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에서 용어 "알킬" 은 1 내지 6, 바람직하게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t-부틸, n-펜틸, 3-메틸-부틸, 2-메틸-부틸, n-헥실, 3-메틸-펜틸, 2-에틸-부틸, 3,3-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또는 2,3-디메틸-부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 중, R4 및 R5 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기" 은 (C1-C3)알킬기, 바람직하게 에틸 또는 메틸기, 더 바람직하게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용어 "알콕시" 는 알킬-O-기를 의미하고, 이때 알킬은 상기 정의와 같다.
본원에서 용어 "알킬설파닐" 은 알킬-S-기를 의미하고, 이때 알킬은 상기 정의와 같다.
본원에서 용어 "알킬아미노" 는 알킬-NH-기를 의미하고, 이때 알킬은 상기 정의와 같다.
본원에서 용어 "디알킬아미노" 는 (알킬)2N-기를 의미하고, 이때 알킬은 상기 정의와 같다.
본원에서 용어 "할로겐화 알킬" 은 할로겐, 바람직하게 불소 또는 염소로, 특히 불소로 한번 이상 치환되는, 상기 정의한 알킬기를 의미한다. 예는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퍼플루오로에틸 등,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본원에서 용어 "할로겐화 알콕시" 는 할로겐, 바람직하게 불소 또는 염소로, 특히 불소로 한번 이상 치환되는, 상기 정의한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예는 디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퍼플루오로에톡시 등,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다.
본원에서 용어 "할로겐화 알킬설파닐" 은 할로겐, 바람직하게 불소 또는 염소로, 특히 불소로 한번 이상 치환되는 상기 정의한 알킬설파닐기를 의미한다. 예는 트리플루오로메틸설파닐, 디플루오로메틸설파닐, 퍼플루오로에틸설파닐 등,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틸설파닐이다.
정의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 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바람직하게 불소, 염소 또는 브롬 및 특히 불소 또는 염소를 의미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은 N, O 또는 S 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3 개 이하, 바람직하게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인 5 ~ 6 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포화, 모노사이클릭 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기는 상기한 알킬, 바람직하게 메틸로 1 ~ 3, 바람직하게 1 또는 2 회 임의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기의 예는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N-메틸-피페라지닐, 피페리딜 등, 바람직하게 모르폴리닐이다.
본원에서, 질량 분석법 (MS) 과 관련하여, 용어 "API+" 는 포지티브 대기압 이온화 모드를 나타내고, 용어 "API-" 는 네가티브 대기압 이온화 모드를 나타내고, 용어 "ESI+" 는 포지티브 전자분사 이온화 모드를 나타낸다.
R1, R2 및 R3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알킬설파닐,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설파닐,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시아노, 하이드록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R1, R2 및 R3 중 하나 또는 두 개는 수소를 나타낸다.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R3 은 수소를 나타내고, 다른 구현예에서 R2 및 R3 는 수소를 나타낸다. 페닐 잔기 중 R1 의 위치는 바람직하게 에테닐 치환체의 오르토이다.
R4 및 R5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바람직하게 수소를 나타낸다.
R6 은 염소, 브롬,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 바람직하게 염소, 브롬,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 더 바람직하게 염소를 나타낸다.
R7 은 염소, 브롬, 불소, 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바람직하게 염소, 브롬, 불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더 바람직하게 염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및 R7 은 염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4 및 R5 는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및 R5 는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및 R5 는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및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R3 은 수소이고; 및
R6 및 R7 은 염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R2 및 R3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R6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및
(E)-2-(2,4,6-트리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화 알킬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를 나타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및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화 알킬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를 나타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R3 은 수소이고; 및
R6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및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4 및 R5 은 수소이고;
R3 은 수소이고; 및
R6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2-디메틸아미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o-톨릴-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3-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4-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및
(E)-2-(2-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4 은 알킬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4 는 알킬이고; 및
R5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은 알킬이고;
R5 은 수소이고; 및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은 알킬이고;
R5 은 수소이고;
R3 은 수소이고; 및
R6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프로펜-1-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5 은 알킬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4 은 수소이고; 및
R5 은 알킬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은 수소이고;
R5 은 알킬이고; 및
R3 은 수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 알킬, 할로겐화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4 은 수소이고;
R5 은 알킬이고;
R3 은 수소이고; 및
R6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1-페닐-프로펜-2-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4 및 R5 은 알킬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염소이고; 및
R7 은 브롬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염소이고; 및
R7 은 불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3,5-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브롬이고;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클로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브롬이고; 및
R7 은 불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브롬이고; 및
R7 은 메틸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틸이고;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틸이고; 및
R7 은 브롬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틸이고; 및
R7 은 불소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틸이고; 및
R7 은 메틸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및
R7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및
R7 은 불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및
R7 은 메틸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4-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및
R7 은 트리플루오로메틸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는 메톡시이고; 및
R7 은 염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E)-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및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톡시이고; 및
R7 은 브롬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톡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톡시이고; 및
R7 은 불소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다:
R6 은 메톡시이고; 및
R7 은 트리플루오로메틸임.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E)-2-페닐-에텐설폰산 2-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a) 화학식 Ⅱ 의 화합물을:
[화학식 Ⅱ]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지고, X 는 요오드 또는 브롬임],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와 반응시켜,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Ⅲa]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및
b)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의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를 분할하여 화학식 Ⅳa 의 자유 설폰아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Ⅳa]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및
c) 화학식 Ⅳa 의 설폰아미드와, 미리 활성화시킨 화학식 XI 의 벤조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XI]
[식 중,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Ia]
[식 중, R1, R2, R3,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a) 화학식 Ⅴ의 화합물을:
[화학식 Ⅴ]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N-(1,1,3,3-테트라메틸-부틸)-메탄설폰아미드:
와 함께 반응시켜 화학식 Ⅵ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Ⅵ]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b) 화학식 Ⅵ 의 화합물을 탈수시켜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Ⅲa]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c)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의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를 분할하여 화학식 Ⅳa 의 자유 설폰아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Ⅳa]
[식 중, R1, R2 및 R3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및
d) 화학식 Ⅵa 의 설폰아미드와, 미리 활성화시킨 화학식 XI의 벤조산을 반응시켜:
[화학식 XI]
[식 중,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Ia]
[식 중, R1, R2, R3,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화학식 Ⅳ 의 화합물을:
[화학식 Ⅳ]
[식 중, R1, R2, R3, R4 및 R5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미리 활성화시킨 화학식 XI 의 벤조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XI]
[식 중, R6 및 R7 은 화학식 Ⅰ 에서의 의미를 가짐];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수득함:
[화학식 Ⅰ]
[식 중, R1, R2, R3, R4, R5,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화학식 Ⅷ 의 화합물을:
[화학식 Ⅷ]
[식 중, R1, R2, R3, R4 및 R5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화학식 Ⅹ 의 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Ⅹ]
[식 중,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Ⅰ]
[식 중, R1, R2, R3, R4, R5, R6 및 R7 은 화학식 Ⅰ에서의 의미를 가짐].
본 발명의 주제인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학적으로 연관된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가능한 임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러한 방법은 하기 도식 1 ~ 5 및 실시예로 예시되며, 이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R1, R2, R3, R4, R5, R6 및 R7 은 상기한 정의를 가진다. 필요한 출발 물질은 시판되거나 또는 유기 화학의 표준 절차에 따라 수득 될 수 있다. 이러한 출발 물질의 제조는 도식 1 ~ 5 와 관련하여 하기 인용된 문헌 또는 동반되는 실시예에 기재된다. 대안적으로 필요한 출발 물질은 유기 화학분야의 보통 기술 범위 내에서 예시한 것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수득가능하다.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생산은 화학식 Ⅰ중 R4 및 R5 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이다. R4 및 R5 가 수소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도식 1 및 도식 2 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Ia 로 명명된다:
[도식 1]
도식 1 중에서, R1, R2, R3, R6 및 R7 는 상기 화학식 Ⅰ의 정의를 가지고, X 는 요오드 또는 브롬이고, R4 및 R5 는 수소이다.
단계 1:
반응 순서 (도식 1) 의 단계 1 은, 두 가지의 화학적 변환 (설포닐화 및 제거) 을 포함하는 한단계 방법이고, 여기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통해 tert-옥틸아민은 2-클로로에탄 설포닐 클로라이드와 함께 응축되어,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 (설포닐화 및 제거) 은 용매 없이, 또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78 ℃ 내지 30 ℃ 의 온도에서,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포타슘 카보네이트 및 포타슘 수소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된다.
단계 2:
도식 1 의 단계 2 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팔라듐-매개 아릴 커플링을 사용하여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는 화학식 Ⅱ 의 아릴 할라이드, 특히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와 커플링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디메틸포름아미드, 톨루엔,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80 ℃ ~ 175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 사용되는 염기는 세슘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소듐 tert-부톡사이드이고, 적절하게 결찰시킨 팔라듐 (O) 종을 시약, 예컨대 팔라듐 아세테이트,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포스핀 기재 리간드,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톨릴포스핀 및 트리부틸포스핀을 함께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3:
도식 1 의 단계 3 에서 수득된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은, N-보호기의 산성 분할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Ⅳa 의 그의 대응되는 1차 설폰아미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응은 통상 용매 없이, 또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20 ℃ ~ 4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 사용되는 산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성 수소 클로라이드, 무수 수소 클로라이드, 황산,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이다.
단계 4:
반응 순서의 단계 4 (도식 1) 는 화학식 XI의 벤조산의 카르복실기의 활성화 이후, IVa 의 아실화를 수행하여 화학식 Ia 의 아실설폰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하는 두 단계 방법이다. 제 1 단계 (활성화) 는 통상 용매 없이 수행되거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0 ℃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활성화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은 염소화 또는 이미다졸리드의 형성이다. 통상 사용되는 염소화 시약은 티오닐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N-클로로숙신아미드 트리페닐포스핀이다. 통상 사용되는 이미다졸화 방법은 N,N'-카보닐 디이미다졸 (CDI) 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기타 통상 사용되는 활성화 방법은 활성화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I),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제 2 단계 (아실화) 는 통상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10 ℃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 사용되는 염기는 소듐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이다.
[도식 2]
도식 2 에서, R1, R2, R3, R6 및 R7 는 상기 화학식 Ⅰ의 정의와 같고, R4 및 R5 는 수소이다.
단계 1:
반응 순서 (도식 2) 의 단계 1 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통해 tert-옥틸아민을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와 응축시켜서 메탄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를 제공하는 한 단계 방법이다. 반응 (설포닐화) 은 통상 용매 없이 수행되거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78 ℃ 내지 30 ℃ 의 온도에서,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포타슘 카보네이트 및 포타슘 수소 카보네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단계 2:
도식 2 의 단계 2 에서, 메탄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Ⅴ의 아릴 알데하이드와 커플링되어, 화학식 Ⅵ 의 2차 알코올을 제공한다. 반응은 통상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78 ℃ 내지 30 ℃ 의 온도에서, n-부틸 리튬, sec-부틸 리튬 및 tert-부틸 리튬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단계 3:
도식 2 의 단계 3 에서, 수득된 화학식 Ⅵ 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와의 응축을 통해 화학식 Ⅲa (도식 2) 의 그의 대응되는 비닐 설폰아미드로 전환된다. 반응 (설포닐화) 은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10 ℃ 내지 30 ℃ 의 온도에서,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포타슘 카보네이트 및 포타슘 수소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동시 제거를 통해 화학식 Ⅲa 의 비닐 설폰아미드가 제공된다.
단계 4:
도식 2 의 단계 4 에서, 수득된 화학식 Ⅲa 의 화합물은 N-보호기의 산성 분할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Ⅳa 의 그의 대응되는 1차 설폰아미드로 전환된다. 반응은 용매 없이 또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20 ℃ 내지 4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 사용되는 산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성 수소 클로라이드, 무수 수소 클로라이드, 황산,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이다.
단계 5:
반응 순서 (도식 2) 의 단계 5 는 IVa 의 아실화를 통해 화학식 XI 의 벤조산의 카르복실기를 활성시켜, 화학식 Ia 의 아실설폰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하는 두단계 방법이다. 제 1 단계 (활성) 은 통상 용매 없이 또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0 ℃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활성에 통상 사용되는 방법은 염소화 또는 이미다졸리드의 형성이다. 통상 사용되는 염소화제는 티오닐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N-클로로숙신아미드 트리페닐포스핀이다. 통상 사용되는 이미다졸화 방법은 N,N'-카보닐 디이미다졸 (CDI) 이다. 기타 통상 사용되는 활성화 방법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I),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등과 같은 활성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단계 (아실화) 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10 ℃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 사용되는 염기는 소듐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이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Ⅲa 및 Ⅵ 의 tert-옥틸 아미노 보호기 대신에, 비스-파라메톡시벤질 또는 t-부틸과 같은 기타 적합한 아미노 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Harada, H., 등, Bioorg. Med. Chem. 9 (2001) 2955-2968 참고). 도입은 도식 1 및 2 의 제 1 단계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Thompson, M. E., J. Org. Chem. 49 (1984) 1700-1703 참고). 보호기의 제거는 도식 1 의 단계 3, 및 도식 2 의 단계 4 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식 1 또는 2 의 화합물 IVa 의 대안적인 제조 또한 "Harada, H., 등, Bioorg. Med. Chem. 9 (2001) 2955-2968 및 Hirooka, S., 등, Bull. Chem. Soc. Jap. 64 (1991) 1431-1433" 에 기재된다.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생산은 화학식 Ⅰ 중 R4 및 R5 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이다. R4 가 수소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도식 3 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Ib 로 명명된다:
[도식 3]
도식 3 에서, R1, R2, R3, R5, R6 및 R7 은 화학식 Ⅰ와 동일한 정의를 가지고, R4 은 수소이다.
단계 1:
화학식 Ⅰb 의 화합물의 합성의 바람직한 방법은 화학식 Ⅶ 의 대응 벤질 알코올에서 출발한다. 반응 순서 (도식 3) 의 단계 1 은 예를 들어 대응 벤질 알코올로부터 출발한다. 반응 순서 (도식 3) 의 단계 1 은 예를 들어 순수한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예, Aramini, A., 등, J. Org. Chem. 68 (2003) 7911-7914) 설폰화이고, 이를 통해 화학식 Ⅷb 의 대응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한다.
화학식 Ⅷb 의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한 대안적인 경로는 대응 스티렌 유도체에서 출발하여,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에 따라 설퍼릴 클로라이드 (SO2Cl2) 로 설포닐화 하는 것이다.
단계 2:
도식 4 의 단계 2 는 화학식 Ⅷb 의 화합물을 에테르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수성 또는 에탄올성 암모니아수성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로 처리하여 수행되는 (예,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또는 US 3983107A 참고) 설폰아미드 형성이며, 이를 통해 화학식 Ⅳb 의 스티릴설폰아미드를 수득한다.
단계 3:
도식 4 의 단계 3 은 도식 1 의 단계 4 와 유사하게 수행되어 화학식 Ⅰb 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산은 화학식 Ⅰ 중 R4 및 R5 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이다. R5 가 수소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도식 4 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Ic 로 명명된다:
[도식 4]
도식 4 에서, R1, R2, R3, R4, R6 및 R7 은 상기 화학식 Ⅰ의 정의와 동일하고, R5 은 수소이다.
단계 1:
화학식 Ⅰc 의 화합물의 합성에 바람직한 방법은 화학식 Ⅸ 의 대응 스티렌에서 출발한다. 반응 순서 (도식 4) 의 단계 1 은 예를 들어 설퍼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80 ℃ 에서 DMF 중에서 통상 수행되는 설포닐화이고 (예,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또는 Kameyama, M., 등, Bull. Chem. Soc. Jap. 61 (1988) 1231-1236 참고), 이를 통해 화학식 Ⅷc 의 대응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한다.
단계 2:
도식 4 의 단계 2 는 화학식 Ⅷc 의 화합물을 에테르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수성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수성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수행되는 설폰아미드 형성 (예,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또는 US 3983107A 참고) 이고, 이를 통해 화학식 Ⅳc 의 스티릴설폰아미드를 수득한다.
단계 3:
도식 4 의 단계 3 은 도식 1 의 단계 4 와 유사하게 수행되고, 화학식 Ⅰc 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화학식 Ⅳ 의 일부 설폰아미드 (식 중, R4 및 R5 모두가 알킬임) 는 WO 94/27979 에 공지되어 있고, 2-브로모-1,2-디알킬-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다. 이는 도식 1 내지 4 의 대응되는 마지막 아실화 단계에 따라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화학식 Ⅳ 의 설폰아미드 (식 중, R4 및 R5 모두가 알킬임) 는 대응 1,2-디알킬-스티렌에서 출발하여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에 따른 절차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식 1 내지 4 에 대안적으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도식 5 에 보여지는 하기 반응 순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도식 5]
도식 5 에서, R1, R2, R3, R4, R5, R6 및 R7 은 화학식 Ⅰ의 정의를 가지고, R4 은 수소이다.
단계 1:
도식 5 의 단계 1 에서, N-설포닐화 반응에서 화학식 Ⅸ 의 설포닐 클로라이드는 화학식 Ⅹ의 벤즈아미드와 반응하여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80 ℃ 내지 50 ℃ 의 온도에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소듐 하이드라이드 또는 포타슘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예, Beers, S. A., 등, Bioorg. Med. Chem. 5 (1997) 779-786; US 4157257A; Horne, S., 등, J. Chem. Soc. Chem.Commun. 15 (1991) 1046-1048, Borthwick, A. D.; 등, J. Med. Chem. 43 (2000) 4452-4464 또는 Boger, D. L., 등, J. Org. Chem. 55 (1990) 1379-1390 에 따름). 화학식 Ⅸ 의 설포닐 클로라이드는 도식 3 의 단계 1 및 도식 4 의 단계 1 에 따라, 또는 하기를 사용하여 대응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a) 삼산화 황 및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예, Matier, W. L., 등., J.Med.Chem., 17 (1974) 549-552 또는 US 3983107A 참고), b) 설퍼릴 클로라이드 (SO2Cl2) (예, Harada, H., 등, Chem. Pharm. Bull. 49 (2001) 1593-1603 또는 Reddy, M. V., 등, Org. Prep. Proced. Int., 23 (1991) 633-638 참고) 또는 c) 티오닐 클로라이드 (SOCl2) (예, Reddy, M. V., 등, Phosphorus, Sulfur Silicon Relat.Elem. 53 (1990) 285-290 참고). 대안적으로 화학식 Ⅸ 의 설포닐 클로라이드는 "Wipf, P., 등 Bioorg. Med. Chem. Lett. 11 (2001) 313-317" 의 절차에 따라 화학식 Ⅵ 의 알데하이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치료학적 불활성 담체가 본 발명의 목적이고,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필요시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으로 가치있는 물질을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 불활성 담체와의 생약 투여 형태로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그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의 화학식 Ⅰ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종양 성장을 저해시키기 위한 화학식 Ⅰ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암 치료를 위한 화학식 Ⅰ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활성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Ⅰ 의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하는, 결장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방광암, 난소암,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자궁경부암, 콩팥암 또는 신장암, 백혈병 또는 림프종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종양 성장 저해용 해당 약제의 생산을 위한 화학식 Ⅰ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암 치료용 해당 약제의 생산을 위한 화학식 Ⅰ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항증식제로서의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암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성을 유지하는 통상의 산-부가염을 지칭하고, 이는 적절한 비독성 유기 또는 무기 염기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만약 R1 내지 R3 가 예를 들어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이면, 유기산 또는 무기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염기-부가염의 예는 소듐, 포타슘, 암모늄, 4차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예로써,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특히 소듐에서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 산-부가염의 예는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설팜산, 인산 및 질산에서 유도되는 것, 및 유기산, 예컨대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메탄설폰산, 옥살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젖산, 푸마르산 등에서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 약학적 화합물 (즉, 약물) 의 염으로의 화학적 개질은 약학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며, 이로써 화합물의 개선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 흡습성, 흐름성 및 가용성이 수득된다. 예를 들어 "Stahl, P. H., and Wermuth, G., (editors),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Verlag Helvetica Chimica Acta (VHCA), Zurich, (2002)" 또는 "Bastin, R.J., 등., Organic Proc. Res. Dev. 4 (2000) 427-435" 를 참고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라세미체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거울상체들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화로 분리될 수 있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은 D- 또는 L-캠포설폰산과 같은 광학적 활성 산과의 반응을 통해 라세믹 혼합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거울상체의 분리는 또한 시판되는 키랄 HPLC-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약리학적
활성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중요한 약리학적 특성을 지닌다. 상기 화합물이 항증식 활성을 보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과 같은 증식성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본 화합물의 항증식성제로서의 활성은 하기 생물학적 어세이를 통해 확인된다:
HCT 116 세포 중 CellTiter-GloTM 어세이
CellTiter-GloTM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Promega) 는 배지내의 생육성 세포의 수를, 대사가 활발한 세포의 존재 신호인 존재하는 ATP 의 양을 기초로 측정하는 균일한 방법 (homogeneous method) 이다.
HCT 116 세포 (인간 결장암, ATCC-No. CCl-247) 를 GlutaMAX™I (Invitrogen, Cat-No. 61870-010), 2.5 % 우태아혈청 (FCS, Sigma Cat-No. F4135 (FBS)); 100 Units/ml 페니실린/100 ㎍/ml 스트렙토마이신 (= Invitrogen Cat. No. 15140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Strep)) 과의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어세이를 위해 세포를 384 웰 플레이트내, 웰 당 1000 개의 세포를 동일한 배지에 접종하였다. 다음날 시험 화합물을 30 μM 내지 0.0015 μM (10 가지 농도, 1:3 로 희석시킴) 범위의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다. 5 일 후, CellTiter-GloTM 어세이를 생산자의 (CellTiter-GloTM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from Promega)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단하게: 약 30 분 동안 실온에서 세포-플레이트를 평형시킨 후, CellTiter-GloTM 시약을 첨가하였다. 내용물을 15 분 동안 조심히 혼합하여, 세포 용해를 유도하였다. 45 분 후, 발광 신호를 Victor 2, (스캐닝 멀티웰 광도계, Wallac) 에서 측정하였다.
세부 사항:
제
1 일
:
- 배지: GlutaMAX™ I (Invitrogen, Cat-Nr. 61870) 와의 RPMI 1640, 5 % FCS (Sigma Cat-No. F4135), Pen/Strep (Invitrogen, Cat-No. 15140).
- HCT116 (ATCC-No. CCl-247): 384 웰 플레이트 (Greiner 781098, μClear-plate white) 의 웰 당 60 ㎕ 중 1000 개의 세포.
- 접종 후, 플레이트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에서 항온배양함.
제
2 일
: 유도 (화합물로 처리, 10 가지 농도):
최고 농도로서 30 μM 의 최종 농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10 mM 화합물 저장 용액의 3.5 ㎕ 를 163 ㎕ 배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후 하기한 희석 공정의 단계 e) 를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 높은 농도에서 가장 낮은 농도까지 달성하기 위해, 연속 희석을 하기 절차 (a ~ e) 에 따라 1:3 희석 단계로 수행하였다:
a) 두번째로 높은 농도를 위해 10 μM 의 10 mM 화합물 저장 용액을 20 ㎕ 의 디메틸설폭시드 (DMSO) 에 첨가함.
b) 8 x 1:3 (항상 10 ㎕ 내지 20 ㎕ DMSO) 를 상기 DMSO 희석 열에 희석시킴 (그 결과 3333.3 μM 내지 0.51 μM 의 9 가지의 농도가 생성됨).
c) 각 농도를 1 : 47.6 (163 ㎕ 배지로 3.5 ㎕ 화합물을 희석시킴) 로 희석시킴.
e) 각 농도의 10 ㎕ 를 세포 플레이트 내의 60 ㎕ 배지에 첨가하여 각 웰 중 DMSO 의 최종 농도가 0.3 % 가 되도록하여, 30 μM 내지 0.0015 μM 범위의 10 가지의 화합물 최종 농도를 생성함.
- 각 화합물을 3 중 검정함.
- 37 ℃, 5 % CO2 에서 120 시간 (5 일) 동안 항온 배양함.
분석:
- 웰 당 30 ㎕ CellTiter-GloTM 시약을 첨가하고,
- 실온에서 15 분 동안 진탕하고,
- 추가로 45 분 동안 실온에서 진탕하지 않으면서 항온 배양한다.
측정:
- Victor 2 스캐닝 멀티웰 광도계 (Wallac), 발광 모드 (0.5 초/리드(read), 477 nm)
- 비선형 곡선 피트를 사용하여 IC50 를 측정 (XLfit software (ID Business Solution Ltd., Guilford, Surrey, UK))
표 1 에 나타낸 화합물로 예증한 HCT 116 세포 생육성의 현저한 저해가 탐지되었다.
결과: 표 1
실시예
|
IC50
HCT
116 [μM]
|
1-1 |
8.5 |
1-2 |
3.1 |
3-1 |
9.2 |
1-3, 1-4, 1-5, 1-7, 1-8, 1-9, 1-13, 1-14, 1-17, 1-20, 1-23, 1-26, 1-28, 1-30, 1-33, 1-35, 1-36, 1-39, 1-42, 1-43, 1-45, 2-1, 4-2, 4-4, 4-5, 4-8, 4-10, 4-13, 4-16, 4-17, 4-18, 4-21, 4-22, 4-25, 4-28, 4-31, 4-34, 4-35, 4-37, 4-40, 5-1, 5-2, 5-3, 5-4, 5-6, 6-1, 6-2, 6-3, 6-5, 6-6 |
0.5-15.0 |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와 같은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예를 들어 정제, 코팅 정제, 당과,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또한 예로써 좌약의 형태로 직장으로 투여될 수 있고, 예로써 주사 용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불활성, 무기 또는 유기 담체를 가공하여 수득할 수 있다. 락토오스, 옥수수 녹말 또는 이의 유도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그 염 등이, 예를 들어, 정제, 코팅 정제, 당과 및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을 위한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로 적절한 담체는, 예를 들어, 식물설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 폴리올 등이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대부분 담체가 요구되지 않지만, 젤라틴 캡슐의 경우에는 필요하다. 용액 및 시럽의 제조에 적절한 담체는 예를 들어, 물, 폴리올, 글리세롤, 식물성 오일 등이다. 좌약에 적절한 담체는 예를 들어 천연 및 경화 오일,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 폴리올 등이다.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보존료, 가용화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료, 색소, 향료,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차폐제 또는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른 치료학적으로 가치있는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를 함유한다:
a) 정제 제형 (습윤 과립화):
항목
|
성분
|
mg
/정제
|
1. |
화학식 I 의 화합물 |
5 |
25 |
100 |
500 |
2. |
락토오스 무수물 DTG |
125 |
105 |
30 |
150 |
3. |
Sta-Rx 1500 |
6 |
6 |
6 |
30 |
4. |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
30 |
30 |
30 |
150 |
5.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1 |
1 |
1 |
1 |
|
합계 |
167 |
167 |
167 |
831 |
생산 공정:
1. 항목 1, 2, 3 및 4 를 혼합하고, 정제수로 과립화한다.
2. 과립을 50 ℃ 에서 건조시킨다.
3. 과립을 적절한 밀링 장치에 통과시킨다.
4. 항목 5 를 첨가하고, 3 분 동안 혼합하고; 적절한 프레스기로 압축시킨다.
b) 캡슐 제형:
항목
|
성분
|
mg
/캡슐
|
1. |
화학식 I 의 화합물 |
5 |
25 |
100 |
500 |
2. |
함수 락토오스 |
159 |
123 |
148 |
--- |
3. |
옥수수 녹말 |
25 |
35 |
40 |
70 |
4. |
탈크 |
10 |
15 |
10 |
25 |
5.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1 |
2 |
2 |
5 |
|
합계 |
200 |
200 |
300 |
600 |
생산 공정:
1. 항목 1, 2 및 3 을 적절한 혼합기에서 30 분 동안 혼합한다.
2. 항목 4 및 5 를 첨가하고, 3 분 동안 혼합한다.
3. 적절한 캡슐에 충전시킨다.
하기 실시예 및 참고 문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이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기재된 절차에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출발 물질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의 제조
질소하에서 tert-옥틸아민 (1.47 mol, 236.3 ml), 트리에틸아민 (0.49 mol, 68.3 ml) 및 디클로로메탄 (400 ml) 을 3구 플라스크에 넣고, -18 ℃ 로 냉각시켰다. 디클로로메탄 (400 ml) 중 2-클로로-1-에탄 설포닐 클로라이드의 용액을 2 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첨가 중 반응 온도를 -18 내지 -9 ℃ 로 유지시켰다. 반응을 1 시간에 걸쳐 실온 (RT) 으로 가온한 후, 1N HCl (400 ml) 세정하고, 증류수 (2 x 200 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진공하, 50 ℃ 에서 건조시켜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96.0 g (90 % 수율) 을 담황색 오일로 수득하 였다.
1H-NMR (400 MHz; d6-DMSO) 0.98 (9H, s), 1.27 (6H, s), 1.54 (2H, s), 5.84 (1H, d, J = 9.8 Hz), 5.99 (1H, d, J = 16.4 Hz), 6.72 (1H, dd, J = 9.8, 16.4 Hz), 6.90 (1H, s).
(E)-2-페닐-프로펜-1-설폰산 아미드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100 ml) 중 설퍼릴 클로라이드 (5.25 mL, 65.38 mmol) 의 용액을 실온 (RT) 에서 α-메틸스티렌 (5 mL, 38.46 mmol) 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0 ℃ 로 30 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냉수 (100 ml) 에 붓고, 클로로포름 (3 x 50 ml)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염수 (2 x 30 ml) 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미정제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미정제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100 ml) 에 용해시키고, 수성 NH4OH (28 %, 8.02 mL, 57.69 mmol) 로 처리하고,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 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염수 (3 x 30 ml) 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9 -> 2:1) 를 수행하여 2-페닐-프로펜-1-설폰산 아미드를 담갈색 고체로 분리할 수 있다. 수율 172 mg (2 %)
MS:M=196.0 (API-)
1H-NMR (400 MHz, d6 DMSO): 2.42 (s, 3H), 6.66 (s, 1H), 7.12 (br, 2H), 7.43 (m, 3H), 7.52 (m, 2H)
(E)-1-페닐-프로펜-2-설폰산 아미드의 제조
1-페닐-1-프로파놀 (10.0 mL, 72.25 mmol) 을 티오닐 클로라이드 (42.0 ml, 570.03 mmol) 에 3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용액을 17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 (RT) 로 냉각시켰다. 초과량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미정제 재료를 THF (60 ml) 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0 ℃ 로 냉각시키고, 암모니아 (에탄올(EtOH) 중 2M 용액, 72.0 mL, 144.00 mmol) 로 처리하고,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추가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기를 클로로포름 (200 ml) 과 물 (100 ml) 사이에 분액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물 (100 ml), 염수 (2 x 50 ml) 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2 -> 2:1) 를 수행하여 1-페닐-프로펜-2-설폰산 아미드를 담갈색 고체로 분리할 수 있다. 수율 250 mg (2 %).
MS: M = 196.0 (API-)
1H-NMR (400 MHz, d6 DMSO): 2.21 (s, 3H), 7.06 (br, 2H), 7.38 (m, 2H), 7.46 (m, 4H)
최종 생성물
소듐염
형성
하기한 (실시예 1-1 내지 6-6) 절차에 따라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하기 절차에 따라 그 소듐염으로 전환하였고/할 수 있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예, 10 ml) 중 설폰아미드 용액에 (1 당량, 예, 1 mmol) (하기 절차에 따라 수득됨 (실시예 1-1 내지 6-6)), 1 당량(예, 1 mmol) 소듐 메톡시드 (메탄올 중 25 % 용액)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기를 디에틸 에테르 (예, 50 내지 100 ml) 에 현탁시키고, 1 시간 동안 가열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해내어 건조시켰다.
실시예
1-1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i)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8.5 g, 38.8 mmol) 및 4-클로로요오도아니솔 (7.87 g, 33.0 mmol)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65 ml) 에 용해시켰다. 팔라듐 아세테이트 (139 mg, 0.62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357 mg, 1.36 mmol) 을 반응에 첨가한 후, 트리에틸아민 (12.5 ml, 89.3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질소로 플러시시키고, 140 ℃ 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N HCl (250 ml) 으로 켄치시켰다. 수성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0 ml)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MgSO4 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건조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헵텐 대 1:1 헵텐 : 에틸 아세테이트) 으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조합하여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5.0 g, 46 % 수율) 을 수득하였다.
MS: M = 681 (ESI+, 2M+Na)
1H-NMR (250 MHz; CDCl3): 1.04 (9H, s), 1.42 (6H, s), 1.62 (2H, s), 4.29 (1H, br s), 6.75-6.81 (1H, d, J = 15.4 Hz), 7.35-7.43 (5H, m).
ii)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5.0 g, 15.2 mmol) 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5 ml) 및 헵텐 (150 ml) 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석션 여과로 수집하였다. 고체를 진공하, 실온에서 건조시켜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2.95g, 89 %) 를 수득하였다.
1H-NMR (250 MHz; d4-MeOD): 7.13-7.20 (1H, d, J = 15.5 Hz), 7.40-7.48 (3H, m), 7.58-7.62 (2H, m).
iii)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1,4-디옥산 (1.5 ml) 중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65 mg, 0.3 mmol) 의 용액에 포타슘 카보네이트 (83 mg, 0.6 mmol) 를 첨가한 후, 2,4-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63 ㎕, 0.45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80 ℃ 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N HCl (2 ml)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ml) 으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0.4 ml) 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기를 제조용 HPLC 로 정제하여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33.6 mg, 29 %) 를 수득하였다.
MS: M = 390.0 (ESI+, M+H)
1H-NMR (250 MHz; d4-MeOD): 7.36-7.42 (1H, d, J = 15.4 Hz), 7.44-7.61 (5H, m), 7.68-7.77 (3H, m).
실시예
1-2 내지 1-42
하기 실시예 1-2 내지 1-42 를 실시예 1-1 에 기재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번호
|
쳬계적 명칭
|
MS
(ESI+, M+H)
|
1
H-
NMR
|
1-2
|
(E)-2-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56.0 |
(400 MHz, d6-DMSO): 7.48 (m, 3H), 7.53 (dd, 1H), 7.54 (d, J=15.4 Hz, 1H), 7.61 (d, 1H), 7.68 (d, J=15.4 Hz, 1H), 7.74 (d, 1H), 7.81 (m, 2H), 12.63 (br, 1H) |
1-3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424.0 |
(400 MHz, d6-DMSO): 7.53 (dd, 1H), 7.63 (d, 1H), 7.74 (d J=15.0 Hz, 1H), 7.75 (d, 1H), 7.78 (d J=15.0 Hz, 1H), 7.84 (d, 2H), 8.05 (d, 2H), 12.72 (br, 1H) |
1-4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84.0 |
(400 MHz, d6-DMSO): 2.31 (s, 3H), 2.38 (s, 3H), 7.10 (d, 1H), 7.14 (d, 1H), 7.34 (d, J=15.3 Hz, 1H), 7.52 (dd, 1H), 7.59 (d, 1H), 7.67 (d, 1H), 7.73 (d, 1H), 7.82 (d, J=15.3 Hz, 1H), 12.57 (br, 1H) |
1-5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86.0 |
(400 MHz, d6-DMSO): 3.91 (s, 3H), 7.04 (ddd, 1H), 7.15 (dd, 1H), 7.48 (m, 2H), 7.53 (dd, 1H), 7.59 (d, 1H), 7.74 (d, 1H), 7.78 (dd, 1H), 7.84 (d, J=15.5 Hz, 1H), 12.56 (br, 1H) |
1-6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0.0 |
(400 MHz, d6-DMSO): 7.52 (m, 3H), 7.61 (d, 1H), 7.67 (s, 2H), 7.74 (d, 1H), 7.78 (dd, 1H), 7.98 (m, 1H), 12.68 (br, 1H) |
1-7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0.0 |
(400 MHz, d6-DMSO): 7.46 (ddd, 1H), 7.53 (m, 2H), 7.62 (m, 2H), 7.69 (d J=15.3 Hz, 1H), 7.75 (d, 1H), 7.96 (d J=15.3 Hz, 1H), 8.04 (dd, 1H), 12.73 (br, 1H) |
1-8
|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2.0 |
(400 MHz, d6-DMSO): 7.25 (ddd, 1H), 7.44 (ddd, 1H), 7.54 (dd, 1H), 7.58 (d J=15.5 Hz, 1H), 7.62 (d, 1H), 7.69 (d J=15.5 Hz, 1H), 7.75 (d, 1H), 8.07 (ddd, 1H), 12.71 (br, 1H) |
1-9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440.0 |
(400 MHz, d6-DMSO): 7.46 (d, 2H), 7.53 (dd, 1H), 7.61 (d J=15.5 Hz, 1H), 7.62 (d, 1H), 7.72 (d J=15.5 Hz, 1H), 7.75 (d, 1H), 7.98 (d, 2H), 12.65 (br, 1H) |
1-10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425.0 |
(400 MHz, d6-DMSO): 7.54 (dd, 1H), 7.61 (d, 1H), 7.70 (d J=14.8 Hz, 1H), 7.72 (d, 1H), 7.73 (d J=14.8 Hz, 1H), 7.75 (d, 1H), 7.84 (dd, 1H), 8.21 (d, 1H), 12.65 (br, 1H) |
1-11
|
(E)-2-(2-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5.9 |
(400 MHz, d6-DMSO): 12.69 (br. s, 1H), 7.96 (t, J=7.6 Hz, 1H), 7.75 (d, J=1.7 Hz, 1H), 7.73 (d, J=15.6 Hz, 1H), 7.63-7.55 (m, 3H), 7.53 (dd, J=8.2, 1.8 Hz, 1H), 7.39-7.30 (m, 2H) |
1-12
|
(E)-2-o-톨릴-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2.0 |
(400 MHz, d6-DMSO): 12.61 (br. s, 1H), 7.87 (d, J=15.2 Hz, 1H), 7.76 (d, J=7.8 Hz, 1H), 7.74 (d, J=1.8 Hz, 1H), 7.61 (d, J=8.3 Hz, 1H), 7.52 (dd, J=8.3, 1.8 Hz, 1H), 7.39 (d, J=15.2 Hz, 1H), 7.38 (m, 1H), 7.33-7.26 (m, 2H), 2.42 (s, 3H) |
1-13
|
(E)-2-(2-디메틸아미노-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99.1 |
(400 MHz, d6-DMSO): 12.56 (br. s, 1H), 7.90 (d, J=15.4 Hz, 1H), 7.73-7.70 (m, 2H), 7.59 (d, J=8.1 Hz, 1H), 7.54-7.51 (m, 1H), 7.46-7.39 (m, 2H), 7.17 (d, J=8.1 Hz, 1H), 7.07 (t, J=7.2 Hz, 1H) 2.72 (s, 6H) |
1-14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0.3 |
(400 MHz, d6-DMSO): 7.42 (m, 1H, 페닐-6-H), 7.15 (d, 1H, 에텐), 7.00 (d, 1H, 에텐, J=15.30 Hz, 트랜스), 7.14 (s, 1H, 메톡시페닐-2-H), 7.09 (m, 1H, 페닐-3-H), 6.95 (m, 3H, 페닐-5-H, 메톡시페닐-4-H, 메톡시페닐-6-H), 6.76 (m, 1H, 메톡시페닐-4-H), 3.63 (s, 3H, 메톡시) |
1-15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0.3 |
(400 MHz, d6-DMSO): 7.39 (m, 1H, 페닐-6-H), 7.22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7.11 (d, 1H, 에텐, J=15.5 Hz, 트랜스), 7.00 (m, 3H, 메톡시페닐-6-H, 메톡시페닐, 페닐), 6.80 (m, 2H, 페닐-3-H, 메톡시페닐), 3.72 (s, 3H, 메틸) |
1-16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4.2 |
(400 MHz, d6-DMSO): 7.43 (s, 1H, 클로로페닐-2-H), 7.38 (m, 1H, 페닐-6-H), 7.32 (m, 1H, 클로로페닐-4-H), 7.19 (m, 3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에텐), 6.96 (m, 1H, 에텐, J=16.24 Hz, 트랜스), 7.04 (m, 1H, 페닐-3-H), 6.89 (m, 1H, 페닐-5-H) |
1-17
|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6.2 |
(400 MHz, d6-DMSO): 7.54 (m, 1H, 디플루오로페닐-3-H), 7.35 (m, 1H, 페닐-6-H), 7.15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7.07 (m, 1H, 페닐-3-H), 7.03 (m, 2H, 디플루오로페닐-6-H, 에텐), 6.89 (m, 2H, 디플루오로페닐-5-H, 페닐-5-H) |
1-18
|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4.2 |
(400 MHz, d6-DMSO): 7.57 (m, 3H, 클로로페닐-2-H, 클로로페닐-6-H, 페닐-6-H), 7.42 (m, 2H, 클로로페닐-3-H, 클로로페닐-5-H), 7.31 (d, 1H, 에텐), 7.15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7.23 (m, 1H, 페닐-3-H), 7.08 (m, 1H, 페닐-5-H) |
1-19
|
(E)-2-(4-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0.3 |
(400 MHz, d6-DMSO): 7.55 (m, 1H, 페닐-6-H), 7.47 (d, 2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7.23 (m, 1H, 에텐), 7.12 (m, 3H, 페닐-3-H, 페닐-5-H, 에텐), 6.94 (d, 2H, 메톡시페닐-3-H, 메톡시페닐-5-H), 3.77 (s, 3H, 메톡시) |
1-20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2.3 |
(400 MHz, d6-DMSO): 7.50 (m, 1H, 페닐-6-H), 7.34 (m, 2H, 페닐-3-H, 페닐-5-H), 7.28 (m, 2H, 디메틸페닐-6-H, 에텐), 7.04 (d, 1H, 에텐, J=16.05 Hz, 트랜스), 6.95 (m, 2H, 디메틸페닐-3-H, 디메틸페닐-5-H), 2.22 (s, 3H, 메틸), 2.18 (s, 3H, 메틸) |
1-21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4.3 |
(400 MHz, d6-DMSO): 7.40 (m, 1H, 페닐-6-H), 7.23 (m, 2H, 페닐-3-H, 페닐-5-H), 7.10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6.95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6.90 (m, 2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6.72 (m, 1H, 메톡시페닐-4-H), 3.59 (s, 3H, 메톡시) |
1-22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8.2 |
(400 MHz, d6-DMSO): 7.79 (m, 2H, 페닐-6-H, 클로로페닐-2-H), 7.70 (m, 1H, 클로로페닐-4-H), 7.62 (m, 4H, 페닐-3-H, 페닐-5-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7.54 (d, 1H, 에텐), 7.35 (d, 1H, 에텐, J=15.25 Hz, 트랜스) |
1-23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8.2 |
(400 MHz, d6-DMSO): 7.73 (m, 1H, 클로로페닐-3-H), 7.63 (m, 1H, 페닐-6-H), 7.53 (m, 2H, 클로로페닐-6-H), 7.46 (m, 2H, 페닐-3-H, 페닐-5-H), 7.40 (m, 3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에텐) |
1-24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8.2 |
(400 MHz, d6-DMSO): 7.88 (m, 2H, 트리플루오로메톡시-2-H, 트리플루오로메톡시-6-H), 7.81 (m, 1H, 페닐-6-H), 7.63 (m, 2H, 페닐-3-H, 페닐-5-H), 7.57 (d, 2H, 트리플루오로메톡시-3-H, 트리플루오로메톡시-5-H), 7.52 (d, 1H, 에텐), 7.41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
1-25
|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8.2 |
(400 MHz, d6-DMSO): 7.35 (m, 3H, 페닐-6-H, 클로로페닐-2-H, 클로로페닐-6-H), 7.21 (m, 4H, 페닐-3-H, 페닐-5-H, 클로로페닐-3-H, 클로로페닐-5-H), 7.08 (d, 1H, 에텐), 6.94 (d, 1H, 에텐, J=16.10 Hz, 트랜스) |
1-26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2.3 |
(400 MHz, d6-DMSO): 7.75 (d, 1H, 페닐-6-H), 7.67 (s, 1H, 페닐-3-H), 7.49 (d, 1H, 페닐-5-H), 7.18 (m, 2H, 디메틸페닐-3-H, 에텐), 6.92 (d, 1H, 에텐, J=15.25 Hz, 트랜스), 6.83 (m, 2H, 디메틸페닐-5-H, 디메틸페닐-6-H), 2.10 (s, 3H, 메틸), 2.06 (s, 3H, 메틸) |
1-27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4.3 |
(400 MHz, d6-DMSO): 7.96 (d, 1H, 페닐-6-H), 7.89 (s, 1H, 페닐-3-H), 7.72 (d, 1H, 페닐-5-H), 7.31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7.18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7.11 (m, 2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6.93 (d, 1H, 메톡시페닐-4-H), 3.79 (s, 3H, 메톡시) |
1-28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4.3 |
(400 MHz, d6-DMSO): 8.01 (d, 1H, 페닐-6-H), 7.94 (s, 1H, 페닐-3-H), 7.77 (d, 1H, 페닐-5-H), 7.56 (d, 1H, 메톡시페닐-6-H), 7.51 (d, 1H, 에텐), 7.34 (d, 1H, 에텐, J=16.05 Hz, 트랜스), 7.41 (t, 1H, 메톡시페닐-5-H), 7.13 (d, 1H, 메톡시페닐-3-H), 7.04 (t, 1H, 메톡시페닐-4-H), 3.92 (s, 3H, 메톡시) |
1-29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8.2 |
(400 MHz, d6-DMSO): 8.75 (d, 1H, 페닐-6-H), 7.68 (s, 1H, 페닐-3-H), 7.52 (d, 1H, 페닐-5-H), 7.42 (s, 1H, 클로로페닐-2-H), 7.32 (d, 1H, 클로로페닐-4-H), 7.21 (m, 2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7.15 (d, 1H, 에텐), 6.99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
1-30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8.2 |
(400 MHz, d6-DMSO): 7.77 (d, 1H, 페닐-6-H), 7.70 (s, 1H, 페닐-3-H), 7.53 (m, 2H, 클로로페닐-3-H, 페닐-5-H), 7.33 (m, 2H, 클로로페닐-6-H), 7.19 (m, 3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에텐) |
1-31
|
(E)-2-(2,4-디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60.3 |
(400 MHz, d6-DMSO): 7.78 (d, 1H, 페닐-6-H), 7.71 (s, 1H, 페닐-3-H), 7.56 (m, 2H, 페닐-5-H, 디플루오로페닐-3-H), 7.15 (m, 2H, 디플루오로페닐-6-H, 에텐), 7.07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6.97 (m, 1H, 디플루오로페닐-5-H) |
1-32
|
(E)-2-(4-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8.2 |
(400 MHz, d6-DMSO): 7.73 (d, 1H, 페닐-6-H), 7.66 (s, 1H, 페닐-3-H), 7.49 (d, 1H, 페닐-5-H), 7.36 (d, 2H, 클로로페닐-2-H, 클로로페닐-6-H), 7.22 (d, 2H, 클로로페닐-3-H, 클로로페닐-5-H), 7.08 (d, 1H, 에텐), 6.96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
1-33
|
(E)-2-(2-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70.0 |
(500 MHz, d6-DMSO): 12.49 (br. s, 1H), 10.55 (s, 1H), 7.81 (d, 15.4 Hz, 1H), 7.74 (d, 1.6 Hz, 1H), 7.65 (d, 7.9 Hz, 1H), 7.59 (d, 8.2 Hz, 1H), 7.52 (dd, 8.4 Hz, 1.7 Hz, 1H), 7.47 (d, 15.4 Hz, 1H), 7.31 (t, 7.4 Hz, 1H), 6.95 (d, 8.1 Hz, 1H), 6.87 (d, 7.6 Hz, 1H) |
1-34
|
(E)-2-(4-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70.1 |
(400 MHz, d6-DMSO): 12.45 (br. s, 1H), 10.15 (s, 1H), 7.73 (d, 1.5 Hz, 1H), 7.63 (d, 8.6 Hz, 2H), 7.58 (d, 8.1 Hz, 1H), 7.55 (d, 15.6 Hz, 1H), 7.52 (dd, 8.8 Hz, 1.7 Hz, 1H), 7.23 (d, 15.4 Hz, 1H), 6.83 (d, 8.6 Hz, 2H) |
1-35
|
(E)-2-(3-하이드록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
370.1 |
(400 MHz, d6-DMSO): 12.59 (br. s, 1H), 9.71 (s, 1H), 7.74 (d, 1.7 Hz, 1H), 7.60 (d, 8.3 Hz, 1H), 7.55 (d, 15.2 Hz, 1H), 7.52 (dd, 8.4 Hz, 1.4 Hz, 1H), 7.40 (d, 15.4 Hz, 1H), 7.26 (t, 7.7 Hz, 1H), 7.20 (d, 7.6 Hz, 1H), 7.11 (m, 1H), 6.89 (dd, 7.9 Hz, 1.4 Hz, 1H) |
1-36
|
(E)-2-(2,4,6-트리플루오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1.9 |
(400 MHz, d6-DMSO): 7.51 (d, 8.31 Hz, 1H), 7.47 (d, 2.0 Hz, 1H), 7.42 (d, 16.2 Hz, 1H), 7.29-7.36 (m, 3H), 7.16 (d, 15.4 Hz, 1H) |
1-37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8.8 |
(400 MHz, d6-DMSO): 7.78 (d, J=8.8 Hz, 2H), 7.73 (d, J=8.8 Hz, 2H), 7.59 (td, J=6.5, 1.8 Hz, 1H), 7.46 (d, J=15.4 Hz, 1H), 7.29-7.25 (m, 2H), 7.15 (m, 1H) |
1-38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68.3 |
(400 MHz, d6-DMSO): 7.56 (t, J=7.2 Hz, 1H), 7.42-7.34 (m, 2H), 7.24 (m, 1H), 7.17-7.01 (m, 4H), 2.31 (s, 3H), 2.27 (s, 3H) |
1-39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24.2 |
(400 MHz, d6-DMSO): 7.65 (d, J=8.7 Hz, 2H), 7.54 (td, J=6.9, 1.1 Hz, 1H), 7.33 (d, J=8.7 Hz, 2H), 7.26 (d, J=15.7 Hz, 1H), 7.23-7.19 (m, 1H), 7.17 (d, J=15.7 Hz, 1H), 7.08-7.03 (m, 1H) |
1-40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9.7 |
(400 MHz, d6-DMSO): 8.12 (s, 1H), 7.77 (d, J=8.4 Hz, 1H), 7.71 (d, J=8.4 Hz, 1H), 7.67-7.48 (m, 4H), 7.31-7.25 (m, 1H) |
1-41
|
(E)-2-(3,5-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클로로-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9.7 |
|
1-42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42.2 |
(400 MHz, d6-DMSO): 7.77 (d, J=8.2 Hz, 2H), 7.73 (d, J=8.2 Hz, 2H), 7.62 (td, J=6.6, 1.5 Hz, 1H), 7.47-7.39 (m, 3H), 7.25 (d, J=15.3 Hz, 1H) |
실시예
1-43 내지 1-45
적절한 출발 물질에서 출발하여 하기 실시예 1-43 내지 1-45 를 실시예 1-1, 단계 i) 및 ii) 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고, 단계 iii) 대신에 예를 들어 실시예 1-43 에 기재한 대안적 절차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43
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디옥산 (25 ml) 중 2-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500 mg, 2.7 mmol) 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197 mg, 미네랄 오일 중 55 % 분산액)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클로로-2-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 (527 mg, 2.7 mmol)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물 (50 ml) 을 첨가한 후, 1N HCl 를 이용하여 pH 를 7 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 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상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제조용 HPLC (RP18, 메탄올-물-구배) 를 통해 표제 화합물 (730 mg, 79 % 수율)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 = 338.1 (ESI+)
1H-NMR (400 MHz, d6-DMSO): 7.11 (td, 8.6 Hz, 2.5 Hz, 1H); 7.19 (d, 15.9 Hz, 1H); 7.27 (dd, 9.1 Hz, 2.5 Hz, 1H); 7.32 (d, 15.7 Hz, 1H); 7.34-7.43 (m, 3H); 7.51-7.57 (m, 2H)
실시예
1-44 내지 1-45
실시예
번호
|
쳬계적 명칭
|
MS
(
ESI
+, M+H)
|
1
H-
NMR
|
1-44
|
(E)-2-페닐-에텐설폰산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22.1 |
(400 MHz, d6-DMSO): 7.21 (d, 15.4 Hz, 1H); 7.30 (d, 15.9 Hz, 1H); 7.33-7.45 (m, 3H); 7.55 (d, 7.1 Hz, 2H); 7.73 (d, 8.1 Hz, 1H); 7.91 (s, 1H), 7.97 (d, 7.9 Hz,1H) |
1-45
|
(E)-2-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72.1 |
(400 MHz, d6-DMSO): 7.18 (d, 15.7 Hz, 1H); 7.29 (d, 15.9 Hz, 1H); 7.32-7.49 (m, 5H); 7.54 (d, 7.3 Hz, 2H), 7.58-7.64 (m, 1H) |
실시예
2
-
1
(E)-1-페닐-프로펜-2-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1-페닐-프로펜-2-설폰산 아미드를 디옥산에 용해한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 및 2,4-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00 ℃ 에서 밀폐 튜브 내에서 18.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 (RT) 으로 냉각시키고, 1M HCl 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액시켰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의 추가적인 부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조합하고, 염수로 세정 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 를 수행하여 1-페닐-프로펜-2-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를 무색 오일로 분리할 수 있다. 수율 55 mg (56 %).
MS: M = 370.0 (ESI+, M+H)
1H-NMR (400 MHz, CDCl3): 2.37 (s, 3H), 7.37 (dd, 1H), 7.45 (m, 6H), 7.70 (d, 1H), 7.87 (d, 1H), 8.86 (br, 1H)
실시예
3-1
(E)-2-페닐-프로펜-1-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
(E)-2-페닐-프로펜-1-설폰산 아미드를 디옥산에 용해한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 및 2,4-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00 ℃ 에서 밀폐 튜브내에서 18.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 (RT) 으로 냉각시키고, 1M HCl 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액시켰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의 추가적인 부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조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 를 수행하여 (E)-2-페닐-프로펜-1-설폰산 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드를 무색 오일로 분리할 수 있다. 수율 90 mg (80 %).
MS: M = 370.0 (ESI+, M+H)
1H-NMR (400 MHz, CDCl3): 2.64 (s, 3H), 6.75 (s, 1H), 7.37 (dd, 1H), 7.46 (m, 6H), 7.74 (d, 1H), 9.07 (br, 1H)
실시예
4-1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i)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10 g, 46 mmol) 및 2-클로로요오도아니솔 (4.8 mL, 39.1 mmol)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75 ml) 에 용해시켰다. 팔라듐 아세테이트 (169 mg, 0.75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420 mg, 1.6 mmo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후, 트리에틸아민 (14.7 mL, 106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질소로 플러시 시키고, 140 ℃ 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N HCl (275 ml) 을 첨가하였다. 수성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25 ml) 으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 용액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건조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헵텐 대 1:1 헵텐: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조합하여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4.1g, 32 % 수율) 를 수득하였다.
1H-NMR (250 MHz; d4-MeOD): 1.23 (9H, s), 1.55 (6H, s), 1.85 (2H, s), 7.25 (1H, d, J = 15.4 Hz), 7.57 (2H, m), 7.67 (1H, d, J = 7.2 Hz) 7.93 (2H, m).
ii)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드 (4.55 g, 12.3 mmol) 를 15 분 동안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디클로로메탄 (18 mL) 의 1:1 혼합물 중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5 ml) 및 헵텐 (150 ml) 으로 세정하고 석션 여과로 수집하였다. 고체를 진공하, 실온에서 건조시켜 미정제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3.45g) 를 수득하였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H-NMR (250 MHz; d4-MeOD): 7.42 (1H, d, J = 15.5 Hz), 7.62 (2H, m), 7.72 (1H, d, J = 7.4 Hz), 7.99 (1H, d, J = 7.4 Hz) 8.07 (1H, d, J = 15.5 Hz).
iii)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4-브로모-2-클로로-벤조산 (0.64 g, 2.7 mmol) 및 DMF (50 ㎕) 를 디클로로메탄 (9 ml) 에 첨가하였다. 옥살릴 클로라이드 (0.47 ml, 5.4 mmol) 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종결을 LC-MS 로 모니터하였다. 반응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ⅳ)-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소듐 하이드라이드 (미네랄 오일 중 60 % 분산액) (36 mg, 0.9 mmol) 을, 1,4-디옥산 (1.5 ml) 중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65 mg, 0.3 mmol) 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진탕하였다. 디옥산 (0.5 ml) 중 미정제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114 mg, 0.45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물 (0.1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전체를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기를 중성 조건하에서 제조용 HPLC 로 정제하여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38 mg, 29 % 수율) 을 수득하였다.
MS: M = 370.7 (ESI+, M+H)
1H-NMR (400 MHz, d6-DMSO): 7.63 (s, 1H, 클로로페닐-2-H), 7.60 (d, 1H, 페닐-5-H), 7.53 (m, 1H, 클로로페닐-4-H), 7.41 (m, 3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에텐), 7.15 (m, 3H, 페닐-3-H, 페닐-6-H, 에텐)
실시예
4-2 내지 4-42
하기 실시예 4-2 내지 4-42 를 실시예 4-1 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번호
|
쳬계적 명칭
|
MS
(ESI+, M+H)
|
1
H-
NMR
|
4-2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0.7 |
(400 MHz, d6-DMSO): 7.62 (m, 1H, 클로로페닐-6-H), 7.48 (d, 1H, 페닐-5-H), 7.38 (m, 2H, 클로로페닐-6-H, 에텐), 7.32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7.26 (m, 2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7.02 (m, 2H, 페닐-3-H, 페닐-6-H), 2.30 (s, 3H, 메틸) |
4-3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66.3 |
(400 MHz, d6-DMSO): 7.35 (d, 1H, 페닐-5-H), 7.15 (m, 4H, 페닐-3-H, 페닐-6-H, 메톡시페닐-5-H, 에텐), 6.94 (m, 3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에텐), 6.80 (d, 1H, 메톡시페닐-4-H), 3.60 (s, 3H, 메톡시), 2.22 (s, 3H, 메틸) |
4-4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66.3 |
(400 MHz, d6-DMSO): 7.57 (d, 1H, 페닐-5-H), 7.51 (d, 1H, 메톡시페닐-6-H), 7.43 (d, 1H, 에텐), 7.33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J=16.45 Hz, 트랜스), 7.14 (d, 2H, 페닐-3-H, 페닐-6-H), 7.06 (d, 1H, 메톡시페닐-3-H), 6.97 (t, 1H, 메톡시페닐-4-H), 3.85 (s, 3H, 메톡시) |
4-5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82.3 |
(400 MHz, d6-DMSO): 7.32 (d, 1H, 페닐-3-H), 7.23 (d, 1H, 에텐), 7.11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7.15 (d, 2H, 페닐-6-H, 메톡시페닐-5-H), 6.88 (d, 1H, 페닐-5-H), 6.79 (m, 2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6.70 (d, 1H, 메톡시페닐-4-H), 3.68 (s, 3H, 메톡시), 3.54 (s, 3H, 메톡시) |
4-6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86.7 |
(400 MHz, d6-DMSO): 7.74 (m, 1H, 페닐-6-H), 7.49 (m, 2H, 클로로페닐-2-H, 에텐), 7.38 (m, 4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에텐), 6.96 (s, 1H, 페닐-3-H), 6.89 (d, 1H, 페닐-5-H), 3.73 (s, 3H, 메톡시) |
4-7
|
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2.3 |
(400 MHz, d6-DMSO): 7.27 (d, 1H, 페닐-5-H), 7.06 (m, 4H, 페닐-3-H, 페닐-6-H, 메톡시페닐-5-H, 에텐), 6.88 (m, 3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에텐), 6.67 (d, 1H, 메톡시페닐-4-H), 3.54 (s, 3H, 메톡시), 2.17 (s, 3H, 메틸) |
4-8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2.3 |
(400 MHz, d6-DMSO): 7.51 (d, 1H, 페닐-5-H), 7.43 (d, 1H, 에텐, J=16.10 Hz, 트랜스), 7.32 (m, 5H, 페닐-3-H, 페닐-6-H, 메톡시페닐-5-H, 메톡시페닐-6-H, 에텐), 7.06 (d, 1H, 메톡시페닐-3-H), 6.96 (t, 1H, 메톡시페닐-4-H), 3.85 (s, 3H, 메톡시), 2.41 (s, 3H, 메틸) |
4-9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43 (s, 1H, 클로로페닐-2-H), 7.33 (m, 2H, 페닐-5-H, 클로로페닐-4-H), 7.20 (m, 3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에텐), 6.97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7.08 (m, 2H, 페닐-3-H, 페닐-6-H), 2.21 (s, 3H, 메틸) |
4-10
|
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63 (m, 1H, 클로로페닐-3-H), 7.40 (m, 3H, 클로로페닐-6-H, 페닐-5-H, 에텐), 7.33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7.26 (m, 2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7.18 (m, 2H, 페닐-3-H, 페닐-6-H), 2.31 (s, 3H, 메틸) |
4-11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0.2 |
(400 MHz, d6-DMSO): 8.04 (s, 1H, 디클로로페닐-2-H), 7.69 (d, 1H, 디클로로페닐-6-H), 7.62 (d, 1H, 디클로로페닐-5-H), 7.57 (d, 1H, 에텐), 7.50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7.42 (s, 1H, 페닐-3-H), 7.36 (m, 2H, 페닐-5-H, 페닐-6-H), 2.24 (s, 3H, 메틸) |
4-12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2.3 |
(400 MHz, d6-DMSO): 7.20 (d, 1H, 페닐-5-H), 7.10 (m, 3H, 페닐-3-H, 메톡시페닐-5-H, 에텐), 6.95 (d, 1H, 에텐, J=16.10 Hz, 트랜스), 6.90 (m, 3H, 페닐-6-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6.71 (m, 1H, 메톡시페닐-4-H), 3.59 (s, 3H, 메톡시), 2.07 (s, 3H, 메틸) |
4-13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2.3 |
(400 MHz, d6-DMSO): 7.38 (d, 1H, 페닐-5-H), 7.31 (d, 1H, 에탄, J=16.05 Hz, 트랜스), 7.21 (m, 4H, 페닐-3-H, 메톡시페닐-5-H, 메톡시페닐-6-H, 에텐), 6.94 (m, 2H, 메톡시페닐-3-H, 페닐-6-H), 6.85 (t, 1H, 메톡시페닐-4-H), 3.73 (s, 3H, 메톡시), 2.14 (s, 3H, 메틸) |
4-14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38 (s, 1H, 클로로페닐-2-H), 7.29 (d, 1H, 클로로페닐-4-H), 7.16 (m, 5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페닐-3-H, 페닐-5-H, 에텐), 6.92 (d, 1H, 에텐, J= 15.7 Hz, 트랜스), 6.84 (d, 1H, 페닐-6-H), 2.02 (s, 3H, 메틸) |
4-15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74 (m, 1H, 클로로페닐-3-H), 7.51 (m, 2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7.40 (m, 5H, 클로로페닐-4-H, 페닐-3-H, 페닐-5-H, 에텐, 에텐), 7.09 (d, 1H, 페닐-6-H), 2.27 (s, 3H, 메틸) |
4-16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0.2 |
(400 MHz, d6-DMSO): 7.65 (d, 1H, 디클로로페닐-2-H), 7.43 (d, 1H, 디클로로페닐-5-H), 7.37 (m, 1H, 디클로로페닐-6-H), 7.20 (m, 2H, 페닐-5-H, 에텐), 6.96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7.12 (s, 1H, 페닐-3-H, 6.88 (d, 1H, 페닐-6-H) |
4-17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4.2 |
(400 MHz, d6-DMSO): 7.57 (d, 2H, 트리플루오로메틸-3-H, 트리플루오로메틸-5-H), 7.52 (d, 2H, 트리플루오로메틸-2-H, 트리플루오로메틸-6-H), 7.33 (m, 1H, 페닐-6-H), 7.25 (d, 1H, 에텐), 7.05 (d, 1H, 에텐, J=16.05 Hz, 트랜스), 7.19 (m, 1H, 페닐-3-H), 6.93 (m, 1H, 페닐-5-H) |
4-18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33 (m, 1H, 페닐-6-H, 7.18 (m, 1H, 페닐-3-H, 7.08 (m, 2H, 메톡시페닐-6-H, 에텐), 6.91 (m, 4H, 페닐-5-H, 메톡시페닐-4-H, 메톡시페닐-5-H, 에텐), 6.69 (d, 1H, 메톡시페닐-3-H) |
4-19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16.2 |
(400 MHz, d6-DMSO): 7.46 (m, 2H, 페닐-6-H, 메톡시페닐-6-H), 7.38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7.34 (m, 1H, 페닐-6-H), 7.26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7.08 (m, 1H, 페닐-5-H), 7.00 (d, 1H, 메톡시페닐-3-H), 6.91 (t, 1H, 메톡시페닐-4-H), 3.79 (s, 3H, 메틸) |
4-20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20.2 |
(400 MHz, d6-DMSO): 7.77 (s, 1H, 클로로페닐-2-H), 7.68 (m, 2H, 클로로페닐-4-H, 페닐-6-H), 7.54 (m, 4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페닐-3-H, 에텐), 7.31 (d, 1H 에텐, J=16.05 Hz, 트랜스), 7.28 (m, 1H, 페닐-5-H) |
4-21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20.2 |
(400 MHz, d6-DMSO): 7.51 (m, 1H, 클로로페닐-5-H),7.31 (m, 3H, 클로로페닐-3-H, 페닐-6-H, 에텐), 7.17 (m, 4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6-H, 페닐-3-H, 에텐), 6.93 (m, 1H, 페닐-5-H) |
4-22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70.2 |
(400 MHz, d6-DMSO): 7.55 (d, 2H,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H,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6-H), 7.40 (m, 1H, 페닐-6-H), 7.23 (m, 4H,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H,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5-H, 페닐-3-H, 에텐), 7.07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7.00 (m, 1H, 페닐-5-H) |
4-23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54.1 |
(400 MHz, d6-DMSO): 7.63 (s, 1H, 디클로로페닐-2-H), 7.40 (d, 1H, 디클로로페닐-5-H), 7.33 (m, 2H, 디클로로페닐-6-H, 페닐-6-H), 7.17 (m, 2H, 페닐-3-H, 에텐), 6.94 (m, 2H, 페닐-5-H, 에텐) |
4-24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0.2 |
(400 MHz, d6-DMSO): 7.39 (s, 1H, 페닐-3-H), 7.25 (m, 3H, 페닐-5-H, 페닐-6-H, 디메틸페닐-6-H), 7.21 (d, 1H, 에텐), 6.97 (d, 1H, 에텐), 6.86 (m, 2H, 디메틸페닐-3-H, 디메틸페닐-5-H), 2.14 (s, 3H, 메틸), 2.10 (s, 3H, 메틸) |
4-25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2.2 |
(400 MHz, d6-DMSO): 7.32 (s, 1H, 페닐-3-H), 7.21 (bs, 2H, 페닐-5-H, 페닐-6-H), 7.06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6.92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6.81 (m, 2H, 메톡시페닐-2-H, 메톡시페닐-6-H), 6.68 (m, 1H, 메톡시페닐-4-H), 3.55 (s, 3H, 메틸) |
4-26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2.2 |
(400 MHz, d6-DMSO): 7.39 (s, 1H, 페닐-3-H), 7.34 (d, 1H, 메톡시페닐-6-H), 7.27 (m, 3H, 페닐-5-H, 페닐-6-H, 에텐), 7.12 (d, 1H, 에텐, J=15.70 Hz, 트랜스), 7.17 (m, 1H, 메톡시페닐-5-H), 6.89 (d, 1H, 메톡시페닐-3-H), 6.80 (t, 1H, 메톡시페닐-4-H), 3.68 (s, 3H, 메틸) |
4-27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6.1 |
(400 MHz, d6-DMSO): 7.42 (s, 1H, 클로로페닐-2-H), 7.34 (s, 1H, 페닐-3-H), 7.31 (d, 1H, 페닐-5-H), 7.19 (m, 5 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클로로페닐-6-H, 페닐-6-H, 에텐), 6.95 (d, 1H, 에텐, J= 15.3 Hr, 트랜스) |
4-28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6.1 |
(400 MHz, d6-DMSO): 7.51 (m, 1H, 클로로페닐-3-H), 7.34 (s, 1H, 페닐-3-H), 7.29 (m, 2H, 클로로페닐-6-H, 에텐), 7.22 (bs, 2H, 페닐-5-H, 페닐-6-H), 7.16 (m, 3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에텐) |
4-29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70.1 |
(400 MHz, d6-DMSO): 7.69 (s, 1H, 페닐-3-H), 7.45 (d, 1H, 디클로로페닐-5-H), 7.40 (d, 2H, 디클로로페닐-2-H, 디클로로페닐-6-H), 7.28 (s, 2H, 페닐-5-H, 페닐-6-H), 7.23 (d, 1H, 에텐), 7.00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
4-30
|
(E)-2-(3-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36.1 |
(400 MHz, d6-DMSO): 7.52 (d, 1H, 페닐-6-H), 7.35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7.29 (t, 1H, 메톡시페닐-5-H), 7.10 (m, 3H, 메톡시페닐-4-H, 메톡시페닐-6-H, 에텐), 6.89 (m, 3H, 메톡시페닐-2-H, 페닐-3-H, 페닐-5-H), 3.78 (s, 3H, 메톡시), 2.39 (s, 3H, 메틸), |
4-31
|
(E)-2-(2-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45.9 |
(400 MHz, d6-DMSO): 7.37 (m, 2H, 메톡시페닐-6-H, 페닐-6-H), 7.29 (d, 1H, 에텐, J=16.05 Hz, 트랜스), 7.19 (m, 2H, 메톡시페닐-5-H, 에텐), 6.92 (s, 1H, 메톡시페닐-3-H), 6.83 (t, 1H, 메톡시페닐-4-H), 6.75 (m, 2H, 페닐-3-H, 페닐-5-H), 3.72 (s, 3H, 메톡시), 2.26 (s, 3H, 메틸), 2.11 (s, 3H, 메틸) |
4-32
|
(E)-2-(3-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50.3 |
(400 MHz, d6-DMSO): 7.52 (s, 1H, 클로로페닐-2-H), 7.43 (m, 2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6-H), 7.32 (m, 3H, 클로로페닐-5-H, 페닐-6-H, 에텐), 7.05 (d, 1H, 에텐, J=15.65 Hz, 트랜스), 6.79 (m, 2H, 페닐-3-H, 페닐-5-H), 2.30 (s, 3H, 메틸), 2.14 (s, 3H, 메틸) |
4-33
|
(E)-2-(2-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50.3 |
(400 MHz, d6-DMSO): 7.55 (m, 1H, 클로로페닐-3-H), 7.33 (m, 3H, 클로로페닐-6-H, 페닐-6-H, 에텐), 7.26 (d, 1H, 에텐, J=15.7 Hz, 트랜스), 7.19 (m, 2H, 클로로페닐-4-H, 클로로페닐-5-H), 6.71 (m, 2H, 페닐-3-H, 페닐-5-H), 2.22 (s, 3H, 메틸), 2.06 (s, 3H, 메틸) |
4-34
|
(E)-2-(3,4-디클로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84.8 |
(400 MHz, d6-DMSO): 7.61 (s, 1H, 디클로로페닐-2-H), 7.38 (d, 1H, 디클로로페닐-5-H), 7.31 (m, 2H, 디클로로페닐-6-H, 페닐-6-H), 7.21 (d, 1H, 에텐), 6.90 (d, 1H, 에텐, J= 16.45 Hz, 트랜스), 6.65 (m, 2H, 페닐-3-H, 페닐-5-H), 2.16 (s, 3H, 메틸), 2.00 (s, 3H, 메틸) |
4-35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42.3 |
(400 MHz, d6-DMSO): 7.78 (d, J=8.0 Hz, 2H), 7.72 (d, J=8.0 Hz, 2H), 7.53 (d, J=8.5 Hz, 1H), 7.49 (d, J=15.7 Hz, 1H), 7.30 (s, 1H), 7.28 (d, J=8.5 Hz, 1H), 7.24 (d, J=15.7 Hz, 1H), 2.41 (s, 3H) |
4-36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65.3 |
(400 MHz, d6-DMSO): 7.69 (d, J=8.4 Hz, 2H), 7.52 (d, J=8.1 Hz, 1H), 7.37 (d, J=15.6 Hz, 1H), 7.36 (d, J=8.4 Hz, 2H), 7.30-7.25 (m, 2H), 7.19 (d, J=15.6 Hz, 1H), 2.41 (s, 3H) |
4-37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65.3 |
(400 MHz, d6-DMSO): 7.69 (d, J=8.4 Hz, 2H), 7.40-7.31 (m, 5H), 7.20 (d, J=15.7 Hz, 1H), 7.08 (d, J=8.0 Hz, 1H), 2.27 (s, 3H) |
4-38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69.7 |
(400 MHz, d6-DMSO): 7.79 (d, J=8.0 Hz, 2H), 7.73 (d, J=8.0 Hz, 2H), 7.56 (s, 1H), 7.45 (app. s, 2H),7.45 (d, J=15.7 Hz, 1H), 7.26 (d, J=15.7 Hz, 1H) |
4-39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85.7 |
(400 MHz, d6-DMSO): 7.69 (d, J=8.4 Hz, 2H), 7.56 (s, 1H), 7.44 (app. s, 2H), 7.36 (d, J=8.4 Hz, 2H), 7.34 (d, J=15.0 Hz, 1H), 7.21 (d, J=15.0 Hz, 1H) |
4-40
|
(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84.4 |
(400 MHz, d6-DMSO): 7.77 (d, J=8.2 Hz, 2H), 7.72 (d, J=8.2 Hz, 2H), 7.53 (m, 1H), 7.50 (d, J=16.0 Hz, 1H), 7.22 (d, J=16.0 Hz, 1H), 6.88 (app. s, 2H), 2.40 (s, 3H), 2.23 (s, 3H) |
4-41
|
(E)-2-(2,4-디메틸-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44.4 |
(400 MHz, d6-DMSO): 7.50 (d, J=8.4 Hz, 1H), 7.39 (d, J=8.0 Hz, 1H), 7.34 (d, J=15.7 Hz, 1H), 7.25 (d, J=15.7 Hz, 1H), 7.07-7.00 (m, 2H), 6.89-6.86 (m, 2H), 2.39 (s, 3H), 2.31 (s, 3H), 2.27 (s, 3H), 2.23 (s, 3H) |
4-42
|
(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텐설폰산 2,4-디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400.4 |
(400 MHz, d6-DMSO): 7.68 (d, J=8.4 Hz, 2H), 7.52 (d, J=8.4 Hz, 1H), 7.39 (d, J=16.1 Hz, 1H), 7.35 (d, J=8.4 Hz, 2H), 7.17 (d, J=16.1 Hz, 1H), 6.88 (app. s, 2H), 2.39 (s, 3H), 2.23 (s, 3H) |
실시예
5-1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톡시-벤조일아미드
디클로로메탄 (5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 ml) 중 4-브로모-2-메톡시-벤조산 (159 mg, 0.69 mmol) 및 2-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108 mg, 0.59 mmol) (요오도아니솔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1-1 단계 i) 내지 iii) 와 유사하게 제조됨) 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I) (170 mg, 0.89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89 mg, 0.73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 (15 ml) 과 에틸 아세테이트 (15 ml) 사이에 분액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 1M HCl (4 x 10 ml) 으로 세정하고, 수성상을 조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 로 역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물 (15 ml), 염수 (2 x 10 ml) 로 세정하고 건조시키고 (소듐 설페이트)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H2Cl2/MeOH 10:1) 를 수행하여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톡시-벤조일아미드를 백색 고체로 분리할 수 있다. 수율 65 mg (24 %).
MS: M = 398.0 (ESI+)
1H-NMR (400 MHz, d6-DMSO): 11.76 (br. s, 1H) 7.79 (d, J=8.1Hz, 2H), 7.64 (d, J=15.4 Hz, 1H), 7.50-7.45 (m, 4H), 7.42 (d, J=8.1 Hz, 1H), 7.36 (d, J=1.4Hz, 1H), 7.22 (dd, J=8.2, 1.6 Hz, 1H), 3.87 (s, 3H)
실시예
5-2 내지 5-6
하기 실시예 5-2 내지 5-6 를 실시예 5-1 에 기재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번호
|
쳬계적 명칭
|
MS
(ESI+, M+H)
|
1
H-
NMR
|
5-2
|
(E)-2-페닐-에텐설폰산 4-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
370.1 |
(400 MHz, d6-DMSO): 12.56 (br. s, 1H) 7.80-7.77 (m, 2H), 7.66 (d, J=15.6Hz, 1H), 7.64 (m., 1H), 7.56 (s, 2H), 7.51-7.45 (m, 4H), 2.42 (s, 3H) |
5-3
|
(E)-2-페닐-에텐설폰산 4-플루오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
336.2 |
(400 MHz, CDCl3): 10.08 (br. s, 1H) 8.20 (dd, J=8.8, 6.8Hz, 1H), 7.80 (d, J=15.4 Hz, 1H), 7.58-7.55 (m, 2H), 7.48-7.40 (m, 3H), 7.20 (d, J=15.4 Hz, 1H), 6.83 (app. td, J=8.8, 2.3Hz, 1H), 6.75 (dd, J=10.3, 2.3Hz, 1H), 4.05 (s, 3H) |
5-4
|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클로로-벤조일아미드 |
402.0 |
(400 MHz, d6-DMSO): 12.58 (br. s, 1H) 7.86 (d, J=1.7Hz, 1H), 7.82-7.79 (m, 2H), 7.67 (d, J=15.4 Hz, 1H), 7.57-7.56 (m, 2H), 7.52 (d, J=15.4 Hz, 1H), 7.50-7.45 (m, 3H) |
5-5
|
(E)-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
390.2 |
(400 MHz, d6-DMSO): 12.70 (br. s, 1H) 7.95 (d, J=1.4 Hz, 1H), 7.88 (dd, J=8.3, 1.4 Hz, 1H), 7.81-7.77 (m, 2H), 7.73 (d, J=8.3 Hz, 1H), 7.67 (d, J=15.4Hz, 1H), 7.53-7.45 (m, 4H) |
5-6
|
(E)-2-페닐-에텐설폰산 2-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드 |
384.2 |
(400 MHz, d6-DMSO): 12.10 (br. s, 1H) 7.80 (dd, J=8.8, 2.3 Hz, 2H), 7.66 (d, J=15.4 Hz, 1H), 7.64 (d, J=7.8 Hz, 1H), 7.51 (d, J=15.4 Hz, 1H), 7.50-7.45 (m, 3H), 7.41 (d, J=2.3 Hz, 1H), 7.36 (d, J=8.8 Hz, 1H), 3.92 (s, 3H) |
실시예 6-1
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톡시-벤조일아미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4-클로로-2-메톡시벤조산 (509 mg, 2.7 mmol) 및 CDI (443 mg, 2.7 mmol) 의 혼합물을 30 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 각시킨 후, 2-페닐-에텐설폰산 아미드 (제조는 실시예 1-1, 단계 i) 및 ii) 참조) (500 mg, 2.7 mmol) 및 DBU (416 mg, 2.7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1N HCl (각각 50 ml) 및 물 (50 ml) 로 2 회 세정한 후, 혼합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제조용 HPLC (RP18, 메탄올-물-구배) 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 (570 mg, 60 % 수율) 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 = 350.0 (ESI+)
1H-NMR (400 MHz, d6-DMSO): 3.72 (s, 3H); 6.88 (dd, 8.2 Hz, 1.9 Hz, 1H); 6.97 (d, 1.8 Hz, 1H); 7.15 (d, 15.7 Hz, 1H); 7.30 (d, 15,7 Hz, 1H), 7.32-7.44 (m, 4H); 7.51-7.57 (m, 2H)
실시예
6-2 내지 6-6
하기 실시예 6-2 내지 6-6 는 실시예 6-1 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번호
|
쳬계적 명칭
|
MS
(ESI+, M+H)
|
1
H-
NMR
|
6-2
|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플루오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82.0 |
(400 MHz, d6-DMSO)7.13 (td, 8.5 Hz, 2.6 Hz, 1H); 7.19 (d, 15.7 Hz, 1H); 7.31 (d, 15.7 Hz, 1H); 7.34-7.44 (m, 4H); 7.52-7.57 (m, 3H) |
6-3
|
(E)-2-페닐-에텐설폰산 2-브로모-4-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8.0 |
(400 MHz, d6-DMSO)2.27 (s, 3H); 7.09 (d, 7.8 Hz, 1H); 7.18 (d, 15.9 Hz, 1H); 7.32 (d, 15.9 Hz, 1H); 7.32-7.43 (m, 5H); 7.54 (d, 7.3 Hz, 2H) |
6-4
|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78.1 |
(400 MHz, d6-DMSO)2.42 (s, 3H); 7.15-7.22 (m, 1H), 7.26-7.43 (m, 6H), 7.51-7.59 (m, 3H) |
6-5
|
(E)-2-페닐-에텐설폰산 4-브로모-2-클로로-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98.0 |
(400 MHz, d6-DMSO)7.15-7.22 (m, 1H), 7.27-7.48 (m, 6H), 7.53-7.60 (m, 3H) |
6-6
|
(E)-2-페닐-에텐설폰산 4-클로로-2-메틸-벤조일아미드; 소듐염 |
334.2 |
(400 MHz, d6-DMSO)2.43 (s, 3H); 7.12-7.23 (m, 3H); 7.30-7.44 (m, 4H); 7.55 (d, 7.6 Hz, 2H); 7.62 (d, 8.1 Hz, 1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