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248A - 차량용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5248A KR20080025248A KR1020060089817A KR20060089817A KR20080025248A KR 20080025248 A KR20080025248 A KR 20080025248A KR 1020060089817 A KR1020060089817 A KR 1020060089817A KR 20060089817 A KR20060089817 A KR 20060089817A KR 20080025248 A KR20080025248 A KR 200800252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
- pipe
- circumferential surface
- rubber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16F1/3849—Mounting brackets therefor, e.g. stamped steel brackets; Restraining l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6/00—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 F16F6/005—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using permanent magnet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시에 영구자석을 적용하여 진동 발생 시 고무의 탄성력과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빠르게 저감시키고, 고무의 인장, 압축, 비틀림에 대한 피로 강성을 줄여 차량의 조종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외통을 형성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내통을 형성하며,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사이에서 상기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부시고무와, 상기 부시고무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사이에서 내주면이 상기 부시고무의 외주면에 접착되고 외주면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영구자석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시를 제공한다.
부시, 영구자석링, 부시고무, 인너 파이프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웃터 파이프 3 ; 인너 파이프
5 ; 부시고무 7 ; 영구자석링
본 발명은 차량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터 파이프와 부시고무 사이에 영구자석링을 구성하고, 인너 파이프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하여 부시고무의 탄성력과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는 차량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부시는 차체와 현가계 부품의 연결부에 사용되어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의 진동전달 특성이나 차량의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의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부시는 주행 중, 타이어를 통해 들어오는 횡력, 전후력, 상하력을 지지하여 타이어의 이상거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사시도로서, 종래의 부시(100)는 외통을 형성하는 아웃터 파이프(101; Outer Pipe)와 내통을 형성하는 인너 파이프(103; Inner Pipe)가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 파이프(101)와 인너 파이프(103)의 사이에는 부시고무(105)가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부시고무(105)는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해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시(100)는 주행 시, 노면의 요철변화에 따른 위치변화와 비틀림 변위, 충격흡수 및 지지를 위한 자체의 강성 및 내구성의 지속적인 유지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부시(100)의 3축 방향, 즉 축 방향과 축 직각방향 및 비틀림 방향의 힘에 대한 강성과, 노면 변화에 의한 차륜의 상하운동으로 발생되는 축 직각 방향의 입력하중에 대한 충격 흡수 및 지지, 축 방향에 대한 요동 및 회전에 대한 강성은 모두 부시고무 자체의 탄성 및 감쇄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비틀림, 순간적인 변위 입력에 의한 부시고무의 인장, 압축, 비틀림에 대하여 피로 강성에 여전히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피로 강성의 문제는 순간적인 큰 입력과 지속적인 변위 때문에 부시고무 자체는 그 변형이 누적되고, 변형이 가장 큰 집중 변형 부분에서 피로 균형 이 발생됨에 따라 조기 파손 및 노이즈 발생 등의 내구성 문제로 차량의 조종 안전성은 물론, 승차감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부시에 영구자석링을 적용하여 진동 발생 시, 부시고무의 탄성력과 영구자석간의 자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빠르게 저감시키고, 부시고무의 인장, 압축, 비틀림에 대한 피로 강성을 줄여 차량의 조종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부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시에 있어서, 외통을 형성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내통을 형성하며,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사이에서, 상기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부시고무; 상기 부시고무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사이에서, 내주면이 상기 부시고무의 외주면에 접착되고, 외주면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영구자석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시의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터 파이프(1), 인너파이프(3), 부시고무(5) 및 영구자석링(7)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아웃터 파이프(1)는 부시의 외통의 역할을 하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파이프(1)의 내부에는 인너 파이프(3)가 구성되는데, 이 인너 파이프(3)는 부시의 내통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아웃터 파이프(1)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관으로 형성되며, 그 소재를 영구자석으로 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고무(5)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와 상기 인너 파이프(3)의 사이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인너파이프(3)의 외주면에 가류 접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링(7)은 상기 부시고무(5)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1) 사이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부시고무(5)의 외주면에 가류 접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1)의 내주면에 가류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링(7)과 상기 인너 파이프(3)의 상호 대응하는 면은 동일 극성 또는 반대의 극성을 띠도록 형성되어, 상호간에 반발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부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 파이프(3)의 내측 일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인너 파이프(3)가 이동되어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부시고무(5)의 탄성력은 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영 구자석링(7)과 인너 파이프(3) 사이에 자력, 즉 반발력 또는 인력이 상기 부시고무(5)의 탄성력과 함께 인너 파이프(3)의 복원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부시에 의하면, 부시고무(5)의 탄성력과 함께, 인너 파이프(3)와 영구자석링(7)간에 작용하는 자력이 차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빠르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시에 의하면, 영구자석링을 아웃터 파이프와 부시고무 사이에 구성하고, 인너 파이프는 영구자석으로 형성하여 부시고무 자체의 탄성 및 감쇄 특성과 함께, 영구자석간의 자력을 같이 사용하여 부시고무의 피로 강성을 줄이고, 진동을 빠르게 저감시켜 차량의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차량용 부시에 있어서,외통을 형성하는 아웃터 파이프;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내통을 형성하며,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사이에서, 상기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부시고무;상기 부시고무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사이에서, 내주면이 상기 부시고무의 외주면에 접착되고, 외주면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영구자석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영구자석링과 상기 인너 파이프의 상호 대응하는 면은 서로 반대 극성을 띠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영구자석링과 상기 인너 파이프의 상호 대응하는 면은 서로 동일 극성을 띠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817A KR20080025248A (ko) | 2006-09-15 | 2006-09-15 | 차량용 부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817A KR20080025248A (ko) | 2006-09-15 | 2006-09-15 | 차량용 부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248A true KR20080025248A (ko) | 2008-03-20 |
Family
ID=3941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9817A Withdrawn KR20080025248A (ko) | 2006-09-15 | 2006-09-15 | 차량용 부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2524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62587A1 (en) * | 2009-11-20 | 2011-05-26 |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 Compress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
KR101129068B1 (ko) * | 2008-06-03 | 2012-03-23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석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
KR20210038147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화신 | 차량용 부시 |
-
2006
- 2006-09-15 KR KR1020060089817A patent/KR2008002524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068B1 (ko) * | 2008-06-03 | 2012-03-23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석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
WO2011062587A1 (en) * | 2009-11-20 | 2011-05-26 |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 Compress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
US8864119B2 (en) | 2009-11-20 | 2014-10-21 |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 Compress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
US9416837B2 (en) | 2009-11-20 | 2016-08-16 |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 Compress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
EP2501953A4 (en) * | 2009-11-20 | 2018-01-17 |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 Compress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
KR20210038147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화신 | 차량용 부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2710B1 (ko) | 차량용 샤시 부품 연결용 단일축 댐핑 조인트 | |
KR20150118668A (ko) | 트레일링암 부시 | |
KR20080025248A (ko) | 차량용 부시 | |
JP2007333029A (ja) | トルクロッド | |
JP2017067293A (ja) | シャーシ軸受 | |
JP2008128411A (ja) | ストラットアーム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 | |
KR20120033836A (ko) | 유체 봉입형 부시 | |
JP2015068455A (ja) | 防振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トルクロッド | |
KR102771527B1 (ko) | 차량용 스테빌라이저바의 부시 장치 | |
KR102267137B1 (ko) | 차량용 부시 | |
CN105102246A (zh) | 用于将后桥耦连在机动车的车辆结构上的车桥导向轴承 | |
KR102663539B1 (ko) |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부시 장치 | |
JP6793011B2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JP2011214587A (ja) | シリンダ装置 | |
KR100542899B1 (ko) | 볼조인트형 자동차용 부시 | |
KR20140062628A (ko) | 부시 구조 | |
KR20110132743A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 |
KR20180068573A (ko) |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 |
KR100705081B1 (ko) | 리프 스프링의 차체 연결구조 | |
JP2009085300A (ja) | アッパーサポート | |
KR20040033803A (ko) |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 |
KR101284874B1 (ko) | 부시 및 이를 이용한 마운팅 유닛 | |
KR102261282B1 (ko) |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 | |
JP6297077B2 (ja) | 車両懸架装置 | |
JP2006315435A (ja) | サスペンション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