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47777A - 흡수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777A
KR20070047777A KR1020077003250A KR20077003250A KR20070047777A KR 20070047777 A KR20070047777 A KR 20070047777A KR 1020077003250 A KR1020077003250 A KR 1020077003250A KR 20077003250 A KR20077003250 A KR 20077003250A KR 20070047777 A KR20070047777 A KR 2007004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nonwoven
laminate
article according
nonwoven lami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폰투스 윈크비스트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to KR102007700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7777A/ko
Publication of KR2007004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77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06Basi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61F2013/15552Air perme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코어(1)와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2)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수용 수단(11)은 물품에 배치된 고정부재(12)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10)을 제공하기 위해 코어(1)와 연관하여 백시트(2)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수단(11) 및 고정부재(12)는 물품을 사용자에 적용할 때 함께 결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수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13)과 하나의 외부 층(14)을 포함하는 가요성 부직 라미네이트(11)이고, 부직 라미네이트(11)와 흡수 코어(1)는 서로 중첩하여 이런 식으로 형성된 중첩 지대(15)가 적어도 45㎠에 달하는 확장을 갖도록 한다.
Figure 112007012329064-PCT00001
흡수 코어,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 수용 수단, 고정부재, 부직 라미네이트.

Description

흡수 물품{AN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서문에 따르는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인용 실금 제품은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와 액체 침투성 톱시트 그리고 이들 두 층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로 구성된다. 액체 침투성 층은 신체에 가장 가깝게 적용되도록 의도되는 한편, 액체 불침투성 층은 제품의 외부를 구성한다. 흡수 코어는 비교적 다량의 액체를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며, 코어는 또한 액체를 분산 및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흡수 제품은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며 이것들은 사용시 사용자의 각각 앞과 뒤에 위치된다.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전방 단부 영역 및 후방 단부 영역에서 끝난다. 제품을 안전하게 착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품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어떤 종류의 고정 시스템이 제품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정 시스템은 예를 들면, Velcro 패스너와 같은 후크 및 루프 고정 시스템의 형태이거나 또는 대안으로는 접착 테이프 탭을 갖는 시스템의 형태로 상호작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 영역에 의해 만들어진다. 후크와 루프 고정 시스템을 사용할 때, 후크를 나타내는 두 지대는 후방 단부 영역에서 두개의 탭상에 배치되고, 고정할 때 후크와 상호작용하는 루프를 나타 내는 두개의 대응하는 별도의 수용 지대가 전방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WO 98/38956은 라미네이트 형태의 숨쉬는 기능이 있는 백시트 및 흡수 코어를 나타내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흡수 물품을 개시한다. 종래 형태의 연속 수용지대는 백시트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지대는 흡수 물품의 전방부의 전방 영역에서 코어의 일부와 중첩한다. 더욱이, 그것은 두개의 다른 층들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형태인 백시트 자체가 후크 및 루프 고정 시스템의 수용 지대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금 성인을 위한 앞서 공지된 제품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다른 크기의 실금 제품들이 있을지라도, 각각의 크기는 보통 더 적은 그룹의 사용자들에 대해서만 최적인데, 다른 개인들은 다른 신체 크기들을 갖기 때문이다. 실금 제품을 개인의 신체 구성에 적합하게 하기에는 값이 너무나 비싸질 것이다. 최적 이하의 맞음새는 제품을 착용하기에 불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맞음새가 불충분하면 제품의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부의 흡수 코어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의 영역에 해당하는 내부의 액체 침투성 톱시트의 일부는 신체에 인접하고 타이트하게 붙는다면 편리하다. 이것은 새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을 갖는다. 실금 보호대의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 기능은 불충분한 맞음새 때문에 항상 달성될 수가 없다.
고정 기능 및 따라서 허리 크기를 고려할 때, 제품은 제품의 전방 부분의 전방 단부 영역에 후크 등과 같은 고정 부재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비례적으로 큰 수용 지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다른 크기의 사용자들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그 러나, 반면에, 보통은 루프를 구비하는 재료 층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수용 지대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재료 층은 제품이 수용 지대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더 뻣뻣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연성 및 가요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재료 층은 보통 제품의 나머지 부분보다 훨씬 더 낮은 숨쉬는 기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큰 수용 지대는 편안한 감을 떨어뜨리는 결과가 될 것이고 더 낮은 숨쉬는 기능 때문에 피부 자극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더욱이, 더 큰 수용 지대는 증가된 재료 비용을 가져오며, 그것은 차례로, 더 고가의 제품을 가져온다.
발명의 목적 및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이러한 앞서 공지된 물품으로 상기 논의된 문제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수용 수단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흡수 물품은 문제의 형태의 앞서 공지된 제품과 비교하여 흡수 물품의 맞음새와 가요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수용 수단을 구비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르는 흡수 물품에 의해 달성된다. 부직 라미네이트와 흡수 코어가 서로 중첩하여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중첩 지대가 적어도 45㎠에 달하는 확장을 갖도록 한, 수용 수단으로서 가요성 부직 라미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 수단은 사용할 때 직접, 또는 내부의 액체 침투성 층을 통하여 신체에 인접하고 타이트하게 붙도록 흡수 코어를 가져오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므로 기능이 개선되고, 동시에 양호한 연성 및 맞음새가 얻어지게 된다.
부직 라미네이트를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은 고도한 연성 및 가요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정 처리상의 이점을 나타내고, 더욱이, 부직 라미네이트가 비례적으로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함께, 이들 특성은 성능 또는 경제성을 희생하지 않고 비례적으로 큰 수용 지대를 만드는 가능성을 가져온다.
비례적으로 큰 중첩 지대는 성인용 실금 제품의 원하는 편안함을 얻기 위해 중요하고, 상기 제품은 그 자체가 매우 부드럽고 가요성이다. 일반적으로 표시된 크기의 최소 중첩 지대는 원하는 편안함이 달성될 수 있기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중첩 지대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수용 수단의 비례적으로 큰 면적은 또한 예를 들어서 후크를 구비한 탭을 수용 수단에 고정할 때 탭의 위치설정을 다양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허리 측정치 및 따라서 제품의 크기를 어느 정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수용 수단의 연속적인 면적은 흡수 물품의 더 합리적인 생산을 가져오는데, 물품의 외측에 수용 수단의 부착이 보통은 두개의 별개의 수용 수단의 부착보다 더 적은 공정 단계들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예가 되는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흡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수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의 수용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부직 라미네이트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도 1 및 도 2는 액체 불침투성 백 시트(2)와 액체 침투성 톱시트(3)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1)를 포함하는 성인을 위한 실금 물품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흡수 물품을 나타낸다. 백시트(2)는 물품의 외부를 구성하고 톱시트(3)는 사용시 신체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물품의 내부를 구성한다. 물품은 횡축(4) 및 길이방향 기하학적 축(5)을 갖는다. 횡축(4)은 물품을 후방부(6)와 전방부(7)로 나눈다. 후방부(6)는 후방 단부 영역(8)을 나타내고 전방부(7)는 전방 단부 영역(9)을 나타낸다. 백시트(2)는 하나, 두개 또는 여러 개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숨쉬는 기능이 있는 층이다. 예를 들면, 백시트(2)는 액체 불침투성이고 숨쉬는 기능이 있으며 코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내부 층과, 그것의 상부에 배치되는 외부의 숨쉬는 기능이 있는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톱시트(3)는 액체 침투성 재료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1)는 셀룰로스 펄프, 직물, 부직물, 섬유성 재료, 발포 재료, 초흡수 재료, 열가소성 섬유와 같은 합성재료 등과 같은 여러가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수단(11)은 물품에 배치된 고정부재(12)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10)을 제공하기 위해 코어(1)와 연관하여 백시트(2)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수단(11) 및 고정 부재(12)는 물품을 사용자에 적용할 때 함께 결합하기 위해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수단은 적어도 제1의 내부 층(13)과 적어도 제2의 외부 층(14)을 포함하는 부직 라미네이트(11)이고, 상기 부직 라미네이트(11)는 물품에 배치된 고정 부재(12)를 수용하기 위한 백시트(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12)는 후방 단부 영역(8)에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물품을 적용할 때 부직 라미네이트(11)에 결합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직 라미네이트(11)는 후크와 루프 고정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후크의 형태로 고정 부재(12)를 수용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다.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적합한 표면을 달성하는 한 방법은 카딩에 의해 부직 라미네이트를 만드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 라미네이트(11)는 스펀본드 부직물의 상기 제1의 내부 층(13)과 고정 부재(12)를 위한 수용 표면(10)을 제공하기 위한 카디드 부직물의 상기 제2의 외부 층(14)을 포함하는 가요성 라미네이트이다.
부직 라미네이트(11)와 흡수 코어(1)는 서로 중첩하여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중첩 지대(15)(단지 예시 목적인 도 1 및 도 2에 빗금친 부분)는 적어도 45㎠에 달하는 확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중첩 지대(15)의 확장은 적어도 6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이다. 중첩 지대의 면적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확장된 상태로 놓여질 때 측정된다. 전방부(7)의 전방 단부 영역(9)에서 코어(1)는 길이방향으로의 주 확장이 기하학적 횡축(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변 가장자리(16)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코어(1)의 이 주변 가장자리(16)는 기하학적 횡축(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확장되며 전방부(7)를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가로지른다. 중첩 지대(15)는 상기 주변 가장자리(16)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첩 지대(15)는 톱시트(3) 및/또는 코어(1)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타이트하게 붙도록 할 목적으로 실질적으로 전체 주변 가장자리(16) 또는 그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후방부(6)의 후방 단부 영역(8)은 두개의 탭(17)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탭(7)은 상기 고정 부재(12), 바람직하게는 후크를 구비하여 그것이 부직 라미네이트(11)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외부 층(14), 예를 들면 카디드 부직물의 부직 라미네이트(11)의 표면(10)은 루프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루프에 후크가 고정될 수 있다.
알맞게는, 물품의 숨쉬는 기능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 부직 라미네이트(11)는 숨쉬는 기능을 갖는다. 부직 라미네이트(11)의 숨쉬는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백시트(2)의 숨쉬는 기능보다 더 크거나 같다. MVTR-값(매스 증기 투과율)으로 표시되는 부직 라미네이트(11)의 숨쉬는 기능은 2000 g/㎡/24h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 4000 g/㎡/24h, 가장 바람직하게는 ≥ 6000 g/㎡/24h일 수 있다. MVTR-값은 시험방법 ASTM E-96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특히 잘 적합한 부직 라미네이트의 한가지 예는 스펀 본드/카디드 부직 라미네이트인데, 여기서 스펀 본드 층은 라미네이트의 제1의 내부 층(13)을 구성하고 카디드 층은 라미네이트의 제2의 외부 층(14)을 구성한다. 이러한 부직 라미네이트에 대해, 다음의 층들, 즉, 간격 2.2 내지 2.5 dtex 내의 섬유로 만들어진 30g/㎡인 기본 중량을 갖는 100% 폴리프로필렌의 백색 스펀 본드 층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카디드 층은 2.2 dtex 섬유로 만들어진 30g/㎡인 기본 중량을 갖는 100% 폴리프로필렌의 백색 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장력이 보통은 특별히 크지 않기 때문에, 30g/㎡보다 낮은 내부 및/또는 외부 층의 기본 중량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8g/㎡의 낮은 기본 중량이 보통 허용된다. 기본 중량은 강도 및 부드러움 둘다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15g/㎡ 내지 80g/㎡,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g/㎡의 간격 이내이다. 기본 중량 측정은 21℃의 온도 및 55%의 습도에서 건조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한 카디드 층(백색의 100% 폴리프로필렌, 2.2 dtex, 18 내지 30g/㎡)은 또한 의복을 향해 바깥쪽으로 면하는 표면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표면 층 위에 제품이 사용되었을 때 이용되도록 의도된 고정 탭의 후크 같은 부재(후크 및 루프 고정 시스템의)를 구비하고 있는 재료 섹션이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부직 라미네이트의 층들은 초음파 등을 사용함에 의해 라미네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나, 접착제로 붙이거나 열용접 등과 같은 다른 결합 방법 또는 이 방법들의 조합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같은 결합 방법들이 라미네이트를 백시트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용을 이유로 초음파 결합이 보통 바람직하다. 층들의 전체 결합 면적은 라미네이트의 전체 면적의 3-20 %, 바람직하게는 5-10% 크기일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다른 부직 재료가 본 발명에 따르는 라미네이트를 만들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부직 라미네이트는 알맞게는, 40 gf (gram force)와 같거나 보다 낮은 강성(피크 휨 강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강성은 25 gf보다 더 낮다. 강성은 US 5,009,653에 개시된 변형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시험방법은 ASTM D 4032.82 "CIRCULAR BEND PROCEDURE"의 변형이다.
유리하게는, 부직 라미네이트는 액체 침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침투성 라미네이트는 재료의 더 큰 허용오차가 허용될 수 있고 그 중 어떤 것은 생산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절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낮은 수준의 품질관리를 요한다.
액체 침투성 톱시트(3)는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카디드, 수류엉킴(hydroentangled), 웨트레이드 부직 등과 같은 부직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합한 부직 재료는 셀룰로스 또는 목면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 등과 같은 인조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톱시트 재료는 예를 들면, EP-A-1 035 8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합 패턴으로 서로에 결합될 수 있는 토우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톱시트 재료의 추가의 예들은 다공성 폼,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등이다. 톱시트 재료로서 배치되는 재료는 부드러워야 하고 어떤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고 요 및 생리혈과 같은 체액의 용이한 침투를 허용해야한다. 더욱이, 톱시트는 흡수 물품의 다른 부분들에서 다를 수 있다.
사용할 때, 의복을 향해 바깥쪽으로 면하는 물품의 쪽에서 코어 영역을 덮는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2)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액체 불침투성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액체 불침투성 재료로 피복된 부직 재료, 액체가 재료를 침투하는 것을 반작용하거나 방지하는 소수성 부직 재료,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 재료의 라미네이트로 만들어진다. 백시트는 수증기가 흡수 코어로부터 방출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코어 영역에서 숨쉬는 기능이 있을 수 있는 한편, 액체가 층을 통과하는 것은 여전히 방지된다. 숨쉬는 기능이 있는 백시트 재료의 예는 다공성 필름, 스펀본드 및 멜트 블로운 층의 부직 라미네이트, 다공성 폴리머 필름들의 라미네이트 및 부직 재료이다. 바람직하게는, 백시트는 비탄성이다.
고형 입자(예를 들면, 탄산 칼슘과 같은 무기질)로 충전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필름을 물품의 백시트의 예로 들 수 있다. 어떤 조건에서는, 이들 필름은 다공성 구조물을 형성하여 액체 장벽이 제공되는 동안에 수증기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다른 유형의 위생 용품의 원하는 특징이다. 흡수 물품의 편안한 감의 상당한 부분은 실제로 열 발생 및 열 손실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커버링을 통한 열 손실은 직접적인 건조한 열 손실로부터 또는 습기의 증발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후자의 현상이 관련될 때, 의복 또는 흡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의해 습기가 증기로 변환되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재료의 숨쉬는 기능과 관련된다. 숨쉬는 기능은 필름 또는 흡수 물품을 통해 습기/수증기를 확산하는 능력이다. 이 특성에 더하여, 흡수 물품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가 액체 불침투성임을 요하는 많은 이용분야가 있다. 이러한 이용 분야는 기저귀와 실금 보호대의 백시트, 팬티 라이너, 의료용 보호 물품, 멸균 드레싱, 플라스터, 붕대, 정맥내 및 오스토미 처치용 보호대, 주택 건설(house foundations)용 보호 직물과 같은 숨쉬는 기능이 있는 구조 멤브레인 등을 포함한다.
수증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다공성이나 여전히 액체에 불침투성인 것을 의도하는 필름은 미국 특허 제 4,626,252호 및 제 5,073,316호에 개시되어 있다. 거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공성 필름은 폴리올레핀 플라스틱, 무기 충전제 및 유연제를 혼합하고, 혼합물의 필름을 형성하며, 필름의 단축 및 이축 연신을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 형태의 필름은 또한 미국 특허 제 5,998,505호 및 PCT 출원 공개번호 WO98/055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기재된 발명의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단 본 발명의 사상이 개시되면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발명의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을 강조하는 바이다.

Claims (20)

  1. 흡수 코어(1)와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2)를 포함하며, 물품에 배치된 고정 부재(12)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10)을 제공하기 위해 코어(1)와 관련하여 백시트(2)의 반대쪽에 수용 수단(11)이 배치되고, 수용 수단(11)과 고정 부재(12)는 물품을 사용자에게 적용할 때 함께 결합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는 흡수 물품에 있어서,
    수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층(13) 및 하나의 외부층(14)을 포함하는 가요성 부직 라미네이트(11)이며, 부직 라미네이트(11)와 흡수 코어(1)는 서로 중첩하여 이런 식으로 형성된 중첩 지대(15)가 적어도 45㎠에 달하는 확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중첩 지대(15)의 확장은 적어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중첩 지대(15)의 확장은 적어도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중첩 지대(15)의 확장은 적어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라미네이트 층(13)은 스펀본드 부직물로 만들어지고 외부 라미네이트 층(14)은 카디드 부직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후크와 루프 고정 시스템의 후크들의 형태로 고정부재(1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은 기하학적 횡축(4)을 가지며, 이것은 물품을 전방부(7)와 후방부(6)로 나누고, 코어(1)는 주변 가장자리(16)를 나타내며, 이것의 길이 방향의 주 확장은 기하학적 횡축(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첩 지대(15)는 상기 주변 가장자리(16)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중첩 지대(15)는 실질적으로 전체 주변 가장자리(16) 또는 그것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가장자리(16)는 전방부(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숨쉬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 2000 g/㎡/24h인 MVTR-값으로 표시되는 숨쉬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 4000 g/㎡/24h인 MVTR-값으로 표시되는 숨쉬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3. 제 10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 6000 g/㎡/24h인 MVTR-값으로 표시되는 숨쉬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40 gf 보다 낮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25 gf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라미네이트 층(13)은 15 내지 80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g/㎡의 간격 이내의 기본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라미네이트 층(14)은 15 내지 80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g/㎡의 간격 이내의 기본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침투성 톱시트(3)를 포함하며, 코어(3)는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2)와 액체 침투성 톱시트(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은 성인용 실금 보호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의 숨쉬는 기능은 백시트(2)의 숨쉬는 기능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2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 라미네이트(11)는 액체 침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KR1020077003250A 2007-02-09 2004-08-06 흡수 물품 Withdrawn KR20070047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3250A KR20070047777A (ko) 2007-02-09 2004-08-06 흡수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3250A KR20070047777A (ko) 2007-02-09 2004-08-06 흡수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777A true KR20070047777A (ko) 2007-05-07

Family

ID=3827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50A Withdrawn KR20070047777A (ko) 2007-02-09 2004-08-06 흡수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77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879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5984156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2002538941A (ja) 吸収物品
JP6202614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095402B2 (ja) 吸収用品
WO2017169342A1 (ja) 吸収性物品
KR100886649B1 (ko) 흡수성 물품
JP672641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2070914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8200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KR20070047777A (ko) 흡수 물품
US8123734B2 (en) Absorbent article
RU2351301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JP2019150404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152896B2 (ja) 使い捨ておむつ
MX2007010806A (es) Articulo absorbente y lengüetas que pueden volverse a sujetar del mismo.
JP6319562B2 (ja) 吸収性物品
JP2016067500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23130575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67502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6067503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9150394A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