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8512B1 -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512B1
KR100788512B1 KR1020050085042A KR20050085042A KR100788512B1 KR 100788512 B1 KR100788512 B1 KR 100788512B1 KR 1020050085042 A KR1020050085042 A KR 1020050085042A KR 20050085042 A KR20050085042 A KR 20050085042A KR 100788512 B1 KR100788512 B1 KR 10078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 conditioner
album
ke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0409A (ko
Inventor
차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512B1/ko
Priority to EP06783433A priority patent/EP1920197A2/en
Priority to PCT/KR2006/002958 priority patent/WO2007018357A2/en
Priority to CN2006101087629A priority patent/CN1912488B/zh
Publication of KR2007003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96Creation of a photo-montage, e.g. photoalb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앨범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00)와, 각종 데이터(data)와 운전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메모리(202)와, 외부와의 데이터(신호)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인터페이스(215)가 구비되는 실내기(100)와;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수단(256)과,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가 저장되는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 다수의 사진이미지의 편집/보관이 가능한 전자앨범(253)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제어부, 디스플레이, 앨범

Description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Album-internal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에 구비되는 버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창에 구현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앨범보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사진 가져오기'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사진 회전하기'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전체삭제'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선택삭제'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화면보호기 설정'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부가된 앨범기능 중 '사진 가져오기'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힌지 120. 디스플레이창
130. 버튼부 132. 운전/정지키
134. 온도키 135. 볼륨키
136. 풍량키 137. 플라즈마키
138. 좌측키 139. 우측키
140. 리모컨수신부 150. 디스플레이장치
160. USB메모리 170. 공기정화장치
200. 메인제어부 202. 메인메모리
210. 메인입력수단 220. 압축기
250. 디스플레이제어부 252. 디스플레이메모리
254. 디스플레이입력수단 256. 표시수단
258. 데이터입력수단 300. 대기모드
302. 화면오프모드 304. 시계모드
306. 화면보호모드 308. 사용자설정모드
320. 운전모드 322. 실사운전모드
324. 사용자운전모드 326. 캐릭터운전모드
340. 기능선택모드 342. 운전/부가기능
344. 앨범기능 360. 팝업기능
370. 회전팝업창 372. 전체삭제팝업창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앨범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 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풍향과 강약 정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내온도 및 희망온도도 표시된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엘이디(LED)에 의해 외부로 표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순히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화면을 온(on)/오프(off)하여 현재의 온도나 운전상태를 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정보나 부가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상(아바타)이 구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진이미지의 저장 및 편집이 가능한 전자앨범과 앨범기능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각종 데이터(data)와 운전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메모리와, 외부와의 데이터(신호)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가 저장되는 디스플레이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사진이미지의 편집/보 관이 가능한 전자앨범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앨범에 내장된 사진이미지는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상기 전자앨범에 내장된 사진이미지를 입출력 또는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앨범기능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앨범기능에는, 저장된 사진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앨범보기, 외부의 저장장치로부터 사진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사진 가져오기, 선택된 사진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사진 회전하기, 저장된 사진들을 선택하여 화면보호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보호기 설정, 저장된 사진 전체를 삭제하는 전체삭제, 저장된 사진의 일부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선택삭제 기능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앨범은,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저장매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앨범에 저장되는 사진이미지는,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외부로 입출력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USB메모리로/로부터 데이터(data)가 송수신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적외선 통신이 송수신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송수신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인터넷 통신이 송수신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우측 상하단에는 힌지(112)가 구비되어 전면판넬(1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상방에서 볼 때)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반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창(12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은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엘씨디(LCD)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의 하측에는 버튼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130)에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사 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상기 힌지(112)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각종 아바타 등의 영상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 등이 내장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USB장착부(152)가 구비되고, 이러한 USB장착부(152)에는 USB메모리(1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는 상기 USB메모리(160)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data)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다양한 이동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data)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터(data)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IEEE1394포트(port)등을 통한 데이터(data)의 전달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에는 다수 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냄새 등 다양한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열교환기 등)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 부품의 기능과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버튼부(130)에 구비되는 각각의 키(KEY)는 누르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중앙 부분에는 운전/정지키(132)가 구비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이다. 즉, 이러한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운전을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키(Key)로 동작하며, 운전중(공기 조화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정지(운전OFF)를 위한 키(Key)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청정 기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이 더 구비되나,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을 통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 기능이 주기능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라 칭하고,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정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상하에는 온도키(13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키(134)는 온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 상측의 버튼은 온 도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며, 하측의 버튼은 온도 감소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온도키(134)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중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운전중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운전모드(특히, '캐릭터 운전모드') 등에서는 온도 증감을 위한 키(Key)로 작동하나, 기능선택모드(특히, '앨범기능')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좌우에 위치한 볼륨키(135)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에 구비되는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조절을 위한 것으로, 좌측의 버튼은 소리의 감소를 위한 버튼이며, 우측의 버튼은 소리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볼륨키(135)도 상기 온도키(134)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하단부에는 풍량키(136)가 구비된다. 상기 풍량키(136)는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만 동작하고, 정지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버튼부(130)의 우측 하단부에는 플라즈마키(137)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키(137)는 공기조화기에 내장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또는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단독으로 작동하 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상단부에는 좌측키(138)가 구비되고, 우측 상단부에는 우측키(139)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키(138)와 우측키(139)는 공기조화기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할 기능선택모드에서 다양한 메뉴의 선택을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실내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15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00)가 구비되고, 이러한 메인제어부(200)에는 각종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data)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메인메모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메모리(202)는 공기조화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 각종 데이터(data)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 다수의 자료가 저장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음향출력수단(222)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메인입력수단(210)과 감지수단(212), 신호수신부(214), 통신인터페이스(215), 실내기모터(216), 실외기모터(218), 그리고 압축기(220) 등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은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메인입력수단(210)를 통한 입력신호는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감지수단(212)은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특히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그리고 가스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감지수단(212)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이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수신부(214)는 리모컨수신부(140)와 같이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신호수신부(214)에 수신된 신호도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215)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외에 컴퓨터(인터넷 포함)나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신호)도 입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통신인터페이스(215)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신호가 수신가능하게 되고, 외부로 공기조화기의 상태도 전달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인터페이스(215)는, 상기에서 예시한 USB메모리(160) 등으로 또는 이러한 USB메모리(160) 등으로부터 데이터(data)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인터페이스(215)는, 적외선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그리고 인터넷 통신이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을 말하거 나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것이다.
상기 실내기모터(21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구비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제어부(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으로부터 운전/정지키(132)의 입력이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상기 메인제어부(200)는 상기 실내기모터(2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212)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오염값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실내기모터(21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는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같이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으로부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거나,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 등을 작동시켜 공기조화기를 정지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공기정화장치(170)와 음향출력수단(222) 등의 부가장치도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강약이 조절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감지수단(212)으로부터 측정되는 공기중의 오염(먼지, 가스 등) 정도를 감지한 다음, 이러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강약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은 소리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져 부저나 멜로디, 음악 등의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로,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의 작동상태에 따라 에러(Error)시 부저음을 발생하거나, 아래에서 설명할 표시수단(256)에 구현되는 영상(아바타)이나 메세지(Message)에 따라 각기 다른 음향(멜로디)을 출력하기도 하며, 음악파일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음악을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는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의 운전/정지키(132)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 작동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도 전달되어,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데이터입력수단(258)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기도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수단(256)과,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가 저장되는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다수의 사진이미지의 편집/보관이 가능한 전자앨범(253) 등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는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 표시수단(256) 그리고 데이터입력수단(258) 등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내장되며,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사진이나 캐릭터 등과 같은 아바타)를 저장하는 것이다. 즉, 상기 표시수단(256)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영상(아바타)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전자앨범(253)에는 다수의 사진이미지가 저장되며, 이러한 사진이미지는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한편, 상기 전자앨범(253)에는 외부로부터 사진이미지가 입력되어 보관되거나, 이러한 저장된 이미지가 외부로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통신인터페이스(215)나 데이터입력수단(258)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외부로의 사진 이미지 입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상기 전자앨범(253)에 내장된 사진이미지를 입출력 또는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앨범기능(34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앨범기능(344)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은 상기 버튼부(130)나 리모컨(remote control) 등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110)의 디스플레이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창(120)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기도 한다.
상기 표시수단(256)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각종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캐릭터 등의 아바타를 외부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수단(256)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구현하는 것으로,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256')와,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동작표시부(2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표시부(256')는 아바타나 실사 영상 등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영상표시부(256')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이미지파일은, JPEG, BMP, TIFF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JPEG, BMP, TIFF파일 등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확장자로 널리 사용되는 파일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작표시부(256")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나 현재의 온도 또는 설정온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문자(텍스트)나 숫자 등의 메세지(Message)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표시수단(256)은 엘시디(LCD) 또는 유기이엘(EL)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자 소자를 일컫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기EL은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유기물질을 일컫는 것으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유기 다이오드'라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엘시디(LCD)와 유기이엘(EL)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영상이나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실행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자바(JAVA)프로그램언어로 구현되거나, C언어 계통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C, C++, C#프로그램언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상기 표시수단(256)에 이차원(2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거나, 더 나아가 상기 표시수단(256)에 삼차원(3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평면적 또는 입체적 영상을 모두 구현 가 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입력수단(258)은 상기에서 설명한 USB메모리(160)나 IEEE1394포트(port)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데이터입력수단(258)을 통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을 통해 출력될 음악파일(MP3파일 포함) 등이 입력된다.
도 6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드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256)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는 크게 공기 조화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대기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대기모드(300)와,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중임을 표시하는 운전모드(320)와, 다양한 기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능선택모드(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모드(300)는,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화면오프모드(302),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모드(304),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사용자설정모드(3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의 하나가 공기조화기가 출시될 때 일반적으로 셋팅(setting)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셋팅(setting)된 대기모드(300)가 부팅되어 표시된다.
물론, 상기의 대기모드(300)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setting)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booting)시 표시수단(256)를 통해 디스플레이창(120)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화면오프모드(302)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계모드(304)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현재의 시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각 외에 년월이 함께 표시되며,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동시에 표시되기도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면보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이는 일명 '스크린세이버(screen saver)'라고도 불리는 화면보호기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컴퓨터에 널리 사용되는 화면보호기가 실행되는 화면과 동일하다.
상기 사용자설정모드(308)는 사용자가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나 가족의 사진 또는 자신의 캐릭터를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고, 이러한 셋팅(setting)된 이미지가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운전모드(320)는 상기 대기모드(300) 상태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입력하여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256)를 통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 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면, 상기 운전모드(320)를 구성하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실사운전모드(322)는 상기 메인메모리(202)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실물 영상(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물 영상은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운전모드(324)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업로드시킨 다음, 이러한 업로드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캐릭터운전모드(326)는 미리 저장된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모드로, 이러한 캐릭터는 정지된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적인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캐릭터운전모드(326)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는 스키를 타는 캐릭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모드(320)는 다른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키(Key)가 입력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모드(320)에서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300)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자동청소(310) 기능이 수행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자동청소(310) 기능 은 미리 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운전모드(32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종료되어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즉, 다시 상기 운전모드(320)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로는 운전/부가기능(342)과 앨범기능(344) 등이 있다.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앨범기능(344)은 다양한 사진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기능에서는 냉방이나 제습 등의 공기조화기 사용상태의 선택과 풍량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각 모드 시행중에 팝업기능(360)이 추가로 수행되기도 한다. 상기 팝업기능(360)은 상기 각 모드의 실행중에 공기조화기의 에러 상태나 입력키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다양한 팝업창을 띄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기능선택모드(340)도 상기의 운전모드(320)에서와 같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기능선택모드(34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도 7 내지 도 13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 중 앨범기능(344)이 선택된 경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앨범기능(344)에는, 저장된 사진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앨범보기', 외부의 저장장치로부터 사진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사진 가져오기', 선택된 사진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사진 회전하기', 저장된 사진들을 선택하여 화면보호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보호기 설정', 저장된 사진 전체를 삭제하는 '전체삭제', 저장된 사진의 일부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선택삭제' 등의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다.
도 7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앨범보기'를 선택한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a)에서와 같은 기능선택모드(340)에서 상기 우측키(139)를 누르면, 앨범기능이 선택되어 (b)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상기 이동키(◀,▶,▲,▼)를 선택하여 메뉴를 지정한 다음,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눌러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
여기서 '앨범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가 (c)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전자앨범(253)에 저장된 사진이미지가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물론, 상기 디 스플레이메모리(252)나 상기 USB메모리(160) 등과 같은 다른 내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미지가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동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진에 커서를 옮긴 후,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누르면, 해당 사진이 선택되어 미리보기된다.
도 8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사진 가져오기'를 선택한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의 (c) 화면에서 상기 좌측키(138)를 누르면, 도 8의 (a)와 같이 여러 메뉴가 리스트(list)된다.
이때의 메뉴는 '사진 가져오기', '사진 회전하기', '화면보호기 설정', '선택삭제', '전체삭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진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b)와 같은 화면이 생성되며, 이때 이동키(◀,▶,▲,▼)를 이용하여 '일부선택' 또는 '전체선택' 중 하나를 선택한다.
예로, '일부선택'을 선택한 다음, 이동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진을 선택한 후, 가져오기(좌측키)를 누르면 '사진 가져오기'가 실행되고, 다시 도 7의 (c) 화면으로 복귀한다.
한편, (b)와 같은 화면에서 닫기(우측키)를 누르면, '사진 가져오기'가 취소되고, 도 7의 (c)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9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사진 회전하기'를 선택한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a)와 같이 여러 메뉴가 리스트(list)된 상태에서 '사진 회전하기'메뉴를 선택한다. 이때에는 (b)와 같이 회전팝업창(370)이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회전 메뉴를 선택한다. 회전 메뉴는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우회전, 180도 좌회전, 90도 좌회전 등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메뉴를 지정하여 선택키, 즉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누르면, 미리보기 화면이 약 3초간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 다시 상기 회전팝업창(370)이 표시된다. 이때 다른 종류의 회전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회전팝업창(370)에 도시된 '초기화'를 누르게 되면 사진 회전하기 전의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진 회전하기'를 수행한 다음, 우측키(닫기키)를 누르면, 최종적으로 지정한 회전상태로 사진이 저장되고, 다시 도 7의 (c) '앨범보기'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0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전체삭제'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a)와 같이 메뉴가 리스트된 상태에서 '전체삭제'를 선택한다. 이렇게 되면, (b)와 같이 전체삭제팝업창(372)이 표시되어 삭제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이동키(◀,▶,▲,▼)를 사용하여 '예' 또는 '아니오'를 선택하게 되며, '예'를 선택하면 전체삭제가 수행되고,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 또는 전체삭제가 수행된 다음에는 앨범보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1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선택삭제'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a)와 같이 메뉴가 리스트된 상태에서 '선택삭제'를 선택한다. 이렇게 되면, (b)와 같이 선택삭제화면으로 전환되고, 이때 선택 커서는 폴더를 제외한 첫 사진파일에 위치된다.
이때 이동키(◀,▶,▲,▼)를 사용하여 삭제할 사진을 지정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사진을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확인창이 표시되고, 여기서 '예'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진이 삭제되고 (b)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반대로, 확인창에서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에는 삭제할 사진을 선택한 것이 취소되고, (b)와 같은 '선택삭제하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2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화면보호기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a)와 같이 메뉴가 리스트된 상태에서 '화면보호기 설정'을 선택한다. 이렇게 되면, (b)와 같이 화면보호기설정화면으로 전환되고, 이때 선택 커서는 폴더를 제외한 첫 사진파일에 위치된다.
이때 이동키(◀,▶,▲,▼)를 사용하여 임의의 사진을 지정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사진이 화면보호기로 설정되고, 여기서 닫기(우측키)를 누르면 다시 앨범보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3에는 상기 앨범기능(344) 중 '사진 가져오기'를 선택하는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과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a)와 같은 기능선택모드(340)에서 상기 우측키(139)를 누르면, 앨범기능이 선택되어 (b)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상기 이동키(◀,▶,▲,▼)를 이용하여 다운로드(DOWN LOAD)를 선택한다.
이렇게 되면, (c)에서와 같이 '사진 가져오기' 화면으로 전환되고, 이는 도 8의 (b)화면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때의 '사진 가져오기' 실행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8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여기서 우측키(닫기)를 누르면, (b)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모드의 실행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14는 상기의 대기모드(300), 운전모드(320), 그리고 기능선택모드(340)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400).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대기모드(300)를 실행하게 되고(S410),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공기조화기가 작동된다(S421). 즉 상기 메인제어부(200)에서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실외기모터(218) 등의 공기조화 부품을 작동시켜 실내공간의 공기조화를 실행하게 된다(S421).
반면,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도 판단한다(S430). 판단결과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입력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한다. 따라서 공기청정 기능이 실행된다(S432).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34), 종료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된다(S436). 이때 상기 종료키는 상기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한번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S4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운전모드(320)가 실행된다(S440).
운전모드가 실행되면(S44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46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좌측키(138) 또는 우측키(139)와 같은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능키가 입력된 경우(S462)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를 실행시키고(S48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4).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46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6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47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S472), 종료한다(S474).
상기에서 기능선택모드가 실행되면(S48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다시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53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우측키(139, 여기서는 '기능닫기키'로 사용됨)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2).
상기 '기능닫기키', 즉 상기 우측키(139)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운전모드 실행 화면으로 복귀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34).
이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53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3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54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542) 키(Key)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종료한다(S544).
한편, 상기의 S464 단계와 S534 단계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킨다. 즉, 공기조화 기능의 실행을 정지한다.(S550)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자동청소를 수행한다(S552). 물론 이 기능은 미리 설정된 경우에 행한다.
그 다음, 전원차단 여부를 판단하여(S560),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 실행이 모두 종료(S570)되고,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 대기모드 실행화면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앨범(253)이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자앨범(253)이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 내부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가 사진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앨범(253)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에서는, 다수의 사진이미지의 편집/보관이 가능한 전자앨범이 구비되며, 이러한 전자앨범에 저장된 사진이미지는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편집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본래 기능외에 사진이미지의 저장 및 편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각종 데이터(data)와 운전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메모리가 구비되는 실내기와;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가 저장되는 디스플레이메모리와, 다수의 사진이미지의 편집 또는 보관이 가능한 전자앨범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실내기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앨범에 내장된 사진이미지는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상기 전자앨범에 내장된 사진이미지를 입출력 또는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앨범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앨범기능에는,
    저장된 사진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앨범보기, 외부의 저장장치로부터 사진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사진 가져오기, 선택된 사진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사진 회전하기, 저장된 사진들을 선택하여 화면보호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보호기 설정, 저장된 사진 전체를 삭제하는 전체삭제, 저장된 사진의 일부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선택삭제 기능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085042A 2005-08-10 2005-09-13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KR10078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042A KR100788512B1 (ko) 2005-09-13 2005-09-13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EP06783433A EP1920197A2 (en) 2005-08-10 2006-07-27 Air conditioner
PCT/KR2006/002958 WO2007018357A2 (en) 2005-08-10 2006-07-27 Air conditioner
CN2006101087629A CN1912488B (zh) 2005-08-10 2006-08-10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042A KR100788512B1 (ko) 2005-09-13 2005-09-13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09A KR20070030409A (ko) 2007-03-16
KR100788512B1 true KR100788512B1 (ko) 2007-12-24

Family

ID=4162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042A KR100788512B1 (ko) 2005-08-10 2005-09-13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767A (zh) * 2015-11-03 2016-0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空调遥控器及空调系统
KR101788017B1 (ko) 2015-12-23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747355B1 (ko) * 2015-12-23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921A (ja) * 1990-01-18 1991-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画面付空気調和装置
JP2001300233A (ja) 2000-04-25 2001-10-30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装置
KR20020033880A (ko) * 2000-10-30 2002-05-08 황한규 상치형 에어컨의 전면패널 구조
KR20040094948A (ko) * 2003-05-06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자앨범 기능을 가진 공기청정기
KR2005004980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921A (ja) * 1990-01-18 1991-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画面付空気調和装置
JP2001300233A (ja) 2000-04-25 2001-10-30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装置
KR20020033880A (ko) * 2000-10-30 2002-05-08 황한규 상치형 에어컨의 전면패널 구조
KR20040094948A (ko) * 2003-05-06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자앨범 기능을 가진 공기청정기
KR2005004980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09A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1381B1 (en) Air-conditioner
KR10124547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0291A (ko)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CN1880869B (zh) 空调器
CN1912488B (zh) 空调器
KR101188478B1 (ko) 공기조화기
KR1012024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80293A (ko)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에서의 기념일 표시 방법
KR100788512B1 (ko)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788514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070088837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방법
WO2007018357A2 (en) Air conditioner
EP1888973B1 (en) Air-conditioner
KR10077642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22170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18454A (ko) 공기조화기
KR100765575B1 (ko) 공기조화기
KR10122228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888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2216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30444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1463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CN201043783Y (zh) 空调器
KR2006013110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918

Appeal identifier: 2007101008624

Request date: 2007080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90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