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6399A -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399A
KR20080006399A KR1020060065572A KR20060065572A KR20080006399A KR 20080006399 A KR20080006399 A KR 20080006399A KR 1020060065572 A KR1020060065572 A KR 1020060065572A KR 20060065572 A KR20060065572 A KR 20060065572A KR 20080006399 A KR20080006399 A KR 20080006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iled information
host terminal
description file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399A/ko
Priority to US11/705,438 priority patent/US20080016189A1/en
Priority to CNA2007101010640A priority patent/CN101106479A/zh
Publication of KR2008000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79Manual configuration through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하며, 디스크립션 생성부는 생성된 상세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며, 제1스택부는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한다.
XML, UPnP, 멀티 캐스트, configur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Hos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devices, method therefor and devices rece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hos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기 및 디바이스를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및 호스트 단말기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디스크립션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디스크립션 파일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의 UI부를 통해 최초 설정된 상세정보가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가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최초로 수신한 상세정보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를 통해 상세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세정보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호스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스트 단말기 110 : 사용자 입력부
125 : 표시부 140 : 제1저장부
150 : UI부 160 : 디스크립션 생성부
170 : 제1스택부 172 : 제1메모리
174 : 제1통신부 200 : 디바이스
220 : 제2저장부 250 : 제2스택부
252 : 제2통신부 254 : 파서
260 : 정보관리부 262 : 정보 구성부
264 : 정보 저장부 27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PnP 규격에 의하여 호스트 단말기에서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설정하여 디바이스에게 등록시키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스펙은 TCP/IP, HTTP 및 XML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PnP 기능을 네트워크에 확장시킨 스펙으로서, 가전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UPnP 스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크게 제어기기(Control Point : CP)와 제어기기의 제어를 받는 디바이스(Controlled Device : CD)로 구분한다.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UPnP 방식에 의해 호스트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또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상세정보를 호스트 단말기에게 통지한다.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는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디바이스 자체에서 설정되거나 웹서비스를 통해 설정되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마다 호스트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호스트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바이스의 Web-UI(User Interface)에 접근하여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설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Web-UI를 통해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마다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하고자 하는 상세정보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직접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호스트 단말기에서 설정된 제1상세정보를 기초로 제1기능을 요청하였으나, 디바이스에는 제2호스트 단말기에서 설정된 제2상세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면, 요청된 제1기능은 제2상세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내에 다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만큼 상세정보를 디바이스에서 직접 또는 호스트 단말기의 Web-UI를 통해 수동으로 재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제1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1호스트 단말기가 제2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새로운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제1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상세정보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상세정보를 수동으로 재설정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UPnP 규격에 의하여 호스트 단말기에서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설정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의 개수만큼 상세정보를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호스트 단말기에서 설정된 상세정보를 디바이스가 구성하여 설정된 기준으로 정렬 및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수의 호스트 단말기에서 설정된 상세정보를 표시해줄 수 있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및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컴퓨터 또는 랩탑과 같은 호스트 단말기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마다 호스트 단말기 자체에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재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및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성된 상세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는 디스크립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상기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제1스택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옵션이 반영되도록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제1스택부는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전원이 온되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상기 제1스택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멀티 캐스트에 의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스택부는 종료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단말기들에서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실행가능한 기능들의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제2스택부;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 별로 구성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스택부는 상기 상세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크립션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제2스택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재구성한다.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이 상기 기능 별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들 중 제1기능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 중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된 옵션 중 선택된 옵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별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스택부가 연결이 종료된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 호스트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세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서 삭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되는 상세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상기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툴을 통해 상기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이 변경되면, (d) 상기 변경된 설정 옵션이 반영되도록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은, (e) 상기 (c) 단계로 부터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 별로 구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이 수신되면, (h)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의 각 옵션을 상기 기능별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각 옵션이 상기 기능 별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g2)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기능들 중 제1기능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 중 상기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들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g3) 상기 표시된 옵션들 중 제1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옵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g) 단계 후, (i)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종료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j) 상기 종료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상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기 및 디바이스를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내 또는 댁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100, 100-1, …, 100-n, 여기서, n은 양수)가 복수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 여기서, n은 양수)를 공유한다.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100, 100-1, …, 100-n)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에게 명령을 내리는 CP(Control Point) 역할을 하며,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은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의 명령을 받는 CD(Controlled Device) 역할을 한다.
특히,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망(300)에 연결될 때, 기설정된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의 상세정보(#1상세정보, …, #n상세정보, 여기서, n은 양수)를 UPnP 방식에 의해 각 디바이스(200, 200-1, …, 200-n)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은 CD 입장이 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은 CP 입장이 될 수 있다.
상세정보(#1상세정보, …, #n상세정보)는 각 디바이스(200, 200-1, …, 200-n)의 기능별로 설정된 옵션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Scan to E-mail'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는 다수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에 설정된 상세정보(#1상세정보, …, #n상세정보)는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별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는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로부터 전송되는 상세정보(#1상세정보, …, #n상세정보)를 구성하여 각 기능별로 정렬한 후 저장하거나 또는 각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 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의 사양, 기능, 규격 등을 고려하여 각 디바이스(200, 200-1, …, 200-n)의 동작구현에 필요한 상세정보를 설정한다. 복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은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과 UPnP 방식에 의해 통신가능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 설치된 기기로서, 화상형성장치, 통신기기, 가전기기 등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 팩스전송하는 팩시밀리, 스캐닝하는 스캐너, 복사하는 복사기 또는 기존의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및 복사기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등을 말한다. 통신기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Personal Computer) 등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가능한 기기를 말한다. 가전기기는 디지털 TV, 냉장고, 에어컨 등 일반 댁내, 사내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을 말한다.
통신망(300)은 일반적인 병렬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 USB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 뿐만 아니라, 허브(HUB) 및 LAN에 의한 인터넷망 등에 의해 구축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및 호스트 단말기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은 통신망(300)을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과 연결된다.
다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과 연결되어 통신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호스트 단말기(100) 및 하나의 디바이스(200)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나의 호스트 단말기(100)로서 디바이스(200)의 상세정보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 랩탑과 같은 호스트 컴퓨터, 디바이스(200)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호스트 단말기는(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그래픽 카드(120), 표시부(125), 중앙처리부(130), 제1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이하 'UI부'라 한다)(150), 디스크립션 생성부(160) 및 제1스택부(stack)(170)를 포함하며,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블록의 도시는 생략한다. 버스(100a)는 상술한 각 블럭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이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호스트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이 적용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옵션을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
그래픽 카드(120)는 일반적인 비디오 신호를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표시부(125)로 출력한다. 특히, 그래픽 카드(120)는 후술할 UI부(150)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 또는 웹페이지를 신호처리하여 표시부(125)로 출력한다.
표시부(125)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되는 모니터로서, 그래픽 카드(1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호스트 단말기들(100)의 동작상태, 메뉴화면, 웹페이지 등을 표시한다.
중앙처리부(130)는 ROM(미도시)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디바이스(200)의 옵션 설정이 요청되면,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디바이스(200)의 옵션 설정과 관련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제1저장부(140)는 디바이스(200)의 옵션 설정과 관련된 관리 프로그램, UPnP 규격의 통신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펌웨어 및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의 드라이버를 저장한다.
UI부(150)는 디바이스(200)가 제공하는 기능들의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부(110)의 조작에 의해 툴에서 옵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툴은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능들의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이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100)가 Microsoft 사에서 지원하는 윈도우 OS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면, 관리 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윈도우 초기 화면의 트레이에는 관리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윈도우의 트레이에 표시된 관리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UI부(150)는 중앙 처리부(130)의 제어하에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메뉴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툴은 디바이스(200)의 IP를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기능들의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웹브라우저일 수 있다.
한편,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호스트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통신망(300)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UI부(150)는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종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스택부(170)에게 제공한다.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UI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상세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기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며,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의 웹언어를 이용하여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한다.
도 3은 도 2의 디스크립션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디스크립션 파일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립션 생성부(160)에서 생성되는 디스크립션 파일은 크게 '옵션항목', '옵션이 적용될 기능', '설정된 옵션이 적용될 디바이스' 및 '사용자 ID'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옵션항목'은 실제로 디바이스(200)에서 사용될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송할 기본 이메일 어드레스(default e-mail address) 및 다수의 부가 이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기본 이메일 어드레스는 호스트 단말기(100)에 설정된 초기값이며, 부가 이메일 어드레스는 아웃룩과 같은 주소록에 저장된 이메일 어드레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옵션이 적용될 기능'은 '옵션항목'에서 설정된 옵션이 적용될 기능으로서, 'scan to email'을 예로 들 수 있다. 'scan to email'은 디바이스(200)에서 문서를 스캐닝한 후 스캐닝된 문서를 설정된 이메일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설정된 옵션이 적용될 디바이스'는 'scan to email'과 같은 기능을 적용할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사용자 ID'는 상술한 옵션을 설정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ID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일반적으로 호스트 단말기(100)에 로그온한 사용자를 나타내나, 이에 한정적이지 않다.
이와 같이, 디스크립션 파일은 'scan to email'과 같은 기능뿐만 아니라 그 외의 기능과 관련된 옵션을 포함하며, 각 기능들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스택부(170)는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UPnP 규격의 멀티 캐스트(Multi-Cast)를 기반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1스택부(170)는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제1메모리(172)에 저장한다. 디스크립션 파일은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되기 전에 또는 전송된 후 저장되며, 이는 호스트 단말기(100)의 설계단계에서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택부(170)는 디스크립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통신부(174)를 갖는다. 제1통신부(17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통신기기로서 통신망(300)에 연결되며, 디바이스(200)에게 저장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멀티 캐스트에 의해 전송한다. 이러한, 제1통신부(174)는 제1스택부(170)와 원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기기로 설치된다.
또한, UI부(150)에서 제공하는 툴에 의해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옵션이 변경되면, UI부(150)는 변경된 옵션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Event Message)를 생성한다.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변경된 옵션이 반영되도록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하며, 제1스택부(170)는 디바이스(200)에게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전송한다. 여기서, 호스트 단말기(100)에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이 연결되어 있으면, 제1스택부(170)는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에게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스택부(170)는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 중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을 요청한 디바이스에게만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전송한다.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은 디스크립션 파일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다.
다른 방법으로,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옵션이 변경되면,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변경된 옵션에 대한 XML 파일을 생성한 후, 제1스택부(170)에게 제공한다. 제1스택부(170)는 디스크립션 생성부(160)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된 옵션을 포함하는 XML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스택부(170)는 일부 지정된 명령에 대한 XML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100)와 네트워크, 즉, 통신망(300)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제1스택부(170)는 통신망(300)과의 종료를 나타내는 XML 종료 파일을 별도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종료시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통신망(300)과의 종료를 나타내는 XML 종료 파일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호스트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통신망(300)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제1스택부(170)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멀티 캐스트에 의하여 제1스택부(170)는 저장된 종료 메시지에 대응되는 XML 종료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동작 패널부(Operating Panel)(210), 제2저장부(220), 임시 저장부(230), 화상형성부(240), 제2스택부(250), 정보관리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며,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블록의 도시는 생략한다. 버스(200a)는 상술한 각 블록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이다.
동작패널부(210)는 사용자 조작부(212) 및 표시패널(214)을 갖는다. 사용자 조작부(212)는 디바이스(200)에서 지원하는 각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출력하며, 각종 기능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다.
표시패널(214)은 디바이스 제어부(270)의 제어를 받아 디바이스(200)의 작업진행상태를 소정의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20)는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 UPnP 규격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펌웨어 및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임시 저장부(230)는 디바이스(2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형성부(240)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데이터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부(240)가 스캐너(미도시), 인쇄엔진부(미도시) 및 모뎀(미도시)을 구비하는 경우, 화상형성부(240)는 문서를 스캐닝하거나 용지 상에 인쇄하거나, 복사기능 또는 팩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스택부(250)는 제1스택부(170)로부터 UPnP 규격에 의해 전송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한다. 이러한 제2스택부(250)는 제2통신부(252) 및 파서(254)를 포함한다. 제2통신부(25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한 후 파서(254)로 출력한다. 파서(254)는 수신된 XML 포맷의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파싱결과, 즉, 디스크립션 파일에 포함된 상세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제2스택부(250)는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한 후,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을 생성하여 제1스택부(170)에게 전송한다.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은 호스트 단말기(100)에서 기능들의 옵션 변경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스택부(250)에게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다.
정보 관리부(260)는 파서(254)에서 추출된 상세정보를 설정된 방식으로 정렬 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 관리부(260)는 정보 구성부(262) 및 정보 저장부(264)를 포함한다.
정보 구성부(262)는 상세정보의 각 옵션을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기능 별로 구성하는 일종의 merger이다.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로부터 복수의 디스크립션 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각 디스크립션 파일은 동일한 기능에 대해 다른 옵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정보 구성부(262)는 각 기능 별로 설정된 옵션이 각 기능 및 각 호스트 단말기(100, 100-1, …, 100-n) 별로 구성하거나 또는 호스트 단말기(100, 100-1, …, 100-n) 별로 구성한다.
정보 저장부(264)는 정보 구성부(262)에 의해 구성된 각 옵션을 각 기능 및 각 호스트 단말기(100, 100-1, …, 100-n) 별로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디스크립션 파일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추출된 상세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도록 정보 관리부(26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호스트 단말기(100)로부터 또는 사용자 조작부(212)로부터 디바이스(200)에서 제공가능한 제1기능의 수행이 요청되면, 정보 저장부(264)에 저장된 옵션을 기초로 요청된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히는, 제1기능의 수행이 호스트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조작부(212)로부터 요청되면, 제어부(270)는 정보 저장부(264)에 저장된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들을 독출한다. 즉, 제어부(270)는 다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에서 설정되어 전송된 제1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옵션을 독출한 후, 표시패널(214)에 표시가능한 옵션선택화면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70)는 제1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옵션들 중 현재 통신망(300)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에서 설정된 상세정보의 옵션을 독출하여 옵션선택화면을 생성한다.
표시패널(214)에 표시된 옵션선택화면을 통해 하나의 옵션이 사용자 조작부(21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옵션을 기초로 제1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또는, 제1기능의 수행이 호스트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정보 저장부(264)에 저장된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들 중 호스트 단말기(100)에서 설정된 옵션만을 독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독출된 옵션만이 표시되는 옵션선택화면을 생성한 후 표시패널(214)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기능이 'scan to email'인 경우, 정보 저장부(264)에는 복수의 호스트 단말기들(100, 100-1, …, 100-n)에서 설정된 다수의 이메일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저장된 다수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270)는 저장된 다수의 이메일 어드레스 중 제1기능을 요청한 호스트 단말기(100)에서 설정된 이메일 어드레스들만을 독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의 UI부를 통해 최초 설정된 상세정보가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디바 이스(200)의 상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를 요청하면, UI부(150)는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메뉴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메뉴화면의 표시는 윈도우의 바탕화면, 또는 윈도우 트레이에 표시된 관리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요청할 수 있다. 생성된 메뉴화면은 신호처리되어 표시부(125)에 표시된다.
표시된 메뉴화면을 통해 디바이스(200)의 기능과 관련된 옵션이 설정/완료되면, UI부(150)는 설정된 옵션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생성한다(S410). 그리고, 상세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UI부(150)는 상세정보를 XML 포맷으로 변경하도록 디스크립션 생성부(160)에게 명령한다(S420).
UI부(150)의 명령에 의하여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상세정보를 XML 포맷의 디스크립션 파일로 생성하며(S430), 제1스택부(170)는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제1메모리(172)에 저장한다(S440).
S440단계가 수행되면, 제1통신부(174)는 멀티 캐스팅 및 UPnP 방식에 의하여 통신망(300)에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에게 저장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전송한다(S450).
S450단계 후, 다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이 수신되면(S460), 제1스택부(170)는 서브스크라이브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ID)를 제1메모리(172)에 저장한다(S470). 이는, UI부(150)를 통해 디바이스(200)의 옵션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옵션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전송해 줄 디바이스를 식별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가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최초로 수신한 상세정보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스택부(250)의 제2통신부(252)가 도 4의 S450단계에서 전송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하면, 파서(254)는 수신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고(S510), 파싱결과로부터 디스크립션 파일에 포함된 상세정보를 추출한다(S520).
이와 함께, 제2스택부(250)는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을 호스트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S530).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은 호스트 단말기(100)에서 상세정보의 내용, 즉, 각 기능의 옵션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옵션의 전송을 요청한다.
한편, 정보 관리부(260)는 S520단계에서 추출된 상세정보의 각 옵션을 호스트 단말기(100) 별로 구성하여 저장한다(S540).
S540단계 후,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들 중 제1기능이 요청되면(S550), 제어부(270)는 저장된 상세정보 중 제1기능에 대한 옵션들을 독출하여 옵션선택화면을 생성한다(S560). 그리고, 제어부(270)는 생성된 옵션선택화면이 표시패널(214)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S570).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212)를 조작하여 옵션선택화면 중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옵션을 기초로 제1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기(100)가 통신망(300)에 연결되면(S610), 제1스택부(170)는 제1메모리(172)에 디스크립션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20). 여기서, S610단계는 호스트 단말기(10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호스트 단말기(100)와 통신망(300)을 연결하거나 또는 호스트 단말기(100)가 신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중 하나를 포함한다.
S620단계에서 디스크립션 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스택부(170)는 저장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연결된 디바이스(200)에게 멀티 캐스팅 및 UPnP 방식에 의해 전송한다(S630).
반면, S620단게에서 디스크립션 파일이 미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스택부(170)는 옵션 설정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해 줄 것을 UI부(150)에게 요청한다. 이에 의해 UI부(150)는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25)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S640).
S640단계 후, 호스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주도하에 S410단계로 진입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를 통해 상세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세정보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UI부(150)에서 제공하는 메뉴화면을 통해 기존에 설정된 디바이스의 기능들의 옵션이 변경되면(S710), UI부(150)는 변경된 옵션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로 출력한다(S720). 이 벤트 메시지를 변경된 옵션의 내용 뿐만 아니라, 변경된 옵션이 반영되도록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한다.
S720단계에 의하여, 디스크립션 생성부(160)는 이벤트 메시지에 의해, 변경된 옵션이 반영되도록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하며, 제1메모리(172)는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저장한다(S730).
S730단계가 완료되면, 제1스택부(170)는 제1메모리(172)에 저장된 서브스크라이브를 전송한 디바이스(200)를 확인한 후,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확인된 디바이스(200)에게만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74)를 제어한다(S740). 이로써, 변경된 옵션을 반영한 디스크립션 파일은 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을 전송한 디바이스(200)에게만 제공된다.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과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도 7에 대응되는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호스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기(100)와 통신망(300)의 연결이 종료되면(S810), UI부(150)는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스택부(170)에게 출력한다(S820). 여기서, 통신망(300)과의 연결종료는 호스트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호스트 단말기(100)와 통신망(300)을 연결을 종료시키는 경우 발생한다.
제1스택부(170)는 입력된 종료 메시지에 대응되는 XML 포맷의 종료 파일을 제1메모리(172)로부터 독출한다(S830). 그리고, 제1스택부(170)는 제1통신부(174)를 제어하여 연결된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 모두에게 XML 포맷의 종료 파일을 전송하도록 처리한다(S840).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통신부(252)가 도 8의 S840단계에 의하여 XML 포맷의 종료 파일을 수신하면, 파서(254)는 수신된 종료 파일을 파싱한다(S910). 그리고, 파서(254)는 파싱 결과로부터 호스트 단말기(100)와 통신망(300)과의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제어부(270)에게 통지한다(S920).
S920단계에 의하여, 제어부(270)는 정보 저장부(264)에 저장된 각 기능별 상세정보의 삭제여부를 확인한다(S930). 이를 위하여, 제어부(270)는 저장된 기능별 상세정보를 지금 삭제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표시패널(214)에 표시한다.
사용자 조작부(212)에 의하여 '지금 삭제'가 선택되면(S940), 제어부(270)는 저장된 기능별 상세정보 중 종료 XML 파일을 전송한 호스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세정보를 삭제처리한다(S950). 반면, 사용자 조작부(212)에 의하여 '나중에 삭제'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저장된 기능별 상세정보를 삭제처리한다(S96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에 의하면, UPnP 규격에 의하여 호스트 단말기에서 디바이스의 상세정보을 설정한 후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들의 개수만큼 상세정보를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디바이스에 다수의 호스트 단말기에서 설정된 상세정보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기능별 또는 호스트 단말기 별로 저장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을 원할때마다 사용자별로 상세정보를 재설정할 때마다 상세정보를 재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통신망 내에 다수의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상세정보를 설정할 필요없이 호스트 단말기에 설정된 상세정보를 xml 포맷으로 전송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상세정보를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호스트 단말기가 새로운 통신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재설정하지 않고, 저장된 상세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특화된 정보를 호스트 단말기에 저장하고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시 자동으로 상세정보를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며, 호스트 단말기와 통신망의 연결 종료시 종료되었음을 디바이스들이 저장된 상세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디바이스 내의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성된 상세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는 디스크립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상기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제1스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옵션이 반영되도록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택부는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상기 제1스택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멀티 캐스트에 의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스택부는 종료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6.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단말기들에서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실행가능한 기능들의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제2스택부;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 별로 구성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택부는 상기 상세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크립션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택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이 상기 기능 별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들 중 제1기능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 중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된 옵션 중 선택된 옵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별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택부가 연결이 종료된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 호스트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세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13.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되는 상세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상기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툴을 통해 상기 기능들에 대한 설정 옵션이 변경되면,
    (d) 상기 변경된 설정 옵션이 반영되도록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은,
    (e) 상기 (c) 단계로부터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를 상기 기능 별로 구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디스크립션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된 디스크립션 파일이 수신되면,
    (h)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상세정보의 각 옵션을 상기 기능별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기능들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각 옵션이 상기 기능 별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g2)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기능들 중 제1기능의 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의 옵션 중 상기 제1기능과 관련된 옵션들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g3) 상기 표시된 옵션들 중 제1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옵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구성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후,
    (i)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종료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j) 상기 종료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상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단말기의 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 방법.
KR1020060065572A 2006-07-12 2006-07-12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KR20080006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72A KR20080006399A (ko) 2006-07-12 2006-07-12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US11/705,438 US20080016189A1 (en) 2006-07-12 2007-02-13 Host terminal to provide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a method thereof, and devices to receive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host terminal
CNA2007101010640A CN101106479A (zh) 2006-07-12 2007-04-26 提供装置配置信息的主机终端及方法和接收该信息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72A KR20080006399A (ko) 2006-07-12 2006-07-12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99A true KR20080006399A (ko) 2008-01-16

Family

ID=3895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72A KR20080006399A (ko) 2006-07-12 2006-07-12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16189A1 (ko)
KR (1) KR20080006399A (ko)
CN (1) CN1011064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0670B (zh) * 2008-08-14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共享应用程序配置参数的电子系统及其方法
US9622909B2 (en) * 2009-02-26 2017-04-18 Advanced Cooling Therap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atient temperature
WO2012096963A1 (en) 2011-01-10 2012-07-19 Fiberlink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loud services into the customer premise
US9182757B2 (en) * 2011-03-30 2015-11-1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device description files to a host
JP6107795B2 (ja) * 2014-11-18 2017-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337821A (zh) * 2015-10-22 2016-02-17 湖南快乐阳光互动娱乐传媒有限公司 一种基于upnp协议的物联网系统及物联网数据传输方法
CN106452828A (zh) * 2016-08-16 2017-02-22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provision协议传输的终端配置方法及系统
US11677830B2 (en) * 2021-07-08 2023-06-13 Cisco Technology, Inc. Setting device operational parameters using manufacturer usage description file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6001A (en) * 1994-09-27 1999-11-30 Quarles; Philip High availability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JP3654734B2 (ja) * 1997-02-25 2005-06-02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方法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
JP3201515B2 (ja) * 1997-06-09 2001-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データ生成装置、印刷データ生成方法、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H11314408A (ja) * 1998-02-24 1999-11-16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制御装置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3266146B2 (ja) * 1999-01-20 2002-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US7046161B2 (en) * 1999-06-16 2006-05-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JP3716676B2 (ja) * 1999-07-13 2005-11-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合成出力装置
AUPQ724700A0 (en) * 2000-05-02 2000-05-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using secure pickup
JP4214346B2 (ja) * 2000-07-31 2009-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通信機器、サーバ、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方法並びにサービスメニュー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メニュー提供システム
JP3520859B2 (ja) * 2000-09-01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の出力画像調整
US7366769B2 (en) * 2000-10-02 2008-04-2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universal communication connector
MXPA03006025A (es) * 2001-01-02 2005-02-14 Delta Air Lines Inc Intercambio de mensajes electronicos entre un sistema de computadora central y un sistema distribuido de computadoras.
US7409701B1 (en) * 2001-01-31 2008-08-05 Logitech Europe S.A. Web cam with an interlude switch
US20030078934A1 (en) * 2001-04-23 2003-04-24 David Cappellucci Dynamic content delivery system
US7017148B2 (en) * 2001-07-10 2006-03-2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PnP device code generation using XML
US20030043209A1 (en) * 2001-08-31 2003-03-06 Pearson Douglas J. Directional shadowing user interface
JP4336813B2 (ja) * 2002-12-06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記述システムおよび方法
ATE549852T1 (de) * 2002-12-12 2012-03-15 Seiko Epson Corp Bildverarbeitungsverfahren und bildverarbeitungssystem unter verwendung desselben
KR100513277B1 (ko) * 2003-04-16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40260680A1 (en) * 2003-06-19 2004-1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ed indexing and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system
US7289983B2 (en) * 2003-06-19 2007-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ed indexing and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system
KR100608590B1 (ko) * 2003-09-16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품질에 따른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34975A (ja) * 2003-10-28 2005-05-26 Sony Corp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装置
KR100567824B1 (ko) * 2003-11-10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기능의 중복을 피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8235B1 (ko) * 2003-11-20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 장치 및 방법
US7154862B2 (en) * 2003-12-31 2006-12-26 Openpeak Inc.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US20090119719A1 (en) * 2004-01-07 2009-05-07 Natsume Matsuzaki Device registration system, server, and terminal device
EP1712058A1 (en) * 2004-02-06 2006-10-18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and transparent provision of mobile ip services in an aaa environment
US20090024757A1 (en) * 2004-07-30 2009-01-22 Proctor David W Automatic Protocol Determination For Portable Devices Supporting Multiple Protocols
JP4533897B2 (ja) * 2004-09-01 2010-09-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処理制御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377786B2 (ja) * 2004-09-22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化機器、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95385A1 (en) * 2004-10-26 2006-05-04 Paul Atkinson Method and network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utility a target
TWI268417B (en) * 2004-12-21 2006-12-11 Inventec Corp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configuration debugging of computer peripheral connecting interface in which the debugging process can be executed automatically and an electronic report is automatically produced
KR20060081504A (ko) * 2005-01-07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제어장치 및 인쇄제어장치의 제어방법
US7426403B2 (en) * 2005-01-28 2008-09-16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070100960A1 (en) * 2005-10-28 2007-05-03 Yahoo! Inc. Managing content for RSS alerts over a network
US8065710B2 (en) * 2006-03-02 2011-11-22 At& 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concerning multimedia content
US20070254634A1 (en) * 2006-04-27 2007-11-01 Jose Costa-Requena Configuring a local network device using a wireless provider network
JP4874859B2 (ja) * 2006-05-31 2012-02-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8090491A (ja) * 2006-09-29 2008-04-17 Brother Ind Ltd Ftp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6479A (zh) 2008-01-16
US20080016189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700B2 (en) Print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JP5346059B2 (ja) 多機能画像形成装置
US108387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613001B2 (en) Host device having merged plug-in function and method of generating merged plug-in
KR20080006399A (ko)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US86112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727280B2 (en) Modifying generic workform received from host with specific input plug-in data based on selected capability of workform performing device
US8922809B2 (en)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atible fun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83018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235217B1 (ko)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US2005001544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motely control electronic apparatuses over a network
US2012003325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10080612A1 (en)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JP4050598B2 (ja)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JP2004220448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6161832A (zh) 操作屏幕提供系统、设备和方法以及中继设备
US20110055689A1 (en) Method of performing at least one operation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ost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US20130003100A1 (en) Multi-function peripher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4098604B2 (ja)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スキャナ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11111B2 (ja)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KR20100034909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인쇄 처리 방법
JP4616317B2 (ja)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JP2021100795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50597B2 (ja)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JP200428803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