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542A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70542A KR20050070542A KR1020030100201A KR20030100201A KR20050070542A KR 20050070542 A KR20050070542 A KR 20050070542A KR 1020030100201 A KR1020030100201 A KR 1020030100201A KR 20030100201 A KR20030100201 A KR 20030100201A KR 20050070542 A KR20050070542 A KR 20050070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control
- control mode
- user
- power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부팅 시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을 입력받고 키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해당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최소한의 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부팅 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디바이스만 온 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aving battery power by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ach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at boot tim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widening the user's selection by selecting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with minimal power, and boot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roved since onl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is turned on at boot time. Can be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보장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원 공급원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따라 1회 충전에 의하여 최대 사용 시간이 결정된다. 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전류 소모가 발생하여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의 큰 제약사항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요즈음은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이전까지의 배터리 사용시간보다도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장하는 배터리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충전 용량을 늘리는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 이외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켜 배터리 전원을 최대한 절약하는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The basic requirement fo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long-term use of the battery.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and the maximum use time is determined by one charge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However, when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a lot of current consumption occurs and if the battery needs to be replaced frequently, it will be a big limitation of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the battery itself is progressing these days, and the battery which is guaranteed to be much superior to the battery life until now is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battery itself technology to increase the battery charging capacity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s continuously developing a technology that minimizes the current consumption to save the battery power.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파워 업(Power-up) 상태, 즉 이동 통신 단말기 전체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통화 기능 및 그 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주된 기능만을 사용하는 사용자인 경우 또는 배터리가 거의 소모되어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인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howev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using a call function and various other additional functions in a power-up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a user using only a main function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user who wants to use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ecause the battery is almost exhausted. .
특히,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ON)하면 부팅 과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든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력 소모량이 많고 부팅 과정에 따른 부팅 시간도 오래 걸린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 디바이스를 온시킬 필요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요구된다. In particular, when a user who wants to use only a specific function turns o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all par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booting process, which consumes a lot of power and takes a long time to boot.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operate in a mode that performs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without the need to turn on 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when the battery level is low.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따라 사용 가능 시간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정적인 배터리 전원에 의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확인하지 못한 사이에 배터리 전원이 이동 통신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배터리 용량 이하로 떨어져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잔존 용량 부족으로 상대방과 통화중에 통화가 단절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a usable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rging capacity of a provided battery. As a result, the user relies on limited battery pow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while the user does not check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the battery power is frequently used to fall below the battery capacit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all is frequently disconnected while talking to the other party due to the lack of battery remaining capacity.
그리고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배터리 잔존 용량 부족시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유지하는데 실제 필요하지 않은 키입력부나 표시부 등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부팅 시 이동 통신 단말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하지 않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 온됨과 동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든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부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of causing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by continuously supplying power to a key input unit or a display unit which is not actually required to maintain a c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p to now have been designed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boot time, and thus do not meet the demand of using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by cau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power is supplied to all de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same time, a booting time is long.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려는 요구에 따라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dditional hardware according to a request of using only a specific function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은 부팅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을 절약하며,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equest at the time of booting, saving battery power and shortening the booting tim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원 제어 모드에 대응한 키입력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전원 온 동작 수행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부팅 완료 전에 상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을 검사하여 메모리에 상기 키입력에 대응하여 저장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전원 제어 데이터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온 시킴으로써 상기 부팅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nd storing a key input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power control modes by a user, and booting from the user when a power-on operation is performe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before completion, reading the power control data for each power control mod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in the memory by examining the key input, and reading And turning on the power supply to eac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power control dat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화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후술될 각 디바이스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전원은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말하며, 전원 공급부(11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후술하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해당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부(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스위치부(120)는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ler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power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s each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predetermined power refers to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and the power supply unit 115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described below to eac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when the power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the operation. Herein,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device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to the switch unit 120. In addition, the switch unit 1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onnects or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devic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그리고 송수신부(105)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러한 송수신부(105)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수신부(105)는 RF 모듈과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구성된다. 먼저, RF 모듈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제어부(100)와 RF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에 인가하며, RF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11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transmitter / receiver 105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detail, the transceiver 105 is composed of an RF module and a baseband processor. First, the RF module transmits / receives an RF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T. The RF module converts a received RF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utputs the signal to a baseband processor, and outputs an IF signal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or. Transmit to RF signal. Here, the baseband processor is a baseband analog ASIC (BA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RF module. The baseband processor converts the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00 into an analog IF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RF module.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modul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00. The voice signal processor 11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00.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
그리고 표시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145)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한 전원 제어 모드 변경시 전원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25 receives and displays display data on key input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or displays an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cons and text. do.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5 allows the user to visually know the state in setting or driving a required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5 displays a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for allowing a user to set a power control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5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wer control mode has been changed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chang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이러한 표시부(125)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35)는 백라이트(130)를 구비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하고 스위치부(120)를 통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여기서 표시부(125) 및 백라이트(130)의 오프 상태는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표시부(125) 및 백라이트(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상태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폴더/플립등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130)는 온 되고, 폴더/플립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백라이트(130)는 오프된다. 이와 달리 표시부(125)는 폴더/플립 등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온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25)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오프되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임의의 특정키를 통한 키입력이 있으면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되면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를 표시하기 위하여 온 된다.The display device 135 including the display unit 125 includes a backlight 130, and displays the state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witch unit 120 (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100). Here, the off state of the display unit 125 and the backlight 130 refers to a disconnection state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to the display unit 125 and the backlight 130. Typically, the backlight 130 is turned on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opening of a folder / flip, and the backlight 130 is turned off when there is no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 flip. In contrast, the display unit 125 is turned on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opening of a folder / flip or the lik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5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and when the user inputs a key through any specific key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while being changed to the normal power mode. Come to do.
그리고 링거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링 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링거부(140)는 호 착신이 있어 링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링거음을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키입력부(145)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145)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145)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ringer 140 outputs ringing sound when the ring signal is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However,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the ringer unit 140 does not output the ringing tone even if a ring signal is received because the call is received. The key input unit 145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0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That is, the key input unit 145 outputs its own key input data according to the input of each key provided, and the key input data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145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such key input data is stored. It is detected which key input data is us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oller 100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또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모리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 메뉴가 설정되면 이를 숫자키와 같은 소정의 특정키에 대응하여 전원 제어 모드를 저장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부팅 완료 전에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독출한다. 여기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데이터란 사용자에 의해 각 디바이스가 온/오프 설정되어 하나의 전원 제어 모드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vo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mory, etc. In addition, when the power control mode menu is set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he memory unit 150 stores the power control mode in response to a specific specific key such as a numeric key.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00 reads power control data for each power control m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in response to a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before booting is completed. Here, the power control data for each power control mode refers to data stored in one power control mode by setting each device on / off by a us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메뉴의 설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인 도 3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화면 예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setting a power control mod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lso, in order to explain this with specific examples,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setting of a power control mod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for changing a power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4.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메뉴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시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a)처럼 디바이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00)는 (2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온/오프를 선택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온/오프할 디바이스 리스트에는 비디오(VIDEO), 사운드(SOUND), USB (Universal Serial Bus : 범용직렬버스), 저장장치(Flash Memory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 입력될 수도 있고, 디폴트 값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모드 메뉴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디바이스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된 각 디바이스 상태의 온/오프를 설정받음으로써 배터리 사용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설정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setting a power control mode menu from the user in step 2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a key inpu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0 and displays a list of de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turned on / off as shown in FIG. If the device lis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 (a),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20 and receives on / off selection of each device from the u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st of devices to be turned on / off may include a video, a sound, a USB (Universal Serial Bus), a storage device (Flash Memory, etc.). This device list may be further input by the user or may be determined by a default value. 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mode menu is set to efficiently use the battery life by setting on / off of each device state displayed in the device lis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예를 들면, 남아 있는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고자 하는 경우 남아 있는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대기 시간을 늘리기 위해 표시부(125)를 통한 비디오 기능만을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부팅 시 비디오만 온으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로 부팅하기 위해 해당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단축키를 누르면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악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기능은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운드 기능만 사용하기 위해 사운드만 온 시키는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설정하면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find a desired 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re is almost no battery remaining, the video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is used to increase the waiting time by efficiently using the remaining battery. You can only use it. To do this, the user presses a shortcut key set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in order to boot into a power control mode in which only video is on at boot time. 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listen to music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MP3 player, the video function does not need to be used. Therefore, the user only needs to set a power control mode menu to turn on the sound to use only the sound fun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USB는 최근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한 사진 파일을 PC로 전송할 경우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비디오 및 USB 를 온 시키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저장 장치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말하며, 다운로드 받은 벨소리, 배경 그림 등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는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디바이스를 온 또는 오프시켜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B included in the device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transferring a picture file taken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o a PC. Thus, the user can set the power control mode to turn on the video and USB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included in the device list refers to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the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downloaded ringtone and the background picture may be turned on or off as requir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t the power control mode by selectively turning on or off each device as desired or as required.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각 디바이스 온/오프 선택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각 디바이스 온/오프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검사하여 완료된 경우 제어부(100)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각 디바이스 온/오프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숫자키를 입력받고, 각 디바이스 온/오프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의 이름과 함께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의 이름과 함께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each device on / off selection by the user is completed in step 230. That is, when it is completed by checking that each device on / off sel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40 to store each device on / off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as shown in FIG. 3 (b). Receives a numeric key, and stores each device on / off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entered with the user-defined name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00 may generate a power control mode menu with a user-defined name in response to the input numeric keys as shown in FIG.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Hereinafter, a power control mode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mod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부팅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전원 온동작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온동작에 따른 부팅 시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검사한다. 여기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은 키입력부(145)에 내장된 전용 키 또는 기 설정된 단축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숫자키를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약, (505)단계에서 소정 시간내에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향후 사용 가능성을 예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든 디바이스를 온 시키는 부팅 과정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First, if there is a key input for turning on the system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oes through a booting process.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user in operation 5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key input for the power-on operation,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05 and the key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when booting according to the power-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 for input. Herei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a user pressing a dedicated key embedded in the key input unit 145 or a predetermined hot key, that is, a numeric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505,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10 and typically predicts the future availability of the user to turn on all de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erform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booting process.
한편, (505)단계에서 소정 시간내에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키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키입력에 대응하여 저장해놓은 전원 제어 모드로 부팅을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디바이스를 온 시킨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53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디바이스만 온 된 상태로 부팅 과정이 완료되면 부팅 이후에 사용자가 부팅할 때 온 시키지 않은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505,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15 to analyze the key input data press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analyzed key input. Boot into the saved power control mod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520 to turn 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Then,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525 to operate in the set power control mode. In the state of performing the power control mode se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in step 530. The change of the power control mode is required when the user wants to use another device that is not turned on when the user boots up after the booting process is completed with onl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turned on.
상술한 바와 같이 부팅 이후에 온 시키지 않은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35)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원 제어 모드 리스트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이루어진다. 여기서 현재의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53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일반 전원 모드에서는 표시장치(135)가 온되어 제어부(100)는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전원 모드란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원 제어 단계인 제어부(100)가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없으면 백라이트(130)를 오프시키고 폴더/플립이 개방되지 않으면 표시장치(135)를 비롯한 해당 디바이스들을 오프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a device that is not turned on after booting, the user may select to change the power control mode. The power control mode change is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ower control mode list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5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display a menu for changing the current power control mod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35 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and changes to the general power mode. As described above, in the general power mode, the display device 135 is turned on so that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Herein, the general power mode means that the control unit 100, which is a power control stage currently being used, turns off the backlight 130 when there is no key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orresponding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135 when the folder / flip is not opened.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urn them off.
만약 부팅 완료 후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에 따라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이러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는 일반 전원 모드에서 표시장치(135)를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장치(135)가 온 되는 일반 전원 모드에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또는 변경을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54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If after the boot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0 changes to the general power mode according to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by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40 to display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as shown in FIG. 4. Display. That is,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5 in the normal power mode.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 menu for selecting 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in the general power mod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35 is turned on. Then, in step 545, the controller 100 checks which one of the menus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검사 결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원 제어 모드가 없으면 제어부(100)는 (550)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전원 모드 동작에 따른 전술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만약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취소키와 같은 기능키를 입력받아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선택을 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일반 전원 모드로 동작하며 이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If there is no power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550 to perform the aforementio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power mode operation. In other words, if a user does not select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by receiving a function key such as, for example, a cancel key, the controller 100 operates in the general power mod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한편, 검사 결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원 제어 모드가 있으면 제어부(100)는 (555)단계로 진행하여 전원 제어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원 제어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장치(135)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변경된 전원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변경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치부(120)를 통해 각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각 디바이스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ower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555 and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wer control mode has been changed to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5. . Then, the controller 100 operates in the changed power control mode. 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controls each device by turning on or off the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through the switch unit 120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power control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를 표시부(125)를 통해 표시한다.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되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번째 메뉴인 즉,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듯이 외워놓은 단축키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해당 디바이스만을 온 시키도록 설정한 "3.통화기능만 온" 의 전원 제어 모드인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즉, "3.통화기능만 온" 의 전원 제어 모드에서 전화왔음을 알리기 위해 사운드만 온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a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set the power control mode.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displayed as shown in FIG. 4 may be set and add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third menu, that is, the user inputs a shortcut key or a phone number memorized like a normal telephone, and sets only the corresponding device to be able to talk to the other party. 3. The power control mode of "Only the call function is on" is as described below. That is,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only the sound is turned on to indicate that the telephone is in the power control mode of " 3. Call function ON ".
이에 따라 부팅 시 제어부(100)는 전원 제어 모드 설정에 따라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20)로 출력하여 표시장치(1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통화 기능에 필요한 디바이스 이외의 각 디바이스들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3.통화기능만 온" 의 전원 제어 모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통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제어부(100)는 표시장치(135)를 오프시키고, 사용자는 단지 일반 전화기 사용법과 같은 통화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송수신부(105)를 통해 통화를 위한 기지국으로부터 호 착신이 있는지 판단하여 착신이 있는 경우 그 착신에 대해 링거부(140)를 통해 사운드만 온 상태이므로 링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부(100)는 진동 또는 LED를 깜빡이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한테 착신을 통보한다.Accordingly, upon booting,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120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ting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35 and deactivate each device other than the device required for the call function.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intains a standby state to perform a call function in the power control mode of “3. call function ON”. In other words, when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through the menu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00 turns off the display device 135, and the user can use only a call function such as a general phone usag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all reception from the base station for the call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05 and outputs a ring signal because only the sound is turned on through the ringer unit 140 when the call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by vibrating or blinking the L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변경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모드는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한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가 설정 또는 변경될지라도 통화 기능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항상 온 상태로 유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each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power control mode. 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imarily intended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inimizing the power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or changed by the user, the device related to the call function is always kept 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팅 시 전원 제어 모드 수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은 항상 온하며 그 이외의 디바이스들은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중에는 이용하지 않는 표시장치(135)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통화에 따른 해당 기능만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power control mode at boo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ways supplies power to a device related to a call function, and other devices are in the set power control mode. Follow on or off.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ut off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135 that is not used during a call to perform only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 to suppress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팅시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최소한의 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부팅 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디바이스만 온 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by the user through key input during booting,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each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By selecting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with minimum power, there is an advantage of widening the user's selection. In addition, because of this, onl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at the time of booting can reduce the boot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들의 전원 공급을 달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vary th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and can save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equ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setting a power control mod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메뉴의 설정에 따른 화면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according to a setting of a power control mod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화면 예시도,4 is an exemplary menu screen for changing a power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흐름도. 5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100201A KR20050070542A (en) | 2003-12-30 | 2003-12-30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100201A KR20050070542A (en) | 2003-12-30 | 2003-12-30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0542A true KR20050070542A (en) | 2005-07-07 |
Family
ID=3726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100201A Withdrawn KR20050070542A (en) | 2003-12-30 | 2003-12-30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70542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314B1 (en) * | 2005-10-19 | 2007-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85064B1 (en) | 2006-11-09 | 200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unction setting and execution method and device b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102589078A (en) * | 2012-02-27 | 2012-07-18 |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2003
- 2003-12-30 KR KR1020030100201A patent/KR2005007054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314B1 (en) * | 2005-10-19 | 2007-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85064B1 (en) | 2006-11-09 | 200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unction setting and execution method and device b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US8862187B2 (en) | 2006-11-09 | 2014-10-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executing function profil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US9408152B2 (en) | 2006-11-09 | 2016-08-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executing function profil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102589078A (en) * | 2012-02-27 | 2012-07-18 |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9424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 |
JP4101213B2 (en) | Voice call method, voice call program, and voice call device | |
JP4024444B2 (en) |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 |
KR20100052287A (en) |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system thereof | |
US8301185B2 (en) | Coordin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9055326A (en) | Communication equipment | |
JPH11225378A (en) | Radio telephone set with telephone directory function | |
CN102984389A (en) | Method for depending on called terminal to determine back ringtone of calling terminal and terminal | |
KR20050070542A (en)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
KR100310344B1 (en) | Method for using phone book in low battery condition of potable phone | |
KR10062479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inimum power mode driv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050043294A (en) |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
KR100820799B1 (en) | Control method of power consump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5746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52844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power-sav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 |
KR20050094171A (en) | Method for protecting user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phone | |
JP2012060281A (en) | Mobile terminal | |
KR20020014587A (en) |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the Function of Interface with Other Devices | |
KR20030051008A (en) | Setting method of urgent call when the mobile phone's battery is exhausted | |
KR100621750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ll list storag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JP2000253593A (en) | Portable wireless telephone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6217258A (en) | Cell phone unit and data display method of cell phone unit | |
KR100496194B1 (en) | Battery pack for a mobile terminal | |
JP2001086219A (en) |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 |
JP2000354107A (en) | Mobile tele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