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알람 시간을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입력수단과; 경과시간을 산정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알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음향을 발산하는 비프울림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알람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단을 판독하여, 상기 계수수단으로부터의 경과시간과 상기 알람 정보에 포함된 알람시간이 일치되는 때 상기 비프울림수단으로 하여금 음향을 발산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의 일측에는,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경과시간 및/또는 남은 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횟수에 따라 상기 알람 시간이 증감하는 버튼 또는 리모컨(remote control)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알람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알람 시간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복수개의 알람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리법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법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알람 시간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법 정보는 조리 순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상기 알람 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 순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과 동시에 상기 계수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엘시디(LC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저장매체인 메모리 또는 US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프울림수단은 스피커(speaker)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효용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본체(50)의 전면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30)에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USB 포트(140)에는 이동식 저장 장치인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홀(131a)이 형성된 패널 프레임(131)과, 상기 패널 프레임(131)의 전방에 설치된 글래스(132)와, 상기 글래스(132)를 상기 패널 프레임(131)에 고정시키는 글래스 홀더(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래스 홀더(133)는 좌우 중 일측 상단에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상부에 나사 등으로 체결된 상부 힌지 브라켓(133a)이 연결되고, 좌우 중 일측 하단에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하부에 나사 등으로 체결된 하부 힌지 브라켓(133b)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상부 힌지 브라켓(133a)과 하부 힌지 브라켓(133b)을 중심으로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전방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30)이 상기 본체(50)의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글래스(132)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조작이나 전면패널(130)의 조작을 위한 버튼(132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132a)의 일측(하부)에는 리모컨(remote control, 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신호가 수신되는 리모컨수신부(132b)가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132)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138)의 전방 위치 이외의 배면에 특정 색상이나 문양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132)에는 디스플레이창(132')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3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138)에 표현되는 영상을 상기 전면패널(130)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138)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에는 디스플레이 커버(134)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에 설치되어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138)와, 상기 디스플레이(138)를 제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제어부(142) 등이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는 상기 디스플레이(138)의 정보가 상기 개구홀(131a)과 글래스(13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프레임(131)의 배면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포트(140)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141)가 관통되는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5)에는 상기 USB 커넥터(141)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커넥터 삽입홈부(136)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8)는 엘시디(LC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42)는 상기 USB 포트(14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 포트(140)는 상기 메모리(143)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42)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에 설치된 스피커(1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조작 스위치이나 디스플레이의 조작 스위치(147a)가 설치된 컨트롤 제어부(14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48은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지털 카메라나 엠피 쓰리 등의 주변 기기이고,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49는 상기 USB 커넥터(141)가 구비된 USB 케이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면패널(13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전면패널(130)의 후면에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가 외부로 노출된다.
사진이나 동영상 등이 저장된 주변 기기(148)에 USB 케이블(149)을 연결하고, 상기 USB 케이블(149)의 USB 커넥터(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의 커넥 터 삽입홈부(136)와 관통홀(135)로 차례로 삽입시키면, 상기 USB 커넥터(141)는 상기 USB 포트(140)에 연결된다.
이후, 상기 주변 기기(148)를 데이터 전송 모드로 조작하면, 상기 주변 기기(148)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는 상기 USB 케이블(149), USB 커넥터(141), USB 포트(140)를 통해 상기 메모리(143)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43)로 저장된 후, 상기 USB 케이블(149)을 잡아당기면, 상기 USB 케이블(149)은 상기 USB 포트(140)와 분리된다.
그 다음, 상기 전면패널(130)을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50) 전면에 밀착되게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34)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 전면과 상기 패널 프레임(131) 배면 사이에 위치되므로, 도 3과 같이 되어 공기조화기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글래스(132)의 버튼(132a)이나 리모컨(remote control)과 같은 별도의 원격 조작 기구(미도시)를 조작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42)는 상기 디스플레이(138)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38)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38)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는 상기 글래스(132)를 통해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전방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상기와 같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냉방 운전/제습 운전 등의 각종 공기조화기 운전 정보를 문자 혹 은 아바타 등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스피커(146)를 통해 생일 축하 메시지나 음악 또는 비프(beep)등의 각종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50)는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1)(5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51)(52)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하부 좌측면에 형성되는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하부 우측면에 형성되는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하부 전면에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상부의 전면 양측에 공기 토출구(54)(55)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구(54)(55)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좌측에 형성된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우측에 형성된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이 전면 중앙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의 경사각이 20° 이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전면이 개방된 후방 캐비닛(60)과;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61)와, 상기 배면부(61)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62)와, 상기 배면부(61)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6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이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에서 상면까지 라운드지게 개구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올려진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캐비닛(60)이 개방된 상면을 막는 상면 패널(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 캐비닛(70)은 하부의 양 측면에 상기 좌,우측면 공기 흡입구(51)(52)가 형성되고, 상부의 전면 양측에 상기 전면 좌,우측 공기 토출구(54)(55)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70)은 상기 전방 캐비닛(7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패널(72)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패널(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전면 우측 경사부(58)가 형성된 전면부(73)와,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74)와, 상기 전면 우측 경사부(58)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75)와, 상기 전면부(73)과 좌측면부(74)와 우측면부(75)의 상단에 형성된 상면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면부(76)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좌측 도어(77)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기 위한 전 면 우측 도어(78)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도록 하는 도어 구동기구(8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구동기구(8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모터(81)와, 상기 모터(81)의 회전축에 축설된 피니언(82)과,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와 연결된 좌측 구동 부재(83)와,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와 연결된 우측 구동 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구동 부재(83)는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좌측 아암(83a)(83b)과, 상기 복수개의 좌측 아암(83a)(83b)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좌측 랙(83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 구동 부재(84)는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우측 아암(84a)(84b)과, 상기 복수개의 우측 아암(84a)(84b)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우측 랙(84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방을 덮고 상기 도 어 구동 기구(80)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8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상면부(76)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개폐하기 위한 상면 도어(8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의 상면부(76) 하측에는 상기 상면 도어(86)를 회동 시키기 위한 상면 도어용 모터(86a)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좌측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 베인(87)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토출 베인(87)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토출 베인용 모터(87a)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우측에는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 베인(88)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우측 토출 베인(88)을 회전시키기 위한 우측 토출 베인용 모터(88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 패널(90)(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 및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 하부 패널(90)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 및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우측 하부 패널(100)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면부(9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92)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의 좌측면부(91)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흡입 베인(93)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을 회동시키기 위한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의 전면부(92)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좌측 프리 필터(94)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우측면부(10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102)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의 우측면부(101)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흡입 베인(103)이 설치되고,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을 회동시키기 위한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의 전면부(102)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와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우측 프리 필터(10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5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50) 및 열교환기(160)와 각종 공기 정화 장치(17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1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배면부 전방에 설치된 송풍용 모터(151)와,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회전축에 축설된 터보팬(152)과, 상기 터보팬(152)을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홀(153)이 형성되며 상면에 토출홀(154)이 형성된 팬 하우징(155)과, 상기 개구홀(153)에 위치되게 상기 팬 하우징(155)의 전면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와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상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1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 공기 흡입구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터(171)(172)(173)와, 상기 오리피스(156)의 전방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174)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171)(172)(173)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하측 프리 필터(171)와,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는 헤파 필터(172)와, 상기 헤파 필터(172)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173)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174)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이온화시키는 전리부(175)와, 상기 전리부(175)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이 포집되는 포집부(176)와, 상기 전리부 (175) 및 포집부(176)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운전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가 개방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구동 부재(83)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방하고, 상기 우측 구동 부재(84)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상면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면 공기 토출구(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가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와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좌측 프리 필터(9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고,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우측 프리 필터(104)를 통과하면서 부피가 큰 먼지 등이 걸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상기 헤파 필터(17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17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174)의 전리부(175)와 포집부(176)와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60)을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 혹은 가열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송풍되고, 대부분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 청정 운전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는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좌측 구동 부재(83)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밀폐하고, 상기 우측 구동 부재(84)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밀폐한다.
반면에, 상기 상면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면 공기 토출구(56)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리부(175) 및 포집부(176)에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177)에서 발생된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는 구동된다.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상기 헤파 필터(17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17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174)의 전리부(175)와 포집부(176)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이후 상기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이후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집중 송풍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좌측면 공 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구동 부재(83)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밀폐하고, 상기 우측 구동 부재(84)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밀폐한다.
반면에, 상기 상면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고, 상면 공기 토출구(5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는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도 10에는 알람기능을 구현하는 기본 구성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소정의 아바타 캐릭터와, 소정의 기본정보(실내의 온도, 필터의 상태, 공기중의 오염 정도 등)와, 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00)과;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알람 시간을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21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아바타 캐릭터 데이터와, 알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220)과; 소정의 경과시간을 산정하는 계수수단(230)과; 음향을 발산하는 비프울림수단(240)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알림 정보의 알람 시간에 따라 계수수단(230)을 동작시키고, 알람 시간과 경과시간이 일치되는 때 비프울림수단(240)으로 하여금 음향을 발산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제어수단(250); 등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수단(200)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138)가 일예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수단(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다양한 형태 및/또는 동작을 지닌 아바타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칼라 TFT 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 캐릭터가 표시되는 배경이 될 수도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 캐릭터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공기조화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200)은 경과시간 및/또는 알람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입력수단(210)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동작 제어를 위한 수단뿐만 아니라, 알람 시간의 설정 및/또는 다양한 메뉴(하기에서 개시되는 복수의 알람 시간의 입력 또는 선택, 조리법의 선택 등)의 선택을 위한 구성을 지닌다.
상기 입력수단(210)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버튼(132a)이나 리모컨(remote control)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210)이 상기에서와 같은 버튼(132a)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단순한 알람 시간의 설정을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횟수에 따라 알람 시간이 증가 되거나 감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입력수단(210)이 되는 다수의 버튼(132a)은 증가 버튼과 감소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증가 버튼을 한번 누르면 30초가 증가하고, 감소버튼을 한번 누르면 30초가 감소되도록 작용한다.
이때, 복수의 알람 시간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알람 시간의 설정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알람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조리법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기저장된 조리법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조리법이 선택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한다.
상기 저장수단(220)은 표시수단(200)의 배경 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메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다양한 형태 및/또는 동작의 아바타 캐릭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시간을 포함하는 알람 정보와, 조리 순서와 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알람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법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수단(220)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메모리(143)나 USB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알람 정보는 단일한 알람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알람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법 정보는 소정의 요리(예를 들면, 아이스크림 만들기)의 조리 순서(예를 들면, 재료의 혼합 순서, 교반 순서, 냉각 순서 등)와, 이에 따른 각각의 알람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계수수단(230)은 시각을 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수단(250)으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 그 요청이 수신된 때로부터 시각을 적산하여 제어수단(250)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공은 1초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예를 들면, 30초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비프울림수단(240)은 제어수단(250)으로부터의 울림 명령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비프(beep)를 울리는 수단이다. 이 비프울림수단(240)은 비프 뿐만 아 니라, 사람의 음성과 같은 음향도 발산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146)가 이러한 비프울림수단(240)의 일예가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수단(250)은 소정의 알람 정보에 따른 알람 기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제어수단(2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마이콤(MICOM)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술된 저장수단(220)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이러한 중앙처리장치 등의 프로세서만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어수단(250)과 저장수단(220)을 별개의 소자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 기능 서비스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는 하나의 알람 시간에 대한 알람 기능의 과정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알람 시간은 예를 들면, 라면을 끓일 경우, 면을 넣은 후 끓는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자세하게는, 단계(S300)에서, 제어수단(250)은 입력수단(210)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알람 시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있으면 단계(S31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여기서, 제어수단(250)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입력수단(210)으로부터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1실시예와 같은 알람 기능 서비스를 개시한다.
단계(S310)에서, 제어수단(250)은 알람 시간이 획득된 때 계수수단(230)으로 하여금 시각의 산정을 시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분의 알람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처음 30초 버튼을 누른 때에,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 하여금 시각의 산정을 시작하도록 한다.
단계(S320)에서, 제어수단(250)은 입력된 알람 시간을 저장수단(220)에 저장한다.
단계(S330)에서,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부터 획득된 경과시간과,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알람 시간을 비교한다. 만약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S340)로 진행하고, 만약 서로 일치하면 단계(S350)로 진행한다.
단계(S340)에서, 제어수단(250)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입력된 알람 시간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증가버튼이 6번 누름으로써 3분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그 누름는 시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먼저, 사용자가 30초를 입력한 후, 20초 정도가 경과된 때, 다시 30초 또는 1분의 증가버튼의 누름에 의해 추가적인 알람 시간을 입력하거나, 먼저 1분을 입력한 후, 20초가 지난 후 30초의 감소 버튼이 입력된 때가 야기될 수 때문이다.
만약, 추가적인 알람 시간의 입력이 있으면, 단계(S320)로 진행하여, 제어수단(250)은 추가로 입력된 알람 시간을 기저장된 알람 시간에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저장하고, 이후의 단계(S330)는 갱신된 알람 시간과 경과시간을 비교하게 된다. 만약 추가적인 알람 시간의 입력이 없으면, 단계(S330)로 진행한다.
단계(S350)에서, 제어수단(250)은 비프울림수단(240)으로 하여금 음향(소리, 음성 등)을 발산하도록 하여, 알람 시간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고,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부터 획득된 경과 시간 및/또는 남은 시간(=알람 시간-경과시간)을 표시수단(200)에 표시한다. 도 12는 경과 시간이 상기 전면패널(130)의 디스플레이(138)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 기능 서비스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조리법의 실시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복수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를 조리할 때, 요리책을 보면서 조리를 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의 생크림의 냉각과 소정의 시간 동안의 교반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이 시간을 사용자가 기억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요구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400)에서, 제어수단(250)은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수단(200)에 표시하고, 입력수단(210)을 통하여 복수의 알람 기능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단계(S410)에서, 제어수단(250)은 복수의 알람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수단(210)을 통하여 복수의 알람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수단(220)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시간은 25분, 10분, 20분, 7분 등(제1알람 시간, 제2알람 시간, 제3알람 시간, 제4알람시간 등)으로 입력된다.
단계(S420)에서,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 하여금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고, 계수수단(230)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경과 시간을 제어수단(250)으로 전송한다.
단계(S430)에서, 제어수단(250)은 경과시간과 알람 시간(제1알람 시간)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S44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단계(S440)에서, 제어수단(250)은 비프울림수단(240)으로 하여금 음향을 발산하도록 한다.
단계(S450)에서, 제어수단(250)은 모든 알람 시간에 대한 알람 처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단계(S430)로 진행하여, 처리된 알람 시간의 다음 알람 시간(제2알람 시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만약 모두 처리되었으면, 종료된다.
상술된 복수의 알람 시간은 하나의 알람 시간에 대한 알람 기능이 수행된 후, 그 다음 알람 시간에 대한 알람 기능이 수행된다. 즉, 복수의 알람 시간이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이때,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부터 획득된 경과 시간 및/또는 남은 시간(=알람 시간-경과시간)을 표시수단(2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알람 시간이 복수이므로, 현재 처리 중인 알람 시간에 대한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알람 기능 서비스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5의 실시예는 저장수단(220)에 소정의 조리법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 조리법 은 다수의 요리에 대한 알람 시간 및 조리 순서를 포함한다.
즉, 제2실시예는 사용자가 조리법에 따라 직접 복수의 알람 시간을 입력하는 것에 대한 것이고, 제3실시예는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조리법을 선택하여, 그 조리법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 시간 및 조리 순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500)에서, 제어수단(250)은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수단(20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기저장된 조리법을 사용하고자 하는 선택을 입력수단(210)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수단(220)에 저장된 조리법 목록을 표시수단(200)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입력수단(210)을 통하여 특정 조리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단계(S510)는 제어수단(250)은 선택된 조리법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 시간을 판독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시간은 25분, 10분, 20분, 7분 등(제1알람 시간, 제2알람 시간, 제3알람 시간, 제4알람 시간 등)으로 판독된다.
단계(S520)에서,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 하여금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고, 계수수단(230)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경과 시간을 제어수단(250)으로 전송한다.
단계(S530)에서, 제어수단(250)은 선택된 조리법 중에서 첫번째 조리 순서를 표시수단(200)에 표시한다. 도 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200)에 "냉각"이라는 조리 순서가 표시된다. 이때, 제어수단(250)은 계수수단(230)으로부터 획득된 경과 시간 및/또는 남은 시간(=알람 시간-경과시간)을 표시수단(2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알람 시간이 복수이므로, 현재 처리 중인 알람 시간에 대한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단계(540)에서, 제어수단(250)은 경과시간과 알람 시간(제1알람 시간)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S55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단계(S550)에서, 제어수단(250)은 비프울림수단(240)으로 하여금 음향을 발산하도록 한다.
단계(S560)에서, 제어수단(250)은 모든 알람 시간에 대한 알람 처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단계(S530)로 진행하여, 제어수단(250)은 처리된 조리 순서의 다음 조리 순서("교반")를 표시하고, 그 조리 순서에 대응하는 알람 시간(제2알람 시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만약 모두 처리되었으면, 종료된다.
상술된 복수의 알람 시간은 하나의 조리 순서와 알람 시간에 대한 표시 및 알람 기능이 수행된 후, 그 다음 조리 순서와 알람 시간에 대한 표시 및 알람 기능이 수행된다. 즉, 복수의 알람 시간 및/또는 조리 순서가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에 설명된 조리법에 따라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수단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리수단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적어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와 연계되어 각 조리단계가 연속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디스플레이(138)에 표시되는 아바타는 이른바 '나의 분신'이라 고 불리는 사이버상의 캐릭터를 이르는 말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아바타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를 켤 때에는 아바타가 나와서 밝게 웃으며 인사를 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각각의 운전모드에 따라 다양한 행동을 취한다. 즉 '냉방운전'시에는 남극에서 팽귄과 공놀이를 하는 모습을 취하며, '제습운전'시에는 빨래를 손으로 짜고 있는 모습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아바타의 모습과 더불어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는 현재의 운전상태 및 온도가 음성으로도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피커(146)를 통해 사람의 음성으로 현재의 상태 및 작동상태를 안내한다.
예로, '냉방 중입니다.' '현재 온도는 26도 입니다.' '현재 풍량은 강풍입니다.'와 같은 안내를 하게 되며, 이러한 안내는 상기의 아바타 모습과 대응되게 표현될 수도 있으나, 아바타의 모습과 연계되지 않고 별도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녹음 기능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별도의 음향을 녹음하여 설정된 음성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신만의 목소리로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안내하거나 별도의 멜로디를 이용하여 작동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8)는 운전 중에는 절전을 위하여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38) 에 구현되는 아바타는 깜찍하게 인사를 하고 사라지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아바타는 공기조화기의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출시되지만, 차후에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아바타와 조리법 등의 다운로드는 상기와 같이 USB 포트(140)를 통해 직접 접속된 외부기기 외에, 무선으로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공기조화기 내부에는 수신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아바타는 인터넷으로 다운로드를 받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유선전화 및 휴대폰을 통해서도 다운로드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입력수단(210)의 일예로 버튼(132a)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버튼(132a) 외에 상기 디스플레이(138)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138)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