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8257B1 -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257B1
KR101088257B1 KR1020047019207A KR20047019207A KR101088257B1 KR 101088257 B1 KR101088257 B1 KR 101088257B1 KR 1020047019207 A KR1020047019207 A KR 1020047019207A KR 20047019207 A KR20047019207 A KR 20047019207A KR 101088257 B1 KR101088257 B1 KR 10108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flexible shaft
absorbent article
crimping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519A (ko
Inventor
심페이 고마츠
사토시 미즈타니
다츠야 다무라
마코토 스에카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2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3)와,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제1 가요축(11) 및 제2 가요축(12)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5)를 규정한다. 제2 가요축은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또한 제1 가요축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인접하는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 사이에 지지부(6)를, 상기 제2 가요축의 외측에 측단부(7)를 규정한다.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측단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HAVING FLEXIBLE AXES}
[관련 출원의 표시]
본 출원은 2002년 9월 9일 출원인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2-263454호 및 2002년 9월 20일 출원인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2-27638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되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본 발명은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등의 흡수에 알맞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층을 갖는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되기 쉽게 변형할 수 있는 가요축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흡수층과, 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층의 착의측 표면을 덮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통상은 속옷의 크로치 천 내면에 상기 이면 시트가 감압 접착층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부로부터의 배설액을 확실하게 포 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부측 표면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킬 것이 요구된다. 흡수성 물품을 고간부에 착용하고 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과 상기 배설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상기 표면 시트에 주어진 배설액이 표면 시트를 따라서 흘러, 흡수성 물품의 측방으로부터 새거나 착용자의 둔부 방향으로 새기 쉽게 되어, 속옷이나 그 밖의 옷을 더럽힐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의 크로치 천에 고정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 착용하면,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한 속옷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속옷의 크로치 천과 함께 흡수성 물품이 대퇴부 사이에 끼여 가로 방향에서 압축되면, 흡수층이 가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과 착용자의 배설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쉽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의 중앙 부분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중앙 부분에 흡수체의 두께를 크게 한 융기부가 설치되고, 이 융기부의 좌우 양측에, 1쌍의 만곡된 표면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표면홈이 가요축이 되어 흡수체를 꺾이기 쉽게 함으로써, 상기 융기부를 장착자 측으로 볼록한 단면 아치 형상으로 변형시키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상면 양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중앙부에서 간격이 좁게 된 압착 줄홈이 형성되고, 하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 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압착 줄홈이 형성된 생리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대 퇴부로부터 응력을 받음으로써, 하면의 압착홈 부분이 위로 들어 올려져, 생리대가 W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변형되어 여성 국부에 적절하게 밀착된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32823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5-3969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은, 압축력을 받았을 때에, 좌우로 1줄씩 형성된 표면홈에 있어서, 흡수체는 피부측이 골짜기가 되도록 꺾이게 되기 때문에, 1쌍의 표면홈에 의해 끼워진 융기부가 착용자의 피부에서 멀어지게 변형되기 쉬워, 오히려 상기 융기부와 착용자의 배설부의 밀착도가 저하되기 쉽다.
또한,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느낌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통상은 상기 융기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체가 저밀도이며 또 연질이기 때문에, 좌우로부터 압력을 받은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홈 부분에서 흡수체가 절곡되기보다는 오히려 융기부가 좌우에서 단순히 압축되는 것만으로 되기 쉽다. 또한 이 변형 상태에서 흡수체에 배설액이 주어지면, 흡수체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로 방향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넓어지는 식의 복원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작아져, 배설액을 흡수성 물품 내에서 충분히 포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생리대에서는, 이면측의 중앙부에 압착 줄홈을 형성함으로써, 흡수층을 착용자의 피부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변형시키려고 하 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층에는 부드럽고 저밀도인 것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배설액을 흡수하면 강도가 저하되어, 볼록 상태에서 흡수층이 찌부러지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흡수층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충분히 밀착시키기 어렵게 된다. 한편, 배설액을 흡수한 상태라도 볼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밀도 재료를 흡수층에 사용하면, 착용자의 고간부에 강직감을 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이, 생리대의 이면에 형성된 압착 줄홈 부분에서는 흡수층의 밀도가 높아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흡수층이 볼록형으로 변형했을 때에 상기 압착 줄홈이 볼록한 꼭대기부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이 압착 줄홈 부분도 착용자의 신체에 강직감을 주기 쉽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한 흡수성 물품은 세로로 길며, 그 피부측 표면에서 상승하는 융기부도 세로로 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가요축이 되는 표면홈은 상기 융기부의 전방 부분의 양측에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융기부의 후방 부분을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상기 융기부의 후방 부분을 고간부에서 둔부에 걸친 영역, 특히 여성의 회음부(질구 후방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취침 시간 및 낮에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이 둔부 방향을 향해서 새기 쉽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수층을 갖는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되기 쉽고, 또한 배설액을 흡수한 상태라도 상기 한 밀착을 유지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방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밀착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면에 있어서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며,
제1 가요축 및 제2 가요축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를 규정하며, 제2 가요축은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제1 가요축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인접하는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 사이에 지지부를, 상기 제2 가요축의 외측에 측단부를 규정하고 있어,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측단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각각 2줄씩의 가요축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을 받았을 때에 각 측의 제1과 제2 가요축에 의해 각각 흡수성 물품이 꺾임으로써, 중앙 흡수부가 용이하게 들려 올라간다.
즉, 각각의 제2 가요축에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제2 가요축보다도 높아지도록 상기 각 지지부가 변위됨으로써, 상기 중앙 흡수부가 높이 들려 올라가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 변형을 실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각 지지부에 상기 중앙 흡수부의 흡수층보다도 밀도가 높은 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물품에 외력이 주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의 두께 치수의 중점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제2 가요축에 대하여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각각의 제1 가요축이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 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중앙 흡수부와 상기 지지부가 변형되는 것이다.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이 중앙 흡수부의 두께 치수의 중점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이 변형되어 중앙 흡수부를 들어 올리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의 위치에서 그 대향 간격이 가장 좁게 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대향 단부를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중심선에서 서서히 멀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중심선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만곡된 선 형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과 제2 가요축이 대퇴부의 곡면에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로부터의 압축력이 가요축의 각 부분에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지지부가 일정 폭 부분을 지니며, 여기서는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이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소정 길이 범위에 있어서, 중앙 흡수부를 밸런스 좋게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다만,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이 직선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흡수층은 상기 중앙 흡수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단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지지부 및 측단부도 액체 흡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 배설액이 중앙 흡수부에서 측방으로 흐른 경우에도 지지부 등에 의해 배설액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은 상기 흡수층을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과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이 상기 제1 가요축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과 상기 측단부에 설치된 흡수층이 상기 제2 가요축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흡수층이 존재하지 않는 제1 및 제2 가요축 부분에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의 단위면적당 중량보다도 큰 것이다.
이 경우, 중앙 흡수부가 부피감이 있게 되어,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이, 중앙 흡수부 두께의 중점보다도 더욱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의 피부 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이 중앙 흡수부를 지지부에서 지지하기 쉽게 된다.
상기 각 지지부가 5∼15 mm의 폭 치수를 지니며, 여기서는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고, 따라서 이 지지부와 상기 중앙 흡수부의 경계선이 상기 제1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지지부와 상기 측단부의 경계선이 제2 가요축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제1 가요축 및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제1 가요축 사이를 잇는 횡방향 가요축으로 상기 중앙 흡수부가 둘러싸이고,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 밖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가요축과 횡방향 가요축에 의해 중앙 흡수부를 둘러싸면, 배설액이 상기 중앙 흡수부를 넘어서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가요축 부분에서 흡수성 물품이 꺾이기 쉽게 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고간부 형상을 따라서 변형되기 쉽게 된다.
혹은,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제2 가요축 및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제2 가요축 사이를 잇는 횡방향 가요축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중에 위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 사이에 규정된 지지부가, 상기 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에 주어진 배설액이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제1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1 후방 가요축이 제1 가요축에서 후방으로 연속해서 연장되고, 제1 후방 가요축에서 외측으로 이격하면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2 후방 가요축이 후방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 후방 가요축과 제2 후방 가요축 사이에, 후방 지지부가 규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있어서 속옷을 장착하고 있는 중에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에도 매달아 올려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 후방 가요축이 제2 후방 가요축보다도 높아지도록 후방 지지부도 또한 변형 가능하며, 따라서 제1 후방 가요축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또 상기 부분의 아래쪽으로 들어간 후방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제1 후방 가요축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부, 특히 회음부에 밀착하기 쉽게 되어, 후방으로 배설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후방 가요축을 상기 제2 가요축에서 연속해서 연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2 후방 가요축이 상기 제2 가요축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도, 상기 제1 후방 가요축과 상기 제2 후방 가요축은 흡수층을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후방 가요축 사이에는 흡수층을 갖는 후방 중앙 흡수부가 규정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에는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보다도 밀도가 높은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고밀도의 흡수층이 후방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방 중앙 흡수부를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서 들어 올리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제2면에 있어서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며,
제1 후방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후방 중앙 흡수부를 규정하고 있고, 제1 후방 압착부는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흡수성 물품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후방 압착부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 후방 압착부는 제1 후방 압착부에서 외측으로 이격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은 상기 제1 후방 압착부 사이의 가로 방향 대향 간격이 최대인 부분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뒷가장자리부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전단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속옷으로부터의 긴박력(緊迫力)을 받으면, 제2 후방 압착부에 힘이 작용하고, 이 제2 후방 압착부는 그 전단이 제1 후방 압착부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변위되어, 후방 중앙 흡수부를 들어 올리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후방 중앙 흡수부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밀착되기 쉽게 된다. 특히, 제1 후방 압착부의 가로 방향의 대향 간격이 최대로 되고 있는 후방 중앙 흡수부의 광폭 부분이,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 의해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상기 광폭 부분이 회음부에 밀착되기 쉽게 되어, 배설액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제1 후방 압착부와 제2 후방 압착부 사이에 규정되는 부분에는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의 흡수층보다도 밀도가 높은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하는 제1 후방 압착부와 제2 후방 압착부 사이에 고밀도이며 강성이 높은 후방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어, 후방 중앙 흡수부가 회음부를 향해서 들어 올려지기 쉽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 연장선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와 교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후방 압착부에 종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이, 제1 후방 압착부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변형되기 쉽게 되어, 후방 중앙 흡수부의 광폭 부분이 회음부를 향해서 들어 올려지기 쉽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압착부가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와 병렬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후방 압착부와 보조 압착부 사이의 후방 지지부에 의해서, 후방 중앙 흡수부가 들어 올려지기 쉽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후방 압착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제1 압착부가 연장되며,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까지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진다.
이 구성에서는, 후방 중앙 흡수부의 전방의 광폭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중앙 흡수부가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후방 중앙 흡수부의 광폭 부분을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회음부에 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으면,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이 제1 후방 압착부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흡수성 물품이 변형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수성 물품은 특히 생리대로서 이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생리대의 경우, 질구에 밀착되기 위해서, 흡수성 물품의 상기 피부측 표면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질구를 향해서 볼록형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 흡수부가 항상 질구를 향해서 끌어 올려지기 때문에, 중앙 흡수부를 질구 및 회음부와 계속해서 밀착시키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자세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를 II-I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가 속옷의 크로치 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 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크로치 천과 생리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생리대가 타이트한 속옷의 크로치 천에 장착되었을 때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생리대를 VII-VI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B 및 도 8C는 압착 도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생리대를 XI-X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다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많은 특유한 세부를 들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유한 세부가 없더라도 본 발명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불필요하게 불명료한 것으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공지된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나타내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소변, 질분비물 등의 여러 가지 침출액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 착용되는 것인데,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여성의 질구에서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생리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 중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하게 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이라고 하고, 반대측의 표면은 그 외측에 착의가 착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착의측 표면」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가요축(可撓軸)」이라는 용어는 2개의 영역의 경계선을 의미하며, 이 경계선은 2개의 영역과는 강성이 다르고, 이로써 한 쪽의 영역이 다른 쪽의 영역에서 구부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가요축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을 향해서 연속해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세로 방향 중심선」이라는 용어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을 가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선을 의미한다. 한편,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선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형태와 같이 우측의 제1 압착부와, 좌측의 제1 압착부가 평행이 아닌 경우, 좌우에 위치하는 제1 압착부끼리 가장 접근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 정의한다. 또한, 좌우의 제1 압착부가 서로 평행한 경우와 같이, 그 가장 접근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착용중에 질구에 맞닿을 예정인 부분의 세로 방향의 중심을 지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로서 생리대(1)를 피부측 표면을 상향으로 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생리대를 II-I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3은 상기 생리대를 속옷의 크로치 천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크로치 천 및 생리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또한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하여 큰 긴박력을 발휘하는 속옷의 크로치 천에 생리대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세로로 길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부(1a)와 좌측 가장자리부(1b)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가로 방향으로 등거리를 두고, 외향의 만곡된 선 형상의 앞가장자리부(1c) 및 뒷가장자리부(1d)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앞뒤로 간격을 두고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에 날개부(18, 18)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우측 가장자리부(1a)와 좌측 가장자리부(1b)는 날개부(18, 18)의 기초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 절단선(A, A)을 포함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5의 각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대(1)는 착의측 표면 에 나타나게 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와,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게 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3)를 갖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와 상기 표면 시트(3) 사이에는 흡수층(4)이 개재하고 있다. 이 흡수층(4)은 도 1에 그 외주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제1 흡수층(4a)과, 도 1에 그 외주가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제1 흡수층(4a)보다도 면적이 작고 또한 제1 흡수층(4a) 위에 겹쳐진 제2 흡수층(4b)과, 제2 흡수층(4b)보다도 면적이 작고 또한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 흡수부(5) 내에서 제2 흡수층(4b) 위에 겹쳐진 제3 흡수층(4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표면 시트(3)와 상기 흡수층(4)이 압착되어 압착부(10)가 형성되고 있다. 이 압착부(10)는 가열 롤러를 이용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흡수층(4a), 제2 흡수층(4b), 제3 흡수층(4c) 및 표면 시트(3)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흡수체(4a)의 외면에 표면이 평활한 롤이 대어지고, 표면 시트(3)의 표면에 임의 패턴의 엠보스 볼록부를 갖는 가열 롤이 대어져, 가압되고 또 가열된다. 그 결과, 상기 압착부(10)는 상기 흡수층 및 표면 시트(3)가 거의 필름형으로 압착된 고밀도 압착부(10a)와, 인접하는 고밀도 압착부(10a) 사이의, 필름형으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압착부(10) 이외의 영역보다도 흡수층이 고밀도로 된 중밀도 압착부(10b)를 갖는다. 이 고밀도 압착부(10a)와 중밀도 압착부(10b)가 교대로 형성되어, 각 압착부(10)는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이 이면 시트(2) 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압착홈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흡수층 및 표면 시트(3)가 처리되어 상기 압착부(10)가 형성된 후에, 상기 제1 흡수층(4a)의 아래쪽에 상기 이면 시트(2)가 접착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10)는 상기 엠보스 볼록부를 제1 흡수층(4a)의 외면에 대고, 제1 흡수층(4a)의 외면이 피부측 표면을 향해서 우묵하게 들어가는 압착홈으로서 형성되더라도 좋다. 혹은, 표면 시트(3)와 상기 제1 흡수층(4a)의 쌍방에 상기 엠보스 볼록부를 댐으로써 상기 압착부(10)가 형성되더라도 좋다.
상기 압착부(10)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1 압착부(11, 11)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압착부(11, 11)보다도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둔 제2 압착부(12, 12)를 갖고 있다. 제1 압착부(11, 11) 및 제2 압착부(12, 12)는 함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원호형의 만곡된 선을 따르는 압착홈이며,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는 제2 압착부(12, 12)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서로 등거리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압착부(11, 11)가 제1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압착부(12, 12)가 제2 가요축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압착부(10)는 또, 제1 압착부(11, 11)의 전단 및 후단부 사이를 잇는 횡방향 압착부(13, 13)를 갖고 있다. 이 횡방향 압착부(13, 13)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 오목측이 향하게 된 원호형의 만곡된 선을 따르는 압착홈이다. 이 횡방향 압착부(13, 13)에 의해 횡방향 가요축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압착부(11, 11) 및 횡방향 압착부(13, 13)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중앙 흡수부(5)이며, 상기 제2 압착부(12, 12)는 이 중앙 흡수부 밖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압착부(10)는 또한, 제1 압착부(11, 11)에 연속하여 상기 횡방향 압착 부(13)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 압착부(14, 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압착부(11, 11)와 연속하여 횡방향 압착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압착부(15, 15)를 갖고 있다. 전방 연장 압착부(14, 14)에 의해 전방 연장 가요축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연장 압착부(15, 15)에 의해 후방 연장 가요축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에 의해 끼워진 영역이 지지부(6, 6)이다. 이 지지부(6, 6)는 상기 제2 압착부(12, 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 폭의 호상(弧狀) 영역이다. 또한, 우측의 제2 압착부(12)와 우측 가장자리부(1a)에 의해 끼워진 영역 및 좌측의 제2 압착부(12)와 좌측 가장자리부(1b)에 의해 끼워진 영역이, 각각 측단부(7, 7)이다.
상기 흡수층(4)은 중앙 흡수부(5)와 각 지지부(6, 6)의 전역 및 제2 압착부(12, 1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 측단부(7, 7)의 도중까지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흡수부(5)에서는 제1 흡수층(4a), 제2 흡수층(4b) 및 제3 흡수층(4c)이 겹쳐져 단위면적당 중량이 크고 부피감이 있는 중앙부 흡수층(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부(6)에는 제1 흡수층(4a)과 제2 흡수층(4b)이 적층된 지지부 흡수층(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측단부(7)에도 상기 제1 흡수층(4a)과 제2 흡수층(4b)이 적층된 측단부 흡수층(4C)이 설치되어 있다.
흡수층(4)에서는 중앙부 흡수층(4A)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지지부 흡수층(4B)과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크게 되고 있다. 지지부 흡수층(4B)과 측단부 흡수층(4C)은 동일한 단위면적당 중량이라도 좋지만, 지지부 흡수층(4B)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큰 쪽이 지지부(6)에 강성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흡수층(4B)은 압축된 상태이며, 그 양측이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에 의해 구속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 흡수층(4B)의 밀도는 중앙부 흡수층(4A)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높게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11)에서는(고밀도 압착부(10a) 및 중밀도 압착부(10b)의 쌍방에 있어서), 제1 압착부(11)의 양측에 위치하는 중앙부 흡수층(4A) 및 지지부 흡수층(4B)보다도 밀도가 높게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압착부(11)가 제1 가요축으로 되어, 중앙 흡수부(5)로부터의 지지부(6)의 절곡을 용이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압착부(12)에서는 제2 압착부(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부 흡수층(4B)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게 되어 있고, 상기 제2 압착부(12)가 제2 가요축으로 되어, 지지부(6)로부터의 측단부(7)의 절곡을 용이하게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를 평면형으로 전개시켜 외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의 중앙 흡수부(5)의 두께 치수를 H로 하고, 이면 시트(2)의 외면에서, 제1 압착부(11) 및 제2 압착부(12)의 두께 중심까지의 높이를 h로 했을 때에, 상기 h는 H/2보다도 충분히 작게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는 H/6 이하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의 양측부에는 불투액성 시트(20)로 형성된 샘 방지 벽(21, 2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샘 방지 벽」이라는 용어는 불투액성 시트(20)의 둘로 접힌 부분을 가리키며, 여기에는 세 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22)가 신장된 상태로 접착되고 있다. 이 샘 방지 벽(21, 21)은 생리대(1)의 중간 부분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에서 상승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생리대(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샘 방지 벽(21, 21)은 전체가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거기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해 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대(1)에는 상기 우측 가장자리부(1a) 및 좌측 가장자리부(1b)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8, 18)가 형성되고 있다. 이 날개부(18, 18)는 이면 시트(2)와 상기 불투액성 시트(20)가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의 외면에는 생리대(1)의 중앙 부분을 속옷의 크로치 천에 접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과, 날개부(18, 18)를 속옷의 크로치 천의 외면에 접착하기 위한 감압 접착체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생리대(1)가 속옷의 크로치 천(25)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생리대(1)는 중앙 부분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를 통해 크로치 천(25)의 내면에 접착된다. 또한 날개부(18, 18)는 크로치 천(25)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말아 넣도록 하여, 크로치 천(25)의 외면을 향해서 구부려지고, 날개부(18, 18)는 감압 접착제에 의해 크로치 천(25)의 외면에 접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천(25)에 생리대(1)를 장착한 상태로 이 속옷을 착용하여, 일상 활동 중에서 착용자의 대퇴부의 간격을 좁히면, 이 대퇴부 로부터의 압축력(F)이, 상기 크로치 천(25) 및 생리대(1)에 대하여 양측에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 작용한다. 이 압축력(F)은 제2 압착부(12, 12)를 통해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지지부(6, 6)로 전해지며, 또한 제1 압착부(11, 11)에 작용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의 두께 중심은 중앙 흡수부(5)의 두께 치수(H)의 중점보다도 충분히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F)이 생리대(1)에 작용하면, 중앙 흡수부(5)의 하측 부분이 양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약간 수축되어, 양측의 제1 압착부(11)와 제1 압착부(11)가, 중앙 흡수부(5)의 아래쪽 위치에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 접근하고자 한다. 지지부(6, 6)는 중앙 흡수부(5)보다도 강성이 높고, 더구나 생리대 가로 방향의 폭 치수가 작고 생리대 세로 방향을 향해서 길기 때문에, 지지부(6, 6)에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가 접근하는 것과 같은 굴곡이 생기기 어렵고, 한편, 상기 압축력을 받은 생리대(1)는 가요축으로서 기능하는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에 의해 구부러지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착부(11, 11)가 중앙부 흡수층(4A) 아래로 더욱 들어가는 동시에, 지지부(6, 6)는 제1 압착부(11, 11)가 제2 압착부(12, 12)보다도 착용자의 고간부에 근접하도록 일어나, 이 지지부(6, 6)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며, 중앙 흡수부(5)가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서 들어 올려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흡수부(5)는 폭 치수가 약간 감소하여 피부측 표면이 만곡된 상태에서 들어 올려져, 질구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중앙 흡수부(5)는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지지부(6, 6)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들려 올려진다. 따라서, 밀도가 낮고 연질인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어, 음순부 및 질구에 압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어, 음순부나 질구와 중앙 흡수부(5)의 밀착 감촉이 양호하게된다.
착용자의 신체로부터의 압박력이 중앙 흡수부(5)에 작용하면, 이 압력은 중앙 흡수부(5)가 수축함으로써 받아내어지고, 또한 이 압박력은 중앙 흡수부(5)를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6, 6)에 미친다. 그러나 이 때, 지지부(6, 6)의 속옷 측으로 탄성 변형에 의한 완충 기능과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의 굴곡에 의한 완충 기능에 의해 상기 압박력을 완화하기 쉽다. 따라서, 착좌시 등과 같이 대퇴부의 간격을 좁힌 상태에서 더욱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큰 압박력을 받더라도, 그 압박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생리대(1)는 도 4에 도시하는 변형 상태로 되돌아가기 쉽게 되어, 중앙 흡수부(5)와 질구의 밀착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생리대(1)가 탄성 기능과 완충 기능을 갖기 때문에, 꼬임이나 뒤틀어짐이 남는 일이 없어, 그 피부측 표면 면적의 실질적인 감소를 방지할 수 있어, 경혈의 흡수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는 중앙 흡수부(5)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 나아가서는 지지부(6, 6)가 직접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을 확률이 낮아져, 이들의 강성이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을 주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는 세로 방향 중심선(Oy- Oy)에 볼록측이 향하는 만곡된 선 형상이기 때문에, 제1 압착부(11, 11) 및 제2 압착부(12, 12)가 대퇴부의 곡면에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퇴부로부터 주어지는 상기 압축력(F)은 제1 압착부(11, 11), 제2 압착부(12, 12) 및 각 지지부(6, 6)의 각 부분에 균등하게 작용하기 쉽다.
또한, 제2 압착부(12, 12)는 제1 압착부(11, 11)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격된 것이며, 따라서 지지부(6, 6)는 일정한 폭이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6, 6)는, 그 어떤 부분에서도, 중앙 흡수부(5)를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서 들어 올리도록 작용할 수 있어, 중앙 흡수부(5)가 넓은 범위에 걸쳐 질구에 밀착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생리대(1)는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F)를 받았을 때에,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밀착되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긴박력이 비교적 약한 헐렁한 속옷에 생리대(1)를 부착했을 때라도, 지지부(6, 6)에 의해서 지지된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6, 6)의 각 부분과 대퇴부의 거리의 차를 작게 하여, 지지부(6, 6)에 압축력(F)이 되도록이면 동등하게 주어지기 위해서는,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 및 지지부(6)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동등한 효과는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 및 지지부(6)가, 가로 방향 중심선(Ox-Ox)의 위치에서 가장 접근하고, 이 가로 방향 중심선(Ox-Ox)에서 전후로 멀어짐에 따라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것이라면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양 압착부(11, 12)와 지지부(6, 6)가 원 또는 타원의 호(弧), 사다리꼴 혹은 V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도 좋다. 가로 방향 중심 선(Ox-Ox)의 위치에서 가장 접근하고, 이 가로 방향 중심선(Ox-Ox)에서 전후로 멀어짐에 따라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것이라면,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가 지그재그선이나 파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5는 착용자의 신체에의 긴박력이 강한 생리시의 착용에 알맞은 타이트한 속옷을 착용했을 때의 상기 생리대(1)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유형의 속옷에서는 크로치 천(25A)에서 뒷길을 향해 탄성 밴드(25B)가 부착되고, 크로치 천(25A)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둔부의 홈을 따르는 방향으로 매달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중앙 흡수부(5)도 속옷으로부터 매달려 올라가는 힘을 받아 질구를 향해서 들어 올려지려고 한다. 이 때 생리대(1)는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에 의해 끼워진 지지부(6, 6)가 자유도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중앙 흡수부(5)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지지부(6)와 지지부(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속옷의 크로치 천(25A)에서 중앙 흡수부(5)로 들어올려지는 힘이 주어졌을 때에, 그 힘을 따라서 생리대(1)가 변형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생리대(1)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느낌이 우수한 동시에 속옷과의 일체감을 생기게 하기 쉽게 된다.
이 생리대(1)에서는 횡방향 압착부(13, 13)가 횡방향 가요축으로서 설치되고,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압착부(11, 11)와 횡방향 압착부(13, 13)로 둘러싸인 중앙 흡수부(5)의 전체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서 들려 올려지기 쉽게 된다.
더욱이, 생리대(1)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둔 전방 연장 압착부(14, 14)가 전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둔 후방 연장 압착부(15, 15)가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압착부도 또 가요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더욱 간단히 3차원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이 부분이 치구(恥丘)와 둔부에 딱 맞기 쉽게 된다.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주로 질구에 밀착하고 있는 중앙 흡수부(5)에 주어져, 표면 시트(3)를 투과하여 중앙부 흡수층(4A)에 흡수된다. 중앙 흡수부(5)는 제1 압착부(11, 11) 및 횡방향 압착부(13, 13)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에 있어서, 경혈이 바깥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되며, 경혈은 중앙 흡수부(5)내에서 확산되어 흡수되어, 중앙부 흡수층(4A)의 액체 흡수 용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를 따라서 흐르는 경혈이 지지부(6, 6) 및 측단부(7, 7)에 이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도 흡수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6, 6) 및 측단부(7, 7)에 있어서도 경혈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에 의해 끼워진 지지부(6) 내의 지지부 흡수층(4B)은 비교적 작은 단면이 되도록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 사이에 구속되고 있다. 이로써, 지지부 흡수층(4B, 4B)이 경혈을 흡수하여 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지지부 흡수층(4B, 4B)의 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강도도 저하되기 어렵다. 따라서, 지지부 흡수층(4B, 4B)이 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중앙 흡수부(5)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강성 및 완충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서 생리대(1)가 평탄한 상태로 눌리기 어렵다.
또한, 생리대(1)가 크로치 천(25)에 고착되어 착용자의 고간부를 따라서 변형되면,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 방지 벽(21, 21)이 상승하여 그 상단부분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밀착된다. 이 샘 방지 벽(21, 21)에 의해서도 경혈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의 바람직한 수치를 설명한다. 이 이후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은 같은 수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층은 섬유를 친수지 등으로 둘러싸 구성하고 있지만, 이하의 흡수층의 밀도 및 단위면적당 중량은 친수지 등을 제외한 것이다.
중앙부 흡수층(4A)은 중앙 흡수부(5)에 있어서 경혈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큰 액체 흡수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드럽게 닿고, 더구나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가해지고 있던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두께를 회복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 흡수층(4A)은 밀도가 0.05∼0.15 g/cm3 범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25 g/cm3이고, 나아가서는 0.05∼0.1 g/cm3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질구에 닿았을 때의 촉감이 부드럽게 되고, 또한 상측으로부터의 압박에 대해 큰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중앙부 흡수층(4A)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400∼1200 g/m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000 g/m2이다. 이 범위라면 충분한 액체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밀도와 한데 어울려 위쪽 방향으로부터의 압박에 대하여 충분한 탄성 복원력이 실현된다.
표면 시트(3)와 중앙부 흡수층(4A) 사이에 에어스루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액체 안내층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 흡수부(5)를 구성하여, 표면 시트(3)를 투과한 경혈이 중앙부 흡수층(4A)에 흡수되기 전에 액체 안내층을 투과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액체 안내층을 제외한 흡수층의 밀도이며, 또 상기 바람직한 단위면적당 중량은 액체 안내층을 포함한 상기 흡수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중앙 흡수부(5)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 상에서의 폭 치수(W1)는 여성의 성기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일반적인 여성의 고간부의 폭은 30 mm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중앙 흡수부(5)의 폭 치수(W1)는 15∼5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20∼4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지지부 흡수층(4B)은 중앙부 흡수층(4A)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게 구성된다.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의 대향 거리가 충분히 짧으면, 상기 제1 및 제2 압착부(11, 12)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지부 흡수층(4B)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압착부(11, 12)의 형성전에 압축에 의해 지지부 흡수층(4B)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라도 좋다.
지지부 흡수층(4B)의 밀도는 0.1∼0.5 g/cm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지지부 흡수층(4B)이 중앙 흡수부(5)를 들어 올리고 또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기 밀도 범위의 하한은 0.125 g/cm3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g/cm3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 흡수층(4B)에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기대하는 경우, 상기 밀도의 상한은 0.2 g/cm3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부 흡수층(4A)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크고 또 충분한 쿠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상기 지지부 흡수층(4B)은 중앙 흡수부(5)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중시하여 상기 밀도를 0.2∼0.5 g/cm3의 범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중에 도 10에 의해 설명하는 것과 같이, 지지부 전체가 압착부로 형성되는 경우, 그 압착부 전체의 밀도는 0.5∼1.5 g/cm3의 범위이다.
또한 지지부 흡수층(4B)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300∼800 g/m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600 g/m2이다. 이 단위면적당 중량은 중앙부 흡수층(4A)보다도 작고,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6)의 폭 및 제1 압착부(11)의 폭과 제2 압착부(12)의 폭의 총화(W2)는 5∼15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mm의 범위이다. 통상 속옷을 착용하면, 속옷의 크로치 천과 착용자의 질구 사이에는 5 mm 정도의 간극이 생기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폭 치수(W2)를 5∼15 mm, 바람직하게는 5∼10 mm로 해 두면, 도 4 또는 도 5의 변형 상태에 있어서, 중앙 흡수부(5)를 질구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부(6, 6)의 길이(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평행하게 잰 치수)는 제2 압착부(12, 1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지지부(6, 6)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 으면, 중앙 흡수부(5)를 질구를 향해서 밀어올리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지지부(6, 6)의 길이는 3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길이의 상한은 100 mm가 바람직하다. 다만, 야간용이나 경혈이 많은 날에 사용되는 예컨대 도 13 등에 도시되는 롱 타입의 생리대인 경우, 지지부(6, 6)의 길이가 100 mm를 넘어도 좋다. 예컨대 생리대가 길이 380mm 정도의 상기 롱 타입인 경우, 지지부(6, 6)의 길이의 상한은 120 mm 정도이다. 길이가 100 mm(롱 타입의 경우 120 mm)를 넘으면, 생리대(1)로부터 착용자의 신체에 강직감을 주기 쉽게 될 가능성이 있다.
측단부 흡수층(4C)은 상기 지지부(6, 6)와 동등한 밀도라도 좋고, 중앙부 흡수층(4A)과 같은 밀도라도 좋으며, 그 범위는 0.05∼0.15 g/cm3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생리대(1)가 측방에서 압축력(F)을 받아, 우측의 측단부(7)와 좌측의 측단부(7)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그 작용한 힘을 제2 압착부(12, 12)에 확실하게 전달하여, 지지부(6, 6)에서 중앙 흡수부(5)를 끌어올리게 하기 위해서는, 측단부 흡수층(4C)의 밀도는 중앙부 흡수층(4A)의 밀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측단부 흡수층(4C)의 폭 치수(W3)는 10∼3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또한 측단부 흡수층(4C)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300∼450 g/m2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중량의 상한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생리대의 경우, 단위면적당 중량의 상한이 600 g/m2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 중 제1 압착부(11)와 제2 압착부(12)에서는 가장 밀도가 높은 부분(즉 고밀도 압착부(10a))의 밀도가, 중앙부 흡수층(4A), 지지부 흡수층(4B) 및 측단부 흡수층(4C)의 각각의 밀도보다도 충분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압착부(10a)의 밀도는 0.5∼1.5 g/cm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착부(10)에서의 중밀도 압착부(10b)의 밀도는 반드시 상기 범위 내가 아니더라도 좋은데, 이것은 상기 고밀도 압착부(10a)에 의해 가요축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곡되기 쉬운 가요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밀도 압착부(10b)의 밀도도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압착부(11, 11)와 제2 압착부(12, 12)를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폭 치수(W4)는 1.5∼3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각 구성 소재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표면 시트(3)에는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또는 네트형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 화학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가 사용된다. 혹은 피부측 표면에 액체 투과 구멍을 갖는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이 나타나고, 그 아래에 에어스루 부직포가 적층된 복합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성 수지 필름이 백색화제인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고, 에어스루 부직포는 심부가 산화티탄을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PE)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가 사용되어, 열풍에 의해서 상기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끼리를 열융착에 의해 접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3)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다른 부직포라도 좋다.
상기 이면 시트(2)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또 통기성의 시트이며, 미세한 통기 구멍이 형성된 폴리에틸렌(PE)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이다. 예컨대, 상기한 플라스틱 필름에 CaCO3, BaSO4 등의 무기 필러를 혼합시켜 연신 처리함으로써, 필름에 미세한 통기 구멍이 적절히 분산되어 형성되어,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필름은 두께가 15∼50 ㎛ 정도인 것이다. 혹은, 부직포에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재료라도 좋다.
상기 제1 흡수층(4a), 제2 흡수층(4b), 제3 흡수층(4c)은 분쇄 펄프, 머서가공된 펄프, 가교결합된 펄프 등의 펄프를 퇴적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각 흡수층(4a, 4b, 4c)이 겹쳐진 상태에서, 그 전체가 친수지로 둘러싸인다. 상기 펄프에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아미드, 무수말레산 등의 합성 흡수 폴리머나, 전분,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 흡수 폴리머가 혼합되고 있더라도 좋다. 혹은 시트형의 흡수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특히, 상기 지지부(6, 6) 내에, 상기 흡수 폴리머 또는 그 시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 펄프 사이의 접합력이 높아져, 상기 지지부(6, 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샘 방지 벽(21)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20)에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혹은 이들의 적층체가 이용된다. 시트(20)는 발수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 표면 시트(3), 흡수층(4)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20)는 상기 압착부(10)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적절하게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생리대(1A)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생리대(1A)을 도 6의 VII-VI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할된 흡수층, 즉 중앙부 흡수층(40A), 지지부 흡수층(40B, 40B), 측단부 흡수층(40C, 40C)이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에 의해 끼워지고 있다. 상기 각 흡수층(40A, 40B, 40C)의 밀도나 단위면적당 중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중앙부 흡수층(40A)과 상기 지지부 흡수층(40B) 사이에서는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직접 접착되어, 제1 접착부(31, 31), 전방 연장 접착부(34, 34) 및 후방 연장 접착부(35)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각 지지부 흡수층(40B)과, 측단부 흡수층(40C) 사이에서도,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직접 접착되어, 제2 접착부(32, 32)가 형성되고 있다.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전후로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제1 접착부(31, 31) 사이를 연결하는 횡방향 압착부(33, 33)가 형성되고 있다. 이 횡방향 압착부(33, 33)에서는 표면 시트(3)와 함께 중앙부 흡수층(40A)이 압축되고 있다.
상기 접착부 및 압착부는 도 1에 도시하는 압착부(10)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우측의 제1 접착부(31)와 좌측의 제1 접착부(31)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중앙 흡수부(5A)이며, 우측의 제1 접착부(31)와 우측의 제2 접착부(32)에 의 해 끼워진 부분 및 좌측의 제1 접착부(31)와 좌측의 제2 접착부(32)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지지부(6A, 6A), 우측의 제2 접착부(32)와 우측 가장자리부(1a)에 의해 끼워진 부분 및 좌측의 제2 접착부(32)와 좌측 가장자리부(1b)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측단부(7A, 7A)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하는 생리대(1A)에서는 제1 접착부(31, 31)가 제1 가요축이 되고, 제2 접착부(32, 32)가 제2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부터 압축력을 받았을 때에,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생리대(1B)의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B)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압착부(10)와 같은 패턴으로 압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10B)는 제1 압착부(11B, 11B), 제2 압착부(12B, 12B), 횡방향 압착부(13B, 13B), 전방 연장 압착부(14B, 14B)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B, 15B)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압착부(10B)는 연속하는 압착홈으로서가 아니라, 상기 패턴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늘어서는 압착 도트로서 형성되고 있다.
이 압착부(10B)는 도트 부분만으로 표면 시트(3)와 흡수층(4)이 가압되고 가열되어 고밀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압착 도트가 도트 패턴의 엠보스 볼록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때, 인접 압착 도트 사이에서는 가열도 가압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생리대(1B)에 있어서도, 제1 압착부(11B, 11B)가 제1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제2 압착부(12B, 12B)가 제2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 4 또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A,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도트는 원형이라도 좋고,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 도트가,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단선 형상이라도 좋다. 도 8B,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착부(11B)에 있어서의 인접 압착 도트 사이의 가압·가열되고 있지 않은 중간부와, 제2 압착부(12B)에 있어서의 인접 압착 도트 사이의 가압·가열되고 있지 않은 중간부가,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제1 압착부(11B, 11B)의 압착 도트와, 제2 중간부(12B, 12B)의 압착 도트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도트를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중앙 흡수부(5)에 주어진 경혈이 표면 시트(3)나 흡수층을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에, 압착 도트가 가로 방향으로의 경혈의 이행에 대하여 미로와 같이 기능하여, 경혈이 측단부(7, 7)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한 쪽을, 도 1의 압착부(10)와 같은 압착홈으로 하고, 다른 쪽을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1 압착부, 횡방향 압착부, 전방 연장 압착부 및 후방 연장 압착부 모두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2 압착부만을 상기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제2 압착부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1 압착부의 전체 혹은 제1 압착부 중의 상기 제2 압착부에 대향하는 영역만을 상기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들의 경우, 횡방향 압착부와 전방 연장 압착부 및 후방 연장 압착부는 압착홈으로서 형성하더라도 좋고,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다만,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가까운 제1 압착부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2 압착부를 압착 도트의 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중앙 흡수부(5)에 주어진 경혈이 지지부(6, 6)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부(6, 6)의 강성 혹은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부를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한 경우, 인접 압착 도트 사이의 비압착부에 의해 세로 방향을 향해 만곡되기 쉽게 되어, 생리대의 전단부가 하복부 측에, 후단부가 둔부 측에 딱 맞도록 만곡 변형하기 쉽게 된다. 더욱이, 도 8B,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도트를 번갈아 형성하면, 압착부가 굽힘 강성을 높이는 일없이 상기 만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를 형성하는 경우,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의 길이는 10∼20 mm 정도가 바람직하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 사이에 있는 중간 부분(비압착 부분)의 길이는 5∼10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를 각자, 상기 고밀도 압착부(10a)와 중밀도 압착부(10b)가 교대로 반복하는 것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압착부 중 어느 부분이 도중에 끊기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생리대(1C)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이 생리대(1C)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지만, 다만, 지지부(6C, 6C) 내에, 상기 지지부 흡수층(4B, 4B)과 함께 보강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23)는 중앙부 흡수층(4A)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 고 또 강성이 높은 것으로, 예컨대 발포 수지 재료, 두꺼운 종이 재료,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이다. 이 보강 부재(23)를 설치함으로써, 지지부(6C)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중앙 흡수부(5)를 아래쪽에서부터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중앙 흡수부(5)를 질구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6C)에 상기 지지부 흡수층(4B)을 설치하는 일없이 상기 보강 부재(23)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보강 부재(23)는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 사이에 설치하더라도 좋고, 이면 시트(2)의 외측에 접착하더라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생리대(1D)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을 XI-XI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다.
이 생리대(1D)에서는 제1 압착부(11, 11)의 일부가 우측 가장자리부(1a)와 좌측 가장자리부(1b)를 향해서 넓어져 제2 압착부(12, 12)와 일체화되어, 폭이 넓은 압착부(16, 16)가 형성되고 있다. 이 압착부(16, 16)가 지지부(6D, 6D)로 되고 있다. 압착부(16, 16)는 다른 압착부보다도 폭 치수(W2)가 충분히 넓게 되고 있다. 이 폭 치수(W2)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5∼15 mm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mm의 범위내이다.
따라서 이 생리대(1D)의 각 지지부(6D)에서는 표면 시트(3)와 흡수층(4)이 가압되어 고밀도로 되고 있고, 이 지지부(6D)와 중앙 흡수부(5)의 경계부가 원호 곡선의 제1 가요축(11D)으로 되고, 지지부(6D)와 측단부(7)의 경계부가 원호 형상의 제2 가요축(12D)으로 되고 있다. 압축력(F)을 받으면, 지지부(6D, 6D)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상승하여, 중앙 흡수부(5)를 질구에 밀착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D, 6D)는 고밀도이며 강직(剛直)하지만,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 중에 이들은 중앙 흡수부(5)의 아래쪽으로 들어가, 착용자의 고간부와는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강직한 지지부(6D, 6D)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화감을 생기게 하는 일이 적다.
한편,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생리대(1D)에는 날개부(18, 18) 및 샘 방지 벽(21, 21)이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이 생리대(1D)도, 이면 시트(2)의 외면이 감압 접착제층을 통해 속옷의 크로치 천(25)의 내면에 접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대퇴부로부터 압력을 받은 경우에,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밀어부쳐지게 된다.
이어서, 도 12 내지 도 16은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가요축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있었지만,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가요축은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와는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요축의 패턴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조를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주로 가요축의 패턴 차이만을 설명하고, 다른 부분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생리대(1E)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생리대(1E)의 압착부(10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횡 방향 압착부(13, 13)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원호 곡선형의 제1 압착부(11E, 11E)의 전후로 전방 연장 압착부(14E, 14E)와 후방 연장 압착부(15E, 15E)가 연속되고 있다. 상기 제1 압착부(11E, 11E)로 둘러싸인 부분이 중앙 흡수부(5)이다. 상기 제2 압착부(12E, 12E)는 상기 중앙 흡수부(5)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압착부(12E, 12E)도 원호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제1 압착부(11E, 11E)와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변형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6, 6)에 의해서 중앙 흡수부(5)를 질구에 밀어부칠 수 있도록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흡수층에 주어진 경혈이, 제1 압착부(11E, 11E)에 의해 끼워진 중앙 흡수부(5)로부터, 또한 전방 연장 압착부(14E, 14E)에 의해 끼워진 부분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E, 15E)에 의해 끼워진 부분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혈이 나왔을 때에 생리대(1E)의 세로 방향의 치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생리대(1F)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F)는 세로로 길며, 후방 부분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부(1a)와 좌측 가장자리부(1b) 사이의 폭 치수가 크게 넓어진 소위 힙가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생리대(1F)에서는 제1 흡수층(4a), 제2 흡수층(4b) 및 제3 흡수층(4b)도 세로로 길며, 압착부로 둘러싸인 부분이, 중앙 흡수부(5F) 및 중앙 흡수부(5F)와 일체의 후방 중앙 흡수부(5G)가 된다.
이 생리대(1F)에서는 그 양측에 날개부(18, 18)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걸 쳐 제1 압착부(11F, 11F)가 형성되고, 제1 압착부(11F, 11F)의 외측에 제2 압착부(12F, 12F)가 형성되고 있다. 제1 압착부(11F, 11F)가 제1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제2 압착부(12F, 12F)가 제2 가요축으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의 각각의 제1 압착부(11F, 11F)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 볼록측이 향하게 된 원호형 곡선의 형상이며,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 대해서 전후 대칭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착부(11F, 11F)와 제2 압착부(12F, 12F)에 의해 끼워진 영역이 지지부(6, 6)이며, 제2 압착부(12F, 12F)의 외측이 측단부(7, 7)이다.
또한, 생리대(1F)의 전방에는 제1 압착부(11F, 11F) 사이를 잇는 횡방향 압착부(13F)가 형성되고, 또한 횡방향 압착부(13F)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연장 압착부(14F, 14F)가 형성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압착부(11F, 11F)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 압착부(15F, 15F)가, 뒷가장자리부(1d)로 향함에 따라서,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있고, 뒷가장자리부(1d)의 내측에서 곡선 형상의 연결 압착부(17F)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또한,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의 외측에는 제2 후방 압착부(18F, 18F)가 설치되고 있고, 뒷가장자리부(1d)의 내측에 있어서 곡선 형상의 연결 압착부(19F)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이 제2 후방 압착부(18F, 18F)도 대향 간격이 뒷가장자리부(1d)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는 부분을 갖고 있다. 제1 후방 압착부(15F)는 제1 후방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제2 후방 압착부(18F)는 제2 후방 가요축으로서 기능한 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11F)와 제1 압착부(11F) 및 횡방향 압착부(13F)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중앙 흡수부(5F)이며, 제1 후방 압착부(15F)와 제1 중앙 후방 압착부(15F) 및 연결 압착부(17F)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후방 중앙 흡수부(5G)이다. 중앙 흡수부(5F)와 후방 중앙 흡수부(5G)에서는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2) 사이에, 부피감이 있는 중앙부 흡수층(4A)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 흡수부(5F)와 후방 중앙 흡수부(5G)에 있어서, 중앙부 흡수층(4A)의 밀도 및 단위면적당 중량은 거의 균일하게 되고 있다.
또한,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2 후방 압착부(18F, 18F) 사이는 후방 지지부(6F, 6F)로 되고 있다. 후방 지지부(6F, 6F)는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2) 사이에 후방 지지부 흡수층을 지니고, 이 밀도는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5G) 내의 중앙부 흡수층(4A)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후방 지지부 흡수층의 밀도는 상기 지지부(6, 6)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고 또 중앙부 흡수층(4A)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중앙 흡수부(5G) 내에서의 중앙부 흡수층(4A)의 두께와, 제1 후방 압착부(15F) 및 제2 후방 압착부(18F)의 관계는 도 2에 도시한 단면도에서의 H와 h의 관계와 거의 동일하며, 제1 후방 압착부(15F)와 제2 후방 압착부(18F)는 후방 중앙 흡수부(5G)의 두께의 중점보다도 충분히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1 압착부(11F, 11F)의 경계부(11G, 11G)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 형상이며, 중앙부 흡수층(4A)은 상기 경계부(11G, 11G)에서 광폭부로 되어 있다. 제1 후방 압착부(15F, 15F)는 상기 경계부(11G, 11G)에서 뒷가장자리부(1d)로 향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고, 제1 압착부(11F, 11F)도, 상기 경계부(11G, 11G)에서 가로 방향 기준선(Ox-Ox)으로 향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진다.
즉, 중앙부 흡수층(4A)은 상기 경계부(11G, 11G)에서 전후로 연장됨에 따라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의 전단(18G, 18G)은 상기 경계부(11G, 11G)보다도 뒷가장자리부(1d) 측에 위치하며, 전단(18G, 18G)은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후방 압착부(18F)의 전단(18G)의 중심에서 전방을 향하여 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 연장선(fx)이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교차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생리대(1F)에서는, 양측부에 불투액성 시트(20, 20)가 겹쳐지고, 이 불투액성 시트(20, 20)에 의해, 샘 방지 벽(21, 21)이 형성되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이 샘 방지 벽(21, 21)에는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22)에 의해 생리대(1F)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세로로 긴 생리대(1F)을 속옷의 크로치 천(25)의 내측에 장착하여 착용하면,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부분이 질구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심에 일치한다. 그리고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부근에 대퇴부로부터 압축력(F)이 가해지면, 그 부분에서는 지지부(6, 6)의 동작에 의해 생리대(1F)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중앙 흡수부(5F)가 질구에 밀착된다.
또한, 생리대(1F)의 후방 부분은 둔부에 대어져, 후방 중앙 흡수부(5G)가 둔부의 홈에 딱 맞게 된다. 이 때, 후방 중앙 흡수부(5G)에 대하여 상기 대퇴부로부터의 압축력이 작용한다. 또한 생리대(1F)에 대하여 속옷의 크로치부(25)로부터의 긴박력(즉 생리대를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따라서 착용자의 고간부로 밀어붙이는 매달아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즉, 생리대(1F)이, 그 후방 부분(힙가드부)이 착용자의 둔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및 그 근방 부분이 속옷의 크로치부의 매달아 올리는 힘에 의해 착용자의 고간부로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생리대(1F)의 후방 부분에는 그 세로 방향의 치수를 줄이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샘 방지 벽(21, 21)에 설치된 탄성 부재(22)에 의해서도 앞가장자리부(1c)와 뒷가장자리부(1d)를 서로 가까이 하고자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들 개개의 힘, 또는 그 힘의 조합에 의하여,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에 대하여, 상기 가상 연장선(fx)을 따라서 전방으로 향하는 힘, 혹은 도 13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후방 압착부(15F, 15F)를 횡단하여 전방으로 향하는 힘(F1, F1)이 작용하기 쉽다. 이들 힘은 경계부(11G, 11G)에 있어서 폭이 넓게 되어 있는 중앙부 흡수층(4A)을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서 끌어올리도록 기능한다. 즉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에 상기 전방으로의 힘 또는 상기 힘(F1, F1)이 작용하면,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의 전단(18G, 18G)이 제1 후방 압착부 (15F, 15F)의 아래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로써 후방 지지부(6F, 6F)가 변형되는 동시에, 경계부(11G, 11G) 부근에서 폭 치수가 커지고 있는 중앙부 흡수층(4A)이 착용자의 고간부로 향해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상기 중앙부 흡수층(4A)의 광폭 부분이 회음부(질구의 후방에서 항문까지의 영역)에 밀착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취침시 및 낮에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이 상기 회음부에서 가로막혀 멈추어, 둔부 방향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상기 회음부에 밀착한 중앙부 흡수층(4A)은 상기 전단(18G, 18G) 및 후방 지지부(6F, 6F)에서 아래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체압이 작용했을 때라도 중앙부 흡수층(4A)이 눌리기 어렵게 되어, 항상 회음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된다.
도 14는 생리대(1F)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같은 도 14의 생리대(1F)에서는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의 전단(18G, 18G)에 짧은 선 형상의 압착부(18H, 18H)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압착부(18H, 18H)는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병렬 상태로 배치되고 있으며, 압착부(18H, 18H)와, 제1 후방 압착부(15F, 15F) 사이에, 흡수층이 고밀도로 압축된 채 그대로가 된 후방 지지부(6F, 6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2 후방 압착부(18F, 18F)에 상기 전방으로의 힘 혹은 제1 후방 압착부(15F, 15F)를 횡단하는 방향의 힘(F1, F1)이 작용하면, 그 힘이 압착부(18H, 18H) 및 후방 지지부(6F, 6F)를 통해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에 넓은 범위에서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압착부(18H, 18H)가 제1 후방 압착부(15F, 15F) 아래로 들어가도록 후방 지지부(6F, 6F)가 변형되기 쉽게 되어, 경계부(11G, 11G) 부근의 중앙부 흡수층(4A)이 광범위에 걸쳐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15는 제8 실시형태의 생리대(1G)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생리대(1G)는 후방에 힙가드부를 갖고 있는데, 도 13에 도시하는 생리대(1F)보다도 세로 방향의 치수가 약간 짧다.
생리대(1G)의 압착부(10G)는 제2 압착부(12F, 12F)와 제2 후방 압착부(18F, 18F)가 연속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3의 압착부(10F)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생리대(1G)에서는,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2 후방 압착부(18F, 18F)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병렬 관계로 배치되고 있고,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2 후방 압착부(18F, 18F) 사이에, 중앙부 흡수층(4A)보다도 높은 밀도의 흡수층을 갖는 후방 지지부(6F, 6F)가 형성되고 있다.
이 생리대(1G)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장착되면, 제1 압착부(11F)와 제1 압착부(11F)에 의해 끼워진 중앙 흡수부(5F)가 질구를 향해서 들어올려진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는 힘이 작용하면, 제2 후방 압착부(18F, 18F) 및 후방 지지부(6F, 6F)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힘 혹은 제1 후방 압착부(15F, 15F)를 횡단하는 방향의 힘(F2, F2)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후방 지지부(6F, 6F)가, 도 4에 도시하는 지지부(6, 6)와 거의 같은 식으로 변형되고, 후방 중 앙 흡수부(5G)가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 들어올려져, 경계부(11G, 11G) 부근이 회음부에 밀착하게 된다.
생리대(1F)를, 크로치 천에서 뒷길을 향해서 착용자의 둔부 홈을 따르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 생리용 쇼츠와 함께 착용한 경우, 후방 중앙 흡수부(5G)는 상기 탄성 부재의 힘에 의해 둔부의 홈 안을 향해서 압입된다. 이 때도, 후방 지지부(6F, 6F)의 양측에서, 제1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2 후방 압착부(18F, 18F)가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후방 지지부(6F, 6F)가 변형되기 쉽고, 따라서 후방 중앙 흡수부(5G)는 속옷으로부터 받는 압입력에 의해서도, 상기 회음부에 밀착되기 쉽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생리대(1H)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H)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생리대(1)의 날개부(18)를 제거한 것과 동일하다.
도 16의 생리대(1H)의 압착부(10H)는 원호 곡선형의 제1 압착부(11H, 11H)와, 그 외측에 위치하는 마찬가지로 원호 곡선형의 제2 압착부(12H, 12H)를 갖고 있고, 제1 압착부(11H, 11H)와 제2 압착부(12H, 12H)가 등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고 있다. 제1 압착부(11H)와 제1 압착부(11H)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중앙 흡수부(5H)이며, 제1 압착부(11H, 11H)와 제2 압착부(12H, 12H)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지지부(6H, 6H)이다.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횡방향 압착부(13H, 13H)는 제2 압착부(12H)와 제2 압착부(12H)를 잇고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11H, 11H) 및 지지부(6H, 6H)가, 제 2 압착부(12H, 12H)와, 횡방향 압착부(13H, 13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 연장 압착부(14H, 14H)와 후방 연장 압착부(15H, 15H)는 제2 압착부(12H, 12H)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 생리대(1H)을 착용하면,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식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6H, 6H)가 변형되어, 중앙 흡수부(5H)가 질구에 밀착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착부(12H, 12H)와 횡방향 압착부(13H, 13H)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면적이, 중앙 흡수부(5H)보다도 넓기 때문에, 상기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액체 흡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착부(11H, 11H)와 제2 압착부(12H, 12H) 사이의 지지부(6H, 6H)에 주어진 경혈의 확산을 상기한 둘러싸인 영역 내로 한정할 수 있어, 생리대(1H)로부터 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생리대(1J)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J)은 도 12에 도시한 생리대(1E)의 것과는 다소 다른 패턴의 압착부(10J)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착부(12J, 12J)의 전후로 전방 연장 압착부(14J, 14J)와 후방 연장 압착부(15J, 15J)가 연속되고 있다. 한편, 제1 압착부(11J)와 제1 압착부(11J)는 제2 압착부(12J, 12J)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압착부(11J)와 제1 압착부(11J)에 의해 끼워진 부분이 중앙 흡수부(5J)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지지부(6J, 6J)의 작용에 의해 중앙 흡수부(5J)가 착용 자의 신체를 향해 들어올려져 질구에 밀착된다. 또한 중앙 흡수부(5J)의 외측 영역이, 세로 방향의 긴 범위에 있어서 제2 압착부(12J, 12J), 전방 연장 압착부(14J, 14J)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J, 15J)에 의해 끼워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6J, 6J)에 부착된 경혈을 생리대(1J)의 세로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관해서 도시 및 설명했지만, 전술한 것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변경, 생략, 추가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서 이룰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서의 특징에 관해서 포함되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온갖 가능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장착된 흡수성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을 받았을 때, 중앙 흡수부가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하기 쉽게 된다. 또한 배설액을 흡수한 상태라도 상기 중앙 흡수부를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배설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Claims (25)

  1.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3)와,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가요축(11) 및 제2 가요축(12)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5)를 규정하며, 제2 가요축은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제1 가요축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인접하는 제1 가요축과 제2 가요축 사이에 지지부(6)를, 상기 제2 가요축의 외측에 측단부(7)를 규정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측단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각각의 제2 가요축에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제1 가요축이 상기 제2 가요축보다도 높아지도록 상기 지지부 각각이 변위됨으로써, 상기 중앙 흡수부가 들어 올려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각각에, 상기 중앙 흡수부의 흡수층보다도 밀도가 높은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에 외력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이, 상기 중앙 흡수부의 두께 치수의 중점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각각의 제2 가요축에 대하여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으로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각각의 제1 가요축이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중앙 흡수부와 상기 지지부가 변형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위치에서 그 대향 간격이 가장 좁게 되고 있고,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대향 단부를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각각은 상기 중심선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만곡선 형상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각각은 일정한 폭 부분을 지니며, 여기서는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이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흡수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단부에 걸쳐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축과 상기 제2 가요축은 상기 흡수층을 압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40A)과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40B)이 상기 제1 가요축에 있어서 분리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과 상기 측단부에 설치된 흡수층(40C)이 상기 제2 가요축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흡수부에 설치된 흡수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흡수층의 단위면적당 중량보다도 큰 흡수성 물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 각각이 5∼15 mm의 폭 치수를 지니고, 여기서는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으며, 이로써 이 지지부와 상기 중앙 흡수부와의 경계선이 상기 제1 가요축(11)으로서 기능하고, 지지부와 상기 측단부와의 경계선이 제2 가요축(12D)으로서 기능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축 및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제1 가요축 사이를 잇는 횡방향 가요축(13)에 의해 상기 중앙 흡수부가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제2 가요축은 상기 중앙 흡수부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축(11)은 상기 제2 가요축(12) 및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제2 가요축 사이를 잇는 횡방향 가요축(13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안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5. 제1항에 있어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1 후방 가요축(15F)이 제1 가요축(11F)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해서 연장되고, 제1 후방 가요축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면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2 후방 가요축(18F)이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 후방 가요축과 제2 후방 가요축 사이에, 후방 지지부(6F)가 규정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가요축은 상기 제2 가요축(12)으로부터 연속해서 연장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가요축과 상기 제2 후방 가요축은 흡수층을 압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가요축 사이에는 흡수층을 갖는 후방 중앙 흡수부(5G)가 규정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에는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보다도 밀도가 높은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9.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3)와,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후방 압착부(15F)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후방 중앙 흡수부(5G)를 규정하고 있고, 제1 후방 압착부는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흡수성 물품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후방 압착부(18F)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 후방 압착부는 제1 후방 압착부에서 외측으로 이격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18G)은 상기 제1 후방 압착부 사이의 가로 방향 대향 간격이 최대인 부분(11G)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뒷가장자리부(1d)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전단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에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있으며,
    인접하는 제1 후방 압착부와 제2 후방 압착부 사이에 규정되는 부분(6F)에는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의 흡수층보다도 밀도가 높은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기 세 로 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 연장선(fx)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와 교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2. 제19항에 있어서, 보조 압착부(18H)가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와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3. 제19항에 있어서, 제1 후방 압착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제1 압착부(11F)가 연장되며,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까지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
  24.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후방 압착부의 전단이 상기 제1 후방 압착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5.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생리대인 흡수성 물품.
KR1020047019207A 2002-09-09 2003-09-08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Expired - Lifetime KR101088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3454 2002-09-09
JPJP-P-2002-00263454 2002-09-09
JPJP-P-2002-00276387 2002-09-20
JP2002276387A JP4180865B2 (ja) 2002-09-09 2002-09-20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PCT/JP2003/011407 WO2004021946A1 (ja) 2002-09-09 2003-09-08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19A KR20050035519A (ko) 2005-04-18
KR101088257B1 true KR101088257B1 (ko) 2011-11-30

Family

ID=3198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207A Expired - Lifetime KR101088257B1 (ko) 2002-09-09 2003-09-08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22713B2 (ko)
JP (1) JP4180865B2 (ko)
KR (1) KR101088257B1 (ko)
CN (1) CN1307965C (ko)
AU (1) AU2003261983A1 (ko)
MY (1) MY134792A (ko)
TW (1) TWI236895B (ko)
WO (1) WO2004021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5818B2 (en) * 2001-09-05 2010-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loop member for a mechanical fastener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23786B2 (ja) *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390445B2 (ja) *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ATE455528T1 (de) 2003-02-12 2010-02-15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ES2428693T3 (es) 2003-02-12 2013-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JP4476563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9579238B2 (en) * 2005-02-17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US8211078B2 (en) *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JP4484765B2 (ja) * 2005-05-23 2010-06-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71756B2 (ja) * 2005-06-17 2011-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53618B2 (ja) * 2005-11-02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998871B2 (en) * 2006-11-22 2015-04-07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ed channel portions
JP5101912B2 (ja) * 2007-03-23 2012-1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612491S1 (en) 2007-03-30 2010-03-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inted absorbent article
US20080281287A1 (en) * 2007-05-08 2008-11-13 Marcelo Ana Maria Elena R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PL2478883T3 (pl) 2007-06-18 2017-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Jednorazowy wyrób chłonny z zasadniczo rozmieszczonym w sposób ciągły chłonnym rozdrobnionym materiałem polimerowym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CN101677892B (zh) 2007-06-18 2014-03-12 宝洁公司 具有包括大体上连续分配的吸收性粒状聚合物材料的密封吸收芯的一次性吸收制品
US20090112175A1 (en) * 2007-10-30 2009-04-30 Kofi Ayensu Bissah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absorbent lay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beam elements
JP5112829B2 (ja) * 2007-11-27 2013-01-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5445B2 (ja) * 2008-03-05 2012-12-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79318B2 (ja) * 2008-03-31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JP5294837B2 (ja) * 2008-12-25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52960B2 (ja) * 2009-03-31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602382B2 (ja) 2009-04-10 2014-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665338B2 (ja) * 2010-03-24 2015-0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CN103179936B (zh) * 2010-10-28 2015-01-21 宝洁公司 压花吸收制品
JP5042351B2 (ja) * 2010-11-17 2012-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561703B (zh) * 2011-05-27 2016-08-17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12165327A1 (ja) * 2011-05-27 2012-12-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52091B2 (ja) * 2011-05-27 2014-07-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CN106974772B (zh) 2011-06-10 2021-01-12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JP2014515983A (ja) 2011-06-10 2014-07-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おむつ
TR201909449T4 (tr) 2011-06-10 2019-07-22 Procter & Gamble Emici maddeler için emici yapı.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6030876B2 (ja) * 2012-07-19 2016-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550648A (zh) 2012-11-13 2018-01-09 宝洁公司 具有通道和标志的吸收制品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675498B2 (en) *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EP3284450B1 (en) 2013-06-14 2020-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JP6419454B2 (ja) * 2013-07-30 2018-11-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5027348A (ja) * 2013-07-30 2015-02-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JP6334705B2 (ja) 2013-08-27 2018-05-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JP6169800B2 (ja) 2013-09-16 2017-07-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と標識を持つ吸収性物品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2015065980A (ja) * 2013-09-26 2015-04-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10864120B2 (en) 2014-02-21 2020-12-15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control features
JP6238808B2 (ja) * 2014-03-25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L2949299T3 (pl) 2014-05-27 2018-01-31 Procter & Gamble Wkład chłonny z układem rozmieszczenia materiału chłonnego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EP3185834A4 (en) * 2014-08-27 2018-0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ender-differentiated absorbent articles
JP6456137B2 (ja) * 2014-12-24 2019-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247319B1 (en) * 2015-01-23 2022-1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idged absorbent structure
US10507144B2 (en) 2015-03-16 2019-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BR112017024325A2 (pt) 2015-05-12 2018-07-24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um adesivo aprimorado entre o núcleo e a camada inferior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WO2017037874A1 (ja) * 2015-08-31 2017-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パッド
JP6333223B2 (ja) * 2015-09-07 2018-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75730B1 (ja) * 2015-09-10 2016-03-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パッド
MX2018004820A (es) * 2015-10-20 2018-11-09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culo absorbente, nucleo absorbente y metodo para fabricar dicho articulo absorbente.
US11285053B2 (en) * 2015-10-20 2022-03-2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an absorbent core having two longitudinally extending side regions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central region between said side reg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absorbent article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JP2020517339A (ja) * 2017-04-19 2020-06-18 ブリガム ヤング ユニバーシティ おむつのための折り紙パターン
JP7442260B2 (ja) 2018-08-22 2024-03-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21006641A (es) * 2018-12-07 2021-07-15 Essity Hygiene & Health Ab Almohadilla para incontinencia con perfil de grosor variante.
PL3890670T3 (pl) 2018-12-07 2023-10-1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kładki inkontynencyjne ze zmiennym profilem grubości
USD917692S1 (en) *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11696858B2 (en) * 2019-05-15 202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156A (ja) * 1997-03-31 1998-10-13 Kureshia:Kk 使い捨て用体液吸収体
JP2002065741A (ja) * 2000-08-29 2002-03-05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114A (en) * 1976-05-12 1977-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arment shield
JPH0539691A (ja) 1991-08-07 1993-02-19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材の支持構造
FI934518L (fi) * 1992-10-14 1994-04-15 Mcneil Ppc Inc Trosskydd
JP3644723B2 (ja) 1995-05-30 2005-05-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0102B2 (ja) * 1997-05-28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538745U (en) * 1997-05-29 2003-06-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H11113955A (ja) * 1997-10-20 1999-04-27 Shiseido Co Ltd 体液吸収性物品
JP3868628B2 (ja) 1998-06-25 2007-01-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503233B1 (en) * 1998-10-02 2003-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body fit under dynamic conditions
JP3639447B2 (ja) * 1998-12-11 200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BR9900001A (pt) * 1999-01-04 2000-08-29 Johnson & Johnson Ind Com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CN2433960Y (zh) * 2000-07-06 2001-06-13 广东海灵保健制品有限公司 一次性防漏体液吸收垫
JP3850207B2 (ja) * 2000-09-22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90445B2 (ja) *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7067711B2 (en) * 2002-12-05 2006-06-27 Uni-Charm Corporatio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476563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156A (ja) * 1997-03-31 1998-10-13 Kureshia:Kk 使い捨て用体液吸収体
JP2002065741A (ja) * 2000-08-29 2002-03-05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1946A1 (ja) 2004-03-18
MY134792A (en) 2007-12-31
KR20050035519A (ko) 2005-04-18
CN1652736A (zh) 2005-08-10
AU2003261983A1 (en) 2004-03-29
US7122713B2 (en) 2006-10-17
JP2004154153A (ja) 2004-06-03
US20050085783A1 (en) 2005-04-21
CN1307965C (zh) 2007-04-04
TWI236895B (en) 2005-08-01
JP4180865B2 (ja) 2008-11-12
TW200410663A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257B1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EP1568341B1 (en) Sanitary napkin
US755064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24375B2 (ja) 圧縮溝と可撓部とを備えた吸収性物品
KR100804562B1 (ko) 생리대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US7067711B2 (e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KR100904473B1 (ko)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KR101013481B1 (ko) 흡수성 물품
KR101013477B1 (ko)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3256B1 (ko) 생리대
CN1689540B (zh) 吸收性物品
EP1133963A2 (en) Absorbent article
KR101078105B1 (ko) 액 획득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