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6006A -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006A
KR20080036006A KR1020077029311A KR20077029311A KR20080036006A KR 20080036006 A KR20080036006 A KR 20080036006A KR 1020077029311 A KR1020077029311 A KR 1020077029311A KR 20077029311 A KR20077029311 A KR 20077029311A KR 20080036006 A KR20080036006 A KR 2008003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iaper
opening
circumferential
tru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671B1 (ko
Inventor
토시후미 오츠보
나오토 오하시
유스케 카와카미
마코토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6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둥글게 말아 폐기하기가 용이한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1)은, 몸통 둘레 영역이 전방부(6)와 후방부(7)로 구분되며 이들 양쪽 부분(6, 7)을 연결하는 시트편(21)을 갖는다. 시트편(21)은, 전방부(6)와 후방부(7)에 대한 접합부위(27, 28)들 사이에 물품(1)의 상하방향으로 잡아 찢을 수 있는 비접합부위(24)를 갖는다. 전방부(6)와 후방부(7)는, 비접합부위(24)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13a)와 가장자리부(14a)를 가지며, 이들 가장자리부(13a, 14a)의 내면끼리 점착제(36)를 통해 서로 박리가능하게 접합된다.

Description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DISPOSABLE PANTS TYPE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나 트레이닝 팬티와 같은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으로서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팬티형 기저귀의 예로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연부(側緣部)끼리 서로 접합된 것으로서, 이것을 벗길 때에는 측연부를 양쪽으로 찢을 수 있는 것도 주지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H4(1992)-371147호(특허문헌 1)에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로서 사용가능한 일회용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팬티의 경우,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연부가 히트실(heat seal)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 접합부위는 착용자에게서 팬티를 벗길 때에 비교적 용이하게 잡아 찢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이러한 팬티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에는, 각각 몸통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형상 탄성부재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가랑이 아래영역에는 다리 둘레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형상 탄성부재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팬티형 착용물품으로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몸통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패널을 몸통둘레부재로서 개재시킨 것도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공표공보 H8(1996)-507699호(특허문헌 2)에 개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팬티형으로서 흡수성이 있는 「동체(胴體)」와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한 쌍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몸통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다. 「패널」은, 기저귀 착용자의 몸통 둘레 양측부에 각각 위치하여 몸통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것으로서, 「동체」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부착선에서 「동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는, 「동체」가 착용자의 전후방 몸통 둘레부와 가랑이부를 덮고, 「패널」이 신장·수축되어 사용자의 몸통 둘레 양측부에 피트된다. 착용한 기저귀가 더러워졌을 때에는, 「패널」을 부착선을 따라 「동체」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를 더럽히지 않고 벗길 수 있다. 이 기저귀는 또한,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외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 탭을 갖는다. 상기 접착 테이프 탭은, 처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벗겨낸 기저귀를 버릴 때에 그 기저귀를 둥글게 말아두기 위해 사용된다.
일본특허공보 제3421030호(특허문헌 3)에는, 팬티형 속옷이 개시되어 있다. 이 속옷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가랑이 부분을 가지며,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이 손으로 찢을 수 있는 부직포 조각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부직포 조각은, 한쪽 다리 둘레 개구로부터 몸통 둘레 개구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 조각을 세로방향으로 찢음으로써 속옷을 벗길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H4(1992)-371147호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표공보 H8(1996)-507699호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보 제3421030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팬티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연부가 부직포로 이루어진 내면 시트와, 부직포에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것 등으로 이루어진 외면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 장의 시트재료로 이루어진 측연부끼리 서로 중첩시킨 후에 히트실수단을 사용하여 접합한 부분에서는, 4~6장의 시트재료가 용융되어 일체화되게 된다. 팬티를 벗길 때에 이러한 접합부분을 잡아 찢으면, 접합부분에서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이 서로 박리되어 팬티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거의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는 접합부분의 주위에서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이 찢어져 팬티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다시 말하면, 팬티를 벗기고자 하는 엄마는, 중첩된 적어도 2~3장의 시트재료를 한번에 찢어야만 하고, 거기에는 적지않은 힘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트재료는 직선적으로 찢어지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찢는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신장상태에 있는 몸통둘레 탄성부재나 다리둘레 탄성부재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연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팬티를 잡아 찢었을 때에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이 찢어지면, 탄성부재가 이러한 시트재료들로부터 벗겨져 힘있게 수축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팬티를 잡아 찢기 위해 팬티를 잡고 있는 엄마의 손끝에 그 수축하는 탄성부재가 닿았을 때에는, 손끝이 아플 정도의 강한 자극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벗겨낸 팬티는 몸통둘레 탄성부재나 다리둘레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다수의 주름이 복잡하게 뒤얽히기 때문에, 이것을 폐기할 때, 배설물로 더럽혀진 내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둥글게 말거나 접기가 어렵다.
문헌 2에 개시된 기저귀는, 이것을 벗길 때에 신축성이 있는 「패널」을, 그 「패널」과 「동체」와의 부착선을 따라, 「동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부착선이 신축성이 있는 「패널」과 「동체」의 히트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문헌 1에 개시된 팬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패널」을 떼어내는 작업이 실제로는 「패널」이나 「동체」를 부착선을 따라 찢는 작업으로서, 그 작업에는 힘을 요하며, 게다가 그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신축성이 있는 「패널」이 신장상태에 있는 실형상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패널」을 떼어낼 때에, 그 탄성부재가 힘있게 수축되어 기저귀를 벗기고자 하고 있는 엄마의 손가락을 강하게 자극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기저귀는 또한, 「패널」을 「동체」로부터 떼어내면, 좌우 양측부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세로방향으로 둥글게 말아 접착 테이프 탭으로 고정하더라도, 둥글게 만 기저귀는 양측부가 대기에 개방되어, 악취 등이 누출되는 원인이 된다.
문헌 3에 개시된 기저귀는, 둥글게 말아둘 수 있는 수단을 갖지 않기 때문에, 폐기할 때에 더러워진 부위가 노출되거나, 악취를 발생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팬티형 착용물품들을 벗길 때에 관찰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을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서로 직교하는 상하방향과 전후방향과 가로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고리(環狀)를 이루어 몸통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하방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 둘레 영역과 협동하여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가랑이 아래영역을 가지며, 상기 몸통 둘레 영역에는 상기 고리를 찢어서 열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는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는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이다.
이러한 착용물품에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는,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을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하여 이들 양쪽 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시트편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편은, 상기 착용물품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내면과 외측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가지며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에 대해서는 상기 시트편의 외면이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둘레방향에서 근접해 있는 이들 양쪽 부분 중 측방부분에서의 내면과의 접합부위에서 박리가 불가능하도록 접합되는 동시에, 상기 접합부위들 사이에 상기 전방부나 후방부 중 어디에도 접합되지 않는 비접합 부위를 가지며, 상기 비접합 부위는 상기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잡아 찢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상기 측방부분은 각각, 상기 비접합부의 외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는 가장자리부를 더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면끼리가 어느 한쪽의 내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통해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둘레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지만, 상기 접합부위를 넘어 상기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부분은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지 않는 몸통둘레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팬티형 착용물품은,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 몸통 둘레 영역의 전방부에서의 측방부분과 몸통 둘레 영역의 후방부에서의 측방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절단선의 형성이 용이한 시트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시트편을 양쪽으로 찢음으로써, 더러워진 기저귀를 신속하게 벗길 수 있다. 벗겨낸 기저귀는, 이것을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둥글게 말아 버릴 때에,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어느 한쪽의 가장자리부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기저귀가 펼쳐지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둥글게 만 기저귀의 양측부로부터 배설물이나 배설물의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편은, 이것이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상기 시트편을 상하방향으로 찢는 작업이 탄성부재의 존재에 의해 곤란해지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착용물품이 신장된 상태에 있는 몸통둘레 탄성부재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몸통둘레 탄성부재는,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가장자리부까지는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그 가장자리부는 탄성부재의 신장·수축에 의해, 간단히 박리되는 경우가 없다.
도 1은 팬티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팬티형 기저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둥글게 말아 놓은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장강도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인열강도 측정용 시험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열강도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팬티형 착용물품(기저귀) 6 : 전방부(전방 몸통 둘레 영역)
7 : 후방부(후방 몸통 둘레 영역) 8 : 가랑이 아래영역
11 : 몸통 둘레 개구 12 : 다리 둘레 개구
13 : 측부 13a : 가장자리부
13b : 내면 14a : 가장자리부
14b : 내면 14 : 측부
16 : 몸통둘레 탄성부재 17 : 몸통둘레 탄성부재
18 : 다리둘레 탄성부재 21 : 시트편
24 : 비접합부위 27 : 접합부위
28 : 접합부위 36 : 점착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으로서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를 예로 들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3은 각각 팬티형 기저귀(1)의 사시도와,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과, 기저귀(1)의 부분도면이며, 도 1 및 3에서는 기저귀(1)의 일부분이 파단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액체 투과성 표면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흡수성 심재(4; 芯材)를 갖는다. 기저귀(1)는 또한, 착용자의 몸통 둘레의 전방부와, 몸통 둘레의 후방부와, 가랑이 부분을 각각 덮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과, 가랑이 아래영역(8)을 가지며, 이들 각 영역(6, 7, 8)에서, 표면시트(2)와 이면시트(3)는 심재(4)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서 중첩되어, 핫멜트 접착제(도시생략)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는 상단부분(6a)과 한 쌍의 측방부분(13)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에는 상단부분(7a)과 한 쌍의 측방부분(14)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의 양측부에서는 각각, 몸통 둘레 방향에서 서로 근접해 있는 이들 측방부분(13)과 측방부분(14)이 연결용 시트편(21)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영역이 환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몸통 둘레 개구(11)를 형성하는 동시에, 가랑이 아 래영역(8)과 협동하여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2)를 형성하고 있다. 측방부분(13, 14)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13a, 14a)를 가지며, 이들 가장자리부(13a, 14a)가 합장상태로 중첩되어,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에서는 각각, 몸통둘레 탄성부재(16, 17)가 몸통 둘레 개구(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영역(8)에서는, 다리둘레 탄성부재(18)가 다리 둘레 개구(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부재(16, 17, 18)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에 핫멜트 접착제(도시생략)에 의해 신장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는, 도면에 h, i, j로 나타낸 상하방향과 전후방향과 가로방향을 갖는 것 이외에, 몸통 둘레 개구(11)의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인 몸통 둘레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기저귀(1)에서, 환형상의 몸통 둘레 영역을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하고 있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연결하는 연결용 시트편(21)은, 몸통 둘레 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전방 측연부(22)와 후방 측연부(23)가 각각,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의 각각의 측방부분(13, 14)의 내면(13b, 14b)에 대하여 접합영역(27, 28; 도 2 참조)에서 박리가 불가능하도록 접합되는 한편, 이들 접합영역(27과 28) 사이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 중 어느 쪽에도 접합되지 않는 비접합영역(24)을 갖는다. 상기 비접합영역(24)은 몸통 둘레 개구(11)와 다리 둘레 개구(12)에 이르도록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용 시트편(21)은, 그 비접합영역(24)에서의 인장강도와 인열강도가 후 기한 도 5 내지 7에 근거하여 측정되는 것으로서,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몸통 둘레 방향으로 인장되어도 비접합영역(24)이 간단히 찢어지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몸통 둘레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8N/25mm 폭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연결용 시트편(21)은 또한, 착용한 기저귀(1)를 벗길 때에 비접합영역(24)에서 몸통 둘레 개구(11)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12)까지의 사이를 상하방향(h)으로 거의 직선적으로 잡아 찢을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h)에 대하여 0.1~12N의 인열강도를 갖는다.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방부분(13)은 접합영역(27)으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부(13a)를 가지며,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측방부분(14)은 접합영역(28)으로부터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부(14a)를 갖는다. 이들 가장자리부(13a와 14a)는 연결용 시트편(21)에서의 비접합영역(24)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부(33, 34)에서 기저귀(1)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가장자리부(13a, 14a)는 더욱이, 어느 한쪽의 가장자리부, 예컨대 가장자리부(14a)의 내면에 도포된 점착제(36)를 통해,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를 벗길 때에는,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14a)로부터 가장자리부(13a)를 박리하여, 연결용 시트편(21)을 기저귀(1)의 외측을 향해 노출시킨다. 그런 다음, 연결용 시트편(21)의 비접합영역(24)을 상하방향(h)으로 잡아 찢으면 된다. 도 1 및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통둘레 탄성부재(16, 17)와 다리둘레 탄성부재(18)는, 각각 접합부위(27, 28)를 넘어 가장자리부(13a, 14a)까지 연장되는 않는 양태로 있다면, 이들 탄성부재(16, 17, 18)가 수축되더라도 가장자리부(13a, 14a)에는 개더(gathers)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으므로, 가장자리부(13a, 14a)는 평활하고, 점착제(36)를 통한 접합이 용이하며, 게다가 간단히 박리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둘레 탄성부재(16, 17)와 다리둘레 탄성부재(18)가 접합부위(27, 28)를 넘어 가장자리부(13a, 14a)까지 연장되는 양태로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양태인 경우에는 탄성부재(16, 17, 18)가 접합부위(27, 28)를 넘는 부위에서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36)는, 기저귀(1)의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을 환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자리부(13a와 14a)를 박리가능하게 임시고정시켜 둠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시에 점착제(36)의 표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후기하는 바와 같이 더러워진 기저귀(1)를 버릴 때에 그 기저귀(1)를 둥글게 말아 둘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기저귀(1)에서, 연결용 시트편(21)의 비접합영역(24)은,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16, 17)나 다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18)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탄성부재(16, 17, 18)의 존재에 의해 상하방향(h)으로 잡아 찢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렇게 잡아 찢을 때에, 종래의 팬티형 기저귀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있는 탄성부재가 힘있게 수축되어 기저귀를 잡아 찢고자 하는 엄마의 손끝에 닿아, 그 손끝을 자극하는 경우도 없다. 이러한 기저귀(1)에서는, 이것이 착용상태에 있을 때에 연결용 시트편(21)의 비접합영역(24)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연결용 시트편(21)의 색조를 가장자리부(13a, 14a)의 색조와는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연결용 시트편(21)을 잡아 찢어 벗겨낸 기저귀(1)로서, 더러워진 표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하여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으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향해 둥글게 만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이것을 둥글게 만 후에, 후방 몸통 둘레 영역(14)의 가장자리부(14a)를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시트(3)에 겹쳐 포개어 점착제(36)로 고정시켜 둠으로써, 둥글게 만 기저귀(1)의 양측부 전체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여, 기저귀(1)의 양측부로부터 배설물이나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랑이 아래영역(8)이 배설물로 더럽혀져 있는 기저귀(1)는, 이것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으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둥글게 말아, 더럽혀진 가랑이 아래영역(8)을 더럽혀지지 않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으로 둘러싸도록 하면, 배설물이나 악취가 기저귀(1)의 상단부분(6a, 7a; 도 1 참조)으로부터 새는 경우는 없지만, 측부에서는 새기 쉬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시한 예와 같이 가장자리부(14a)와 점착제(36)를 사용하여 둥글게 만 기저귀(1)의 측부를 폐쇄하면, 측부로부터 배설물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용 시트편(21)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나 이들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이들 부직포와 필름으로 이루어진 적층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부직포나 필름에는, 용이하게 잡아 찢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는 1줄 또는 복수 줄의 바늘땀 형상의 구멍을 형성해 둘 수 있다. 또한, 부직포를 형성하고 있는 섬유가 특정방향을 향하여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경 우나, 필름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사슬이 특정방향을 향하여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특정방향이 기저귀(1)의 상하방향(h)이 되도록 사용함으로써, 연결용 시트편(21)이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하방향(h)으로 직선적으로 찢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저귀(1)의 표면시트(2)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로 형성된 평량(坪量)이 10~30g/m2인 부직포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두께가 10~30 미크론인 개공(開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3)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두께가 20~50 미크론인 필름이나 이 필름과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로 형성된 평량이 20~50g/m2인 부직포를 간헐적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 복합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체액흡수성 심재(4)로는, 분쇄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을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투과성과 액체 확산성이 우수한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시트재료로 피복한 것을 사용하거나, 분쇄펄프를 이러한 시트재료로 피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에서의 측부(13, 14)는, 표면시트(2)와 이면시트(3)가 접착이나 용착에 의해 일체화된 복합시트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또는 그 복합시트가 몸통둘레 탄성부재(16, 17)나 다리둘레 탄성부재(18)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연결용 시트편(21)보다 높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가지므로, 기저귀(1)를 벗길 때에 측부(13, 14)가 연결용 시트편(21)보다 간단히 찢어지는 경우는 없 다. 기저귀(1)는 또한, 표면시트(2)와 이면시트(3) 중 한쪽이 연결용 시트편(21)보다 높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 한쪽에만 측부(13) 및/또는 측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더 나아가서는, 표면시트(2)나 이면시트(3)와는 별개로서, 연결용 시트편(21)보다 높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갖는 제 3 시트에 의해 측부(13) 및/또는 측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측부(13, 14)와 연결용 시트편(21)은, 접합영역(27, 28)에서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자의 접합은, 기저귀(1)를 착용시키거나 벗길 때에도 박리되지 않는 높은 박리강도를 갖는다.
도 5는 연결용 시트편(21)으로서 사용하는 시트재료에 대한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방법과 측정용 시험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험편은, 그 길이방향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방향과 일치하도록 작성하여, 척 간격이 50mm가 되도록 인장시험기에 부착시킨다. 200mm/min의 인장속도로 시험편을 인장시켜 파단하중을 구하고, 그 값을 인장강도로 한다.
도 6, 7은 연결용 시트편(21)으로서 사용하는 시트재료에 대한 인열강도를 측정하는 측정용 시험편과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험편은, 그 길이방향과 슬릿의 길이방향이 기저귀(1)의 상하방향(h)과 일치하도록 작성하고, 각각의 척에 대하여 약 25mm의 파지 여유를 두고, 척 간격이 100mm가 되도록 인장시험기에 부착시킨다. 200mm/min의 인장속도로 시험편을 인장시켜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하중을 구하고, 그 값을 인열강도로 한다.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한 본 발명은, 트레이닝 팬티나 실금 환자용 팬티, 생리용 팬티(sanitary briefs) 등의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용 시트편(21)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영역을 전후방향(i)으로 거의 2등분하여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으로 구분하도록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연결용 시트편(21)의 위치를 이러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연결용 시트편(21)의 위치를,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형성하되, 배쪽이나 등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를 용이하게 잡아 찢어 벗길 수 있는 동시에, 벗긴 후에는 둥글게 말아 배설물이나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팬티형 착용물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서로 직교하는 상하방향과 전후방향과 가로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고리를 이루어 몸통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하방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 둘레 영역과 협동하여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가랑이 아래영역을 가지며, 상기 몸통 둘레 영역에는 상기 고리를 찢어서 열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는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는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는,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을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하여 이들 양쪽 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시트편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편은, 상기 착용물품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내면과 외측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가지며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에 대해서는 상기 시트편의 외면이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둘레방향에서 근접해 있는 이들 양쪽 부분 중 측방부분에서의 내면과의 접합부위에서 박리가 불가능하도록 접합되는 동시에, 상기 접합부위들 사이에 상기 전방부나 후방부 중 어디에도 접합되지 않는 비접합부위를 가지며, 상기 비접합부위는, 상기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방향으로 잡아 찢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상기 측방부분은 각각, 상기 비접합부의 외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에 이르는 가장자리부를 더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면끼리가, 어느 한쪽의 내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통해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둘레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지만 상기 접합부위를 넘어 상기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부분은 신장된 상태로 연장되지 않는 몸통둘레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물품.
KR1020077029311A 2005-06-14 2006-06-13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3996 2005-06-14
JP2005173996A JP4678721B2 (ja) 2005-06-14 2005-06-14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006A true KR20080036006A (ko) 2008-04-24
KR101066671B1 KR101066671B1 (ko) 2011-09-21

Family

ID=3752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3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671B1 (ko) 2005-06-14 2006-06-13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7896B2 (ko)
EP (1) EP1891920B1 (ko)
JP (1) JP4678721B2 (ko)
KR (1) KR101066671B1 (ko)
CN (1) CN101170980B (ko)
TW (1) TWI295569B (ko)
WO (1) WO2006134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5405B2 (ja) * 2005-04-27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5421547B2 (ja) * 2008-05-15 2014-0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
US8168034B2 (en) * 2008-09-30 2012-05-01 Uni-Char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DE102009015041A1 (de) * 2009-03-26 2010-09-30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JP5619393B2 (ja) * 2009-08-21 2014-11-0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パッド
US8632518B2 (en) * 2009-11-24 2014-01-21 The Procter & Gamble Plaza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777913B2 (en) * 2009-11-24 2014-07-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01665B2 (en) * 2010-01-20 2013-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JP5612129B2 (ja) * 2010-01-20 2014-10-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再締結可能な吸収性物品
WO2011091117A1 (en) * 2010-01-20 2011-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US20110174432A1 (en) * 2010-01-20 2011-07-21 Gary Dean Lavon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CN102711693B (zh) * 2010-01-20 2016-02-03 宝洁公司 能够重复扣紧的吸收制品
US20220287893A1 (en) * 2021-03-11 2022-09-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losur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711U (ko) * 1988-03-14 1989-09-28
US5074854A (en) * 1990-08-24 1991-12-24 The Procter & Gamble Co. Disposable undergarment having a break-away panel
JP2988541B2 (ja) 1991-06-19 1999-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EP0680301B1 (en) 1992-10-27 1997-09-24 PROCTER & GAMBLE FAR EAST, INC. Disposable diaper with fully elasticized waist opening
US5662638A (en) * 1995-10-10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ngeless seam for use in disposable articles
ES2156294T3 (es) * 1995-10-10 2001-06-16 Procter & Gamble Costura sin pestaña para uso en articulos desechables y metodo de fabricacion.
BR9915846A (pt) * 1998-12-18 2002-07-30 Kimberly Clark Co Artigo absorvente com costuras religáveis não irritantes
US6352528B1 (en) * 1999-11-22 2002-03-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hidden graphics
JP4540215B2 (ja) * 2000-11-20 2010-09-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5628B2 (ja) * 2003-08-19 2011-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727265B2 (ja) * 2005-03-17 2011-07-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4705405B2 (ja) * 2005-04-27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371147B2 (ja) 2007-03-15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波長板ならびに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6004A (ja) 2006-12-28
TWI295569B (en) 2008-04-11
TW200718405A (en) 2007-05-16
EP1891920A1 (en) 2008-02-27
EP1891920B1 (en) 2012-09-26
KR101066671B1 (ko) 2011-09-21
EP1891920A4 (en) 2011-08-31
WO2006134894A1 (ja) 2006-12-21
US7717896B2 (en) 2010-05-18
JP4678721B2 (ja) 2011-04-27
CN101170980A (zh) 2008-04-30
CN101170980B (zh) 2011-02-16
US20060282057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671B1 (ko) 일회용 팬티형 착용물품
JP3699331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246464B1 (ko) 일회용 기저귀
EP2484323B1 (en) Absorptive article
JP3699328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TWI463971B (zh) Wearing items
KR20080019004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TW200800120A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
TWI538665B (zh) 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4004212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077814A1 (ja) 使い捨てパンツ
KR19980081789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WO2013084915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02446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20033556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N1988866B (zh) 一次性内裤
JP557200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3997998B (zh) 一次性穿着物品
JP4249097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557558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WO2006057301A1 (ja) 使い捨てパンツ
JP2000210330A (ja) ウイング付き生理用ナプキン
JP4653519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45765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385201B2 (ja) 使い捨ての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