이즈가 Dseg[바이트]인 경우,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203)의 송신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의 상한을, 4 패킷분(= 4×Dseg[바이트])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수신 윈도우(이후, RWIN라고 부른다)를 「4×Dseg」로 설정한 ACK 패킷을,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203)는, RWIN = 4×Dseg[바이트]인 ACK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이하, uwnd라고 한다)가 4×Dseg[바이트]인 것을 파악하며,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는, 그 ACK 패킷의 수신 전에는,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를 uwnd = 0으로서 파악하고 있으며, 데이터 송신을 정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송신측 장치(203)는, Dseg[바이트]의 패킷을 4회만 송신하고, 1회 송신할 때마다 uwnd를 Dseg[바이트]분만큼 줄인다(단계 S702 ~ S705).
한편, 휴대형 단말(211)은, 단계 S702 ~ S705에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패킷)를 수신하지만, ACK 패킷을 돌려보내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그 결과, 송신측 장치(203)는, 4회째의 패킷을 송신한 시점(단계 S705)에서 uwnd가 0이 되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기간」을 만들 수 있다. 이후, 송신측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기간을, 송신 억제 기간이라고 부른다. 그 후, 휴대형 단말(211)은, 원하는 타이밍에서 「RWIN = 4×Dseg」인 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으로, 송신측 장치(203)에 데이터 송신의 재개를 지시한다(단계 S706).
휴대형 단말(211)은,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사용해 상기와 같은 데이터 송신의 억제와 재개의 지시를 반복하는 것으로, 휴대형 단말(211)의 원하는 간격으로의 간헐적 데이터 수신(간헐 수신)을 행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수신 사이의 송신 억제 기간에, 휴대형 단말(211)이 구비하는 통신 I/F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실제로 데이터나 ACK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간만 통신 I/F부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휴대형 단말(211)의 전력 절약화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헐적으로 통신 I/F부의 전원을 차단 또는 투입함으로써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하지만, 반드시 완전하게 전원을 차단할 필요는 없고, 통신 I/F부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로 그 전력을 조정해도 된다. 즉, 휴대형 단말(211)은, 통신 I/F부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가 없는 기간에는, 통신 I/F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통신 I/F부의 송수신 기능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이하, 통상 전력이라고 한다)으로 억제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의 필요가 있는 기간에는, 통신 I/F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통상 전력으로 되돌린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력 절약 제어에서는, 통신 I/F부의 소비 전력을, 통상 전력보다 낮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어이면 된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211)에 저소비 전력 모드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는, 휴대형 단말(211)은, 통신 I/F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대신에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또는, 휴대형 단말(211)은, 통신 I/F부로의 전원(전류)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클럭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소비 전력을 통상 전력으로 복귀시킬 때에는, 전원을 투입하거나 공급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클럭의 제공을 개시하거나 하는 등, 상기 각각으로 역의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사용해, 휴대형 단말(수신측 장치)(211)이 데이터 수신이 없는 기간을 능동적으로 만들어, 그 기간에 전원을 OFF로 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한다. 따라서, 전력 절약화의 제어는, 수신측 장치만으로 행해지며,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식과 같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제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수신의 타이밍은,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송신의 타이밍에 연동하지 않으며, 수신측 장치에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지연 시간과 대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의 간격 및 데이터 사이즈를 조정하면, 원하는 통신을 계속하면서, 동시에 전력 절약화도 양립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 수신측 장치의 수신 가능한 타이밍 및 데이터 사이즈로 송신측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데이터 오버플로우의 발생을 막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휴대형 단말(21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휴대형 단말(211)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와 파라미터 결정부(103)와 억제 재개 제어부(10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07)와 상술의 통신 I/F부(108)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I/F부(108)가 통신 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전원 제어부(106)가 전원 전환 수단으로서 구성되며, 억제 재개 제어부(104)가 억제 수단 및 전환 제어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기동 통지를 발행하여, 송신측 장치(20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또,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료시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종료 통지를 발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휴대형 단말(211) 상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1개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와 송신측 장치(203)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성능 파라미터」를 입수한다. 여기서, 「성능 파라미터」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독자적으로 정해진 대역이나 지연 시간, 한 번에 송신하는 패킷의 사이즈 등의 조건(성능 요건)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기동 통지 또는 종료 통지를 받으면, 동시에 성능 파라미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입수하여, 파라미터 결정부(103)에 대해서,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발행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 정한다.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간헐 수신의 1 사이클분의 시간 간격, 및 1 사이클 사이에 수신하는 데이터 사이즈의 2개로 이루어진다. 이후, 전자의 파라미터를 「사이클 간격」이라고 부르고, 후자의 파라미터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로 부른다. 또, 이들 2개의 파라미터를 총칭해 「간헐 수신 파라미터」라고 부른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로부터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접수했을 때,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로부터의 성능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억제 재개 제어부(104)에 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송신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간헐적으로 행해지도록, TCP의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사용해 통신 제어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이 TCP의 플로우 제어에 의해 얻어진 송신 억제 기간(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없는 기간)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제어부(106)에 지시를 내린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에 의해 수취한 간헐 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 또는 재개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결정한 타이밍에,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 또는 재개시키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패킷에 관계하는 3개의 요구(후술)를 발행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송신 억제 기간에 연동하여, 전원 제어부(106)에 대 해서 투입 또는 차단의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통신 제어부(107)로 송수신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술의 타이밍의 결정에 이용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의 투입 또는 차단의 요구에 따라,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한다.
통신 제어부(107)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의 데이터를, 통신 I/F부(108)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통신 I/F부(108)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에 넘겨주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 처리나, 무선 기지국(202)과의 사이의 네고시에이션 처리 등이 포함된다. 통신 제어부(107)로 송수신 하는 TCP 패킷은,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 모니터링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7)는, 통상의 TCP 처리에 더하여,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ACK 패킷의 송신 타이밍이나 패킷 내용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107)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 ACK 통상 송신 재개 요구, 및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받고, 그들 요구에 대응한다.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는, 통상의 ACK 패킷 송신을 억제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이후, TCP의 데이터 수신에 연동해 ACK 패킷을 송신하지 않게 된다.
ACK 통상 송신 재개 요구는,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해제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통상의 TCP 처리(TCP의 데이터 수신에 연동한 ACK 패킷의 송신)를 재개한다.
ACK 단발 송신 요구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 지정된 타이밍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 지정된 내용의 ACK 패킷을 송신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TCP의 데이터 수신 타이밍에 관계없이, 지정된 내용의 ACK 패킷을 지정된 타이밍에 송신한다. 또한, 이 요구는,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효하다(송신 가능하다).
통신 I/F부(108)는, 통신 제어부(107)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무선 기지국(20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07)에 넘겨주는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부(108)는, 전원 제어부(106)에 의해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이 행해진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211)이 초기 상태부터 통신을 개시하여 종료할 때까지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휴대형 단말(211)의 통신 I/F부(108)의 전원은 차단되어 있고,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대해서 기동 통지를 발행한다. 이 기동 통지의 발행에 의해,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인도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그러한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를 받으면, 그것들을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모아 보존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가 관리하는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3개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a, 102b, 102c) 중 어느 1개를 관리한다.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a, 102b, 102c)은 각각, 기동이 끝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를 갖는다. 그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로서는, 스트림 타입, 대역, 및 지연 시간의 파라미터가 있다. 여기서, 스트림 타입에는, 대역 중시형, 지연 시간 중시형, 및 최선형의 3개의 타입이 있다.
대용량의 파일을 장시간에 일정 레이트로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인도한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도 6a에 나타내는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a)을 유지해 관리한다.
예를 들면, 이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a)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과, 대역 「BW = BWs[Byte/sec]」를 포함한다.
또, VoIP 등 데이터의 지연 시간의 요구가 어려운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스트림 타입 「지연 시간 중시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성능 파라미터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인도한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도 6b에 나타내는 스트림 타입 「지연 시간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b)을 유지해 관리한다.
예를 들면, 이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b)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림 타입 「지연 시간 중시형」과, 대역 「BW = BWb[Byte/sec]」과, 지연 시간 「DT = DTb[sec]」를 포함한다.
또, 지연 시간이나 대역에 대한 명확한 요구를 하지 않고 대용량의 파일을 될 수 있는 한 빨리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스트림 타입 「최선형」을 나타내는 성능 파라미터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인도한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도 6c에 나타내는 스트림 타입 「최선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c)을 유지해 관리한다.
예를 들면, 이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c)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림 타입 「최선형」만을 성능 파라미터로서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기동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그 기동 통지에 포함되는 성능 파라미터의 정보를 토대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2a, 102b, 102c) 중 어느 1개를 작성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파라미터 결정부(103)에 대해서, 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를 발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종료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작성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삭제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를 받으면,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읽어내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간격 Tc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기본적으로, Dc/Tc = BW(성능 파라미터의 대역)를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조건으로 결정한다. 또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의 적절한 사이즈는, 휴대형 단말(211)의 TCP의 조건(TCP 수신 버퍼 사이즈나 MSS(Maximum Segment Size))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건(데이터 송신의 단위) 등에 의해 바뀐다. 따라서,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이러한 조건도 가미하여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이들 조건이 항상 변화하지 않는 환경을 상정하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이들 조건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룰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도 7은,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성능 파라미터인 대역 「BW = BWs[Byte/sec]」를,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이용한다. 즉,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 즉,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 C1(C1는 정수)에 따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서 C1[Byte/sec]를 결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 즉, 사이클 간격 Tc = Dc/BW에 따라, 사이클 간격 Tc로서 C1/BWs[sec]를 결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그 결정된 사이클 간격 Tc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나타내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즉,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최초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결정한 후, 그에 맞춰 사이클 간격 Tc를 결정한다.
한편,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지연 시간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그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성능 파라미터인 대역 「BW = BWb[Byte/sec]」와 지연 시간 「DT = DTb[sec]」를,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이용한다. 즉,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 즉, 사이클 간격 Tc = DT/C2(C2는 1보다 큰 정수)에 따라, 사이클 간격 Tc로서 DTb/C2[sec]를 결정한다. 또한, C2가 작을수록, 사이클 간격 Tc가 길어져, 전력 절약 효과가 높아진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 즉,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 BW × Tc에 따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서 BWb × DTb/C2[Byte]를 결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그 결정된 사이클 간격 Tc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나타내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즉,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지연 시간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스트림 타입「대역 중시형」의 경우와는 반대로, 지연 시간의 요건이 어렵기 때문에, 사이클 간격 Tc를 먼저 결정하고,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그에 맞추어 결정한다. 이와 같이, VoIP 등의 지연 시간 중시형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거하는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경우에는,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성능 파라미터의 지연 시간 DT를 사용해, 「Tc<DT」라고 하는 조건, 즉, 사이클 간격 Tc = DT/C2를, 사이클 간격 Tc의 결정 룰로서 추가하고 있다.
또,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최선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에 따라, 사이클 간격 Tc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결정하지 않는다. 즉, 최선형에 대해서는, 대역 중시형이나 지연 시간 중시형과 같이 명확한 성능 요건이 없기 때문에,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기본적으로는 복잡한 간헐 수신 제어를 행하지 않고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ON으로 한 채 단번에 데이터 전송을 완료시키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한다. 다만, 최선형에 대해서도 간헐 수신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8은, 파라미터 결정부(103)에 의해 생성된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스트림 타입 「대역 중시형」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읽어내면, 예를 들면,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간격 Tc로서 C1/BWs[sec]와,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로서 C1[Byte]를 나타내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를 받을 때마다, 상기의 순서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3)는, 생성 후, 억제 재개 제어부(104)에 대해서 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를 발행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를 받으면,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읽어내고, 그 내용에 의거하여, 전원 제어부(106)로의 투입 요구의 발행과, 통신 제어부(107)로 송수신되는 TCP 패킷의 모니터링의 개시와, 통신 제어부(107)에 대한 ACK 통상 송신 재개 요구의 발행을 행하고,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에 들어간다. 이 처리에 연동해, 전원 제어부(106)는 통신 I/F부(108)에 전원의 투입을 지시한다. 그 결과,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투입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동시의 처리를 행한 후, 송신측 장치(203)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개시한다.
통신 제어부(107)에서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아, 무선 기지국(202)과의 사이의 네고시에이션 처리, 및, 송신측 장치(203)와의 TCP 커넥션의 확립 등의 처리를 행한다. TCP 커넥션의 확립 후,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 사이의 데이터는, 무선 기지국(202) 및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수신되며, TCP 패킷의 송수신 처리는, 통신 제어부(107)에서 행해진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통신 제어부(107)로 수신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수신 데이터의 대역(수신 대역)이,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대역(설정 대역 BW = Dc/Tc)에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 예를 들면,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사이클 간격 Tc의 경과마다, 그 사이클 간격 Tc 사이에 수신한 TCP 패킷의 데이터 사이즈를 합계하는 것으로, 합계 데이터 사이즈 TlD를 산출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TlD/Tc ≥ BW」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만큼 계속되었을 때에, 수신 대역이 설정 대역 BW에 도달했다고 간주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수신 대역이 설정 대역 BW에 도달하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송신을 억제하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발행한다. 또한, 이 발행은, 간헐 수신의 1회째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통신 제어부(107)로부터 그때까지 송신한 마지막 ACK 패킷의 정보, 즉, ACK 번호(LAST_ACKNO)와 수신 윈도우(LAST_RWIN)를 유지해 둔다. 통신 제어부(107)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로부터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받으면, 이후, TCP의 데이터 수신은 계속하지만, 수신시에 ACK 패킷을 송신하지 않게 한다.
한편, 송신측 장치(203)는, 휴대형 단말(211)로부터 ACK 패킷이 보내져 오지 않더라도, 자신이 관리하는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될 때까지, 데이터 송신을 계속해 uwnd가 0이 된 시점에서, 데이터 송신을 종료한다. 그 결과, 송신측 장치(203)는 송신 억제 기간에 접어든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의 발행 후에도 TCP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송신측 장치(203)에서의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수신한 TCP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데이터 사이즈를 참조해, (시퀀스 번호 + 데이터 사이즈)가 (LAST_ACKNO + LAST_RWIN)에 이르는 것을 기다린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uwnd가 0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전원 제어부(106)에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전원 제어부(106)에 차단 요구를 발행한 후, 소정 시간의 만료를 기다린다. 이 소정 시간은, 사이클 간격 Tc와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시간이어도 된다. 송신측 장치(203)는, 이미 송신 억제 기간에 접어들고 있으므로,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
소정 시간이 만료했을 때,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전원 제어부(106)에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가 만료했다고 간주하여, 정상 상태로 천이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투입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상 상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정상 상태에서의 1 사이클분의 동작은, 송신 재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의 3개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송신 재개 처리(단계 1)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시키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발행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ACK 패킷의 수신 윈도우(RWIN)로서,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격납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지정한다. 통신 제어부(107)는, 시각 T1에,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받으면, RWIN = Dc인 ACK 패킷 P1를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신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송신한 ACK 패킷 P1의 ACK 번호를 유지해 둔다.
한편, 송신측 장치(203)는, 휴대형 단말(211)로부터의 ACK 패킷 P1(RWIN = Dc)를 수신하면,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 또는,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해,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송신측 장치(203)는, 휴대형 단말(211) 앞으로의 TCP 패킷(데이터 P2)의 송신을 재개한다.
휴대형 단말(21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에서 ACK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발행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ACK 패킷의 송신, 즉 데이터 수신에 연동한 ACK 패킷의 송신은 이미 억제되어 있다. 즉, 통신 제어부(107)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P2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에 인도해도,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ACK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간헐 수신의 1 사이클(사이클 간격 Tc)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P2의 사이즈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 제한된다.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단계 2)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시각 T1 이후, 통신 제어부(107)로 수신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시각 T1 이후에 수신된 데이터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즉, 송신측 장치(203)의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에서의 확인 처리와 마찬가지로, 최후에 송신한 ACK 패킷의 ACK 번호와 수신 윈도우(RWIN = Dc)를 사용해 상술의 확인을 행한다. 시각 T1 이후에 수신한 데이터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도달했을 때, 즉 시각 T2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송신 억제 기간이 개시했다고 간주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단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은, 시각 T1를 기점으로 하여, 사이클 간격 Tc의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3을,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점이라고 본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타이머에 의해 시각 T3을 검출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그 투입 요구에 의해, 전원 제어부(106)는 시각 T3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휴대형 단말(211)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3개의 단계를 1 사이클로 하여 반복해서 실행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에는,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와의 커넥션의 차단을 요구하고,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대해서 종료 통지를 발행한다.
통신 제어부(107)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에 의한 커넥션 차단의 요구에 따라, TCP의 커넥션을 차단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종료 통지를 접수하면,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클리어하고, 파라미터 결정부(103)에 대해서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발행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3)에서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받으면, 간헐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클리어하고, 억제 재개 제어부(104)에 대해서 간헐 수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발행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받으면, 통신 제어부(107)로 송수신되는 TCP 패킷의 모니터링을 정지하며, 또한, 전원 제어부(106)로의 차단 요구의 발행을 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의 처리(차단 요구의 발행)에 연동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휴대형 단말(2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RWIN = Dc인 ACK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10). 이 때, 휴대형 단말(211)의 억제 재개 제 어부(104)는, 통신 I/F부(108)로의 전원 투입의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해,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그 ACK 패킷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TCP 패킷)를 수신한다(단계 S12). 이 때,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211)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통상 행해지는 ACK 패킷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단계 S12에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14).
휴대형 단말(211)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면, 상술의 타이머에 의거해, 단계 S10에서의 ACK 패킷의 송신시부터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16).
여기서, 휴대형 단말(211)은,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16의 No), 단계 S14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16의 Yes),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단계 S18).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203)와의 통신을 종료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단계 S20), 종료해야 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20의 Yes),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또, 휴대형 단말(211)은, 종료해서는 안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20의 No), 단계 S10부터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러한 단계 S10 ~ S20의 처리에 의해, 간헐 수신의 1 사이클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211)은,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예를 들면 TCP 등의 플로우 제어 기구를 갖는 프로토콜을 사용해, 송신측 장치(20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전력 절약화를 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전력 절약 기능의 서포트 상황이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종류에도 관계없이, 휴대형 단말(211)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법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211)의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을 비컨 송신 타이밍에 연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지연 시간과 대역을 확보한 통신을 계속하면서, 동시에 전력 절약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도착이 없는 기간을 적극적으로 만든 후에, 휴대형 단말(211)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지터가 발생해도 송신측 장치(203)와 휴대형 단말(211) 사이의 데이터 오버플로우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단말(211)은 TCP의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했지만, 그 프로토콜은 TCP 이외의 프로토콜이어도, 플로우 제어 기구를 갖는 프로트콜이면 되고, 기존의 플로우 제어를 갖는 프로토콜이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송신측 장치와 휴대형 단말 양쪽에서 새로운 프로토콜을 추가할 필요는 없으며, 휴대형 단말에 본 발명의 전력 절약 방법에 대응하는 처리부 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 1을 이용해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1을 변형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억제 방법으로서, 「휴대형 단말(211)로부터 ACK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다」고 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데이터 송신의 억제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211)은, 수신 윈도우(RWIN) = 0인 ACK 패킷을 송신측 장치(203)에 보내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해도 된다.
도 11은, 수신 윈도우(RWIN) = 0인 ACK 패킷이 송신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211)의 통신 제어부(107)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P2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에 인도하면, 시각 T2에,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수신 윈도우(RWIN) = 0인 ACK 패킷 P3을 송신한다. 이러한 ACK 패킷 P3을 송신한 경우에도,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P2의 사이즈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 제한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윈도우(RWIN) = 0인 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과 같은 억제 방법의 경우에는, TCP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송신측 장치(203)에서의 재송 처리를 예방할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ACK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 것과 같은 억제 방법의 경우에는, 송신측 장치(203)에는 ACK 패킷이 전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측 장치(203)는, TCP의 제어 방법에 따라, 타임 아웃에 의해 패킷 로스가 발생했다고 판단해 데이터를 재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송신측 장치(203)의 송신 가능 데이터(폭주 윈도우로 불린다)가 1 패킷분(상술의 MSS) 저하한다고 하는 폐해도 있다. 그런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WIN = 0인 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과 같은 억제 방법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는, ACK 패킷을 수취하기 때문에, 타임 아웃을 멈출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211)은, RWIN = 0인 ACK 패킷을, uwnd = 0이 되는 시각 T2에 보내도 되고, 시각 T2 이후에 또한 송신측 장치(203)에서 타임 아웃이 발생하기 전이면 임의의 타이밍에 보내도 된다. 또, 휴대형 단말(211)은, RWIN = 0인 ACK 패킷을, 정상 상태뿐만 아니라,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로 보내도 된다.
또, 휴대형 단말(211)은,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해, RWIN = 0 이외의 ACK 패킷을 보내도 된다. 즉,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송신 재개를 지시하는 ACK 패킷의 RWIN로 지정된 사이즈) 이하가 되는 것이면, 휴대형 단말(211)은 어떠한 ACK 패킷을 송신해도 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211)은, 「Dc - (시각 T1 이후에 수신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넘지 않는 값을 RWIN로 설정하여, ACK 패킷을 송신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이 탑재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LAN(IEEE802.11a/b/g)의 디바이스 외에,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휴대형 단말(211)이 통신 I/F부(108)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탑재한 네트워크 구성을 상정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휴대형 단말은 통신 I/F의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선 LAN 이외의 무선 I/F나 유선의 통신 I/F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선의 통신 I/F를 사용하는 경우는, 네트워크 구성으로서 무선 기지국(202)이 불필요하게 되고, 대신에 유선의 라우터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무선 기지국(202))가 존재하는 무선 LAN의 네트워크 구성을 상정하고 있었지만,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애드혹(Ad hoc) 모드에서의 환경을 상정해도 된다. 그 경우, 송신측 장치(203)와 휴대형 단말(211)은 인터넷(204)을 경유하지 않고, 무선 LAN으로 직접 접속된다.
또, 플로우 제어를 갖는 프로토콜로서 TCP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TCP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플로우 제어의 기능을 갖고 있으면 다른 프로토콜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층에서 플로우 제어를 실현해, 그 플로우 제어로 TCP와 동일한 송신 억제 및 송신 재개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휴대형 단말이 송신측 장치와 직접 접속되는 경우는, 송신측 장치와 휴대형 단말 사이의 데이터 링크층에서의 플로우 제어를 사용해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플로우 제어는,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의 사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계 장치와 휴대형 단말 사이에 플로우 제어를 행하는 프로토 콜이 있으면, 그 플로우 제어를 동일하게 이용해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송신 억제 기간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 또는 투입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무선 LAN의 파워 세이브 모드의 처리와 연동시켜, 본 발명에서의 전원 차단의 타이밍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인 도스 모드로의 이행을 행해도 된다. 또, 전원 차단의 타이밍은, 송신 억제 기간의 사이이면 임의의 타이밍이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에서 동시 동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1개로 한정했지만, 본 발명의 전력 절약 방법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시에 동작하는 환경에서도, 예를 들면,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간헐 수신의 타이밍을 통합하고, 동일한 플로우 제어에 의거하는 전력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에 있어서의 성능 파라미터의 취득 방법은, 본 발명의 본질은 아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하등의 방법으로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취득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로부터 성능 파라미터를 직접 취득했지만, 자립적으로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해도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데이터 송수신의 패킷을 해석하거나 OS(Operating System) 상에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 및 종료의 타이밍을 감시하거나 하는 것으로,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전력 절약의 제어를 행하지 않을 때, 즉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항상 투입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과 송신측 장치(203)의 데이터 송수신의 대역 및 지연 시간의 적어도 한쪽이,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의 성능 요건에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전력 절약 제어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제어부(107)의 데이터 송수신의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대역 및 지연 시간의 적어도 한쪽을 추정하여, 그 추정값을 성능 파라미터로서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패킷 해석에 의해 자립적으로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 및 종료의 타이밍을 취득하여,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중은 성능 파라미터를 항상 고정값으로 서 취급했지만, 성능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결정 룰에 의거해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했지만, 다른 룰에 의거하여 간헐 수신 파라미터(사이클 간격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해도 된다. 또,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고정시켜 놓을 필요는 없고, 동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즉, 사이클 간격 Tc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의 값을 일정 기간마다 변화시켜도 되고, 매회 다른 값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또, 성능 파라미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성능 파라미터를 이용했지만, 이러한 성능 파라미터 이외의 파라미터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서는, 스트림 타입을 3종류로 분 류하고 있지만, 2종류나 4종류 이상으로 분류해도 되고, 다른 종별의 스트림 타입으로 분류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이러한 스트림 타입에 따라,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룰을 다르게 했지만, 이러한 스트림 타입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룰에 의거해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통신 개시부터 측정한 대역이 설정 대역 BW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은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로서 전원을 항상 ON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 기간에 있어서도 간헐 수신에 의한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해도 된다. 다만, 이 기간에서는 송신측 장치(203)에 있어서 TCP의 슬로우 스타트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윈도우 사이즈가 RTT(Round Trip Time)의 경과마다 1MSS, 2MSS, 4MSS와 같이 증가해 간다. 또, RTT는, ACK 패킷이 송신되고 나서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이며, MSS는, 1 패킷에 포함되는 TCP 데이터의 최대 사이즈이다. 이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이것에 맞추어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최초의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일정 기간 후,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재투입시켜, ACK 패킷(RWIN = 2×MSS)을 송신시키고, 2개의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시점에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일정 기간 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재투입시키고, ACK 패킷(RWIN = 4×MSS)를 송신시켜, 4개의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시점에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술의 데이터 패킷은, 송신측 장치로부터 수신측 장치에 TCP에 의해 송신되는 패킷으로서, 이 데이터 패킷과 ACK 패킷을 총 칭해 TCP 패킷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간헐 수신 사이클마다, 통지하는 수신 윈도우(RWIN)의 사이즈를 배로 해 간다. 단, 송신측 장치(203)에서는 어느 타이밍에서 슬로우 스타트 제어가 종료하며, 그 이후는 ACK 패킷 수신에 의한 윈도우 사이즈의 상승이 작아진다.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이것을 타임 아웃 등에 의해 검지하고, 그 후는 ACK 패킷에 의해 통지하는 수신 윈도우를 조금씩 상승시키는 제어로 이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통지하는 수신 윈도우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이른 시점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전술의 정상 상태의 처리를 개시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없는 송신 억제 기간에만,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기간에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해, 전력 절약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이 송신 재개의 지시를 내리고 나서, 실제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의 기간도,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기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도 3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a)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와 파라미터 결정부(103)와 억제 재개 제어부(80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07)와 통신 I/F부(108)와 RTT 추정부(809)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a)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 대신에, 억제 재개 제어부(804)를 구비함과 더불어,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에는 없는 RTT 추정부(809)를 구비하고 있다.
RTT 추정부(809)는, 플로우 제어를 갖는 프로토콜 상에서의 RTT를 추정한다. 또한, RTT는, 휴대형 단말(211a)과 송신측 장치(203) 사이의 패킷의 왕복 시간에 상당한다. RTT 추정부(809)는, 통신 제어부(107)에 있어서의 송수신 패킷을 모니터링해, RTT의 최단값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억제 재개 제어부(804)에 보낸다. 예를 들면, RTT 추정부(809)는, 통신 제어부(107)의 모니터링에 의해, 휴대형 단말(211a)과 송신측 장치(203)의 사이에서 왕복하는 패킷의 조의 왕복 시간을, 그 조마다 소정 회수만큼 측정하고, 그 중에서 최단의 왕복 시간을 RTT의 최단값으로 한다.
여기서, 휴대형 단말(211a)과 송신측 장치(203) 사이에서 왕복하는 패킷의 조란, 휴대형 단말(211a)로부터 송신되는 패킷과, 그 송신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가 응답해 송신하는 패킷의 조이면, 어떠한 패킷의 조이어도 된다. 예를 들 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휴대형 단말(211a)이 송신하는 ACK 패킷 P1(수신 윈도우>0)과, 그에 대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는 최초의 데이터 패킷 P2의 조여도 된다. 또한, RTT의 최단값의 추정 방법은, 본 발명의 전력 절약 방법의 본질에 관한 것은 아니므로, 상술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이어도 된다.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실시 형태 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의 기능을 가짐과 함께, RWIN>0인 ACK 패킷이 송신되고 나서, RTT 추정부(809)로 추정된 RTT(이하, RTT 추정값이라고 한다)가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에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RTT 추정부(809)로부터 RTT 추정값을 취득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ACK 패킷(RWIN>0)의 송신 후의 타이밍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하고, ACK 패킷(RWIN>0)의 송신 직후부터 RTT 추정값이 경과하는 타이밍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송신 억제 기간에도, 통신 I/F부(108)의 전원의 ON/OFF를 행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211a)과 송신측 장치(203)의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211a)이 송신 재개가 지시를 내리고 나서, 실제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의 기간은, 시각 T11부터 시각 T12의 기간에 대응한다. 이 기간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송신 억제 기간과 마찬가지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없는 기간이므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해도 문제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력 절약 방법을 적용하는 휴대형 단말(211a)은, ACK 패킷 P1(RWIN = Dc)를 송신하는 동안, 즉 시각 T10 ~ 시각 T11의 기간만큼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하고, 그 후, 시각 T12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시각 T11 ~ 시각 T12의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RTT 추정부(809)에 의해 추정된 RTT 추정값에 상당한다. 휴대형 단말(211a)은,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기간, 즉 시각 T12 ~ 시각 T13의 기간에는, 전원을 재투입하고, 그 후의 시각 T13 ~ 시각 T20의 송신 억제 기간에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ACK 패킷(RWIN>0)의 송신 후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하지만, 그 송신의 시각 T11 이후의 타이밍이면 임의의 타이밍에 발행해도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804)는, ACK 패킷(RWIN>0)의 송신 직후부터 RTT 추정값이 경과하는 타이밍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투입 요구를 발행하지만, 시각 T12 이전이면 임의의 타이밍에서 발행해도 된다. 특히, 투입 요구의 타이밍에 관해서는 RTT 추정값이 실제의 최소 RTT값보다 짧은 경우도 고려해, 일정 시간만큼 빨리 투입 요구를 발행하는 것, 혹은, 측정한 RTT값의 평균이나, 분산, 샘플수 등의 통계치에 기초해 계산된 값만큼 빨리 투입 요구를 발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선형이더라도, ACK 패킷(RWIN>0)이 송신되고 나 서 RTT가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전원을 OFF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선형의 통신에서는 간헐 수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최선형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중단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송신측 장치(203)는, 리얼타임으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수신측 장치는 모든 데이터를 보존하는 메모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최선형의 통신에서는, 송신 억제 기간이 없으므로, 중단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며, 그 만큼 데이터 전체의 수신 완료까지의 기간이 짧아진다. 그런데, 실시 형태 1에서는, 송신 억제 기간을 없애면, 전원을 OFF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없다. 또, 이 경우, 일정한 사이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소비 전력은 총 전송 데이터량으로 정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단말(211a)이 송신 재개의 지시를 내리고 나서, 실제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의 기간에, 휴대형 단말(211a)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최선형의 통신에 있어서도,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떨어뜨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패킷 로스가 발생하지 않는, 가능한 한 큰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휴대형 단말(211a)은,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간격 Tc를 규정하지 않고,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패킷을 받으면, 즉석에서 다음 사이클에서의 ACK 패킷(RWIN = Dc)을 송신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전력 절약 방법에 대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간을 추가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장치는,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때에도,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향상을 양립해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수신한 TCP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데이터 사이즈를 참조하여, (시퀀스 번호 + 데이터 사이즈)가 (LAST_ACKNO + LAST_RWIN)에 도달함으로써, 송신측 장치(203)가 송신 억제 기간에 접어든 것을 검지하고,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는, 이하의 2개의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만 바르게 행해진다.
제1 조건은, (시퀀스 번호 + 데이터 사이즈)가 (LAST_ACKNO + LAST_RWIN)이 될 때까지 패킷을 수신측 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조건은, 수신측 장치가 통지한 수신 윈도우(RWIN)분만큼 송신측 장치(203)가 송신 가능한 것이다.
실제, 제1 조건은,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보증되지 않는다. 패킷 로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쁜 무선 구간 에 패킷 로스가 발생한다. 또는, 중계 라우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다른 플로우와 경합하는 것에 따른 중계 장치 내의 버퍼 오버플로우에 의해서 패킷 로스가 발생한다. 또는, 수신측 장치에서 처리 가능 레이트를 넘는 트래픽을 수신했을 경우의 수신 장치 내의 버퍼 오버플로우에 의해 패킷 로스가 발생한다.
또, 제2 조건도,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보증되지 않는 것이 있다. 패킷 로스가 발생하면, TCP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송신측 장치(203)는 패킷 로스를 네트워크의 폭주를 나타내는 정보로 해석하고, 폭주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관리하고 있는 폭주 윈도우(이하, CWIN라고 부른다)를 작게 한다. 실제의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량은, 통지된 RWIN와 CWIN의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수신측 장치로부터 통지된 RWIN보다 CWIN가 작아지는 상황이 패킷 로스에 의해 야기되면, 송신측 장치(203)는 RWIN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또한, TCP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송신측 장치(203)는, 통상, 이하의 2개의 방법에 의하여 패킷 로스를 검지한다.
제1 로스 검지 방법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는, 송신한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이 일정 시간(재송 타임 아웃 시간으로 불린다) 경과 후에도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 패킷 로스를 검지한다. 이 경우, 송신측 장치(203)는, CWIN를 1까지 감소시키고, 그 후, 손실된 패킷을 재송 패킷으로서 송신한다.
제2 로스 검지 방법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는, 동일한 ACK 번호를 갖는 복 수(통상 4개)의 ACK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에, 패킷 로스를 검지한다. 이 경우, 송신측 장치(203)는, 즉석에서 재송 패킷을 송신하며, 재송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수신한 후에는, CWIN를 패킷 로스 검지 전의 CWIN의 반으로 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211b)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와 파라미터 결정부(103)와 억제 재개 제어부(90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07)와 통신 I/F부(108)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b)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 대신에, 억제 재개 제어부(904)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기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실시 형태 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와 동일한 기능을 가짐과 더불어, 패킷 로스를 검지하여, 그 손실한 패킷이 재송 패킷으로서 재송되도록 통신 제어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패킷 로스가 발생한 후의 송신측 장치(203)의 CWIN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CWIN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간헐 수신과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통신 제어부(107)를 제어한다.
이하,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때의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패킷 로스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211b)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휴대형 단말(211b)은, 실시 형태 1의 도 9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과 동일한 정상 상태의 처리, 즉 1 사이클마다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의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전원의 ON/OFF 제어(전력 절약 제어)를 행한다(단계 S301). 또한, 휴대형 단말(211b)은, 패킷 로스의 검지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2). 여기서, 휴대형 단말(211b)은, 그 검지 처리의 결과에 의거해 패킷 로스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03).
휴대형 단말(211b)은, 패킷 로스가 없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303의 No), 예를 들면, 정상 상태 처리를 종료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또 판별한다(단계 S308).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b)은, 종료해야 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308의 Yes), 정상 상태 처리를 종료하고, 종료해서는 안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308의 No), 단계 S3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휴대형 단말(211b)은, 패킷 로스가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303의 Yes), 우선, 송신측 장치(203)에 손실한 패킷을 재송시키기 위한 재송 유발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304).
이 때, 휴대형 단말(211b)은, 이 재송 유발 처리에 의해서 재송된 패킷을 수신해, 그 패킷을 수신한 것을 ACK 패킷에 의해 송신측 장치(203)에 통지한다. 송신측 장치(203)는, 그 ACK 패킷에 의한 통지를 받으면, TCP에 있어서의 폭주 제어에 의해 CWIN를 저하시킨다. 그 결과, 상술의 제2 조건인 CWIN ≥ RWIN를 전제로 하는, 단계 S301의 정상 상태 처리에 있어서의 간헐 수신의 사이클을 실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휴대형 단말(211b)은, 우선 송신측 장치(203)의 파라미터인 CWIN를 추정한다(단계 S305).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b)은, 단계 S305에서 추정된 추정값 Dc’가, RWIN로서 설정되어 있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6). 휴대형 단말(211b)은, 추정값 Dc’가 작다(Dc’< Dc)고 판정했을 때에는(단계 S306의 Yes), CWIN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까지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07). 한편, 휴대형 단말(211b)은, 추정값 Dc’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이상이다(Dc’≥ Dc)라고 판정했을 때에는(단계 S306의 No), 단계 S3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하, 단계 S302의 패킷 로스 검지 처리, 단계 S304의 재송 유발 처리, 단계 S305의 CWIN 추정 처리, 및, 단계 S307의 CWIN의 저하 기간 중의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도 15의 단계 S302에 있어서의 패킷 로스 검지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시각 T31에 송신된 ACK 패킷(RWIN = Dc)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중에서, 예를 들면 4개의 데이터(DATA1 ~ 4) 중, DATA3이 손실된다.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패킷 로스를 타임 아웃에 의해 검출한다. 구체적 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 재개를 재촉하는 ACK 패킷 P11를 송신한 시각 T31부터 일정 시간 To1 경과 후의 시각 T32까지, 통지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모든 데이터를 다 수신할 수 없었을 경우에, 타임 아웃을 검출하고, 패킷 로스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DATA3이 손실하면,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일정 시간 To1 내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모든 데이터를 다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패킷 로스의 발생을 검지한다. 또한, 일정 시간 To1를 타임 아웃값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그때까지의 사이클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 재개를 재촉하는 ACK 패킷이 송신된 시각부터, 통지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모든 데이터를 다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그 계측한 시간 중 최대의 시간을, 상술의 타임 아웃값 To1에 이용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타임 아웃값 To1의 결정에 있어서는, 송신 재개를 재촉하는 ACK 패킷이 송신되고 나서, 그에 대한 최초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의 간격인 RTT나, 연속한 데이터의 수신 간격 Rt 등의 정보를 취득해 놓고, 그 정보로부터 타임 아웃값 To1를 결정해도 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RTT의 최대값 + (Dc/MSS-1)×Rt의 최대값 = To1」과 같이 계산해도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최대값이 아니라, 평균값이나 분산값 등의 각종 통계치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타임 아웃값 To1를 설정해도 된다.
또, 타임 아웃값의 계측의 개시 시점을, 송신 재개를 재촉하는 ACK 패킷을 송신한 시각 T31이 아니라, 통지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중 최초로 도착한 패킷의 도착 시각으로 해도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타임 아웃을 이용하지 않고, 수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를 감시해, 그 시퀀스 번호가 불연속이면, 패킷 로스가 발생했다고 검지해도 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ATA3을 수신하지 않고 DATA4를 수신함으로써 패킷 로스의 발생을 검지한다. 여기서, 패킷 로스가 발생하고 있지 않아도, 네트워크 상에서의 패킷의 순서 교체의 발생에 의해, 시퀀스 번호가 불연속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퀀스 번호가 불연속인 것에 의해 패킷 로스의 발생을 검지하면, 패킷 로스가 발생하고 있지 않아도 패킷 로스로 간주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불연속인 시퀀스 번호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복수개 수신했을 때까지, 또는, 불연속인 시퀀스 번호를 갖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했을 때까지, 누락되어 있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에, 패킷 로스의 발생을 검지해도 된다.
도 17은, 도 15의 단계 S304의 재송 유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패킷 로스가 발생한 경우에 수신측 장치(휴대형 단말)로부터 아무것도 송신되지 않으면, 송신측 장치(203)는, 전술의 제1 로스 검지 방법에 의해 타임 아웃을 발생시키고 CWIN를 1로 하고 나서 재송을 행한다. 그 결과, 효율적으로 전송을 행할 수 없게 되어,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측 장치(휴대형 단말)(211b)는,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제2 로스 검지 방법에 의한 고속의 재송을 행하게 하며, CWIN의 감소를 반으로 그치게 한다. 그 결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송신측 장치(203)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게 한다.
즉,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재송 유발 처리에서는, 송신측 장치(203)가 제2 로스 검지 방법을 행하게 하기 때문에, 동일한 ACK 패킷을 4개 연속해 송신하도록 통신 제어부(107)에 지시한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211b)은, 그 4개의 ACK 패킷 P21를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한다. 또한, 이들 모두의 ACK 패킷 P21에 포함되는 수신 윈도우(RWIN)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이며, 모든 ACK 패킷 P21에 포함되는 ACK 번호는, 손실한 패킷인 DATA3의 송신을 요구하는 값(예를 들면, 3)이 된다.
이와 같은 4개의 ACK 패킷 P21를 수취한 송신측 장치(203)는, 손실한 패킷인 DATA3를 재송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는, 패킷 로스 검지 처리시의 사이클에서 송신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내에서의 손실한 패킷의 위치나, 송신측 장치(203)의 TCP의 버젼이나 실장에 의해서, DATA4 이후의 패킷도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송신측 장치(203)는, DATA3를 재송함과 함께 DATA5 및 DATA6를 송신한다.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이러한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4번째의 ACK 패킷 P21의 송신 시각 T41부터 일정 시간 To2 경과 후의 시각 T42까지, 데이터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 또한, 송신측 장 치(203)는, DATA3의 재송시에는, DATA4는 이미 송신되어 있기 때문에, 그 DATA4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DATA4도 손실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송신측 장치(203)는, DATA4를 재송해도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타임 아웃값 To1의 결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RTT나 연속한 데이터의 수신 간격 Rt의 통계 정보 등을 토대로, 일정 시간 To2를 결정해도 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RTT의 최대값 + (Dc/MSS-1)×Rt의 최대값 = To2」와 같이 일정 시간 To2를 결정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최대값이 아니라, 평균값이나 분산값 등의 각종 통계치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일정 시간 To2를 설정해도 된다.
또, 일정 시간 To2의 계측의 개시 시점을, 재송을 재촉하는 ACK 패킷 P21를 송신한 시각 T41이 아니라, 재송 패킷의 도착 시각으로 해도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재송을 재촉하기 위해 동일한 ACK 패킷 P21를 4개만 송신했지만, 이 ACK 패킷 P21가 손실할 가능성을 고려해, 여분으로 동일한 ACK 패킷을 더 송신해도 된다.
또한, 패킷 로스 검지 처리의 사이클에 있어서 1개의 패킷만이 손실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상술의 재송 유발 처리에 의해, 손실한 패킷이 재송된다. 그러나, 2개 이상의 패킷이 손실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2번째 이후에 손실하고 있는 패킷도 재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1번째에 손실한 패킷에 대한 재송 패킷이 수신되면, 2번째에 손실한 패킷을 재송시키기 위한 동일한 ACK 패킷을 4개 송신하도록 통신 제어부(107)에 지시 한다. 단, 이 송신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가 2번째에 손실한 패킷을 재송할지 여부는, 송신측 장치(203)의 TCP의 버젼이나 실장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측 장치(203)에 있어서 제1 로스 검지 방법에 의한 로스 검지가 행해져 CWIN가 1이 될 가능성도 있다. 송신측 장치(203)의 TCP가, 2번째에 손실한 패킷을 재송하도록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1번째에 손실한 패킷에 대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모든 손실한 패킷에 대해서 반복하는 것으로, 재송 유발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의 상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즉, 제1 로스 검지 방법에 의해 CWIN가 1이 되어 있는지, 제2 로스 검지 방법의 반복의 적용에 의해 CWIN가 1보다 큰 값이 되어 있는지는, 이 재송 유발 처리의 완료시에 손실한 모든 패킷의 재송 패킷을 휴대형 단말(211b)이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판별 가능하다.
도 18은, 도 15의 단계 S305의 CWIN 추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재송 유발 처리의 완료 후에는 송신측 장치(203)에 있어서 폭주 윈도우(CWIN)가 작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정상 상태에서의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술의 제2 조건인 CWIN ≥ RWIN(Dc)가 충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이 CWIN의 값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기대값)를 밑돌고 있지 않은가를 알아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CWIN 추정 처리에 서는, 송신측 장치(203)의 CWIN의 값을 추정한다.
우선,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재촉하기 위해, ACK 패킷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211b)은, 그 ACK 패킷 P31를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한다. 이 ACK 패킷 P31는 수신 윈도우(RWIN)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 하여 통지한다. 또, 그 ACK 패킷 P31에 설정되는 ACK 번호는, 통상의 TCP 같이, 단계 S304의 재송 유발 처리까지 누락되지 않게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의 최대값 + 1(예를 들면, N)이다.
송신측 장치(203)는, 이 ACK 패킷 P31를 수신하면, Min(Dc, CWIN)분의 패킷, 즉,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와 CWIN 중 작은 쪽의 사이즈분의 패킷을 송신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이 후,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CWIN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이상인 것, 즉 상술의 제2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ACK 패킷 P31가 송신된 시각 T51부터 일정 시간 To3 경과 후의 시각 T52까지 수신된 데이터의 양(패킷의 개수)를, CWIN의 추정값 Dc’로 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에는, 패킷 로스의 검지나 타임 아웃을 이용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통신 I/F부(108)로부터 송신된 ACK 패킷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어 통신 I/F부(108)에 순차적으로 수신된 각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가 연속인지 불연속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 부(904)는, 불연속이라고 판별했을 때, 즉 패킷 로스가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단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통신 I/F부(108)로부터 송신된 ACK 패킷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어 통신 I/F부(108)에 순차적으로 수신된 각 데이터의 합계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서, 그 ACK 패킷이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이르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이르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 즉 타임 아웃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단한다.
도 19는, 단계 S307의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CWIN 저하 기간중은 CWIN < Dc가 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이, 수신 윈도우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 하여 송신측 장치(203)에 통지해도, 송신측 장치(203)는 CWIN분 밖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은, 시간이 지나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할 수 없게 되고,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CWIN 저하 기간의 최초에서는, 우선 수신 윈도우를 CWIN의 추정값 Dc’로서 통지하도록 통신 제어부(107)에 지시한다. 이렇게 하면, 휴대형 단말(수신측 장치)(211b)은, 통지한 수신 윈도우분의 데이터, 즉 추정값 Dc’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송신측 장치(203)는, TCP의 폭주 제어 순서 에 따라, 「CWIN/MSS개의 ACK 패킷을 수신하면 CWIN를 MSS분 크게 한다」고 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211b)의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이 CWIN의 증가에 맞추어, 통지하는 수신 윈도우의 사이즈를 크게 한다. 그 결과,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최종적으로는 수신 윈도우의 사이즈를 원래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서 통지할 수 있으며, 정상 상태로 전력 절약 제어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실제의 처리로서, 우선, CWIN 저하 기간 중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의 초기값을 추정값 Dc’로 함과 더불어, CWIN 저하 기간 중의 사이클 간격 TcX의 초기값을 Dc’/BW로 한다(단계 S401). 또한, TcX = DcX/BW로 하는 것으로, CWIN 저하 기간 중에도 BW[Byte/sec]의 레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가 Dc로부터 Dc’로 저하한 것에 비례해 사이클 간격 Tc도 짧게 하는 것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 및 사이클 간격 TcX에 의거하는 간헐 수신 사이클을 DcX/MSS회 반복한다(단계 S402). 즉, 휴대형 단말(211b)은, RWIN = DcX인 ACK 패킷을 송신하여,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ACK 패킷의 송신으로부터 사이클 간격 TcX가 경과할 때까지 다음 ACK 패킷의 송신을 정지해 놓는다고 하는 간헐 수신을 (DcX/MSS)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이러한 간헐 수신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도, 휴대형 단말(211b)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ACK 패킷을 송신할 때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OFF로 할 수 있어 전력 절약 제어 를 행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간헐 수신의 반복에 의해, 송신측 장치(203)는, DcX/MSS개의 ACK를 수신하게 되고, 그 결과, CWIN를 MSS분만큼 증가시킨다.
따라서, 간헐 수신 사이클이 DcX/MSS회 반복되면, 다음 사이클로부터는, 그때까지보다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를 MSS분 크게 해도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를 MSS 크게 하고, 그에 맞추어 사이클 간격 TcX도 갱신한다(단계 S403).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단계 S403에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가 커짐으로써, 그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가, 패킷 로스 발생 전의 원래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04).
여기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테이터 사이즈 Dc 이상이 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404의 Yes),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를 완료하고, 도 15에 나타내는 단계 S301의 정상 상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가 아직 원래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미치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404의 No), 갱신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 및 사이클 간격 TcX를 이용해, 단계 S402부터의 처리, 즉 간헐 수신을 DcX/MSS회 반복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20은, 단계 S307의 CWIN 저하 기간 중에 있어서 행해지는 간헐 수신의 1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WIN 저하 기간 중에서는, 휴대형 단말(211b)은, 예를 들면 시각 T61에, (RWIN = DcX)인 ACK 패킷 P41를 송신한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211b)은, 시각 T62에, CWIN 저하 기간 중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X분의 데이터를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211b)은, 그 ACK 패킷 P41를 송신하고 나서, CWIN 저하 기간 중의 사이클 간격 TcX가 경과할 때까지, 즉 시각 T63까지 다음 ACK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211b)은, 시각 T61 ~ T62까지는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ON으로 하며, 시각 T62 ~ T63까지는 그 전원을 OFF로 하는 것과 같은 전력 절약 제어를 행한다. 휴대형 단말(211b)은, 이와 같은 시각 T61 ~ T63까지의 처리를 간헐 수신의 1 사이클로서 실행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단계 S307에 있어서의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중에, 패킷 로스를 검지했을 경우도, 도 15에 나타내는 단계 S301 ~ S308의 처리를 행하면 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사이클에 ACK 패킷을 1개만 송신하지만, 복수의 ACK 패킷을 송신해도 된다. 즉, 송신되는 ACK 패킷이 1개인 경우에는, CWIN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간헐 수신의 사이클을 DcX/MSS회 반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1 사이클에 ACK 번호가 상이한 복수개(예를 들면, N개)의 ACK 패킷을 송신하면, 간헐 수신의 사이클의 반복 회수를 DcX/(MSS×N)회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N = DcX/MSS로 하면, 간헐 수신의 사이클의 반복 회수를 1 사이클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처리를 행한 것만으로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인 대역 BW를 충분히 확보했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단계 S307의 CWIN 저 하 기간 중의 처리, 및 단계 S301의 정상 상태 처리의 기간에 있어서는, 대역 BW는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단계 302의 패킷 로스 검지 처리, 단계 S304의 재송 유발 처리, 단계 S305의 CWIN 추정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는, 타임 아웃 대기를 행하고 있음으로 인해, 대역 BW는 확보되어 있지 않다.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대역 BW를 요구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TCP 커넥션 개시시부터 대역 BW로 계속 통신한 만큼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상기 처리에서는 이것이 충족되지 않게 된다. 이 문제는, 「TCP 커넥션 개시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총량 = 통신 개시시부터의 경과 시간 × BW」의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예를 들면 이하의 3개의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회피 가능하다. 제1 제어 방법에서는, 단계 S307의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에 있어서, 사이클 간격 TcX의 값을 상기 처리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대역 BW 이상의 대역을 확보한다. 또, 제2 제어 방법에서는, CWIN 저하 기간 종료 후의 단계 S301의 정상 상태 처리에 있어서, 사이클 간격 Tc를 짧게 하거나, 혹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크게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BW 이상의 대역을 확보한다. 상술의 조건이 성립된 후에는, 사이클 간격 Tc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패킷 로스 발생 전의 원래의 값으로 되돌리면 된다. 제3 제어 방법에서는, 송신 억제 제어(간헐 수신)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예를 들면, 억제 재개 제어부(904)는, CWIN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보다 작아지고 나서부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이상이 될 때까지의 윈도우 회복 기간, ACK 패킷의 통상의 송신의 억제(정지)를 해제하고, 통신 I/F부(108)에서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ACK 패킷을 통신 I/F부(108)로부터 송신시킨 다. 또, 이 때, 상술과 마찬가지로, 1개의 ACK 패킷을, ACK 번호가 상이한 복수개(예를 들면 N개)의 ACK 패킷으로 나누어 송신함으로써, CWIN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이상으로 지급히 회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처리에서는, 정상 상태에서는 간헐 수신 사이클이 성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처리에서는, 송신측 장치(203)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만큼의 데이터를 버스트적으로 송신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계 장치가 전송 패킷을 격납하기 위해서 유지하고 있는 버퍼의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보다 작은 경우 등은, 반드시 패킷 로스가 발생해 정상 상태 처리를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정상 상태에서의 처리가 성공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Dc보다 작은 값 D”로 하고, 사이클 간격도 Tc보다 작은 값 D”/BW로 한 정상 상태 처리를 행하는 등의 필요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상황 등은 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패킷 로스의 발생에 따라 사이클 간격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최적인(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가능한 한 전력 절약 효과가 높은) 파라미터를 탐색하도록 동작해도 된다. 또, 동적으로 파라미터를 변경하면서, 최적인 파라미터값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탐색 알고리즘 등을 유용하면 되며, 본 발명의 본질은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307에서 CWIN 저하 기간 중의 처리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CWIN 저하 기간 중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초기값 Dc’를 결정하거나 하기 위해서, 단계 S305의 CWIN 추정 처리를 행했다. 그러나, CWIN 추정 처리는, 보다 효율적으로, 즉 필요 이상으로 전송 레이트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행하는 처리이며, 반드시 본 발명에 필수의 처리는 아니다. 예를 들면, 패킷 로스가 1회 밖에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 등은, CWIN는 최저이어도 패킷 로스 발생 전의 1/2 이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초기값을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의 1/2로 하여, 필히 CWIN의 저하 기간 중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패킷 로스가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통신 대역을 유지하면서 간헐 수신에 의한 전력 절약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 3의 통신 장치는, 플로우 제어를 종단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는 플로우 제어를 행하는 통신을 중계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는, 중계 통신 장치로서 구성되며,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 자체의 TCP 통신에 대해서 행하고 있던 제어를, 중계하고 있는 TCP 통신에 대해서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헐 수신 및 전력 절약 제어의 본질은, 실시 형태 1과 공통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과의 차분(差分)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실시 형태 1 과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의 구성 요소와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212)과 휴대형 단말(501)과 수신측 장치(502)와 무선 기지국(202)과 인터넷(204)과 송신측 장치(2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501)과 수신측 장치(502)는, 각각이 조합된 상태에서, 인터넷(204) 및 무선 기지국(202)을 통해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과 동일한 처리 동작을 행한다.
또, 휴대형 단말(501)은, 송신측 장치(203)와 수신측 장치(502)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과 실시 형태 1의 도 3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의 차이는, 실시 형태 1에서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212)이 수신측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501)이 중계 장치로서 동작하며, 그 휴대형 단말(501)에 다른 수신측 장치(502)가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50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휴대형 단말(501)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와 파라미터 결정부(103)와 억제 재개 제어부(50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07)와 통신 I/F부(108)와 서브 통신 I/F부(109)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501)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에 없는 서브 통신 I/F부(109)를 구비함과 동시에, 휴대형 단말(211)에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를 구비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501)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에 있어서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 대신에, 억제 재개 제어부(504)를 구비한다.
서브 통신 I/F부(109)는, 예를 들면, Ethernet(등록상표) 등의 유선 LAN이나, 무선 LAN, USB(Universal Sirial Bus) 등으로 수신측 장치(502)와 통신한다. 또한, 서브 통신 I/F부(109)의 통신 방식은, 이들 이외의 임의의 통신 방식이어도 된다.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실시 형태 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와 마찬가지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에 의해 수취한 간헐 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 또는 재개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결정한 타이밍에,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 또는 재개시키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패킷의 전송에 관계하는 3개의 요구(후술)를 발행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통신 제어부(107)가 TCP의 처리를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104)는, 그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패킷의 송신의 가부를 요구하거나 ACK 패킷의 내용을 소정의 내용으로 하도록 요구하거나 ACK 패킷의 송신의 타이밍을 요구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제어부(107)가 송신측 장치(203) 및 수신측 장치(502)가 송신하는 패킷의 전송을 행하기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수신측 장치(502)가 송신한 ACK 패킷의 전송의 가부를 요구하거나 수신측 장치(502)의 IP 어드레스가 송신원 어드레스가 되도록, ACK 패킷의 내용을 소정의 내용으로 하도록 요구하거나 ACK 패킷의 전송의 타이밍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제어부(107)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로부터,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 ACK 통상 전송 재개 요구, 및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받고, 그들 요구에 대응한다.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는, 통상의 ACK 패킷 전송을 억제시키기 위한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이후,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송신된 ACK 패킷의 전송을 행하지 않게 된다.
ACK 통상 전송 재개 요구는,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를 해제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통상의 처리(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송신된 ACK 패킷의 전송)를 재개한다.
ACK 단발 송신 요구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로부터 지정된 타이밍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504)로부터 지정된 내용의 ACK 패킷을 송신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107)는, 이 요구를 받으면, 수신측 장치(502)가 ACK 패킷을 송신하는 타이밍에 관계없이, 지정된 내용의 ACK 패킷을 지정된 타이밍에 송신한다. 또한, 이 요구는,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효하다(송신 가능하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이 ACK 패킷의 송신원 IP 어드레스로는 수신측 장치(502)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도록 통신 제어부(107)에 지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처리와 비교해, 간헐 수신 파라미터에 관한 처리만이 다르다. 따라서, 간헐 수신 파라미터에 관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성능에 관한 요구(성능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것을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수신측 장치(502)에 있기 때문에, 이 요구 성능에 관한 정보(성능 파라미터)도 수신측 장치(502)가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이하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서브 통신 I/F부(109)를 경유해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그 후에 개시되는 TCP 통신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합쳐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송신측 장치(203)의 IP 어드레스 정보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의 정보, 혹은 TCP 통신을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를 취득한다. ID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는, 그 후 개시되는 TCP 통신에 있어서, 예를 들면 IP 헤더 옵션필드나 TCP 헤더 옵션필드 등에 이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휴대형 단말(501)이 TCP 커넥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2)는,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성능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는, 기정(旣定)의 파라미터를 성능 파라미터에 적용한다. 또한, 기정의 파라미터로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거나, 필요 이상으로 통신 I/F부(108)의 전력을 소비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501)의 UI(User Interface) 등으로부터 이 기정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신측 장치(502)와 송신측 장치(203) 사이에서 TCP 커넥션이 확립된다. 휴대형 단말(501)의 통신 제어부(107)는, 커넥션 개시시의 TCP 패킷(SYN 패킷 등)을 전송할 때에, 제어 대상인 TCP 커넥션이 개시된 것을 검지한다. TCP 커넥션의 확립 후, 수신측 장치(502)와 송신측 장치(203) 사이의 TCP 패킷은, 휴대형 단말(501)의 통신 I/F부(108), 통신 제어부(107), 및 서브 통신 I/F부(109)를 통해 송수신된다.
그 후,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통신 제어부(107)로 전송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전송 데이터의 대역(전송 대역)이,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대역(설정 대역 BW = Dc/Tc)에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 예를 들면,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실시 형태 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4)와 마찬가지로, 사이클 간격 Tc의 경과마다, 그 사이클 간격 Tc 사이에 수신한 TCP 패킷의 데이터 사이즈를 합계하는 것으로, 합계 데이터 사이즈 TlD를 산출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TlD/Tc ≥ BW」의 조건을 만족하는 회수가 소정 회수 이 상만큼 계속되었을 때에, 전송 대역이 설정 대역 BW에 도달했다고 간주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전송 대역이 설정 대역 BW에 도달하면,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를 발행한다. 또한, 이 발행은, 간헐 수신의 1회째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통신 제어부(107)로부터 그때까지 송신한 마지막 ACK 패킷의 정보, 즉, ACK 번호(LAST_ACKNO)와 수신 윈도우(LAST_RWIN)를 유지해 둔다. 통신 제어부(107)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로부터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를 받으면, 이후,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송신된 ACK 패킷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송신측 장치(203)는,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ACK 패킷이 보내져 오지 않더라도, 자신이 관리하는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될 때까지, 데이터 송신을 계속해 uwnd가 0이 된 시점에서, 데이터 송신을 종료한다. 그 결과, 송신측 장치(203)는 송신 억제 기간에 접어든다.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의 발행 후에도 TCP 패킷을 모니터링해, 송신측 장치(203)에서의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수신한 TCP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데이터 사이즈를 참조하고, (시퀀스 번호 + 데이터 사이즈)가 (LAST_ACKNO + LAST_RWIN)에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uwnd가 0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전원 제어부(106)에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 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전원 제어부(106)에 차단 요구를 발행한 후, 소정 시간의 만료를 기다린다. 이 소정 시간은, 사이클 간격 Tc와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시간이어도 된다. 송신측 장치(203)는, 이미 송신 억제 기간에 접어들고 있으므로,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
소정 시간이 만료했을 때,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전원 제어부(106)에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가 만료했다고 간주하여, 정상 상태로 천이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투입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상 상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측 장치(502)와 휴대형 단말(501)과 송신측 장치(203)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정상 상태에서의 1 사이클분의 동작은, 송신 재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의 3개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송신 재개 처리(단계 1)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시키기 위해,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발행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ACK 패킷의 수신 윈도우(RWIN)로서, 간헐 수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격납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지정한다. 통신 제어부(107)는, 시각 T71에,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받으면, RWIN = Dc인 ACK 패킷 P51를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신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수신측 장치(502)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고 있지 않은 ACK 패킷의 ACK 번호 중 최대의 것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그 기억하고 있는 ACK 번호를, ACK 패킷 P51의 ACK 번호로 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가 이 ACK 패킷 P51를 정당한 패킷으로서 수신할 수 있도록, 그 ACK 패킷(51)에서는, 송신원 IP 어드레스는 수신측 장치(502)의 IP 어드레스가 되며, 포트 번호는 당해 TCP 커넥션의 포트 번호가 된다.
한편, 송신측 장치(203)는, 휴대형 단말(501)이 송신한 ACK 패킷(RWIN = Dc)을 수신하면,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 또는,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해,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송신측 장치(203)는, 수신측 장치(502)로의 TCP 패킷(데이터 P52)의 송신을 재개한다.
휴대형 단말(501)의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로 ACK 통상 전송 억제 요구를 발행하고 있으므로, 수신측 장치(502)가 송신한 ACK 패킷의 전송은 이미 억제되어 있다. 즉, 서브 통신 I/F부(109)가 수신측 장치(502)로부터의 ACK 패킷을 수신하여, 그 ACK 패킷을 통신 제어부(107)에 인도해도, 통신 제어부(107)는 그 ACK 패킷을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신측 장치(203)에 대해서 송신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송신측 장치(203)가 한 번에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P52의 사이즈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로 제한된다.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단계 2)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시각 T71 이후, 통신 제어부(107)로 전송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시각 T71 이후에 전송한 데이터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즉, 송신측 장치(203)의 송신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uwnd)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에서의 확인 처리와 동일하게, 최후에 송신한 ACK 패킷의 ACK 번호와 수신 윈도우(RWIN = Dc)를 사용해 상술의 확인을 행한다. T71 이후에 전송한 데이터 사이즈가 Dc에 도달했을 때, 즉 시각 T72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송신 억제 기간이 개시했다고 간주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단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501)에서는, T71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사이클 간격 Tc의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73을,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점이라고 본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504)는, 타이머에 의해 시각 T73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그 결과, 투입 요구에 의해, 전원 제어부(106)는 시각 T73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휴대형 단말(501)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3개의 단계를 1 사이클로 하여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전력 절약 방법과 동일한 간헐 수신 제어를, TCP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의 향상이나, 실시 형태 3에 의한 패킷 손실시의 동작 등도 TCP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5)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부터 4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장치를 수신측 장치에 대해서 적용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장치를 송신측 장치에 적용하고, 송신측 장치의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측 장치는, 수신측 장치에 대해서, 간헐 송신 처리를 행하는 일을 통지하는 것으로, 보다 확실히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인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611, 612)과 무선 기지국(202)과 인터넷(204)과 수신측 장치(603)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형 단말(611, 612)은,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한 송신측 장치로서, 무선 기지국(202) 및 인터넷(204)을 통해서, 수신측 장치(603)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측 장치(603)는, 인터넷(204) 및 무선 기지국(202)을 통해서, 휴대형 단말(611, 61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휴대형 단말(611)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와 파라미터 결정부(623)와 억제 재개 제어부(62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627)와 통신 I/F부(108)를 구비한다. 이 휴대형 단말(611)은, 수신측 장치(603)로부터 ACK 패킷을 수신하여도, 즉시 그 ACK 패킷에 따른 데이터 패킷(송신 데이터)을 송신하지 않고 소정 기간(상술의 송신 억제 기간)만큼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며, 그 소정 기간 경과 후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바꾸어 말하면, 휴대형 단말(611)은, 플로우 제어의 구조를 사용해 데이터 송신의 억제와 재개를 반복하는 것으로, 휴대형 단말(611)의 원하는 간격으로의 간헐적 데이터 송신(간헐 송신)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형 단말(611)은, 그 소정 기간만큼 통신 I/F부(108)에 공급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어 전력 절약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이 구비하고 있는 상기 각 구성 요소는, 기본적으로,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이 구비하고 있는 각 구성 요소의 데이터 수신용의 기능에 대응한, 데이터 송신용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이 구비하고 있는 상기 각 구성 요소의 기능 중에서,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이 구비하고 있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응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 간단하게 설명하고, 단순히 대응하고 있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가 억제 수단 및 전환 제어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에 기동 통지를 발행하고, 수신측 장치(60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또,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료시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에 종료 통지를 발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휴대형 단말(611) 상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1개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와 수신측 장치(603)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성능 파라미터」를 입수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로부터 기동 통지 또는 종료 통지를 받으면, 동시에 그 성능 파라미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로부터 입수해, 파라미터 결정부(623)에 대해서,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발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는, 송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어플리케이션 타입)이나, 파일 사이즈, 버퍼 사이즈 등에 의거해, 성능 파라미터인 대역 BW 및 지연 시간 DT 등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타입이 MPEG이면,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는, 화상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의 필요한 대역을 성능 파라미터로서 결정한다.
파라미터 결정부(623)는,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실시 형태 1의 간헐 수신시와 마찬가지로, 간헐 송신의 사이클 간격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또, 이들 2개의 파라미터를 총칭해 「간헐 송신 파라미터」라고 부른다. 파라미터 결정부(623)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로부터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받았을 때,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로부터의 성능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간헐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억제 재개 제어부(624)에 간헐 송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간헐 송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송신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수신측 장치(603)로의 데이터 송신이 간헐적으로 행해지도록, 통신 제어부(627)를 제어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송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 패킷을 수신한 후, 수신측 장치(603)로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을 만든다. 이 기간을 송신 억제 기간이라고 부른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이 제어에 의해 얻어진 송신 억제 기간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제어부(106)에 지시를 내린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간헐 송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에 의해 수취한 간헐 송신 파라미터에 따라, 수신측 장치(603)로의 데이터 송신을 억제 또는 재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송신 억제 기간에 연동하여,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투입 또는 차단의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통신 제어부(627)로 송수신하는 TCP 패킷을 모니터 링하고, 그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술의 타이밍의 결정에 이용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로부터의 투입 또는 차단의 요구에 따라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한다.
통신 제어부(627)는, 통상의 TCP 처리에 더해, 억제 재개 제어부(624)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데이터 패킷의 송신 타이밍이나 패킷 내용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627)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로부터,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재개 요구, 지정 사이즈 데이터 송신 요구를 받고, 그들 요구에 대응한다.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는, 통상의 데이터 패킷 송신을 억제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627)는, 이 요구를 받으면, 이후, 지정 사이즈 데이터 송신 요구, 혹은,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재개 요구를 받지 않는 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다.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재개 요구는,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에 의해서 정지하고 있던 데이터 패킷의 송신 억제를 해제하고, 통상의 TCP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송신시키는 요구이다.
지정 사이즈 데이터 송신 요구는,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받은 상태에 있어서 유효하며, 지정된 사이즈의 데이터를 TCP에 따라 송신시키는 요구이다. 통신 제어부(627)는, 통신 I/F부(108)를 통해, 지정된 사이즈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송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ACK 패킷을 수신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611)이 초기 상태부터 통신을 개시하여 종료할 때까지의 휴대형 단말(611)의 동작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실시 형태 1의 간헐 수신 파라미터의 등록과 마찬가지로, 휴대형 단말(611)은, 성능 파라미터에 근거해 간헐 송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등록하고, 통상의 TCP에 따른 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휴대형 단말(611)은, 간헐 송신의 준비 상태의 처리를 행한다. 이 준비 상태에 있어서는, 휴대형 단말(611)은, 우선, 간헐 송신을 행하는 것을 수신측 장치(603)에 통지한다. 즉, 휴대형 단말(611)은, TCP의 통신을 개설할 때에, 간헐 송신 처리를 행하는 취지를 수신측 장치(603)에 통지하기 위해서, TCP 헤더의 옵션필드에 있어서 간헐 송수신 유효 플래그를 유효하게 하고, 3WAY 핸드쉐이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 장치(603)의 간헐 수신 처리를 억제할 수 있고, 보다 확실히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수신측 장치(603)가 실시 형태 1의 휴대형 단말(211)과 같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인 경우에, 수신측 장치(603)에 의한 간헐 수신과, 휴대형 단말(611)에 의한 간헐 송신이 동시에 행해지면, 휴대형 단말(611)과 수신측 장치(603) 사이에서의 통신(간헐 송신 및 간헐 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단말(611)이 간헐 송신을 행하는 것을 수신측 장치(603)에 통지하여, 수신측 장치(603)에 의한 간헐 수신을 정지시킴으로써, 휴대형 단말(611)에 의한 수신측 장치(603)에 대한 간헐 송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헐 송신의 통지 외에, 휴대형 단말(611)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 지로, 데이터 패킷(송신 데이터)의 대역(송신 대역)이 간헐 송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대역 BW까지 도달해, 그 대역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소정의 회수 이상 계속되도록,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반복해서 행한다. 그 후, 휴대형 단말(611)의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통신 제어부(627)에 송신한다. 그 결과, 통신 제어부(627)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로부터 데이터 패킷 통상 송신 억제 요구를 받으면, 이후, ACK 패킷의 수신을 계속하지만, 그 수신시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상 상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과 수신측 장치(603)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정상 상태에서의 1 사이클분의 동작은, 송신 재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와,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의 3개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송신 재개 처리(단계 1)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수신측 장치(603)로의 지정 사이즈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 통신 제어부(627)에 대해서 지정 사이즈 데이터 송신 요구를 발행한다. 이 때,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간헐 송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격납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사이클 간격 Tc 사이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 사이즈(지정 사이즈)로 하고, 그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 제어부(627)에 요구한다. 통신 제어부(627)는, 시각 T81에, 지정 사이즈 데이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 P1를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신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단계 2)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시각 T81 이후, 통신 제어부(627)로 수신되는 TCP 패킷을 모니터링하면서, 통신 제어부(627)로부터 그때까지 송신된 마지막 데이터 패킷의 정보, 즉, 시퀀스 번호(LAST_SEQ)로 송신한 데이터 사이즈(LAST_SIZE)를 유지해 둔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시각 T81 이후에 송신한 데이터 사이즈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에 도달해, 마지막 데이터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ACK 패킷 P2가 수신될 때마다, 그 수신된 ACK 패킷 P2의 ACK 번호를 참조하고, 그 ACK 번호가 (LAST_SEQ + LAST_SIZE)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이 때,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이 모두 휴대형 단말(611)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원인이 생각된다.
(1) 수신측 장치(603)가 DELAYED ACK 알고리즘을 실장하고 있는 경우, 수신측 장치(603)는 데이터 패킷 1개에 대해서 1개의 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에 대해, 1개의 ACK 패킷을 송신한다.
(2) 전송로 상이나, 수신측 단말(603) 상, 휴대형 단말(611) 상에서, 패킷 로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611)은, RTT를 추정하는 RTT 추정부를 구비하고, 송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모든 ACK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마지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부터 RTT 사이만큼 ACK 패킷을 기다려도 된다. 휴대형 단말(611)은, 이 RTT 사이에 모든 ACK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ACK 패킷의 기다림을 종료하고, 수신하고 있지 않은 ACK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다음 사이클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의 최초에 재송한다.
또, 휴대형 단말(611)은, RTT 사이만큼 ACK 패킷을 기다려, 모든 ACK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는, 패킷 로스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수신하고 있지 않은 ACK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 혹은, 최후에 송신한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고, 재차 ACK 패킷을 기다려도 된다.
또, 수신측 장치(603)의 DELAYED ACK TIMER를 해제하는 패킷수가 이미 알려져 있으면(旣知), 휴대형 단말(611)은, 데이터 패킷의 수가 DELAYED ACK TIMER 해제의 패킷수의 정수배가 되도록, 데이터 패킷의 분할을 행해도 된다. 한편, DELAYED ACK TIMER를 해제하는 패킷수가 이미 알려져 있으면, 휴대형 단말(611)은, 미리, 통신중에 DELAYED ACK TIMER 해제의 패킷수를 ACK 패킷의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추정해 놓아도 된다.
시각 T81 이후에 송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모든 ACK 패킷이 도달했을 때, 혹은, 더 이상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인 시각 T82에서,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송신 억제 기간이 개시했다고 간주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 처리(단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은, 시각 T81를 기점으로 하여, 사이클 간격 Tc의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83를, 송신 억제 기간의 종료점이라고 본다. 즉, 억제 재개 제어 부(624)는, 타이머에 의해 시각 T83를 검출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그 투입 요구에 의해, 전원 제어부(106)는 시각 T83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휴대형 단말(611)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3개의 단계를 1 사이클로 하여 반복해서 실행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경우의 처리에서는, 휴대형 단말(611)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신측 장치(603)와의 TCP의 커넥션을 차단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611)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 및 파라미터 결정부(623)는 각각,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과 간헐 송신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클리어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통신 제어부(627)로 송수신되는 TCP 패킷의 모니터링을 정지하고,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휴대형 단말(6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다음으로, 상기의 간헐 송신 처리를 위한, 휴대형 단말(611) 내의 처리에 대해, 플로우 차트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611)의 정상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611)은, 전(前) 사이클에 있어서, 수신하고 있지 않은 ACK 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통신 제어부(627)에 유지되어 있으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에 앞서, 그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 패킷을 기존의 TCP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한다(단계 S501). 이 때, 휴대형 단말(611)의 억제 재개 제어부(624)는, 통신 I/F부(108)로의 전원 투입의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해,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휴대형 단말(611)은, 이번의 사이클에서 송신해야 할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502). 이 때, 상술한 송신 억제 기간의 개시 처리(단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611)은, 마지막 데이터 패킷을 송신 후, 송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모든 ACK 패킷을 RTT 사이만큼 기다린다. 이 RTT 사이에 모든 ACK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휴대형 단말(611)은, 그 모든 ACK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채,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완료한다. 또한, TCP이므로, 마지막 데이터 패킷은 통신 제어부(107)에 유지되어 있고, 다음번의 사이클의 최초(단계 S501)에서 송신된다.
휴대형 단말(611)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완료한 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503). 휴대형 단말(611)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면, 상술의 타이머에 의거해, 단계 S502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 개시시부터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504). 여기서, 휴대형 단말(611)은,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504의 No), 단계 S503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504의 Yes),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단계 S505).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계 S503 및 S504에 있어서, 정기적으로 사이클 간격 Tc의 경과를 확인하고 있지만, 정기적인 확인을 행하지 않고, 사이클 간격 Tc가 경과했을 때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사이클 간격 Tc의 경과를 검지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휴대형 단말(611)은, 송신해야 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완료하고, 수신측 장치(603)와의 통신을 종료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해(단계 S506), 종료해야 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506의 Yes),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또, 휴대형 단말(611)은, 종료해서는 안되며, 아직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506의 No), 단계 S5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 S501 ~ S506의 처리에 의해, 간헐 송신을 행하면서 통신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611)은, 무선 LAN의 전력 절약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예를 들면 TCP 등의 플로우 제어 기구를 갖는 프로토콜을 사용해, 수신측 장치(60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전력 절약화를 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전력 절약 기능의 서포트 상황이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종류에도 관계없이, 휴대형 단말(611)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형 단말(611)(송신측 장치)로부터 간헐 송신을 행하는 것이 수신측 장치(603)에 통지됨으로써, 수신측 장치(603)의 간헐 수신 처리를 제한할 수 있어 보다 확실히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억제 기간에 있어서만, 전원을 차단했지만, 전력 절약 효과를 더 향상하기 위해서, 1 사이클 내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 후부터 ACK 패킷의 수신까지의 기간도 전원을 차단해도 된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611)과 수신측 장치(603)의 다른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휴대형 단말(611)은, 실시 형태 2의 휴대형 단말(211a)과 마찬가지로, 사이클의 최초의 데이터 패킷 송신 후, 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ACK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의 RTT 사이 중에,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611)은, 사이클 간격 Tc의 사이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1 사이클의 모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직후(도 28의 시각 T92)부터, 최초의 ACK 패킷이 도달하기 직전(도 28의 시각 T93)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단, 수신측 장치(603)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RWIN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보다 작은 경우는, 휴대형 단말(611)은, 수신한 RWIN에 따른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에 전원을 차단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 및 사이클 간격 Tc를 고정시켰지만, 송신하는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사이클의 간격을 만들지 않고, 각 사이클을 연속시켰지만, 각 사이클의 사이를 두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611)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의 송신 준비가 사이클 개시 시점에서 가능하지 않은 경우 등에서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준비될 때까지, 다음 사이클을 개시하지 않고, 전원 차단을 행해도 된다. 이에 따라, 모아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 써, TCP의 왕복 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다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단말(611)(송신측 장치)이, 간헐 송신을 통지했지만, 반드시 통지할 필요는 없다. 또, 휴대형 단말(611)(송신측 장치)이, 간헐 송신을 통지하지 않고, 역으로, 수신측 장치(603)가, 간헐 수신을 휴대형 단말(611)에 통지해도 된다. 또, 휴대형 단말(611)(송신측 장치)과 수신측 장치(603) 사이에서 네고시에이션을 실시함으로써, 간헐 수신 및 간헐 송신 중 어느 쪽을 실행할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양 장치가 간헐 송수신 유효 플래그에 전력 절약 효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헐 수신 및 간헐 송신 중, 전력 절약 효과가 높은 쪽이 실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헐 송신의 실시를 통지하는 타이밍을, 3WAY 핸드쉐이크로 했지만, 그 타이밍은, 간헐 송신의 준비 상태 등과 같이, 간헐 송신을 실시하기 전이면 어느 쪽의 타이밍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6)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부터 실시 형태 5에서는, 휴대형 단말에 있어서 동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1개뿐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시에 동작한다.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시에 동작했을 경우에서도,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송신 처리 및 수신 처리를 동기함으로써, 송신 억제 기간을 발생시켜,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서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시에 동작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인 휴대형 단말(1001, 1002)과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과 같이 플로우 제어를 행하지 않는 통신을 행하는 송신측 장치(203a)와 플로우 제어를 갖는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 송신측 장치(203)와 수신측 장치(60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 1 ~ 5와 동일한 기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은, 실시 형태 2의 휴대형 단말(211a)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휴대형 단말(611)의 송신측 장치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며,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 203a)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수신하거나,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과, 수신측 장치(603)로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은, 실시 형태 1 ~ 5와 마찬가지로 TCP에 따른 통신을 행함과 함께, UDP에 따른 통신을 행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 또는 수신측 장치(603)와 통신할 때에는, TCP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을 행하고, 송신측 장치(203a)와 통신할 때에는, UDP에 따라,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 일정 간격마다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단말(1001)에 의해 실행되는 간헐 수신 및 간헐 송신을 총칭하여, 간헐 송수신이라 부르고, 휴대형 단말(1001)에 의해 다루어지는 간헐 수신 파라미터 및 간헐 송신 파라미터를 총칭하여,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라고 부른다. 또, 휴대형 단말(1001, 1002)은 각각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갖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1001)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3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와 파라미터 결정부(1013)와 억제 재개 제어부(101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027)와 통신 I/F부(108)와 RTT 추정부(1019)를 구비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는, 실시 형태 2의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통신 어플리케이션부(621)의 기능을 겸비하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한다. 즉,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에 기동 통지를 발행하고, 송신측 장치(203a), 송신측 장치(203) 및 수신측 장치(603a) 중 어느 2개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는, 실시 형태 2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 부(102)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622)의 기능을 겸비하며,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로부터, 성능 파라미터를 입수하고, 파라미터 결정부(1013)에 대해서, 성능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성능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발행한다. 또,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에 의해서 입수되는 성능 파라미터에는, 후술하는 「프로토콜」이나 「전력 절약 우선도」가 나타나 있다.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실시 형태 2의 억제 재개 제어부(804)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억제 재개 제어부(624)의 기능을 겸비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각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간헐 송수신의 동기를 취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각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통신의 억제 및 재개를 동시에 행하고, 억제시에는,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통신의 억제 및 재개의 타이밍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1001)은, UDP를 이용해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는 경우는, UDP 패킷의 수신 간격을 특정하며, 그 수신 간격에 의거해, UDP 패킷의 수신 예상 시각을 추정한다.
RTT 추정부(1019)는, 실시 형태 2의 RTT 추정부(809)와 마찬가지로, 각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RTT를 추정하고, 추정한 RTT를 파라미터 결정부(1013), 억제 재개 제어부(1014) 및 통신 제어부(1027)에 통지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실시 형태 2의 파라미터 결정부(103)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파라미터 결정부(623)의 기능을 겸비하여 상술의 간헐 송수신 파라미 터를 결정하고, 억제 재개 제어부(1014)에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간헐 수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간헐 송신 파라미터 등록 통지) 또는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간헐 수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 또는 간헐 송신 파라미터 삭제 통지)를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027)는, 실시 형태 2의 통신 제어부(107)의 기능과 실시 형태 5의 통신 제어부(627)의 기능을 겸비함과 더불어, 통신 I/F부(108)를 통해,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 UDP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수신을 행한다.
도 31a 및 도 31b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가 관리하는 UDP에 관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12a, 1012b)은 각각, UD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기동 완료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성능 파라미터를 갖는다. 그 성능 파라미터로서는 프로토콜이나 송신 간격이 있다.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UDP 고정 레이트 수신」이나 「UDP 가변 레이트 송신」등과 같이, UDP 고정 레이트 또는 UDP 가변 레이트와 송신 또는 수신을 조합함으로써 규정되는 파라미터이다. 송신 간격 DT는, UDP에 의해 단속(斷續)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프로토콜이 UDP 고정 레이트를 나타내는 경우에,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설정되며, 프로토콜이 UDP 가변 레이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설정되지 않는다.
도 32a 및 도 32b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가 관리하는 TCP에 관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12c, 1012d)은 각각, TC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기동 완료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성능 파라미터를 갖는다. 그 성능 파라미터로서는, 프로토콜이나, 전력 절약 우선도, 스트림 타입, 대역, 지연 시간이 있다. 또한, 스트림 타입, 대역 및 지연 시간의 파라미터는,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동일하다.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TCP 송신」이나 「TCP 수신」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전력 절약 우선도는, 간헐 송수신의 사이클의 기준이 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휴대형 단말(1001)의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기동이 완료된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각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의해 나타나는 프로토콜이나 전력 절약 우선도 등에 의거해, 그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어느 한쪽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즉,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그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간헐 송수신의 사이클을 기준(기준 사이클)으로 하여, 다른 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간헐 송수신의 사이클이 그 기준 사이클에 동기하도록, 그 다른 쪽의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TC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기동 완료된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그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전력 절약 우선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전력 절약 우선도가 높은 통신 어플 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또,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기동이 완료된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프로토콜을 비교하여, 한쪽의 프로토콜이 TCP를 나타내고 다른 쪽의 프로토콜이 UDP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UDP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프로토콜이 UDP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재송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인해, 간헐 송수신의 비급전 상태에서의 패킷 로스를 최대한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UDP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또한,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전력 절약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서로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전력 절약 우선도가 같은 레벨인 경우에는,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RTT 추정부(1019)로부터 통지된 RTT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사용자에 의한 지정에 따라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해도 된다.
또,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이 되지 않았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해 동작하게 된다. 그 때문에,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이 되지 않았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늘리는 등으로 해서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요구가 충족되는 것과 같은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TC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인 사이클 간격 Tct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결정한다. 또,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UD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송신 간격 DT를, UDP에 의해서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간격이나, UDP에 의해서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간격으로 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의 결정 방법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가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해, 한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UDP의 송수신을 행하며, 또 한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TCP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UDP의 통신에서는, 프로토콜에 의한 재송 제어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차단중에 패킷을 수신하여, 손실하는 일은 피해야 하는 것이다. 또, VoIP 등의 송신에서는, 패킷 송신 지연에 의해 음성이 흐트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패킷 송신 지연에 대한 제약이 심하다. 따라서 우선, 휴대형 단말(1001)은, UDP와 TCP의 통신 양쪽을 행하는 경우, UDP의 송수신을 실행하고자 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하고, UDP 패킷의 송신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패킷의 송수신 지연에 관한 제약을 막는다.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UD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 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그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송신 간격 DT = DTu를 특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그 송신 간격에 의거해, TC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이클 간격 Tct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TCP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그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대역 BW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이 때,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UDP 통신의 송신 간격 DTu에, TCP의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t(사이클 간격 Tct의 정수배)를 합해서 양 통신의 동기가 취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TCP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스트림 타입이 대역 중시형인 경우는, 양 통신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TCP의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t를 Tct = DTu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Dct = Tct×BW에 따라, 1회의 사이클에 있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사이즈인,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결정하고, 요구된 대역 BW를 확보한다.
한편, TCP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스트림 타입이 지연 시간 중시형인 경우는, 우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UDP의 송신 간격 DTu와 TCP의 지연 시간 DTt를 비교한다. UDP의 송신 간격 DTu보다, TCP의 지연 시간 DTt쪽이 길면,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사이클 간격 Tct를 Tct = DTu로 결정하고,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Dct = Tct×BW로 결정한다. 반대로, TCP의 지연 시간 DTt쪽이 짧으면, DTu > C3×DTt가 되는 것과 같은 정수 C3를 결정한다. 이 경우,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사이클 간격 Tct를 Tct = DTu/C3로 결정하는 것으로, UDP의 송신 간격 내에, TCP의 송수신을 C3회 실행해, 요구된 지연 시간 DTt를 지킨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대역 중시형과 마찬가지로, Dct = Tct×BW에 의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결정한다.
또한, TCP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스트림 타입이 최선형인 경우는,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하지 않으며, 휴대형 단말(1001)은 간헐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가 2개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양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TCP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2개의 TCP의 통신을 동작시키는 경우는,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각 통신을 위한 사이클 간격 Tct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에서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t를 Tc1로 하고, 그 통신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Dc1로 한다. 또, 다른 한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t를 Tc2로 하며, 그 통신의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를 Dc2로 한다.
양쪽의 통신이 TCP의 송수신인 경우, 우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각 통 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는 전력 절약 우선도를 확인하고, 우선도가 높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사이클 간격 Tc1과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1를,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다른 한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2와 사이클 간격 Tc2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에서는, 파라미터 결정부(1013)는, 상술의 UDP의 통신과 TCP의 통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UDP의 송신 간격 DTu를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사이클 간격 Tc1로 치환해 계산함으로써, 사이클 간격 Tc2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2를 결정한다.
도 3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1001)과 송신측 장치(203a) 및 송신측 장치(203)의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1001)은, 도 31a에 나타내는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12a)에 대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UDP에 따라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도 32b에 나타내는 성능 파라미터 관리 테이블(1012d)에 대응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TCP에 따라서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a)가 UDP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간격을 DTu로 하고, 송신측 장치(203b)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사이클 간격을 Tct로 하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Dct로 하고, RTT를 RTTt로 한다. 또, 송 신측 장치(203a)와의 통신은, UDP를 이용해 행하므로, 상술한 대로, UDP를 이용한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으로 하며, UDP의 송신 간격 DTu는 DTu = 사이클 간격 Tct가 된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 간격 DTu의 간격으로 UDP 패킷을 수신하는 것, 즉 UDP 패킷을 수신하는 시각(수신 예측 시각)을 예측한다.
본 시퀀스에서는, 최초로, 휴대형 단말(1001)은, 간헐 수신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203a) 및 송신측 장치(203)와 통신하기 위하여, 파라미터 결정부(1013)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간헐 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휴대형 단말(1001)은, 간헐 수신의 준비 상태의 처리를 행한다. 이 때, 휴대형 단말(1001)은, TCP를 이용해 송신측 장치(203)와 통신하기 위해,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준비 상태의 처리를 실시한다. 그에 더해, 휴대형 단말(1001)의 RTT 추정부(1019)는, TCP의 통신의 RTT인 RTTt를 추정해 놓는다. 또한, 휴대형 단말(1001)은, UDP를 이용해 송신측 장치(203a)와 통신할 때에는, 고정 레이트로 패킷 송수신을 행하기 때문에, 그 UDP의 통신을 위한 준비 상태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 휴대형 단말(1001)의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준비 상태의 처리가 완료하면,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UDP 패킷의 수신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TCP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통신을 개시할 수 있도록, 통신 제어부(1027)에 의한 ACK 패킷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송신측 장치(203a)와의 통신을 억제해 놓는다.
그 후의 정상 상태에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시각 T101에 사이클 간격 Tct의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하고,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시키기 위해, 통신 제어부(1027)에 대해서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발행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에 ACK 패킷 Pa1를 송신하는 것으로, 간헐 수신을 개시한다. 여기서, 개시하는 타이밍, 즉 ACK 패킷 Pa1를 송신하는 타이밍(시각 T101)은,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의 UDP 패킷 Pu1의 수신 예측 시각과 송신측 장치(203)로부터의 TCP 패킷 Pd1의 수신 예측 시각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TCP 패킷 Pd1는,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되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분의 패킷 모두를 포함한다.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의 UDP 패킷 Pu1의 수신 예측 시각을 예측하고, 그 수신 예측 시각으로부터 RTTt분 거슬러 올라간 타이밍(시각 T101)에서, ACK 단발 송신 요구를 발행해, ACK 패킷 Pa1를 송신시킨다.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ACK 패킷 Pa1의 송신이 완료한 시각 T102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차단 요구를 발행한다. 전원 제어부(106)는 차단 요구를 받으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ACK 패킷 Pa1 송신 완료 후의 시각 T102로부터 RTTt 경과하는 시각 T103까지, 송신측 장치(203a) 및 송신측 장치(203)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패킷을 수신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켜 놓는다.
다음으로,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시각 T102로부터 RTTt 경과했을 때의 시각 T103에, 송신측 장치(203a) 및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패킷이 도달하기 때문 에, 전원 제어부(106)에 대해서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그 투입 요구에 따라, 전원 제어부(106)는 시각 T103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투입한다. 그리고, 수신해야 할 모든 패킷을 수신한 후의 시각 T104와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01로부터 사이클 간격 Tct 경과한 시각 T105 동안에는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전원 제어부(106)를 제어함으로써, 그 시각 T104부터 시각 T105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1001)은, 타이머에 의한 계시의 개시 시각 T101로부터 사이클 간격 Tct가 경과한 시각 T105에, 재차 새로운 사이클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송신측 장치(203a)의 UDP 패킷의 송신 간격 DTu와 송신측 장치(203)의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t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 후에도 동기하여 간헐 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에서는, 복수의 통신을 병렬로 실행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기간을 만들고, 그 기간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해, 전력 절약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분의 TCP 패킷이 사이클 간격 Tct로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1001)은, 간헐 수신을 실시하지 않으며, TCP 패킷을 수신하면 즉시 ACK 패킷을 송신하고, 다음의 데이터(TCP 패킷)를 수신해도 된다. 이 경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분의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없었던 사이클의 다음 사이클에서는, 휴대형 단말(1001)은,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에, 전번의 사이클에서 수신할 수 없었던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산한 사이즈를, 다음 사이클에 서 필요로 되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t로 하여, 다음 사이클을 실행한다.
또, 도 33에서는, UDP를 이용한 수신과 TCP를 이용한 수신을 이용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의 전력 절약 효과를 설명했지만, UDP를 이용한 수신과 TCP를 이용한 송신을 휴대형 단말(1001)이 실행하는 경우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에서는, 간헐 송수신 처리에 의해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휴대형 단말(1001)은, UDP를 이용한 수신에 맞추어, 데이터 패킷(TCP 패킷)의 송신, 혹은 데이터 패킷(TCP 패킷)에 대응하는 ACK 패킷의 수신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UDP 패킷의 수신과 데이터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의 수신의 타이밍을 맞추는 경우는, 휴대형 단말(1001)은, 도 33의 시각 T101에서, ACK 패킷의 송신 대신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실시한다.
또, 도 33에서는,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사이클 간격 Tct를 송신 간격 DTu와 동일한 것으로 함으로써, 양 통신의 동기를 취하고 있었지만, 사이클 간격 Tct를 송신 간격 DTu에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동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1001)은, UDP 패킷의 송신 간격 DTu와는 관계없이 사이클 간격 Tct를 결정하고, UDP 패킷의 수신 예측 시각을 추정해, 각 사이클 중의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 ACK 단발 송신 요구에 근거하는 ACK 패킷을 송신한다. 즉, ACK 패킷의 송신 시각은 사이클의 개시에 의존하지 않고, UDP 패킷의 수신 예측 시각, RTTt 및 사이클 간격 Tct를 이용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의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도 34는, 사이클 간격 Tct와 송신 간격 DTu가 상이한 경우에 억제 재개 제어부(1014)가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최초로,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사이클의 개시 시각에 있어서, 그 사이클의 사이클 간격 Tct 내에 UDP 패킷을 수신하는지의 여부, 즉 UDP 패킷의 수신 예측 시각(이하, UDP 수신 예측 시각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1).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이 사이클 간격 Tct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이 사이클 간격 Tct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사이클 간격 Tct)고 판정하면(단계 S601의 No), 동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사이클의 개시 시각에 ACK 패킷을 송신시킨다(단계 S605).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사이클을 개시함과 동시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간헐 수신 제어를 행한다.
한편,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이 사이클 간격 Tct 내에 존재한다((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사이클 간격 Tct)고 판정하면(단계 S601의 Yes), 또한,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2).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패킷의 수신과 ACK 패킷의 송신 혹은 TCP 패킷의 수신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과 RTTt를 비교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이면,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이면,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고 판정하면(단계 S602의 Yes), UDP 패킷의 수신과 TCP 패킷의 수신을 동기시킨다(단계 S603).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사이클의 개시 시각으로부터{(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경과한 타이밍에, ACK 패킷을 송신시킨다.
한편,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고 판정하면(단계 S602의 No), UDP 패킷의 수신과 ACK 패킷의 송신을 동기시킨다(단계 S604). 즉,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UDP 수신 예측 시각에 ACK 패킷을 송신시킨다.
그리고, 억제 재개 제어부(1014)는, 다음 사이클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606), 다음 사이클이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606의 Yes), 모든 처리를 종료하며, 다음 사이클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단계 S606의 No), 단계 S6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와 같은 사이클 간격 Tct와 송신 간격 DTu가 상이할 때의 전력 절약 방법에 대해, 도 35를 이용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1001)과 송신측 장치(203a) 및 송신측 장치(203)의 다른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와의 TCP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의 사이클 간격 Tct를 결정할 때에는, 송신측 장치(203a)와의 UDP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 간격 DTu와 상이한 사이클 간격 Tct를 결정한다. 또한, 도 35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휴대형 단말(1001)이 ACK 패킷의 송신 후 RTTt 경과까지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1에 정상 상태에 이르면, 상술한 사이클 간격 Tct와 송신 간격 DTu가 상이한 경우의 간헐 수신 제어에 의거해, ACK 패킷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1부터 개시되는 이 사이클에서는,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즉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 RTTt가 성립된다고 판정한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1에 사이클을 개시하고, 그 시각으로부터 (UDP 패킷 Pu1의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1 - RTTt)가 경과하는 타이밍이 될 때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해 놓는다. 다음으로, 시각 T112에 (UDP 패킷 Pu1의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1 - RTTt)의 타이밍이 되면, 휴대형 단말(1001)은, ACK 단발 송신 요구에 근거하는 ACK 패킷 Pa1를 송신측 장치(203)에 송신한다. 그리고 RTTt 경과 후,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a)로부터 UDP 패킷을 수신하며,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TCP 패킷을 수신한다.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3에서, 수신해야 할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면,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고,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1부터 사이클 간격 Tct 경과 후의 시각 T114까지, 그 전원을 차단해 놓는다.
다음으로, 휴대형 단말(1001)은, 다음 사이클을 개시하는 시각 T114에, 다음 UDP 패킷 Pu2의 수신 예측 시각이 그 사이클 중에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휴대형 단말(1001)은, 그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4에, ACK 패킷 Pa2를 송신한다.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5에, 그 ACK 패킷 Pa2에 대응하는 모든 TCP 패킷 Pd2를 수신하면, 그 후, 사이클의 종료 시각 T116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1001)은, 다음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6에, 그 사이클에서는, UDP 수신 예측 시각에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 즉 (UDP 수신 예측 시각 - 사이클의 개시 시각 T116) < RTTt가 성립된다고 판정한다. 그 결과, 휴대형 단말(1001)은 UDP 패킷 Pu2를 수신하는 시각 T117에, ACK 패킷 Pa3을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16부터 시각 T117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해 놓는다.
이와 같이, 사이클 간격 Tct와 송신 간격 DTu가 상이한 경우도, UDP 수신 예측 시각과 사이클 간격 Tct와 RTTt를 이용함으로써 2개의 통신의 동기를 취할 수 있어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형 단말(1001)과 수신측 장치(603) 및 송신측 장치(203)의 전력 절약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휴대형 단말(1001)은, TCP를 이용해 수신측 장치(603)에 데이터를 송신하면서, TCP를 이용하여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측 장치(603)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사이클 간격을 Tc로 하고,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Dca로 하며, RTT를 RTTa로 한다. 또, 송신측 장치(203)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사이클 간격을 Tc로 하고,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Dcb로 하며, RTT를 RTTb로 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사이클 간격 Tc는, 수신측 장치(603)의 통신과 송신측 장치(203)의 통신에서, 동일하다.
또, 휴대형 단말(1001)은, 도 3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의 사이클에 맞추어서, 다른 한쪽의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를 결정함으로써, 사이클 간격 Tc의 동기를 취하고, 송신 억제 기간에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최초로, 휴대형 단말(1001)은, 도 33과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603) 및 송신측 장치(203)에 대한 간헐 송수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5와 동일한 준비 상태의 처리를 실시하며, 간헐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각 장치와의 통신을 억제해 놓는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측 장치(603)와의 통신의 전력 절약 우선도가 「높음」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은, 수신측 장치(603)에 대해서 TCP를 이용한 송신 처리를 행하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1001)은, 송신측 장치(203)에 대한 준비 상태가 완료되면,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수신측 장치(603)와의 통신과 동기를 취하기 때문에, 송신측 장치(203)의 통신을 억제해 놓는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1001)은, 수신측 장치(603) 및 송신측 장치(203)에 대한 준비 상태의 처리가 완료되면, 정상 상태의 처리를 개시한다. 즉, 휴대형 단 말(1001)은, 양 통신의 사이클 간격 Tc 사이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각 장치에 대한 통신을 억제하고, 그 통신이 억제된 기간,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상 상태에서는, 우선, 휴대형 단말(1001)은, 사이클 간격 Tc의 개시 시각 T121에, 수신측 장치(603)에 대해서 데이터 패킷 Pda를 송신함과 동시에, 송신측 장치(203)에 ACK 단발 송신 요구에 근거하는 ACK 패킷 Pab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휴대형 단말(1001)은, 수신측 장치(603)와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 각각 RTT만큼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1001)은, 수신측 장치(603)에 대해서 사이클 중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 패킷 Pda가 모두 송신된 시각 T122부터, 최초로 데이터 패킷이 도달하는 시각 T123까지,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송신측 장치(203)의 RTTb쪽이 수신측 장치(603)의 RTTa보다 짧기 때문에, 최초로 도달하는 데이터 패킷은,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 Pdb이다. 즉, 휴대형 단말(1001)은, 수신측 장치(603)의 RTTa의 기간과 송신측 장치(203)의 RTTb의 기간이 겹치는 기간(시각 T122 ~ 시각 T123)에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 후,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23에 재차 전원을 투입하고, 송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ACK 패킷 Paa를 수신측 장치(603)로부터 수신함과 더불어,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Dcb분의 데이터 패킷 Pdb를 송신측 장치(203)로부터 수신한다. 그 결과, 시각 T125에, 이 사이클 간격 Tc로 수신측 장치(603) 및 송신측 장치(203) 사이에서 행해져야 할 통신이 모두 완료하므로,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25부터 사이클 간격 Tc의 종료점인 시각 T126까지를 송신 억제 기간으로 하여, 그 기간에 있어서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것으로, TCP를 이용한 송신과 TCP를 이용한 수신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의, 1 사이클이 완료한다. 휴대형 단말(1001)은, 시각 T126 이후도 다음 사이클에 있어서 상술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6에서는, 휴대형 단말(1001)의 전력 절약 방법에 대해, 휴대형 단말(1001)이 TCP를 이용한 송신과 TCP를 이용한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사이클 기준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쪽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되는 것에 관계없이, a) TCP를 이용한 2개의 송신 처리를 병렬로 실행하는 경우, b) TCP를 이용한 2개의 수신 처리를 병렬로 실행하는 경우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단말(1001)은 간헐 송수신 처리에 의해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상기 a), 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휴대형 단말(1001)이 TCP를 이용한 2개의 송신 처리를 병렬로 실행하는 경우는, 휴대형 단말(1001)은, 사이클 간격 Tc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2개의 수신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대응하는 ACK 패킷을 수신한다.
b) 휴대형 단말(1001)이 TCP를 이용한 2개의 수신 처리를 병렬로 실행하는 경우는, 휴대형 단말(1001)은, 사이클 간격 Tc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2개의 송신측 장치에 대해서 ACK 단발 송신 요구에 근거하는 ACK 패킷을 송신하고, 사이클 데이 터 사이즈 Dc분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에 있어서도,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기를 취하면서 간헐 송수신을 행하고, 통신 I/F부(108)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간을 정기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7)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헐 송수신 처리에 수반하는 통신 I/F부(108)로의 전력 공급을 전환할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의 동작도 전환함으로써, 전력 절약 효과를 더 높인다.
도 3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인 휴대형 무선 장치(1102)와 휴대형 단말(1101)을 구비하며, 휴대형 단말(1101)과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무선으로 직접 통신한다.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립해 도모한 통신 장치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탑재한 무선 단말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실시 형태 6의 휴대형 단말(1001)과 마찬가지로 플로우 제어를 갖는 통신을 이용해, 휴대형 단말(1101)과 통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통신 상대가 되는 휴대형 단말(1101)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의 요구에 대해서, 휴대형 무선 장치(1102)가 기억하 고 있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1101)과 휴대형 무선 장치(1102)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상위 프로토콜로 플로우 제어를 갖는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무선 접속의 방식은, Bluetooth(등록상표)나, 무선 LAN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 애드혹 모드 등이어도 되며, 통신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 장치(1102)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와 어플리케이션 요구 취득부(1012)와 파라미터 결정부(1013)와 억제 재개 제어부(1114)와 전원 제어부(106)와 통신 제어부(1117)와 통신 I/F부(108)와 RTT 추정부(1019)와 기억부(1017)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 1 ~ 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실시 형태 6의 억제 재개 제어부(1014) 대신에 억제 재개 제어부(1114)를 구비하고, 통신 제어부(1027) 대신에 통신 제어부(1117)를 구비하며, 신규로 기억부(1017)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017)는,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또, 기억부(1017)는, 하드 디스크와 캐쉬와 모터를 구비하고, 하드 디스크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캐쉬에 보존한다.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플래터로 불리는 디스크 상에 보존되며, 플래터는, 섹터라고 불리는 단위로 분할되어 있다. 데이터를 읽어낼 때에는, 플래터를 모터로 회전시켜 섹터의 정수배 단위로 데이터의 읽어냄를 행한다. 한편, 캐쉬는, 디스크와는 달리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며,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기억부(1017)는, 억제 재개 제어부(101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 모터를 기동하고, 하드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어, 캐쉬에 기억함과 동시에, 캐쉬에 기억된 필요분의 데이터만을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에 넘겨준다.
억제 재개 제어부(1114)는, 간헐 송수신 처리를 개시할 때, 휴대형 무선 장치(1102)가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통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간헐 송수신 처리는, 통신 상대가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기 전에 통신 상대가 되는 휴대형 단말(1101)에 대해,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통지하고, 그 휴대형 단말(1101)에 의한 간헐 송수신 처리를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재개 제어부(1114)는, 통신 제어부(1117)에,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한, 억제 재개 제어부(1114)는, 기억부(1017))에 대해서 데이터 취득 요구를 행하며, 모터 기동의 타이밍과 간헐 송수신 처리의 타이밍을 연동시킨다
통신 제어부(1117)는, 억제 재개 제어부(1114)로부터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취지를 통지받으면, TCP 패킷에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1117)는, 휴대형 단말(1101)과의 통신 개시시의 TCP의 3WAY 핸드쉐이크 때에, TCP 헤더의 옵션필드에 새롭게 간헐 송수신 유효 플래그를 추가한다. 간헐 송수신 유효 플래그가 유효한 TCP 패킷을 수신한 통신 상대인 휴대 형 단말(1101)은, 간헐 송수신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도 3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 장치(1102)와 휴대형 단말(1101)의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 및 준비 상태의 처리는,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억제 재개 제어부(1114)는, 정상 상태에서는, 사이클이 개시되는 시각 T131에, 최초의 데이터 패킷 P1를 송신하고, 또한 그 타이밍에서 기억부(1017)에 대해 데이터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기억부(1017)는, 캐쉬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통신 어플리케이션부(1011)에 넘겨준다. 또, 기억부(1017)는, 캐쉬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하드 디스크의 모터를 기동하여,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정수배의 데이터를 캐쉬에 카피함과 동시에,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데이터를 통신 아플리케이션부(1011)에 넘겨준다. 이것에 의해, 하드 디스크의 모터의 기동 회수를 줄여, 모터 기동시의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이러한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통신 어플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소정의 타이밍만으로, 기억부(1017)의 모터를 기동함으로써, 휴대형 무선 장치(1102)의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기 전에,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으로, 확실히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무선 장치(1102)는, 휴대형의 하드 디스크나, 휴대형의 음악 기록 재생기, 휴대형의 동화상 기록 재생기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서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에 항상 모터를 기동해도 되며, 한 번의 모터의 기동으로, 복수회분의 데이터를 캐쉬에 기억시키고, 모터의 기동 및 정지 회수를 삭감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1017)의 모터와 동기시켜, 간헐 송수신 처리를 행했지만, 셀룰러계의 통신 수단을 갖는 휴대형 단말의 경우, 그 통신의 송수신 타이밍과 동기시켜, 간헐 송수신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헐 송수신의 타이밍에 기억부(1017)에 있어서의 모터의 처리를 동기시켰지만, 다른 처리를 동기시켜도 되고, CPU 가동 시간이 줄어들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장치에 대해, 실시 형태 1 ~ 7을 이용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 도 12, 도 14, 도 22, 도 25, 도 30, 및 도 38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를 각각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의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 ~ 7의 각각의 특징을 조합해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통신 품질과 전력 절약 효과의 한층 더의 향상을 양 립해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등의 거치형의 가전 기기,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기기, 및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5)
-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로서,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와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과,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과,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통신 장치는,송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긍정 응답 패킷을 송신시키고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송신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 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긍정 응답 패킷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 패킷의 송신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통신 장치는,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분의 송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고,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을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며,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시점으로 하며,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긍정 응답 패킷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송신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고,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을 다음 사이클의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여,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의 처리를 상기 사이클 시간마다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통신 장치는,데이터 사이즈인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윈도우 이하의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며,상기 억제 수단은,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정 송신 요구 데이터로 하여, 당해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고,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로서 송신되어야 할,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고,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포함하는 상기 긍정 응답 패킷을 상기 통신 제어 수단에 생성시켜 송신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 복수의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사이즈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각각의 상기 수신 윈도우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의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에, 수신 윈도우로서 0을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통신 장치는,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상기 수신 윈도우로 하고,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을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고,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사이클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을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하며,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고 나서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고,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을 다음 사이클의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 하여, 상기 사이클 개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의 처리를 상기 사이클 시간마다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와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병렬로 행하고,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일정 시간마다 송수신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의 송수신과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이 동기하도록, 상기 일정 시간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결정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고정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정 시간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가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후,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상기 사이클 종료 시점까지,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는, 당해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소실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지 않은 것을 검지하면,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사이즈인 송신 윈도우를 감소시키고,상기 억제 수단은,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해,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윈도우 이하가 되는 것과 같은 윈도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윈도우 제어로서, 후에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신 윈도우를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 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감소된 상기 송신 윈도우를 증가시키고,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송신 윈도우가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아지고 나서 상기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 이상이 될 때까지의 윈도우 회복 기간, 상기 윈도우 제어로서,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억제 수단은,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이즈의 기대값을 계산하여,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된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기대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작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 기 기대값에 가까워지도록, 후에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형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부터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 사이에서 요구되는 통신의 성능에 의거해, 상기 사이클 시간 및 사이클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 및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병렬로 행하고,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고정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다른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과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수신되는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정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의 정지 및 해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 단말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통신 상대측 장치 및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상기 통신 장치는,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와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과,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과,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서,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단계와.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단계와,상기 억제 단계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급전 단계와,상기 억제 단계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비급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통신 수단을 이용해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단계와,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단계와,상기 억제 단계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급전 단계와,상기 억제 단계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비급전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통신 상대측 장치와 통신하는 집적 회로로서,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상기 통신 수단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급전 상태와 상기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비급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과,상기 통신 상대측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과,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급전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억제 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억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대해서, 상기 전력의 상태를 상기 비급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47714 | 2006-09-13 | ||
JPJP-P-2006-247714 | 2006-09-13 | ||
JPJP-P-2006-350904 | 2006-12-27 | ||
JP2006350904 | 2006-12-27 | ||
JP2007082749 | 2007-03-27 | ||
JPJP-P-2007-082749 | 2007-03-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4147A true KR20090074147A (ko) | 2009-07-06 |
Family
ID=3918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2680A Withdrawn KR20090074147A (ko) | 2006-09-13 | 2007-09-12 | 통신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19555A1 (ko) |
EP (1) | EP2063571A1 (ko) |
JP (1) | JPWO2008032750A1 (ko) |
KR (1) | KR20090074147A (ko) |
WO (1) | WO200803275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339B1 (ko) * | 2010-06-23 | 2014-05-23 |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 동적 휴면을 갖는 방법 및 장치 |
KR20150090145A (ko) * | 2012-11-26 | 2015-08-05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머신―투―머신 무선 광역 네트워크에서 순방향 링크 상의 송신들의 기회적 디코딩 |
US9967830B2 (en) | 2015-08-07 | 2018-05-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transmiss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3281A (ja) * | 2007-04-10 | 2008-10-30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通信端末間の省電力制御方法、省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
US9237523B2 (en) * | 2008-07-07 | 2016-01-12 | Mediatek Inc. | Method of establishing sleep mode operation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US8112542B2 (en) * | 2008-08-07 | 2012-02-07 | Broadcom Corporation | Multicast digital video lost packet recovery |
DE102008048468A1 (de) | 2008-09-24 | 2010-04-08 |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 Verfahren, Telefon, Telekommunikationsanlage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Energieverbrauchs eines Telefons |
JP5395185B2 (ja) * | 2008-10-23 | 2014-01-22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10124331A (ja) * | 2008-11-20 | 2010-06-03 | Toshiba Corp |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の映像処理方法 |
US20100128645A1 (en) * | 2008-11-26 | 2010-05-27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wer conservation based on traffic profiles |
KR101497153B1 (ko) * | 2008-12-22 | 2015-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기본서비스세트 부하 관리 절차 |
US8456998B2 (en) * | 2009-03-19 | 2013-06-04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Reducing channel overhead in a wireless coexistence network |
KR101576142B1 (ko) * | 2009-06-12 | 2015-1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
US20120230319A1 (en) * | 2009-11-02 | 2012-09-13 | Nec Corporatio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
CN102656931A (zh) * | 2009-12-18 | 2012-09-05 | 株式会社Ntt都科摩 | 无线基站以及中继装置 |
JP5591829B2 (ja) * | 2009-12-28 | 2014-09-17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
US20110200130A1 (en) * | 2010-02-11 | 2011-08-1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u-mimo system |
US8645732B2 (en) * | 2010-02-19 | 2014-02-04 | Qualcomm, Incorporated | Protocol stack power optim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
WO2011135721A1 (ja) * | 2010-04-30 | 2011-11-03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消費電力管理プログラム |
CN102893577A (zh) * | 2010-06-17 | 2013-01-23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数据发送装置及数据发送方法 |
US8693355B2 (en) * | 2010-06-21 | 2014-04-08 | Motorola Solutions, Inc. |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power saving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CA2806549C (en) | 2010-07-26 | 2014-10-28 | Seven Networks, Inc. | Context aware traffic management for resource con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
WO2013015835A1 (en) | 2011-07-22 | 2013-01-31 | Seven Networks, Inc. |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
GB2497012B (en) * | 2010-07-26 | 2013-10-30 | Seven Networks Inc |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
TWI477167B (zh) * | 2010-08-05 | 2015-03-11 | Htc Corp | 處理信令擁塞之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
US8364812B2 (en) * | 2010-08-27 | 2013-01-29 | Sandvine Incorporated Ulc |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ata flow management |
JP5808178B2 (ja) * | 2010-10-01 | 2015-11-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8942102B2 (en) * | 2010-11-05 | 2015-01-27 | Qualcomm Incorporated | Segmented data transfer with resume capability |
JP2012209888A (ja) * | 2011-03-30 | 2012-10-25 | Panasonic Corp | 無線通信装置及び半導体装置 |
US9258720B2 (en) * | 2011-08-03 | 2016-02-09 | Draeger Medical Systems, Inc. | Throughput-based active mode trigger |
US9319330B2 (en) * | 2011-09-23 | 2016-04-19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packet losses in a network connection |
US9444604B2 (en) | 2012-02-21 | 2016-09-13 | Nec Corporatio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receiving terminal |
JP5603364B2 (ja) * | 2012-03-15 | 2014-10-08 | 株式会社Nttドコモ |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基地局、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
WO2013145138A1 (ja) | 2012-03-27 | 2013-10-03 | 富士通株式会社 |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JP5993599B2 (ja) * | 2012-04-05 | 2016-09-14 | 株式会社Nttドコモ |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基地局、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
GB2504088A (en) * | 2012-07-16 | 2014-01-22 | Renesas Mobile Corp | A data request message sent from a wireless device to a second device comprises low-power tim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device |
JP5768017B2 (ja) | 2012-07-25 | 2015-08-26 | 株式会社東芝 |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
US9131428B2 (en) | 2012-10-31 | 2015-09-08 | Broadcom Corporation | Probe request for relay discovery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
US9154430B2 (en) | 2012-10-31 | 2015-10-06 | Broadcom Corporation | Buffer relay management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
US9986063B2 (en) * | 2012-11-28 | 2018-05-29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Receiving terminal and receiving method |
US9119157B2 (en) * | 2012-11-30 | 2015-08-25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saving modes in wireless devices |
US9432458B2 (en) * | 2013-01-09 | 2016-08-30 | Dell Products, Lp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rver media throughput in mismatched networks |
WO2014197521A1 (en) | 2013-06-03 | 2014-12-11 | Seven Networks, Inc. | Blocking/unblocking algorithms for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
US10264510B2 (en) * | 2013-11-06 | 2019-04-16 | Kt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
US9585095B2 (en) * | 2013-11-11 | 2017-02-2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ed power save protocol |
JP6244836B2 (ja) * | 2013-11-12 | 2017-12-13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装置及びパケット制御方法 |
US10039148B2 (en) | 2014-12-12 | 2018-07-31 | Apple Inc. | Application-aware multiple wireless radio-access technology coexistence solution and time sharing between multiple radio-access technologies for in-device coexistence |
US9955424B2 (en) | 2014-12-22 | 2018-04-2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power save protocol |
JP6455135B2 (ja) * | 2014-12-24 | 2019-01-23 | 富士通株式会社 | パケット抽出装置、パケット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パケット抽出方法 |
JP2015181253A (ja) * | 2015-05-08 | 2015-10-15 | 株式会社東芝 |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
US10581746B2 (en) | 2015-05-29 | 2020-03-03 | Netduma Software, LTD. | Selecting a connection in a network |
US12109489B2 (en) | 2015-05-29 | 2024-10-08 | Netduma Software Ltd | Selecting a connection in a network |
US11278798B2 (en) | 2015-05-29 | 2022-03-22 | Netduma Software, LTD. | Selecting a connection in a network |
JP6209182B2 (ja) * | 2015-06-30 | 2017-10-04 |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 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US10986030B2 (en) | 2016-08-23 | 2021-04-20 | Netduma Software, LTD. | Congestion control |
US11570117B2 (en) * | 2016-08-23 | 2023-01-31 | Netduma Software, LTD. | Congestion control |
US10715442B2 (en) * | 2016-08-23 | 2020-07-14 | Netduma Software, LTD. | Congestion control |
JP6880719B2 (ja) * | 2016-12-27 | 2021-06-02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方法、電子時計及びプログラム |
CN109510690B (zh) | 2017-09-14 | 2020-07-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传输报文的方法、网络组件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304638D0 (en) * | 1993-03-06 | 1993-04-21 | Ncr Int Inc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
FI96466C (fi) * | 1994-06-10 | 1996-06-25 | Nokia Mobile Phones Ltd | Menetelmä elektronisen laitteen tehonkulutuksen pienentämiseksi ja menetelmän mukainen laite |
US5806006A (en) * | 1994-12-02 | 1998-09-08 | Eon Corporation | Method of controlling power output by a primary power source so as to conserve power in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
US5644568A (en) * | 1995-03-15 | 1997-07-01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recovering information communicate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
US5806007A (en) * | 1995-10-18 | 1998-09-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Activity control for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5881102A (en) * | 1996-02-07 | 1999-03-09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modem power while maximizing modem throughput |
JP3433019B2 (ja) * | 1996-09-12 | 2003-08-04 | 株式会社東芝 | 移動通信機とそのバッテリセービング方法 |
US6285892B1 (en) * | 1998-11-24 | 2001-09-04 |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reducing terminal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network |
US7051218B1 (en) * | 2001-07-18 | 2006-05-23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Message based power management |
US7260106B2 (en) * | 2002-01-24 | 2007-08-21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usage of processors while executing protocol state machines |
JP2004187002A (ja) | 2002-12-03 | 2004-07-02 | Sony Corp | 無線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JP4251010B2 (ja) * | 2003-05-08 | 2009-04-08 | ソニー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 |
US7274907B1 (en) * | 2003-12-19 | 2007-09-25 | Unites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Wireless instrumentation system and power management scheme therefore |
EP1548972A3 (en) * | 2003-12-26 | 2006-12-27 | NTT DoCoMo, Inc. | Transmitter device and relay device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control |
JP4005974B2 (ja) * | 2004-01-09 | 2007-11-14 | 株式会社東芝 |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
JP4639603B2 (ja) * | 2004-02-24 | 2011-02-2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無線伝送装置および無線伝送装置の省電力駆動方法 |
US7474886B2 (en) * | 2004-05-13 | 2009-01-06 | Ixi Mobile (R&D), Ltd.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raceful shutdown system and method |
JP2005328439A (ja) * | 2004-05-17 | 2005-11-24 | Toshiba Corp | 情報通信システムの消費電力制御方法、その方法を用いた通信処理装置、および通信処理装置の消費電力制御プログラム |
US7840681B2 (en) * | 2004-07-30 | 2010-11-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wearable devices within a SIP infrastructure |
KR100628115B1 (ko) * | 2004-08-05 | 2006-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절전 방법 |
JP4624062B2 (ja) * | 2004-10-12 | 2011-02-02 |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 |
GB0519945D0 (en) * | 2005-09-30 | 2005-11-09 | Cambridge Silicon Radio Ltd | Communication in dual protocol environments |
-
2007
- 2007-09-12 KR KR1020097002680A patent/KR200900741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07-09-12 US US12/439,758 patent/US201100195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9-12 JP JP2008534369A patent/JPWO2008032750A1/ja not_active Ceased
- 2007-09-12 EP EP07807169A patent/EP206357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9-12 WO PCT/JP2007/067762 patent/WO200803275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339B1 (ko) * | 2010-06-23 | 2014-05-23 |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 동적 휴면을 갖는 방법 및 장치 |
KR20150090145A (ko) * | 2012-11-26 | 2015-08-05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머신―투―머신 무선 광역 네트워크에서 순방향 링크 상의 송신들의 기회적 디코딩 |
US9967830B2 (en) | 2015-08-07 | 2018-05-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transmiss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32750A1 (fr) | 2008-03-20 |
JPWO2008032750A1 (ja) | 2010-01-28 |
US20110019555A1 (en) | 2011-01-27 |
EP2063571A1 (en) | 2009-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74147A (ko) | 통신 장치 | |
TWI477166B (zh) | 於通信網路中用於節制協定引發後移之裝置與方法 | |
KR101712302B1 (ko) | 접속 모드 불연속 수신의 소비전력 감소 | |
JP3644503B2 (ja) | 無線端末およびそのエンド間遅延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 |
US9363755B2 (en) | Power saving modes in wireless devices | |
EP2079181B1 (en) | Method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s device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US10129886B2 (en) | Control method of frequency band switch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US9167473B2 (en) |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gateway device | |
KR20090028620A (ko) | 패킷 그룹핑을 통한 전력 절약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3166953A1 (zh) | 一种不连续接收的动态配置方法、终端和基站 | |
CN101483884A (zh) | 改善非连续接收功能的方法及其相关通讯装置 | |
WO2015050742A1 (en) | Power saving with adaptive inactivity time out | |
CA2585099A1 (en) | Power-efficient data rece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packet variable delay | |
WO2022222892A1 (zh) | 一种非连续接收的配置方法及装置 | |
CN105392214B (zh) | 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传输控制协议连接的装置和方法 | |
WO2012046402A1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 |
CN101507188A (zh) | 通信装置 | |
US20200107222A1 (en) | WiFi TCP Performance in Multi-Radio Coexistence Cases | |
US9596655B2 (en) | Radio resource control technique | |
Aqil et al. | Streaming lower quality video over LTE: How much energy can you save? | |
JP2009088914A (ja) | 省電力制御方法、無線移動局及びプログラム | |
TW202329751A (zh) | 行動通訊中增強型不連續接收配置方法 | |
Li et al. | Application-centric wi-fi energy management on smart phone | |
US1018236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applications | |
KR102371217B1 (ko) | 무선 통신시스템의 전송제어프로토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2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