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8202A -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202A
KR20080018202A KR20077029785A KR20077029785A KR20080018202A KR 20080018202 A KR20080018202 A KR 20080018202A KR 20077029785 A KR20077029785 A KR 20077029785A KR 20077029785 A KR20077029785 A KR 20077029785A KR 20080018202 A KR20080018202 A KR 20080018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address
service
cont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2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918B1 (ko
Inventor
나쿨 듀갈
쿠마르 조디프라가삼
닉힐 제인
폴 이. 제이콥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202,805 external-priority patent/US8589514B2/en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장치들 간의 콘텐츠 전송을 위한 서버 없는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의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제 1 어드레스 및 콘텐츠를 갖는 제 1 무선 장치, 및 제 2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제 1 무선 장치는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한다. 제 2 무선 장치는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제 1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방법 실시예는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2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ER-TO-PEER DATA NETWORKING FOR WIRELESS DEVICES}
35 U.S.C §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05년 5월 20일자 제출된 예비 출원 60/683,38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이로써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장치들에 대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킹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로 개인 연산 장치들은 더 작고 더 강력해졌다. 예를 들어, 현재 각각 작고 가벼우며 사용자가 쉽게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전화, 개인 휴대 단말(PDA) 및 페이징 장치와 같은 무선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개인 연산 장치가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무선 전화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셀룰러폰을 또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많은 셀룰러폰은 연산 용량의 비교적 큰 증가와 함께 제조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소형 개인용 컴퓨터 및 핸드헬드 PDA에 상당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더 작고 더 강력한 개인 연산 장치는 통상적으로 심각하게 자원 제약된다. 예를 들어, 화면 크기, 이용 가능한 메모리 및 파일 시스템 공간의 양, 입출력 용량 및 처리 용량의 양이 각각 장치의 작은 크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심각한 자원 제약 때문에 흔히 예를 들어 이러한 원격 개인 연산 장치,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주하는 한정된 크기 및 양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다른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104),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네트워크,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장치(100, 102) 간에 데이터 파일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무선 장치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종래의 접근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 이전의 무선 장치(100, 102) 간의 데이터 파일 통신은 한 무선 장치로부터 다른 무선 장치로 데이터 파일들을 분산시키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104)에도 접속된 멀티미디어 서버(MMS)(108)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동작은 메시지 시퀀스도의 형태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발신 무선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1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개설하고(시퀀스 단계(21, 22, 23)) 데이터 파일을 MMS(108)로 전송하며(시퀀스 단계(24)), MMS(108)는 목적지, 즉 무선 장치(102)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파일 수신 후, MMS(108)는 예를 들어 단문 서비스(SMS) 메시지를 통해 MMS 상의 데이터 파일 존재를 목적지 무선 장치(102)에 통보한다(시퀀스 단 계(25)).
MMS(108)로부터의 SMS 메시지 수신 후, 무선 장치(102)는 통신 네트워크(1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26, 27, 28)). 데이터 호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102)는 MMS(108)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한다(시퀀스 단계(29)). 데이터 파일의 다운로드 완료 후 무선 장치(102)는 MMS(108)에 확인을 전송한다(시퀀스 단계(30)). 이에 응답하여, MMS(108)는 무선 장치(100)에 확인을 전송함으로써(시퀀스 단계(31)) 지정된 목적지, 즉 무선 장치(102)로의 데이터 파일 전송을 지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장치(100)로부터 무선 장치(102)로의 데이터 파일 전송은 데이터 파일의 저장 및 재전송을 위해 멀티미디어 서버(108)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을 따름으로써, 목적지로의 전송 전에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통신 네트워크(104)와 접속된 MMS(108) 컴퓨터 시스템 형태의 추가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추가로, 데이터 파일의 업로드(무선 장치(100)에서 MMS(108)로의 전송) 및 다운로드(MMS(108)에서 무선 장치(102)로의 전송)에 모두 메시지 시퀀스 단계들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들은 무선 장치들 간의 콘텐츠 전송을 위한 서버 없는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무선 장치들에 대한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관한 시스템 실시예는 제 1 어드레스 및 콘텐츠를 갖는 제 1 무선 장치, 및 제 2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제 1 무선 장치는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무선 장치는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제 1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무선 장치와 제 2 무선 장치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실시예는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추가 방법 실시예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추가 방법 실시예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1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 프로세서 실시예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메모리로부터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 무선 장치 프로세서는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제 2 서비스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1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메모리로부터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로 콘텐츠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장치의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 1 무선 장치와 컴퓨터 플랫폼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은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장치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한 후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컴퓨터 플랫폼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는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제 2 무선 장치의 의도된 목적지를 갖는다.
추가 실시예에서, 컴퓨터 플랫폼과 제 1 무선 장치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은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2 무선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플랫폼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컴퓨터 플랫폼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는 컴퓨터 플랫폼의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이점들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지며,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단순히 실시예들을 실행하고자 하는 최상의 모드의 예시로 도시 및 설명된다. 실현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그 밖의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며, 몇 가지 항목은 실시예들을 벗어나지 않으며 다양한 명백한 관점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별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 및 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서 한정이 아닌 예시로 설명되며,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엘리먼트들은 전반적으로 같은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접근의 통신 네트워크의 고 레벨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접근의 동작에 관한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고 레벨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동작에 관한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무선 장치의 프로세스 흐름의 일부의 고 레벨 기능적 흐름도이다. 도 6은 적어도 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들을 지원하는 무선 장치 구조의 도면이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들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조의 보다 상세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관한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관한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즘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장치들 간 콘텐츠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전용 네트워크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무선 장치들이 콘텐츠, 예를 들어 음성, 텍스트, 비디오 및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교환하기 위한 피어-투-피어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무선 장치들이 서로 다른 서비스, 예를 들어 단문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통신 네트워크(304), 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 GPRS 네트워크, UMTS 네트워크 및 다른 타입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접속된 2개의 무선 장치(300, 302) 간 에 콘텐츠(303),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들을 라우팅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어-투-피어(PTP) 애플리케이션(621), 즉 각 무선 장치(300, 302)에 상주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는 무선 장치(300, 302) 간에 콘텐츠(303)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행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장치(300, 302) 간의 콘텐츠(303) 전달은 전용 네트워크 서버, 예를 들어 MMS(108)(도 1)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어난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장치(302)는 무선 장치(300)로 전달하기 위한 콘텐츠(303)(점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장치(300, 302) 간의 콘텐츠(303) 전송과 관련된 메시지의 전달은 콘텐츠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로부터,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접속 형태로 개별 서비스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단문 서비스(SMS) 메시지 형태로 시그널링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동작을 메시지 시퀀스도 형태로 나타낸다. 발신 무선 장치(300)는 통신 네트워크(3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41, 42, 43)).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하는 동안 무선 장치(300)는 통신 네트워크(304) 상에서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305),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데이터 호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300)에 의한 PTP 애플리케이션(621)의 실행은 무선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304)를 이용하여 메시지(60), 예를 들어 SMS 메시지를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 전송하게 한다.
메시지(60)는 무선 장치(300)에서 무선 장치(302)로 전달될 콘텐츠(303)의, 예를 들어 특정 메시지 제목, 주체, 타입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한 표시를 포 함한다. 메시지(60)는 또한 무선 장치(300)의 어드레스(305)는 물론, 무선 장치 어드레스(305)에서 미리 결정된 제 2 어드레스 또는 서브 어드레스(306), 예를 들어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서브 어드레스(306)는 이러한 콘텐츠 전송을 위해 지정된 설정값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 어드레스(306)는 메시지(60) 전송 전에 결정된 랜덤값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송될 콘텐츠(303)의 표시를 생략하고 무선 장치(302)가 접속하는 어드레스(305)만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메시지(60)는 SMS 메시지와 같은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또 추가 실시예에서, 메시지(60) 콘텐츠는 메시지 콘텐츠의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60) 콘텐츠는 메시지 콘텐츠의 부당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서명된다.
도 4의 메시지 시퀀스도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메시지(60) 수신 후 무선 장치(302)는 통신 네트워크(3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45, 46, 47)).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3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은 메시지(60)의 전송과 다른 서비스,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다. 데이터 호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302)는 통신 네트워크(304)를 이용하여 메시지(60)에 지정된 어드레스(305) 및 서브 어드레스(306)에서 무선 장치(300)와 소켓 접속과 같은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48)). 소켓 접속이란 용어는 고유하게 식별되는 2개의 엔드포인트 간의 통신 접속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접속 설정은 암호화 정보, 예를 들어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의 교환을 포함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암호화 정보의 교환은 메시지(60)의 서비스, 예를 들어 SMS 메시지, 또는 콘텐츠 통신, 예를 들어 바로 위에서 설명한 설정된 데이터 접속을 이용하여 일어난다.
접속이 설정된 후, 각 무선 장치(300, 302) 상의 PTP 애플리케이션(621)이 무선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 접속,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이와 같이, 무선 장치(302)는 설정된 접속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04)를 통해 무선 장치(300)로부터 콘텐츠(303)를 다운로드 한다.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300, 302) 간에 전송되는 콘텐츠(303)는 암호화된다. 무선 장치(300)로부터의 콘텐츠(303) 다운로드 완료 후 무선 장치(302)는 발신 무선 장치에 확인을 전송(시퀀스 단계(50))함으로써 전송 완료를 지시한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300)의 무선 장치 동작의 프로세스 흐름의 일부(502)의 고 레벨 기능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무선 장치(300) 프로세스 흐름은 유휴 상태(504)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프로세스의 흐름 시작시 발신 패킷 데이터 호가 네트워크(304)에 배치되고(도 4의 시퀀스 단계(41)) 흐름은 데이터 호 접속 설정 단계(506)로 전이한다. 단계(506)에서 무선 장치(300)는 도 4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41-43)의 시퀀스를 수행한다.
데이터 호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300)는 네트워크(304)를 이용하여 상술한 메시지(60)를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 전송하고, 프로세스 흐름은 콘텐츠 전송 단계(508)로 전이한다. 도 4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메시지(60)는 설정된 데이터 호 접속으로부터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와 반대로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단계(508)에서 무선 장치(300)는 도 4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48, 49)의 시퀀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에 대해, 무선 장치(300)는 요청 처리 전이(510)를 실행하여 소켓 접속의 수락 및 설정을 취급하고(도 4의 시퀀스 단계(48)) 콘텐츠(303)를 전송한다(도 4의 시퀀스 단계(49)).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부터의 확인 수신 후, 프로세스 흐름은 단계(508)에서 유휴 상태(504)로 전이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완성하기 위해 다른 단계 및 전이의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60)는 지정된 콘텐츠(303)에 대한 다수의 요청 취급을 요구하는 다수의 목적지 무선 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508)에서 단계(504)로의 전이는 전송된 메시지(60) 수 또는 미리 결정된 타임아웃 기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요청 수신 후 일어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300)는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부터의 확인 수신 없이,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가 만료한 이후 등등 단계(508)에서 유휴 단계(504)로 전이한다. 또 추가 실시예에서, 확인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는 대신 메시지(60)와 동일한 서비스, 예를 들어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장치(302)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발신 무선 장치로부터 목적지 무선 장치로의 콘텐츠(303) 전송을 설명하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전송 방향은 다른 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즉, 목적지 무선 장치(302)가 발신 무선 장치(300)에 접속되어 콘텐츠(303)를 전송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무선 장치(300, 302)가 전송될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중간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메시지 시퀀스도로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목적지 무선 장치(302)가 발신 무선 장치(300)에 의한 파일 전송에 이용 불가능한 경우 콘텐츠(303)의 저장을 위한 장애 극복(failover)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플랫폼(612)(후술하는 도 6),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이 사용된다.
발신 무선 장치(300)는 통신 네트워크(3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80, 81, 82)).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하는 동안 무선 장치(300)는 통신 네트워크(304) 상에서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305), 예를 들어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데이터 호 접속,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300)에 의한 PTP 애플리케이션(621)의 실행은 무선 장치가 메시지(60),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SMS 메시지를 무선 장치(302)에 대해 의도된 네트워크(304)(도시 생략)로 전송하게 하지만, 이때 무선 장치(302)는 네트워크(304)에 접속되지 않는다. 메시지(60)는 상술한 바와 같다.
참조 부호(84)로 지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부터의 접속 요청, 예를 들어 도 4의 접속(48) 요청 수신 없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한 후, 무선 장치(300)는 콘텐츠(303)를 컴퓨터 플랫폼(612)으로 전송한다(시퀀스 단계(85)).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303)가 전송되는 컴퓨터 플랫폼(612)은 (둘 다 도 6을 참조로 후술하는) 무선 네트워크(604) 또는 유선 네트워크(616)와 접속하며 네트워크(304)를 통해 무선 장치(300)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장치이다. 즉, 컴퓨터 플랫폼(612)은 발신 무선 장치(300)가 목적지 무선 장치(302)에 예정된 콘텐츠(303)를 전송할 수 있는 장애 극복 옵션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플랫폼(612)은 인터넷과 접속된 사용자 지정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계속하여, 컴퓨터 플랫폼(612)에 전달되는 콘텐츠(303)는 암호화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발신 무선 장치(300)는 메시지(60)와 비슷하며 목적지 무선 장치(302)에 예정된 메시지(62)를 네트워크(304)로 전송한다. 메시지(62)는 콘텐츠(303)가 전송된 컴퓨터 플랫폼(612)의 어드레스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304)와의 접속시 목적지 무선 장치가 컴퓨터 플랫폼으로부터 콘텐츠(303)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컴퓨터 플랫폼(612)으로부터 콘텐츠(303)의 목적지 무선 장치(302)에 의한 검색에 관한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304)는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 메시지(62)를 전송한다(시퀀스 단계(90)). 메시지(62)는 컴퓨터 플랫폼(612)에서 목적지 무선 장치(302)로 전달될 콘텐츠(303)의, 예를 들어 특정 메시지 제목, 주체, 타입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한 표시를 포함한다. 메시지(62)는 컴퓨터 플랫폼(612)의 어드레스(305)는 물론, 컴퓨터 플랫폼에서 미리 결정된 제 2 어드레스도 포함한다.
단문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62) 수신 후 목적지 무선 장치(302)는 통신 네트 워크(304)와의 데이터 호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91, 92, 93)). 데이터 호 접속 설정 후 무선 장치(302)는 통신 네트워크(304)를 이용하여 컴퓨터 플랫폼(612)과의 접속을 설정한다(시퀀스 단계(94)). 접속이 설정된 후 목적지 무선 장치(302)는 PTP 애플리케이션(621)을 실행하여 접속을 이용한 통신을 한다. 이와 같이, 목적지 무선 장치(302)는 컴퓨터 플랫폼(612)으로부터 콘텐츠(303)를 다운로드 한다.
일부 개인 연산 장치들은 때때로 런타임 환경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지칭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하며, API는 이들의 로컬 컴퓨터 플랫폼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장치 지정 자원에 대한 일반화된 호를 제공하는 등으로 이러한 장치의 동작을 간소화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어떤 API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이러한 장치에서 충분히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API 중 일부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특정 연산 장치 시스템 소스 코드를 가질 필요 없이 연산 장치 연산 기능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이용 가능하게 되도록 연산 장치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동작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어떤 API들은 안전한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개인 장치들(즉, 클라이언트)과 원격 장치들(즉, 서버) 간의 보안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는 뒤에 더 상세히 논의하는 이러한 API의 예는 캘리포니아 샌디애고의 Qualcomm, Inc.에 의해 개발된 Wireless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1
에 대한 이진 런타임 환경(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2
)의 버 전들을 포함한다. 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3
는 때때로 연산 장치(통상적으로 무선 셀룰러폰)의 운영 체계 위에 존재하는 박판으로 설명되며, 다른 특징들 중에서도 개인 연산 장치에서 특별히 발견되는 하드웨어 특징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4
는 또한 이러한 장치 자원의 수요에 관해 그리고 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5
API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해 소비자들이 지급하는 가격에 관해 이러한 개인 연산 장치상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적어도 한 가지 이점에 의해 특성화된다. 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6
와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특징들은 무선 서비스 운영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연산 장치 소비자에게 다양한 이득을 제공하는 종단간 소프트웨어 분산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현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종단간 소프트웨어 분산 플랫폼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통해 분산되는 로직을 포함하며, 서버는 예를 들어 과금, 보안 및 애플리케이션 분산 기능을 수행하고,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보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연산 장치에서 실행하는 런타임 환경(API)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사용된다. 이러한 런타임 환경(API) 중 하나는 이전에 논의한 Wireless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7
에 대한 이진 런타임 환경(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8
)이다. 그러나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클라이언트 연산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다른 타입의 런타임 환경(API)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무선 장치(600)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시스템(600)은 무선 통신 포탈 또는 무선 네트워크(604)에 대한 다른 데이터 액세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606)와 무선 네트워크(604)를 통해 통신하는 셀룰러폰(602) 등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클라이언트) 장치는 셀룰러폰(602), 개인 휴대 단말(608), 여기서 양방향 텍스트 호출기로서 도시되는 호출기(610), 또는 심지어 무선 통신 포탈을 갖는 개별 컴퓨터 플랫폼(61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W아치(30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또는 통신 장치, 명령을 실행하고 무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실행 가능한 명령, 콘텐츠(303), 어드레스(305) 및 서브 어드레스(306)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포털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클라이언트 장치, 예를 들어 한정 없이 무선 모뎀, PCMCIA 카드, 개인용 컴퓨터, 액세스 단말, 전화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606)는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504)와 통신하는 다른 컴퓨터 엘리먼트들과 함께 네트워크(606) 상에 도시된다. 독립형 서버(622)가 있을 수 있으며, 각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604)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602, 608, 610, 612)에 개별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600)은 또한 무선 장치(602, 608, 610, 612)에 의해 다운로드 가능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621)을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618)를 포함할 수도 있다(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은 파선으로 무선 장치에 다운로드 가능한 것으로 지시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도 6에 나타낸 구성은 예시일 뿐임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설명한 모든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필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거나, 선택된 기능만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무선 네트워크(604)의 컴포넌트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의 상호 관계를 포함하며, 시스템(600)을 더 충분히 설명하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시스템(600)은 예시일 뿐이며 무선 클라이언트 연산 장치(602, 608, 610, 612) 등의 원격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상호 간에 서로 그리고/또는 한정 없이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 및/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604)에 의해 접속된 컴포넌트들 간에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606) 및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618)는 인터넷, 보안 LAN, WAN 또는 다른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캐리어 네트워크(700)와 통신한다.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618)는 무선 클라이언트 컴퓨터 장치(602, 608, 610, 612) 각각으로의 다운로드를 위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621)을 포함한다. 무선 클라이언트 컴퓨터 장치(602, 608, 610, 612)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618)로부터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621)(파선)의 사본을 다운로드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서버(620)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606), 분산 서버 및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6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서버는 독립 장치일 수도 있다.
다시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캐리어 네트워크(700)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기("MSC")(702)에 전송된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인) 메시지를 제어한다. 캐리 어 네트워크(700)는 다른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POTS("plain ordinary telephone system")와 같은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 MSC(702)와 통신한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700)와 MSC(702) 간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POTS는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702)는 데이터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넷과 음성 정보를 위한 POTS를 모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링크 등에 의해 다수의 기지국("BTS")(704)에 접속될 수 있다. BTS(704)는 궁극적으로 단문 서비스("SMS")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로 셀룰러폰(602)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 무선으로 메시지를 방송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셀룰러폰(602)과 같은 각 무선 장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706)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620) 또는 다른 네트워크 서버(6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706)은 주문형 집적 회로("ASIC")(708) 또는 다른 칩셋,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논리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SIC(708)은 셀룰러폰(602)의 제조시 설치될 수 있다. ASIC(708)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무선 장치의 메모리(712)에서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 예를 들어 PTP 애플리케이션(621)과 인터페이스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계층(710)을 실행할 수 있다. API(710)는 연산 장치, 또는 이 경우에는 셀룰러폰(602)에서 실행하는 런타임 환경이다. 예를 들어 무선 연산 장치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다른 런타임 환경이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하나의 런타임 환경은 Wireless
Figure 112007091598250-PCT00009
에 대한 이진 런타임 환경(BREW
Figure 112007091598250-PCT00010
)이 다. 예를 들어, 메모리(712)는 판독 전용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 및 컴퓨터 플랫폼에 공통적인 임의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706)은 또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PTP 애플리케이션(621), 파일, 또는 메모리(712)에 능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7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7의 실시예에서 각 셀룰러폰(602)은 시스템(600)에 따라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621)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620)으로부터의 데이터로 로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상술한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는 것으로 당업자들에 의해 쉽게 인지될 것이다. 상기 명세서를 읽은 후 당업자들 중 하나는 다양한 변형, 등가물의 치환 및 여기서 대체로 개시된 각종 다른 실시예들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부여되는 보호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포함된 정의만으로 한정되는 것이다.

Claims (32)

  1. 무선 장치들에 대한 피어-투-피어(peer-to-peer)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어드레스 및 콘텐츠를 가지며, 상기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무선 장치; 및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는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는 상기 제 1 어드레스에서 포트 번호를 식별하는 서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드레스는 미리 결정된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 피어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무선 장치와 상기 제 2 무선 장치 간에 직접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장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 장치는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장치의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경로는 소켓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는 암호화 및 서명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장치는 상기 제 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어드레스로 설정되는 통신 경로에 사용되는 제 2 서비스와 다른 제 1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단문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비스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13. 제 1 무선 장치와 제 2 무선 장치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1 무선 장치로부 터 제 2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장치에서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는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는 상기 제 1 어드레스에서 포트 번호를 식별하는 서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무선 장치와 상기 제 2 무선 장치 간에 직접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장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 및/또는 서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상기 제 2 서비스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는 단문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비스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3. 제 1 무선 장치와 컴퓨터 플랫폼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제 2 무선 장치의 의도된 목적지를 갖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장치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한 후 상기 제 1 무선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컴퓨터 플랫폼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4. 컴퓨터 플랫폼과 제 1 무선 장치 간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 플랫폼의 제 1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제 2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플랫폼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컴퓨터 플랫폼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5.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 계;
    서브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6.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1 서비스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달 방법.
  27.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장치 프로세서로서, 상기 방법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상기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장 치 프로세서.
  28.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장치 프로세서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제 2 서비스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1 서비스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프로세서.
  29.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메모리로부터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서비스를 통해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1.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로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제 2 서비스를 통해 무선 장치와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어드레스에서 수신된 요청을 기초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장치.
  32.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로서,
    무선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제 2 서비스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 1 서비스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장치.
KR20077029785A 2005-05-20 2006-05-18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7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338905P 2005-05-20 2005-05-20
US60/683,389 2005-05-20
US11/202,805 US8589514B2 (en) 2005-05-20 2005-08-12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er-to-peer data networking for wireless devices
US11/202,805 2005-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202A true KR20080018202A (ko) 2008-02-27
KR100976918B1 KR100976918B1 (ko) 2010-08-18

Family

ID=3699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9785A KR100976918B1 (ko) 2005-05-20 2006-05-18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84105A1 (ko)
JP (2) JP2008546259A (ko)
KR (1) KR100976918B1 (ko)
CN (1) CN101341723B (ko)
WO (1) WO2006127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1194B2 (en) 2007-07-1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paging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KR20120075491A (ko) * 2009-11-06 2012-07-06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전자 콘텐츠를 선택, 공유 및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2123359B (zh) * 2011-03-31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彩信的转发方法、装置、系统及彩信接收装置
EP2807594B1 (en) * 2012-01-26 2021-08-25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istributing content to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5191B1 (en) * 1999-08-12 2005-03-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ultimedia attachments to text messages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US20010015977A1 (en) * 1999-10-08 2001-08-23 Stefan Johansson Selective reception
AU2001249581A1 (en) * 2000-03-31 2001-10-15 Motorola, Inc.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station to receive a circuit-switched page
US6961571B1 (en) * 2000-04-05 2005-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ocation of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with signaling of linking of dedicated transport channels
FI111899B (fi) * 2000-06-16 2003-09-30 Nokia Corp Menetelmä laskutuksen kohdentamiseksi sanomien välitysjärjestelmässä, välitysjärjestelmä, palvelin ja päätelaite
JP2002223313A (ja) * 2001-01-29 2002-08-09 Yuji Nakada 情報通信システム
EP1385323A1 (en) * 2002-07-24 2004-01-28 Koninklijke KPN N.V. A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 peer exchange of information
TWI445358B (zh) * 2003-03-27 2014-07-11 Lenovo Singapore Pte Ltd 提供存取無線區域網路的方法、電腦程式元件及行動站
KR100517988B1 (ko) * 2003-04-16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Gsm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방법
US7359373B2 (en) * 2003-10-17 2008-04-15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via packet-switched network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918B1 (ko) 2010-08-18
CN101341723A (zh) 2009-01-07
JP2011205673A (ja) 2011-10-13
WO2006127543A1 (en) 2006-11-30
JP2008546259A (ja) 2008-12-18
EP1884105A1 (en) 2008-02-06
CN101341723B (zh) 2013-06-19
JP4991952B2 (ja) 2012-08-08
WO2006127543A9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442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to a telecommunication device user
JP4887682B2 (ja) 通信システム、鍵管理・配信サーバ、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データ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440779B2 (ja) Smsおよび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477356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自動拡散
JP4809035B2 (ja) 無線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中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ファイルを共有する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ファイルの送受信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機
CN101150595B (zh) 一种实时文件传输方法、系统及装置
EP2710776B1 (en) Anonymous signalling
JP5161244B2 (ja) 通信デバイス間で共通のロケーション関連情報を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09552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communication elements
US20070217382A1 (en) Ad hoc network, terminal apparatus, and ad hoc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used for the same
US85895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er-to-peer data networking for wireless devices
WO2008095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KR20080014894A (ko) 무선 장치의 콘텐츠 전송 제어
CN105681260A (zh) 传输云存储文件的方法、融合通信平台、发送端及系统
KR100976918B1 (ko) 무선 장치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데이터 네트워킹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7493128B2 (en) Managing a communication device via GPRS and a GSM connection
US77468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multiple bandwidth-limited connections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101426296A (zh) 主叫移动终端、主叫用户信息显示系统和方法
JP200950921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起動する方法
CN114222290A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228153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to a telecommunication device user
JP4276251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US85431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126834B (en) Forwarding of messages on a mobile network
KR200500502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국가간 문자전송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