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2731A - 생리대 - Google Patents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31A
KR20060122731A KR1020060046959A KR20060046959A KR20060122731A KR 20060122731 A KR20060122731 A KR 20060122731A KR 1020060046959 A KR1020060046959 A KR 1020060046959A KR 20060046959 A KR20060046959 A KR 20060046959A KR 20060122731 A KR20060122731 A KR 2006012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sanitary napkin
sheet
main body
rigid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873B1 (ko
Inventor
도시유키 다니오
와타루 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7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융기부가 마련되고, 이 융기부가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되어 용이하게 밀착하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리대(1)는 액 흡수층(22)을 갖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융기부(3)를 갖고 있다. 융기부(3)에는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융기부(3)는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의 부근에 강성 부여 부재(34)를 갖고 있으며, 강성 부여 부재(34)가 다른 부분에 비해 압축 방향의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신체(60)의 체압이 강성 부여 부재(34)에 작용했을 때에, 강성 부여 부재(34)를 갖는 부분이 회음부(63)에 밀착되기 쉽다. 강성 부여 부재(34)의 전후의 융기부(3)에는 장력이 작용하여, 이 장력에 의해 융기부(3)가 신체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생리대{SANITARY NAPKI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자유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평면형으로 전개한 상태를 피부측 표면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의 단면도.
도 6은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종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가 신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a는 강성 부여 부재를 구성하는 강성 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그 단면도.
도 9는 강성 부여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자유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XIII-XIII선의 단면도.
도 14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종단면도.
도 15는 피복 시트의 엠보스 패턴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6은 피복 시트와 액 흡수층을 압축한 엠보스 패턴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자유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XIX-XIX선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XX-XX선의 단면도.
도 21은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종단면도.
도 22는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생리대의 종단면도.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평탄하게 한 평면도.
도 24는 제5 실시 형태의 생리대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5는 도 23의 XXV-XXV선의 단면도.
도 26은 도 23의 XVI-XVI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대
2: 본체부
3: 융기부
21: 이면 시트
22: 액 흡수층
23: 표면 시트
24: 측부 시트
31: 융기부 표면 시트
32: 내장 시트
33: 탄성 부재
34: 강성 부여 부재
41: 압축선
42, 43: 엠보스 패턴
50: 강성 시트
60: 신체
61: 질구
62: 후음순 교련
63: 회음부
64: 항문
101: 생리대
102: 본체부
103: 융기부
123: 피복 시트
132: 융기부 형성 부재
134: 강성 부여 부재
201: 생리대
202: 본체부
203: 융기부
223: 피복 시트
232: 내장 시트
233: 탄성 부재
234: 볼록부
301: 생리대
302: 본체부
303: 융기부
334, 335: 볼록부
401: 생리대
402: 본체부
403: 융기부
434, 435: 볼록부
X1: 질 대향 기준선
X2: 회음부 대향 기준선
X3: 항문 대향 기준선
본 발명은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융기부가 마련된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융기부가 신체의 고간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어 융기부가 신체에 쉽게 밀착하고 경혈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에는 액 흡수층을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융기하는 융기부가 마련된 것이 존재하고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생리대는 흡수층과 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표면 시트를 갖고 있다. 생리대의 피부측 표면에는 표면 시트와 흡수층을 압축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둘러싸인 세로 방향으로 긴 둘레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 영역 내가 그 외측보다 부피가 크도록 융기되어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생리대는 액 흡수층이 하부 코어와 상부 코어로 분리되어 있으며, 하부 코어가 액체 불투과성의 하부 시트와 일체화되어 있다. 하부 코어의 피부측에는 액 투과성의 상부 시트가 마련되고, 이 상부 시트는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하부 코어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신축 부재가 상부 시트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코어는 상부 시트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상부 시트와 함께 하부 코어로부터 부상하 는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2에 기재한 것은 하부 시트의 외면이 속옷의 가랑이 사이 부분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코어가 신체의 외음부에 대향한다. 상부 코어가 하부 코어와 독립하여 거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코어가 외음부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경혈이 상부 코어에 흡수됨으로써 생리대 밖으로 경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3305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399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생리대는 오목부로 둘러싸인 둘레 영역이 부피가 크게 되어 있나, 이 둘레 영역은 생리대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영역 내에서는 체압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면의 변형 특성 및 압축 특성이 거의 균일하기 때문에, 여성의 고간부의 요철 형상, 즉 대음순을 갖는 질구, 후음순 교련(交連), 그 후방의 회음부, 항문, 둔열부(臀裂部)를 향한 요철의 변화에 따르기 어렵다. 또한 상기 둘레 영역 내는 흡수층만 부피가 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체압에 의해 습윤 상태의 흡수층이 압축되었을 때에 둘레 영역 내의 각 부분에서 압축 회복력이 뒤떨어져, 그 결과 고간부 중 어느 하나의 부분과 생리대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생리대는 상부 코어가 질구에 쉽게 밀착되는 것이지만, 상부 코어보다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는 상부 시트와 하부 코어 사이가 공동이기 때문에, 상부 코어가 체압에 의해 눌려져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밀착했을 때에 그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 시트와 신체와의 밀착도가 저하되기 쉽다. 특히, 상부 코어가 접촉하는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회음부나 항문과 상부 시트와의 밀착도가 쉽게 저하된다.
예컨대 생리대와 회음부나 항문과의 밀착도가 저하되면, 취침시의 자세나 의자에 착석한 자세에서 경혈이 질구로부터 후방으로 이행하려고 할 때에 이것을 저지할 수 없어 경혈의 후방으로의 누출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융기부가 신체의 얕은 오목부나 깊은 홈 등을 따라 변형되기 쉬워 융기부와 고간부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어, 후방으로 경혈이 새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액 흡수층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마련된 융기부를 갖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는 이 융기부의 본체부 방향으로의 압축 변형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지 않는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동시에, 상기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융기부에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융기부의 본체부 방향으로의 압축 저항이 다른 영역보다 높아져 있다. 체압이 작용하면 저항 부여 수단을 갖는 부분이 신체에 밀착되는 동시에,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융기부가 신축하여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되어 융기부가 신체에 밀착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는 융기부에 부여되는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 가능하고, 이 만곡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높게 설정된다.
저항 부여 수단을 갖는 부분에서 생리대의 굽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생리대는 저항 부여 수단을 갖는 부분이 지지점이 되어 그 이외의 부분이 신체를 따라 쉽게 만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은 질구 대향 기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융기부에는 상기 저항 부여 수단보다 전방의 영역 및 후방의 영역 양쪽에 상기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저항 부여 수단을 갖는 부분에서 융기부가 후음순 교련, 회음부, 항문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할 수 있고, 그 전후에 위치하는 융기부가 질구 및 둔열부에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융기부가 신체의 요철 형상을 따라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융기부의 기립벽의 일부에 강성 부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상기 융기부와 상기 본체부의 경계부에 강성 부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의 피부측에는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융기부 형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 형성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강성 부여 부재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부분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볼록부는 액 흡수층의 단위 중량을 부분적으로 증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볼록부를 덮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이 부여된 피복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피복 시트가 접합되고, 그 전후 등에 있어서 피복 시트와 본체부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가 볼록부에 접합되어 있으면, 볼록부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피복 시트가 개별로 유연하게 변형되어 신체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록부는 전후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자유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생리대를 평탄한 상태로 전개한 상태를 피부측 표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자유 상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생리대가 신체에 장착되어 피부측 표면에 체압이 작용한 변형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생리대(1)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2개의 표면 중, 신체를 향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이라고 부르고, 반대측의 표면을 「착의측 표면」이라고 부른다. 또한, 생리대의 길이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부르고,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부른다. 각 요소의 치수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세로 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 「길이 치수」라고 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 「폭 치수」라고 부른다.
본 실시 형태의 생리대는 주로 액 흡수층과 이면 시트로 구성되는 부분을 본체부라고 부르고,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융기하고 있는 부분을 융기부라고 부른다. 또한 표면 시트(피복 시트)는 그 전체가 본체부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고, 그 일부가 본체부를 구성하고 다른 일부가 융기부의 구성 요소가 되는 경우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1)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융기부(3)를 갖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는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 차단성의 이면 시트(21)와, 그 위에 마련된 액 흡수층(22)과, 상기 액 흡수층(22)을 덮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3) 및 피부측 표면의 좌우 양 측부에 위치하는 측부 시트(24, 24)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부재는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는 곡선 형상의 앞가장자리부(4)와 동일하게 곡선 형상의 뒤가장자리부(5)를 갖고 있다. 본체부(2)는 세로 방향 중심 선(Oy)에서의 길이 치수가 280 내지 450 mm의 세로로 긴 형상이다. 상기 액 흡수층(22)도 세로로 긴 형상이며, 이 액 흡수층(22)은 상기 앞가장자리부(4)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는 곡선 형상의 전단부(22a) 및 상기 뒤가장자리부(5)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는 곡선 형상의 후단부(22b)를 갖고 있다. 액 흡수층(22)의 좌우 양측 단부(22c, 22c)는 세로 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한 직선 형상이다. 다만, 액 흡수층(22)의 좌우 양측 단부(22c, 22c)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2)의 양측부의 형상은, 전방에서 상기 액 흡수층(22)의 양측 단부(22c, 22c)보다 좌우 양측으로 돌출한 전방 플랩부(6, 6)와, 상기 전방 플랩부(6, 6)보다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한 되접음 플랩부(7, 7)와, 상기 되접음 플랩부(7, 7)보다 더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한 후방 플랩부(8, 8)를 갖고 있다. 전방 플랩부(6, 6)와 되접음 플랩부(7, 7) 및 후방 플랩부(8, 8)에서는 이면 시트(21)와 측부 시트(24)가 중첩되어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부 시트(24, 24)의 대향 가장자리부(24a, 24a)는 상기 액 흡수층(22)의 양측 단부(22c, 22c)보다 내측[세로 방향 중심선(Oy)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 흡수층(22)의 양측 부분은 그 피부측 표면이 상기 표면 시트(23)로 덮여지고, 그 표면이 상기 측부 시트(24, 24)로 더 덮여 있다. 상기 측부 시트(24, 24)의 대향 가장자리부(24a)와 대향 가장자리부(24a)에 끼워진 영역에는 액 투과성의 상기 표 면 시트(23)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 영역에서 또한 액 흡수층(22)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주된 액 흡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X1은 질 대향 기준선이며, 도 3은 생리대(1)를 질 대향 기준선(X1)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질 대향 기준선(X1)은 본체부(2)의 앞가장자리부(4)로부터 후방으로 100 내지 200 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앞가장자리부(4)로부터 후방으로 100 내지 140 mm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컨대 상기 앞가장자리부(4)로부터 후방으로 약 120 mm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질 대향 기준선(X1)과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교점이 질구 대향 기준 위치이다. 질구 대향 기준 위치란, 이 생리대(1)를 속옷에 고착시켜 고간부에 장착할 때에 거의 질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안표가 되는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이 안표는 생리대를 피부측 표면에서 보았을 때의 전체 형상이나, 피부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선(41)의 형상 등의 전체의 디자인에 의해 유도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는 되접음 플랩부(7, 7)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통상은 이 되접음 플랩부(7, 7)의 세로 방향 치수의 중심을 통과하는 질 대향 기준선(X1)이 질구의 중심부에 대향시키는 안표가 된다. 또한 압축선(41)의 가로 방향에서의 간격이 질 대향 기준선(X1)의 위치에서 좁혀지고 있으며, 이 압축선(41)의 형상도 상기 안표가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X3는 항문 대향 기준선이며, 도 5는 생리대(1)를 항문 대향 기준선(X3)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질 대향 기준선(X1)을 질구의 중심 위치 또는 그 부근에 일치시켰을 때에 상기 항문 대향 기준선(X3) 또는 그 근방 이 항문에 대향한다. 이 항문 대향 기준선(X3)은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상기 질 대향 기준선(X1)으로부터 후방으로 거리 L1=30 내지 70 mm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다.
질 대향 기준선(X1)과 항문 대향 기준선(X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이다. 도 4는 생리대(1)를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질 대향 기준선(X1)을 질구의 중심 위치 또는 그 부근에 일치시켰을 때에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은 후음순 교련과 항문 사이에 위치하는 회음부에 대향하거나 또는 그 부근에 대향한다.
생리대(1)는 상기 항문 대향 기준선(X3)보다 후방 부분이 둔열부로부터 미저골 부근에 대향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3)에는 융기부 형성 부재로서 융기부 표면 시트(31)와 그 내측에 위치하는 내장 시트(32)와,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33)를 갖고 있다.
내장 시트(32)는 1장의 친수성이면서 또한 액체 투과성인 시트이며, 세로 방향 중심선(Oy)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 부분이 각각 2겹으로 접혀 있고, 2겹으로 접힌 내장 시트(32) 사이에 좌우 같은 수의 탄성 부재(33)가 끼워지며, 절첩된 내장 시트(32)끼리 및 내장 시트(32)와 탄성 부재(33)가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3)는 세로 방향으로 1.2배 이상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내장 시트(32)에 접착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33)에 의해 융기부(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 이 부여되고 있다.
내장 시트(32)의 좌우 각각의 접음선부(32a, 32a)는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세로 방향 중심선(Oy)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융기부 표면 시트(31)는 내장 시트(32)를 둘러싸도록 하여 마련되고, 내장 시트(32)의 외면과 융기부 표면 시트(31)의 내면이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접음선부(32a)와 접음선부(32a) 사이는 융기부 표면 시트(31)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이 통과하고 있는 영역에서는 융기부(3)의 내부에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된다. 이 강성 부여 부재(34)는 상기 내장 시트(32)의 외면과 융기부 표면 시트(31)의 내면 사이에 끼워지고, 강성 부여 부재(34)와 내장 시트(32) 사이 및 강성 부여 부재(34)와 융기부 표면 시트(31) 사이는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강성 부여 부재(34)의 양 가장자리부(34a, 34a)는 상기 내장 시트(32)의 접음선부(32a, 32a)와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강성 부여 부재(34)의 바닥부(34b)는 본체부(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23)와, 상기 내장 시트(32)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여 부재(34)는 질 대향 기준선(X1)이 통과하는 질구 대향 기준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고, 그보다 후방이고 또한 항문 대향 기준선(X3)보다 전방의 범위에 마련된다. 다만, 항문 대향 기준선(X3)이 통과하고 있는 영역에 상기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강성 부여 부 재(34)의 전단과 질 대향 기준선(X1)의 거리(La)는 예컨대 20 내지 40 mm이며, 강성 부여 부재(34)의 길이(Lb)는 예컨대 20 내지 50 mm 정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 대향 기준선(X1)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앞가장자리부(4)까지의 전방부 영역에서는 내장 시트(32)와 본체부(2)의 표면 시트(23)가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35)로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부 영역에서는 내장 시트(32)와 본체부(2)와의 고정 폭 치수(W1)가 넓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에서 융기부(3)가 거의 평탄하게 절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후방 기립 기준선(X4)에서부터 뒤가장자리부(5)까지의 후방부 영역에서도 융기부(3)를 형성하는 내장 시트(32)와 본체부(2)와의 고정 폭 치수(W1)가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부 영역 및 후방부 영역에서는 융기부(3)가 거의 평탄하지만, 융기부(3)의 내부에서 내장 시트(32)끼리 접착되어 있지 않고, 융기부(3)의 내부가 공동이라도 좋으며 혹은 융기부(3)의 내부에서 내장 시트(32)끼리 절첩된 상태로 접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평탄한 상태의 융기부(3)의 폭 치수(Wa)는 15 내지 40 mm 정도이며, 예컨대 26 mm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서 융기부(3)와 본체부(2)가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35)로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그 고정 폭 치수(W2)는 상기 전방부 영역과 후방부 영역에서의 고정 폭 치수(W1)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고정 폭 치수(W2)는 고정 폭 치수(W1)의 1/3 내지 2/3이며, 예컨대 고정 폭 치수(W1)가 20 mm이고, 고정 폭 치수(W2)가 10 mm이다.
융기부(3)는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강성 부여 부재(34)와, 본체부(2)의 표면 시트(23)가 핫멜트형 접착제(35)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그보다 전후에서는 내장 시트(32)와, 본체부(2)의 표면 시트(23)가 핫멜트형 접착제(35)로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3)는 적어도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 연속하여 마련된다. 이 탄성 부재(33)의 세로 방향에서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본체부(2)에는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을 서로 접근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생리대(1)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서 본체부(2)는 피부측 표면이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며, 그 결과 융기부(3)의 꼭대기부가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융기부(3)가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기립한다. 또한, 상기 질 대향 기준선(X1) 또는 그 근방이 융기부(3)의 기립 전단이 되고, 후방 기립 기준선(X4) 또는 그 근방이 융기부(3)의 기립 후단이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23)와 액 흡수층(22)을 함께 압축하여 가열한 압축선(41)이 형성되어 있다. 생리대(1)의 전방 및 후방에서 압축선(41)의 전단(41a)과 후단(41b)이 융기부(3)를 횡단하고 있으며, 이 횡단 부분에서는 융기부(3)를 구성하는 내장 시트(32) 및 융기부 표면 시트(31)가 본체부(2)의 표면 시트(23) 및 액 흡수층(22)과 함께 가압되 어 있다.
상기 압축선(41)은 액 흡수층(22)을 갖는 세로로 긴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압축선(41)을 마련함으로써 본체부(2)의 강성이 높아지고,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 상기 탄성 부재(33)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본체부(2)가 쉽게 접히지 않아 본체부(2)가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곡율을 가지고 만곡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21)의 착의측 표면에 속옷에 고착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11)이 마련된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11)은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과 병행하여 띠형으로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되접음 플랩부(7, 7)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상기 이면 시트(21)의 착의측 표면에 플랩용 감압 접착제층(12)이 마련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생리대(1)의 구성 소재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본체부(2)를 구성하는 이면 시트(21)는 평량이 23 g/㎡의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액 흡수층(22)은 침엽수 크라프트 종이와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되고 친수성의 티슈 페이퍼로 둘러싸인 것이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액 흡수층(22)의 질량의 3% 정도 포함되어 있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은 전체로서 균일한 것이라도 좋지만,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압축선(41)보다 밖의 영역보다 단위 중량이 많고, 또는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면서 또한 항문 대향 기준선(X3)보다 전방인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단위 중량이 많게 되어 있다. 예컨대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면서 또한 항문 대향 기준선(X3)보다 전방인 영역의 단위 중량이 800 g/㎡이며, 다른 영역의 단위 중량이 450 g/㎡이다.
본체부(2)의 표면 시트(23)는 친수성이면서 또한 액 투과성인 부직포 혹은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이다. 예컨대 표면 시트(23)는 합성 수지 섬유를 열풍으로 접합한 스루에어 부직포이며, 코어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시스(sheath)부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섬도가 2.2 dtex의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3)의 단위 중량은 20 g/㎡ 정도이다. 측부 시트(24)는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며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의 코어시스형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이며, 예컨대 단위 중량이 22 g/㎡이다.
융기부 형성 부재는 융기부 표면 시트(31)와 내장 시트(32)가 모두 친수성으로 액 투과성의 부직포이며, 또한 세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다. 예컨대, 양 시트가 상기 표면 시트(23)와 동일한 스루에어 부직포로 형성된다. 각각의 탄성 부재(33)는 섬도가 940 dtex 정도의 폴리우레탄 탄성 실이며, 이 폴리우레탄 탄성 실이 자유 길이로부터 1.4배 늘려진 상태에서 내장 시트(32)에 고정된다.
도 9는 융기부(3)의 일부를 구성하는 강성 부여 부재(34)를 나타내고 있다. 강성 부여 부재(34)는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강성 시트(50)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며, 본체부(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세로 방향 중심선(Oy)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가장자리부(34a, 34a), 본체부(2)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바닥부(34b) 및 바닥부(34b)로부터 기립하는 하부 기립벽(34c, 34c)과, 상부 기립벽(34d, 34d)을 갖고 있다.
강성 부여 부재(34)를 구성하는 강성 시트(50)는 굽힘 강성이 융기부 표면 시트(31)와 내장 시트(32)를 중첩한 것보다 높은 것이며, 복수의 시트가 중첩되고 접합되어 구성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시트(50)의 제1 층(51)은 친수성의 에어레이드 부직포이며, 펄프 섬유 70 질량%와 합성 수지 섬유 40 질량%를 에어레이드법으로 적층하고, 또한 평면형으로 압축하여 아크릴계의 바인더로 섬유 사이를 접합한 것이다. 혹은 펄프 섬유 100%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형성된 에어레이드 펄프라도 좋다. 단위 중량은 40 g/㎡ 정도이다. 제2 층(52)은 친수성의 부직포이며,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의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스루에어 부직포이며, 예컨대 섬유의 섬도는 4.4 dtex이고, 단위 중량은 25 g/㎡ 정도이다. 제2 층(52)을 형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융기부 표면 시트(31) 및 내장 시트(32)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보다 크고, 그 결과 제2 층(52)은 융기부 표면 시트(31)나 내장 시트(32)보다 굽힘 강성이 높아져 있다.
상기 제1 층(51)과 제2 층(52)이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된 후에, 양 층이 부분적으로 압축되어 제1 층(51)으로부터 제2 층(52)을 향해서 우묵하게 들어가는 압축선(53)이 형성되고, 압축선(53)과 비압축부가 교대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선(53)을 횡단하는 접음선(54)에 의해 제2 층(52)이 내측을 향하도록 접혀지고 도 9에 도시하는 강성 부여 부재(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압축선(53) 대신에 도트형의 압축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6은 생리대(1)를 세로 방향 중심선(Oy)에서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질 대향 기준선(X1) 부근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부근 사이에 탄성 부 재(33)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본체부(2)가 피부측 표면이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만곡하며, 질 대향 기준선(X1) 부근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부근 사이에서 융기부(3)가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기립한다. 기립하고 있는 융기부(3)의 내부는 공동이다.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이 통과하는 부분에는 저항 부여 수단이 되는 강성 부여 부재(34)가 존재하고 있다. 강성 부여 부재(34)의 세로 방향의 중점에서 융기부(3)를 본체부(2)를 향해서 소정 치수만큼 누르는 데 필요한 힘을 Fa, 강성 부여 부재(34)의 전단으로부터 질 대향 기준선(X1)까지의 사이의 중점에서 융기부(3)를 본체부(2)를 향해서 소정 치수만큼 누르는 힘을 Fb, 강성 부여 부재(34)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기립 기준선(X4)까지의 사이의 중점에서 융기부(3)를 본체부(2)를 향하여 소정 치수만 누르는 힘을 Fc로 했을 때에, Fa는 Fb와 Fc보다 크고, Fa는 Fb와 Fc의 1.2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이다. 또한 Fa>Fb>Fc이다.
상기 Fa는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의 융기부(3)의 기립 높이를 무가압시로부터 80%의 높이가 되도록 압축(20% 압축)할 때의 하중이 0.2 내지 4.0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정은 도 6에 도시하는 생리대(1)의 이면 시트(21)를 곡률 반경이 110 mm인 원통 내면을 갖는 측정 지그의 상기 원통 내면에 접착하고 생리대(1)의 이면 시트(21)를 반경 110 mm로 만곡시킨다. 이 상태에서 텐실론 시험기의 측정 단자의 반경이 30 mm인 원형의 평면을 융기부(3)의 꼭대기부에 대고, 측정 단자에 의해 융기부(3)의 꼭대기부를 상기 원통 내면의 반경 방향으로 눌러 융기부(3)의 기립 높이 치수가 80%가 되었을 때의 하중이다.
융기부(3)를 형성하고 있는 융기부 형성 부재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다. 융기부 표면 시트(31), 내장 시트(32) 및 탄성 부재(33)로 이루어지는 융기부 형성 부재를 폭 치수가 25 mm,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75 mm가 되도록 절단한 시료를 형성한다. 이 시료를 세로 방향으로 50 mm가 되도록 척 사이에 유지하고, 융기부 형성 부재를 10 mm(신장율 1.2배) 인장했을 때의 하중은 0.1 내지 4.0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력을 제거한 후의 50 mm의 측정 길이의 잔류 왜곡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부(3)를 20% 수축시키도록 눌렀을 때의 측정 하중(Fa)이 0.2 내지 4.0 N의 범위이면, 신체로부터 강성 부여 부재(34)에 압력이 작용했을 때에, 강성 부여 부재(34)가 입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강성 부여 부재(34)가 신체에 부여하는 압력이 쉽게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융기부 형성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1.2배 신장했을 때의 하중이 0.1 내지 4.0 N/25 mm의 범위이고 또한 잔류 왜곡이 5% 이하이면,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되지 않는 영역에서 융기부(3)가 세로 방향으로 적절히 신축하여 융기부(3)가 신체의 요철을 따르도록 변형되며 또한 밀착하기 쉽다. 신체로부터의 압력의 증감에 대응하여 융기부(3)를 신축할 수 있어 항상 융기부와 신체가 쉽게 밀착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생리대(1)가 여성의 신체(60)의 고간부에 장착된 상태를 세로 방향 중심선(Oy)에서 절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여성의 신체(60)에서의 대음순을 갖는 질구(61), 그 후부의 후음순 교련(62), 회음부(63), 항문(64)의 해 당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융기부(3)는 도 4에 도시하는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 회음부(63) 및 그 주변에서의 신체의 오목부 부분에 접촉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3)가 평탄하게 되어 있는 부분이 질구(61)에 접촉하고, 또한 융기부(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부여 부재(34)가 마련되지 않으며, 또한 본체부(2)로부터 기립하고 있는 부분이 항문(64)에 접촉하고, 또한 항문(64)보다 후방의 둔열부에 대향한다.
회음부(63)에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강성 부여 부재(34)의 하부 기립벽(34c) 및 상부 기립벽(34d)에 의해 융기부(3)의 기립벽이 보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체로부터의 힘(F1)을 받더라도 용이하게 찌부러지는 일이 없어, 강성 부여 부재(34)를 갖는 부분에서 융기부(3)가 회음부(63)의 오목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강성 부여 부재(34)가 쉽게 찌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이 강성 부여 부재(34)보다 전방에 체압이 작용하면, 이 체압에 의해 융기부(3)가 쉽게 찌부러지는 일 없이 체압에 의해 융기부 형성 부재에 장력(F2)이 작용한다. 융기부 형성 부재가 소정의 장력(F2)을 갖고 신체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가 신체의 요철 형상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질구(61)에 쉽게 밀착된다. 마찬가지로 강성 부여 부재(34)보다 후방에서도 체압에 의해 융기부 형성 부재에 장력(F3)이 작용하여, 융기부(3)는 항문 부근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융기부(3)는 체압이 작용했을 때에 강성 부여 부재(34)를 기점으로서 전후로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강성 부여 부재(34)가 신체에 밀착한 상태에서 그 전후의 융기부(3) 가 신체에 쉽게 밀착된다.
또한 생리대(1)는 강성 부여 부재(34)를 갖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그 전후보다 높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강성 부여 부재(34)를 갖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그보다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생리대(1)가 예컨대 질구 대향 기준 위치 등에서 부주의하게 절곡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전체에 꼬임이 생기기 어려워져 생리대(1)의 전체가 신체에 쉽게 밀착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부여 부재(34)는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압축선(53)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강성 부여 부재(34)도 본체부(2)의 만곡 형상을 추종하여 전후 방향으로 다소 압축되어 변형되기 때문에, 강성 부여 부재(34)가 신체에 지나친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생리대(1)의 융기부(3)는 질구(61), 후음순 교련(62), 회음부(63) 또한 항문(64)에 걸쳐서 신체에 밀착하기 때문에, 질구(61)로부터의 배설물은 융기부(3)에서 확실하게 포착되고 그 아래의 액 흡수층(22)에 부여되게 되어, 경혈의 가로 누출이나, 취침 자세나 앉은 자세일 때 후방으로 경혈이 새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융기부(3)에 탄성 부재(33)를 마련하지 않고, 융기부 표면 시트(31)와 내장 시트(32) 중 적어도 한쪽을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형성하고, 이 부직포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본체부(2)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시켜 융기부(3)를 본체부(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융기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도 4의 구성에 있어서 강성 부여 부재(34)가 내장 시트(32)보다 내측에 중첩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1)를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서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XIII-X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생리대(101)를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세로 방향 중심선(Oy)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피복 시트(123)에 형성된 엠보스 패턴의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1)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는 질 대향 기준선(X1), 회음부 대향 기준선(X2) 및 항문 대향 기준선(X3)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질 대향 기준선(X1)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에서의 단면도, 도 13은 항문 대향 기준선(X3)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2)는 이면 시트(21)와 액 흡수층(22) 및 이면 시트(21)의 착의측 표면에 마련된 감압 접착제층(11) 및 플랩용 감압 접착제층(12)을 갖고 있다. 본체부(102)의 피부측 표면에는 세로 방향 중심선(Oy)을 따라서 융기부(103)가 마련된다.
생리대(101)에는 본체부(102) 및 융기부(103)의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피복 시트(123)가 마련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시트(123)가 본체부(102)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융기부(10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피복 시트(123)는 적어도 세로 방향으로 탄성 신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피복 시트(123)는 신축성 섬유인 권축 섬유를 구성 요소로 하는 부직포이며, 예컨대 스루에어 부직포이다. 상기 권축 섬유는 융점이 다른 2개의 합성 수지가 복합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 복합 섬유이며, 예컨대 융점이 다른 2종의 폴리에틸렌 섬유가 복합된 섬도가 2.2 dtex의 합성 수지 섬유이다. 스루에어 부직포는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합성 섬유 70 질량%와,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며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의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 30 질량%를 혼합한 후에, 열풍으로 섬유 사이를 융착 접합한 것이다. 이 스루에어 부직포를 열 처리하고,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합성 섬유의 권축을 진행시켜, 스루에어 부직포를 세로 방향의 길이가 30%가 되도록 열 수축시킨 것을 피복 시트(123)로서 사용했다. 열 수축 후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30 g/㎡이다.
피복 시트(123)를 폭 치수 25 mm이며 측정 길이를 50 mm로 하고, 세로 방향으로의 1.2배의 신장률을 부여했을 때의 바람직한 하중은 제1 실시 형태의 융기부 형성 부재와 동일한 0.1 내지 4.0 N/25 mm의 범위이며, 인장 측정 후의 50 mm의 측정 길이에 있어서의 잔류 왜곡의 바람직한 범위는 5% 이하이다.
본체부(102)가 평탄한 상태에서 피복 시트(123)를 세로 방향으로 1.15배 늘려 액 흡수층(22)의 표면에 중첩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압축선(41)에 있어서 피복 시트(123)와 액 흡수층(22)이 함께 가열되어 가압되며, 피복 시트(123)와 액 흡수층(22)이 압축선(41)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축선(41)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외측에서는 피복 시트(123)가 세 로 방향으로 1.15배로 늘려진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하는 엠보스 패턴(42)이 형성되고, 개개의 엠보스 패턴(42)의 부분에서 피복 시트(123)를 구성하는 섬유가 가열되고 가압되어 융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선(41)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외측에서는 피복 시트(123)와 액 흡수층(22)이 함께 가열되고 가압되어 도 16에 도시하는 엠보스 패턴(43)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선(41)의 외측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엠보스 패턴(42)에 의해 피복 시트(123)의 탄성 수축력이 제한되고,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엠보스 패턴(43)에 의해 피복 시트(123)와 액 흡수층(22)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피복 시트(123)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압축선(41)의 전단(41a)과 압축선(41)의 후단(41b)을 서로 접근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외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을 때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단(41a)과 후단(41b) 사이에서 본체부(102)가 피부측 표면이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고,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서는 피복 시트(123)가 본체부(10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부상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01)는 본체부(102)의 액 흡수층(22)의 표면과 상기 피복 시트(123) 사이에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마련된다.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친수성으로 액 투과 기능을 갖거나 혹은 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침엽수 크라프트 종이가 70 질량%와 합성 수지 섬유 30%로 형성된 단위 중량이 60 g/㎡의 에어레이드 부직포와, 섬도가 1.7 dtex의 레이온 섬유로 형성된 단위 중량이 30 g/㎡의 스펀레 이스 부직포가 적층되어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의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고, 또한 에어레이드 부직포와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도트형 또는 선형의 엠보스에 의해 일체화된 것이다.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통형으로 구부러지고, 그 가장자리부끼리가 중첩된 상태에서 핫멜트형 접착제(135)에 의해 액 흡수층(22)의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융기부 형성 부재(132)의 꼭대기부는 폭이 2 내지 10 mm 정도이며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패턴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136)에 의해 피복 시트(123)의 착의측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이 횡단하고 있는 영역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132)의 하면과 액 흡수층(22) 사이에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강성 부여 부재(134)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강성 부여 부재(134)는 도 8a, 도 8b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에어레이드 부직포와 스루에어 부직포가 중첩되어 접합되고, 직선형의 압축선이나 도트 엠보스에 의해 가압된 강성 시트(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부여 부재(134)는 강성 시트(50)가 2장 중첩하는 등의 복수 중첩으로 절첩된 것이며, 강성 부여 부재(134)와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핫멜트형 접착제(135)로 접착되어 고정되고, 강성 부여 부재(134)와 액 흡수층(22)이 핫멜트형 접착제(137)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강성 부여 부재(134)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의 바람직한 범위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강성 부여 부재(34)와 동일하다. 즉, 강성 부여 부재(134)는 후음순 교련 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항문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거나, 혹은 후음순 교련의 후방에서 회음부로부터 항문에 대향하는 범위에 마련된다.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세로 방향 중심선(Oy)을 따라 앞가장자리부(4)로부터 뒤가장자리부(5)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으며, 압축선(41)의 전단(41a)과 후단(41b)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34)와 피복 시트(123) 및 액 흡수층(22)이 함께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132)와 피복 시트(123) 및 강성 부여 부재(134)에 의해 융기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액 흡수층(22)은 침엽수 크라프트 종이와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것이지만, 그 단위 중량은 강성 부여 부재(13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 아래에서 가장 크며 예컨대 900 g/㎡이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은 그 다음에 강성 부여 부재(134)의 전단으로부터 압축선(41)의 전단(41a) 사이에서 크며, 예컨대 700 g/㎡이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은 상기 양 영역 이외에서 작으며, 예컨대 450 g/㎡이다.
이 생리대(10)는 압축선(41)으로 둘러싸여 있는 범위에서 피복 시트(123)가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압축선(41)의 전단(41a)과 후단(41b) 사이에서 본체부(102)는 피부측 표면이 오목형으로 만곡하여 변형된다.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세로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에 피복 시트(123)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 시트(123)의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융기부 형성 부재(132)에도 작용하여 융기부(103)가 본체부(102)로부터 기립하는 동시에 융기부(103)의 꼭대기부가 본체부(102)의 만곡에 따라서 오목형으로 만 곡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 대향 기준선(X1)이 통과하는 부분 및 그 주변에서는 본체부(102)로부터의 피복 시트(123)의 이격 거리가 짧기 때문에, 통 형상으로 형성된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내부가 공동인 채로 약간 눌려 찌부러진 상태가 된다. 질 대향 기준선(X1)보다 후방에서는 본체부(102)로부터의 피복 시트(123)의 이격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자신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내부가 공동의 통 형상이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부여 부재(134)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이 강성 부여 부재(134)에 의해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들어 올려지고, 게다가 강성 부여 부재(134)의 아래쪽에서는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이 다른 부분보다 커져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더욱 들어 올려지고 있다. 또한, 융기부 형성 부재(132)는 피복 시트(123)로 압박되기 때문에, 강성 부여 부재(134)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약간 찌부러진 상태로 되어 있다.
강성 부여 부재(134)를 갖는 부분은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강성 부여 부재(134)로 들어 올려지고 또한 찌부러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융기부(103)를 본체부(102)를 향해서 80%의 높이까지 압축할 때의 저항력이 커서, 강성 부여 부재(134)를 갖는 부분에서 융기부(103)가 회음부 등에 쉽게 밀착된다. 강성 부여 부재(13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전후에서는 융기부 형성 부재(132)의 내부가 공동으로 변형하기 쉽고 또한 피복 시트(123)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융기부 형성 부재(132)에 세로 방향의 장력에 의해 융기부 형성 부재(132)가 질구나 항문 나아가서는 둔열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하여 변형되어 이들 각 부위에 쉽게 밀착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도 강성 부여 부재(134)를 갖는 부분에서 융기부(103)가 회음부나 항문 등에 밀착되고 그 전후에 위치하는 융기부(103)에 장력이 작용하여 융기부(103)가 신체의 요철 형상을 따라서 쉽게 밀착된다.
또한, 생리대(101)는 강성 부여 부재(134)를 갖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그 전후보다 높기 때문에, 생리대(101)는 강성 부여 부재(134)보다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각각 독립하여 만곡되기 쉬워져 생리대 전체가 꺾이거나 꼬여지는 상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밀착되고 있는 융기부(103)의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친수력에 의해 포착되어 융기부(103)의 내부를 통과하거나 혹은 융기부(103)를 따라서 액 흡수층(22)에 흡수되도록 되어 경혈이 가로나 후방으로 누출될 염려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201)를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서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XIX-XIX선에서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XX-XX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생리대(201)를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세로 방향 중심선(Oy)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201)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는 질 대향 기준선(X1), 회음부 대향 기준선(X2) 및 항문 대향 기준선(X3)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질 대향 기준선(X1)에서의 단면도, 도 19는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에서의 단면도, 도 20은 항문 대향 기준선(X3)에서의 단면도이다.
생리대(201)는 본체부(202) 및 융기부(203)를 갖고 있다. 본체부(202) 및 융기부(203)의 피부측 표면에는 피복 시트(223)가 마련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시트(223)가 본체부(202)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융기부(20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피복 시트(223)는 세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부직포이며, 예컨대 제1 실시 형태의 융기부 표면 시트(31)와 동일한 스루에어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루에어 부직포 혹은 다른 구성의 부직포, 예컨대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을 물결 형상이 되도록 부형(賦形)하고, 물결의 꼭대기부와 골짜기부가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하여 피복 시트(223)가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기 쉽게 한 것이라도 좋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 시트(223)와 액 흡수층(22)이 함께 가열되고 가압되어 압축선(41)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질 대향 기준선(X1)보다 더욱 전방의 위치에서부터 신체의 미저골에 대향하는 영역까지 세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질 대향 기준선(X1)보다 후방의 범위 내에서는 피복 시트(223)의 착의측 표면에 내장 시트(232)가 중첩되고,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접 착되어 있다.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 부재(233)가 세로 방향으로 1.2배 이상 늘려진 상태에서 끼워져 있으며, 탄성 부재(233)는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양쪽에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233)는 섬도가 940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실이며, 세로 방향으로 1.4배 늘린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 대향 기준선(X1)의 부근 및 그보다 전방 영역에서는 피복 시트(223)가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235)를 통해 액 흡수층(22)의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후방 기립 기준선(X4)보다 후방에서도 피복 시트(223)가 액 흡수층(22)의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3)는 적어도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서 피복 시트(223)에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후방 기립 기준선(X4)은 항문의 후방의 둔열부에 대향하고 혹은 더욱 그 후방의 미저골에 대향한다. 그 결과,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대(201)는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이 접근하도록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되어 변형하고,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서 또한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있어서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및 탄성 부재(233)가 액 흡수층(2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기립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및 탄성 부재(233)에 의해 융기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음부 대향 기준선(X2)이 횡단하는 영역에서는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본체부(202)에 피부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34)는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을 부분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형성되거나, 또는 볼록부(234) 이외의 영역에서 액 흡수층(22)을 두께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액 흡수층(22)은 침엽수 크라프트 종이와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것이며, 그 단위 중량은 볼록부(234)의 부분에서 가장 크며, 예컨대 900 g/㎡이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은 그 다음에 볼록부(234)의 전단에서부터 압축선(41)의 전단(41a) 사이에서 크며, 예컨대 700 g/㎡이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은 상기 양 영역 이외에서 작으며, 예컨대 400 g/㎡이다. 그리고 단위 중량이 900 g/㎡인 부분을 제외하고 액 흡수층(22)이 가열되어 두께 후방으로 압축되어 있다.
도 19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234)의 피부측 표면과 내장 시트(232)의 착의측 표면은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공된 핫멜트형 접착제(236)를 통해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볼록부(234)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 이외이고 또한 질 대향 기준선(X1)과 후방 기립 기준선(X4) 사이에서는 액 흡수층(22)과 내장 시트(232)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대(201)가 만곡하여 고간부에 장착되면,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저항 부여 수단인 볼록부(23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융기부(203)를 본체부(202)를 향해서 압축할 때의 저항력이 커서 이 부분에서 융기부(203)가 회음부 등에 쉽게 밀착된다.
볼록부(234)와 내장 시트(232)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234)보다 전방에서는 융기부(203)에 체압이 작용하면, 이 체압에 의해 내장 시트(232) 및 피복 시트(223)에 장력이 부여되며, 이 장력에 의해 피복 시트(223)가 질구 등의 요철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되어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볼록부(234)보다 후방에서도 체압에 의해 내장 시트(232) 및 피복 시트(223)에 장력이 부여되고, 이 장력에 의해 피복 시트(223)가 항문 주변이나 둔열부 등을 따라서 변형되어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리대(201)는 볼록부(234)를 갖는 부분의 굽힘 강성이 그 전후보다 높기 때문에 생리대(201)는 볼록부(234)보다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각각 독립하여 만곡되기 쉬워져 생리대 전체가 접히거나 꼬여지는 상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밀착되어 있는 융기부(203)의 피복 시트(223) 및 내장 시트(232)의 친수력에 의해 포착되어 융기부(203)를 전해지거나 혹은 융기부(203)를 투과하여 액 흡수층(22)에 흡수되도록 되어, 경혈이 가로나 후방으로 누출될 염려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혈이 피복 시트(223)나 액 흡수층(22)의 표면을 타고 후방으로 이행하려고 해도 볼록부(234)에서 흡수하여 막을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후방으로의 경혈이 누설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생리대(301)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생리대(301)는 도 21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201)를 변형시킨 것이다.
생리대(301)의 본체부(302)는 액 흡수층(22)에 상기 볼록부(234)와 동일한 볼록부(334)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보다 전방의 압축선(41)의 전단(41a)의 내측에도 볼록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303)는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및 탄성 부재(233)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233)의 탄성 수축력은 전방의 볼록부(335)의 부분에서부터 후방 기립 기준선(X4)의 위치까지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내장 시트(232)는 각각의 볼록부(334, 335)의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생리대(301)는 볼록부(334)가 회음부 또는 항문에 접촉되고, 전방의 볼록부(335)는 질구보다 전방에 접촉한다. 볼록부(334)와 볼록부(335)의 중간이 질구에 대향하고, 이 부분에서는 피복 시트(223) 및 내장 시트(232)와, 액 흡수층(22)과의 사이가 공동이다. 따라서 체압을 받을 때에 볼록부(334)와 볼록부(335) 사이에서 피복 시트(223)에 장력이 발생하여 피복 시트(223)가 질구에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질구로부터 배설되어 볼록부(334)와 볼록부(335) 사이에 부여된 경혈은 볼록부(334)와 볼록부(335)에 의해 전후로 막혀진다. 따라서 경혈이 전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생리대(401)를 평탄한 상태로 한 평면도, 도 24는 상기 생리대(401)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만곡 상태를 세로 방향 중심선(Oy)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하는 생리대(401)를 후방 기준선(X6)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절단한 XXV-XXV선의 단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하는 생리대(401)를 질 대향 기준선(X1)의 위치에서 절단한 XVI-XVI선의 단면도이다. 이 생리용 생리대(401)은 도 22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의 생리 대(301)를 변형시킨 것이다.
생리대(401)의 본체부(402)의 피부측 표면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을 세로 방향으로 긴 범위로 둘러싸는 압축선(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융기부(4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선(41)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는 본체부(402)에 전후로 거리를 두고 후방의 볼록부(434)와 전방의 볼록부(43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34)와 볼록부(435)는 양 볼록부(434, 435)의 중간 영역보다 액 흡수층(22)의 단위 중량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융기부(434)의 전단(434a)은 질 대향 기준선(X1)보다 후방으로 50 m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고, 융기부(434)의 후단(434b)은 압축선(41)의 후단(41b)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의 볼록부(435)는 그 후단(435b)이 질 대향 기준선(X1)보다 전방으로 50 m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고, 볼록부(435)의 전단(435a)은 압축선(41)의 전단(41a)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의 볼록부(434)의 폭 치수는 전방의 볼록부(435)의 폭 치수보다 작으며, 예컨대 후방의 볼록부(434)의 폭 치수가 30 mm이며, 전방의 볼록부(435)의 폭 치수가 35 mm이다.
융기부(403)는 피복 시트(223)와 내장 시트(232) 및 복수의 탄성 부재(233)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 시트(223)에 대하여 탄성 부재(233)의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는 도 23에 도시하는 전방 기준선(X5)과 후방 기준선(X6) 사이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기준선(X6)보다 후방에서는 볼록부(434)의 표면에 내장 시트(232) 및 피복 시트(223)가 떨어지지 않도록 액의 투과를 방해 하지 않는 양의 핫멜트형 접착제(236)를 통해 접착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전방 기준선(X5)보다 전방에서도 볼록부(435)의 표면에 내장 시트(232) 및 피복 시트(223)가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되어 있다.
전방 기준선(X5)과 후방 기준선(X6) 사이에서는 내장 시트(232) 및 피복 시트(223)가 볼록부(434) 및 볼록부(435)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탄성 부재(233)의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은 전방 기준선(X5)과 후방 기준선(X6) 사이에 작용하고, 본체부(402)가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며, 전방 기준선(X5)과 후방 기준선(X6) 사이에서 피복 시트(223) 및 내장 시트(232)가 본체부(402)의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기립할 수 있다.
이 생리대(401)는 볼록부(434)의 전단(434a)과 볼록부(435)의 후단(345b) 사이에서 융기부(403)를 구성하는 피복 시트(223)가 질구에 접촉하고, 후방의 볼록부(434)가 항문으로부터 둔열부에 걸쳐서 대향한다. 체압을 받으면, 볼록부(434)와 볼록부(435)가 소정의 저항력을 갖고 본체부(402)를 향해서 압축되며, 볼록부(434)와 볼록부(435) 사이에서 피복 시트(223)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장력에 의해 피복 시트(223)가 질구에 쉽게 밀착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1)의 강성 부여 부재(34) 및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1)의 강성 부여 부재(134)는 습윤 상태에 있어서 탄성 변형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면 다른 소재라도 좋으며, 예컨대 폴리우레탄 폼이나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 수지 시트라도 좋고, 또는 섬도가 5.5 내지 11 dtex의 크기인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단위 중량이 20 내지 100 g/㎡의 스루에어 부직포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1)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 신축력을 발휘하는 피복 시트(123)는 1.1 내지 11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포인트본드 부직포나,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된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을 갖는 액 투과성의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제3 실시의 생리대(201)와 제4 실시 형태의 생리대(301) 및 제5 실시 형태의 생리대(401)에 있어서 탄성 부재(233)를 마련하지 않고 피복 시트(223)를 상기 탄성 신축력을 발휘하는 부직포나 수지 필름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1)의 융기부 형성 부재(132)를 친수 처리한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스루에어 부직포나 그 밖의 부직포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융기부의 일부가 신체에 밀착되기 쉽고, 또한 그 전후의 영역에서도 융기부가 신체의 요철 형상을 따라 쉽게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질구에서부터 둔열부에 걸쳐 생리대와 신체 사이에 쉽게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 예컨대 취침 자세나 앉은 자세에서 경혈이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액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액 흡수층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부측 표면에 마련된 융기부를 갖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는 이 융기부의 본체부 방향으로의 압축 변형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지 않는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동시에, 상기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융기부에 부여되는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 가능하고, 이 만곡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높은 것인 생리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여 수단은 질구 대향 기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융기부에는 상기 저항 부여 수단보다 전방의 영역 및 후방의 영역 양쪽에 상기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고 있는 것인 생리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융기부의 기립벽의 일부에 강성 부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상기 융기부와 상기 본체부의 경계부에 강성 부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피부측에는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융기부 형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 형성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강성 부여 부재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생리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여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부분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액 흡수층의 단위 중량을 부분적으로 증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볼록부를 덮으면서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이 부여된 피복 시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피복 시트가 접합되며, 볼록부 이외의 부분에서 피복 시트와 본체부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갖는 것인 생리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전후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
KR1020060046959A 2005-05-27 2006-05-25 생리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12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6100A JP4599227B2 (ja) 2005-05-27 2005-05-27 生理用ナプキン
JPJP-P-2005-00156100 200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31A true KR20060122731A (ko) 2006-11-30
KR101121873B1 KR101121873B1 (ko) 2012-03-19

Family

ID=3744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9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1873B1 (ko) 2005-05-27 2006-05-25 생리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9981B2 (ko)
JP (1) JP4599227B2 (ko)
KR (1) KR101121873B1 (ko)
CN (1) CN1868429B (ko)
TW (1) TW2007116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4914A1 (en) * 2006-07-05 2009-04-08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TW200808274A (en) * 2006-07-05 2008-02-16 Uni Charm Corp Absorptive article
EP2179714A4 (en) * 2007-08-24 2012-12-05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EP2415428A1 (en) 2010-08-04 2012-02-08 Polymer Group, Inc. Breathable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388329B2 (en) 2010-08-12 2013-03-05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98915B2 (en)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94316B2 (en)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480387B2 (en) 2010-08-12 2013-07-0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having a three dimensional profile
US9044356B2 (en) 2011-05-19 2015-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nhanced leakage protection
JP5684046B2 (ja) * 2011-05-20 2015-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201404371A (zh) * 2012-07-17 2014-02-01 yuan-zheng Jian 衛生棉
JP6207197B2 (ja) * 2013-03-28 2017-10-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675498B2 (en) *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MX376607B (es) 2016-02-29 2025-03-07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elemento de proteccion trasero plano.
WO2017151513A1 (en) 2016-02-29 2017-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JP6147882B1 (ja) * 2016-03-01 2017-06-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パッド
TWI603723B (zh) * 2016-06-24 2017-11-01 yuan-zheng Jian Sanitary cotton
CN107088116A (zh) * 2017-06-27 2017-08-25 松嘉(泉州)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拉提式卫生巾生产机械
KR102364836B1 (ko) * 2017-12-28 2022-02-18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CN113301877A (zh) * 2019-02-15 2021-08-24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带有压花表面层的吸收性物品
CN113049638A (zh) * 2021-03-25 2021-06-29 上海创始医疗科技(集团)有限公司 液体含量的测量装置、系统及护理用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147A (en) * 1976-08-05 1977-09-06 Cecilia Berg Sanitary napkin
HU218510B (hu) * 1993-01-22 2000-09-28 The Procter & Gamble Co. Általánosan vékony, flexibilis egészségügyi betét, középen kidudorodó abszorbenssel
US5833680A (en) * 1994-11-14 1998-11-10 Hartman; Christine Sanitary napkin
AU713984B2 (en) * 1995-09-01 1999-12-16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abilizing absorbent element
ATE200213T1 (de) * 1995-10-16 2001-04-15 Procter & Gamble Zusammengesetzter saugfähiger einwegartikel mit erhöhungsformenden elementen
EP0768070A1 (en) * 1995-10-16 1997-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u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 hump-forming element
SE512635C3 (sv) 1996-11-15 2000-05-1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oerstaerkt upphoejning
US5827258A (en) * 1997-07-25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justable compound sanitary napkin
CN1253134C (zh) * 1997-11-13 2006-04-26 宝洁公司 具有获得或保持凸-凹隆起的装置的吸湿用品
JPH11299827A (ja) * 1998-04-20 1999-11-0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H11313851A (ja) * 1998-05-01 1999-11-16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3652505B2 (ja) 1998-05-14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68628B2 (ja) 1998-06-25 2007-01-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294203B2 (ja) * 1998-09-08 200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689326B2 (ja) 2000-11-27 2005-08-31 友江 樋口 生理用品
SE518910C2 (sv) * 2001-04-20 2002-12-0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JP4554276B2 (ja) *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648698B2 (ja) * 2004-12-28 2011-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9227B2 (ja) 2010-12-15
TWI295567B (ko) 2008-04-11
TW200711635A (en) 2007-04-01
CN1868429A (zh) 2006-11-29
JP2006326092A (ja) 2006-12-07
CN1868429B (zh) 2011-01-12
KR101121873B1 (ko) 2012-03-19
US20060271008A1 (en) 2006-11-30
US7549981B2 (en)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73B1 (ko) 생리대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78109B1 (ko)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KR101163246B1 (ko) 생리대
KR101088257B1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516179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4562B1 (ko) 생리대
JP4648698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804561B1 (ko) 생리용 흡수 제품
JP4712376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554275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5014604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4208919A (ja) 圧縮溝と可撓部と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08062872A1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4154154A (ja) 弾性復元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92937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1314445A (ja) 吸収性物品
JP4960487B2 (ja) 生理用ナプキン
CN219595003U (zh) 吸收用品
JP2001314446A (ja) 吸収性物品
WO2014196666A4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5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