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754A - 네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6754A KR20090016754A KR1020090003880A KR20090003880A KR20090016754A KR 20090016754 A KR20090016754 A KR 20090016754A KR 1020090003880 A KR1020090003880 A KR 1020090003880A KR 20090003880 A KR20090003880 A KR 20090003880A KR 20090016754 A KR20090016754 A KR 200900167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vigation
- path
- road
- route
- se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소정의 조건을 이용한 경로 탐색에 기초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주행에서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대응되는 조건 명칭과 함께 네비게이션 경로 및/또는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대응되는 조건 명칭을 갖는 소정의 조건은 경로 탐색의 결과로서 복수의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을 생성한다.
네비게이션 시스템, 경로 탐색, 표시 장치, 주행 거리, 지도, 도로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을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이용되는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이용자/운전자에게 길 안내를 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주행 목적지를 향하여 네비게이션 경로를 결정한다. 그리고,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소정의 일련의 희망 조건 등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네비게이션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여 연산되는 경로는 차량의 길 안내를 위하여 이용자/운전자에게 표시되거나 제공된다.
전술된 네비게이션 스킴을 갖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5개 또는 6개의 후보 경로를 연산하며, 경로들은 각각 "추천 경로", "지방 도로만 이용(Local road only)", "고속 도로(유료 도로) 포함", "최단 거리", "대안 경로" 등을 나타낸다. 또한, 이 후보 경로들은 전술된 명칭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상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장치 상에 매핑된다(mapped).
이용자의 희망이 각자 상이하고 조건 설정이 조악하기(coarseness) 때문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희망 조건이 항상 이용자의 희망에 가장 적합한 경로를 찾아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고정된 조건과 이용자에 따른 구체적 조건을 조합한 조건 설정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며, 예를 들어, 이는 일본특허출원 JP-A-2004-125448에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시간 인식(즉, 주행 시간 단축 고려/비고려) 및 신호 인식(즉, 교통 신호 개수 고려/비고려)의 구체적인 이용자 변수와 함께, "추천 경로", "지방 도로만 이용", "유료 도로 포함", "최단 거리" 및 "대안 경로"의 5개의 고정 조건을 이용한다. 즉, 경로 탐색을 위한 5개의 고정 조건 각각은 특수성(specificity)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4개의 선택 조건 중 하나와 조합된다.
특수성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항상 5개 경로를 표시한다. 즉, 각각의 탐색된 경로는 전술된 구체적인 명칭 중 하나와 항상 대응한다. 즉, 구체적으로 이름이 붙여진 조건들 각각은 네비게이션을 위한 탐색 결과 중 하나의 네비게이션 경로 검색 결과만을 갖는다.
그러나, 차량의 이용자/운전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장치 상에 실제로 매핑되는 복수의 후보 경로들의 비교 후에, 네비게이션 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신호를 고려하는 "지방 도로만 이용"의 후보 경로가 신호를 고려하지 않는 후보 경로보다 "매력적"이거나 바람직하게 보일 수 있으며, 여기서, 신호 인식을 선택하지 않는 후보 경로는, 전술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신호 인식 경로와 동시에 탐색되거나 표시될 수 없다. 또한,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 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일련의 조건들은 탐색된 경로들을 실제로 매핑하고 비교한 후에만 인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경로 탐색은 조건 설정 시도와 탐색 결과 비교의 반복 프로세스가 된다. 그리고, 탐색 조건은 반드시 포함하여야하는 고속 도로 부분 등을 갖는 일종의 특수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특수성은 전술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조건 설정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없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용자/운전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준비되는 조건 설정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네비게이션 경로를 찾아낼 수 없을 수도 있다.
전술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경로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인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소정의 조건을 이용한 경로 탐색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 사이의 주행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대응되는 조건 명칭과 함께 네비게이션 경로 및/또는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대응되는 조건 명칭을 갖는 소정의 조건은 경로 탐색 결과로서 복수의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을 생성한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조건 명칭을 이용하여 지정되는 하나의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 이용자에게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복수의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을 탐색하기 위한 복수 경로 탐색 장치, 및 고정 탐색 조건을 이용한 경로 탐색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경로/후보 경로를 제공하도록 네비게이션 경로 및/또는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경로 탐색의 하나의 고정 조건을 이용하여 복수의 경로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복수의 고정 탐색 조건들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복수 경로 탐색 장치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고정 탐색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을 찾아낸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 선호도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한 경로를 찾아내기 위한 증가된 수의 고정 탐색 조건들을 기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가 경로 탐색을 위하여 일부 조건을 설정하도록 허용하는 경로 탐색을 제공한다. 즉,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조건들에 기초하여, 2개의 부분적 탐색 결과를 각각 이용함으로써 탐색된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경로는 적어도 2개의 부분적 탐색 결과로부터 만들어지며, 그에 따라, 보다 구체적이고 이용자의 선호도에도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경로 특징에 가중치를 주기 위한 가중 계수를 이용한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경로 특징에 따라 가중 계수를 가변시킴으로써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찾아낸다. 또한,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은 이용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유일성의 관점에서 구분된다. 이 방식으로, 중복된 표시 및/또는 2개의 동일한 후보 경로들의 제공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에게 유료 도로의 입구/출구 선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는 주행 전에 주행 비용을 추정하고 또한/또는 계산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에게 보다 바람직한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로 명칭, 즉, 주요 도로 명칭을 이용한다. 도로 명칭 또는 주요 도로 명칭은, 경로 탐색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의 적어도 일부로서 도로 또는 주요 도로를 포함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도로 또는 주요 도로의 선택 범위는 표시 장치 상의 지도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주요 도로 또는 지정된 도로는,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의 탐색 조건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가변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경로 탐색에서, 주행 거리가 고려될 수도 있다. 주행 거리는 도로/주요 도로의 선택 범위를 한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주행 거리 등의 순으로 탐색 결과를 분류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경로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인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갖는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위치 검출기(1),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 조작 스위치(7), 외부 메모리(9), 표시(10), 송수신기(11) 음성 컨트롤러(12), 스피커(13), 음성 인식기(14), 마이크(15), 리모컨(remote controller) 센서(16), 리모컨(17), 좌석 센서(18) 및 제어 장치(8)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8)는 제어 장치(8)에 접속된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8)는 CPU, ROM, RAM, I/O 및 이 구성요소들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 라인을 포함하는 잘 알려진 통상의 컴퓨터이다. ROM은 제어 장치(8)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되는 CPU는 소정의 연산 및 다른 절차를 처리한다.
위치 검출기(1)는 지자기(geomagnetism) 센서(2), 자이로스코프(3), 거리 센서(4)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5)와 같은 복수의 잘 알려진 통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지자기 센서(2)는 차량의 절대 방향을 검출하는데 이용되고, 자이로스코프(3)는 차량의 상대 방위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거리 센서(4)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검출하는데 이용되고, GPS 수신기(5)는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이 센서들 및/또는 수신기들은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함으로써, 고유 오차의 각각 상이한 특징들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이 센서들 및/또는 수신기들은 출력의 정밀도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부가적으로, 스티어링 회전 센서, 속도 센서 등(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이용될 수도 있다.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는 도로 데이터, 배경 데이터, 문자 데이터, 시설 데이터 등과 같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이 데이터들은 DVD-ROM, CD-ROM과 같은 기억 매체에 의하여 제공된다.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는 장치(6)에 접속된 DVD-ROM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등(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부터 이 데이터들을 검색하고, 그것들을 제어 장치(8)에 입력한다.
기억 매체의 지도 데이터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로서 링크 및 노드를 포함한다. 링크 및 노드는 각각, 2개의 점(노드)를 갖는 기하학적 요소(링크)로 정의되며, 상기 2개의 점은 상기 요소의 양쪽 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노드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차점, 분기점 등에 대응하고, 링크는 일반적으로 2개의 교차점 등의 사이의 도로의 일부에 대응한다. 즉, 실제의 도로가, 기하학적으로 링크와 노드의 조합으로서 나타난다. 각각의 도로의 링크 데이터는 링크 ID, 출발 노드 ID, 도착 노드 ID, 명칭 특징, 도로 번호, 비용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도로 특징(예를 들어, 주간(州間) 고속 도로, 국도, 지방 도로 등) 및 도로 유형을 포함한다. 도로 특징은 도로 일부의 거리, 도로 일부의 주행 시간, 무료 도로와의 요금 구별, 주행의 수월성, 도로폭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로 특징은 비용, 즉, 길이 비용, 주행 시간 비용 등을 갖는다. 도로 유형은 고속 도로(무료 도로 또는 유료 도로), 그 이외의 유로 도로, 국도, 지방 도로 등 중 하나로 정의된다. 또한, 도로 유형은, 예를 들어, 고속 도로에서 복수의 종류를 정의할 수도 있다. 고속 도로의 정의는 주요 고속 도로, 보통 고속 도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7)는, 터치 스위치, 기계적 스위치 등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표시(10) 상의 도로 지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명령을 입력하 는데 이용된다. 즉, 도로 지도 제어 명령은 도로 축척 변경 명령, 메뉴 선택 명령, 목적지 설정 명령, 네비게이션 개시 명령, 현재 위치 수정 명령, 화면 변경 명령, 음량 제어 명령 등을 포함한다.
또한, 리모컨(17)은, 조작 스위치(7)로부터의 명령과 동일한 종류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갖는다. 그리고, 리모컨(17)은 명령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 신호는 리모컨 센서(16)를 통하여 제어 장치(8)에 제공된다.
외부 메모리(9)는, 이용자 자택 위치 등의 이용자 정보 뿐만 아니라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성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읽기/쓰기 능력을 갖는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메모리(9)에는 출발지와 목적지(도착지) 사이의 주행을 위한 경로 탐색에 이용하기 위한 5개의 고정 탐색 조건들이 기억되어 있다.
고정 탐색 조건은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로부터 검색되는 링크 데이터에서 도로 특징에 가중치를 주기 위한 일련의 복수 개의 가중 계수이다. 예를 들어, 도로 길이, 주행 시간, 유료/무료 구별, 주행 수월성 및 도로폭의 5개의 도로 특징은 각각 가중 계수 α1(길이 계수), α2(주행 시간 계수), α3(유료/무료 계수), α4(주행 수월성 계수), α5(도로폭 계수)에 의하여 가중될 수 있다. 즉, 탐색 조건은 이 5개의 계수를 이용하여 규정되고 고정된다. 외부 메모리(9)에는 5종류의 고정 조건, 즉, 적어도 하나의 각각 상이한 계수를 갖는 서로 상이한 5세트의 고정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5개의 고정 조건은, 예를 들어, "추천 경로", "지방 도로", "유료 도로", "최단 거리" 및 "대안 경로"의 설명적 명칭을 갖는다. 예를 들어, 5세트의 고정 조건은, 외부 메모리(9) 대신, 제어 장치(8)의 ROM(도시되어 있지 않음)이나 불휘발성 및 소거불능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도 있다. 고정 조건은 5개가 아닐 수도 있다. 즉, 고정 조건은 1개가 될 수도 있고, 또는 5개 이외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10)는, 액정 표시, 유기 EL 표시 등이 되고,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도로 지도 상에, 표시(10)의 지도 표시 영역에 있어서, 현재 위치에서의 차량의 위치 마크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10)는, 차량 위치 및 도로 지도 외에도, 현재 시각, 교통 정체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를 부가적으로 표시한다.
송수신기(11)는 외부 정보원(external information sources)과의 통신을 제어 장치(8)에 제공하기 위한 통신 기기이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교통 정보, 기상 정보, 날짜 정보, 시설 정보 및 광고 정보가 외부 정보원으로부터 수신된다. 정보는 제어 장치(8)에서 처리된 후, 송수신기(11)로부터 출력된다.
스피커(13)는 음성 컨트롤러(12)로부터의 음성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안내 음성, 화면 조작 안내 음성, 음성 인식 결과 등과 같은 소정의 음성 시퀸스를 출력하는데 이용된다.
마이크(15)는 이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이 신호는 음성 인식기(14)에 입력된다. 음성 인식기(14)는, 내부 인식 사전(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어휘 데이터와의 패턴 비교에 의하여 입력된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기억된 어휘 데이터와 이용자의 음성의 유사점에 기초하여, 인식 결과를 음성 컨트롤러(12)로 출력한다.
음성 컨트롤러(12)는, 음성 인식기(14)를 제어하고, 다시 스피커(13)를 통한 토크백에 의하여 이용자에게 응답을 준다. 또한, 음성 컨트롤러(12)는 제어 장치(18)로의 음성 인식기(14) 인식 결과 입력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8)는 음성 인식기(14)의 인식 결과에 기초한 이용자의 음성에 응답하거나, 또는 조작 스위치(7)나 리모컨(17)으로부터의 이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프로세스는, 외부 메모리(9)에 지도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지도 데이터 기억 프로세스, 지도 축척 변경 프로세스, 메뉴 선택 프로세스, 목적지 설정 프로세스, 경로 탐색 실행 프로세스, 경로 네비게이션 개시 프로세스, 현재 위치 수정 프로세스, 표시 화면 변경 프로세스, 음량 제어 프로세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8)에서 처리된 경로 네비게이션 안내 정보 등은 음성 컨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적절한 방식으로 스피커(13)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도2는 도1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8)의 기능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8)는 출발지 설정 장치(20), 목적지 설정 장치(22),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 및 경로 특징 표시 장치(28)를 포함한다.
출발지 설정 장치(20)는, 이용자의 위치 입력을 주행의 출발지로서 수신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출발지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위치 검출기(1)에 의하여 검출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목적지 설정 장치(22)는 소정의 목적지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주행의 목적지 설정을 의뢰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피커(13)로부터의 목적지 설정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용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조작 스위치(7) 또는 리모컨(17)을 이용하거나, 또는 음성에 의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마이크(15)를 이용한다.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는, 외부 메모리(9)에 기억되어 있는 고정 조건들에 기초하여, 출발지 설정 장치(20)와 목적지 설정 장치(22)에 의하여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탐색한다.
먼저, 단 하나의 경로 탐색 결과만을 생성하는 4개의 고정 조건들(5개의 조건들 중 "유료 도로" 제외) 중 하나를 이용한 경로 탐색이 설명된다. 경로 탐색은, 각각의 링크가 계수 α에 의하여 가중되는 도로 특징 비용의 합계에 기초하여, 다익스트라법(Dijkstra method) 등과 같은 레벨링법(labeling method)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3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참조하여, 고정 조건 "유료 도로"를 이용한 경로 탐색이 설명된다.
단계(S10)에서, 프로세스는 제어 장치(8)의 RAM 등에서 제1 네비게이션 경로를 탐색하고 기억하기 위하여 고정 조건 "유료 도로"를 이용한다. 탐색된 네비게이션 경로를 기억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20)로 진행한다.
단계(S2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10)에서 찾아낸 제1 네비게이션 경로에 포함되는 각각의 링크의 비용을 소정의 양만큼 증가시킨다. 단계(S20)가 단계(S40)의 네비게이션 이후에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직전에 진행된 프로세스에서 찾아낸 네비게이션 경로에 포함되는 각각의 링크 비용을 증가시킨다. 비용을 증가시킨 후, 프로세스는 단계(S30)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이한 도로 특징과 연관된 복수의 비용은 균일하게 증가될 수도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0이 아닌 계수를 갖는 도로 특징만이 증가될 수도 있다. 또한, 계수값으로 인하여, 총 비용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도로 특징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단계(S30)에서, 고정 조건 "유로 도로"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는 경로 탐색을 위한 단계(S10)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다. 이 경우, 제1 네비게이션 경로가 증가된 비용값을 가짐에 따라, 동일한 고정 조건이 단계(S10)의 경로 탐색과 상이한 네비게이션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40)로 진행한다.
단계(S40)에서, 프로세스는 소정의 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이 탐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로들의 소정의 수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이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도 있다. 탐색된 경로들의 수가 소정의 값이 되지 않으면(단계(S40):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S20)로 리턴된다. 반면, 탐색된 경로의 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하면(단계(S40): 예),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도2를 참조한 설명은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에 대하여 다시 시작된다.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는, 검색된 경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로 탐색의 결과 내에, 2개 이상의 동일한 경로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는 복수 경로 탐 색 장치(24)가 찾아낸 2개 이상의 동일한 경로들 중 하나만을 표시(10) 상에 표시한다. 즉,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는 2개 이상의 동일한 경로를 한 번만 표시한다. 경로 선택 표시 장치(26)는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가 찾아낸 상이한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모두 각각 표시한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가 선택된 경로가 1개 이상의 다른 경로들과 동일할 수도 있다는 걱정 없이, 표시(10) 상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10) 상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경로의 선택에서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4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10) 상에 탐색된 경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고정 조건 "유로 도로"는 3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생성하고, 3개의 경로들 중 1개는 고정 조건 "추천 경로"에 의하여 탐색된 경로와 동일하다.
도4에서, S는 출발지를 나타내고, G는 목적지를 나타내며, 6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30a, 32a, 34a, 36a, 38a, 40a)은 화면에서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6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30a, 32a, 34a, 36a, 38a, 40a) 각각은 설명 레벨을 갖는 대응 버튼에 의해서도 표시된다. 6개의 경로들에 대한 버튼은 부호(30b, 32b, 34b, 36b, 38b, 40b)를 갖는다. 이용자는 6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 버튼들을 이용한다. 또한, 6개의 버튼은 네비게이션 경로들(30a, 32a, 34a, 36a, 38a, 40a)과 동일한 색상 및 고정 조건 "추천 경로" 등과 같은 명칭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6개의 경로들 각각은 경로 색상 및 각각의 탐색 결과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고정 조건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의 일례에서, 2개의 레벨을 갖는 버튼은 동일한 네비게이션 경로(30a)가 2개의 상 이한 고정 조건인 "추천 경로"와 "유료 도로"에 의하여 생성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2의 경로 특징 표시 장치(28)는,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로부터의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에 의해 탐색된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 각각의 경로 특징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의 경로 특징은 표시(10) 상에 표시된다.
도4에서, 대표적 도로 명칭(30c, 32c, 34c, 36c, 38c, 40c)이 경로 특징으로서 화면 상에 표시된다. 경로 특징 표시 장치(28)는,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로부터,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에 의해 탐색된 네비게이션 경로들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의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링크는 링크에 대응되는 도로 명칭 및 도로 번호(도로 ID)를 가지며, 그에 따라, 네비게이션 경로들에서의 각각의 링크에 있어서 도로 명칭 및 도로 번호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네비게이션 경로의 대표적 도로 명칭은, 도로 명칭 및 도로 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네비게이션 경로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도로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결정된 각각의 네비게이션 경로에 대한 대표적 도로 명칭이 표시(10) 상에 표시된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는, 네비게이션 경로들의 간단한 표시를 비교하여, 보다 빠르고 보다 쉽게 각각의 네비게이션 경로의 도로 특징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화면 상의 표시에 기초하여, 원하는 네비게이션 경로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망 네비게이션 경로의 선택은 버튼(30b 내지 40b) 및 화면 상의 설명적 명칭(30c 내지 40c)에 대응되는 네비게이션 경로들(30a 내지 40a)에 의하여 순조롭게 진행되며, 이는 항목들 사이의 비교가 쉽고 경로 특징의 참조가 쉽기 때문이다. 이용자는 버튼(30b, 32b, 34b, 36b, 38b, 40b)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네비게이션 경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5개의 고정 조건들 "추천 경로", "지방 도로", "유료 도로", "최단 거리" 및 "대안 경로"를 가지며, 이들은 경로 탐색에 이용하기 위하여 기억되어 있다. 이 고정 조건들 중 하나인 "유료 도로"는 경로 탐색 결과로서 3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생성한다. 3개의 경로들을 갖는 탐색 결과는 설명적 레벨 "유로 도로"와 함께 표시(10) 상에 표시된다. 즉, 이 방식으로, 탐색된 경로들의 수가 경로 탐색을 위해 기억되어 있는 고정 조건의 수를 초과한다. 또한, 고정 조건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경로 탐색 결과로서 증가된 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갖는 이점이 있다. 경로 탐색에서 증가된 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는 보다 바람직한 네비게이션 경로를 찾아낼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갖는다.
제2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제1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일련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8)는 도2에 도시된 동일한 장치(20, 22, 24, 26, 28)를 갖는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은, 고정 조건, 예를 들어, "유료 도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들이 탐색되는 방식에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대신 도5의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5는 도3의 흐름도에 도시된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00)에서, 프로세스는 모든 유로 도로의 이용가능 여부를 각각 판단한다. 즉, 출발지와 목적지의 이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로부터 잘린 영역에, 현재 주행에 이용가능한 어떠한 유로 도로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조사된다. 그 영역에서, 현재 주행에 이용가능한 유로 도로가 발견되면, 프로세스는 단계(S120)로 진행한다. 그 영역에서, 유로 도로가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S110)로 진행하고, 현재 주행에 이용가능한 유로 도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110) 후에,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S120)에서, 프로세스는 이용가능한 유료 도로 조합을 결정한다. 이용가능한 유료 도로 조합은, New York와 New Jersey 사이의 2개의 유료 도로 중 하나가 New Jersey 교외의 복수의 유로 도로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상황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조합을 결정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130)로 진행한다.
단계(S130)에서, 프로세스는 선택된 유료 도로 조합에 대하여 복수의 입구 후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출발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도시간(inter- city) 유료 도로로의 입구 램프가 입구 후보로서 선택될 수 있다. 교외의 유로 도로가 입구측 부근에 있으면, 입구 후보는 교외의 유로 도로 입구가 될 수도 있다. 입구 후보의 수는 선택의 용이함을 위하여 소정의 수 내로 한정될 수도 있고, 또는 이용자가 임의로 입구 후보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입구 후보를 결정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140)로 진행한다.
단계(S14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120)에서 결정된 유로 도로 조합에 기초하여 출구 후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교외의 유로 도로로부터의 출구 램프가 출구 후보로서 선택될 수 있다. 도시간 유로 도로가 출구측 부근에 있으면, 출구 후보는 도시간 유로 도로의 출구가 될 수도 있다. 출구 후보의 수는 선택의 용이함을 위하여 소정의 수 내로 한정될 수도 있고, 또는 이용자가 임의로 출구 후보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출구 후보를 결정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150)로 진행한다.
단계(S15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130)와 단계(S140)에서 결정된 입구 후보와 출구 후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유로 도로 부분에 대한 복수의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후보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의 유료 도로 부분에 대한 총 요금이 낮은 경로부터 선택하여, 후보의 수를 소정의 수 이하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입구 후보, 출구 후보 및 유료 도로 부분에 대한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는 외부 메모리(9) 등에 기억된 소정의 일련의 관련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유로 도로 부분의 후보의 결정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160)로 진행한다.
단계(S160)에서, 프로세스는 출발지로부터 복수의 입구 후보까지의 경로들을 탐색한다. 여기서, 경로 탐색은 다익스트라법 등과 같은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고정 탐색 조건 "추천 경로" 또는 "최단 거리"를 이용하여, 입구 후보가 목적지로서 설정된다. 출발지와 입구 후보 사이 부분의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170)로 진행한다.
단계(S17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16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출구 후보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출구 후보와 목적지 사이 부분의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180)로 진행한다.
단계(S180)에서, 프로세스는 후보 경로들의 3개 부분, 즉, 유로 도로 부분, 출발지로부터 입구까지의 부분 및 출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부분을 조합함으로써 전체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결정한다. 이 방식으로, 일련의 전체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가 복수 개 준비된다. 후보 경로들의 유일성이 다른 고정 조건들에 기초한 후보 경로들과 비교 검토되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복된 후보들이 삭제된 후, 표시(10) 상에, 나머지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이 표시된다. 단계(S180) 후에,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제2 실시예의 경로 탐색 프로세스는 네비세이션 경로의 유로 도로 부분으로의 상이한 입구/출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결정하며, 그에 따라, 이용자를 만족시키는 네비게이션 경로 선택의 수를 증가시킨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6의 흐름도에서 프로세스의 일부는 도5에 도시된 프로세스의 일부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이용된다. 즉, 도5의 단계(S130 내지 S150)가 도6의 단계(S125)로 교체될 수 있다. 나머지 프로세스인 단계(S100 내지 S120) 및 단계(S160 내지 S180)는 도5와 동일하다.
단계(S125)에서, 프로세스는 소정의 요금표에 기초하여 단계(S120)에서 결정된 각각의 유로 도로 조합의 총 요금을 결정한다. 즉, 각각의 유료 도로 조합의 총 요금이 계산되고, 예를 들어, 카테고리에 따라 증가하는 순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총 요금이 이용자 예산의 계산을 위하여 복수의 위치로 분할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테고리 1은 $10과 $20 사이, 카테고리 2는 $20와 $30 사이, 카테고리 3은 $30와 $40 사이 등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카테고리의 범위는 일정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총 요금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 후, 입구/출구 후보의 결정을 위하여, 각각의 카테고리로부터 유료 도로 조합이 선택된다. 이 경우, 총 요금의 카테고리 때문에, 입구와 출구는 한 쌍으로서 결정되고, 복수의 유로 도로 조합이 각각의 카테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입구/출구 쌍은 보다 폭넓은 선택을 위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서 소정의 수 내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총 요금이 증가/감소하는 순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총 요금은 부가적인 카테고리를 위하여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부터의 거리와 연관될 수도 있다.
복수의 일련의 유로 도로 조합으로서 입구 및 출구 후보를 결정한 후, 전체 네비게이션 경로가 탐색된다. 즉, 출발지로부터 입구까지의 부분 및 출구로부터 목 적지까지의 부분이,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로 도로 부분과 조합되도록 탐색된다.
그리고 나서, 중복 검사 후에,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들이 총 요금과 함께 표시(10) 상에 표시된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는 알맞은 주행 비용의 관점에서 주행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계획하고 결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제4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4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도 제3 실시예와 같이 도1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8)는 도2에 도시된 동일한 장치(20, 22, 24, 26, 28)를 갖는다.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의 차이점은 복수 경로 탐색 장치(2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에서 존재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00)에서, 프로세스는 각각의 조건에 대하여 하나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찾아내기 위하여, 외부 메모리(9)에 기억되어 있는 5개 유형의 고정 조건들, 즉, "추천 경로", "지방 도로", "유료 도로", "최단 거리" 및 "대안 경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탐색된 경로들은 메모리(9)에 기억된다.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210)로 진행한다.
단계(S210)에서, 프로세스는 출발지과 목적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한다. 분할 구간의 수 는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분할 구간의 수는 고정 조건의 수(여기서는 5개)보다 많아질 수도 있다. 구간 분할을 결정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220)로 진행한다.
단계(S220)에서, 프로세스는 중계 지점을 결정한다. 이 중계 지점은, 단계(S210)에서 결정된 구간의 경계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네비게이션 경로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된다. 중계 지점은 단계(S200)에서 탐색된 네비게이션 경로들로부터 하나의 소정의 선택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중계 지점을 결정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230)로 진행한다.
단계(S230)에서, 프로세스는 고정 조건을 이용하여 단계(S210)에서 결정된 각각의 구간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탐색한다. 이 구간에서, 프로세스는 경로 출발지 또는 경로 목적지로서 중계점을 이용한다. 여기서, 몇몇 구간에서의 경로 탐색은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찾아내기 위하여 고정 조건을 이용하고, 다른 구간에서의 경로 탐색은 하나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른 고정 조건을 이용한다. 각각의 구간에서의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240)로 진행한다.
단계(S240)에서, 프로세스는 전체 네비게이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간에서 찾아낸 탐색 경로를 조합한다. 단계(S240) 후에,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여기서, 단계(S210 내지 S240)가 간단한 일례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예를 들면, 단계(S210)에서, 지도 데이터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2개의 구간으로 분할되고, 단계(S220)에서, 중계 지점은 단계(S200) 에서 결정된 조건 "지방 도로"를 이용하여 탐색된 네비게이션 경로와 구간 경계의 교차점으로서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단계(S230)에서, 프로세스는 고정 조건 "최단 거리"를 이용하여 이 중계 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탐색한다. 그리고, 단계(S240)에서, 프로세스는 고정 조건 "지방 도로"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중계 지점 사이의 탐색 경로를 단계(S230)에서 찾아낸 경로와 조합하며, 결과적으로, 전체 네비게이션 경로를 결정한다.
제4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구간에서의 경로 탐색에 상이한 고정 조건을 적용한다. 이 방식으로, 제4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경로 탐색으로부터의 네비게이션 경로의 출력 수는 경로 탐색에 이용되는 고정 조건의 수를 초과한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제5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5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지만, 전술된 다른 실시예들과 상이하게 제어된다.
제5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주행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이용가능한 고속 도로 또는 주요 도로에 대한 이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네비게이션 경로를 결정한다(희망 도로에 기초한 경로 탐색).
희망 도로의 결정은 도8의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도8의 프로세스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된다.
먼저, 도8의 단계(S300)에서, 프로세스는 주행의 목적지가 설정되었는지 여 부를 판단한다. 목적지는 목적지 설정 장치(22)를 실행시킴으로써 설정되고, 설정 결과가 단계(S300)에서 조사된다. 목적지가 설정되었다고 판단하면(단계(S300): 예), 프로세스는 단계(S310)로 진행한다. 한편, 목적지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단계(S300): 아니오), 프로세스는 일단 종료된다.
단계(S310)에서, 프로세스는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6)에 의해 입력되는 제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행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직선 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주행의 출발지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사전에 입력된 출발지가 될 수도 있다. 거리 계산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320)로 진행한다.
단계(S320)에서, 프로세스는 직선 거리가 구간 선택 필요 거리(required distance for area selection)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필요 거리는 몇백 킬로미터 등이 된다. 필요 거리는 장거리 주행의 기준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필요 거리값은 이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직선 거리가 필요 거리 이하이면(단계(S320):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S330)로 진행한다. 반면, 이 직선 거리가 필요 거리 이상이면(단계(S320): 예), 프로세스는 단계(S350)로 진행한다.
단계(S330)에서, 프로세스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모든 가능한 네비게이션 경로들 및/또는 이용가능한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찾아내기 위하여 사전 탐색을 실행한다. 또한, 가능한 네비게이션 경로들은 단계(S320)에서의 필요 거리에 의해 필터링되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 내에 탐색될 수 있다.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340)로 진행한다.
단계(S340)에서, 프로세스는 지도 데이터의 도로 특징에 기초하여 단계(S330)에서 탐색된 모든 가능한 경로들로부터 주요 도로를 추출한다. 주요 도로의 카테고리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요 도로는 고속 도로, 유료 도로, 국도 등을 포함한다. 주요 도로를 추출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380)로 진행한다.
단계(S38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340)에서 추출된 주요 도로 명칭을 표시(10) 상에 표시한다. 도9는 표시(10) 상의 주요 도로 명칭 일람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주요 도로 선택과 함께, 표시(10) 상의 메시지는 "일람에서 희망 도로를 선택하시오" 등이 될 수 있다. 주요 도로 명칭을 표시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390)로 진행한다.
단계(S320)에서의 긍정 응답 후에, 단계(S350)로 이어지며, 프로세스는 표시(10) 상에 구간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즉,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가 필요 거리 이상이면, 이용자는 네비게이션 경로에 포함되는 주요 도로를 지정하기 위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도10은 표시(10) 상의 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10) 상의 메시지는 "주요 도로 일람을 위한 범위를 선택하시오" 등이 된다. 일례에서, 범위 선택으로서, "출발지 근방", "목적지 근방", "전범위" 및 "중간 범위"가 도시되어 있다. "출발지 근방" 및 "목적지 근방"은 점 S/G를 중심으로 한 반경 20 킬로미터 등의 원으로 정의된다. 원의 반경은 경로 계산을 위하여 주행 거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로 결정된다. 본 일례에서, "전범위"는 주행의 출발지 S 및 목적지 G를 둘 다 포함하는 원형 범 위로서 정의된다. "중간 범위"는, 출발지/목적지 S/G를 포함하지 않으며, "전범위" 원에 내접하고 "출발지 근방" 원과 목적지 근방" 원에 외접한 직사각형으로 정의된다. 범위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S360)로 진행한다.
단계(S360)에서, 프로세스는 범위 선택 중 하나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선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단계(S360):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S360)를 반복한다. 반면, 범위 선택이 완료되면(단계(S360: 예), 프로세스는 단계(S370)로 진행한다.
단계(S370)에서, 프로세스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범위에 존재하는 모든 주요 도로를 추출한다. 선택된 범위가 근방이면, 프로세스는 단계(S380)로 진행한다. 반면, 선택 범위 "전범위" 또는 "중간 범위"의 경우는 일람을 위하여 너무 많은 수의 주요 도로를 추출한다. 이 경우, 추출 개수는 거리 등에 의한 1차 분류 후에, 소정의 수로 제한될 수도 있다. 단계(S380)는 단계(S370)의 추출 후에 진행되며, 표시(10) 상에 주요 도로 명칭을 표시한다.
단계(S390)에서, 프로세스는 이용자가 표시(10) 상의 주요 도로 명칭 일람으로부터 희망 도로를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희망 도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단계(S390):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S390)를 반복한다. 반면, 이용자의 의한 희망 도로 선택이 완료된 경우,(단계(S390): 예), 프로세스는 단계(S400)로 진행한다.
단계(S40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390)에서 선택한 희망 도로를 결정하고 기억한다. 희망 도로를 기억한 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도11은 희망 도로를 결정한 후,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500)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400)에서 결정된 희망 도로의 비용을 다른 도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즉, 다른 도로의 비용이 희망 도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소정의 방법으로 비용 조정을 수행한다. 비용 조정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510)로 진행한다.
단계(S510)에서,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5개의 고정 조건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탐색하고 찾아낸다. 5개의 고정 조건에 대한 경로 탐색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S520)로 진행한다.
단계(S520)에서, 프로세스는 5개의 탐색 경로들 각각이 희망 도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희망 도로가 탐색 경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520): 아니오), 단계(S530)으로 진행하여 프로세스는 탐색 경로들(희망 도로를 포함하지 않는 경로들)의 도로 특징 비용을 증가시킨 후에, 단계(S510)로 리턴된다. 또한, 두번째의 단계(S510) 이후,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로 탐색은, 희망 도로를 갖는 네비게이션 경로를 생성하지 않는 고정 조건에 한정된다. 즉, 5개의 고정 조건이 각각 단계(S510 내지 S530)의 반복에서 하나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찾아낸 후, 단계(S520)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는다. 희망 도로가 탐색 도로에 포함되는 경우(단계(S520): 예), 프로세스는 단계(S540)로 진행한다.
단계(S540)에서, 프로세스는 5개의 고정 조건들에 기초하여, 표시(10) 상에 희망 도로를 각각 포함하는 5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 상에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표시한 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본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가 경로 탐색을 실행하기 전에 네비게이션 경로에 포함되는 주요 도로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희망 도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검색된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희망 도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에게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주행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이용자를 위하여 모든 가능한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고려함으로써(단계(S330)),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모든 이용가능한 주요 도로를 확실하게 추출한다(단계(S340).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에게 범위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단계(S350)에서의 범위 선택 화면), 네비게이션 경로에 원하지 않는 주요 도로가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범위 선택권의 제공은, 희망 도로의 선택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이용자에게 또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 상에서의 검색 경로들의 표시는 동시에 모든 경로들을 표시하는 대신, 대안적으로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될 수도 있다.
또한, 경로 탐색은, 복수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을 찾아내기 위한 고정 조건 대신 이용자가 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경로 탐색은 기본 조건과 부가적 조건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단 주행 시간을 고려하는 "유로 도로" 조건과 최단 주행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유로 도로" 조건에 따라 찾아낸 2개의 네비게이션 경로들은 표시 장치 상에서 2개의 조건의 조합으로써 각각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경로 탐색은 단지 탐색의 기본 조건에 의해서만 나타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본 조건과 부가적 조건의 조합에 의해 찾아낸 2개의 상이한 경로들은, 간단히 기본 조건과 관련되어 기본 조건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경로들를 생성하기 위한 고정 조건은, 제1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조건 "유로 도로"와 상이한 조건일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도로의 추출은, 주행 거리가 구간 선택 필요 거리 이상인 경우에도, 소정의 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용자를 위한 보다 광범위하고 보다 상세한 경로 탐색을 위하여, 보다 많은 수의 주요 도로가 지도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추출된 주요 도로의 수의 한정은, 근방 범위 유형에 기초한 주요 도로 선택에 가해질 수도 있고, "전범위" 또는 "중간 범위"에 기초한 주요 도로 선택에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도로 명칭 일람은 네비게이션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도로 명칭 일람에서 하나의 명칭을 선택하는 대신, 복수의 주요 도로가 주요 도로 명칭 일람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도1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의 기능을 설명한 블록도.
도3은 고정 조건인 "유료 도로"에 기초한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장치 상에, 탐색된 경로들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희망 경로 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9는 도8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 상에 주요 도로 일람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10은 도8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 상에 범위 선택 지도를 예시한 도면.
도11은 희망 경로를 결정한 후에, 경로 탐색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외부 메모리 10: 표시 장치
24: 복수 경로 탐색 장치 26: 경로 선택 표시 장치
28: 경로 특징 표시 장치
Claims (1)
- 경로 탐색에 기초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주행에서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네비게이션 경로 또는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여기서,상기 네비게이션 경로에서 구체적인 경로의 포함에 대한 이용자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표시 장치 상에 경로 명칭의 선택이 표시되고,상기 경로 명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후보 경로의 적어도 일부로 지정되는 경로를 포함하기 위한, 상기 경로 명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경로의 경로 탐색이 실행되는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13271 | 2005-07-22 | ||
JPJP-P-2005-213271 | 2005-07-22 | ||
JP2006058288A JP4605051B2 (ja) | 2005-07-22 | 2006-03-03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JPJP-P-2006-058288 | 2006-03-03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2966A Division KR20070119592A (ko) | 2005-07-22 | 2007-11-29 | 네비게이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6754A true KR20090016754A (ko) | 2009-02-17 |
Family
ID=3768014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8665A Ceased KR20070012272A (ko) | 2005-07-22 | 2006-07-21 | 네비게이션 시스템 |
KR1020070122966A Ceased KR20070119592A (ko) | 2005-07-22 | 2007-11-29 | 네비게이션 시스템 |
KR1020090003880A Withdrawn KR20090016754A (ko) | 2005-07-22 | 2009-01-16 | 네비게이션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8665A Ceased KR20070012272A (ko) | 2005-07-22 | 2006-07-21 | 네비게이션 시스템 |
KR1020070122966A Ceased KR20070119592A (ko) | 2005-07-22 | 2007-11-29 | 네비게이션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21905A1 (ko) |
JP (1) | JP4605051B2 (ko) |
KR (3) | KR20070012272A (ko) |
CN (1) | CN190065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26641B2 (en) * | 2006-06-30 | 2012-02-28 | Microsoft Corporation | Route planning with contingencies |
US8825380B2 (en) * | 2007-01-31 | 2014-09-0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Navigation apparatus |
KR100912829B1 (ko) * | 2007-02-20 | 2009-08-18 | 이주철 | 다중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0862120B1 (ko) * | 2007-03-30 | 2008-10-09 |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 네비게이션 고속모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0913670B1 (ko) * | 2007-04-27 | 2009-08-26 | 팅크웨어(주) |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경로 설정 방법 |
JP4925910B2 (ja) * | 2007-05-08 | 2012-05-09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KR20090008547A (ko) * | 2007-07-18 | 2009-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경로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
US20130131980A1 (en) * | 2007-09-07 | 2013-05-23 | On Time Systems, Inc. | Resolving gps ambiguity in electronic maps |
US9852624B2 (en) | 2007-09-07 | 2017-12-26 | Connected Signals, Inc. | Network security system with application for driver safety system |
US10083607B2 (en) | 2007-09-07 | 2018-09-25 | Green Driver, Inc. | Driver safety enhancement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and GPS |
US9043138B2 (en) * | 2007-09-07 | 2015-05-26 | Green Driver, Inc.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updating of map information |
US20150379239A1 (en) * | 2007-10-15 | 2015-12-31 | Alterg,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and scheduling of differential air pressure and other unweighted or assisted treatment systems |
US8676489B2 (en) * | 2008-02-07 | 2014-03-18 | Microsoft Corporation | Positioning map views to show more optimal route information |
KR101062664B1 (ko) * | 2008-04-08 | 2011-09-06 | 팅크웨어(주) | 선형 지도 데이터의 주기 표시방법 및 그 장치 |
TW201007134A (en) * | 2008-08-06 | 2010-02-16 | Mitac Int Corp | Navigation systems and related navigation methods, and machine readable medium thereof |
CN101685024B (zh) * | 2008-09-27 | 2012-07-04 |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 导航系统及其路径规划方法 |
DE102010006702A1 (de) * | 2009-02-26 | 2010-09-02 | Navigon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chnung alternativer Routen in einem Navigationssystem |
JP2010216848A (ja) * | 2009-03-13 | 2010-09-30 | Denso Corp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JP5528723B2 (ja) * | 2009-05-27 | 2014-06-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運転評価方法 |
US10198942B2 (en) | 2009-08-11 | 2019-02-05 | Connected Signals, Inc. |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signal lookahead |
JP5601815B2 (ja) * | 2009-10-16 | 2014-10-08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探索経路表示方法 |
US9037397B2 (en) * | 2009-12-07 | 2015-05-19 | Inte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lternative routes |
US20110167079A1 (en) * | 2010-01-07 | 2011-07-07 | Microsoft Corporation | Framework for track-based mobile applications |
US9020681B2 (en) * | 2010-06-08 | 2015-04-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Display of navigation limits on an onboard display element of a vehicle |
CN102567389B (zh) * | 2010-12-17 | 2013-11-27 | 日电(中国)有限公司 | 组合交通网络的形成方法和设备、路径搜索方法和设备 |
US8583367B2 (en) | 2011-01-07 | 2013-11-12 | Honda Motor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route based on a vehicle state |
CN102759362B (zh) * | 2011-04-29 | 2015-04-15 |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 导航系统及其路径规划方法 |
CN102914310A (zh) * | 2011-08-01 | 2013-02-06 |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 智能导航装置及其导航方法 |
US9082189B2 (en) * | 2011-08-12 | 2015-07-14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Automated bounding box generation within the boundaries of arbitrary shapes |
EP2620750B1 (en) * | 2012-01-26 | 2024-11-06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ath |
JP5895630B2 (ja) * | 2012-03-15 | 2016-03-30 | 富士通株式会社 | 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
US9230556B2 (en) * | 2012-06-05 | 2016-01-05 | Apple Inc. | Voice instructions during navigation |
CN104813144B (zh) * | 2012-10-31 | 2017-03-08 | 科乐美数码娱乐株式会社 | 管理装置、服务提供系统、管理装置的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
CN103884341A (zh) * | 2012-12-19 | 2014-06-25 |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 修正路径规划结果的方法 |
CN103900596A (zh) * | 2012-12-28 | 2014-07-02 |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 基于路段的导航路径规划方法及其装置 |
US9097548B2 (en) * | 2013-01-07 | 2015-08-04 | Televav, Inc. |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natural languag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US9020664B2 (en) * | 2013-04-15 | 2015-04-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procedure information on an aircraft display |
JP6137540B2 (ja) * | 2013-07-30 | 2017-05-31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JP6091401B2 (ja) * | 2013-11-01 | 2017-03-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管理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端末 |
CN103955534B (zh) * | 2014-05-13 | 2017-08-04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地图查询方法及装置 |
CN104537179B (zh) * | 2014-12-31 | 2016-09-14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 获取用电地址和接入点设备间最短路径的方法及系统 |
US9429436B2 (en) * | 2015-01-13 | 2016-08-30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vehicle navigation |
CN105606116B (zh) * | 2016-03-24 | 2019-02-1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路导航的导航方法、导航装置及其系统 |
US20170333754A1 (en) * | 2016-05-17 | 2017-11-23 | Kuaiwear Limited | Multi-sport biometric feedbac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aching |
CN106767861A (zh) * | 2016-11-25 | 2017-05-31 |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 智能在线导航方法 |
CN106846868A (zh) * | 2016-12-12 | 2017-06-13 | 芜湖市吉安汽车电子销售有限公司 | 汽车车载导航系统 |
JP6885829B2 (ja) * | 2017-09-08 | 2021-06-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CN112269358B (zh) * | 2017-10-09 | 2022-08-26 | 山东云途供应链管理有限公司 | 一种用于管式物流系统的安全控制方法 |
CN110207700A (zh) * | 2018-02-28 | 2019-09-06 |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 一种备选导航路线提供方法和装置 |
CN110309241B (zh) * | 2018-03-15 | 2021-11-23 |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 挖掘方法、装置、服务器、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
CN109540165B (zh) * | 2018-11-26 | 2022-07-01 | 交通运输部路网监测与应急处置中心 | 一种启发式搜索的高速路网约束寻路算法 |
US10780716B1 (en) | 2019-05-08 | 2020-09-22 | Xerox Corporation | System and device for attenuating curl in substrates printed by inkjet printers |
US10787002B1 (en) | 2019-05-08 | 2020-09-29 | Xerox Corporation | System and device for attenuating curl in substrates printed by inkjet printers |
CN110781414B (zh) * | 2019-09-06 | 2023-02-21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基于地理实体的路径搜索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N115112136A (zh) * | 2021-03-23 | 2022-09-2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出行路径规划方法和出行路径推荐方法 |
CN113091763B (zh) * | 2021-03-30 | 2022-05-03 | 泰瑞数创科技(北京)有限公司 | 一种基于实景三维地图的导航方法 |
WO2024085319A1 (ko) * | 2022-10-17 | 2024-04-25 | 쿠팡 주식회사 |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25069447A1 (ja) * | 2023-09-29 | 2025-04-0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82135B2 (ja) * | 1991-12-18 | 1998-07-3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走行案内装置 |
US5559707A (en) * | 1994-06-24 | 1996-09-24 | Delorme Publishing Company | Computer aided routing system |
US5878368A (en) * | 1996-09-13 | 1999-03-02 | Magellan Dis, Inc. | Navigation system with user definable cost values |
JP3946820B2 (ja) * | 1997-07-08 | 2007-07-18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
JP2002202137A (ja) * | 2000-12-27 | 2002-07-19 | Aisin Aw Co Ltd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記憶媒体 |
JP3722108B2 (ja) * | 2002-11-01 | 2005-11-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
KR101168423B1 (ko) * | 2003-02-05 | 2012-07-25 |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탐색 방법 및 교통 정보 표시 방법 |
JP4225194B2 (ja) * | 2003-12-25 | 2009-02-18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
-
2006
- 2006-03-03 JP JP2006058288A patent/JP460505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7-11 US US11/483,681 patent/US2007002190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7-21 CN CN2006101059722A patent/CN190065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7-21 KR KR1020060068665A patent/KR20070012272A/ko not_active Ceased
-
2007
- 2007-11-29 KR KR1020070122966A patent/KR20070119592A/ko not_active Ceased
-
2009
- 2009-01-16 KR KR1020090003880A patent/KR20090016754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592A (ko) | 2007-12-20 |
US20070021905A1 (en) | 2007-01-25 |
JP4605051B2 (ja) | 2011-01-05 |
JP2007051997A (ja) | 2007-03-01 |
CN1900655B (zh) | 2010-12-15 |
CN1900655A (zh) | 2007-01-24 |
KR20070012272A (ko) | 2007-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16754A (ko) | 네비게이션 시스템 | |
US7065447B2 (en) |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use in the same | |
EP0803705B1 (en) |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 |
US8131467B2 (en) | Rout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route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US7657370B2 (en) |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search method | |
JP4088336B2 (ja) | 移動先予測装置および移動先予測方法 | |
KR100245267B1 (ko) |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 |
EP1614994B1 (en) |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 |
US6269303B1 (en) |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 |
US7062380B2 (en) |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use in the same | |
KR20040067828A (ko) |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 |
US20080167802A1 (en) | Rout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route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JP4336368B2 (ja) | 交通状況表示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KR20040067830A (ko) |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 |
JP2004226311A (ja)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4097029B2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探索経路の表示方法 | |
JP3747815B2 (ja)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記憶媒体 | |
JP2005043068A (ja) | 経路案内装置、センターおよび経路探索方法 | |
JP4305301B2 (ja) | 車両用経路計算装置 | |
JP4145756B2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JPH1089986A (ja)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JP4621976B2 (ja) |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JP2006078293A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JP2002323333A (ja) | 走行経路案内装置 | |
JPH09318375A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