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7460A -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460A
KR20060127460A KR1020050048461A KR20050048461A KR20060127460A KR 20060127460 A KR20060127460 A KR 20060127460A KR 1020050048461 A KR1020050048461 A KR 1020050048461A KR 20050048461 A KR20050048461 A KR 20050048461A KR 20060127460 A KR20060127460 A KR 2006012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7460A/ko
Publication of KR2006012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과, (2)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에도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화면조명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동통신 단말기, 전력 소모, 디스플레이, MIC, EA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rolling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Using Same}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전력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마이크 경로 혹은 이어 경로에서 시간에 따른 음성신호의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서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MP3,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 단말기로 진화하고 있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 구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이다. 즉,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단말기에서 LCD의 색 재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QVGA급 LCD의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전류 소모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의 변화 과정 및 이에 따른 전류 소모량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조명 메뉴를 통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화면조명을 계속 온(On)시킬 수도 있고, 단말기의 사용중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조명이 어두워지는 디밍(Dimming) 모드와 좀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조명이 꺼지는 오프(Off)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LCD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은 약 40mA이다[S100]. 그 후, 사용자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LCD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류 소모량이 약 250mA로 증가하게 된다[S110].
사용자가 호(Call)를 연결하여 통화하는 경우, 약 470mA의 전류가 소모되고[S130],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밍(Dimming) 모드로 전환되어 전류 소모량이 약 360mA로 감소한다[S140]. 통화중에 좀 더 시간이 경과하면 LCD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서 오프(Off) 모드로 전환되어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통화가 계속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류 소모량은 약 280 mA를 유지하게 된다[S150].
사용자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DMB폰)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약 650mA의 전류가 소모된다. 방송을 계속 수신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LCD가 오프되면 약 540mA의 전류가 소모된다[S160].
한편, FS Type의 LCD인 경우 많은 소모전류를 요구하고, 기존의 LCD와 같은 Back Light를 사용하지 않아 LCD의 Back Light를 오프(Off)시키는 기능이 없다. 그래서, 종래에는 통화중이거나 혹은 단말기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LCD에서 디밍(Dimming) 모드를 거친 후 LCD를 오프시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었다. 만약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여 항상 LCD를 켜 놓게 되면 전력 손실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중에 사용시간 등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LCD를 켜야 한다. 이때 키를 누르는 소리가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불필요한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에 단말기의 키를 눌러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은,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은, 호(Call)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단말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 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오프(Off) 모드로 결정되고, 음성신호가 검출되면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DMB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2) 디스플레이 모드란, 온(On) 모드, 디밍(Dimming) 모드 및 오프(Off) 모드 등 화면의 조명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LCD 등 단말기 화면에 공급되는 전력 상태를 말한다. 온 모드는 전력이 최대한 공급되는 상태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가장 뚜렷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디밍 모드는 최대 전력 수준을 밑도는 일정한 전력 수준으로만 공급되는 단계로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어둡게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오프 모드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단계로서 사용자에게 단말기 화면이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부(400), 제어부(410), 마이크(420), 스피커(430) 및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부(4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410)는, 통화중에 음성신호를 검출한다[S200]. 여기서, 음성신호는, 마이크(MIC) 경로(440)을 통과하거나 이어(EAR) 경로(450)를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마이크(42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 상태에 있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400)를 통하여 수신된 후, 상기 이어 경로(450)를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430)로 출력된다.
그 후,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한다[S210].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의 결정 과정을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이크 경로(440) 혹은 상기 이어 경로(450)에서 음성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300]. 음성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세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10].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된다[S320].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미만이면, 음성신호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로 회귀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음성신호가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만 디밍 모드로 결정하는 것은, 화자(話者)의 음성신호가 아닌 주위의 소음 등 기타 음성신호가 검출된 경우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화자의 음성신호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신호세기 외에도 주파수 대역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신호세기는,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음성신호 미검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 후[S330],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오프(Off) 모드로 결정된다[S340]. 만약,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음성신호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로 회귀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된 후,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60) 에 표시되도록 한다[S220].
도 5는, 마이크 경로 혹은 이어 경로에서 시간에 따른 음성신호의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마이크 경로만을 상정하기로 한다.
A 영역(500) 및 B 영역(510)은, 음성신호가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C 영역(520) 및 D 영역(530)은, 음성신호가 상기 마이크 경로(440)를 통과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A 영역(500)에서는 음성신호가 검출되지만, 검출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소정의 설정세기 미만으로서 노이즈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가 디밍 모드로 바뀌지 않고 오프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B 영역(510)에서는 검출된 음성신호가 소정의 설정세기 이상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밍 모드로 결정되어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통화중인 상대방, 통화 시간, 현재 시각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C 영역(52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지만, 음성신호의 미검출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 미만으로서 너무 짧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가 오프 모드로 바뀌지 않고 디밍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D 영역(530)에서는 음성신호의 미검출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 이상으로서 충분히 길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드가 오프 모드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D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오프되어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경로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폴더형 단말기 사용자가 이어잭(Ear Jack)을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는, 폴더가 열려 있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콘트롤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화면조명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화면조명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통화중에 단말기의 키를 눌러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지 않고도 최소한의 전력소모 상태에서 통화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16)

  1.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오프(Off) 모드로 결정되고, 음성신호가 검출되면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마이크(MIC)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이어(EAR)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5. 호(Call)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 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단말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과정은,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오프(Off) 모드로 결정하고, 음성신호가 검출되면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마이크(MIC)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이어(EAR)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세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11. 통화중 음성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오프(Off) 모드로 결정되고, 음성신호가 검출되면 디밍(Dimming) 모드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마이크(MIC)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이어(EAR) 경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음성신호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세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KR1020050048461A 2005-06-07 2005-06-07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KR20060127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ko) 2005-06-07 2005-06-07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ko) 2005-06-07 2005-06-07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60A true KR20060127460A (ko) 2006-12-13

Family

ID=3773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461A KR20060127460A (ko) 2005-06-07 2005-06-07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74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2562B1 (en)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KR100750814B1 (ko)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7532069A (ja) センサスクリーンセーバー
KR1006895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8670367B2 (en) 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notifying incoming call for mobile terminal
JP449654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処理プログラム
CN107592407A (zh) 在通话过程中调整通话相关信息的方法及装置
JPH10271199A (ja) 携帯電話機
JP2891935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3037656A (ja) 移動電話機及びそ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JP5176395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60127460A (ko) 디스플레이 콘트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콘트롤 방법
JP2011087058A (ja) 携帯電話端末装置、消費電力低減方法、消費電力低減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455999B1 (ko)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JP2005094418A (ja) テレビ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H0927844A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4328327A (ja) 液晶リモコン付き電子装置
JP2003078603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JP3877515B2 (ja) 携帯電話機
KR200600685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2077356A (ja) 携帯電話端末
KR2005011548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013443A (ja) 電子機器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