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319A - 비상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비상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7319A KR20070087319A KR1020060017607A KR20060017607A KR20070087319A KR 20070087319 A KR20070087319 A KR 20070087319A KR 1020060017607 A KR1020060017607 A KR 1020060017607A KR 20060017607 A KR20060017607 A KR 20060017607A KR 20070087319 A KR20070087319 A KR 20070087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emergency
- gear
- fixed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비상시 긴급상황에 처한 모든 사람들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상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또는 재난 시 비상탈출에 사용되도록 건물에 구비되는 비상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빔부재와; 상기 고정빔부재의 상,하부에 구비된 지지봉(1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구비된 주기어(22)에 체인(28)으로 연결된 제1체인기어부(20) 및 제2체인기어부(26)와;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보조기어(23)에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0)와; 상기 체인(28)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건물의 층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디딤판(40)과; 상기 디딤판(40)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체인(28)상에 고정되어 상기 디딤판(40)을 지지하는 지지로프(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빔부재, 체인기어부, 감속기어부, 디딤판, 지지로프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승강장치를 보인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체인기어부와 감속기어부를 보인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디디판과 지지로프 및 안전난간의 장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빔 12: 지지봉
20: 제1체인기어부 22: 주기어
23: 보조기어 26: 제2체인기어부
28: 체인 30: 감속기어부
32: 보조체인 40: 디딤판
50: 지지로프 60: 안전난간
70: 보호커버
본 발명은 비상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비상시 긴급상황에 처한 모든 사람들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상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용 완강기 또는 승강기는 다층의 주택 및 아파트 등에서 발생되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주택 내의 인명이 정상적인 출입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에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인명을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물에서 화재 발생 등의 비상시 긴급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기구와 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인 예로서, 비상구나 창문 또는 옥상 등에 일단을 가설하고 다른 일단은 지상으로 늘어뜨려 탈출통로를 구성하게 하는 비상 탈출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줄사다리나, 로프를 이용하는 완강기 등을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단 및 장치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대피수단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긴급한 상황에서 그 이용 또는 설치에 익숙하지 못하여 소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와 어린이 및 여성들에 있어서는 무용지물의 원인이 되어옴으로 인하여 고층에서 뛰어내려 부상을 당하거나, 뛰어내리지 못했을 경우에는 질식사하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제조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상시 긴급상황에 처한 모든 사람들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속기어의 장착으로 많은 인원의 탈출시에도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화재 또는 재난 시 비상탈출에 사용되도록 건물에 구비되는 비상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빔부재와; 상기 고정빔부재의 상,하부에 구비된 지지봉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구비된 주기어에 체인으로 연결된 제1체인기어부 및 제2체인기어부와; 상기 제1체인기어부의 보조기어에 보조체인으로 연결되는 감속기어부와; 상기 체인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건물의 층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체인상에 고정되어 상기 디딤판을 지지하는 지지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인상에는 비상탈출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탈출자가 움켜쥘 수 있게 상기 디딤판의 상부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안전난간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1,2체인기어부와 체인 및 감속기어부가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작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 승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승강장치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체인기어부와 감속기어부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디디판과 지지로프 및 안전난간의 장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 승강장치는 상기 건물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빔부재와, 상기 고정빔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제1체인기어부(20) 및 상기 고정빔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제2체인기어부(26)와,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보조기어(23)에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0)와, 상기 체인(28)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건물의 층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디딤판(40)과, 상기 디딤판(40)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체인(28)상에 고정되어 상기 디딤판(40)을 지지하는 지지로프(50)로 구성되어 건물 내에서의 화재 또는 재난 시 비상탈출에 사용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빔부재는 일측면이 건물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지지빔(10)과, 상기 지지빔(10)의 타측면 상,하부에 지지봉(12)에 의해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른 지지빔(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빔(10)의 두께는 건물의 높이 또는 상기 제1,2체인기어부(20,26)와 감속기어부(30)의 중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1체인기어부(20)는 상기 지지봉(12)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에 각각 주기어(22)가 구비되며, 상기 주기어(22) 중 하나와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사이에는 보조기어(2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인기어부(26)에는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보조기어(23)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주기어(22)와 제2체인기어부(26)의 주기어(22)를 상호 연결시키는 체인(28)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와 제2체인기어부(26)는 상기 감속기어부(30)의 구동으로 동작되는데, 이 경우, 상기 감속기어부(30)의 구동으로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된 제1체인기어부(20)의 보조기어(23)가 동작되면서 상기 보조기어(23)에 일체로 연결된 주기어(22)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1체인기어부(20)가 동작되어 지며,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주기어(22)에 결속된 체인(28)에 의해 상기 제2체인기어부(26)가 동일하게 동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어부(30)는 상기 주기어(22)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체인(28)의 동작속도를 감속시키도록 배터리가 내장된 전동식 또는 충전식으로 구성된 공지된 기술인 관계로 그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에는 상기 감속기어부(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부(30)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사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디딤판(40)은 상기 지지로프(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일 측의 체인(28) 상에서는 펼쳐져 있게 되나, 건물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2체인기어부(26)을 통과한 후 타측의 체인(28) 상으로 이동되어 지면, 상기 디딤판(40)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지게 되며, 건물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1체인기어부(20)를 통과하면서 다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탈출자가 비상구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나온 후 상기 디딤판(40)의 상부면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감속기어부(30)를 구동시켜 상기 제1체인기어부(20)와 제2체인기어부(26)에 연결된 체인(28)을 동작시키면서 지면으로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28)상에는 비상탈출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탈출자가 움켜쥘 수 있게 상기 디딤판(40)의 상부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 즉, 탈출자의 허리정도의 높이에 안전난간(6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빔부재의 외측, 즉 승강장치의 외측에는 상기 제1,2체인기어부(20,26)와 체인(28) 및 감속기어부(30)가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보호커버(70)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70) 상에는 감지센서에 의한 사람의 감지시 제어부에 의해 발광되는 조명등(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비상 탈출시 발광되도록 하여 탈출자의 두려움을 보다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내에서 화재 또는 재난 시 탈출자는 비상구 출입문을 열고 외부로 나간 후 건물 외측벽에 구비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탈출자가 디딤판 (40)에 발을 올려 놓고 올라서게 되면,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감소기어부(30)의 구동으로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된 제1체인기어부(20)가 동작되면서 상기 디딤판(40)이 연결된 체인(28)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28)이 결속된 주기어(22)는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된 감속기어부(30)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체인(28)에 연결된 디딤판(40)을 서서히 하강되게 하여 탈출자의 안전을 보장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탈출자가 디딤판(40) 상부면에서 혹시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안전난간(60)을 잡고 내려오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면에 근접한 디딤판(40)의 제2체인기어부(26)를 통해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지는데, 이 경우 상기 디딤판(40)을 지지하는 지지로프(50)가 디딤판(4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디딤판(40)은 자연스럽게 접혀진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제조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상시 긴급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속기어의 장착으로 많은 인원의 탈출시에도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 화재 또는 재난 시 비상탈출에 사용되도록 건물에 구비되는 비상 승강장치에 있어서,상기 건물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빔부재와;상기 고정빔부재의 상,하부에 구비된 지지봉(1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구비된 주기어(22)에 체인(28)으로 연결된 제1체인기어부(20) 및 제2체인기어부(26)와;상기 제1체인기어부(20)의 보조기어(23)에 보조체인(32)으로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0)와;상기 체인(28)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건물의 층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디딤판(40)과;상기 디딤판(40)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체인(28)상에 고정되어 상기 디딤판(40)을 지지하는 지지로프(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승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체인(28)상에는 비상탈출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탈출자가 움켜쥘 수 있게 상기 디딤판(40)의 상부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안전난간(60)이 구 비되고,상기 고정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1,2체인기어부(20,26)와 체인(28) 및 감속기어부(30)가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보호커버(7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승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7607A KR20070087319A (ko) | 2006-02-23 | 2006-02-23 | 비상 승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7607A KR20070087319A (ko) | 2006-02-23 | 2006-02-23 | 비상 승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7319A true KR20070087319A (ko) | 2007-08-28 |
Family
ID=3861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7607A KR20070087319A (ko) | 2006-02-23 | 2006-02-23 | 비상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8731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501B1 (ko) * | 2012-11-13 | 2014-07-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
KR20200127358A (ko) *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디딤돌 | 비상탈출 장치 |
CN116317862A (zh) * | 2023-01-13 | 2023-06-23 | 广东麦瑞哲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 一种绿色节能建筑 |
-
2006
- 2006-02-23 KR KR1020060017607A patent/KR2007008731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501B1 (ko) * | 2012-11-13 | 2014-07-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
KR20200127358A (ko) *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디딤돌 | 비상탈출 장치 |
CN116317862A (zh) * | 2023-01-13 | 2023-06-23 | 广东麦瑞哲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 一种绿色节能建筑 |
CN116317862B (zh) * | 2023-01-13 | 2024-01-26 | 广东麦瑞哲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 一种绿色节能建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585B1 (ko) | 층간 비상탈출장치 | |
KR102119351B1 (ko) |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 |
KR101934979B1 (ko) |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 |
US6318503B1 (en) |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 |
KR101771711B1 (ko)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 |
KR102264809B1 (ko) |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
KR200450122Y1 (ko) |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 |
KR101119886B1 (ko) |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 |
US20040118635A1 (en) |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 |
KR20140117030A (ko) |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 |
KR102135003B1 (ko) | 안전 비상탈출장치 | |
KR20070087319A (ko) | 비상 승강장치 | |
KR101159646B1 (ko) |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 |
JP3196311U (ja) | 階段昇降機 | |
KR101049008B1 (ko) |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 |
KR102169895B1 (ko) | 안전 피난장치 | |
CN211169414U (zh) |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 |
KR102169896B1 (ko) | 안전 대피장치 | |
KR20220046319A (ko)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
KR102448734B1 (ko) |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 |
JPH11322284A (ja) | 家庭用昇降設備 | |
KR101771712B1 (ko)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 |
KR102169897B1 (ko) | 재난 대피장치 | |
JP2004197456A (ja) | 非常用梯子装置 | |
WO1991018820A1 (en) | Lifting system installed in building which makes emergency stair unnecessa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