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작동과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표현하는 표시부와,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표시부에는 화면보호 기능을 갖는 화면보호모드가 동작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키(key)입력하는 버튼부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리모컨(remote control) 신호가 입력되는 리모컨수신부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로부터 신호(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작동이 종료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다수의 이미지를 슬라이드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쇼는, 다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random)하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동영상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이 오프(off)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소비전력이 절감되고 표시부의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 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우측 상하단에는 힌지(112)가 구비되어 전면판넬(1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상방에서 볼 때)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반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창(12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은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엘씨디(LCD)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의 하측에는 버튼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130)에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상기 힌지(112)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 (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각종 아바타 등의 디스플레이(Display)를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USB장착부(152)가 구비되고, 이러한 USB장착부(152)에는 USB메모리(1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는 상기 USB메모리(160)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data)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다양한 이동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data)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터(data)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에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냄새 등 다양한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열교환기 등)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 부품의 기능과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일측에는 스피커(180)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후면에는 음을 외부로 발산하는 스피커(18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180)는 음악이나 음향 등을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버튼 부(130)에 구비되는 각각의 키(KEY)는 누르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중앙 부분에는 운전/정지키(132)가 구비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이다. 즉, 이러한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운전을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키(Key)로 동작하며, 운전중(공기 조화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정지(운전OFF)를 위한 키(Key)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청정 기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이 더 구비되나,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을 통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 기능이 주기능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운전/온(on)'이라 칭하고,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정지/오프(off)'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상하에는 온도키(13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키(134)는 온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 상측의 버튼은 온도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며, 하측의 버튼은 온도 감소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온도키(134)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중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운전중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운전표시모드(특히, '캐릭터 운전표시모드') 등에서는 온도 증감을 위한 키(Key)로 작동하나, 기능선택모드(특히, '앨범기능')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좌우에 위치한 볼륨키(135)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스피커(18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조절을 위한 것으로, 좌측의 버튼은 소리의 감소를 위한 버튼이며, 우측의 버튼은 소리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볼륨키(135)도 상기 온도키(134)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하단부에는 풍량키(136)가 구비된다. 상기 풍량키(136)는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만 동작하고, 정지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버튼부(130)의 우측 하단부에는 플라즈마키(137)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키(137)는 공기조화기에 내장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또는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단독으로 작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상단부에는 좌측키(138)가 구비되고, 우측 상단부에는 우측키(139)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키(138)와 우측키(139)는 공기조화기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할 기능선택모드에서 다 양한 메뉴의 선택을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의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어부(200)에는 각종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data)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00)에는 메인메모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메모리(202)는 공기조화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 여기에 각종 데이터(data)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메인입력부(210)와 센서부(212), 수신부(214), 실내기모터(216), 실외기모터(218), 그리고 압축기(220) 등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메인입력부(210)는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메인입력부(210)를 통한 입력신호는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센서부(21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특히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그리고 가스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부(212)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수신부(214)는 리모컨수신부(140)와 같이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수신부(214)에 수신된 신호도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수신부(214)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외에 컴퓨터(인터넷 포함)나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신호)도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모터(21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구비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입력부(210)로부터 운전/정지키(132)의 입력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실내기모터(2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오염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실내기모터(21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같이 상기 메인입력부(210)로부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거나,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 등을 작동시켜 공기조화기를 정지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에는 공기정화장치(170)와 음향출력부(222) 등의 부가장치도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상기 메인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강약이 조절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측정되는 공기중의 오염(먼지, 가스 등) 정도를 감지한 다음, 이러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강약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은 소리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피커(180)가 그 일례가 되며, 부저나 멜로디, 음악 등의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로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의 작동상태에 따라 에러(Error)시 부저음을 발생하거나 아바타 각각의 이미지에 따른 다양한 멜로디를 출력하기도 하며, 음악파일의 실행에 따라 음악을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는 상기 메인입력부(210)의 운전/정지키(132)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 작동 신호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데이터입력부(258)를 통해 데이터(data)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기도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입력부(25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도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200)에는 디스플레이메모 리(252)와 디스플레이입력부(254), 표시부(256) 그리고 데이터입력부(258) 등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내장되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양한 자료(사진이나 캐릭터 등과 같은 아바타)를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디스플레이메모리(25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메인메모리(202)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양한 자료(사진이나 캐릭터 등과 같은 아바타)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254)는 상기 버튼부(130)나 리모컨(remote control) 등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110)의 디스플레이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창(120)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기도 한다.
상기 표시부(256)는 상기 제어부(200)의 명령에 따라 각종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캐릭터 등의 아바타를 외부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데이터입력부(258)는 상기에서 설명한 USB메모리(160)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데이터입력부(258)를 통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될 음악파일(MP3파일 포함) 등이 입력된다.
도 6에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드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56)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는 크 게 공기 조화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대기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대기모드(300)와,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중임을 표시하는 운전표시모드(320)와, 다양한 기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능선택모드(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모드(300)는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운전(Power on) 신호의 입력을 기다리는 모드이다. 상기 대기모드(300)는,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화면오프모드(302),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모드(304),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사용자설정모드(3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 기능을 가지는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의 하나가 공기조화기가 출시될 때 일반적으로 셋팅(setting)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셋팅(setting)된 대기모드(300)가 부팅되어 표시된다.
물론, 상기의 대기모드(300)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setting)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booting)시 표시부(256)를 통해 디스플레이창(120)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화면오프모드(302)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계모드(304)는 상기 디스플레이창 (120)에 현재의 시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각 외에 년월이 함께 표시되며,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동시에 표시되기도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면보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이는 일명 '스크린세이브(screen save)'라고도 불리는 화면보호기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화면보호 기능을 갖는 화면보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256)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 사진이미지나 캐릭터(아바타) 등의 단일(하나) 이미지가 계속적으로 상기 표시부(256)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정지화면(이미지)만이 상기 표시부(256)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이미지가 슬라이드쇼로 상기 표시부(256)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b와 같이 다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random)하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표시부(256)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여 화면보호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256)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여 화면보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아예 상기 표시부(256)의 화면이 오프(off)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흐르는 동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로 상기와 같은 정지이미지, 슬라이드쇼, 동영 상 그리고 화면오프(off)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며, 초기(제품 출시)에는 상기와 같은 정지이미지, 슬라이드쇼, 동영상 그리고 화면오프(off) 중 어느 하나가 셋팅(setting)되어 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며,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되면,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상기 표시부(256)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사용자설정모드(308)는 사용자가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나 가족의 사진 또는 자신의 캐릭터를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고, 이러한 셋팅(setting)된 이미지가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운전표시모드(320)는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 이미 셋팅(setting)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즉, 상기 대기모드(300) 상태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입력하여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256)를 통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운전표시모드(320)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면, 상기 운전표시모드(320)를 구성하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실사운전모드(322)는 상기 메인메모리(202)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실물 영상(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물 영상(실사이미지)은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운전모드(324)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업로드시킨 다음, 이러한 업로드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캐릭터운전모드(326)는 미리 저장된 캐릭터(아바타)가 표시되도록 하는 모드로, 이러한 캐릭터(아바타)는 정지된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적인 캐릭터(아바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표시모드(320)는 다른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키(Key)가 입력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표시모드(320)에서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300)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자동청소(310) 기능이 수행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자동청소(310) 기능은 미리 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운전표시모드(320)는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운전표시모드(32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입력부를 통해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운전표시모드(320)가 실행된 후 설정된 일정시간(3분 등)동안 입력부, 즉, 상기 버튼부(130)나 리모컨수신부(140)를 통해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입력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종료되어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즉, 다시 상기 운전표시모드(320)로 되돌아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면보호모드(306)의 실행 중,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키(Key)를 입력하거나, 리모컨(remote control)을 통해 리모컨수신부(140)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종료한다.
상기 대기모드(300)와 운전표시모드(320)는 상기 표시부(256)를 통해 순차적으로 구현된다. 즉,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300)와 운전표시모드(320)의 순서로 구현되며, 반대로 공기조화기가 멈추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표시모드(320)와 대기모드(300)의 순서로 구현된다.
한편, 상기 대기모드(300)와 운전표시모드(320) 사이에는 모드변환단계(315)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대기모드(300)와 운전표시모드(320)가 수행중인 경우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운전(Power on)신호인지 정지(Power off)신호인지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와 운전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모드변환단계(315)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모드변환단계(315)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공기조화기를 온(on)시키는 신호인지 오프(off)시키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처럼 공기조화기를 온(on)시키는 신호는 공기조화기가 오프(off) 상태일때 입력되고, 공기조화기를 오프(off)시키는 신호는 공기조화기가 온(on) 상태일때 입력된다.
예로, 사용자가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입력시키는 경우에 이러한 키(key) 입력이 공기조화기를 온(on)시키는 것인지, 오프(off)시키는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는 공기조화기를 온(on)/오프(off)시키는 키(key)가 단일의 상기 운전/정지키(13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오프(off) 상태일 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변환단계(315)에서는 이러한 키(key) 입력을 공기조화기를 온(on)시키는 신호로 인식하여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도록 한다.
반면, 공기조화기가 온(on) 상태일 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변환단계(315)에서는 이러한 키(key) 입력을 공기조화기를 오프(off)시키는 신호로 인식하여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로는 운전/부가기능(342)과 앨범기능(344) 등이 있다.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앨범기능(344)은 다양한 사진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기능에서는 냉방이나 제습 등의 공기조화기 사용상태의 선택과 풍량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모드의 실행과정을 도 8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상기의 대기모드(300), 운전표시모드(320), 그리고 기능선택모드(340)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대기모드'의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챠트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운전모드'의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11a와 도 11b는 도 8에 도시된 '기능선택모드'의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400).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대기모드(300)를 실행하게 되고(S410),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대기모드(300)가 실행되는 과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기(旣) 설정된 설정값을 읽어 들인다(S411). 따라서 우선 읽어들인 설정값이 '시계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2).
판단결과 설정값이 '시계화면'이면 시계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하고(S413), 아니면 설정값이 '화면보호기'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414). 이때 설정값이 '화면보호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화면보호모드'를 실행하고(S41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을 오프(OFF)한다(S416).
다음으로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공기조화기가 작동된다(S421). 즉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실외기모터(218) 등의 공기조화 부품을 작동시켜 실 내공간의 공기조화를 실행하게 된다(S421).
반면,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도 판단한다(S430). 판단결과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입력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한다. 따라서 공기청정 기능이 실행된다(S432).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34), 종료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된다(S436). 이때 상기 종료키는 상기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한번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S4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운전표시모드(320)가 실행되며(S440), 이때의 과정은 도 1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센서부(212)를 통해 센서값(온도 등)과 운전표시모드(320) 실행을 위해 설정된 설정값을 각각 읽어들인다(S442)(S444).
그리고 읽어들인 설정값이 '사용자운전모드'인 경우(S45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읽어들여(S452)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한다(S454).
반면 읽어들인 설정값이 '실사운전모드'인 경우(S460)에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실물사진 데이터를 읽어들인다(S462). 그리고 이러한 실물사진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을 통해 표시한다(S454).
읽어들인 설정값이 '사용자운전모드'도 '실사운전모드'도 아닌 경우에는 기(旣)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데이터를 읽어들여(S464)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디스플레이창(120)을 통해 표시한다(S454).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다음 과정을 살펴본다.
운전모드가 실행되면(S44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46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좌측키(138) 또는 우측키(139)와 같은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능키가 입력된 경우(S462)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를 실행시키고(S48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4).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46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6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47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S472) 종료한다(S474). 즉,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키(Key)를 입력하거나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S472) 화면보호모드(306)가 종료하는 것이다.(S474).
도 11a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가 실행되는 과정(S480)이 개략적으로 예 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키입력값이 '운전부가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81). 판단결과 '운전부가기능'인 경우에는 '냉방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482). 이때 '냉방선택'인 경우에는 다시 '풍량'이 '약'으로 설정되었는지를 먼저 판별하고(S483), '약'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약풍냉방을 실행한다(S484).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00)는 이미 설정된 '약풍냉방' 운전에 관한 이미지(아바타)가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약풍냉방' 운전에 관한 음향/음악이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484').
반면, 판단결과 '풍량'이 '약'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풍량'이 '강'으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485). 그리고 '풍량'이 '강'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강풍냉방을 실행하고(S486),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파워냉방을 실행한다(S487).
그리고,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200)는 이미 설정된 '강풍냉방'/'파워냉방' 운전에 관한 이미지(아바타)가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각각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강풍냉방'/'파워냉방' 운전에 관한 음향/음악이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486')(S487').
한편, 상기에서 '냉방선택' 여부를 판별한 결과 '냉방선택이 아닌 경우'에는 '제습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다시 '풍량'이 '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90). 그리고 '풍량'이 '약'인 경우에는 '약풍제습'을 실행하고(S491), '풍량' 이 '강'인 경우(S492)에는 '강풍제습'을 실행하며(S493), '풍량'이 '약'도 '강'도 아닌 경우에는 '파워제습'을 실행한다(S494).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약풍제습'을 실행(S491)시에는 이미 설정된 '약풍제습' 운전에 관한 이미지(아바타)가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약풍제습' 운전에 관한 음향/음악이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491').
마찬가지로, '강풍제습' 실행(S493)시와 '파워제습' 실행(S494)에도 상기와 같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강풍제습' 또는 '파워제습' 운전에 관한 이미지(아바타) 및 음향/음악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 및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출력된다(S493')(S494').
또한 상기에서의 키입력값이 '운전부가기능'인가의 여부 판단결과, '운전부가기능'이 아닌 경우에는 '앨범기능'이 실행된다(S500).
도 11b에는 이러한 '앨범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먼저 키입력값이 '다운로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 판단결과 입력값이 '다운로드'인 경우에는 상기 USB메모리(160) 등으로부터 사진의 다운로드(download)를 실행한다(S504).
반면, 키입력값이 '다운로드'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키입력값이 '앨범보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10).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 입력값이 '앨범보기'인 경 우에는 앨범보기 기능을 실행하고(S51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환경설정'이 실행된다(S520).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다음 과정을 살펴본다.
기능선택모드가 실행되면(S48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다시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53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우측키(139, 여기서는 '기능닫기키'로 사용됨)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2).
상기 '기능닫기키', 즉 상기 우측키(139)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운전표시모드 실행 화면으로 복귀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34).
이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53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3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54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 또는 리모컨(remote control)을 통해 외부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542) 키(Key) 또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종료한다(S544).
한편, 상기의 S464 단계와 S534 단계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가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킨다. 즉, 공기조화 기능의 실행을 정지한다.(S550)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자동청소를 수행한다(S552). 물론 이 기능은 미리 설정된 경우에 행한다.
그 다음, 전원차단 여부를 판단하여(S560),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 실행이 모두 종료(S570)되고,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대기모드 실행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2에는 상기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되는 과정의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경과시간(T)을 리셋팅(resetting)한다(S600). 그리고 외부로부터 키(key)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즉 상기 버튼부(130)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키(key)입력이 있는 경우는 다시 경과시간(T)을 리셋팅(resetting)하는 단계(S600)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경과시간(T) 및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T')을 읽어들인다(S620). 즉, 상기 S600단계에서 리셋팅(resetting)된 경과시간(T)과, 사용자 또는 초기 설정된 화면보호모드(306) 시작을 위해 설정한 시간을 읽어들인다.
그 다음, 읽어들인 경과시간(T)과 설정시간(T')을 비교하여 경과시간(T)이 설정시간(T')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판단결과, 경과시간(T)이 설정시간(T')을 초과한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실행하고(S64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키(key)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0)로 되돌아간다.
한편,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키(key)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650). 그리고 판단결과, 외부로부터의 키(key)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종료한다(S66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