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8456A -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456A
KR20060118456A KR1020067008698A KR20067008698A KR20060118456A KR 20060118456 A KR20060118456 A KR 20060118456A KR 1020067008698 A KR1020067008698 A KR 1020067008698A KR 20067008698 A KR20067008698 A KR 20067008698A KR 20060118456 A KR20060118456 A KR 2006011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stream
formic acid
liquid stream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하우크
외른 카를
위르겐 파숄트
스테판 그로프
안나 팔레스카 로만
로버트 렌쯔
토마스 레쩰터
로버트 하인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3151733 external-priority patent/DE1035173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22135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22135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11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4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1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7C51/412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by conversion of the acids, their salts, esters or anhydrides with the same carboxylic aci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4Tray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3/00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 C07C53/02Form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3/00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 C07C53/02Formic acid
    • C07C53/06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름산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I를 제조하는 단계, 정류탑에서 액체 스트림 I에 비해 액체 스트림 II의 공급점이 더 높거나 서로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서 혼합하고, 물을 정류탑의 탑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산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탑저 스트림을 정류탑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탑저 스트림이 0.5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용융물로서 제조되는 것인, 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ormic Acid Formates}
10개의 버블 캡 트레이를 가지며 직경이 각각 30 mm인 3개 또는 2개의 분획으로 구성된 실험실용 탑에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탑은 순수한 스트립핑 탑으로서 작동하였다.
공급물은 탑의 최상부 트레이로의 75% 농도의 수성 칼륨 포르메이트 및 그 아래 5개의 트레이로의 수성 포름산으로 구성되었다. 포름산 및 칼륨 포르메이트를 화학량론적으로 공급하였다.
물 함량이 상이한 칼륨 디포르메이트가 탑저에서 배출되고, 포름산의 잔류물을 1000 ppm 미만 함유하는 사실상 순수한 물은 탑정에서 제거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포름산 농도는 공급물에 따라 달랐다. 또한, 각각의 포름산 농도에서, 제1 실험 (이후, 접미사 A로 지정됨)은 보다 높은 탑정 압력에서 수행되었고, 추가의 실험 (이후, 접미사 B로 지정됨)은 보다 낮은 탑정 압력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1A>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는 30 중량%였다. 탑은 3개의 분획으로 구성되었고, 탑에서의 압력 저하는 대략 35 mbar이었다. 탑은 50 mbar의 탑정 압력에서 작동하였다. 탑저 온도는 132 내지 135℃였다. 탑저의 용융물에서 대략 0.45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1B>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 탑 분획의 개수, 및 탑에서의 압력 저하는 실시예 1A와 동일하였다. 탑은 20 mbar의 탑정 압력에서 작동하였다. 탑저 온도는 122 내지 127℃였다. 물 함량이 대략 0.35 중량%인 용융물이 탑저로부터 배출되었다.
<실시예 2A>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는 85 중량%였다. 탑은 2개의 분획으로 구성되었고, 탑에서의 압력 저하는 대략 25 mbar이었다. 탑은 대략 35 mbar의 탑정 압력에서 작동하였다. 약 126℃의 탑저 온도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 중 0.18 내지 0.2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2B>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 탑 분획의 개수, 및 탑에서의 압력 저하는 실시예 2A와 동일하였다. 탑정 압력은 대략 25 mbar로 감소되었다. 124 내지 126℃의 탑저 압력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 중 약 0.08 내지 0.12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3A>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는 94 중량%였다. 탑 분획의 개수 및 압력 저하는 실시예 2A와 상응하였다. 탑은 대략 35 mbar의 탑정 압력에서 작동하였다. 126 내지 128℃의 탑저 온도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 중 약 0.08 내지 0.1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3B>
포름산 농도는 실시예 2A와 동일하였다. 탑 분획의 개수 및 압력 저하 또한 실시예 2A와 상응하였다. 탑정 압력은 대략 25 mbar로 감소되었다. 124 내지 126℃의 탑저 온도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 중 약 0.05 내지 0.07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4A>
공급물 중 포름산 농도는 99 중량%였다. 탑 분획의 개수 및 압력 저하는 실시예 2A와 상응하였다. 탑은 대략 35 mbar의 탑정 압력에서 작동하였다. 124 내지 126℃의 탑저 온도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 중 약 0.05 내지 0.08 중량%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실시예 4B>
공급물 중 동일한 포름산 농도에서, 탑정 압력은 대략 25 mbar로 감소되었다. 탑 분획의 개수 및 압력 저하는 실시예 2A와 상응하였다. 탑저 온도, 및 탑저로부터 배출된 칼륨 디포르메이트 용융물의 물 농도는 실시예 3A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범위였다. 실시예 3A 및 3B에서 이용된 보다 높은 포름산 농도에서, 35 mbar에서 25 mbar로의 탑정 압력의 변화에 따라 탑저로부터 배출된 용융물 중 물 함량에 대한 탑정 압력의 유의한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2A, 2B, 3A, 3B, 4A 및 4B는, 출발 스트림 I로서 고농축 포름산을 사용하는 바람직한 공정 절차에서 탑저로부터 배출된 용융물 중 특히 낮은 물 함량이 달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및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물질의 보존 및(또는) 산성화를 위해, 생물폐기물이 처리를 위해, 및 동물 영양분의 첨가제로서 또는 동물용 성장 촉진제로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 포르메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산 포르메이트는 항균 작용을 가지며, 예를 들어 식물성 및 동물성 물질, 예를 들어 목초, 농업 생산물 또는 육류의 보존 및(또는) 산성화를 위해, 생물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또는 동물 영양분의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산 포르메이트는 포르메이트 음이온 (HCOO-), 양이온 (Mx +) 및 포름산 (HCOOH)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혼합물이다. 이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 모두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임의로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다른 염, 첨가제 또는 용매,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 포르메이트는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될 수 있다.
HCOO-Mx + 1/x*yHCOH
상기 식에서, M은 1가 또는 다가, 무기 또는 유기 양이온이고, x는 양의 정수로서 상기 양이온의 전하를 나타내고, y는 포르메이트 음이온에 대한 포름산의 몰 분율을 나타낸다. 포르메이트 음이온에 대한 포름산의 몰 분율 y는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특히 0.9 내지 3.1이다.
무기 또는 유기 양이온 Mx +이 산 포르메이트를 취급하는 조건하에서 안정하다면, 상기 양이온의 성질은 원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이에는 예를 들어 환원성 포르메이트 음이온에 대한 안정성이 포함된다. 가능한 무기 양이온은 원소 주기율표 1족 내지 14족 금속의 1가 및(또는) 다가 금속 양이온, 예를 들어 리튬 (Li+), 나트륨 (Na+), 칼륨 (K+), 세슘 (Cs+), 마그네슘 (Mg2 +), 칼슘 (Ca2 +), 스트론튬 (Sr2+) 및 바륨 (Ba2 +),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Na+), 칼륨 (K+), 세슘 (Cs+) 및 칼슘 (Ca2+)이다. 가능한 유기 양이온은 비치환된 암모늄 (NH4 +), 및 다른 것에도 임의로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소-함유 라디칼로 치환된 암모늄, 예를 들어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에틸암모늄, 디에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피롤리디늄, N-메틸피롤리디늄, 피페리디늄, N-메틸피페리디늄 또는 피리디늄이다.
탄소-함유 유기 라디칼은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지방족,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라디칼이다. 이 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산소, 질소, 황 또는 인, 예를 들어 -O-, -S-, -NR-, -CO-, -N=, -PR- 및(또는) -PR2을 함유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산소, 질소, 황 및(또는) 할로겐 (예를 들어,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및(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R은 마찬가지로 탄소-함유 유기 라디칼임). 탄소-함유 유기 라디칼은 1가 또는 다가 라디칼, 예를 들어 2가 또는 3가 라디칼일 수 있다.
산 포르메이트의 제조를 위한 여러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포름산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I를 제조하고,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혼합하여, 산 포르메이트-함유 생성물 스트림을 수득하며, 상기 생성물 스트림은 임의로 더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DE-A 102 37 37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공급된 용매 (일반적으로 물)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작동하는 탑에서 포름산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합한다. 이 절차에서는, 물 함량이 0.5 내지 30 중량%, 특히 1 중량% 이하인 산 포르메이트-함유 탑저 생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반대로, 산 포르메이트-함유 생성물 스트림을 더 가공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지금까지 당업자는 포름산 함유 스트림과 금속 포르메이트 함유 스트림이 혼합되는 탑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비해 현저히 낮은 물 함량을 갖는 생성물 스트림이 직접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포름산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I를 제조하는 단계,
정류탑에서 액체 스트림 I에 비해 액체 스트림 II의 공급점이 더 높거나 서로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서 혼합하고, 물을 정류탑의 탑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산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탑저 스트림을 정류탑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탑저 스트림이 0.5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용융물로서 제조되는 것인, 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을 발견하였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비교적 고농축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즉 85 중량% 이상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을 제조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체 스트림 I은 94 중량% 이상, 특히 99 중량% 이상의 포름산을 포함한다. 이 경우, 유리하게는, 시판되는 유형의 포름산, 예를 들어 순도가 85%, 94% 또는 99%인 포름산이 사용된다.
포름산을 포함하는 상기 액체 스트림 I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스트림이다.
본 발명자들은, 농축된 포름산 용액을 사용할 경우, 액체 스트림 I 및 II가 혼합되는 정류탑으로부터 용융물로서 배출되는 표적 생성물인 산 디포르메이트 중에서 낮은 잔류수 함량, 특히 0.3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1 중량%, 특히 0.1 내지 0.05 중량%의 잔류수 함량이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액체 스트림 I 중의 물 함량이 감소하면, 정류탑의 조건이 변하지 않더라도, 탑저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물 중의 물 함량이 감소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용융물 중 낮은 잔류수 함량은 제조된 최종 생성물 산 디포르메이트의 저장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최종 생성물 중 잔류수 함량이 낮을 수록, 케이크 또는 덩어리가 형성되는 경향이 낮아진다.
액체 스트림 I의 물 함량이 보다 높은 절차에 비한 추가의 이점은, 동일한 낮은 물 함량의 용융물이 수득되고, 특히 약 4 내지 8개로 감소된 이론적 플레이트이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상응하게는, 정류탑은 또한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적은 자본 및 작업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스트림 I 및 II는 각각 수성 스트림이다.
상기 공정은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제조하기 위한 특정한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DE-A 103 21 73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의 전문은 본 출원의 내용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액체 스트림 I은 예를 들어 메틸 포르메이트 (이후, MeFo로 약칭함)의 부분 가수분해 (DE-A 103 21 733호의 공정 단계 a)) 및 미반응 MeFo 및 메탄올의 증류 제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액체 스트림 II는 예를 들어 DE-A 103 21 733호에 기재된 방법의 변형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eFo- 및 메탄올-포함 스트림은 공정 단계 c)에서, i) 물의 존재하에 수용액 중에서 25℃에서 측정시 상응하는 해리 상태의 짝산의 pKa가 3 이상인 염기성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ii) 메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금속 포르메이트- 및 물-함유 스트림 II로 전환될 수 있다.
공정 단계 c)에 대한 더욱 상세한 기재는 DE-A 103 21 733호를 참조한다.
또다른 별법으로, 금속 포르메이트-함유 스트림 II는 상응하는 금속 수산화물의 카르보닐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DE-A 102 37 38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의 전문은 본 출원의 내용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산 포르메이트를 제조하는 다음 공정 단계에서, 포름산을 포함하는 제조된 스트림 I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제조된 스트림 II를 정류탑에서 혼합한다.
이 경우, 포름산-함유 액체 스트림 I 및(또는) 금속 포르메이트-함유 액체 스트림 II를 정류탑에서 혼합하기 전에, 존재하는 물의 일부를 증발, 바람직하게는 증류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포름산 또는 금속 포르메이트를 농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유리할 수 있다.
정류탑에서의 작업의 경우, 액체 스트림 I에 비해 액체 스트림 II의 공급점이 더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정류탑의 광범위한 가능한 영역에서, 특히 포름산-함유 스트림의 공급점 위쪽의 영역에서 금속 포르메이트가 존재하는 것이 탑저 스트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물을 제거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 정류탑의 시스템에서 금속 포르메이트가 포름산에 대한 공비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류탑의 탑저 온도가 135℃ 미만, 특히 125℃ 미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정류탑에서의 작업에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당업자는 일반적인 상황, 특히 탑에서 발생하는 압력 저하를 고려하여, 그에 따라 탑정 압력을 설정할 것이다.
바람직한 변형법으로, 보다 적은 자본 비용을 위해, 액체 스트림 II에 대한 공급점은 정류탑의 최상부 분리단에서 또는 그 위쪽에서 선택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정류탑에서의 작업 조건은 액체 스트림 II 및 I의 비율의 선택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액체 스트림 II 및 I의 비율은 액체 스트림 II로부터의 금속 포르메이트 및 액체 스트림 I로부터의 포름산의 몰비가 1보다 크거나 작도록,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1.05,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 결과, 정류탑의 탑정 스트림에서의 포름산 손실은 정류탑에 농축 부분이 없더라도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실상 순수한 물이 제거될 수 있다.
정류탑을 위한 분리 내장재의 선택에 있어서, 압력 저하가 낮으면서 양호한 분리 효율을 나타내는 내장재,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팩킹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류탑의 이론적 플레이트의 개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계산된다. 본 발명의 분리 작업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5개 내지 15개의 이론적 플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물질의 보존 및(또는) 산성화를 위해, 생물폐기물이 처리를 위해, 또는 동물 영양분의 첨가제로서 및(또는) 동물용 성장 촉진제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 포르메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포름산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이 혼합되는 탑에서 유용한 물질인 산 포르메이트가 물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용융물로서 배출되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정류탑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물의 추가의 후처리를 위해서는, 덜 복잡하고 결함이 덜하다는 측면에서, 물 함량이 높은 추가의 가공 생성물 스트림을 위해 공지된 장치와 상이한 장치, 특히 냉각 롤러, 냉각 벨트, 냉각 플레이트 또는 프릴링(prilling) 타워가 요구된다. 이는 생성물 스트림 중 물 함량이 높은 종래의 방법을 위한 공장설비에 비해 자본 비용을 감소시킨다.
공지된 방법에서 요구되었던 추가의 가공 단계, 예컨대 고체/액체 분리, 결 정화 및 후속적인 건조 단계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공장설비의 제1 실시양태의 대표적인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공장설비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대표적인 선도이다.
도 1에 선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방법의 제1 실시양태에서, 정류탑 R에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수성 스트림 II 및 그 아래에서 포름산을 포함하는 수성 스트림 I을 공급한다. 수성 스트림 II의 공급점 위에 농축 부분이 배치된다. 정류탑 R에서 수성 스트림 I 및 II가 혼합되고, 물을 우세하게 포함하는 탑정 스트림이 제거되고, 상기 스트림은 정류탑의 상부에 있는 응축기 K에서 응축되고, 일부분은 환류물로서 정류탑으로 재순환되고, 나머지는 방출된다. 물 0.5 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용융물이 정류탑의 탑저로부터 배출되고, 하류 장치 E 내에서 또는 상에서 고체화된다. 임의로 압축기 (도시되지 않음)에서 처리한 후, 목적하는 입도를 갖는 생성물이 하류 장치 E로부터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수성 스트림 II가 정류탑 R의 촤상부 트레이로 공급된다는 점이 도 1의 실시양태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이 실시양태에서는, 정류탑 R이 농축 부분을 갖지 않는다. 이 변형법에서도, 실질적으로 순수한 물이 정류탑의 탑정에서 제거되나, 단, 액체 스트림 II 및 I의 비율은 액체 스트림 II로부터의 금속 포르메이트 및 액체 스트림 I로부터의 포름산의 몰비가 1 이상이 되도록 선택된다.

Claims (12)

  1. 포름산을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 및 금속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액체 스트림 II를 제조하는 단계,
    정류탑에서 액체 스트림 I에 비해 액체 스트림 II의 공급점이 더 높거나 서로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를 정류탑에서 혼합하고, 물을 정류탑의 탑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산 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탑저 스트림을 정류탑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탑저 스트림이 0.5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용융물로서 제조되는 것인, 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산의 액체 스트림 I의 함량이 85 중량% 이상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산의 액체 스트림 I의 함량이 9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스트림 I 및 II가 수성 스트림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저 스트림이 물을 0.3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05 중량%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탑의 탑저 온도가 135℃ 미만으로 제한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탑의 탑저 온도가 125℃ 미만으로 제한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스트림 II의 공급점이 정류탑의 최상부 분리단에서 또는 그 위쪽에서 선택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스트림 II 및 I의 비율이, 상기 액체 스트림 II로부터의 금속 포르메이트 및 상기 액체 스트림 I로부터의 포름산의 몰비가 0.95 내지 1.05, 바람직하게는 1이 되도록 선택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탑이 압력 저하가 낮은 분리 내장재,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팩킹을 구비한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탑의 이론적 플레이트의 개수가 5개 내지 15개로 선택되는 방법.
  12.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물질의 보존 및(또는) 산성화를 위해, 생물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또는 동물 영양분의 첨가제로서 및(또는) 동물용 성장 촉진제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 포르메이트의 용도.
KR1020067008698A 2003-11-06 2004-11-05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Ceased KR20060118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51733 DE10351733A1 (de) 2003-11-06 2003-11-06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iaten
DE10351733.2 2003-11-06
DE102004022135.9 2004-05-05
DE200410022135 DE102004022135A1 (de) 2004-05-05 2004-05-0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ia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456A true KR20060118456A (ko) 2006-11-23

Family

ID=3457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698A Ceased KR20060118456A (ko) 2003-11-06 2004-11-05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90143618A1 (ko)
EP (1) EP1682476B1 (ko)
JP (1) JP4560050B2 (ko)
KR (1) KR20060118456A (ko)
AR (1) AR046573A1 (ko)
AT (1) ATE364034T1 (ko)
BR (1) BRPI0416179A (ko)
CA (1) CA2544200A1 (ko)
DE (1) DE502004004050D1 (ko)
DK (1) DK1682476T3 (ko)
ES (1) ES2286693T3 (ko)
MY (1) MY136031A (ko)
NO (1) NO20062261L (ko)
PL (1) PL1682476T3 (ko)
RU (1) RU2339610C2 (ko)
TW (1) TW200523246A (ko)
WO (1) WO20050447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58458A (en) * 2005-04-13 2016-10-14 Basf Ag Sodium diformate production and use
DE102005020890A1 (de) 2005-05-04 2006-11-09 Basf Ag Herstellung von Natriumformiat
DE102005062931A1 (de) * 2005-12-29 2007-07-05 Basf Ag Herstellung von Natriumdiformiat
RU2564857C1 (ru) * 2014-06-04 2015-10-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КОС-1"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ормиата бария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0038B1 (no) * 1995-05-12 1997-03-24 Norsk Hydro As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produkter inneholdende dobbelsalter av maursyre
EP1448505A1 (de) * 2001-11-09 2004-08-25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iaten
DE10154757A1 (de) * 2001-11-09 2003-05-2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formiat-Ameisensäure-Mischungen
DE10237380A1 (de) * 2002-08-12 2004-02-19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laten und deren Verwendung
DE10237379A1 (de) * 2002-08-12 2004-02-19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iaten und deren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4771A3 (de) 2005-07-28
PL1682476T3 (pl) 2007-10-31
ATE364034T1 (de) 2007-06-15
NO20062261L (no) 2006-07-27
AR046573A1 (es) 2005-12-14
BRPI0416179A (pt) 2007-01-09
JP2007533650A (ja) 2007-11-22
US20090143618A1 (en) 2009-06-04
EP1682476B1 (de) 2007-06-06
MY136031A (en) 2008-07-31
ES2286693T3 (es) 2007-12-01
EP1682476A2 (de) 2006-07-26
DK1682476T3 (da) 2007-08-20
WO2005044771A2 (de) 2005-05-19
RU2339610C2 (ru) 2008-11-27
RU2006119492A (ru) 2007-12-27
CA2544200A1 (en) 2005-05-19
JP4560050B2 (ja) 2010-10-13
TW200523246A (en) 2005-07-16
DE502004004050D1 (de)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237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KR20050069982A (ko)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상기포르메이트의 용도
US73235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ormates and the use thereof
KR20060129428A (ko)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화합물의 제거 방법
US2971010A (en) Production of dicarboxylic acid anhydrides
KR20060129427A (ko)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화합물의 제거 방법
US10053442B2 (en) Preparation of dialkyl esters of 2,5-furandicarboxylic acid
KR20050084179A (ko) 연속식 에틸 락테이트 제조 방법
KR20060118456A (ko) 포름산 포르메이트의 제조 방법
US436260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ocatechol and hydroquinone
CA2841599C (en) An improved method of purifying a dicarboxylic acid
EP039828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igh-purity o-toluic acid
CN104203904B (zh) 制备酰胺的方法
ZA200508955B (en) An explosion container
DE3720562C2 (ko)
JP6787199B2 (ja) 合成溶媒の回収方法
MXPA06004995A (es)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formatos de acido formico
JPH0159261B2 (ko)
DE262870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teilweise halogenierter alkohole
SU639857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торангидридов пентафторфеноксидзамещенных оксаперфтор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KR20160021974A (ko)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제조 공정에서의 미반응 아크릴산 회수 방법
JPS59110699A (ja) アルカン亜ホスホン酸エステルの製法
CN1878742B (zh) 生产酸式甲酸盐的方法
DE10200402213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uren Formiaten
JPH075506B2 (ja) 硫酸とカルボン酸の改良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