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3767A -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767A
KR20080013767A KR1020070078806A KR20070078806A KR20080013767A KR 20080013767 A KR20080013767 A KR 20080013767A KR 1020070078806 A KR1020070078806 A KR 1020070078806A KR 20070078806 A KR20070078806 A KR 20070078806A KR 20080013767 A KR20080013767 A KR 2008001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ange
manual
input gear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448B1 (ko
Inventor
시게루 요시야마
기요시 기무라
다꾸 이또오
겐이찌 오오이시
아쯔시 가마다
요시노부 노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8001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16H2061/326Actuators for range selection, i.e. actuators for controlling the range selector or the manual range valve in the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범위 절환 유닛(60)이 P 범위로 절환할 때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 상태로 되게 하는 파킹 로크 장치(70)를 포함한다. 파킹 로크 장치(70)는 범위 절환 유닛(60)이 다른 시프트 범위로 절환할 때 출력 샤프트를 로크 해제 상태로 되게 한다. 전동 모터(22)는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서 파킹 로크 장치(70) 및 범위 절환 유닛(60)을 가동시킨다. 매뉴얼 장치는 전동 모터(22)가 중지할 경우 조작자의 매뉴얼 조작력을 파킹 로크 장치(70)로 전달한다. 매뉴얼 장치(40)는 로크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하지만, 로크 해제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는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을 포함한다.
파킹 로크 장치,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범위 절환 유닛, 매뉴얼 조작력, 일방향 전달 유닛

Description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 조작 방법{SHIFT-BY-WIR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Shift-by-wire)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제6,752,036 B2호(JP-A-2004-513307)는 범위 절환 유닛(range switching unit)을 가동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전동 모터가 지시 시프트 범위에 따라 차량의 시프트 범위를 절환하는 범위 절환 유닛을 가동시키도록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지시 시프트 범위를 검출한다. 종래의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파킹 로크 장치는 P 범위(파킹 범위)로 절환할 때 범위 절환 유닛과 연동하여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 상태로 되게 한다. 또한, 파킹 로크 장치는 P 범위 이외의 다른 시프트 범위로 절환할 때 범위 절환 유닛과 연동하여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 해제 상태로 되 게 한다.
이런 시프트-바이-와이어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배터리에 결함으로 인해 전동 모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없을 때조차도,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로크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번호 제6,752,036 B2호의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는 전원에 관계없이, 기계적으로 파킹 로크 장치를 가동시키도록 구성된 캐리지, 로크 부재 및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 부품이 제공된다.
그러나, 미국 특허 번호 제 6, 752, 036 B2호의 구성에서, 파킹 로크 장치는 전원의 조건에 관계없이 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자동 변속 장치가 P 범위로 설정되고 로크 상태인 조건에서 주차될 때조차, 차량이 도난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파킹 로크 장치의 기계적 부품은 악의로 조작될 수도 있고, 로크 상태의 자동 변속 장치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차량이 도난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및 다른 문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난에 대해 차량을 보호할 수 있고, 추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조차 자동 변속 장치를 로크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조작자에 의해 조종되고, P 범위와 P 범위 이외의 다른 시프트 범위 사이에서 자동 변속 장치의 시프트 범위를 절환하는 범위 절환 유닛을 포함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P 범위로 절환할 때 범위 절환 유잇과 연동하여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 상태로 되게 구성되는 파킹 로크 장치를 더 포함한다. 파킹 로크 장치는 다른 시프트 범위로 절환할 때 범위 절환 유닛과 연동하여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 해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 파킹 로크 장치 및 범위 절환 유닛을 가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은 전동 모터가 정지할 경우 파킹 로크 장치를 가동시키도록 조작자의 매뉴얼 조작력을 파킹 로크 장치로 전달하는 매뉴얼 장치를 더 포함한다. 매뉴얼 장치는 파킹 로크 장치가 로크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하도록 구성 된 일방향 전달 유닛을 포함한다. 일방향 전달 유닛은 파킹 로크 장치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전기 공급이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하고 자동 변속 장치의 시프트 위치가 P 범위 내에 있는 조건에서 자동 변속 장치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하도록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기 공급이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하고 시프트 위치가 P 범위 내에 있는 조건에서 출력 샤프트의 로크를 해제하는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난에 대해 차량을 보호할 수 있고, 추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조차 자동 변속 장치를 로크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첫째,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이 도1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이 2륜 구동 차량 및 4륜 구동 차량과 같은 차량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은 액츄에이터(20), ECU(80), 파킹 로크 장치(70) 및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를 포함한다. ECU(80)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 ; SBW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ECU(80)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해, CPU, RAM, ROM, EEPROM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전자 회로이다. 운전자는, 예를 들어 지시 시프트 범위를 선택하도록 시프트 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한다. ECU(80)는 ECU(80)가 범위 절환 유닛으로서 작용하는 매뉴얼 밸브(60)의 축 위치를 제어하도록 지시 시프트 범위를 검출하여,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액츄에이터(20)를 조종한다.
매뉴얼 밸브(60)는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범위를 변경하도록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 내의 유로(hydraulic passages)를 절환한다. 운전자는, 예를 들어 버튼과 같은 시프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시프트 범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운전자는 시프트 범위를 변경하도록 음성 인식 장치에 청각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과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접촉 위치를 갖는 접촉 스위치와 같은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된다.
자동 변속 장치(100)는 이동 범위, 비이동 범위 및 중립 범위를 포함하는 시프트 범위 중 하나에서 제어된다. 각각의 이동 범위는 D 범위 및 R 범위에 대응된다. D 범위는 전방 이동 범위이다. R 범위는 후방 이동 범위이다. 비이동 범위는 파킹 범위인 P 범위에 대응된다. 중립 범위는 N 범위에 대응된다. D, R 및 N 범위는 P 범위 이외의 다른 범위에 대응된다.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는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위치 및 시프트 범위를 절환하는 유압 장치를 포함한다. 매뉴얼 밸브(60)는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의 유압 회로를 절환하도록 이동하고, 범위 위치를 선택한다. 따라서,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는 시프트 범위 중 하나로 자동 변속 장치(100)를 설정한다.
ECU(80)는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시프트 레버의 지시 시프트 범위를 검출한다. ECU(80)는 검출된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회전 각에 대해 회전하도록 액추에이터(20)의 전동 모터(22; 도3)를 지시한다. 따라서, ECU(80)는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전동 모터(22)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제어 로드(50)는 전동 모터(22)의 출력 샤프트(모터 출력 샤프트, 38 ; 도2, 도3)에 연결된다. 전동 모터(22)는 구동력을 생성하여, 구동력이 감속 기어와 같은 감속 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제어 로드(50)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어 로드(50)는 제어 로드(50)가 디텐트 플레이트(52; detent plate)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디텐트 플레이트(52)에 고정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플레이트(52)는 회전 방향(A, B) 중 하나로 회전하여, 매뉴얼 밸브(60)의 축 위치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동 모터(22)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지 않는 브러시리스 구조를 갖는 절환된 릴럭턴스 모터(SR 모터)이다. 전동 모터(22)는 U 상, V 상 및 W상으로 각각 할당되는 코일(도시 생략)을 갖는다. ECU(80)는 전동 모터(22)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도록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한다. ECU(80)가 각각의 U, V 및 W 형의 코일에 공급된 전기를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이에 따라 전동 모터(22)는 회전한다.
액츄에이터(20)는 각도 검출 유닛으로서 작용하는 엔코더(도시 생략)를 갖는다. ECU(80)는 카운트 밸브가 목표 카운트 밸브가 될 때까지, 전동 모터(22)의 각위치에 대응하는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카운트 밸브를 참조하여 전동 모터(22)의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ECU(80)는 디텐트 플레이트(52)의 회전이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각위치에 있도록 제어한다. 전동 모터(22)는 회전하고, 카운트 밸브는 목표 카운트 밸브를 포함하는 소정의 카운트 밸브 범위에 도달하여, ECU(80)는 디텐트 플레이트(52)가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각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ECU(80)는 전동 모터(22)의 회전의 제어를 종료한다.
시프트 범위가 P 범위로부터 R 범위, N 범위 및 D 범위로 변경됨에 따라, 엔코더의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카운트 밸브는 증가 또는 감소한다. 또한, 카운트 밸브는 상기 순서의 역순서로 시프트 범위가 변경됨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한다.
디텐트 플레이트(52)는 복수의 오목부(53)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원호형의 외주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부채형 판이다. 디턴트 스프링(62)은 하나의 고정된 단부에서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에 고정되는 캔틸레버-블레이드 스프링이다. 디턴드 스프링(62)은 롤러(63)가 제공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 롤러(63)는 디턴트 스프링(62)의 탄성력으로 가압되고, 디텐트 플레이트(52)의 오목부(53) 중 하나 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디텐트 플레이트(52)는 매뉴얼 밸브(60) 상에 결합되는 핀(54)을 갖는다. 디텐트 플레이트(52)가 제어 로드(50)와 함께 회전하는 동안, 핀(54)과 결합된 매뉴얼 밸브(60)는 디텐트 플레이트(52)의 각위치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오목부(53) 및 롤러(63)는 각각의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는 매뉴얼 밸브(60)의 각각의 소정의 위치와 연관된다. 이런 구조에서, 롤러(63)가 오목부(53) 중 하나에 적절히 결합될 때, 매뉴얼 밸브(60)는 하나의 오목부(53)에 대응하는 하나의 시프트 위치로 설정된다.
전동 모터(22)는 매뉴얼 밸브(60)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지시 시프트 범위에 대응되는 시프트 위치 중 하나에 상호 연관되는 위치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시프트 레버를 사용하여 회전한다. 이런 조작으로, 자동 변속 제어 장치(12)는 매뉴얼 밸브(60)의 축 위치에 의해 판단되는 실제 시프트 범위에 대응하도록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위치를 제어한다.
액츄에이터(20)는 디텐트 플레이트(5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시프트 범위 검출 장치(도시 생략)를 갖는다. ECU(80)는 시프트 범위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매뉴얼 밸브(60)의 각위치를 연산하여, 자동 변속 장치(100)에서 선택된 실제 시프트 범위를 검출할 수 있다.
파킹 로크 장치(70)는 파킹 기어(71)의 외주부의 오목부 상에 파킹 로크 폴(72)의 갈고리(73)를 결합시킴으로써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파크 로드(74)는 디텐트 플레이트(52)에 고정된 일 단부를 갖는다. 파크 로드(74)는 실질적으로 원추형 캠(76)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 캠(76)은 스프링(78)이 파크 로드(74)의 다른 단부를 향해 캠(76)을 편향 시키는 조건에서 파크 로드(74)에 결합된다. 캠(76)은 파크 로드(74)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디텐트 플레이트(52)가 회전함에 따라, 파크 로드(74)는 캠(76)이 파킹 로크 폴(72)을 상향 및 하향으로 가동시키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조작에서, 캠(76)은 파킹 기어(71) 상에 파킹 로크 폴(72)의 갈고리(73)를 결합시키고, 파킹 기어(71)로부터 갈고리(73)를 분리시킨다. 파킹 로크 폴(72)의 갈고리(73)가 파킹 기어(71)에 결합될 경우, 자동 변속 장치(100)는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이 기계적으로 금지되는 로크 상태가 된다. 갈고리(73)가 파킹 기어(71)로부터 분리될 경우, 자동 변속 장치(100)는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이 허용되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의 통상의 조작에서, 전동 모터(22)의 구동력은 모터 출력 샤프트(38), 제어 로드(50) 및 디텐트 플레이트(52)를 통해 매뉴얼 밸브(60) 및 파킹 로크 장치(70)의 파크 로드(74)에 전달된다. 이런 조작에서, 파킹 로크 장치(70)는 매뉴얼 밸브(60)와 연동하여 가동된다. 상세하게는, 매뉴얼 밸브(60)가 P 범위 위치로 이동될 경우, 파킹 로크 장치(70)는 매뉴얼 밸브(60)의 위치에 대응하여 로크 상태로 된다. 매뉴얼 밸브(60)가 P 범위 위치 이외의 범위 위치로 이동될 경우, 파킹 로크 장치(70)는 매뉴얼 밸브(60)의 위치에 대응하여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다음, 매뉴얼 장치(40)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도1에서, 매뉴얼 장치(40)가 도시되지 않았다.
비전기 조작 레버(49 ; 도1)가 시프트 레버로부터 분리되어 차량 내부에 제공된다. 운전자와 같은 탑승자는 전동 모터(22)가 배터리의 기능불량과 같은 결함으로 인해 전력이 제공될 수 없는 비전력 조건에서 비전기 조작 레버(49)를 조종한다. 탑승자는 매뉴얼 장치(40)가 파킹 로크 장치(70)를 로크 상태로 되게 수동으로 가동시키도록 비전기 조작 레버(49)를 조종한다. 따라서, 차량은 주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비전기 조작 레버(49)에 매뉴얼 조작력을 가할 경우, 매뉴얼 장치(40)는 매뉴얼 조작력을 제어 로드(50)로 전달하여, 파킹 로크 장치(70) 및 매뉴얼 밸브(60)를 가동시킨다.
도2를 참조하면, 매뉴얼 장치(40)는 로드(41), 플레이트(411), 스프링(412), P 입력 기어(42) 및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를 포함한다. 로드(41) 및 P 입력 기어(42)는, 예를 들어 철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로드(41), 플레이트(411), 스프링(412) 및 P 입력 기어(42)는 일방향 전달 유닛으로서 작용한다. 로드(41), 플레이트(411) 및 스프링(412)은 일방향 결합 부재로서 작용한다.
액츄에이터(20)에는 전동 모터(22)의 모터 출력 샤프트(38)와 함께 회전 가능한 출력 샤프트 기어(39)가 제공된다. P 입력 기어(42)는 출력 샤프트 기어(39)에 상시 결합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10)의 통상의 조작에서, 전동 모터(22)가 매뉴얼 밸브(60) 및 매뉴얼 장치(40)를 가동시킬 경우, 출력 샤프트 기어(39)가 회전한다. 따라서, 이런 구조에서, P 입력 기어(42)는 상시 구동된다. P 입력 기어(42)는 출력 샤프트 기어(39)의 회전과 연동하여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출력 샤프트 기어(39)가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로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다. 출력 샤프트 기어(39)는 전동 모터(22)에 대해 동축이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액츄에이터(20)의 액츄에이터 케이스(21)에 장착된다. 액츄에이터 케이스(21)는 전동 모터(22), 감속기 등을 수용한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P 입력 기어(42)의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폐쇄된 하나의 축방향 단부를 갖는다.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부시(44)로 끼워진 다른 축방향 단부를 갖는다. 로드(41)의 일 단부는 부시(44)의 관통 구멍(441)을 통해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로 삽입된다. 로드(41)의 다른 단부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외측에 있고, 비전기 조작 레버(49)로부터 전달된 매뉴얼 조작력이 가해진다. 로드(41)는 매뉴얼 조작력이 가해짐으로써 P 입력 기어(42)의 이동가능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한다. 부시(44)에는 부시(44)와 로드(41) 사이를 밀봉하는 O 링(442)이 제공된다. O 링(442)은 시일 플레이트(443)에 의해 지지되어, 부시(44) 상에 유지된다.
플레이트(411)는 플레이트(411)가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측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로드(41)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런 구조에서, 플레이트(411)를 통해서 로드(41)의 일 단부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부시(44)를 통해서 로드(41)의 다른 단부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P 입력 기어(42)는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관통 구멍(421)을 갖는다. 로드(41)는 관통 구멍(421) 내에 존재하고 P 입력 기어(42)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이런 구조에서, P 입력 기어(42)는 관통 구멍(421)을 통해서 로드(41)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스프링(41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P 입력 기어(42)의 측 상에서 스프링(412)이 플레이트(411)에 제공된다. 로드(41)가 매뉴얼 조작력으로 가압되고, 플레이트(411)를 향해 이동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1)의 일 단부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의 내측벽과 접촉하게 된다. 이런 조건에서, 스프링(412)은 결합부(412a)를 통해 P 입력 기어(42)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2에 도시된 이런 조건에서, 스프링(412)과 P 입력 기어(42)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스프링(412)은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412)은, 예를 들어 비전기 조작 레버(49)의 주변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조건에서, 로드(41)가 매뉴얼 조작력으로 가압되어 로드(41)가 당겨졌을 경우, 스프링(412)은 P 입력 기어(42)와 접촉하게 된다. 로드(41)가 더욱 당겨질 경우, P 입력 기어(42)는 P 입력 기어(42)가 부시(44)를 향해 이동하도록 스프링(412)에 의해 편향된다. 이런 구조에서, 로드(41)가 부시(44)를 향해 이동될 경우, 로드(4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된 매뉴얼 조작력이 P 입력 기어(42)로 전달된다. 추가로, 로드(41)가 플레이트(411)를 향해 이동될 경우, 로드(4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된 매뉴얼 조작력이 P 입력 기어(42)로 전 달되지 않는다.
다음, 매뉴얼 장치(40)의 조작이 기술된다.
운전자와 같은 탑승자가 부시(44)를 향해 로드(41)를 이동시키도록 비전기 조작 레버(49)를 조종할 경우, 스프링(412)은 부시(44)를 향해 P 입력 기어(42)를 편향시킨다. 전동 모터(22)의 출력 샤프트 기어(39)는, 전동 모터(22)의 모터 출력 샤프트(38), 제어 로드(50) 및 디텐트 플레이트(52)가 회전하도록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되고 방향(B ; 도1 및 도2)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로 가동되고, 매뉴얼 밸브(60)가 P 범위 위치로 이동된다. 상세하게는, 비전기 조작 레버(49)에 가압된 매뉴얼 조작력이 매뉴얼 장치(40)를 통해 제어 로드(50)로 전달되어, 파킹 로크 장치(70) 및 매뉴얼 밸브(60)를 조작시킨다.
탑승자는 부시(44)를 향해 로드(41)를 이동시키고, 그 이후 탑승자는 비전기 조작 레버(49)로부터 손을 해제한다. 이 조건에서, P 입력 기어(42)와 접촉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 스프링(412)이 로드(41)에 탄성력을 가하여, 로드(41)는 플레이트(411)를 향해 이동한다. 이런 조작에서, 탑승자는 부시(44)를 향해 로드(41)를 이동시키도록 비전기 조작 레버(49)를 조종하고, 그 후에 로드(41)는 플레이트(411)를 향해 이동한다. 이런 조건에서, 스프링(412)은 매뉴얼 조작력 및 스프링(412)의 탄성력이 P 입력 기어(42)로 전달되지 않도록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킹 로크 장치(70)는 로크 상태로 유지되고, 매뉴얼 밸브(60)는 P 범위 위치로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디텐트 플레이트(52)는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로 유지되도록 디턴트 스프링(62)에 결합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매뉴얼 장치(40)는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한다. 추가로, 매뉴얼 장치(40)는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한다.
차량이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에 있고 시프트 범위가 P 범위에 있는 조건에서 주차될 경우, 사람은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해제 상태로 조종되도록 비전기 조작 레버(49)를 악의로 조작시킬 수도 있다. 이런 조건에서조차도,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의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은 금지된다. 파킹 로크 장치(70)는 비전력 조건이 계속되는 한, 로크 해제 상태로 조종될 수 없다. 따라서, 차량은 도난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은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는 허용된다. 따라서, 차량은 파킹 로크 장치(70)를 로크 상태로 수동으로 조작한 후, 비전력 조건에서 조차 주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매뉴얼 장치(40)는 P 입력 기어(42)가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P 입력 기어(42)를 수용하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은 이하와 같은 것을 의도하는 악의적인 사람에 의한 도난에 대해서도 또한 효율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악의적인 사람은, 상시 모터 출력 샤프트(38)에 결합되는 P 입력 기어(42)를 직접 조종함으로써 파킹 로크 장치(70)를 로크 해제 상태로 가동하는 것을 의도할 수도 있다. 그 러나, 이런 조건에서조차도, P 입력 기어(42)는 P 입력 기어(42)가 악의적인 사람에 의해 직접 조종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에 수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로드(41)는 플레이트(411) 및 부시(44)를 통해서 매뉴얼 장치 케이스(43)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추가로, P 입력 기어(42)는 로드(41)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런 구조에서, 매뉴얼 조작력을 전달하는데 높은 기계적인 강도를 요구하는 플레이트(411) 및 로드(41)는 빈번하게 조작되는 P 입력 기어(4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추가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빈번하게 조작되지 않는 로드(41) 및 플레이트(41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런 구조에서,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가 P 입력 기어(42)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와 비교해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더욱 경량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전동 모터(22)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따라서, 각각의 U, V 및 W 상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기는 전동 모터(22)를 회전하도록 순차적으로 절환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악의적인 사람이 배터리를 사용해서 전동 모터(22)의 코일에 쉽게 전기를 공급할 때조차, 전동 모터(22)는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서,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도록 전동 모터(22)를 악의로 회전시키는 것은 더욱 어렵다. 따라서, 로크 해제 상태로 되게 하는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는 매뉴얼 장치(40)의 조작은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차량은 도난에 대해 더욱 보호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출력 샤프트 기어(39)와 상시 결합되는 P 입력 기어(42)를 포함한다.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로드(41), 플레이트(411) 및 스프링(412)으로 구성된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를 더 포함한다.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매뉴얼 조작력이 가해질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도2의 좌측으로 한 축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할 경우, P 입력 기어(4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도2의 우측으로 다른 축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할 경우,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될 수 없다.
상기의 구조에서, 매뉴얼 조작력이 매뉴얼 장치(40)에 가해질 때, 로크 상태로 된 경우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파킹 로크 장치(70)로의 매뉴얼 조작력의 전송을 허용한다. 추가로, 로크 해제 상태로 된 경우,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파킹 로크 장치(70)로의 매뉴얼 조작력의 전송을 금지한다.
상기 구조에서, 전동 모터(22)의 구동력은 간단한 구조로서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에 전송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비전력 조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P 입력 기어(42)는 전동 모터(22)가 통상의 조건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P 입력 기어(42)는 높은 삭마 저항성을 필요로 한다. 추가로, 빈번하게 조작되는 P 입력 기어(42)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덜 빈번하게 조작되는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보다 더 높은 삭마 저항성을 요구한다.
또한, 구조의 관점에서, P 입력 기어(42)는 특히 그 기어 치면의 높은 삭마 저항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철금속 재료와 같은 강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매뉴얼 조작력을 전달하는데 요구되는 높은 삭마 저항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철금속 재료와 같은 강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조적으로, 매뉴얼 장치 케이스(43)는 필수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할 필요는 없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의 조작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탑승자(조작자)에 의해 가해진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은, 전기 공급이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되고 전동 모터(22)가 정지되고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위치가 P 범위에 있는 조건에서 매뉴얼 조작력이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하도록 가해질 경우 허용된다.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은, 전기 공급이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되고 시프트 위치가 P 범위에 있는 조건에서 매뉴얼 조작력이 출력 샤프트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가해질 경우 금지된다.
(다른 실시예)
비전기 조작 레버(49)는 차량 내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전기 조작 레버(49)는 차량의 엔진룸 등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동 모터(22)는 브러시리스 모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동 모터(22)는 브러시를 갖는 모터일 수도 있다.
연산 및 판단과 같은 상기 처리는 ECU(8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유닛은 예시에 보여진 바와 같이 ECU(80)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스가 특정한 순서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문에 기술되었지만, 또한 이러한 단계 및/또는 본문에 개시되지 않은 추가의 다양한 다른 순서의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실시예가 본 발명의 단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형 및 대체가 본 발명의 기술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기 실시예에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1은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2는 도1의 화살표(Ⅱ)로부터 바라봤을 때,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의 매뉴얼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2의 화살표(Ⅲ)로부터 바라봤을 때, 매뉴얼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1. 조작자에 의해 조종되는 자동 변속 장치(100)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이며,
    P 범위와 P 범위 이외의 다른 시프트 범위 사이에서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범위를 절환하는 범위 절환 유닛(60)과,
    P 범위로 절환할 경우 상기 범위 절환 유닛(60)과 연동하여 상기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가 로크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다른 시프트 범위로 절환할 경우 상기 범위 절환 유닛(60)과 연동하여 상기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파킹 로크 장치(70)와,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 및 상기 범위 절환 유닛(60)을 가동시키는 전동 모터(22)와,
    상기 전동 모터(22)가 정지할 때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를 가동시키도록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로 조작자의 매뉴얼 조작력을 전달하는 매뉴얼 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매뉴얼 장치(40)는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을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구성되는, 시프 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로크 장치(70)로 상기 전동 모터(22)의 토크를 전달하는 모터 출력 샤프트(38)와,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38)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출력 샤프트 기어(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상기 출력 샤프트 기어(39)와 상시 결합되는 P 입력 기어(42)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전달 유닛(41, 411, 412, 42)은 매뉴얼 조작력이 가해질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하나의 축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할 경우 상기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다른 축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할 경우 상기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될 수 없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장치(40)는 상기 P 입력 기어(42)를 수용하는 케이스(43)를 포함하고,
    상기 P 입력 기어(42)는 상기 케이스(43)에 대해 활주 가능한,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상기 P 입력 기어(42)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412a)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43)는 적어도 상기 결합부(412a)를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43)는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P 입력 기어(42)는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38)의 회전과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상기 P 입력 기어(42)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상기 P 입력 기어(42)를 향하고 상기 P 입력 기어(42)와 접촉하여 축방향 이동할 경우 상기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는 상기 P 입력 기어(42)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P 입력 기어(42)로부터 분리되어 축방향 이동할 경우 상기 P 입력 기어(42)에 결합될 수 없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결합 부재(41, 411, 412) 및 상기 P 입력 기어(42) 중 적어도 하나는 철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43)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시프트-바이 -와이어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22)는 브러시리스 모터인,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8. 자동 변속 장치(100)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이며,
    전기 공급이 상기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되고 상기 자동 변속 장치(100)의 시프트 위치가 P 범위에 있는 조건에서, 상기 자동 변속 장치(100)의 출력 샤프트를 로크하도록 조작자에 의해 가해진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허용하는 단계와,
    전기 공급이 상기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되고 상기 시프트 위치가 상기 P 범위에 있는 조건에서, 상기 출력 샤프트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상기 매뉴얼 조작력의 전달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의 조작 방법.
KR1020070078806A 2006-08-08 2007-08-07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조작 방법 Active KR10089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5392A JP4361927B2 (ja) 2006-08-08 2006-08-08 シフトバイワイヤシステム
JPJP-P-2006-00215392 200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67A true KR20080013767A (ko) 2008-02-13
KR100893448B1 KR100893448B1 (ko) 2009-04-17

Family

ID=3892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806A Active KR100893448B1 (ko) 2006-08-08 2007-08-07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조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5248B2 (ko)
JP (1) JP4361927B2 (ko)
KR (1) KR100893448B1 (ko)
CN (1) CN100513830C (ko)
DE (1) DE102007000426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9916B2 (en) 2010-12-02 2014-09-23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parking release apparatus of shift-by-wire shifting device
KR20220033199A (ko) * 2020-09-09 2022-03-16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시프트 액츄에이터의 구동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시프트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3097B2 (ja) * 2007-01-23 2011-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US7926374B2 (en) * 2007-03-08 2011-04-19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Voice recognition shift control
DE102007024030B4 (de) * 2007-05-22 2011-01-05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perrvorrichtung
JP4412355B2 (ja) 2007-06-08 2010-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レンジ切替装置
CN101654099B (zh) * 2008-08-23 2012-05-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驻车机构及包括该机构的变速器
EP2348233B1 (en) * 2008-12-19 2016-05-11 Aisin AW Co., Ltd. Shift-by-wire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using same
JP4837754B2 (ja) * 2009-02-17 2011-12-14 ジヤトコ株式会社 シフトバイワイヤ式車両の制御装置
JP5169930B2 (ja) * 2009-03-2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WO2010140229A1 (ja) * 2009-06-03 2010-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1161719A1 (ja) * 2010-06-22 2011-12-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CN102338213A (zh) * 2010-07-16 2012-02-01 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 一种新型的双离合器式自动变速器(dct)驻车制动机构
JP5251959B2 (ja) 2010-11-01 2013-07-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20120046987A (ko) * 2010-11-03 201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DE102010055859A1 (de) 2010-12-22 2012-06-28 Audi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JP5756628B2 (ja) * 2010-12-27 2015-07-29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自動変速機用変速操作装置
CN102358284A (zh) * 2011-07-20 2012-02-22 浙江万里扬变速器股份有限公司 汽车用电控驻车系统
US9835236B2 (en) 2011-11-21 2017-12-05 Kongsberg Automotive Ab Linear actuator assembly
JP6098401B2 (ja) * 2013-07-02 201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制御装置
JP5861991B2 (ja) * 2013-08-02 2016-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制御装置
CN103522985A (zh) * 2013-10-18 2014-01-22 刘喆 通过档位器实现车辆防盗的控制装置及方法
JP2015227714A (ja) *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ンジ切換制御装置
CN104455401B (zh) * 2014-09-30 2017-01-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驻车锁止装置
JP6455059B2 (ja) 2014-10-08 2019-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フト装置
JP6506147B2 (ja) * 2015-09-18 2019-04-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6113251B1 (ja) * 2015-11-11 2017-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ンジ切り替え装置
CN106931161B (zh) * 2015-12-30 2019-06-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驻车机构和自动变速器
JP6300858B2 (ja) 2016-04-08 2018-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2018040396A (ja) * 2016-09-06 2018-03-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17203346A1 (de) 2016-12-21 2018-06-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arksperrenaktuator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s und ein Verfahren zur Steuerung des Parksperrenaktuators
DE102017103317A1 (de) 2017-02-17 2018-08-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arksperre für ein Automatikgetrieb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Parksperre
CN107179192B (zh) * 2017-05-25 2019-05-28 武汉泛洲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变速箱板簧耐久试验的装置
DE102017123173A1 (de) * 2017-10-05 2019-04-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ordnung einer Antriebsstrangsperreinrichtung zur Diebstahlsicherung und Antriebsstrangkomponente mit derartiger Antriebsstrangsperreinrichtung
JP6881255B2 (ja) * 2017-11-24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JP2019158002A (ja) * 2018-03-13 2019-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JP2019168030A (ja) * 2018-03-23 2019-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DE102018206824A1 (de) * 2018-05-03 2019-11-07 Robert Bosch Gmbh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arkbremsvorrichtung eines Fahrzeugs
JP7059907B2 (ja) * 2018-11-28 2022-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7338168B2 (ja) * 2019-02-28 2023-09-05 ニデック株式会社 駆動装置
KR102692280B1 (ko) * 2019-03-25 2024-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7363101B2 (ja) * 2019-05-29 2023-10-18 株式会社アイシン シフト装置
JP7205405B2 (ja) * 2019-07-02 2023-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7484106B2 (ja) * 2019-09-05 2024-05-16 株式会社アイシン シフト装置
DE102019130359A1 (de) * 2019-11-11 2021-05-12 Küster Holding GmbH Aktuator und Vorrichtung zum Einlegen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s mit einem derartigen Aktuator sowie ein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JP7701227B2 (ja) * 2021-09-24 2025-07-01 株式会社Subaru 電動式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518A (en) * 1967-11-20 1971-01-05 Sam Aidner Vehicle anti-theft device utilizing the parking brake
US5020344A (en) * 1983-09-26 1991-06-04 Garcia Gervasio B Automobile anti-theft device
JP2595740B2 (ja) 1990-01-25 1997-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指示装置
DE4118519C2 (de) 1991-06-06 1996-02-08 Opel Adam Ag Rückschaltsperre für ein selbsttätig schaltendes Getriebe
JP3047629B2 (ja) 1992-06-23 2000-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H07137555A (ja) 1993-11-19 1995-05-3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ロック装置
US5704457A (en) * 1995-02-20 1998-01-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arking system for a vehicle
JPH11325243A (ja) 1998-05-20 1999-11-26 Nippon Soken Inc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JP3053384B2 (ja) 1998-09-09 2000-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2001271925A (ja) 2000-03-28 2001-10-05 Denso Corp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ンジ切換装置
DE10044159B4 (de) 2000-09-06 2009-12-31 ZF Lemförder GmbH Vorrichtung zum Umschaltung eines mechanischen Schaltmittels zwischen einem ersten Schaltzustand und wenigstens einem zweiten Schaltzustand
DE10054977C2 (de) 2000-11-06 2002-10-24 Siemens Ag Stellvorrichtung für ein einstellbares Getriebe
US6755284B2 (en) * 2001-05-24 2004-06-29 Ventra Group Inc. Electrically driven parking brake actuation assembly
JP2003028293A (ja) 2001-07-19 2003-01-2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用変速制御装置
JP3941456B2 (ja) 2001-10-24 2007-07-0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のレンジ切り替え装置
US6918314B2 (en) 2002-05-31 2005-07-19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hift-by-wire transmission actuator assembly
DE10241877A1 (de) 2002-09-10 2004-03-11 Daimlerchrysler Ag Fahrstufenwählein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JP2005036957A (ja) 2003-07-03 2005-02-10 Nissan Motor Co Ltd シフトバイワイヤ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04028737A1 (de) * 2004-06-14 2006-01-05 Fico Cables S.A. Betätigungssystem für eine Handbrem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9916B2 (en) 2010-12-02 2014-09-23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parking release apparatus of shift-by-wire shifting device
KR20220033199A (ko) * 2020-09-09 2022-03-16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시프트 액츄에이터의 구동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시프트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1927B2 (ja) 2009-11-11
CN101122336A (zh) 2008-02-13
KR100893448B1 (ko) 2009-04-17
US7845248B2 (en) 2010-12-07
US20080039282A1 (en) 2008-02-14
JP2008039094A (ja) 2008-02-21
DE102007000426B4 (de) 2021-09-02
DE102007000426A1 (de) 2008-02-14
CN100513830C (zh)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448B1 (ko) 자동 변속 장치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 시스템 및 그조작 방법
KR101601982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식 차량의 제어 장치
EP0891902B1 (en) Park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8281681B2 (en) Shift-by-wire system
CN106895139B (zh) 换档装置
US20090287383A1 (en) Shift-by-wir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CN106573537A (zh) 旋转换挡器
JP4920732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車両の制御装置
US7707904B2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shift range
US20120010793A1 (en)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0074211A (ja)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JP2005538323A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駆動ギヤセレクタ装置
JP2003531773A (ja) 自動車変速機のためのシフト装置
EP3622204A1 (en) Linear actuator with safety mechanism
JP2003214538A (ja) 自動車の自動変速装置のための作動装置
US6834563B2 (en) Shif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US6374978B1 (en) Transmission lock
JP4968085B2 (ja) パーキング切替装置
US10502313B2 (en) Selector lever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r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2007071370A (ja) 車両制御装置
JP4577254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JP7044524B2 (ja) 変速操作装置
JP2012106539A (ja) シフトバイワイヤ
JPH0427257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装置
JPH06286495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