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1992A -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 Google Patents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992A
KR20080031992A KR1020087004945A KR20087004945A KR20080031992A KR 20080031992 A KR20080031992 A KR 20080031992A KR 1020087004945 A KR1020087004945 A KR 1020087004945A KR 20087004945 A KR20087004945 A KR 20087004945A KR 20080031992 A KR20080031992 A KR 2008003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link
jaw
link
crusher
cross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448B1 (ko
Inventor
토오루 나카야마
료이찌 토가시
켄타로 이토
코우조 수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4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조 크러셔를 1쌍의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가 설치된 크러셔 프레임과, 고정 조와, 측벽 플레이트간에 요동 가능하게 가설된 스윙 조와, 외측의 일단이 측벽 플레이트에 축지지되고, 내측의 타단이 크로스 멤버에 설치된 주지지부에 축지지되고, 또한 서로 일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1쌍의 토글 링크 핀과, 토글 링크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링크를 포함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를 구비해서 구성하고, 토글 링크 핀의 타단을 축지지하는 크로스 멤버의 상기 주지지부를 상자 형상으로 하였다.
Figure P1020087004945
조 크러셔, 자주식 파쇄기

Description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JAW CRUSHER AND SELF-TRAVELING CRUSHER}
본 발명은 조 크러셔 및 이 조 크러셔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정 조에 대하여 스윙 조를 요동시킴으로써 원재료를 파쇄하는 조 크러셔가 알려져 있다. 고정 조 및 스윙 조는 크러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고정 조, 스윙 조, 및 크러셔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원재료를 투입해서 스윙 조를 요동시킴으로써 고정 조와 스윙 조 사이에서 원재료가 파쇄된다.
이러한 조 크러셔는 원재료의 파쇄시의 반력을 스윙 조측에 설치된 반력 수용 링크 기구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반력 수용 기구는 예컨대, 일단이 스윙 조의 배면 부분에 록킹된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와, 링크 플레이트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또한 고정 링크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토글 링크(toggle link)와, 하단이 토글 링크에 연결된 록 실린더(lock cylinder)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또한, 반력 수용 링크 기구에 있어서 토글 링크의 회전축인 토글 링크 핀은 2분할 타입으로 되고, 조 크러셔의 폭방향을 따라 직렬로 1쌍 배치되어 있다. 각 토글 링크 핀의 외측의 일단은 크러셔 프레임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내측의 타단은 양측의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에 늘어뜨려 설치된 판형상의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다. 각 토글 링크 핀의 일단을 측벽 플레이트로 지지시킴으로써 토글 링크 핀을 측벽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그대로 빼낼 수 있어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4-174450호 공보
그런데, 토글 링크 핀은 보수 관리성을 고려해서 그 외측의 단부가 측벽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측벽 플레이트는 또한, 크러셔 프레임의 일부이며 고강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부를 강도적으로 우위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 구조는 토글 링크 핀의 일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반면, 내측의 타단이 판형상의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외측과 내측에서는 강도적인 밸런스가 잡혀져 있다고는 말할 수 없고,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 브래킷을 두껍게 할 필요가 있는 등, 경량화가 요구되는 소형의 조 크러셔에는 맞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글 링크 핀의 착탈을 쉽게 해서 보수 관리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량 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키는 일 없이 토글 링크 핀의 외측과 내측을 강도적으로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는 조 크러셔, 및 이것을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의 조 크러셔는, 1쌍의 측벽 플레이트, 이들 1쌍의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배벽(背壁) 플레이트 및 크로스 멤버로 구성된 크러셔 프레임과, 상기 배벽 플레이트에 부착된 고정 조와, 상기 측벽 플레이트간에 요동 가능하게 가설된 스윙 조와, 일단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크로스 멤버에 설치된 주지지부에 축지지되고, 일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1쌍의 토글 링크 핀과, 상기 토글 링크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링크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글 링크 핀의 타단을 축지지하는 크로스 멤버는 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조 크러셔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수용 링크 기구는 피스톤 선단이 연결축을 통해서 상기 토글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록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주지지부는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스윙 조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지지부가 설치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는 상기 1쌍의 록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조 크러셔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글 링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소정 방향으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조 크러셔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수용 링크 기구는 일단측이 상기 스윙 조의 배면 부분에 록킹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상기 1쌍의 토글 링크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1쌍의 암(arm)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 실린더의 연결축에 대한 연결 중심은 상기 토글 링크 핀에 대한 상기 암부의 지지 중심보다 축선 방향의 내측으로 어긋나 있고, 이 어긋남에 의해 생기는 상기 측벽 플레이트 및 상기 토글 링크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바이어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는,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의 조 크러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있어서, 제 1 발명에 의하면, 토글 링크를 지지하는 1쌍의 토글 링크 핀에 있어서 그 외측의 단부는 측벽 플레이트에서 견고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그 내측의 단부도, 종래와 같은 크로스 멤버의 판형상의 브래킷이 아니라, 크로스 멤버에 일체로 설치된 고강성의 상자 형상의 주지지부에서 견고하게 축지지되므로, 특단의 보강을 행하지 않고 토글 링크 핀의 양단을 강도적으로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고,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다. 물론, 각 토글 링크 핀의 외측의 일단은 측벽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토글 링크 핀을 측벽 플레이트로부터 떼어내면, 외측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그대로 갖는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가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강성이 높으므로, 이 크로스 멤버를 록 실린더의 지지부로서 이용할 수 있고, 록 실린더를 지지하는 특별한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조 크러셔를 구성하는 부품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토글 링크의 외측면에 바이어싱 기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조 크러셔의 외측으로부터 바이어싱 기구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록 실린더의 연결축에서의 연결 중심과, 토글 링크에서의 토글 링크 핀으로의 지지 중심이 어긋나 있고, 이 어긋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바이어싱 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글 링크의 양측에 바이어싱 기구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링크 플레이트를 그 양측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의 조 크러셔를 구비함으로써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자주식 파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크러셔 프레임에 토글 링크를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크러셔 프레임 및 토글 링크의 요부의 평단면도이며, 도 2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크러셔 프레임 및 토글 링크의 다른 각도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2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크러셔 프레임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주식 파쇄기 30 : 조 크러셔
31 : 측벽 플레이트 32 : 배벽 플레이트
33 : 크로스 멤버 34 : 크러셔 프레임
35 : 고정 조 36 : 스윙 조
60 : 반력 수용 링크 기구 61 : 링크 플레이트
63 : 토글 링크 핀 64 : 토글 링크
65 : 록 실린더 70 : 바이어싱 기구
332 : 주지지부 646 : 암부
650 : 연결축 C1 : 지지 중심
C2 : 연결 중심
〔전체 구성의 개략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주식 파쇄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중 우측을 전방측, 좌측을 후방측이라고 한다.
자주식 파쇄기(1)는 1쌍의 하부 주행체(11)를 구비한 본체부 유닛(10)과, 본체부 유닛(10) 상의 후방측에 탑재되며 원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 유닛(20)과, 공급부 유닛(20)의 전방측에 탑재된 조 크러셔(30)와, 조 크러셔(30)의 더욱 전방측에 탑재된 파워 유닛(40)과, 본체부 유닛(10)의 하방에서 1쌍의 크롤러(18) 사이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연장된 배출 컨베이어(5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유닛(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된 좌우의 측방 프레임을 복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한 메인 프레임(트럭 프레임)(14)을 구비하고, 각 측방 프레임의 하부측에 상기 하부 주행체(11)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1)는 전방부의 유압 모터(15)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킷(16) 및 후방부의 아이들러(17)에 크롤러(18)를 감게 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부 주행체(11)에는 상측 트랙롤러(track roller)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하부 주행체(11)의 상부측에 있어서 크롤러(18)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제의 가이드 플레이트(19)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드된다. 이 때문에, 하부 주행체(11)의 상부측에서는 크롤러(18)의 높이 레벨이 종래 기종에 비해서 낮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메인 프레임(14)의 측면에 설치된 내부 침입용의 보수 관리용 개구(14A)도 종래의 기종에 비해 낮은 위치에 개구되어 있고, 또한, 메인 프레임(14)의 높이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단, 배출 컨베이어(50)의 상면으로부터 조 크러셔(30) 하면까지의 높이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 크러셔(30) 자신의 설치 높이는 거의 종래와 바뀌지 않는다. 즉, 조 크러셔(30)의 하부측은 메인 프레임(14)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지만, 메인 프레 임(14)이 낮아짐으로써 그 수용량이 적게 되어 있고, 그 만큼 조 크러셔(30)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노출되는 부분이 많으면 보수 관리용 개구(14A) 내에 침입해서 행하는 작업을 적게 할 수 있고,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급부 유닛(20)은 후방으로 돌출한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가 적재되고, 이 그리즐리 피더가 진동장치(25)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즐리 피더의 상부에는 그 주위의 세방면을 둘러싸도록 호퍼(26)가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 이 호퍼(26) 내에 원재료가 투입된다. 또한, 그리즐리 피더의 하부에는, 그리즐리에 의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원재료를 하방의 배출 컨베이어(50)에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 슈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4) 상에는 적절한 적재용 브래킷이나 크로스 멤버를 통해서 엔진, 유압 펌프, 연료 탱크, 및 작동 오일 탱크 등으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40)이 적재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하부 주행체(11)의 유압 모터나, 그리즐리 피더의 진동장치(25), 조 크러셔(30)의 유압 모터, 및 배출 컨베이어(50) 구동용 유압 모터 등에 분배하는 컨트롤 밸브가 상기 파워 유닛(4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배출 컨베이어(50)는 조 크러셔(30)의 출구로부터 낙하된 파쇄물을 전방으로 배출하고,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시켜서 퇴적시키거나 한다. 또한, 원재료로서 철근이나 금속편 등의 이물이 포함될 경우에는 배출 컨베이어(50)의 전방부측에 자선 기(磁選機)(28)(도 1 참조)를 부착하여 이 이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 컨베이어(50)로부터의 파쇄물을 지상에 퇴적시키는 것이 아니라, 2차 컨베이어나 3차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까지 반송하는 경우도 있다.
조 크러셔(30)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 플레이트(31)를 복수의 리브로 보강된 배벽 플레이트(32) 및 크로스 멤버(33)로 연결한 크러셔 프레임(34)을 구비하고, 배벽 플레이트(32)의 내측에는 고정 조(35)가 부착되고, 고정 조(35)의 대향측에는 톱니면이 대략 연직으로 돌출된 스윙 조(36)가 배치되어 있다. 스윙 조(36)는 그 상부측이 측벽 플레이트(3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가설된 메인 축(37)의 편심부에 매달려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측이 파쇄시의 반력을 수용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바이어싱 기구(70)에 의해 항상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여기서,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일단이 스윙 조(36)의 배면 부분에 록킹된 링크 플레이트(61)와, 링크 플레이트(61)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또한 토글 링크 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토글 링크(64)와, 하단이 토글 링크(64)에 연결된 록 실린더(65)로 대략 구성되고, 이 록 실린더(65)가 크로스 멤버(33)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 실린더(65)의 로드(66)를 진퇴시킴으로써 각 조(35,36)의 하단간의 출구 간극(W)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록 실린더(65)의 구동에 의해 토글 링크(64) 및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스윙 조(36)를 고정 조(35)에 근접 이간시키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바이어싱 기구(70)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의 양측에 1쌍 배치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윙 조(36)측에 축지지된 텐션 로드(73)와, 이 텐션 로드(73)를 소정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텐션 스프링(74)으로 대략 구성되고, 이들 텐션 로드(73) 및 텐션 스프링(74)이 상술한 토글 링크(64)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조 크러셔(30)에서는 고정 조(35), 스윙 조(36), 및 크러셔 프레임(34)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의해 파쇄실(34A)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 축(37)의 일단에 설치된 풀리(38)를 V벨트를 통해서 유압 모터로 구동하면, 메인 축(37)의 회전에 의해 스윙 조(36)가 요동 링크로서 기능하고, 고정 조(35)와의 사이에서 파쇄실(34A) 내의 원재료를 파쇄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조 크러셔(30)는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의 톱니면에 대하여 근접할 때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스윙하도록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가 다운 스러스트 타입(down thrust type)으로 되어 있다.
〔조 크러셔의 상세설명〕
이하에, 조 크러셔(3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도 6에 있어서 조 크러셔(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벽 플레이트(32)에 고정된 고정 조(35)와, 이 고정 조(35)에 대하여 요동하는 스윙 조(36)를 구비하고 있다. 스윙 조(36)의 배면에는 스윙 조(36)의 반력을 수용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와, 스윙 조(36)를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측에 소정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플레이트(61)와, 토글 링크(64)와, 록 실린더(65)를 구비한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61)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윙 조(36) 배면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접촉되는 판형상 부재이며,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가 다운 스러스트 타입이 되도록 스윙 조(36)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접촉되어 있다. 이 링크 플레이트(61)의 일단은,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윙 조(36) 배면에 설치된 접촉부(361)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61)의 타단은 토글 링크(64)에 설치된 접촉부(641)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61)는 스윙 조(36) 및 토글 링크(64) 사이에 끼움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부(361,641)에는 단면 대략 원호 오목 형상의 오목 형상부(362,642)가 형성되어 있고, 링크 플레이트(61)는 오목 형상부(362,642)의 원호 중심을 각각의 요동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글 링크(64)는 측벽 플레이트(31)의 내측에 설치되고, 텐션 스프링(74)이 부착되는 부착부(64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토글 링크(64)는 토글 링크 핀(63)에 축지지되어 있다.
록 실린더(65)는 토글 링크(64)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술한 로드(66)와, 이 로드(66)를 진퇴시키기 위한 실린더 본체(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록 실린더(65)는 로드(66)가 실린더 본체(67)의 하방측이 되도록 세워 설치되고, 로드(66)의 하단이 토글 링크(64)의 전방측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67)에 있어서 로드(66)가 진퇴하는 측의 단부 근방, 즉 하단측(헤드측)은 크 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록 실린더(65)에서는 로드(66) 또는 로드(66) 단부의 피스톤이 실린더 본체(67)와의 사이에서 단단히 끼워져 있고, 통상 양자가 록킹되어 있다. 로드(66)를 통해서 이 단단히 끼워진 부분에 유압을 도입하면 실린더 본체(67)의 둘레벽이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것에 의해 양자의 저항이 저감해서 록킹이 해제되고, 로드(66)를 실린더 본체(67)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66)를 실린더 본체(6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에 의하면, 원재료의 파쇄시에 발생되는 반력은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토글 링크(64)의 토글 링크 핀(63)과, 크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의해 수용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록 실린더(65)의 피스톤 및 실린더 본체(67) 사이에 유압을 도입해서 록킹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로드(66)를 진퇴시키면, 토글 링크(64) 및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스윙 조(36)가 이동해서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된다. 즉, 이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바이어싱 기구(70)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토글 링크(64)의 양측 외측면, 즉 스윙 조(36)의 폭방향 양단측에 1쌍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바이어싱 기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로드(73)와, 텐션 스프링(74)을 구비하고 있다.
텐션 로드(73)의 일단은 스윙 조(3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텐션 로드(73)의 타단은 토글 링크(64)의 부착부(644)를 관통해서 일단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텐션 로드(73)는 텐션 스프링(74)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이 텐션 스프링(74)은 선단이 텐션 로드(73)에 나선 결합된 접촉부(731)에 접촉되고, 기단이 부착부(644)에 고정된 접촉부(732)에 접촉됨으로써, 텐션 로드(73)를 토글 링크(64)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싱 포오스(인장력)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즉, 텐션 스프링(74)은 텐션 로드(73)를 통해서 스윙 조(36)를 토글 링크(64)측으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이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61)는 스윙 조(36) 및 토글 링크(64)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측벽 플레이트(31) 내면에 있어서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의 대략 삼각형의 영역에는 티크 플레이트(teak plate)(311)가 부착되어 있다. 티크 플레이트(311)는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이며 상하 2장으로 분할되어 있다. 고정 조(35)의 폭방향 양측에는 티크 플레이트(311)를 가이드하는 돌기부(39)(도 7)가 하방을 향해 고정 조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티크 플레이트(311)는 이 돌기부(39)에 접촉해서 가이드됨으로써 측벽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어느 정도 위치 결정되고, 설치 볼트(312)에 의해 측벽 플레이트(31)에 부착되어 있다. 설치 볼트(312)의 머리부는 티크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오목부(313)에 수납됨으로써 티크 플레이트(3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원재료와 설치 볼트(312)의 직접 마찰이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스윙 조(36)는 메인 축(3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윙 조 본체(363)와, 스윙 조 본체(363)에 부착된 동치(動齒)(364)를 구비하고 있다. 동치(364)의 상면과 스윙 조 본체(363) 사이에는, 도 4~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 이, 동치(364)를 스윙 조 본체(363)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쐐기(80)가 설치되어 있다. 쐐기(80)에는 쐐기(80)가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측까지 스윙 조 본체(363)를 관통하는 쐐기 볼트(83)가 삽입되어 있다. 쐐기 볼트(83)의 선단에 부착된 스프링(84)에 의해 쐐기(80)는 스윙 조 본체(363)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토글 링크 지지구조의 상세설명〕
이하에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를 구성하는 토글 링크(64)의 크러셔 프레임(34)에서의 지지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크러셔 프레임(34)에 토글 링크(64)를 맞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크러셔 프레임(34) 및 토글 링크(64)의 요부의 평단면도이고, 도 2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크러셔 프레임(34) 및 토글 링크(64)의 다른 각도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2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크러셔 프레임(34)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33)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크러셔 프레임(34)은, 도 7~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쌍의 측벽 플레이트(31)와, 이들 측벽 플레이트(31)를 연결하는 배벽 플레이트(32) 및 크로스 멤버(33)로 구성되어 있다. 토글 링크(64)를 축지지하는 토글 링크 핀(63)은 크러셔 프레임(34)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 축선 상에 직렬적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토글 링크 핀(63)의 외측의 단부(63A)는 크러셔 프레임(34)의 측벽 플레이트(31)에 축지지되고, 내측의 단부(63B)는 크로스 멤버(33)의 일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측벽 플레이트(31)의 내측에는 토글 링크 핀(63)의 단부(63A)를 충분한 길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블록(314)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토글 링크 핀(63)에서는 외측의 단부(63A)의 플랜지(63C)가 측벽 플레이트(31)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이 볼트를 떼어냄으로써 외측으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토글 링크 핀(63)은, 도 2,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플레이트(31)에 설치된 설치용 리브(31B)의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설치용 리브(315)를 메인 프레임(14)의 상부에 부착함으로써 조 크러셔(30)를 적재할 때에는 토글 링크 핀(63)은 외부로부터 착탈가능한 위치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토글 링크(64)는 중공부를 갖는 주조품이고, 상면에 형성된 경량화용 개구(64A), 및 하면에 형성된 모래 빼냄용 개구(64B)를 가진 본체부(645)와, 본체부(645)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된 1쌍의 암부(646)와, 본체부(645)로부터 대략 똑바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편부(647)를 가진 형상이다.
본체부(645)는 측벽 플레이트(31)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좌우의 측벽 플레이트(31)와의 사이에는 바이어싱 기구(70)의 텐션 로드(73), 텐션 스프링(74), 및 이들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644)가 배치되는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암부(646)는 전방측을 향해 확대 개방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이들 암부(646)의 선단측이 토글 링크 핀(63)에 지지되어 있다. 즉, 암부(646)의 선단측에는 지지구멍(648)이 형성되고, 이 지지구멍(648) 내에는 라이너(649)를 통해서 토글 링크 핀(63)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지지편부(647)에는 록 실린더(65)(도 8)의 로드(66)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 축(650)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646)가 본체부(645)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확대 개방해서 연장되고, 지지편부(647)가 본체부(645)로부터 전방측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축(650)에서의 연결 중심(C2)은 토글 링크 핀(63)의 지지 중심(C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들 중심(C1,C2)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이어싱 기구(70) 배치용 공간을 양측에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이어싱 기구(70)가 토글 링크(64)의 양측에 설치됨으로써 링크 플레이트(61)(도 3)를 그 폭방향의 양단에서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고, 파쇄시의 편하중에 대해서 토글 링크(64)를 비트는 힘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링크 플레이트(61)가 흔들리거나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33)도 중공의 주조품이고, 양측의 측벽 플레이트(31)에 설치된 설치 개구(31A)에 끼워 넣어져 주위가 용접되거나 하는 통형상의 본체부(330)와, 본체부(330)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각 토글 링크 핀(63)의 내측의 단부(63B)를 지지하는 주지지부(332)를 가진 형상이다. 본체부(330)의 양측의 개구부(330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 플레이트(333)의 용착 등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본체부(330)의 배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 실린더(65)를 지지하는 지지부(3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체가 중공으로 된 크로스 멤버(33)에 있어서 토글 링크 핀(63)을 지지하는 주지지부(332)는 상자 형상으로 되고, 주지지부(332)에 형성된 지지구멍(334) 둘레의 강성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지지부(332)는 지지구멍(334)이 형성된 양측의 측면부(335)와, 양측면부(335)의 상측간을 덮는 상면 부(336)와, 양측면부(335)의 하측간을 덮는 하면부(337)를 갖고, 상면부(336) 및 하면부(337)가 전방측의 곡면부(338)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이 강성 향상에 의해, 토글 링크 핀(63)의 내측의 단부(63B)와 외측의 단부(63A)의 지지 강도를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고, 토글 링크 핀(63)의 양단(63A,63B)을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주지지부(332)가 상자 형상이며 고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측면부(335)의 지지구멍(334) 둘레를 토글 링크 핀(63) 지지용으로 두껍게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그 밖의 부분, 즉 상면부(336), 하면부(337), 및 곡면부(338) 등의 두께를 얇게 해서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전체가 중공인 크로스 멤버(33)는 전체가 이형의 상자 형상이다라고 해도 전체의 박육화에 의한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파쇄시의 반력에 의한 크로스 멤버(33)의 비틀림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파쇄 입경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록 실린더(65)의 연결축(650)에서의 연결 중심(C2)은 토글 링크 핀(63)의 지지 중심(C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중심(C2)의 상방의 크로스 멤버(33)에서는 록 실린더(65)를 지지하고 있는 1쌍의 양 지지부(331)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1쌍의 록 실린더(65) 각각에 입력되는 외력이 평균화되고, 록 실린더(65)의 쓸데없는 미끄럼이 유발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크로스 멤버(33)의 양 지지부(331)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하중이 집중되기 쉬워지지만, 크로스 멤버(33) 전체가 상자 형상인 것에 의해 강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러한 하중에도 확실하게 저항할 수 있고, 크러셔 프레임(34)의 휨 등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파쇄 입경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조 크러셔의 동작〕
이하에, 조 크러셔(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압 모터의 구동에 의해 풀리(38)를 V벨트를 통해서 회전시켜 메인 축(37)을 회전시키면 메인 축(37)의 편심 부분에 축지지된 스윙 조(36)가 요동한다. 이 때, 스윙 조(36) 하부측은 다운 스러스트 타입의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링크 플레이트(61)가 토글 링크(64)측의 오목 형상부(642)의 원호 중심을 요동 중심으로 해서 요동함으로써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되도록 요동한다. 이 요동 운동에 의해, 스윙 조(36) 및 고정 조(35)는 이들간에 투입된 원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물을 하단간의 출구 간극(W)으로부터 배출 컨베이어(50)에 배출한다.
그리고, 스윙 조(36)가 원재료를 파쇄할 때에 수용하는 반력은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토글 링크(64)의 토글 링크 핀(63)과, 크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스윙 조(36)가 수용하는 반력이 과대할 경우에는 록 실린더(65)의 단단히 끼워진 부분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조 크러셔(30) 본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파쇄된 파쇄물의 입도를 변경할 때에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를 조작한다. 록 실린더(65)의 피스톤 및 실린더 본체(67) 사이에 유압을 도입해서 실린더 본체(67)를 약간 팽창시켜 양자의 저항을 저감하여, 단단히 끼워짐에 의한 록킹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본체(67)의 헤드측 또는 보텀측에 유압을 도입해서 로드(66)를 진퇴시키면, 이것에 따라 토글 링크(64)가 토글 링크 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링크 플레이트(61)가 이동하여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되므로, 이것에 의해 스윙 조(36) 및 고정 조(35)의 하단간의 출구 간극(W)을 조정해서 파쇄물의 입도를 변경한다.
또한, 어떠한 이유로 토글 링크(64)를 조 크러셔(30)로부터 떼어내 보수 관리를 행할 경우에는, 우선, 토글 링크(64)를 임시 적재대 등으로 지지시켜 두고, 바이어싱 기구(70)를 떼어낸 후 이 상태에서 록 실린더(65)의 하부측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650)을 외측으로 빼내 연결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토글 링크 핀(63)을 외측으로 뽑아내서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그리고, 토글 링크(64)를 임시 적재대와 함께 후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떼어낸다. 토글 링크(64)를 맞붙일 때에는 이 반대의 순서로 행한다. 이상에 의해, 조 크러셔(30) 전체를 메인 프레임(14)으로부터 내리지 않고, 토글 링크(64)만을 떼어내서 보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록 실린더(65)의 연결축(650)에서의 연결 중심(C2)은 토글 링크 핀(63)의 지지 중심(C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이들 중심(C1,C2)이 좌우방향(폭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단, 동일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바이어싱 기구(70)를 토글 링크(64)의 양측에 배치하고자 하면, 측벽 플레이트(31)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고, 토글 링크 핀(63)의 길이 도 길게 할 필요가 있어 보다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소형화를 촉진하는 관점으로부터도, 중심(C1,C2)의 위치를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어긋나게 하고, 이 어긋남에 의해 생긴 공간을 이용해서 바이어싱 기구(7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별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수량, 그 외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수량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들의 형상, 수량 등의 한정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에 의한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 조 및 스윙 조를 구비한 죠 크러셔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자주식 파쇄기에 탑재된 조 크러셔에 바람직하다.

Claims (5)

1쌍의 측벽 플레이트, 이들 1쌍의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배벽 플레이트 및 크로스 멤버로 구성된 크러셔 프레임과,
상기 배벽 플레이트에 부착된 고정 조와,
상기 측벽 플레이트간에 요동 가능하게 가설된 스윙 조와,
일단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크로스 멤버에 설치된 주지지부에 축지지되고, 일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1쌍의 토글 링크 핀과,
상기 토글 링크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링크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글 링크 핀의 타단을 축지지하는 크로스 멤버는 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수용 링크 기구는 피스톤 선단이 연결축을 통해서 상기 토글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록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주지지부는 상기 크로스 멤버의 상기 스윙 조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지지부가 설치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는 상기 1쌍의 록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링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소정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수용 링크 기구는,
일단측이 상기 스윙 조의 배면 부분에 록킹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상기 1쌍의 토글 링크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1쌍의 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 실린더의 연결축에 대한 연결 중심은 상기 토글 링크 핀에 대한 상기 암부의 지지 중심보다 축선 방향의 내측으로 어긋나 있고;
이 어긋남에 의해 생기는 상기 측벽 플레이트 및 상기 토글 링크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바이어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 크러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KR1020087004945A 2005-08-29 2006-08-24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8006 2005-08-29
JPJP-P-2005-00248006 200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992A true KR20080031992A (ko) 2008-04-11
KR100937448B1 KR100937448B1 (ko) 2010-01-19

Family

ID=3780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448B1 (ko) 2005-08-29 2006-08-24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08218B2 (ko)
JP (1) JP4750121B2 (ko)
KR (1) KR100937448B1 (ko)
CN (1) CN100586573C (ko)
DE (1) DE112006002283T5 (ko)
FI (1) FI120862B (ko)
GB (1) GB2444218B (ko)
WO (1) WO2007026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9903B2 (ja) * 2005-08-29 2012-02-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EP2675564A1 (en) * 2011-02-15 2013-12-25 Metso Minerals, Inc. Movable process device for mineral material processing
CN102494931A (zh) * 2011-12-12 2012-06-13 长沙开元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颚式破碎旋转槽型缩分联合制样机
EP2644275B1 (en) 2012-03-29 2015-10-0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Jaw crusher
CN103706422A (zh) * 2012-10-02 2014-04-09 义乌市多方联矿机超市有限公司 一种用于颚式破碎机的铰接式肘杆
CN103008045A (zh) * 2013-01-18 2013-04-03 贵州成智重工科技有限公司 颚式破碎机拉杆弹簧机构
FI125062B (fi) * 2013-12-05 2015-05-15 Metso Minerals Inc Jousen kiristyslaite, leukamurskain,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ja menetelmä palautintankoa kuormittavan jousen supistamiseksi tai laajentamiseksi leukamurskaimessa
FI125063B (fi) 2013-12-05 2015-05-15 Metso Minerals Inc Kiristyselin, kiristyslaite, leukamurskain,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ja menetelmä kulutusosan kireyden säätämiseksi
CN104646088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颚破机机架
CN104689873A (zh) * 2015-02-16 2015-06-10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颚式石料破碎机
CN104646098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颚式破碎机的定颚架
CN107297232B (zh) * 2017-07-21 2022-09-06 能诚集团有限公司 颚式破碎机
CN109847831B (zh) * 2018-11-30 2020-09-22 沂南县宝石硅砂有限公司 一种瞬时冲击辅助式鄂式破碎板
CN109766591B (zh) * 2018-12-20 2022-11-22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履带式战车活动横梁轻量化设计方法
US11602755B2 (en) 2019-08-27 2023-03-14 Eagle Crusher Company, Inc. Crusher with resettable relief system
CN112808355B (zh) * 2020-12-22 2022-07-29 寿县安固建材有限公司 一种煤矸石砖烧结前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182A (ja) 1992-09-16 1994-04-05 Kobe Steel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JP2515617Y2 (ja) * 1993-07-23 1996-10-30 株式会社秋田機械工業所 横型自動間隙調整装置
JP2003053203A (ja) 2001-08-16 2003-02-25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KR200306703Y1 (ko) 2002-11-26 2003-03-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KR200306701Y1 (ko) 2002-11-26 2003-03-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JP4109539B2 (ja) 2002-11-28 2008-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破砕機
JP4119231B2 (ja) * 2002-11-28 2008-07-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
JP4879903B2 (ja) 2005-08-29 2012-02-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448B1 (ko) 2010-01-19
FI120862B (fi) 2010-04-15
DE112006002283T5 (de) 2008-06-26
WO2007026590A1 (ja) 2007-03-08
GB2444218A (en) 2008-05-28
FI20085245L (fi) 2008-03-27
JP4750121B2 (ja) 2011-08-17
CN100586573C (zh) 2010-02-03
CN101252995A (zh) 2008-08-27
JPWO2007026590A1 (ja) 2009-03-26
US20090152387A1 (en) 2009-06-18
US7708218B2 (en) 2010-05-04
GB2444218B (en) 2009-02-18
GB0805499D0 (en)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448B1 (ko)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KR100937454B1 (ko)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JP5548632B2 (ja) 開放チャネルを有するスパイダアームを備えたスパイダ
US6752339B2 (en) Mobile crushing apparatus
KR100987690B1 (ko) 조크러셔
BR112016021361B1 (pt) Britador de mandíbulas e unidade de britagem
KR101018767B1 (ko) 죠 크러셔
EP2662141B1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KR100530588B1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JP4098605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4669761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JP4746064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破砕機
KR200309069Y1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JP2004174449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4071608B2 (ja) 自走式破砕機
JP2004174454A (ja) 自走式破砕機
JP2014097052A (ja) コンバイン
JP2004174457A (ja) 自走式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