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18138A -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138A
KR20070118138A KR1020077024602A KR20077024602A KR20070118138A KR 20070118138 A KR20070118138 A KR 20070118138A KR 1020077024602 A KR1020077024602 A KR 1020077024602A KR 20077024602 A KR20077024602 A KR 20077024602A KR 20070118138 A KR20070118138 A KR 2007011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ed
program
basic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하마
다카히로 고바
마사토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13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54Link editing before load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17Boot up proced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3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using file system or storage system meta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해가 발생하여도 중요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기동 수단과,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으로 세이브하는 세이브 수단을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라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을 세이브하고, 또한 세이브한 기억 내용을 복원하는 정보 처리 장치, 이 정보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컴」)는 기억 장치로서 하드디스크를 구비하고, 하드디스크에 운영 체계(이하, 「OS」),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이하, 「디바이스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 및 이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작성, 갱신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퍼스컴은 전원 투입의 지시를 받으면, 우선 BIOS(기본 입출력 시스템)을 실행하고, 퍼스컴의 기동 처리를 시작한다. BIOS는 초기 설정을 완료한 후, OS를 하드디스크로부터 독출하여 메인 메모리에 로드한다. 메인 메모리에 로드된 OS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인 메모리에 로드하고, 퍼스컴의 각종 설정을 행하여 퍼스컴이 구비하고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작성, 데이터 통신 등의 각종 작업을 행한다.
퍼스컴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작업을 위해 하드디스크에 액세스하여 거기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의 독출이나 데이터의 판독/기록이라는 동작을 행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고장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해 OS를 구성하는 일부 프로그램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는 장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해 발생에 대비하여 하드디스크의 기억 내용을 백업하고, 장해 발생시에 백업해 둔 하드디스크의 기억 내용을 하드디스크로 되돌려 하드디스크를 복원하여 퍼스컴이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백업 처리는 레스큐, 복원 처리는 리커버리라 불리며, 세상에 알려져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IBM Rescue and Recovery V2.0 사용자 가이드", [online], 평성 16년(2004년) 12월 7일, 일본 IBM, [2005년 3월 27일 검색], 인터넷〈http://www-6.ibm.com/jp/pc/migration/rr/rnrv2#usersguide.pdf〉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82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하드디스크의 백업 처리 및 복원 처리는 비특허 문헌 1과 같이 알려져 있지만, 이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하드디스크의 백업 처리는 퍼스컴이 통상 동작에서 이용하는 OS 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퍼스컴이 통상 동작에서 이용하는 OS가 파괴되어 정상적으로 하드디스크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는 장해가 발생한 경우, 그 장해 발생 이전에 백업한 하드디스크의 기억 내용에 대해서는 복원 가능하지만, 최종 백업 처리로부터 장해 발생까지 그 사이에 작성 또는 갱신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복원할 수 없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파일은 그 인스톨용 CD나 메이커의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이 있지만,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 또는 갱신한 데이터 파일이나 사용자 커스터마이즈로 변경된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용 설정 정보 파일 등의 특히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데이터는 소실되어 복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해가 발생하여도 중요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기동 수단과,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세이브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1 기억부에 전송하여 이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제1 복원 수단과, 상기 제1 복원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제2 복원 수단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수단이 이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이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를 포함하고, 이 고장 검지부에서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송 수단이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세이브 수단은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이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이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절차와,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으로서, 이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1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이 제1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1 기억부에 전송하여 이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절차와, 상기 기억 내용에 포함되는 제2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에, 이 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절차를 더 실행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하여 기억시키는 절차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이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절차를 더 실행하고, 이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에,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시킬 때에, 상기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이 기억 매체는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와 물리적으로 상이한 휴대형 기억 매체로서, 이 휴대형 기억 매체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이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이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절차와, 이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으로서, 이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절차와, 이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제1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이 제1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이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을 상기 기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기억 장치를 복원하는 절차와, 상기 기억 내용에 포함되는 제2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억 장치를 복원한 후에, 이 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절차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이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절차와,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하여 기억시키는 절차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다른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이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절차를 더 실행하고, 이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에,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시킬 때에, 상기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시켜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억 장치에 장해가 발생하여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도, 다른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이 데이터를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기억 장치를 복원할 수 있고, 기억 장치를 복원한 후에 전술한 데이터를 기억 장치 상에서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백업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그 1).
도 4는 본 발명의 백업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그 2).
도 5는 본 발명의 백업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그 3).
도 6은 본 발명의 백업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그 4).
도 7은 본 발명의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복원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원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 장치의 통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 장치의 고장 발생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원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정보 처리 장치(1)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10), EP-ROM(11), 메인 메모리(RAM)(1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기억 장치(13), 광 디스크 드라이브(ODD)(14),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DD)(15), USB 커넥터(16), 통신 제어 장치(NCU)(17), 디스플레이(DSP)(18), 키보드(KBD)(19), 마우스(20)를 구비하고 있다.
CPU(10)는 EP-ROM(11)에 저장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나 HDD(13)에 저장된 OS(Operationg System, 기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1)를 동작,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CPU(10)는 이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HDD(13)로부터 이들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즉, CPU(10)는 제2 OS를 실행하여 이 정보 처리 장치(1)를 동작 상태로 하는 기동 수단이나 상기 HDD(13)의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세이브 수단,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제1 복원 수단,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제2 복원 수단으로서 기능하며, 하기와 같이 레스큐 및 리커버리 처리를 행한다.
HDD(13)에는, 예컨대 2개의 논리 구획이 설정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1)의 통상 동작에서 이용되는 전술한 OS(제1 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각종 설정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 갱신된 사용자 데이터가 한쪽 논리 구획(제1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1개의 HDD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2개의 구획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상이한 2개의 HDD를 2개의 논리 구획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정보 처리 장치(1)는 보조 기억 장치(판독 기록 장치에 상당)로서 ODD(14), FDD(15)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광 디스크(제2 기억부)(24)나 플렉서블 디스크(FD)(25)라는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독출하여 CPU(10)에 의한 처리에 이용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는 HDD(13)나 USB 커넥터(16)에 접속된 USB 메모리(26), 나아가서는 NCU(17)에 의해 통신 회선을 통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억시킨다.
본 발명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인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세이브용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1)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키는 OS(제2 OS)가 광 디스크(24)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광 디스크(24)에는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시에 있어서의 HDD(13)의 기억 내용(OS, 디바이스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이 디스크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인 제2 복원용 프로그램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이 디스크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광 디스크(24)에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여 HDD(13)를 초기 상태의 기억 내용으로 복원하는 제1 복원용 프로그램도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1장의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없는 경우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복수 장의 광 디스크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는 제1 복원용 프로그램을 분할 순서에 따라 각 광 디스크로 부터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독출하여 HDD(13)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KBD(19), 마우스(20)를 구비하고, 이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한 처리 지시에 이용된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로서 DSP(18)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 결과나 선택 요구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의 정상 동작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현재의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처리이기 때문에, 간단한 설명 내용에 그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전원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원 투입이 지시되면, 처음에, EP-ROM(11)에 저장되어 있는 POST(Power-On Self Test)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정보 처리 장치(1)의 각종 하드웨어를 체크한다. POST 처리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가 정상이었던 경우, EP-ROM(11)에 저장되어 있는 BIOS가 실행되고, 정보 처리 장치(1)의 초기화, 기본적인 각종 설정을 행한다. 그 후, BIOS는 HDD(13)로부터 제1 OS를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제1 OS는 정상적으로 실행 개시가 되면, HDD(13)로부터 시스템 파일,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정보 처리 장치(1)의 각종 설정을 행하며, 처리 지시의 대기 상태가 되어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정보 처리 장치(1)의 제1 O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때의 백업 처리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에 있어서 DSP(18)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 투입을 지시하면, 정보 처리 장치(1)[CPU(10)]는 전술한 POST 처리를 실행한 후, BIOS의 실행을 행한다. 이 BIOS의 실행시에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설정 화면에 있어서, ODD(14)를 기동 디바이스로서 설정한다(단계 S101).
단계 S101에 의해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이 행해지면, ODD(14)에 장전되어 있는 광 디스크의 판독을 시도한다. 여기서, ODD(14)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광 디스크(24)가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ODD(14)에 장전되어 있는 광 디스크(24)로부터 제2 OS를 독출하여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2).
제2 OS의 실행에 이어서 광 디스크(24)로부터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세이브용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3).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은 실행되면 소정의 조작 화면을 DSP(18)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조작 화면에 의해 지정된 세이브 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인식하며, 또한, 그 대상 데이터를 세이브하는 세이브 영역을 인식하고, 대상 데이터의 세이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4∼S106).
도 3은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의 조작 화면은 도 2의 단계 S103에 의해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을 실 행함으로써 표시된다. 이 프로그램의 처리 기능은 크게 나누어 「리커버리」와 「유틸리티」의 2개로 분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은 각각의 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탭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백업 처리는 「유틸리티」로 분류되며, 백업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처리 사양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20)를 조작하고, 마우스 커서를 이용하여 이 백업 아이콘을 선택하며,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백업 처리의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 백업 설정의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4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보존하는 내용」은 백업 대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있다. 이 「보존하는 내용」에는 2종의 정보가 표시되고, 「항목」에는 데이터 종별을 식별하는 정보가 표시되며, 「설명」에는 보충 설명이 표시된다. 또한, 「항목」에 인접한 체크 박스를 체크 상태로 하면 그 항목의 데이터는 백업 대상으로서 선택되며, 체크 해제 상태로 하면 백업 대상에서 제외된다(단계 S104).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시에 HDD(13)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정 데이터나 사용자에 의한 작성 데이터가 보존되는 디폴트의 폴더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도 4에 있어서 「항목의 편집」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항목의 추가, 항목의 편집, 항목의 삭제를 지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항목의 추가를 사용자가 지시한 경우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5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항목명」, 「설명」은 도 4의 「항목」, 「설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존 항목」에는 백업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된다. 또한, 「파일의 추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백업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을 파일 단위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더의 추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백업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을 폴더 단위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존 항목」에 표시된 파일명 중에서 원하는 파일명을 선택하여 「삭제」 버튼을 조작하면, 그 파일을 항목명으로 표시되는 백업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조작 화면에서 설정한 항목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도 4에 있어서 「보존 데이터 저장처」는 백업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세이브처 영역을 나타내고, 디폴트로서는 소정의 세이브처 영역이 지정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세이브처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단계 S105). 이 세이브처 영역에서는, 제1 OS가 저장되어 있는 HDD(13)의 제1 논리 구획과 상이한 제2 논리 구획을 지정할 수 있고, 이 제2 논리 구획은 HDD(13)에 설정되어 있는 별도의 구획이어도 좋으며, HDD(13)가 복수 개 탑재된 정보 처리 장치(1)라면 제1 OS가 저장된 HDD와 상이한 HDD라도 좋다. 또한, HDD가 아니라 FD(25)나 USB 메모리(26) 등의 휴대형 기억 매체라도 좋고, NCU(17)에 의해 통신 회선을 통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라도 좋다.
도 4 또는 도 6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존 개시」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이들 조작 화면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104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의 인식, S105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의 세이브처의 인식을 행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된 세이브처 영역에 세이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또한, 이 세이브 처리에 있어서는, 각 대상 데이터와 함께 각각의 부가 정보로서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대상 데이터의 HDD(13)에 있어서의 저장 장소 정보(패스(path))도 세이브처 영역에 저장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항목으로서 지정되어 있지만 세이브 대상으로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데이터 파일은 세이브하지 않지만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저장 장소 정보는 세이브처 영역에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HDD(13)의 제1 OS가 파손되어 정보 처리 장치(1)가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도 최신의 데이터 파일을 세이브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이브 처리가 완료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리커버리」의 조작 화면에 의해 제1 복원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 광 디스크(24)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HDD(13)에 전송하여 제1 OS가 정상 기동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 상태로 복원한다. 도 7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리커버리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한 후,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 복원 처리(리커버리)가 실행된다. 이 복원 처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HDD(13)의 복원 처리 후에 정상 동작이 가능해진 제1 OS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를 동작시키고, 세이브하고 있던 데이터를 복원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정상 동작하는 제1 OS에서 동작하는 복원 애 플리케이션(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한 백업 데이터의 복원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9는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전술한 HDD(13)의 복원 처리 후에 정보 처리 장치(1)를 재기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POST 처리, BIOS의 기동이 실행되며, HDD(13)로부터 제1 OS를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201).
제1 OS의 정상 실행에 이어서 HDD(13)로부터 복원 애플리케이션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또한, 이 복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시작하여도 좋고, OS가 기동시에 자동 실행하여도 좋다(단계 S202).
복원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면 소정의 조작 화면을 DSP(18)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조작 화면에 의해 지정된 복원 영역 및 복원 대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세이브 데이터의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도 9는 복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9의 조작 화면은 도 8의 단계 S202에 의해 복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표시된다.
사용자는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으로 지정한 보존 데이터 저장처를 복원 데이터 저장처로서 지정한다.
이 복원 데이터 저장처의 지정에 의해 세이브 처리에 의해 세이브해 둔 부가 정보인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저장 장소 정보(패스(path))를 판독하여 「복원하는 내용」에 일람 표시한다. 또한, 부가 정보밖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복원하는 내용」의 「항목」에 인접한 체크 박스를 체크 상태로 한다. 이 후, 사용자는 데이터를 세이브하였지만 복원하고 싶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 해제 상태로 한다.
이러한 작업 후, 사용자가 「데이터의 복원 개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복원 애플리케이션은 복원 데이터 저장처를 인식하고, 또한 복원 대상으로서 지정된 데이터를 인식하며, 지정된 데이터를 복원 데이터 저장처로부터 독출하고, 부가 정보로서 세이브해 둔 저장 장소 정보로 표시되는 HDD(13)의 저장 위치(폴더)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이브해 둔 데이터가 제1 OS가 파손되기 이전의 원래의 장소로 복원되게 된다(단계 S203 내지 단계 S205).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OS 및 기타 프로그램을 광 디스크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처리, 동작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도록 설명하였지만, 제1 OS가 저장된 구획과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구획이라면, 제1 OS와 동일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1)의 기동시에 본 발명의 제2 OS가 저장된 구획으로부터 시스템이 기동되도록 변경하면, 제2 OS가 기동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여 데이터의 세이브, 복원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비하여 제2 OS를 제1 기억부에 기억시켜 동작시키는 점이 상이하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동일한 요소에 같은 부호를 붙이는 등으로 재차의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나 메인 메모리(12), HDD(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CPU(10)는 본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기동 수단, 세이브 수단, 제1 복원 수단, 제2 복원 수단에 부가하여 전송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다음에, 정보 처리 장치(1)의 제1 O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때의 백업 처리에 대해서 도 10 및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한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DSP(18)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내용의 설명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 투입을 지시하면, 정보 처리 장치(1)[CPU(10)]는 전술한 POST 처리를 실행한 후, BIOS의 실행을 행한다. 이 BIOS의 실행시에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설정 화면으로부터 기동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선택된 디바이스, 예컨대 ODD(판독 기록 장치)(14)를 기동 디바이스로서 설정한다(단계 S101).
단계 S101에 의해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이 행해지면, ODD(14)에 장전되어 있는 광 디스크(제2 기억부, DVD-ROM 등)의 판독을 행한다. 여기서, ODD(1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24)가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프로그램(인스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우선 전송 수단의 기능에 의해 HDD(기억 장치)(13)에 제2 OS가 인스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 정한다(단계 S201). 여기서, 제2 OS가 HDD(13)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전송 수단에 의해 ODD(14)에 장전되어 있는 광 디스크(24)로부터 제2 OS를 독출하여 전송하고, 기억 장치의 OS용 영역에 인스톨한다(단계 S202). 또한, 본 실시 형태의 OS용 영역은 미리 기억 장치(13)에 작성되어 있는 작업 영역으로 하였지만, ODD(14)보다도 빠르게 독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장소라면, 기억 장치(13)상의 어디라도 좋다.
이 제2 OS의 인스톨한 후 또는 단계 S201에서 인스톨 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동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로부터 제2 OS를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2A).
이 제2 OS의 실행에 의해 동작 상태(각종 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 정보 처리 장치(1)는 계속해서 광 디스크(24)로부터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세이브용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3).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소정의 조작 화면을 DSP(18)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세이브 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와, 그 세이브처를 지정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조작 화면에 의한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대상이 되는 데이터 및 그 세이브처를 인식하고(단계 S104, S105A), 세이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도 3은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의 조작 화면은 도 10의 단계 S103에 의해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표시된다. 이 프로그램의 처리 기능은 크게 나누어 「리커버리」와 「 유틸리티」의 2개로 분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은 각각의 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탭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백업 처리는 「유틸리티」로 분류되며, 백업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처리 선택 사양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20)를 조작하고, 마우스 커서를 이용하여 이 백업 아이콘을 선택하며,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백업 처리의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 백업 설정의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4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보존하는 내용」은 백업 대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있다. 이 「보존하는 내용」에는 2종의 정보가 표시되고, 「항목」에는 데이터 종별을 식별하는 정보가 표시되며, 「설명」에는 보충 설명이 표시된다. 또한, 「항목」에 인접한 체크 박스를 체크 상태로 하면 그 항목의 데이터는 백업 대상으로서 선택되며, 체크 해제 상태로 하면 백업 대상에서 제외된다(단계 S104).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시에 HDD(13)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정 데이터나 사용자에 의한 작성 데이터가 보존되는 디폴트의 폴더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도 4에 있어서 「항목의 편집」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항목의 추가, 항목의 편집, 항목의 삭제를 지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항목의 추가를 사용자가 지시한 경우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5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항목명」, 「설명」은 도 4의 「항목」, 「설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존 항목」에는 백업 대상이 되는 데 이터의 일람이 표시된다. 또한, 「파일의 추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백업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을 파일 단위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더의 추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백업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을 폴더 단위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존 항목」에 표시된 파일명 중에서 원하는 파일명을 선택하여 「삭제」 버튼을 조작하면, 그 파일을 항목명으로 표시되는 백업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조작 화면으로 설정한 항목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보존 데이터 저장처」는 백업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세이브처 영역을 나타내고, 디폴트로서는 소정의 세이브처 영역이 지정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세이브처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단계 S105A). 이 세이브처 영역으로서는, 제1 OS가 저장되어 있는 HDD(13)의 제1 논리 구획과 상이한 제2 논리 구획을 지정할 수 있고, 이 제2 논리 구획은 HDD(13)에 설정되어 있는 별도의 구획이어도 좋으며, HDD(13)가 복수 개 탑재된 정보 처리 장치(1)라면 제1 OS가 저장된 HDD와 상이한 HDD라도 좋다. 또한, HDD가 아니라 FD(25)나 USB 메모리(26), 광 디스크(24) 등의 휴대형 기억 매체라도 좋고, NCU(17)에 의해 통신 회선을 통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라도 좋다.
도 4 또는 도 6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존 개시」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이들 조작 화면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104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의 인식, S105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의 세이브처의 인식을 행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된 세이브처 영역에 세이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이 때, 세이브처 영역으로서 ODD(14)[즉 광 디스크(24)]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기억부를 취출하여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24)를 장전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DSP(18)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광 디스크(24)의 교환을 재촉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장전을 검출한 경우에 세이브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이 세이브 처리에 있어서는, 각 대상 데이터와 함께 각각의 부가 정보로서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대상 데이터의 HDD(13)에 있어서의 저장 장소 정보(패스(path))도 세이브처 영역에 저장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항목으로서 설정되어 있지만 세이브 대상으로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데이터 파일은 세이브하지 않지만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저장 장소 정보는 세이브처 영역에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HDD(13)의 제1 OS가 파손되어 정보 처리 장치(1)가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도 최신의 데이터 파일을 세이브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이브 처리가 완료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리커버리」의 조작 화면에 의해 제1 복원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 광 디스크(24)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HDD(13)에 전송하여 제1 OS가 정상 기동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 상태로 복원한다. 도 7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리커버리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한후, 「실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 복원 처리(리커버리)가 실행된다. 이 복원 처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HDD(13)의 복원 처리 후에 정상 동작이 가능해진 제1 OS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를 동작시키고, 제2 복원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원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복원 처리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전술한 처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기억부로서의 광 디스크(24)를 이용한 경우라도, 제2 OS를 판독 속도가 빠른 HDD(13)에 전송하고 나서 기동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세이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OS를 전송한 후에 이 제2 기억부를 ODD(14)로부터 취출하여 별도의 광 디스크(24)를 장전하여 세이브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OS의 독출과 소정의 기억 영역으로의 세이브 데이터의 기록을 단일 판독 기록 장치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이브 데이터를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라도, 제2 기억부의 판독 장치와 별도로 기록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의 세이브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OS 및 제2 OS를 기억한 제2 기억부로서 판독 전용의 기억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기억부로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피트를 형성하는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용이하면서 위조가 곤란한 상태로 이 제2 기억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비하여 기억 장치(13)를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장치로 구성한 점이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동일한 요소에 같은 부호를 붙이는 등으로 재차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억 장치(13)는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13)로서 제1 HDD(13A)와 제2 HDD(13B)를 구비하고 있고, 제1 HDD(13A)에 제1 OS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제2 HDD(13B)에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데이터 등을 주로 기억하고 있다.
이 제1, 제2 HDD(13A, 13B)는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의 버스(BUS)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BIOS는 제1, 제2 HDD(13A, 13B)의 동작을 체크하여 고장을 검지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즉, CPU(10)는 이 단계를 실행하고, 고장 검지부(33)로서도 기능한다. 이 검지의 결과, CPU(10)는 제1 기억 장치(13A)가 정상이라면 GPO의 출력을 High로 하고, 고장이라면 GPO의 출력을 Low로 한다.
또한, 전환부(SW-IC)(34)는 이 고장 검지부(33)가 제1 HDD(13A)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도 12의 통상 상태로부터 도 13의 고장 발생 상태로 전환하여 각 기억 장치(13A, 13B)의 접속 포트를 전환한다. 즉, 상기 제2 HDD(13B)를 접속 포트 SATA-P1로부터 접속 포트 SATA-P0으로 전환하여 제1 HDD(3A)를 접속 포트 SATA-P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는 통상 운용시, 제1 HDD(13A)에서 제1 OS를 실행하여 동작 상태가 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제1 OS는 제1 HDD(13A)를 C 드라이브, 제2 HDD(13B)를 D 드라이브로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의 제1 O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때의 백업 처리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한 백업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4의 흐름도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DSP(18)에 표시되는 화면(도 3 내지 도 6)과 그 조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우선, 문제시에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의 재기동을 지시하거나 또는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 투입을 지시하면, 정보 처리 장치(1)[CPU(10)]는 전술한 POST 처리를 실행한 후, BIOS의 실행을 행한다.
이 때, 고장 검지부(33)가 제1 HDD(13A)의 고장을 검지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도 13에 도시된 세이브 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301).
이 고장 검지부(33)가 GPO의 출력을 Low로 하면, 전환부(34)는 접속 포트 SATA-P0에 접속하는 기억 장치를 제1 HDD(13A)로부터 제2 HDD(13B)로 전환한다(단계 S302).
또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설정 화면으로부터 기동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선택된 디바이스, 예컨대 ODD(판독 기록 장치)(14)를 기동 디바이스로서 설정한다(단계 S101).
단계 S101에 의해 기동 디바이스의 설정이 행해지면, ODD(14)에 장전되어 있 는 광 디스크(제2 기억부, DVD-ROM 등)의 판독을 행한다. 여기서, ODD(1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24)가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프로그램(인스톨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우선 전송 수단의 기능에 의해 제2 HDD(기억 장치)(13B)에 제2 OS가 인스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1). 여기서, 제2 OS가 제2 HDD(13B)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전송 수단에 의해 ODD(14)에 장전되어 있는 광 디스크(24)로부터 제2 OS를 독출하여 전송하고, 제2 HDD(13B)의 OS용 영역에 인스톨한다(단계 S202).
이 제2 OS를 인스톨한 후 또는 단계 S201에서 인스톨 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동 수단에 의해 제2 HDD(13B)로부터 제2 OS를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2A).
이 제2 OS의 실행에 의해 동작 상태(각종 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 정보 처리 장치(1)는 계속해서 광 디스크(24)로부터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세이브용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103).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소정의 조작 화면(도 3 내지 도 6)을 DSP(18)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세이브 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와, 그 세이브처를 지정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조작 화면에 의한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대상이 되는 데이터 및 그 세이브처를 인식하고(단계 S104, S105A), 세이브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이 세이브 처리가 완료된 후, 도 7,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리커버리」의 조작 화면에 의해 제1 복원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단계 S401).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는 제1 HDD(13A)가 고장나 있기 때문에, 제2 HDD(13B)를 포맷하고, 소정의 논리 구획(논리적으로 상이한 기억 영역)을 작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의 논리 구획 2개와, 작업용 논리 구획(은폐 영역) 1개를 작성한다(단계 S402).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통상의 논리 구획 중의 하나에, 광 디스크(24)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여 제1 OS가 정상 기동하도록 복원한다. 이 복원 처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기억 용량이 적어지고 있지만 논리적으로 2개의 드라이브를 작성하며, 정보 처리 장치(1)의 메이커 출하시와 동일한 상태를 복원한다.
그리고, 이 복원 처리 후에 정보 처리 장치(1)를 재기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POST 처리, BIOS의 기동이 실행되며, HDD(13)로부터 제1 OS를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단계 S201).
제1 OS의 정상 실행에 이어서 HDD(13)로부터 복원 애플리케이션(제2 복원용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12)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또한, 이 복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시작하여도 좋고, OS 기동시에 자동 실행되어도 좋다(단계 S202).
복원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면 소정의 조작 화면을 DSP(18)에 표시하고, 사 용자가 그 조작 화면에 의해 지정된 복원 영역 및 복원 대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세이브 데이터의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도 9는 복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9의 조작 화면은 도 15의 단계 S202에 의해 복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표시된다.
사용자는 백업·레스큐 프로그램으로 지정한 보존 데이터 저장처를 복원 데이터 저장처로서 지정한다. 이 때, 제1 OS는 통상의 논리 구획 중, 상기 제1 OS를 인스톨한 논리 구획을 C 드라이브, 다른 쪽을 D 드라이브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장전과 마찬가지로 OS와 프로그램을 C 드라이브, 사용자 데이터를 D 드라이브라고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복원 데이터 저장처의 지정에 의해 세이브 처리에 의해 세이브해 둔 부가 정보인 항목명, 설명 보존 항목의 정보, 저장 장소 정보(패스(path))를 판독하여 「복원하는 내용」에 일람 표시한다. 또한, 부가 정보밖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복원하는 내용」의 「항목」에 인접한 체크 박스를 체크 상태로 한다. 이 후, 사용자는 데이터를 세이브하였지만 복원하고 싶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 해제 상태로 한다.
이러한 작업 후, 사용자가 「데이터의 복원 개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복원 애플리케이션은 복원 데이터 저장처를 인식하고, 또한 복원 대상으로서 지정된 데이터를 인식하며, 지정된 데이터를 복원 데이터 저장처로부터 독출하여, 부가 정보로서 세이브해 둔 저장 장소 정보로 표시되는 HDD(13)의 저장 위치(폴더)에 저장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이브해 둔 데이터가 제1 OS가 파손되기 이전의 원래의 장소로 복원되게 된다(단계 S203 내지 단계 S205).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 부가하여, 제1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고장난 경우에도, 제2 기억 장치에 기억된 데이터의 레스큐 및 이 제2 기억 장치로의 리커버리가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고장난 경우, 제2 기억 장치에 논리적으로 상이한 기억 영역을 작성하고, 고장전과 동일한 디렉토리 구성을 재현할 수 있다.

Claims (34)

  1.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기동 수단과,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세이브 수단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휴대형 기억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복수의 논리 구획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기억부는 제1 논리 구획이며,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은 상기 제1 논리 구획과 상이한 제2 논리 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복수 개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제1 기억 장치에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은 상기 제1 기억 장치와 상이한 제2 기억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브 수단은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브 수단은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데이터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의해 작성 또는 갱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수단은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은 상기 제2 기억부에 비하여 판독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기억 매체의 판독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2 기억부로서의 판독 전용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전송하며,
    상기 세이브 수단은, 상기 제2 기억부 대신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장전된 판독 기록 가능한 기억 매체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여 세이브시키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1 기억부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제1 복원 수단과,
    상기 제1 복원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제2 복원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브 수단은 데이터를 세이브할 때에 상기 데이터 의 제1 기억부에 있어서의 기억 위치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상기 제2 복원 수단은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위치 정보로 표시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위치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원 수단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 중 상기 제1 기억부로 복원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검지부에서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송 수단이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세이브 수단은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고장 검출부에서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제1 복원 수단을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장치로부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복원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제2 복원 수단을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지부가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기억 장치의 접속을 전환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를 제1 기억 장치로서 접속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
  18.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하여 기억시키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기억 매체의 판독 기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 상기 제2 기억부로서의 판독 전용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할 때, 상기 제2 기억부 대신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장전된 판독 기록 가능한 기억 매체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여 세이브시키는 프로그램.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1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1 기억부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 내용에 포함되는 제2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에, 상기 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단계
    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고,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시킬 때, 상기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프 로그램.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프로그램.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장치로부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기억 장치의 접속을 전환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를 제1 기억 장치로서 접속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26.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 치와 물리적으로 상이한 휴대형 기억 매체로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단계와,
    이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제1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을 상기 기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기억 장치를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 내용에 포함되는 제2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억 장치를 복원한 후에, 상기 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단계
    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27.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기억 장치의 제1 기억부와 적어도 논리적으로 상이한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세이브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기억 장치의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기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기억 매체의 판독 기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 상기 제2 기억부로서의 판독 전용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할 때, 상기 제2 기억부 대신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세팅된 판독 기록 가능한 기억 매체에 상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여 세이브시키는 정보 처리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1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1 기억부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 내용에 포함되는 제2 복원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에, 상기 제2 복원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단계
    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물리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제1 기억 장치에 적어도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2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서,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전송할 때,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의 기 본 프로그램용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데이터를 세이브시킬 때, 상기 전송된 제2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하는 정보 처리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의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제2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장치로부터 소정의 기억 영역에 세이브된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억부를 복원한 후,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복원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장치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 상기 기억 장치의 접속을 전환하여 상기 제2 기억 장치를 제1 기억 장치로서 접속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077024602A 2005-03-29 2006-03-29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Ceased KR20070118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3402 2005-03-29
JPJP-P-2005-00093402 2005-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138A true KR20070118138A (ko) 2007-12-13

Family

ID=3705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602A Ceased KR20070118138A (ko) 2005-03-29 2006-03-29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09676A1 (ko)
EP (1) EP1879109A4 (ko)
JP (1) JPWO2006104197A1 (ko)
KR (1) KR20070118138A (ko)
CN (1) CN101151597A (ko)
WO (1) WO2006104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0599B2 (ja) * 2005-08-26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
JP5159377B2 (ja) * 2008-03-12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10029904A1 (en) * 2009-07-30 2011-02-03 Adam Miles Smith Behavior and Appearance of Touch-Optimized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rolling Computer Function
JP2011133978A (ja) * 2009-12-22 2011-07-07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EP2527986A4 (en) * 2010-01-21 2014-01-22 Fujitsu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RIVE CONTROL PROGRAM AND DRIVE CONTROL METHOD
JP2011186902A (ja) * 2010-03-10 2011-09-22 Nec Corp 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及びバックアップ方法
JP5760888B2 (ja) 2011-09-15 2015-08-12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プログラム
WO2015136966A1 (ja) * 2014-03-14 2015-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機器、制御システム、支援装置、および、制御機器のメンテナンスの管理方法
CN104331343B (zh) * 2014-11-06 2017-09-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文件备份方法和系统
JP2018185663A (ja) * 2017-04-26 2018-11-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19049907A (ja) * 2017-09-11 2019-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0253A (ja) * 2018-03-16 2019-09-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1089447A (ja) * 2019-12-02 2021-06-10 ターリー・セキュア・ウォレット株式会社 着脱式外部記憶装置、着脱式外部記憶装置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保存データ抽出方法及び着脱式外部記憶装置によるコンピュータ内のデータ救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122A (en) * 1995-11-14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ckup unit including identifier conversion means
US6901493B1 (en) * 1998-02-24 2005-05-31 Adaptec, Inc. Method for protecting data of a computer system
US6167494A (en) * 1998-04-28 2000-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rom operating system failure
US6195695B1 (en) * 1998-10-27 2001-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from system crashes
JP2000284997A (ja) *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クアップ装置
EP1195679A1 (en) * 2000-10-06 2002-04-10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Performing operating system recovery from external back-up media in a headless computer entity
JP2002229742A (ja) * 2001-02-01 2002-08-16 Canon Inc アクセス切替制御装置、および、アクセス切替制御方法
JP2004086617A (ja) * 2002-08-27 2004-03-18 Workbit Corp バックアップ装置
JP4677214B2 (ja) * 2004-09-06 2011-04-27 富士通株式会社 パニックダンプ採取の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機構
US7484127B2 (en) * 2005-01-13 2009-01-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crash dump in a diskl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4197A1 (ja) 2006-10-05
EP1879109A4 (en) 2009-07-29
CN101151597A (zh) 2008-03-26
US20080109676A1 (en) 2008-05-08
EP1879109A1 (en) 2008-01-16
JPWO2006104197A1 (ja)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8138A (ko)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JP49658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救済方法
US7516319B2 (en) Method for booting a computer with second OS involves formatting portion of main memory with a second file system to generate ramdisk
KR20050015972A (ko)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249340A (ja) ソフトウェアアップデート方法、アップデート管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TWI765443B (zh) 資料儲存裝置及維持資料儲存裝置正常開機的方法
CN101996109B (zh) 计算机系统及其控制方法和存储计算机程序的记录介质
JP2004302991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用インターフェイスbiosのバックアップ方法
KR100692473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처리 장치 제어 방법
CN101366011A (zh) 数据备份设备和备份数据的方法
JP4608013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ピュータ起動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起動処理プログラム
JP513323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71311A1 (en) Disk array device and data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master data and replication data replicated from master data
JP4963167B2 (ja) システム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3894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 diagnosis, repair, removal by reversion of computer problems from desktop and recovery from booting or loading of operating system errors by removable media
JP2005149248A (ja) メタデータ修復方式,方法および記憶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788951B1 (ko)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운영체제 수리 방법
JP616068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50032902A (ko) 데이타 저장 및 복구 방법
JP202104780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0504776C (zh) 多模式计算机系统及其操作方法
KR100792786B1 (ko) 백업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컴퓨터의 최적화 운영체제 복구방법
JP6864221B2 (ja) 記憶制御装置および記憶制御方法
CN1952890A (zh) 电脑开机方法、使用该电脑开机方法的储存媒体及电脑装置
JP5822870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