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3303A -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303A
KR20070003303A KR1020050059184A KR20050059184A KR20070003303A KR 20070003303 A KR20070003303 A KR 20070003303A KR 1020050059184 A KR1020050059184 A KR 1020050059184A KR 20050059184 A KR20050059184 A KR 20050059184A KR 20070003303 A KR20070003303 A KR 20070003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user
manual
display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495B1 (ko
Inventor
양정화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95B1/ko
Priority to PCT/KR2006/002518 priority patent/WO2007032594A2/en
Priority to EP06823579A priority patent/EP1910748A2/en
Priority to CNB2006100999302A priority patent/CN100464128C/zh
Publication of KR2007000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사용메뉴얼이 내장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사용메뉴얼이 내장되고, 상기 사용메뉴얼은 외부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페이지(page)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사용자의 '리턴버튼' 조작에 의해 초기화면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표시부, 디스플레이, 사용방법, 사용메뉴얼

Description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having look function for use manual}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에 구비되는 버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창에 구현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의 주요 목록(메뉴)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를 선택하는 화면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에서 '각부의 명칭'목록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에서 '운전 따라하기'목록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에서 '청소 따라하기'목록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에서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목록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내장된 사용메뉴얼에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목록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힌지 120. 디스플레이창
130. 버튼부 132. 운전/정지키
134. 온도키 135. 볼륨키
136. 풍량키 137. 플라즈마키
138. 좌측키 139. 우측키
140. 리모컨수신부 150. 디스플레이장치
160. USB메모리 170. 공기정화장치
200. 제어부 202. 메모리
210. 입력부 220. 압축기
230. 표시부 300. 대기모드
302. 화면오프모드 304. 시계모드
306. 화면보호모드 308. 사용자설정모드
320. 운전모드 322. 실사운전모드
324. 사용자운전모드 326. 캐릭터운전모드
340. 기능선택모드 342. 운전/부가기능
344. 앨범기능 346. 팝업기능
350. 각부의 명칭 360. 운전 따라하기
370. 청소 따라하기 380.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
390.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사용메뉴얼이 내장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 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 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풍향과 강약 정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내온도 및 희망온도도 표시된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엘이디(LED)에 의해 외부로 표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순히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화면을 온(on)/오프(off)하여 현재의 온도나 운전상태를 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부가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메뉴얼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메뉴얼이 디스플레이 된 다음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초기화면으로 복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사용메뉴얼이 내장되 고, 상기 사용메뉴얼은 외부로 디스플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은, 다수의 목록(메뉴)에 의해 분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메뉴얼에는, 공기조화기의 각 부분 명칭에 대한 기재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메뉴얼에는, 다양한 필터를 진공청소기나 솔 등으로 청소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필터청소'와, 플라즈마크린시스템을 청소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와, 헤파필터를 교환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헤파필터 교환방법'과,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조치를 안내하는 '보관방법'이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페이지(page)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초기화면으로 복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우측 상하단에는 힌지(112)가 구비되어 전면판넬(1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상방에서 볼 때)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반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창(12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은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엘씨디(LCD)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의 하측에는 버튼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130)에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상기 힌지(112)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각종 아바타 등의 영상을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USB장착부(152)가 구 비되고, 이러한 USB장착부(152)에는 USB메모리(1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는 상기 USB메모리(160)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data)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다양한 이동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data)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터(data)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IEEE1394포트(port)등을 통한 데이터(data)의 전달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에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냄새 등 다양한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열교환기 등)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 부품의 기능과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일측에는 스피커(180)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후면에는 음을 외부로 발산하는 스피커(18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180)는 음악이나 음향 등을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버튼부(130)에 구비되는 각각의 키(KEY)는 누르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중앙 부분에는 운전/정지키(132)가 구비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이다. 즉, 이러한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운전을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키(Key)로 동작하며, 운전중(공기 조화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정지(운전OFF)를 위한 키(Key)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청정 기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이 더 구비되나,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을 통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 기능이 주기능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라 칭하고,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정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상하에는 온도키(13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키(134)는 온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 상측의 버튼은 온도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며, 하측의 버튼은 온도 감소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온도키(134)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중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운전중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운전모드(특히, '캐릭터 운전모드') 등에서는 온도 증감을 위한 키(Key)로 작동하나, 기능선택모드(특히, '앨범기능')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좌우에 위치한 볼륨키(135)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에 구비되는 스피커(18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조절을 위한 것으로, 좌측의 버튼은 소리의 감소를 위한 버튼이며, 우측의 버튼은 소리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볼륨키(135)도 상기 온도키(134)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하단부에는 풍량키(136)가 구비된다. 상기 풍량키(136)는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만 동작하고, 정지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버튼부(130)의 우측 하단부에는 플라즈마키(137)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키(137)는 공기조화기에 내장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또는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단독으로 작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상단부에는 좌측키(138)가 구비되고, 우측 상단부에는 우측키(139)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키(138)와 우측키(139)는 공기조화기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할 기능선택모드에서 다양한 메뉴의 선택을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이 블럭도로 도 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어부(200)에는 각종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data)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00)에는 메모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202)는 공기조화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 여기에 각종 데이터(data)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모리(20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다양한 자료(사진이나 캐릭터 등과 같은 아바타)도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202)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을 알려주는 사용메뉴얼 파일(file)이 내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메뉴얼'의 내용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영상)로 이루어지거나, 텍스트와 이미지(영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입력부(210)와 센서부(212), 수신부(214), 실내기모터(216), 실외기모터(218), 그리고 압축기(220) 등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입력부(210)를 통한 입력신호는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센서부(21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특히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그리고 가스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부(212)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 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수신부(214)는 리모컨수신부(140)와 같이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수신부(214)에 수신된 신호도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수신부(214)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외에 컴퓨터(인터넷 포함)나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신호)도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모터(21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구비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운전/정지키(132)의 입력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실내기모터(2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오염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실내기모터(21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같이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거나,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 등을 작동시켜 공기조화기를 정지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에는 공기정화장치(170)와 음향출력부(222) 등의 부가장치도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상기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어부(200)가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강약이 조절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측정되는 공기중의 오염(먼지, 가스 등) 정도를 감지한 다음, 이러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강약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은 소리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피커(180)가 그 일례가 되며, 부저나 멜로디, 음악 등의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로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의 작동상태에 따라 에러(Error)시 부저음을 발생하거나 아바타 각각의 이미지에 따른 다양한 멜로디를 출력하기도 하며, 음악파일의 실행에 따라 음악을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는 상기 입력부(210)의 운전/정지키(132)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 작동 신호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 (display)되는 내용도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200)에는 표시부(230) 등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사용메뉴얼 파일(file)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버튼부(130)나 리모컨(remote control)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작동을 위한 신호도 입력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110)의 디스플레이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창(120)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기도 한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00)의 명령에 따라 각종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캐릭터 등의 아바타를 외부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부(230)를 통해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사용메뉴얼 파일(file)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입력부(21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USB메모리(160)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이러한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서도 외부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이러한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될 음악파일(MP3파일 포함) 등이 입력된다.
도 6에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드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30)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는 크 게 공기 조화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대기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대기모드(300)와,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중임을 표시하는 운전모드(320)와, 다양한 기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능선택모드(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모드(300)는,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화면오프모드(302),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모드(304),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사용자설정모드(3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의 하나가 공기조화기가 출시될 때 일반적으로 셋팅(setting)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셋팅(setting)된 대기모드(300)가 부팅되어 표시된다.
물론, 상기의 대기모드(300)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setting)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booting)시 표시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창(120)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화면오프모드(302)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계모드(304)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현재의 시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각 외에 년월이 함께 표시되며,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동시에 표시되기도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면보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이는 일명 '스크린세이브(screen save)'라고도 불리는 화면보호기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컴퓨터에 널리 사용되는 화면보호기가 실행되는 화면과 동일하다.
상기 사용자설정모드(308)는 사용자가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나 가족의 사진 또는 자신의 캐릭터를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고, 이러한 셋팅(setting)된 이미지가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운전모드(320)는 상기 대기모드(300) 상태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입력하여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면, 상기 운전모드(320)를 구성하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실사운전모드(322)는 상기 메모리(20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실물 영상(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물 영상은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운전모드(324)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202)에 업로드시킨 다음, 이러한 업로드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캐릭터운전모드(326)는 미리 저장된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모드로, 이러한 캐릭터는 정지된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적인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캐릭터운전모드(326)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는 스키를 타는 캐릭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모드(320)는 다른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키(Key)가 입력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모드(320)에서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300)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자동청소(310) 기능이 수행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자동청소(310) 기능은 미리 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운전모드(32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종료되어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즉, 다시 상기 운전모드(320)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로는 운전/부가기능(342)과 앨범기능(344) 등이 있다.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앨범기능(344)은 다양한 사진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기능에서는 냉방이나 제습 등의 공기조화기 사용상태의 선택과 풍량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사용방법 안내기능도 구비된다.
한편, 상기의 각 모드 시행중에 팝업기능(346)이 추가로 수행되기도 한다. 상기 팝업기능(346)은 상기 각 모드의 실행중에 공기조화기의 에러 상태나 입력키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다양한 팝업창을 띄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기능선택모드(340)도 상기의 운전모드(320)에서와 같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기능선택모드(34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도 7은 상기의 대기모드(300), 운전모드(320), 그리고 기능선택모드(340)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 한다(S400).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대기모드(300)를 실행하게 되고(S410),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공기조화기가 작동된다(S421). 즉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실외기모터(218) 등의 공기조화 부품을 작동시켜 실내공간의 공기조화를 실행하게 된다(S421).
반면,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도 판단한다(S430). 판단결과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입력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한다. 따라서 공기청정 기능이 실행된다(S432).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34), 종료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된다(S436). 이때 상기 종료키는 상기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한번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S4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운전모드(320)가 실행된다(S440).
운전모드가 실행되면(S440), 상기 메모리(202)는 시간을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46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좌측키(138) 또는 우측키(139)와 같은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능키가 입력된 경우(S462)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를 실행시키고(S48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4).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46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6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47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S472), 종료한다(S474).
상기에서 기능선택모드가 실행되면(S480), 상기 메모리(202)는 시간을 다시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53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우측키(139, 여기서는 '기능닫기키'로 사용됨)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2).
상기 '기능닫기키', 즉 상기 우측키(139)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운전모드 실행 화면으로 복귀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34).
이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53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 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3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54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542) 키(Key)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종료한다(S544).
한편, 상기의 S464 단계와 S534 단계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가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킨다. 즉, 공기조화 기능의 실행을 정지한다.(S550)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자동청소를 수행한다(S552). 물론 이 기능은 미리 설정된 경우에 행한다.
그 다음, 전원차단 여부를 판단하여(S560),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 실행이 모두 종료(S570)되고,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대기모드 실행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8에는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에 구비되는 사용방법 안내기능의 각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메모리(202)에는 사용메뉴얼 파일(file)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용메뉴얼 파일(file)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어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메뉴얼'의 내용은, 다수의 목록(메뉴)에 의해 분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목록(메뉴)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메뉴얼'는 크게 각부의 명칭(350), 운전 따라하기 (360), 청소 따라하기(370),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380) 그리고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390) 등으로 구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메뉴얼'에는 공기조화기의 각 부분 명칭이 기재된 '각부의 명칭'(350)과,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안내된 '운전 따라하기'(360)와, 청소 방법을 안내한 '청소 따라하기'(370)와, 공기조화기의 이상 상태 발생시 확인할 사항이 기재된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380)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심하여야 할 사항을 기재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390)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목록(메뉴)가 구비된다.
상기 각부의 명칭(350)란에서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내외부의 각 부분 명칭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각부의 명칭(350)은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352) 및 실외기(354), 공기조화기를 조절하는 버튼이 구비되는 조절부(356), 공기조화기를 무선으로 조절 가능한 리모컨(358) 등과 같은 하부목록(메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358) 메뉴는 다시 조작방법(358')과 사용방법(358")으로 구체적으로 분류되어 설명된다.
상기 운전 따라하기(360)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지시사항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운전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운전 따라하기(360)는 실내를 시원하게 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냉방운전(362), 희망온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온도조절(364),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바람조절(366) 그리고 다수의 부가적인 기능 설정 방법을 안내하는 부가기능(368)과 같은 하부목록(메뉴)를 가진다.
상기 냉방운전(362) 메뉴에서는 쾌적하고 산뜻한 바람으로 실내를 시원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를 어떻게 조작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사용방법을 상세히 보여준다.
상기 온도조절(364) 메뉴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희망온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바람조절(366) 메뉴는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과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바람조절(366) 메뉴는 다시 토출되는 바람의 좌우 조절 방법을 안내하는 좌우풍향조절(366a), 토출되는 바람의 상하 조절 방법을 안내하는 상하풍향조절(366b) 그리고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366c) 등의 하부목록(메뉴)으로 분류된다.
상기 좌우풍향조절(366a) 메뉴는 바람의 토출방향을 좌우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며, 상기 상하풍향조절(366b) 메뉴는 바람의 토출방향을 상하로 간편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풍량조절(366c) 메뉴는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강'이나 '파워' 또는 '약' 등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상기 부가기능(368)에는 인공지능(368a), 제습운전(368b), 터보Z냉방(368c), 디지털절전냉방(368d), 3면입체청정시스템(368e), 간편예약(368f), 현재시각맞춤(368g), 켜짐예약(368h) 그리고 꺼짐예약(368i) 등의 하부목록이 구비된다.
상기 인공지능(368a)은 실내온도를 상기 센서부(212)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메뉴이다.
상기 제습운전(368b)은 습도가 높은 날에 효과적인 습기 제거와 냉방운전을 동시에 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며, 상기 터보Z냉방(368c)은 짧은 시간 내에 강하게 냉방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상기 디지털절전냉방(368d)은 생체리듬에 맞는 쾌적냉방 및 필요한 공간만을 냉방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기 위한 설정방법을 안내한다.
상기 3면입체청정시스템(368e)은 실내공기를 깨끗하고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 3면 입체청정 운전을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간편예약(368f)은 사용자가 원하는 예약 시간만큼 운전한 후 자동으로 꺼지도록 예약시간 설정을 안내하는 메뉴이며, 상기 현재시각맞춤(368g)은 간편하게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메뉴이다.
그리고, 상기 켜짐예약(368h)과 꺼짐예약(368i)은 사용자가 설정해 둔 예약시간에 자동으로 공기조화기가 켜지거나 꺼지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메뉴이다.
상기 청소 따라하기(370)는 공기조화기 내부를 청소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필터청소(372),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374), 헤파필터 교환방법(376) 그리고 보관방법(378) 등의 하부목록이 있다.
상기 필터청소(372)는 프리필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양한 필터를 진공청소기나 솔 등으로 청소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메뉴이며, 상기 플라즈마크린시스템 청소(374)는 공기조화기에 플라즈마크린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 경우에 이러한 플라즈마크린시스템을 청소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헤파필터 교환방법(376)은 별개로 구비된 헤파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교환하는 방법을 안내하며, 상기 보관방법(378)은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조치를 안내하는 메뉴이다.
상기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380)은 공기조화기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서비스센터에 의뢰하기 전에 사용자 스스로 상태를 체크(check)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증상(382)과 확인(384) 그리고 조치사항(386)의 하부목록이 구비된다.
상기 증상(382)은 공기조화기의 다양한 이상 상태를 나열하고 있으며, 상기 확인(384)은 상기 다수의 증상(382)에 대해 개별적으로 확인하여야 할 사항을 나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치사항(386)은 증상(382)과 확인(384)을 한 다음에 조치하여야 할 내용을 나열하고 있다.
상기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390)은 공기조화기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사용하여 예기치 못한 위험이나 손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주의해야할 지시사항을 나열한 것으로, 여기에는 경고(392)와 주의(394)의 하부목록이 구비된다.
상기 경고(392) 메뉴에는 지시사항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 사용자가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가 나열되어 있고, 상기 주의(394) 메뉴에는 지시사항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 사용자가 부상이나 재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경우가 나열되어 있다. 즉, 공기조화기를 설치할 때나 사용전,후 그리고 사용시에 주의해 야할 각 사항들이 나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방법 안내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운전/부가기능(342) 설정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이다. 즉,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의 설정 중 도 9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메뉴얼'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사용메뉴얼의 각 메뉴가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사용자가 도 9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메뉴얼'을 선택하여 사용메뉴얼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과정이 플로우차트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도 9와 같은 운전/부가기능 설정화면에서 '사용메뉴얼' 아이콘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0).
판단결과(S600), '사용메뉴얼'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메뉴얼 메인화면을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display)한다(S602).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메뉴얼'의 각 주요목록이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즉, 각부의 명칭(350), 운전 따라하기(360), 청소 따라하기(370),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380) 그리고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390) 등의 목록이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각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목록 중 어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하부목록을 디스플레이(display)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각부의 명칭'이 선택되 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10), '각부의 명칭'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운전 따라하기'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0).
그리고 '운전 따라하기'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청소 따라하기'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S800) 다음,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S900) 및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S950)를 차례로 판단한다.
도 11 내지 도 15에는 상기와 같은 사용메뉴얼 메인화면(S602)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하부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상기 S610단계에서 '각부의 명칭'이 선택된 경우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에는 '각부의 명칭'에 대한 하부목록이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display)된다(S612).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내기(352), 실외기(354), 조절부(356), 리모컨(358) 등의 하부목록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며(S612), 사용자는 이러한 하부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실내기'메뉴를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20).
판단결과(S620), '실내기'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실내기의 각부 명칭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2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실외기'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30).
이때 '실외기'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실외기의 각부 명칭을 상기 표시부 (230)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3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절부'메뉴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그리고, '조절부'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조절부'의 각부 명칭을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4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모컨'메뉴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판단결과(S650), '리모컨'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리모컨'조작 메인화면을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5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612단계가 지속되어 사용자의 메뉴 선택을 기다리게 된다.
상기 S652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사용자가 리모컨의 '조작방법'메뉴를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660), '조작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리모컨 조작방법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6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사용방법'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70). 이때 '사용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리모컨의 사용방법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67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652단계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명칭이나 사용방법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좌우이동키(◀▶,볼륨키)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명칭이나 사용방법 등이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리턴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680), 판단결과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즉, 상기 S612단계로 복귀한다.
도 12에는 상기 S700단계에서 '운전 따라하기'가 선택된 경우의 하부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에는 하부목록이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데(S702), 여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방운전(362), 온도조절(364), 바람조절(366) 그리고 부가기능(368) 등의 목록이 디스플레이(display)된다(S702).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상기의 목록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냉방운전'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710), 냉방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냉방운전 방법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71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온도조절'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20).
판단결과, '온조조절'이 선택된 경우에는 온도조절 방법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72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바람조절'메뉴의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730).
이때 '바람조절'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230)에 바람조절에 관련된 하부목록을 디스플레이(display)한다(S731).
그다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바람조절'메뉴의 하부항목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먼저 '좌우풍향조절'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32).
판단결과, '좌우풍향조절'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좌우풍향 조절방법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고(S733),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하풍향조절'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34).
이때 '상하풍향조절'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하풍향 조절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3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풍량조절'메뉴의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736).
그리고 '풍량조절'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풍량조절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3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는 상기 S731단계가 지속된다.
한편, 상기 S730단계에서 '바람조절'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가기능'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40). 이때 '부가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702단계가 지속되고, '부가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부가기능'에 대한 하부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S741).
즉, 상기 표시부(230)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공지능(368a), 제습운전(368b), 터보Z냉방(368c), 디지털절전냉방(368d), 3면입체청정시스템(368e), 간편예약(368f), 현재시각맞춤(368g), 켜짐예약(368h) 그리고 꺼짐예약(368i) 등의 하부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S741),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이러한 하부목록 중 어느 목록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먼저 '인공지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742), 인공지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인공지능 설정방법을 디스플레이한다(S743). 그리고 '인공지능'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제습운전'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44).
판단결과, '제습운전'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습운전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4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터보Z냉방'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46).
'터보Z냉방'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터보냉방 설정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4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지털절전냉방'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48).
이때 '디지털절전냉방'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절전냉방 방법에 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749),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3면입체청정시스템'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50).
'3면입체청정시스템'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3면입체청정시스템 설정방법에 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751),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간편예약'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52).
'간편예약'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간편예약 설정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53),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시각맞춤'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54).
'현재시각맞춤'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현재시각을 설정하는 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5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켜짐예약'메뉴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56).
'켜짐예약'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켜짐예약 설정방법을 디스플레이하며(S75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꺼짐예약'메뉴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758).
판단결과(S758), '꺼짐예약'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꺼짐예약 설정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759),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741단계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설정방법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좌우이동키(◀▶,볼륨키)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부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각각의 설정 방법이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리턴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760), 판단결과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즉, 상기 S702단계로 복귀한다.
도 13에는 상기 S800단계에서 '청소 따라하기'가 선택된 경우의 하부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에는 '청소 따라하기'에 관련된 하부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S802).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터청소(372),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374), 헤파필터 교환방법(376) 그리고 보관방법(378) 등의 하부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S802), 상기 제어부(200)는 이러한 목록 중 어느 목록이 사용자에게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필터청소'메뉴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10). 이때 '필터청소'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필터청소 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81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메뉴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820).
판단결과,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메뉴가 입력된 경우에는 플라즈마크린시 스템의 청소에 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S82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헤파필터 교환방법'메뉴의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830).
이때 '헤파필터 교환방법'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러한 헤파필터(도시되지 않음)의 교환방법을 디스플레이하고(S83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관방법'메뉴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840).
판단결과, '보관방법'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보관시의 방법에 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84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802의 단계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청소 또는 보관방법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좌우이동키(◀▶,볼륨키)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부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각각의 청소 또는 보관방법이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리턴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850), 판단결과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즉, 상기 S802단계로 복귀한다.
도 14에는 상기 S900단계에서 '고장신고 전 확인사항'이 선택된 경우의 하부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먼저 '증상'목록이 디스플레이되어(S902), 사용자가 해당 증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상'에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부(200)가 판단한다(S910).
이때 '증상'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증상에 대한 '확인'목록을 디스플 레이한다(S912). 그다음, 사용자가 확인 목록 중 세부항목을 다시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920), 세부 확인항목에 해당하는 '조치사항'을 디스플레이한다(S922).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치사항'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좌우이동키(◀▶,볼륨키)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부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조치사항'이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리턴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924), 판단결과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즉, 상기 S902단계로 복귀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증상->확인->조치사항'이 차례로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동시에 '증상'과 '확인' 및 '조치사항'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에는 상기 S950단계에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이 선택된 경우의 하부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표시부(230)에 주의사항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S952). 따라서 사용자는 주의사항의 각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먼저 사용자가 '경고'항목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60).
판단결과, '경고'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경고'내용이 디스플레이되고(S96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주의'항목의 선택여부를 판단한다(S970).
이때 '주의'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주의'내용이 디스플레이되고(S97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952단계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경고' 또는 '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좌우이동키(◀▶,볼륨키)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부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경고' 또는 '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리턴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980), 판단결과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즉, 상기 S952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경고'내용과 '주의'내용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에서는 '리턴버튼'의 입력여부 판단이 각 하부목록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된 다음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리턴버튼'의 입력여부 판단이 수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리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는 이전화면이나 해당목록의 초기화면 또는 사용설명서의 초기화면으로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사용메뉴얼'은 내용이 텍스트 또는/및 이미지( 영상)로 이루어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텍스트와 이미지(영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사용메뉴얼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 열람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되는 사용메뉴얼이 목록별로 세분화되고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만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리턴버튼'에 의해 초기화면으로 바로 복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 검색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Claims (6)

  1. 공기조화기의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사용메뉴얼이 내장되고, 상기 사용메뉴얼은 외부로 디스플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은,
    다수의 목록(메뉴)에 의해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메뉴얼에는,
    공기조화기의 각 부분 명칭에 대한 기재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메뉴얼에는,
    다양한 필터를 진공청소기나 솔 등으로 청소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필터청소'와,
    플라즈마크린시스템을 청소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플라즈마크린시스템청소'와,
    헤파필터를 교환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헤파필터 교환방법'과,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조치를 안내하는 '보관방법'이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페이지(page)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메뉴얼의 내용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된 다음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초기화면으로 복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59184A 2005-07-01 2005-07-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20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184A KR101202495B1 (ko) 2005-07-01 2005-07-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CT/KR2006/002518 WO2007032594A2 (en) 2005-07-01 2006-06-28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6823579A EP1910748A2 (en) 2005-07-01 2006-06-28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B2006100999302A CN100464128C (zh) 2005-07-01 2006-06-30 空调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184A KR101202495B1 (ko) 2005-07-01 2005-07-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303A true KR20070003303A (ko) 2007-01-05
KR101202495B1 KR101202495B1 (ko) 2012-11-16

Family

ID=3765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184A KR101202495B1 (ko) 2005-07-01 2005-07-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2495B1 (ko)
CN (1) CN100464128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900A (zh) * 2011-04-01 2012-10-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手动除湿功能的空调装置及其操作方法
CN105066381A (zh) * 2015-09-15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获取空调的维修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123238A (zh) * 2016-07-18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显示方法、装置及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003B2 (ja) * 2007-02-13 2012-08-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コントローラ
KR20110111900A (ko) *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 그를 구비한 사용 설명서 제공 시스템 및 사용 설명서 제공 방법
US9898169B2 (en) * 2011-10-13 2018-02-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creen help with contextual shortcut on an appliance
US10240810B2 (en) 2014-01-27 2019-03-26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Display device and application program
CN103903594B (zh) * 2014-04-14 2017-08-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遥控器、家用电器及其显示器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277224B (zh) * 2014-07-01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故障内容显示方法及系统
JP6299715B2 (ja) * 2015-09-30 2018-03-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CN110030673A (zh) * 2019-03-13 2019-07-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2484242B (zh) * 2020-11-30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空调选型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5468B2 (ja) * 1996-05-30 2008-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操作器
JPH10160229A (ja) * 1996-11-28 1998-06-19 Toshiba Corp 空調用集中管理装置
CN2401836Y (zh) * 1999-12-06 2000-10-18 广东科龙空调器有限公司 微电脑空调控制器
JP2001242928A (ja) * 2000-03-02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ル生産作業者支援システム
US6789739B2 (en) * 2002-02-13 2004-09-14 Howard Rosen Thermostat system with location data
JP2004046413A (ja) * 2002-07-10 2004-02-12 Daikin Ind Ltd 省エネルギー用部品/省エネルギー用機器の導入関連情報提供装置
JP2004126927A (ja) * 2002-10-02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機器制御装置
JP3943520B2 (ja) * 2003-03-28 2007-07-11 東邦瓦斯株式会社 温調機器の予約運転開始時刻の設定システム
JP4244676B2 (ja) * 2003-03-28 2009-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空調管理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900A (zh) * 2011-04-01 2012-10-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手动除湿功能的空调装置及其操作方法
CN102734900B (zh) * 2011-04-01 2014-12-1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手动除湿功能的空调装置及其操作方法
CN105066381A (zh) * 2015-09-15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获取空调的维修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123238A (zh) * 2016-07-18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显示方法、装置及空调
CN106123238B (zh) * 2016-07-18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显示方法、装置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4128C (zh) 2009-02-25
KR101202495B1 (ko) 2012-11-16
CN1900614A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0575797C (zh) 空调器
KR20070088834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KR10124547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0291A (ko)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CN1880869B (zh) 空调器
KR20070080293A (ko)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에서의 기념일 표시 방법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216261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30410A (ko) 사용방법 안내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EP1910748A2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36815A (ko) 공기조화기
KR20070088837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방법
KR1011455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88512B1 (ko)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KR100788514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188514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700888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22228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221705B1 (ko) 공기조화기
KR1012216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05183A (ko) 공기조화기
KR10076557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1845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30444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1102

Appeal identifier: 2012101008188

Request date: 2012092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0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2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