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319A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Google Patents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6319A KR20220046319A KR1020200129596A KR20200129596A KR20220046319A KR 20220046319 A KR20220046319 A KR 20220046319A KR 1020200129596 A KR1020200129596 A KR 1020200129596A KR 20200129596 A KR20200129596 A KR 20200129596A KR 20220046319 A KR20220046319 A KR 20220046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lever
- slab
- building
- sti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B)의 층을 구분하는 제1슬라브(S1)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1컨틸레버(100)와; 제1슬라브(S1)의 아랫층 제2슬라브(S2)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좌측에 좌측홀(H2)이 형성된 제2컨틸레버(200)와; 제2슬라브(S2)의 아래층 제3슬라브(S3)에서 상기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3컨틸레버(300)와;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과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안전탈출장치(400)와;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과 제3컨틸레버(3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안전탈출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에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틸레버 방식으로 구현되어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상황시 대피하기 위한 완강기를 구비하고 있다. 완강기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재난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대피자는 완강기를 통하여 외부로 비상 대피한다.
그런데 대피자는 천천히 풀어지는 완강기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대피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많은 사람을 대피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노약자, 어린이, 여성의 경우, 체력의 한계나 고소 공포감으로 인하여 완강기 사용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많은 수의 재난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형성된 비상대피홀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과, 테두리지지부와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지는 윈치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발판이 하강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윈치를 역회전시키는 태엽부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를 개발하였고, 2012. 11. 6. 자로 등록번호 10-1200375의 비상탈출장치란 명칭으로 특허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의하여, 대피자는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고, 이후 태엽부는 윈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서 다른 대피자가 비상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건물을 구성하는 천정슬라브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만큼 건물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작은 건물의 경우, 비상탈출장치의 설치에 많은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태엽부에 내장된 판스프링이 시간이 지남에 부식되어 복귀 탄성력이 저하되었고, 이 경우 태엽부는 발판을 초기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시키지 못하여 비상 상황에서 정상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측부로 컨틸레버를 시공하고, 다수의 층간 컨틸레버에 지그재그로 설치함으로써 건물의 사용공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엽부를 사용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더라도 부식에 의한 고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정상 작동할 수 있어 용이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은, 건물(B)의 층을 구분하는 제1슬라브(S1)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1컨틸레버(100); 상기 제1슬라브(S1)의 아랫층 제2슬라브(S2)에서 상기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좌측에 좌측홀(H2)이 형성된 제2컨틸레버(200); 상기 제2슬라브(S2)의 아래층 제3슬라브(S3)에서 상기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3컨틸레버(300); 상기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과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안전탈출장치(400); 및 상기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과 제3컨틸레버(3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안전탈출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탈출장치(400)는, 상기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411)를 가지는 제1베이스(410)와, 상기 제1베이스(410)와 상기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기둥(420)과, 상기 제1테두리(4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제1기둥(420)을 타고 상기 제2컨틸레버(2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1승강발판부(430)와, 상기 제1베이스(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발판부(43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구동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전탈출장치(500)는, 상기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에 설치되는 제2테두리(511)를 가지는 제2베이스(510)와, 상기 제2베이스(510)와 상기 제3컨틸레버(3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520)과, 상기 제2테두리(5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기둥(520)을 타고 상기 제3컨틸레버(3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2승강발판부(530)와, 상기 제2베이스(5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승강발판부(53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구동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420)(520)은, 제1,2기둥몸체(421)(521)의 전방 모서리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한쌍의 제1,2체결봉(422,423)(522,523)과, 상기 제1,2기둥몸체(421)(521)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봉(422,423)(522,523)을 이격되게 감싸며 각각의 전방측으로 제1,2레일홈(424a,425a)(524a,525a)이 형성된 제1보호커버(424,4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상기 제1레일홈(424a,425a)(524a,525a)을 통하여 상기 제1,2보호커버(424,425)(524,525)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슬라이더(432,433)(522,5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420)(520)은, 상기 제1,2보호커버(424)(524)의 측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가 추락하는 상황이 될 때 상기 제1,2기둥(420)(520)에 자동으로 위치고정되게 작동하는 제1,2비상브레이크(490)(5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비상브레이크(490)(590)는 작동시 상기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2브레이크패드(492a)(592a)가 설치된 제1,2브레이크레버(492)(59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대피자가 탑승하는 제1,2발판(437)(537) 및 상기 제1,2발판(437)(537)에 형성되는 제1,2손잡이수용홈(438)(5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는,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포개어질 때 상기 제1,2손잡이수용홈(438)(538)에 수용됨으로써 제1,2발판(437)(5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B)의 측부로 다수의 제1,2,3컨틸레버(100)(200)(300)를 돌출되게 시공하고,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에 대피를 위한 제1안전탈출장치(400)와 제2안전탈출장치(500)를 지그제그로 설치함으로서, 건물의 사용공간이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사람이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에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의 제1,2기둥(420)(520)이 지그재그가 되게 설치되므로,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는 제1,2기둥(420)(520)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지지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갑자기 많은 사람이 대피함에 따라 큰 하중이 제1,2,3컨틸레버(100)(200)(300)에 인가되더라도 제1,2,3컨틸레버(100)(200)(300)가 파손되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기둥(420)(520)을 압출 성형하여 제1,2체결봉(422)(423)을 형성하고, 제1,2슬라이더(432)(433)를 제1,2체결봉(420)(520)에 끼어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조립후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아 별도의 세팅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현장에서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1,2윈치부(442)(5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1,2승강와이어(444)(544)가 제1,2승강발판부(430)(530)와 연결되고, 제1,2윈치부(442)(5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제1,2무게추(443)(543)와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태엽부와 같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대피 구조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제1,2,3컨틸레버와 제1,2안전탈출장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2,3컨틸레버에서 제1,2안전탈출장치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1,2안전탈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2승강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제1,2기둥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제1,2덮개 및 제1,2회동덮개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대피 구조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제1,2,3컨틸레버와 제1,2안전탈출장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2,3컨틸레버에서 제1,2안전탈출장치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1,2안전탈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2승강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제1,2기둥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제1,2덮개 및 제1,2회동덮개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대피 구조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2,3컨틸레버와 제1,2안전탈출장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은, 화재등의 재난이 발생될 때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은, 건물(B)의 층을 구분하는 제1슬라브(S1)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1컨틸레버(100)와; 제1슬라브(S1)의 아랫층 제2슬라브(S2)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좌측에 좌측홀(H2)이 형성된 제2컨틸레버(200)와; 상기 제2슬라브(S2)의 아래층 제3슬라브(S3)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3컨틸레버(300)와;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과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안전탈출장치(400)와;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과 제3컨틸레버(3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안전탈출장치(500)와; 상기 제1,2,3컨틸레버(100)(200)(300)에 설치되어 대피시 조명을 제공하는 유도등(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컨틸레버를 채용하여 제1,2,3컨틸레버(100)(200)(30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컨틸레버의 개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수십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2,3컨틸레버(100)(200)(300)는 건물(B)의 층을 구획하는 제1,2,3슬라브(S1)(S2)(S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시공된다. 이러한 제1,2,3컨??레버(100)(200)(300)는 제1,2,3슬라브(S1)(S2)(S3)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철근 구조물이 내장된 상태에서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현된다. 또한 제1,2,3슬라브(S1)(S2)(S3)가 H 빔을 뼈대로 하여 구현될 경우, 제1,2,3컨??레버(100)(200)(300)는 사각형의 서브빔 구조물을 뼈대로 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구현하고, 서브빔을 제1,2,3슬라브(S1)(S2)(S3)의 빔과 볼팅 또는 용접으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유도등(600)은 제1,2,3컨틸레버(100)(200)(300)에 설치되어 대피시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 측으로 조명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야간에 갑자기 대피하여야 하는 비상상황에서, 유도둥(600)은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 주위에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대피자들이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도등(600)은 후술할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의 제1,2테두리(411)(511) 주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 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상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비상 상황에서도 작동된다.
제1안전탈출장치(400)는 제1,2컨틸레버(100)(200) 사이의 우측에 설치되고, 제2안전탈출장치(500)는 제2,3컨틸레버(200)(300) 사이의 좌측에 설치되며,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는 동일 구성을 가진다.
도 4는 도 3의 제1,2,3컨틸레버에서 제1,2안전탈출장치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2안전탈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안전탈출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411)를 가지는 제1베이스(410)와, 제1베이스(410)와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기둥(420)과, 제1테두리(4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제1기둥(420)을 타고 제2컨틸레버(2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1승강발판부(430)와, 제1베이스(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제1승강발판부(43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구동부(440)와, 제1승강발판부(430)를 제1테두리(411)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제1승강발판부(430)에서 돌출된 제1페달(453)을 눌렀을 때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스토퍼(450)와, 제1승강발판부(4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제1테두리(411)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손잡이부(460)와, 제1가이드손잡이부(460)가 제1승강발판부(430)에 포개졌을 때 제1테두리(411)를 덮는 제1덮개(470)와, 제1덮개(470)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제1테두리(411)의 반대측으로 회동되게 지지하는 제1회동덮개지지부(480)와; 제1승강발판부(430)가 추락하는 상황이 될 때 상기 제1기둥(420)에 자동으로 위치고정되게 작동하는 제1비상브레이크(490);를 포함한다.
제2안전탈출장치(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에 설치되는 제2테두리(511)를 가지는 제2베이스(510)와, 제2베이스(510)와 제3컨틸레버(3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520)과, 제2테두리(5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제2기둥(520)을 타고 제3컨틸레버(3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2승강발판부(530)와, 제2베이스(5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제2승강발판부(53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구동부(540)와, 제2승강발판부(530)를 제2테두리(511)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제2승강발판부(530)에서 돌출된 제2페달(553)을 눌렀을 때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2스토퍼(550)와, 제2승강발판부(5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제2테두리(511)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손잡이부(460)(560)와, 제2가이드손잡이부(560)가 제2승강발판부(530)에 포개졌을 때 제2테두리(511)를 덮는 제2덮개(570)와, 제2덮개(570)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제2테두리(511)의 반대측으로 회동되게 지지하는 제2회동덮개지지부(580)와; 제1승강발판부(430)가 추락하는 상황이 될 때 상기 제1기둥(420)에 자동으로 위치고정되게 작동하는 제1비상브레이크(4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안전탈출장치(400)는 제1,2컨틸레버(100)(200) 사이에 설치되고, 제2안전탈출장치(500)는 제2컨틸레버(200)와 제2컨틸레버(300) 사이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 모든 구성은 동일하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기둥과 제1,2승강발판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2승강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4의 제1,2승강발판부를 제1,2기둥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의 제1,2덮개 및 제1,2회동덮개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베이스(410)(4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는 제1,2테두리(411)(512)를 포함하고, 후방측으로 후술할 제1,2승강구동부(440)(540), 제1,2스토퍼(450)(550),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 제1,2덮개(470)(570) 및 제1,2회동덮개지지부(480)(58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2베이스(410)(5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컨틸레버의 우측홀(H1) 또는 좌측홀(H2)에 지그재그 형태로 끼어져 고정된다.
제1기둥(42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몸체(421)의 전방 모서리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한쌍의 제1체결봉(422,423)과, 제1기둥몸체(421)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봉(422,423)을 이격되게 감싸며 각각의 전방측으로 제1레일홈(424a,425a)이 형성된 제1보호커버(424,425)와, 제1기둥몸체(421) 내측에 성형되는 제1기둥홀(426)과, 제1기둥몸체(421)의 측부에 성형되는 제1가이드레일홈(427)과, 한쌍의 제1보호커버중 하나의 제1보호커버(424)의 측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제1브레이크레일(428)을 포함한다.
제2기둥(52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둥몸체(521)의 전방 모서리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한쌍의 제2체결봉(522)(523)과, 제2기둥몸체(521)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제2체결봉(522,523)을 이격되게 감싸며 각각의 전방측으로 제2레일홈(524a,525a)이 형성된 제1,2보호커버(524,525)와, 제2기둥몸체(521) 내측에 성형되는 제2기둥홀(526)과, 제2기둥몸체(521)의 측부에 성형되는 제2가이드레일홈(527)과, 한쌍의 제2보호커버중 하나의 제2보호커버(524)의 측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제2브레이크레일(528)을 포함한다.
제1,2체결봉(422,423)(522,523) 각각은 한쌍을 이루며, 제1,2기둥몸체(421)(521)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봉 형태를 가진다. 제1,2체결봉(422,423)(522,523)은 제1,2기둥(420)(520)을 압출 성형할 때 제1,2기둥몸체(421)(521)의 전방 모서리 양측에 한 몸체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2체결봉(422,423)(522)(523)은 자연스럽게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고도로 정밀한 평탄도를 가지게 형성된다.
제1보호커버(424,425)(524,525) 각각은 한쌍을 이루며, 제1,2레일홈(424a,425a)(524a,525a)을 제외하고 제1,2체결봉(422,423)(522,523)을 감싼다. 제1,2보호커버(424,425)(524,525)는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체결봉(422,423)(522,5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제1,2체결봉(422,423)(522,523)을 보호한다. 여기서, 제1,2레일홈(424a,425a)(524a,525a)은,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제1,2슬라이더(432,433)(532,533)가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1,2가이드레일홈(427)(527)은 제1,2기둥몸체(421)(521)의 측부를 따라 형성되고, 후술할 제1,2무게추(443)(543)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승강 도중에 흔들리거나 제1,2기둥몸체(421)(5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승강발판부(4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둥(420)의 제1보호커버(424,425)(524,525)의 내주면과 이격된 것으로서 한쌍의 제1체결봉(422,4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홈(432a,433a)이 형성된 한쌍의 제1슬라이더(432,433)와, 제1슬라이더(432,433)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지지대(434)와, 제1슬라이더지지대(434)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지지프레임(435,436)과, 제1지지프레임(435,436)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제1발판(437)과, 제1발판(437)에 형성되는 제1손잡이수용홈(438)을 포함한다.
제2승강발판부(5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둥(520)의 제2보호커버(524,525)의 내주면과 이격된 것으로서 한쌍의 제2체결봉(522,5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홈(532a,533a)이 형성된 한쌍의 제2슬라이더(532,533)와, 제2슬라이더(532,533)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지지대(534)와, 제2슬라이더지지대(534)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지지프레임(535,536))와, 제2지지프레임(535,536)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제2발판(537)과, 제2발판(537)에 형성되는 제2손잡이수용홈(538)을 포함한다.
제1,2슬라이더(432,433)(532,533)는 한쌍의 제1레일홈(424a,425a)(524a,525a)을 통과한 후 제1,2보호커버(424,425)(524,525)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제1,2슬라이더(432,433)(522,523)에는 원통형태의 제1체결홈(432a,433a)(532a,533a)이 형성되어 봉 형태를 이루는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제1,2기둥(420)(520)을 따라 부드럽게 승강된다.
제1,2발판(437)(537)은 제1,2슬라이더지지대(434)(534)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435,436)(535,536)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대피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기둥(420)(520) 및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있어서, 제1,2체결봉(422,423)(522,523)은 제1,2기둥(420)(520)을 압출성형할 때 함께 성형되는 것이므로 고도의 정밀한 평탄도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제1,2슬라이더(432,433)(532,533)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2슬라이더(432,433)(532,533)는 제1,2기둥(420)(520)을 따라 승강될 때 부드러운 승강 이동은 물론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탑승한 대피자는 하강 도중에 불안함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제1,2기둥(420)(520)에 형성된 제1,2보호커버(424,425)(524,525)는 제1,2체결봉(422,423)(522,52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당 부분 감쌈에 따라,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체결봉(422,423)(522,5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먼지나 이물질이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제1,2체결봉(422,423)(522,523)의 표면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언제든지 제1,2승강발판부(430)(530)를 안전하게 승강 지지할 수 있다.
제1승강구동부(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몸체(4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원심브레이크(441)와, 제1원심브레이크(441)에 축결합된 제1윈치부(442)와, 제1기둥몸체(42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무게추(443)와; 제1윈치부(442)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1승강발판부(430)와 연결되는 제1승강와이어(444)와; 제1윈치부(442)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1무게추(443)와 연결되는 제1복귀와이어(445)를 포함한다.
제1승강구동부(5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둥몸체(5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2원심브레이크(541)와, 제2원심브레이크(541)에 축결합된 제2윈치부(542)와, 제2기둥몸체(52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무게추(543)와; 제2윈치부(542)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2승강발판부(530)와 연결되는 제2승강와이어(544)와; 제2윈치부(542)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2무게추(543)와 연결되는 제2복귀와이어(545)를 포함한다.
제1,2원심브레이크(441)(541)는, 브레이크드럼의 내부에 제1,2윈치부(442)(542)와 축결합되어 원심력에 브레이크드럼 측으로 움직이는 브레이크슈 어셈블리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제1,2윈치부(442)(542)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제1,2윈치부(442)(542)가 천천히 회전되도록 브레이킹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2원심브레이크(441)(541)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윈치부(442)(5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원심브레이크(441)(541)와 축결합된 제1,2대윈치(442a)(542a)와, 제1,2대윈치(442a)(542a) 보다 작은 제1,2소윈치(442c)(542c)와, 제1,2대윈치(442a)(542a)와 제1,2소윈치(442c)(542c)를 연결하는 제1,2경사윈치(442b)(542b)를 포함한다. 즉, 제1,2윈치부(442)(552)는 큰 직경의 제1,2대윈치(442a)(542a)와, 작은 직경의 제1,2소윈치(442c)(542c)와, 제1,2대윈치와 제1,2소윈치를 연결하는 제1,2경사윈치(442b)(542b)를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2대윈치(442a)(542a)의 직경은 15cm 내외일 경우라고 가정할 경우, 제1,2소윈치(442c)(542c)는 10cm 내외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제1,2대윈치(442a)(542a), 제1,2경사윈치(442b)(542b) 및 제1,2소윈치(442c)(542c)의 표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2승강와이어(444)(544) 및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겹치지 않고 다수회 감겨질 수 있다.
제1,2무게추(443)(543)는, 제1,2기둥몸체(421)(521)에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홈(427)(527)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제1,2무게추(443)(543)가 승강도중에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2무게추(443)(543)의 측부에는 제1,2기둥몸체(421)(521) 측부에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홈(427)(527)을 따라 베어링 운동하는 제1,2가이드베어링(443a)(553a)이 설치된다.
제1,2승강와이어(444)(544)는 제1,2윈치부(442)(542), 엄밀하게는 큰 직경의 제1대윈치(442a)(542a)에 일단이 고정되고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타단이 제1,2승강발판부(430)(530)와 연결된다.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제1,2윈치부(442)(542), 엄밀하게는 큰 직경의 제1대윈치(442a)(542a)에 일단이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타단이 제1,2무게추(443)(543)와 연결된다. 즉, 제1,2승강와이어(444)(544)와 제1,2복귀와이어(445)(545)의 일단은 제1대윈치(442a)(54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2승강와이어(444)(544)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제1,2윈치부(442)(542)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2승강와이어(444)(544)와 제1,2복귀와이어(445)(545) 중 하나는 상승하고 나머지 하나는 하강한다. 이때, 제1,2승강와이어(444)(544)와 제1,2복귀와이어(445)(545)의 일단은 제1,2윈치부(442)(5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므로, 제1,2윈치부(442)(542)의 회전시 제1,2승강와이어(444)(544) 및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제1,2윈치부(442)(542)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제1,2승강와이어(444)(544)와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한 몸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2윈치부(442)(542)에 여러번 감겨지는 형태의 경우, 제1,2윈치부(442)(542)가 갑자기 회전하거나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체중이 무거운 대피자가 탑승하였을 때 제1,2윈치부(442)(542) 표면과 제1,2승강와이어(444)(544) 및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사이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헛돌수 있다. 따라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승강와이어(444)(544) 및 제1,2복귀와이어(445)(545)의 일단이 제1,2윈치부(442)(542)에 고정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1,2윈치부(442)(542)가 제1,2대윈치(442a)(542a), 제1,2경사윈치(442b)(542b) 및 제1,2소윈치(442c)(542c)를 가짐에 따라, 제1,2윈치부(442)(542)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가 가변된다. 예를 들면,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큰 직경의 제1,2대윈치(442a)(542a)에서 풀어질 때 제1,2윈치부(442)(542)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는 가장 크고, 작은 직경의 제1,2소윈치(442c)(542c)에서 풀어질 때 제1,2윈치부(442)(542)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는 가장 작다. 이는,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위치에 따라 토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피자가 탑승하여 제1,2승강발판부(430)(530)가 컨틸레버 바닥으로 하강하였을 때 제1,2무게추(443)(543)는 제1,2기둥(420)(520)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대피자가 대피하면 제1,2무게추(443)(543)는 그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제1,2승강발판부(430)(530)를 초기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제1,2무게추(443)(543)가 제1,2기둥(420)(520)의 상부측에서 하강하는 초기 시점에서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제1,2대윈치(442a)(542a)로부터 풀어지고, 이때 토크는 가장 크기 때문에 제1,2무게추(443)(543)는 빠르게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빠르게 상승한다.
이후, 제1,2무게추(443)(543)가 제1,2기둥(420)(520)의 중간측을 지나는 시점에서,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2경사윈치(442b)(542b)를 지나면서 풀어지고, 이 과정에서 토크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제1,2무게추(443)(543)는 점차로 천천히 하강한다. 이 경우,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상승 속도는 점차로 작아진다.
그리고 제1,2무게추(443)(543)가 제1,2기둥(420)(520)의 하부측을 지나는 시점에서, 제1,2복귀와이어(445)(545)는 제1,2소윈치(442c)(542c)를 지나면서 풀어지고, 이 과정에서 토크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제1,2무게추(443)(543)는 천천히 하강한다. 이 경우,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상승 속도를 가장 작아지게 된다.
즉,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제1,2대윈치(442a)(542a)에서 제1,2소윈치(442c)(542c)로 이동하면서 풀어지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토크에 의하여 제1,2무게추(443)(543)의 하강속도가 점차로 작아지고, 이에 연동하여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상승속도는 바닥측의 컨틸레버에서 상승할 때 가장 크고 천정측 컨틸레버로 접근할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메커니즘은 대피자가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하강할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탑승한 대피자는 초기에 빠르게 하강하다가 천천히 하강되게 되어 바닥측 컨틸레버에서 충격에 의하여 대피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상부측 컨틸레버로 복귀할 때 초기에 빠르게 상승하다가 상부측 컨틸레버측에서 천천히 하강하게 되어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스토퍼(4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몸체(421)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제1스토퍼홈(451)과, 제1승강발판부(430)에 제1스토퍼홈(45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스토퍼홈(451)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1스토퍼걸쇄(452)와, 제1승강발판부(430)에 탑승한 대피자의 발에 의하여 눌려지는 제1페달(453)과, 제1페달(453)이 눌리어질 때 제1스토퍼걸쇄(452)를 제1스토퍼홈(451)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스토퍼홈분리부(454)를 포함한다.
제2스토퍼(5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둥몸체(521)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제2스토퍼홈(551)과, 제2승강발판부(530)에 제2스토퍼홈(55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스토퍼홈(551)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2스토퍼걸쇄(552)와, 제2승강발판부(530)에 탑승한 대피자의 발에 의하여 눌려지는 제2페달(553)과, 제2페달(553)이 눌리어질 때 제2스토퍼걸쇄(552)를 제2스토퍼홈(551)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시키는 제2스토퍼홈분리부(5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스토퍼(450)(550)에 의하여, 제1,2스토퍼걸쇄(452)(552)가 제1,2스토퍼홈(451)(551)에 걸치어진 상태에서는 제1,2승강발판부(430)(530)가 제1,2테두리(411)(511) 내측에 위치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대피자가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탑승하여 제1,2페달(453)(553)을 누르면 제1,2스토퍼홈분리부(454)(554)가 제1,2스토퍼걸쇄(452)(552)를 제1,2스토퍼홈(451)(551)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제1,2기둥(420)(520)을 따라 하강한다.
제1가이드손잡이부(46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발판부(4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제1테두리(411)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제1가이드손잡이부(460)는, 제1손잡이수용홈(438) 후방측의 제1지지프레임(435,436) 각각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발판브라켓(461)과, 제1발판브라켓(461)에 회동 가능하게 한쌍의 제1회동봉(462)과, 각각의 제1회동봉(462)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U' 형태를 가지는 제1손잡이봉(464)과, 제1발판브라켓(461)과 제1회동봉(462) 사이에 설치되어 제1회동봉(46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465)과, 제1회동봉(462)과 제1손잡이봉(46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손잡이봉(464)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466)을 포함한다.
제2가이드손잡이부(56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발판부(5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제2테두리(511)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제2가이드손잡이부(560)는, 제2손잡이수용홈(538) 후방측의 제2지지프레임(535,536) 각각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2발판브라켓(561)과, 제2발판브라켓(561)에 회동 가능하게 한쌍의 제2회동봉(562)과, 각각의 제2회동봉(562)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U' 형태를 가지는 제2손잡이봉(564)과, 제2발판브라켓(561)과 제2회동봉(562) 사이에 설치되어 제2회동봉(56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3각도유지관절(565)과, 제2회동봉(562)과 제2손잡이봉(56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손잡이봉(564)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4각도유지관절(56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는, 제1,2회동봉(462)(562) 및 제1,2손잡이봉(464)(564)이 바닥측으로 포개어질 때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제1,2손잡이수용홈(438)(538)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는 제1,2발판(437)(5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대피하는 과정에서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슬림한 제1,2발판(437)(537)의 구현이 가능하다.
제1,2덮개(470)(570)는, 도 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재질로 된 것으로서, 평상시 관리자가 제1,2승강발판부(430)(530)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제1,2덮개(470)(570)에는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페달(453)(553)이 수용되는 제1,2페달커버(471)(571)가 형성된다.
제1,2회동덮개지지부(480)(580)는,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와, 일단이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1,2덮개(470)(570)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1,2레버(482)(582)를 포함한다.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는 제1,2기둥(420)(520)의 상단에서 우측홀(H1) 또는 좌측홀(H2)의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심브레이크(441)(541), 제1,2윈치부(442)(542)가 내장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2레버(482)(582)는 전체적으로 L 형태를 이루며,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의 양단 중앙에 힌지 연결되는 제1,2수직레버(482a)(582a)와 제1,2덮개(470)(570)와 연결되는 제1,2수평레버(482b)(582b)로 구성되고, 제1,2수직레버(482a)(582a)와 제1,2수평레버(482b)(482b)가 직교되게 연결되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2덮개(470)(570)가 제1,2테두리(411)(511)에 덮여진 상태에서, 제1수평레버(482b)(582b)는 바닥측에 수평되게 위치되고, 제1수직레버(482b)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제1,2레버(482)(582)가 제1,2수직레버(482a)(582a) 및 제1,2수평레버(482b)(582b)로 구성된 L 형태를 가짐으로서, 제1,2덮개(470)(570)의 회동궤도를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에서 벗어나게 하고 이에 따라 제1,2덮개(470)(570)를 수직 방향(V)의 후방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2덮개(470)(570)는 수직 방향(V) 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됨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탑승한 대피자가 하강하는 도중에 덮개(130)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회동덮개지지부(480)(580)에 의하여, 평소 제1,2덮개(470)(570)를 회동시켜 제1,2테두리(411)(411)에 밀착시키거나, 화재등의 비상시에 제1,2테두리(411)(511)를 개방하여 제1,2승강발판부(430)(530)를 통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회동지지박스(481)(581)에서 회동되는 L 형태의 제1,2레버(482)(582)에 의하여 제1,2덮개(470)(570)는 제1,2테두리(411)(511)를 견고하게 덮어 대피과정에서 일반인이 제1,2,3컨틸레버(100)(200)(300)의 우측홀(H1) 또는 좌측홀(H2)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1,2레버(482)(582)를 회동시키면 제1,2덮개(470)(570)가 회동되면서 우측홀(H1) 또는 좌측홀(H2)을 개방하여 제1,2승강발판부(430)(530)를 통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비상브레이크(4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발판부(430)의 제1슬라이더지지대(434)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491)에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일측단에 제1기둥(420)의 제1보호커버(424)에 형성된 제1브레이크레일(428)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브레이크패드(492a)가 설치된 제1브레이크레버(492)와, 제1브레이크레버(492) 상부측의 제1슬라이더지지대(434)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가이드브라켓(493)과, 제1가이드브라켓(493)을 관통하여 제1승강와이어(444)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브레이크레버(492)를 지지되는 제1브레이크작동로드(494)와, 제1브레이크작동로드(494)에 끼어져 제1브레이크패드(492a)가 제1체결봉(422) 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495)을 포함한다.
제2비상브레이크(5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발판부(530)의 제2슬라이더지지대(534)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591)에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일측단에 제2기둥(520)의 제2보호커버(524)에 형성된 제2브레이크레일(528)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2브레이크패드(592a)가 설치된 제2브레이크레버(592)와, 제2브레이크레버(592) 상부측의 제2슬라이더지지대(534)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2가이드브라켓(593)과, 제2가이드브라켓(593)을 관통하여 제2승강와이어(544)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브레이크레버(592)를 지지되는 제2브레이크작동로드(594)와, 제2브레이크작동로드(594)에 끼어져 제2브레이크패드(592a)가 제2체결봉(522) 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59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승강와이어(444)(544)가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494)(594)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2승강발판부(430)(530)의 무게에 의하여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494)(594)가 제1,2브레이크레버(492)(592)를 회동시켜 제1,2브레이크패드(492a)(592a)가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전술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제1,2승강와이어(444)(544)가 끊어질 경우, 제1,2스프링(495)(59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2브레이크레버(492)(592)는 제1,2힌지축(491)(591)을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1,2브레이크패드(492a)(592a)가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에 밀착되면서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더 이상 승강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B)의 측부로 다수의 제1,2,3컨틸레버(100)(200)(300)를 돌출되게 시공하고,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에 대피를 위한 제1안전탈출장치(400)와 제2안전탈출장치(500)를 지그제그로 설치함으로서, 건물의 사용공간이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사람이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에 제1,2안전탈출장치(400)(500)의 제1,2기둥(420)(520)이 지그재그가 되게 설치되므로, 제1,2,3컨틸레버(100)(200)(300) 사이는 제1,2기둥(420)(520)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지지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갑자기 많은 사람이 대피함에 따라 큰 하중이 제1,2,3컨틸레버(100)(200)(300)에 인가되더라도 제1,2,3컨틸레버(100)(200)(300)가 파손되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기둥(420)(520)을 압출 성형하여 제1,2체결봉(422)(423)을 형성하고, 제1,2슬라이더(432)(433)를 제1,2체결봉(420)(520)에 끼어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조립후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아 별도의 세팅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현장에서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1,2윈치부(442)(5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1,2승강와이어(444)(544)가 제1,2승강발판부(430)(530)와 연결되고, 제1,2윈치부(442)(5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1,2복귀와이어(445)(545)가 제1,2무게추(443)(543)와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태엽부와 같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B ... 건물 S1, S2, S3 ... 제1,2,3슬라브
100, 200, 300 ... 제1,2,3컨틸레버
400 ... 제1안전탈출장치 410 ... 제1베이스
411 ... 제1테두리 420 ... 제1기둥
421 ... 제1기둥몸체 422,423 ... 제1체결봉
424, 425 ... 제1보호커버 424a, 425a ... 제1레일홈
426 ... 제1기둥홀 427 ... 제1가이드레일홈
428 ... 제1브레이크레일 430 ... 제1승강발판부
432, 433 ... 제1슬라이더 432a, 433a ... 제1체결홈
434 ... 제1슬라이더지지대 435, 436 ... 제1지지프레임
437 ... 제1발판 438 ... 제1손잡이수용홈
440 ... 제1승강구동부 441 ... 제1원심브레이크
442 ... 제1윈치부 443 ... 제1무게추
444 ... 제1승강와이어 445 ... 제1복귀와이어
450 ... 제1스토퍼 451 ...제1스터포홈
452 ... 제1스토퍼걸쇄 453 ... 제1페달
454 ... 제1스토퍼홈분리부 460 ... 제1가이드손잡이부
461 ... 제1발판브라켓 462 ... 제1회동봉
464 ... 제1손잡이봉 465 ... 제1각도유지관절
466 ... 제2각도유지관절 470 ... 제1덮개
471 ... 제1페달커버 480 ... 제1회동덮개지지부
481 ... 제1회동지지박스 482 ... 제1레버
482a ... 제1수직레버 482b ... 제1수평레버
490 ... 제1비상브레이크 491 ... 제1힌지축
492 ... 제1브레이크레버 492a ... 제1브레이크패드
493 ... 제1가이드브라켓 494... 제1슬라이더지지대
495 ... 제1스프링
500 ... 제2안전탈출장치 510 ... 제2베이스
511 ... 제2테두리 520 ... 제2기둥
521 ... 제2기둥몸체 522,523 ... 제2체결봉
524, 525 ... 제2보호커버 524a, 525a ... 제2레일홈
526 ... 제2기둥홀 527 ... 제2가이드레일홈
528 ... 제2브레이크레일 530 ... 제2승강발판부
532, 5433 ... 제2슬라이더. 532a, 533a ... 제2체결홈
534 ... 제2슬라이더블럭 535, 536 ... 제2지지프레임
537 ... 제2발판 538 ... 제2손잡이수용홈
540 ... 제2승강구동부 541 ... 제2원심브레이크
542 ... 제2윈치부 543 ... 제2무게추
544 ... 제2승강와이어 545 ... 제2복귀와이어
554 ... 제2스토퍼홈분리부 550 ... 제2스토퍼
551 ...제2스터포홈 552 ... 제2스토퍼걸쇄
553 ... 제2페달 560 ... 제2가이드손잡이부
561 ... 제2발판브라켓 562 ... 제2회동봉
564 ... 제2손잡이봉 565 ... 제3각도유지관절
556 ... 제4각도유지관절 570 ... 제2덮개
571 ... 제2페달커버 580 ... 제2회동덮개지지부
581 ... 제21회동지지박스 582 ... 제2레버
582a ... 제2수직레버 582b ... 제2수평레버
590 ... 제2비상브레이크 591 ... 제2힌지축
592 ... 제2브레이크레버 592a ... 제2브레이크패드5
593 ... 제2가이드브라켓 594... 제2슬라이더지지대
595 ... 제2스프링 600 ... 유도등
100, 200, 300 ... 제1,2,3컨틸레버
400 ... 제1안전탈출장치 410 ... 제1베이스
411 ... 제1테두리 420 ... 제1기둥
421 ... 제1기둥몸체 422,423 ... 제1체결봉
424, 425 ... 제1보호커버 424a, 425a ... 제1레일홈
426 ... 제1기둥홀 427 ... 제1가이드레일홈
428 ... 제1브레이크레일 430 ... 제1승강발판부
432, 433 ... 제1슬라이더 432a, 433a ... 제1체결홈
434 ... 제1슬라이더지지대 435, 436 ... 제1지지프레임
437 ... 제1발판 438 ... 제1손잡이수용홈
440 ... 제1승강구동부 441 ... 제1원심브레이크
442 ... 제1윈치부 443 ... 제1무게추
444 ... 제1승강와이어 445 ... 제1복귀와이어
450 ... 제1스토퍼 451 ...제1스터포홈
452 ... 제1스토퍼걸쇄 453 ... 제1페달
454 ... 제1스토퍼홈분리부 460 ... 제1가이드손잡이부
461 ... 제1발판브라켓 462 ... 제1회동봉
464 ... 제1손잡이봉 465 ... 제1각도유지관절
466 ... 제2각도유지관절 470 ... 제1덮개
471 ... 제1페달커버 480 ... 제1회동덮개지지부
481 ... 제1회동지지박스 482 ... 제1레버
482a ... 제1수직레버 482b ... 제1수평레버
490 ... 제1비상브레이크 491 ... 제1힌지축
492 ... 제1브레이크레버 492a ... 제1브레이크패드
493 ... 제1가이드브라켓 494... 제1슬라이더지지대
495 ... 제1스프링
500 ... 제2안전탈출장치 510 ... 제2베이스
511 ... 제2테두리 520 ... 제2기둥
521 ... 제2기둥몸체 522,523 ... 제2체결봉
524, 525 ... 제2보호커버 524a, 525a ... 제2레일홈
526 ... 제2기둥홀 527 ... 제2가이드레일홈
528 ... 제2브레이크레일 530 ... 제2승강발판부
532, 5433 ... 제2슬라이더. 532a, 533a ... 제2체결홈
534 ... 제2슬라이더블럭 535, 536 ... 제2지지프레임
537 ... 제2발판 538 ... 제2손잡이수용홈
540 ... 제2승강구동부 541 ... 제2원심브레이크
542 ... 제2윈치부 543 ... 제2무게추
544 ... 제2승강와이어 545 ... 제2복귀와이어
554 ... 제2스토퍼홈분리부 550 ... 제2스토퍼
551 ...제2스터포홈 552 ... 제2스토퍼걸쇄
553 ... 제2페달 560 ... 제2가이드손잡이부
561 ... 제2발판브라켓 562 ... 제2회동봉
564 ... 제2손잡이봉 565 ... 제3각도유지관절
556 ... 제4각도유지관절 570 ... 제2덮개
571 ... 제2페달커버 580 ... 제2회동덮개지지부
581 ... 제21회동지지박스 582 ... 제2레버
582a ... 제2수직레버 582b ... 제2수평레버
590 ... 제2비상브레이크 591 ... 제2힌지축
592 ... 제2브레이크레버 592a ... 제2브레이크패드5
593 ... 제2가이드브라켓 594... 제2슬라이더지지대
595 ... 제2스프링 600 ... 유도등
Claims (5)
- 건물(B)의 층을 구분하는 제1슬라브(S1)에서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1컨틸레버(100);
상기 제1슬라브(S1)의 아랫층 제2슬라브(S2)에서 상기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좌측에 좌측홀(H2)이 형성된 제2컨틸레버(200);
상기 제2슬라브(S2)의 아래층 제3슬라브(S3)에서 상기 건물(B)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우측에 우측홀(H1)이 형성된 제3컨틸레버(300);
상기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과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안전탈출장치(400); 및
상기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과 제3컨틸레버(3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안전탈출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탈출장치(400)는, 상기 제1컨틸레버(100)의 우측홀(H1)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411)를 가지는 제1베이스(410)와, 상기 제1베이스(410)와 상기 제2컨틸레버(2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1기둥(420)과, 상기 제1테두리(4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제1기둥(420)을 타고 상기 제2컨틸레버(2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1승강발판부(430)와, 상기 제1베이스(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발판부(43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구동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전탈출장치(500)는, 상기 제2컨틸레버(200)의 좌측홀(H2)에 설치되는 제2테두리(511)를 가지는 제2베이스(510)와, 상기 제2베이스(510)와 상기 제3컨틸레버(300)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520)과, 상기 제2테두리(511) 내측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기둥(520)을 타고 상기 제3컨틸레버(300) 바닥까지 승강되는 제2승강발판부(530)와, 상기 제2베이스(5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승강발판부(53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구동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420)(520)은, 제1,2기둥몸체(421)(521)의 전방 모서리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한쌍의 제1,2체결봉(422,423)(522,523)과, 상기 제1,2기둥몸체(421)(521)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봉(422,423)(522,523)을 이격되게 감싸며 각각의 전방측으로 제1,2레일홈(424a,425a)(524a,525a)이 형성된 제1보호커버(424,4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상기 제1레일홈(424a,425a)(524a,525a)을 통하여 상기 제1,2보호커버(424,425)(524,525)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2체결봉(422,423)(522,5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슬라이더(432,433)(522,5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420)(520)은, 상기 제1,2보호커버(424)(524)의 측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가 추락하는 상황이 될 때 상기 제1,2기둥(420)(520)에 자동으로 위치고정되게 작동하는 제1,2비상브레이크(490)(5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비상브레이크(490)(590)는 작동시 상기 제1,2브레이크레일(428)(528)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2브레이크패드(492a)(592a)가 설치된 제1,2브레이크레버(492)(5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는, 대피자가 탑승하는 제1,2발판(437)(537) 및 상기 제1,2발판(437)(537)에 형성되는 제1,2손잡이수용홈(438)(5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가이드손잡이부(460)(560)는, 상기 제1,2승강발판부(430)(530)에 포개어질 때 상기 제1,2손잡이수용홈(438)(538)에 수용됨으로써 제1,2발판(437)(5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596A KR20220046319A (ko) | 2020-10-07 | 2020-10-07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596A KR20220046319A (ko) | 2020-10-07 | 2020-10-07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319A true KR20220046319A (ko) | 2022-04-14 |
Family
ID=8121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9596A Pending KR20220046319A (ko) | 2020-10-07 | 2020-10-07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631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7393A (ko) | 2022-04-14 | 2023-10-23 | 임종완 | 바닥슬래브매입배관을 연결하여 인출하는 배관인출커플링장치 |
KR20230172372A (ko) | 2022-08-22 | 2023-12-22 | 임종완 | 천장슬래브배관을 인출하는 걸림환고정형 슬래브인출커플링 |
-
2020
- 2020-10-07 KR KR1020200129596A patent/KR20220046319A/ko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7393A (ko) | 2022-04-14 | 2023-10-23 | 임종완 | 바닥슬래브매입배관을 연결하여 인출하는 배관인출커플링장치 |
KR20230172372A (ko) | 2022-08-22 | 2023-12-22 | 임종완 | 천장슬래브배관을 인출하는 걸림환고정형 슬래브인출커플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4809B1 (ko) |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
KR102119351B1 (ko) |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 |
KR102433190B1 (ko) |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 |
KR20220046319A (ko) |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 |
KR102135003B1 (ko) | 안전 비상탈출장치 | |
KR102263950B1 (ko) |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 |
KR102169895B1 (ko) | 안전 피난장치 | |
KR102169896B1 (ko) | 안전 대피장치 | |
JP3196311U (ja) | 階段昇降機 | |
KR102169897B1 (ko) | 재난 대피장치 | |
KR102448734B1 (ko) |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 |
CN211169414U (zh) |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 |
KR102264813B1 (ko) |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 |
KR102169898B1 (ko) | 안전 비상탈출장치 | |
KR102474826B1 (ko) |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 |
JP2001286571A (ja) | 階段斜行スライダー | |
KR102237673B1 (ko) | 안전 대피장치 | |
KR20070087319A (ko) | 비상 승강장치 | |
RU273794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 |
JP2004197456A (ja) | 非常用梯子装置 | |
JP2022088171A (ja) | 飛散防止装置および飛散防止方法 | |
WO2021038629A1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 |
KR20210088948A (ko) | 안전 층간비상탈출장치 | |
KR20210088947A (ko) | 무동력 층간비상탈출장치 | |
RU2348441C1 (ru) |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