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460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7460A KR20060127460A KR1020050048461A KR20050048461A KR20060127460A KR 20060127460 A KR20060127460 A KR 20060127460A KR 1020050048461 A KR1020050048461 A KR 1020050048461A KR 20050048461 A KR20050048461 A KR 20050048461A KR 20060127460 A KR20060127460 A KR 20060127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control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terminal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과, (2)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1) determining a display mode of a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and (2) a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display mode control signal;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display unit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에도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화면조명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by keeping the screen illumination to a minimum according to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and thus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전력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nge process and power consumption of a display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ode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마이크 경로 혹은 이어 경로에서 시간에 따른 음성신호의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level of the audio signal over time in the microphone path or the ear path.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a call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It is about.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서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MP3,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 단말기로 진화하고 있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 구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이다. 즉,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단말기에서 LCD의 색 재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QVGA급 LCD의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At pres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volved into a complex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MP3, and games beyond simple communication means. The display function of the terminal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lementing these various functions. In other words, consumers are increasingly demanding color reproduction of LCDs in a terminal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accordingly, the use of QVGA-class LCDs is rapidly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전류 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mode and a current consump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이에 따른 전류 소모량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n example of the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as follows.
종래의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조명 메뉴를 통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화면조명을 계속 온(On)시킬 수도 있고, 단말기의 사용중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조명이 어두워지는 디밍(Dimming) 모드와 좀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조명이 꺼지는 오프(Off)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user may set the display mode of the terminal through the screen lighting menu. That is, the screen lighting can be turned on continuously, the dimming mode in which the screen light becomes dark when a certain time passes while the terminal is in use, and the off mode in which the screen light turns off when more time elapses. Can be set.
LCD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은 약 40mA이다[S100]. 그 후, 사용자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LCD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류 소모량이 약 250mA로 증가하게 된다[S110].The current consumption when the LCD is not powered is about 40mA [S100]. After tha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CD by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the user, the current consumption increases to about 250 mA [S110].
사용자가 호(Call)를 연결하여 통화하는 경우, 약 470mA의 전류가 소모되고[S130],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밍(Dimming) 모드로 전환되어 전류 소모량이 약 360mA로 감소한다[S140]. 통화중에 좀 더 시간이 경과하면 LCD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서 오프(Off) 모드로 전환되어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통화가 계속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류 소모량은 약 280 mA를 유지하게 된다[S150].When a user connects a call and talks, a current of about 470 mA is consumed [S130],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enters a dimming mode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to about 360 mA [S140]. After a while during the call, the LCD will be powered off and switched of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all continues, the current consumption is maintained at about 280 mA [S150].
사용자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DMB폰)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약 650mA의 전류가 소모된다. 방송을 계속 수신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LCD가 오프되면 약 540mA의 전류가 소모된다[S160].When a user watches a broadcas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DMB phone)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a current of about 650 mA is consumed. If the LCD is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broadcast is still being received, about 540 mA of current is consumed [S160].
한편, FS Type의 LCD인 경우 많은 소모전류를 요구하고, 기존의 LCD와 같은 Back Light를 사용하지 않아 LCD의 Back Light를 오프(Off)시키는 기능이 없다. 그래서, 종래에는 통화중이거나 혹은 단말기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LCD에서 디밍(Dimming) 모드를 거친 후 LCD를 오프시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었다. 만약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여 항상 LCD를 켜 놓게 되면 전력 손실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중에 사용시간 등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LCD를 켜야 한다. 이때 키를 누르는 소리가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불필요한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S type LCD, a lot of current consumption is required, and there is no function to turn off the back light of the LCD because it does not use the back light like the existing LCD. Thus, conventionally, when a call is in progress or the terminal is not used for a certain time, a function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implementing a dimming mode on the LCD and then turning off the LCD has been implemented. If the LCD is always on by supplying a constant power without using such a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loss becomes very large. In addition, when the LCD is off, the user should turn on the LCD by using a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in order to check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usage time during a call.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of pressing the key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which may act as unnecessary noi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that can control the screen illuminatio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에 단말기의 키를 눌러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without turning on the display by pressing a key of the terminal during a call.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은,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mode of the terminal scre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은, 호(Call)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단말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voice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call; Determining a display mode of the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the detection; And displaying the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display mod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voice signal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unit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 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오프(Off) 모드로 결정되고, 음성신호가 검출되면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된다.Preferably,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n off mode if a voice sig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dimming mode if a voice signal is detec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1)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DMB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DMB phone, a wireless LAN terminal, etc. Say this is possible terminal.
(2) 디스플레이 모드란, 온(On) 모드, 디밍(Dimming) 모드 및 오프(Off) 모드 등 화면의 조명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LCD 등 단말기 화면에 공급되는 전력 상태를 말한다. 온 모드는 전력이 최대한 공급되는 상태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가장 뚜렷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디밍 모드는 최대 전력 수준을 밑도는 일정한 전력 수준으로만 공급되는 단계로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어둡게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오프 모드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단계로서 사용자에게 단말기 화면이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2) The display mode indicates an illumination state of a screen such as an on mode, a dimming mode, and an off mode, and refers to a power state supplied to a terminal screen such as an LCD. The on mode is the state where the power is maximized, and the terminal user can see the screen most clearly. In addition, the dimming mode is a step of supplying only a constant power level below the maximum power level, and refers to a dark state to the terminal user. The off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is cut off, and the terminal screen is not visible to the user.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ode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to 4,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부(400), 제어부(410), 마이크(420), 스피커(430) 및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부(4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제어부(410)는, 통화중에 음성신호를 검출한다[S200]. 여기서, 음성신호는, 마이크(MIC) 경로(440)을 통과하거나 이어(EAR) 경로(450)를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마이크(42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 상태에 있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400)를 통하여 수신된 후, 상기 이어 경로(450)를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430)로 출력된다.First, the
그 후,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한다[S210].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의 결정 과정을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Thereafter, the
상기 마이크 경로(440) 혹은 상기 이어 경로(450)에서 음성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300]. 음성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세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10].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된다[S320].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미만이면, 음성신호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로 회귀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만 디밍 모드로 결정하는 것은, 화자(話者)의 음성신호가 아닌 주위의 소음 등 기타 음성신호가 검출된 경우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화자의 음성신호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신호세기 외에도 주파수 대역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신호세기는,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e
만약,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음성신호 미검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 후[S330],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오프(Off) 모드로 결정된다[S340]. 만약,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음성신호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로 회귀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f the voice signal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ice signal non-detection state has elapsed a predetermined time [S330]. If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o be an off mode [S340]. . If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0 to determine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set time may be preset in advance or set by a user of the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된 후,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60) 에 표시되도록 한다[S220].After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he
도 5는, 마이크 경로 혹은 이어 경로에서 시간에 따른 음성신호의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level of the audio signal over time in the microphone path or the ear path.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마이크 경로만을 상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splay mod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Here, only the microphone path is assumed.
A 영역(500) 및 B 영역(510)은, 음성신호가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C 영역(520) 및 D 영역(530)은, 음성신호가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A
상기 A 영역(500)에서는 음성신호가 검출되지만, 검출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소정의 설정세기 미만으로서 노이즈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가 디밍 모드로 바뀌지 않고 오프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B 영역(510)에서는 검출된 음성신호가 소정의 설정세기 이상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밍 모드로 결정되어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통화중인 상대방, 통화 시간, 현재 시각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e
상기 C 영역(52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지만, 음성신호의 미검출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 미만으로서 너무 짧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가 오프 모드로 바뀌지 않고 디밍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D 영역(530)에서는 음성신호의 미검출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 이상으로서 충분히 길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드가 오프 모드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D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오프되어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s not detected in the
이어 경로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어된다.Subsequently,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bove, and the state of the display is controlled accordingly.
또한, 폴더형 단말기 사용자가 이어잭(Ear Jack)을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는, 폴더가 열려 있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콘트롤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of a folder type terminal calls using an ear jack,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display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when the folder is op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화면조명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can be kept to a minimum by controlling the display according to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화면조명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통화중에 단말기의 키를 눌러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지 않고도 최소한의 전력소모 상태에서 통화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creen illumin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a voice signal is detected during a call,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alk time in a state of minimal power consumption without the user pressing a key of the terminal during a call and turning on the display. Can be provided.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en) | 2005-06-07 | 2005-06-0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en) | 2005-06-07 | 2005-06-0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7460A true KR20060127460A (en) | 2006-12-13 |
Family
ID=3773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en) | 2005-06-07 | 2005-06-0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27460A (en) |
-
2005
- 2005-06-07 KR KR1020050048461A patent/KR2006012746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82562B1 (en) |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 |
KR10075081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power management | |
JP2007532069A (en) | Sensor screen saver | |
KR10068954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ntenn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 |
US8670367B2 (en) | 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notifying incoming call for mobile terminal | |
JP4496547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cessing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 |
CN107592407A (en) | The method and device of adjustment call relevant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process | |
JPH10271199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JP2891935B2 (en) | Mobile phone equipment | |
JP2003037656A (en) | Mobile telephone set and back light control method therefor | |
JP5176395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06012746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1087058A (en) |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 |
KR100455999B1 (en) | Method for dispalying partial information in mobile phone for power saving | |
JP2005094418A (en) | Cellular phone having television reception function | |
JPH0927844A (en) | Portable telephone set with display function | |
JP2004328327A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liquid crystal remote control | |
JP2003078603A (en) | Back light control method for foldable portable telephone set | |
JP3877515B2 (en) | Mobile phone | |
KR20060068539A (en) | Power sav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050070542A (en)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
KR20050043294A (en) |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
JP2002077356A (en) | Portable telephone terminal | |
KR20050115487A (en) |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 light i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 |
JP2007013443A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