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18941A -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941A
KR20070118941A KR1020070000687A KR20070000687A KR20070118941A KR 20070118941 A KR20070118941 A KR 20070118941A KR 1020070000687 A KR1020070000687 A KR 1020070000687A KR 20070000687 A KR20070000687 A KR 20070000687A KR 20070118941 A KR20070118941 A KR 2007011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semiconductor package
plates
wires
bond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임충빈
심종보
변학균
이정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8941A/ko
Publication of KR2007011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75Assemblies of semiconductor devices on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wire-like arrangements or pins or r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03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haracterised by the die p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4Shape in top view being squ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7Shape of bonding interfaces, e.g. interlocking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5Details of ball bo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가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선들; 복수의 배선들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 기판 상에 탑재되며, 복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본딩 플레이트들과 본딩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반도체 패키지, 와이어 본딩,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본딩 공정을 이용한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접속 패드와 와이어의 본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의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반도체 패키지의 배선 상에 부착된 본딩 플레이트의 배열방법을 도시하는 여러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판 110, 110a, 110b: 배선부
120: 배선 130: 반도체 칩
132: 본딩패드 140: 와이어
150, 150a: 본딩 플레이트 500: 반도체 패키지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가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 내부의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집적 기술과 전자 공학 기술의 발전에 의해 전자 제품의 소형화, 고용량화 및 다기능화가 촉진되고 있다. 그 대표적 예로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휴대 전화 또는 이들의 기능이 결합된 다양한 디지털 장치들이 상용화됨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장치는 소형화되면서도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거나 다중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칩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 CSP),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 패키지 또는 멀티칩 패키지(multi chip package)와 같은 고집적 패키지 기술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칩 스케일 패키지의 경우 반도체 칩과 외부 배선을 솔더 범프에 의해 직접 연결하여 배선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지만, 와이어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와 외부 배선을 연결하는 방법이 신뢰성이 높고 저비용의 공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본딩 공정을 이용한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50)를 도시 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접속 패드(22)와 와이어(40)의 본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과 같은 기판(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접속 패드들(22)로 이루어진 배선부(20)가 배치된다. 반도체 칩(30)은 접착층(미도시)에 의해 기판(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반도체 칩(30)의 가장자리부에는 전력 및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본딩 패드들(32)이 배치된다. 본딩 패드(32)는 와이어(40)에 의하여 접속 패드(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는, 캐필러리(미도시)를 사용하여, 접속 패드(22)에 와이어 볼(42)에 의해 와이어(40)의 일단부를 본딩한 후, 반도체 칩(30)의 본딩 패드(32) 상에 와이어(40)의 타단부를 본딩시킴으로써, 본딩 패드(32)와 접속 패드(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 패드(22) 및 와이어(40)의 갯수는 탑재된 반도체 칩(30)에 요구되는 입출력 신호의 수와 관련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제품의 고용량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그 개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접속 패드(22)의 피치(P)와 그에 따른 접속 패드(22)의 폭(w1, w2) 및 간격(d)은. 상술한 전자 제품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피치(P)는 100 μm 이하의 수준까지 감소되어 왔으며, 80 μm 이하에서는 종래의 와이어 볼(42)에 의한 본딩이 어려워진다. 즉, 두 개의 접속 패드(22) 상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볼(42)이 서로 전기적으 로 접촉되고, 이에 따른 전기적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도 2의 영역 A 참조). 이로 인하여, 최종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정밀 와이어링 설비는 비용 상승의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 내부의 배선들의 피치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배선과 와이어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 내부의 배선들의 피치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배선들 사이에 단락을 초래하지 않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선들; 상기 복수의 배선들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 상기 기판 상에 탑재되며, 복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본딩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배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은 리드 프레임의 리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의 높이는 모두 동 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 상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열들로 교차하여 지그재그(zigzag)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본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서로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배선들의 피치가 감소되어도, 별도로 성형되어 균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배선과 와이어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면서도, 와이어 볼 또는 범프 형성의 불규칙성에 의하여 야기되는 배선 사이의 단락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접착층이 형성된 평판 상에 상기 배선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상기 복수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 패드들과 상기 본딩 플레이트들을 와이 어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상기 복수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하는 단계는, 열압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 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500)의 기판(100) 상에는 배선부(110)가 제공될 수 있다. 배선부(110)는 복수의 배선들(12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배선들(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일 수 있다. 배선들(120)은 상부에 금(Au)층이 도금된 니켈(Ni) 및 구리(Cu) 등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배선들(120) 상에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가 부착되어, 복수의 배선들(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본딩 플레이트들(150) 간에 단락이 생기지 않도록 배선들(120)과 부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본딩 플레이트들(150)의 배열에 대하여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의 폭은 배선의 피치(P, 도 2 참조)보다는 작고, 상기 배선의 폭(W2, 도2 참조) 보다는 클 수 있다.
기판(100) 상에 반도체 칩(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 칩(130)은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형태이거나 서로 다른 영역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반도체 칩(130) 상에는 전력 및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복수의 본딩 패드들(132)이 형성된다.
와이어 본딩 공정을 수행하여, 본딩 패드들(132)과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배선들(120)을 와이어(1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와이어(140)는 배선들(120) 상에 부착된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에 접촉된다. 본딩 플레이트(150)와 와이어(140)의 전기적 접촉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고전압 방전에 의해 와이어(140)의 일단부에 와이어 볼(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볼을 본딩 플레이트(150) 상에 접촉 및 가압시킬 수 있다.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본딩 플레이트(150)을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배선(120) 상에 미리 부착하여, 이후에 와이어(140) 또는 와이어 볼을 본딩 플레이트(150)의 면적을 벗어나지 않도록 본딩 플레이트(150) 상에 부착함으로써, 와이어 본딩이 용이해지고 또한 단락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의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배선들(120)이 그 표면에 형성된 기판(100)을 제공한다. 기판(100)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배선들(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일 수 있다. 배선들(120)은 상부에 금(Au)층이 도금된 니켈(Ni) 및 구리(Cu) 등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을 평판(160) 상에 배선들(12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열한다. 본딩 플레이트들(150)의 배열에 대하여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은 접착층(미도시)에 의하여 평 판(160)에 부착되며, 평판(160)은 예를 들어 접착테이프일 수 있다. 이어서, 평판(160)을 뒤집어,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복수의 배선들(120)과 대면시킨다.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배선들(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한다. 상기 부착은 예를 들어 프레스부재(170)를 이용한 열 압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부착공정을 완료한 후 평판(160)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배선들(120) 상에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어서 기판(100) 상에 복수의 본딩 패드들(132)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도체 칩(130)을 제공한다. 이어서, 본딩 패드들(132)과 이에 대응하는 본딩 플레이트들(150)을 와이어(140)를 이용하여 본딩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어 본딩 시에 와이어(140)의 선단부에 와이어 볼을 미리 형성하여 본딩하거나, 또는 본딩 플레이트들(150) 상에 캐필러리를 이용하여 볼 범프를 미리 형성하여 본딩을 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플레이트(15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딩 플레이트들(150)는 세 개의 내부층들(152, 154, 156)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층(152)은 구리(Cu)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층(154)은 니켈(Ni) 또는 니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부층(156)은 금(Au) 또는 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의 구조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배선(120)과 본딩 플레이트(150)의 부착, 즉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좋게 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구조로서, 상기의 목적을 위한 다른 구조 및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딩 플레이트(150)는 구리(Cu), 니켈(Ni) 및 금(Au)의 조합으로 형성한 합금의 단일 구조로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반도체 패키지의 배선 상에 부착된 본딩 플레이트의 배열방법을 도시하는 여러 예이다.
도 6a는 복수의 배선들(120) 상에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구현한 배선부(110)를 도시한다.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 간에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선에 하나의 본딩 플레이트(150)가 접촉함에 의한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열하여야 한다.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 6a에서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배선(120) 상에 하나의 열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배선(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b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복수의 배선들(120) 상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열들로 교차하여 지그재그(zigzag) 배열함으로써 구현한 배선부(110a)를 도시한다. 본 배열 예는 인접한 배선(120) 상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서로 다 른 열에 배열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동일한 열에 배열되는 본딩 플레이트들(150) 간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배열 예에 비하여 더 작은 피치 또는 폭을 갖는 배선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본딩 플레이트들(150)과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2 본딩 플레이트들(150a)을 각각 다른 열에 배열함으로써 구현한 배선부(110b)를 도시한다. 이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의 높이 차에 의하여 와이어 본딩 시 와이어들 및/ 또는 배선들 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본딩 플레이트들(150)과 상기 제2 본딩 플레이트들(150)은 상기 복수의 배선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서로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본딩 플레이트들(150)과 상기 제2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복수의 배선(120) 상에 하나의 열을 이루면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딩 플레이트들(150)과 상기 제2 본딩 플레이트들(150)이 복수의 배선(120) 상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서로 교대로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셋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150)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반도체 칩과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내부의 임의의 배선 예를 들면, 리드 프레임의 리드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배선들의 피치가 감소되어도, 별도로 성형되어 균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배선과 와이어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면서도, 와이어 볼 또는 범프 형성의 불규칙성에 의하여 야기되는 배선 사이의 단락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본딩 플레이트을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배선 상에 미리 부착하여, 와이어 또는 와이어 볼을 상기 본딩 플레이트의 면적을 벗어나지 않도록 본딩 플레이트 상에 부착함으로써, 와이어 본딩이 용이해지고 또한 단락방지에 효과적이다.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선들;
    상기 복수의 배선들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
    상기 기판 상에 탑재되며, 복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본딩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플레이트는 구리, 니켈, 및 금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의 폭은 상기 배선의 피치보다는 작고, 상기 배선의 폭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의 높이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 상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열들로 교차하여 지그재그(zigzag)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은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본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본딩 플레이트들은 상기 복수의 배선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서로 교대로 및/또는 교차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배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리드 프레임의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2.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접착층이 형성된 평판 상에 상기 배선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상기 복수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 패드들과 상기 본딩 플레이트들을 와이어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플레이트들을 상기 복수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하는 단계는, 열압착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배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리드 프레임의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070000687A 2007-01-03 2007-01-03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687A KR20070118941A (ko) 2007-01-03 2007-01-03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687A KR20070118941A (ko) 2007-01-03 2007-01-03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941A true KR20070118941A (ko) 2007-12-18

Family

ID=3913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687A KR20070118941A (ko) 2007-01-03 2007-01-03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8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659B2 (en) Substrate-less stackable package with wire-bond interconnect
US697221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package with multi layered leadframe
JP4703980B2 (ja) 積層型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25468B1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전극구조 및 그 패키지 형성방법
US662115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acked multi chip module structure
JP4790157B2 (ja) 半導体装置
JP5529371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25556A1 (en) Stack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chips an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it
JP2006287235A (ja) 積層されたダイのパッケージ
JP2002110898A (ja) 半導体装置
US20090189296A1 (en) Flip chip quad flat non-leaded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hip package structure
KR20010030245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1156251A (ja) 半導体装置
US11362057B2 (en) Chip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9003950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3623B1 (ko) 가요성 필름,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제조방법
KR100780966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8941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27384A (ko) 재배선 패드를 갖는 칩 사이즈 패키지 및 그 적층체
JP2004363224A (ja) 半導体チップの接続構造
JP4030363B2 (ja) 半導体装置
JPH0834282B2 (ja)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
US2003005756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620299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57581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2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