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1831A -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831A
KR20080081831A KR1020080020008A KR20080020008A KR20080081831A KR 20080081831 A KR20080081831 A KR 20080081831A KR 1020080020008 A KR1020080020008 A KR 1020080020008A KR 20080020008 A KR20080020008 A KR 20080020008A KR 20080081831 A KR20080081831 A KR 2008008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filter layer
transparent
region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지 다고
진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8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투명 영역이 형성된다. 투명 영역의 일부는, 액정 분자를 경사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한다. 구조물과 투명 영역은,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는 투명 영역의 일부의 면적과 투명 영역의 남은 면적과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1020080020008
어레이 기판, 대향 전극, 액정층, 수지층, 반사 전극, 투과 전극, 슬릿, 대향 기판, 글래스 기판, 컬러 필터층, 셀 갭 조정층, 돌기물, 수직 배향막, 반사 표시 영역, 편광판

Description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REFLECTANCE AND WHITE BALANCE VALUE FROM SHIFTING}
<관련출원>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07-054729호(2007년 3월 5일 출원)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투과 표시 영역과 반사 표시 영역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가, 휴대 전화나 휴대 음악 플레이어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에 사용된다.
투과 표시 영역에 의해, 이 장치는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사 표시 영역에 의해, 이 장치는 주변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는, 환경의 밝기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좋은 것으로 된다.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식의 액정 표시 장치라고 칭해지는 종 류의 장치는, 각 영역에서 복수의 도메인을 가지며, 각 도메인에서 액정 분자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다.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전극에 돌기물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물에 의한 광의 투과율의 저하 및 투과율의 저하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컬러 필터층에 투명 영역이 형성되고, 투명 영역의 일부는, 대응하는 돌기물의 일부에 대향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바람직한 반사율이 얻어진다.
또한, 투명 영역의 면적과 위치를, 그 투명 영역이 형성되는 컬러 필터층의 색에 따른 것으로 함으로써, 바람직한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얻어진다.
그러나, 장치를 제조할 때에, 투명 영역과 돌기물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면, 반사율 및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 전극과, 상기 대향 기판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과,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형성된 대향 전극과, 대응하는 상기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층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광을 착색하지 않는 투명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반사 전극,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 하는 상기 대향 전극의 대응하는 부분 중 어느 한쪽에 각각 형성된,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경사시키는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영역 각각의 일부는,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고, 상기 각 구조물과 상기 각 투명 영역은, 상기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는 상기 투명 영역의 일부의 면적과 상기 투명 영역의 남은 면적과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치를 제조할 때에, 투명 영역과 구조물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비율은 유지되어, 색도와 반사율이 유지된다. 그 결과,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어레이 기판(100)과, 어레이 기판(100)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200)과, 어레 이 기판(100)과 대향 기판(20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0)을 구비한다. 액정층(300)은, 예를 들면, 마이너스의 유전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301)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않지만, 백라이트가 어레이 기판(100)의 배면에 면하고 있다.
투명한 수지층(102)이, 어레이 기판(100)의 글래스 기판(101) 위에 형성되어 있다. 요철을 갖는 반사 전극(103)이, 수지층(102) 위에 형성되어 있고, 반사 전극(103)은, 화소의 반사 표시 영역(1)에 형성되어 있다. 투과 전극(104)이, 수지층(102) 위에 형성되어 있고, 투과 전극(104)은, 화소의 투과 표시 영역(2)에 형성되어 있다. 투과 전극(104)은,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슬릿(10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05)은, 예를 들면, 길이 10 마이크로미터, 폭 4 마이크로미터이다.
반사 전극(103)과 투과 전극(104)은, 화소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화소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신호선과 주사선 등의 배선이 수지층(102) 위에 형성된다.
수직 배향막(107)이, 반사 전극(103)과 투과 전극(104) 위에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08)이, 글래스 기판(101)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202)이, 대향 기판(200)의 글래스 기판(201) 위에 형성되고, 컬러 필터층(202)은, 반사 전극(103)과 투과 전극(104)에 대향하고 있다.
광을 착색하지 않는 투명 영역(203)이, 컬러 필터층(202)의 일부에 형성되고, 그 일부는, 반사 전극(103)에 대향하고 있다.
투명한 셀 갭 조정층(204)이, 컬러 필터층(202)과 투명 영역(203)의 위에 형성되고, 투명한 셀 갭 조정층(204)은, 반사 표시 영역(1)에 형성되어 있다. 셀 갭 조정층(204)은, 예를 들면,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셀 갭 조정층(204)을 형성함으로써, 반사 표시 영역(1)에서의 셀 갭 길이는, 투과 표시 영역(2)에서의 셀 갭 길이보다 짧아져 있다. 즉, 화소는, 멀티 갭 구조를 갖는다.
대향 전극(205)이, 컬러 필터층(202)과 셀 갭 조정층(204) 위에 형성되고, 대향 전극(205)은, 반사 전극(103)과 투과 전극(104)에 대향하고 있다. 대향 전극(205)에는, 높은 광의 투과율을 갖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된다.
액정층(300)의 액정 분자(301)를 바람직하게 경사시키는 구조물로서, 돌기물(206a와 206b)이 대향 전극(205) 위에 형성되고, 돌기물(206a)은 반사 전극(103)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205)의 부분에 형성되고, 돌기물(206b)은 투과 전극(104)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205)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물(206a, 206b)의 각각은, 예를 들면, 높이 1 마이크로미터, 폭 6 마이크로미터이다. 돌기물(206a, 206b)의 각각은, 예를 들면,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장치는, 슬릿(105)과 돌기물(206a와 206b)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수의 도메인을 가지며, 각 도메인에서 액정 분자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식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수직 배향막(207)이 대향 전극(205)과 돌기물(206a, 206b)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물(206a, 206b) 사이에 갭을 만듦으로써, 갭이 만들어진 장소에서는 액 정층(300)을 통과하는 광량이 증가한다. 갭에 대향하는 슬릿(105)에 의해, 갭에서의 액정 분자(301)가 바람직하게 기운다.
또한, 돌기물(206a) 대신에, 반사 전극(103)에 돌기물을 형성하여도 된다. 돌기물(206b) 대신에, 투과 전극(104)에 돌기물을 형성하여도 된다.
돌기물(206a) 대신에, 반사 전극(103) 또는 반사 전극(103)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205)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슬릿을 형성하여도 된다. 돌기물(206b) 대신에, 투과 전극(104) 또는 투과 전극(104)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205)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슬릿을 형성하여도 된다. 구조물이 이러한 슬릿을 형성하고 있어도, 액정 분자(301)는 바람직하게 기운다.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205) 사이에 인가된 전압이 제로 또는 임계값 미만이라면, 액정 분자(301)는 어레이 기판(100)과 대향 기판(200)에 수직으로 배향한다.
인가된 전압이 임계값 이상이라면, 액정 분자(301)는 기판에 대하여 경사 혹은 거의 평행하게 배향한다. 액정 분자(301)의 방향은, 거의 전기력선의 방향에 따른 것으로 된다.
스페이서(302)가 어레이 기판(100)과 대향 기판(200) 사이에 협지된다. 스페이서(302)는, 예를 들면 기둥 형상을 가지며, 높이는 2 마이크로미터이다.
장치에서는, 반사 전극(103)에서 반사한 광 또는 백라이트로부터 출사해서 투과 전극(104)을 통과한 광이 액정층(300)을 통과한다.
전압이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205) 사이에 인가된다. 액정층(300)에서는,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었던 액정 분자(301)가 전압에 의해 생긴 전계에 의해 기운 다.
광의 양은, 액정 분자(301)의 기울기에 따른 것으로 된다. 이러한 얻어진 계조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반사 또는 투과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는 적색 컬러 필터층(202R)을 갖는 부화소(10), 녹색 컬러 필터층(202G)을 갖는 부화소(10) 및 청색 컬러 필터층(202B)을 갖는 부화소(10)로 이루어진다.
컬러 필터층(202)은 3개의 영역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1 그룹의 영역은 광을 적색으로 착색 가능한 적색 컬러 필터층(202R)이며, 제2 그룹의 영역은 광을 녹색으로 착색 가능한 녹색 컬러 필터층(202G)이며, 제3 그룹의 영역은 광을 청색으로 착색 가능한 청색 컬러 필터층(202B)이다.
적색 컬러 필터층(202R)을 갖는 부화소(10)와 녹색 컬러 필터층(202G)을 갖는 부화소(10)에서는, 투명 영역(203)이 컬러 필터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그 일부는 반사 표시 영역(1)에 위치한다.
색에 관계없이, 컬러 필터층의 일부는 반사 표시 영역(1)에 위치하고, 컬러 필터층의 나머지 부분은 투과 표시 영역(2)에 위치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202R)에 형성된 투명 영역(203)은 대응하는 돌기물(206a)에 교차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컬러 필터층(202G)에 형성된 투명 영역(203)도 대응하는 돌기물(206a)에 교차한다.
즉, 투명 영역의 일부는 대응하는 돌기물의 일부에 대향한다.
돌기물(206a)의 영역에서는 광의 투과율이 감소한다. 한편, 투명 영역(203)에서는,광의 투과율이 증가한다. 이렇게 해서, 투명 영역(203)은 반사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3A의 (1)의 영역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을 구비하지 않지만, 돌기물을 구비한다. 이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3%이다. 도 3A의 (2)의 각 영역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어느 것도 구비하지 않는다. 이들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6%이다. 도 3A의 (3)의 각 영역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양쪽을 구비한다. 이들의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6%이다. 도 3A의 (4)의 영역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을 구비하지 않지만, 컬러 필터층을 구비한다. 이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85%이다. 이렇게 해서, 적색 색도와 반사율이 바람직하게 설정된다.
(1)에서 나타내지는 영역의 면적을 S1, (2)에서 나타내지는 영역의 면적을 S2로 하면, 장치를 제조할 때에, 투명 영역(203)과 돌기물(206a)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S1과 S2의 비율 즉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는 투명 영역의 일부의 면적과 투명 영역의 남은 면적과의 비율은 유지된다. 예를 들면, 투명 영역(203)이, 도 3A에서 우측으로 어긋났다면, (2)에서 나타내는 한쪽의 영역은 커지고, 다른 쪽의 영역은 작아진다. 이렇게 해서, 비율이 유지된다. 그 결과, 적색 색도와 반사율이 유지된다.
비율은 녹색 컬러 필터층을 갖는 부화소로도 설정되고, 녹색 색도와 반사율이 바람직하게 설정된다. 녹색 색도와 반사율도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바람직한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설정되고, 투명 영역과 돌기물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돌기물과 투명 영역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도록,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기물과 투명 영역이 서로 교차하고 있으면, 적어도 한쪽은, 원형이나 정사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장치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영역(203)의 일부가 돌기물(206a) 전체에 대향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투명 영역(203)과 돌기물(206a)의 각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것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A의 (1)의 영역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을 구비하지 않지만, 돌기물을 구비한다. 이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3%이다. 도 4A의 (2)의 각 영역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어느 것도 구비하지 않는다. 이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17%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양쪽을 구비하는 영역은 없다. 그 때문에, 도 4B의 (3)의 값은 0%이다. 도 4A의 (4)의 영역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을 구비하지 않지만, 컬러 필터층을 구비한다. 이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약 80%이다. 이렇게 해서, 적색 색도와 반사율이 바람직하게 설정된다.
(1)에서 나타내지는 영역의 면적을 S1, (2)에서 나타내지는 영역의 면적을 S2로 하면, 장치를 제조할 때에, 투명 영역(203)과 돌기물(206a)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S1과 S2의 비율 즉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는 투명 영역의 일부의 면적과 투명 영역의 남은 면적과의 비율은 유지된다. 예를 들면, 투명 영역(203)이 도 4A에서 우측으로 어긋났다면, (2)에서 나타내는 영역은 일부에서 굵어지고, 다른 일부에서 가늘어진다. 이렇게 해서, 비율이 유지된다. 그 결과, 적색 색도와 반사율이 유지된다.
비율은 녹색 컬러 필터층을 갖는 부화소로도 설정되고, 녹색 색도와 반사율이 바람직하게 설정된다. 녹색 색도와 반사율도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바람직한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설정되고, 투명 영역과 돌기물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영역을 적색 컬러 필터층과 녹색 컬러 필터층 각각에 형성했지만, 투명 영역을 형성하는 컬러 필터층의 색과 수는 임의이다.
따라서, 투명 영역이 청색 컬러 필터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그 일부는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한다. 이 경우,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청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적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보다 작게 설정되고,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적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녹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비율에서의 순서는 임의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셀 갭 조정층을 대향 기판에 형성했지만, 셀 갭 조정층을 어레이 기판에 형성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를 반사 표시 영역과 투과 표시 영역으로 나누었지만, 전체 화소의 영역을, 각각 반사 표시 영역만을 갖는 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 영역과, 각각 투과 표시 영역만을 갖는 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으로 나누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화소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소의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반사 표시 영역의 돌기물, 투명 영역 및 컬러 필터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3A의 각 영역의 데이터를 포함한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데이터는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유무와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포함함.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반사 표시 영역의 돌기물, 투명 영역 및 컬러 필터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각 영역의 데이터를 포함한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데이터는 돌기물과 컬러 필터층의 유무와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포함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레이 기판
102: 수지층
103: 반사 전극
104: 투과 전극
105: 슬릿
107: 수직 배향막
108: 편광판
200: 대향 기판
201: 글래스 기판
202: 컬러 필터층
203: 투명 영역
204: 셀 갭 조정층
205: 대향 전극
206a, 206b: 돌기물
300: 액정층

Claims (12)

  1.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 전극과,
    상기 대향 기판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과,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형성된 대향 전극과,
    대응하는 상기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층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광을 착색하지 않는 투명 영역과,
    대응하는 반사 전극, 대응하는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대향 전극의 대응하는 부분 중 어느 한쪽에 각각 형성된,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경사시키는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투명 영역의 일부는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고,
    상기 각 구조물과 상기 각 투명 영역은, 상기 구조물의 일부에 대향하는 상기 투명 영역의 일부의 면적과 상기 투명 영역의 남은 면적과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마이너스의 유전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투명 영역은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에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과 구조물과의 상대 위치가 변동하여도, 상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각 투명 영역은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에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투명 영역의 일부는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 전체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조물은 돌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은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과 상기 투명 영역의 각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조물은, 상기 반사 전극 또는 상기 대향 전극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상기 투명 영역의 각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3개의 영역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1 그룹의 영역은 광을 적색으로 착색 가능한 적색 컬러 필터층이며, 제2 그룹의 영역은 광을 녹색으로 착색 가능한 녹색 컬러 필터층이며, 제3의 그룹의 영역은 광을 청색으로 착색 가능한 청색 컬러 필터층이며,
    상기 투명 영역은, 적어도 1개의 그룹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3개의 영역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1 그룹의 영역은 광을 적색으로 착색 가능한 적색 컬러 필터층이며, 제2 그룹의 영역은 광을 녹색으로 착색 가능한 녹색 컬러 필터층이며, 제3 그룹의 영역은 광을 청색으로 착색 가능한 청색 컬러 필터층이며,
    상기 투명 영역은 각 그룹의 영역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상기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청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대응하는 상기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적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보다 작게 설정되고, 대응하는 상기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적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대응하는 상기 반사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녹색 컬러 필터층의 부분에 대한 투명 영역의 면적의 비율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80020008A 2007-03-05 2008-03-04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액정 표시 장치 Ceased KR20080081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54729 2007-03-05
JP2007054729A JP5032157B2 (ja) 2007-03-05 2007-03-05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31A true KR20080081831A (ko) 2008-09-10

Family

ID=397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08A Ceased KR20080081831A (ko) 2007-03-05 2008-03-04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42135B2 (ko)
JP (1) JP5032157B2 (ko)
KR (1) KR20080081831A (ko)
CN (1) CN101261406A (ko)
TW (1) TWI382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1310B2 (ja) * 2009-07-17 2013-10-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66804B2 (ja) 2010-07-22 2014-08-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
JP5504215B2 (ja) 2011-07-08 2014-05-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386555B2 (ja) 2011-07-28 2014-01-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64473B2 (ja) 2011-08-05 2014-07-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20896B2 (ja) 2011-08-08 2014-06-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2809858B (zh) 2012-07-31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液晶显示装置
CN110967864B (zh) * 2019-12-23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和液晶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174B1 (en) * 1995-07-17 2007-10-30 Seiko Epson Corporation Reflective type color liquid crystal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is
WO2003102638A1 (fr) * 2002-06-04 2003-12-11 Toray Industries, Inc. Filtre colore pour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de semi-transmission
JP4401164B2 (ja) * 2003-01-31 2010-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2005173037A (ja) 2003-12-09 2005-06-30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08723B1 (ko) 2004-02-27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123208B2 (ja) * 2004-09-03 2008-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JP4501899B2 (ja) * 2005-07-06 2010-07-1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341617B2 (ja) * 2005-12-02 2009-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06557A (ja) 2006-02-03 2007-08-1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20070200990A1 (en) 2006-02-24 2007-08-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829984A (en) * 2007-01-15 2008-07-16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opto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1406A (zh) 2008-09-10
TW200846772A (en) 2008-12-01
TWI382236B (zh) 2013-01-11
JP2008216690A (ja) 2008-09-18
JP5032157B2 (ja) 2012-09-26
US20080218668A1 (en) 2008-09-11
US7742135B2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5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0478767C (zh) 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74032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890357B (zh) 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384965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0388096C (zh) 液晶显示装置
US7586575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3900141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81831A (ko) 반사율과 화이트 밸런스의 값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액정 표시 장치
JP4572837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241275A (zh) 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0433370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80737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90117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7310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32519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206080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3959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0254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513794B2 (ja) 液晶表示装置
JP4656112B2 (ja) 液晶表示装置
JP424977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524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34331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