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51008A -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008A
KR20060051008A KR1020050082023A KR20050082023A KR20060051008A KR 20060051008 A KR20060051008 A KR 20060051008A KR 1020050082023 A KR1020050082023 A KR 1020050082023A KR 20050082023 A KR20050082023 A KR 20050082023A KR 20060051008 A KR20060051008 A KR 20060051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processing means
information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아끼 나까야마
와따루 이또오
고오이찌 우시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0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출력용 데이터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게 한다.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처리 수단과,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과,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을 갖는다.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도록 되어 있으므로,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 출력용 데이터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 GPS 센서, 정보 입출력 장치, 조작부, 표시부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 프로그램{NAVIGATION DEVICE, INFORMATION I/O DEVICE, NAVIGATION SYSTEM, PROGRAM OF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I/O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스테이터스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커맨드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목적지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목적지 설정 화면의 커맨드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묘화 처리의 개념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제2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내비게이션 장치
15 : GPS 센서
17 : 내비게이션 처리부
31, 54 : CPU
32, 55 : RAM
33, 56 : ROM
51 : 정보 입출력 장치
53 : 정보 입출력 처리부
57 : 조작부
58 : 표시부
59 : 음성 입력부
60 : 음성 출력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7148호 공보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에 의해 차량의 현재의 위치, 즉 현재지가 검출되는 동시에, 나침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선회각을 기초로 하여, 차량 방위, 즉 자차 방위가 검출되고,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지도 데이터가 판독되고, 표시부에 지도 화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도 화면에 현재지를 나타내는 자차 위치, 자차 위치의 주변의 지도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인 운전자는 상기 지도 화면에 표시된 자차 위치 및 지도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여 탐색 조건을 설정하면, 상기 탐색 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 따라서 현재지에서 나타내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탐색된다. 그리고, 탐색된 경로, 즉 탐색 경로는 상기 지도 화면에 자차 위치와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표시된 탐색 경로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비게이션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처리부는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표시부에 지도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도 화면에 자차 위치 및 지도 등을 표시하는 처리 및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714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는, 탑재되는 대상이 되는 차량의 생활 주기는 길고, 차량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데 반해, 내비게이션 장치는 극히 단기간에 기능이 추가되거나 변경되거나 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의 편리성이 낮게 되어 버린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에는, 전술되었던 바와 같은 지도 화면에 자차 위치 및 지도 등을 표시하는 처리,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 등의 그 밖에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처리, 일반 정보, 음악 정보 또는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 등을 행하게 되어 있고, 동시에 사용하는 기능이 많기 때문에, CPU에 의한 연산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량이 많고, 처리 시간이 그 만큼 길어져 버린다.
그래서,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입출력부를 정보 입출력 장치로서 분리시키고, 남은 내비게이션 장치와 정보 입출력 장치로 처리를 나눠 행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정보 입출력 장치에 출력용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대해, 단위 시간당의 데이터량을 크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지도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 지도 화면이 일시적으로 공백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출력용 데이터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출력용 데이터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는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처리 수단과,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과,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4는 차량에 탑재된 제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이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4)는 현재지를 검출하는 현재지 검출부로서의 GPS 센서(15), 지도 데이터의 이외에 각종 정보가 기록된 정보 기록부로서의 데이터 기록부(16),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고, 입력된 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종 화면에 문자 및 화상 등을 구성하는 요소인 출력 요소로서의 표시 요소를 출력하고,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즉 출력용 데이터로서의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경로를 탐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거나 음악 프로그램 등의 음악 정보 및 화상 정보 등을 제공하거나 하기 위해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내비게이션 처리부(17), 자차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검출부로서의 방위 센서(18),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송수신부로서의 통신부(38) 등을 구비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처리부(17)에 GPS 센서(15), 데이터 기록부(16), 방위 센서(18), 통신부(38) 등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처리부(17)에는 차속 검출부로서의 차속 센서(41)도 접속되고, 상기 차속 센서(41)에 의해 검출된 차속은 내비게이션 처리부(17)에 보내어진다.
또한, 부호 51은 차량에 탑재된 제2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정보 입출력 장치이고,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51)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고, 입력된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거나 내비게이션 장치(14)로부터 보내어진 표시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거나 하기 위해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정보 입출력 처리부(53), 조작자인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제1 입력부로서의 조작부(57),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고, 운전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제1 출력부로서의 표시부(58), 음성에 의해 소정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제2 입력부로서의 음성 입력부(59), 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출력부로서의 음성 출력부(60) 등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입출력 처리부(53)에 조작부(57), 표시부(58), 음성 입력부(59), 음성 출력부(60) 등이 접속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4)와 정보 입출력 장치(51)는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접속되고, 양방향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입출력 장치(51)는 정보를 입력할 때에 정보 입력 장치로서 정보를 출력할 때에 정보 출력 장치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정보 입출력 처리부(53)는 정보를 입력할 때에 정보 입력 처리부로서 정보를 출력할 때 에 정보 출력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처리부(17)는 내비게이션 장치(14)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로서의 CPU(31), 상기 CPU(31)가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데 대해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32), 제어용의 프로그램 외, 정보 입출력 장치(51)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경로를 탐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거나 음악 정보 및 화상 정보 등을 제공하거나 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록된 ROM(33),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GPS 센서(15)는 인공 위성에 의해 발생하게 한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지구상에 있어서의 현재지를 검출하고, 아울러 시각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현재지 검출부로서 GPS 센서(15)가 사용되지만, 상기 GPS 센서(15)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거리 센서, 스티어링 센서, 고도계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위 센서(18)로서 나침반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등이 사용된다.
상기 데이터 기록부(16)는 지도 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지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지도 데이터 기초로 지도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지도 데이터에는 교차점에 관한 교차점 데이터, 노드에 관한 노드 데이터, 도로 링크에 관한 도로 데이터, 탐색용에 가공된 탐색 데이터, 시설에 관한 시설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또, 데이터 기록부(16)에는 소정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60)에 의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용 데이터도 기록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부(16)에 통계 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지는 통계 데이터 베이스, 주행 이력 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지는 주행 이력 데이터 베이스 등이 형성되고, 상기 통계 데이터 파일에 통계 데이터가, 상기 주행 이력 데이터 파일에 주행 이력 데이터가, 각각 실적 교통 정보로서 기록된다.
그로 인해, 상기 데이터 기록부(16)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 CD, DVD, 광 디스크 등의 도시되지 않은 디스크를 구비하는 외에, 각종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입하거나 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헤드를 구비한다. 또, 상기 데이터 기록부(16)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하드 디스크 등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드 디스크 등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등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8)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플래시 메모리 및 데이터 기록부(16) 등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변속기가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가 배치되지만, 그 경우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의 제어용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데이터 기록부(16)에 기록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38)는 제1 정보 제공자로서의 VICS(등록 상표 : 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센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도로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를 도로에 따라서 배치된 전파 비콘 장치 및 광 비콘 장치 등을 통해 전파 비콘 및 광 비콘 등으로서 수신하기 위한 비콘 리시버, FM 방 송국을 통해 FM 다중 방송으로서 수신하기 위한 FM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비콘 리시버에 의해, 지체 정보, 규제 정보, 주차장 정보, 교통 사고 정보, 서비스 영역의 혼잡 상황 정보 등의 교통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FM 수신기에 의해 상기 교통 정보의 이외에, 뉴스 및 일기 예보 등의 일반 정보를 FM 다중 정보로서 수신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상기 비콘 리시버 및 FM 수신기는 유닛화되어 VICS 리시버로서 배치되게 되어 있지만, 따로따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8)는 제2 정보 제공자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정보 센터로부터 교통 정보, 일반 정보, 화상 정보, 음악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상기 통신부(38)와 정보 센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그 경우, 정보 센터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 주행 이력 데이터 베이스, 통계 데이터 베이스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4), 인터페이스(21), 정보 입출력 장치(51), 도로 교통 정보 센터, 정보 센터, 네트워크 등에 의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 처리부(53)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로서의 CPU(54), 상기 CPU(54)이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데 대해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55), 제어용의 프로그램 외, 내비게이션 장치(14)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표시 요소에 의해 각종 표시를 행하거나 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록된 ROM(56),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플 래시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 상기 제어 장치로서, CPU(31, 54) 대신하여 MPU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AM(32, 55), ROM(33, 56),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기록 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57)는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주행 개시시의 현재지를 수정하거나,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거나, 통과점을 입력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고, 표시부(58)는 독립적으로 배치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57)로서, 상기 표시부(58)에 형성된 화면에 화상으로 표시된 각종 키, 스위치, 버튼 등의 화상 조작 요소를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8)로서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58)에 형성된 각종 화면에 현재지를 나타내는 자차 위치 및 지도, 탐색 경로, 상기 탐색 경로에 따른 안내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탐색 경로에 있어서의 다음 교차점까지의 거리, 다음 교차점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거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부(57), 음성 입력부(59) 등의 조작 방법, 조작 메뉴, 키 등의 안내를 표시하거나, FM 다중 방송의 프로그램 등을 표시하거나, 영화 프로그램 등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59)는,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폰 등에 의해 구성되고, 음성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60)는, 도시되지 않은 음성 합성 장치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음성 출력부(60)로부터 상기 탐색 경 로, 안내 정보, 교통 정보 등이, 예를 들어 음성 합성 장치에 의해 합성된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음악 정보가 출력되거나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입출력 장치(51)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장치 및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장치를 유닛화한 것이지만, 정보 입력 장치와 정보 출력 장치를 따로따로 형성하여 인터페이스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경우, 정보 입력 장치에 정보 입력 처리부, 조작부(57), 음성 입력부(59) 등이 배치되고, 정보 출력 장치에 정보 출력 처리부, 표시부(58), 음성 출력부(60) 등이 배치되고, 정보 입력 처리부 및 정보 출력 처리부에 CPU, RAM, ROM 등이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내비게이션 스템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에 따라 조작부(57)가 조작되고, 내비게이션 장치(14)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가 기동되면,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초기화 처리 수단은 초기화 처리를 행하고, GPS 센서(15)에 의해 검출된 현재지 및 방위 센서(18)에 의해 검출된 자차 방위를 판독하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를 초기화한다. 또, 상기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현재지 특정 처리 수단으로서의 매칭 처리 수단은 현재지 특정 처리로서의 매칭 처리를 행하고, 판독된 현재지의 궤적 및 현재지 주변의 도로를 구성하는 각 도로 링크의 형상 및 배열 등을 기초로 하여, 현재지가 어느 쪽의 도로 링크 상에 위치하는지의 판정을 행함으로써 현재지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정보 취득 처리 수단은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부(16)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하거나, 또 는 통신부(38)를 통해 정보 센터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취득한다. 또, 정보 센터로부터 취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취득 처리 수단은 수신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다운로드한다. 또한, 내비게이션을 통신부(38)를 통해 취득할 때에 프로그램을 더불어 취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를 행하고, 상기 표시부(58)에 형성되는 지도 화면에 적어도 자차 위치 및 자차 위치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를 행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이 경우,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가 구성된다. 또한,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가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상기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를 행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고, 상기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기록 처리 수단은 기록 처리를 행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RAM(55), ROM(56),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록하고, 상기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묘화 처리 수단은 묘화 처리를 행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58)에 지도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도 화면에 자차 위치 및 자차 위치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한다. 또 , 상기 지도는 자차 방위를 기초로 하여 작성되고, 자차 방위에 있어서의 전방과 지도의 상측을 일치시키는 헤딩업 또는 북의 방향과 지도의 상측을 일치시키는 노스업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자차 위치 및 지도 등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가 구성된다. 또한, 묘화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이, 상기 묘화 처리에 따라서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4)는, 상기 통신부(38)를 통해 교통 정보, 일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정보 취득 처리 수단의 부가 정보 취득 처리 수단은 부가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통 정보 및 일반 정보 등을 부가 정보로서 수신하여 취득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부가 정보의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상기 지도 화면에 표시 요소로서 부가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시키는 예정된 경로 및 탐색 경로 등에 있어서의 지체 상황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를 입력하면,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목적지 설정 처리 수단은 목적지 설정 처리를 행하고, 목적지를 설정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출발지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소정의 지점을 등록해 두고, 등록된 지점을 목적지로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목적지가 설정되면,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경로 탐색 처리 수단은 경로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지 및 목적지 등을 판독하는 동시에, 데이터 기록부(16)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현재지, 목적지 및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지에서 나타내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경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경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지도 화면에 표시 요소 중의 탐색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기록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묘화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상기 지도 화면에 탐색 경로를 표시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지도 화면에 표시된 탐색 경로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으로서의 음성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로서의 음성용 데이터 작성 처리를 행하고, 경로 데이터 및 음성 출력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경로 데이터 및 음성 출력용 데이터에 따라서, 음성으로 탐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용 데이터를 작성 하고, 상기 음성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이 경우, 음성용 데이터에 의해 출력용 데이터가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음성 출력 처리 수단은 음성 출력 처리를 행하고, 상기 음성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음성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탐색 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음성으로 출력된 탐색 경로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 묘화 처리 수단 및 음성 출력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 처리 수단으로서의 표시 처리 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표시 처리 수단은 출력 처리로서의 표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지도 화면에 자차 위치 및 지도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장치(14)측에 있어서 작성하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측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따라서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장치(14)측에 있어서 매우 단기간에 기능이 추가되거나 변경되거나 해도, 그 때마다 내비게이션 장치(14)만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좋고, 정보 입출력 장치(51)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편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도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처리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처리, 음악 정보 또는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 등을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CPU(31, 54)의 연산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처리 시간을 그 만큼 짧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출력 상태를 변경하는 데 대해 입출력부에 있어서의 설계, 예를 들어 조작부(57)의 기능, 각종 화면에 있어서의 의장 등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스테이터스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4)(도1)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표시부(58)에 형성하고자 하는 소정의 화면, 예를 들어 지도 화면에 각종 표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송신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리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58)에 지도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도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한다. 도2에 있어서는, 지도, 자차 위치(Pr), 지도 방위 마크(m1), 현재 시각(m2), 키(k1 내지 k3) 등의 표시 요소가 표시된다. 상기 키(k1)는 줌인을 행함으로써 상세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상세 키이며, 키(k2)는 줌아웃을 행함으로써 광역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광역 키이며, 키(k3)는 탐색 경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경로를 다시 탐색하기 위한 재탐색 키이다.
또, 상기 표시 요소에는 지도 이외에, 상기 지도 방위 마크(m1), 현재 시각(m2) 등과 같이 지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상기 키(k1 내지 k3), 스위치, 버튼 등과 같이 조작 기능을 갖는 화상 조작 요소, 또는 각 시설, 하천, 산, 도로, 철도 등의 명칭과 같이 지도 상의 각 지점을 특정하기 위한 아이템이 포함된다.
그런데, 표시부(58)에 있어서 각종 화면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를 행하고, 소정의 타이밍, 예를 들어 일정한 주기로, 또는 조작부(57)의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때, 차량의 주행 상태에 소정의 변화가 있었을 때 등에, 표시부(58)에 형성되어 있는 화면의 출력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를 작성한다.
그로 인해, ROM(33)에 출력 상태 정보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 상태 정보 테이블에 상기 출력 상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상태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고, 판독함으로써 출력 상태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출력 상태 정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8)에 형성되어 있는 화면,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을 특정하기 위한 출력 구분 특정 지표로서의, 또한 화면 특정 지표로서의 화면 번호(이 경우, 5) 및 지도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요소에 관한 데이터(이하「표시 요소 데이터」라 함)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표시 요소 데이터에 의해 출력 요소 데이터가 구성된다.
도3에 있어서는, 표시 요소 데이터는 지도 방위 마크(m1), 현재 시각(m2), 키(k1)에 의해 표시되는 줌인, 키(k2)에 의해 표시되는 줌 아웃, 키(k3)에 의해 표시되는 재탐색,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표시 등의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출력 요소 특정 지표로서의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레이아웃, 표시의 유무 등의 의장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플래그, 즉 변경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의장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변경 가부 플래그(fg)가 온(○)으로 되고, 의장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은 경우 변경 가부 플래그(fg)가 오프(×)가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출력 상태 정보에 화면 번호가 포함되게 되어 있지만, 표시 요소 데이터에 어떤 화면에서 표시 요소가 표시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출력 상태 정보에 화면 번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 데이터는 표시 요소 번호 및 변경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지지만, 표시 요소에 대해 표시 요소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표시 요소를 표시 요소 번호로 특정하고, 출력 속성으로서의 표시 속성으로 표시 요소의 내용을 규정할 수 있으므로, 표시 요소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계속해서, CPU(31)의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상태 정보 송신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정보 송신 처리를 행하고, 상기 출력 상태 정보를 스테이터스 리스트로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런데,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는, 각 화면마다 상기 각 표시 요소 에 대한 의장의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설정되고, 상기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변경 조건 데이터로서의 시나리오 데이터가 ROM(56)에 기록된다.
따라서,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상태 정보 수신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정보 수신 처리를 행하고, 스테이터스 리스트를 수용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의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변경 처리를 행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는 데 대해, 스테이터스 리스트를 판독하고, 각 표시 요소에 대해 변경 가부 플래그(fg)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인 경우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서 변경 가부 플래그(fg)가 온인 표시 요소에 대해 표시 요소의 의장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3에 있어서, 상기 지도 방위 마크(m1), 현재 시각(m2), 키(k1)에 의해 나타내는 줌인, 키(k2)에 의해 나타내는 줌아웃 및 키(k3)에 의해 나타내는 재탐색의 각 표시 요소에 대해 변경 가부 플래그(fg)가 온이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장을 변경하여 지도, 자차 위치(Pr), 지도 방위 마크(m11), 현재 시각(m12), 키(k11 내지 k13)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키(k11)는 상세 키(+)이며, 키(k12)는 광역 키(-)이며, 키(k13)는 재탐색 키(루트)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3, k13) 등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를 치환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표시 요소에 대해 표시 요소의 의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체를 바꾸는 일 없이 입출력부에 있어서의 설계, 예를 들어 조작부(57)의 기능, 각종 화면에 있어서의 의장 등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입출력 장치(51)측에 있어서, 의장을 변경할 수 있는 표시 요소를 변경 가부 플래그(fg)의 온ㆍ오프에 의해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정보 입출력 장치(51)의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표시 요소에 관해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및 경로 탐색 처리 등의 각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고, 화면의 출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화면의 커맨드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상태 정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8)(도1)에 형성되어 있는 화면,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을 특정하기 위한 화면 번호(이 경우, 5) 및 표시 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ROM(33)의 출력 상태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다.
그리고,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출력 상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작성하고,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상태 정보를 스테이터스 리스트로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상기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플래그, 즉 커맨드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커맨드 가부 플래그(FG)가 온(O)이 되고,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커맨드 가부 플래그(FG)가 오프(×)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맨드는 지도 화면에 있어서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것이며, 출력 상태 변경 요구를 나타낸다.
이 경우, 지도 방위 마크(m1), 줌인, 줌아웃 및 재탐색의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커맨드 가부 플래그(FG)가 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하여 지도 화면 상에서 지도 방위 마크(m1), 줌인, 줌아웃 및 재탐색의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지도 방위 마크(m1)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를 행하고,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지도 방위 마크(m1)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그런데, 상기 커맨드는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대상으로서 지도 방위 마크(m1)가 선택된 것만을 나타내고,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내용, 즉 커맨드 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ROM(33)에 도6에 도시되는 커맨드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각 표시 요소와 대응시켜 커맨드 내용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지도 방위 마크(m1)에 대응시켜「헤딩업과 노스업과의 절환」이 기록된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 상기 커맨드가 보내져 오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커맨드 테이블을 참조하고, 커맨드 내용인「헤딩업과 노스업과의 절환」를 판독하고, 지도 화면을 헤딩업과 노스업으로 절환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리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고, 묘화 처리 수단의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58)에 지도 화면을 형성하고, 지도 방위가 다른 지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의 요구를 기초로 하여 표시부(58)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는, 다른 커맨드 내용으로서 줌인에 대응시켜 지도의 축척을 1 단계 확대하기 위한「지도 축척 1 단계 확대」가, 줌아웃에 대응시켜 지도의 축척을 1 단계 축소하기 위한「지도 축척 1 단계 축소」가, 재탐색에 대응시켜 경로의 탐색을 다시 행하기 위한「경로의 재탐색」이 기록된다. 이 경우, 커맨드 내용에 의해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구성되고, 커맨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ROM(56)에 기록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함으로써, 소 정의 화면으로부터 다른 화면로의 천이, 즉 화면의 천이를 행하고, 출력 상태의 변경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목적지 설정 처리에 있어서, 화면의 천이를 행함으로써 목적지를 설정할 때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목적지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목적지 설정 화면의 커맨드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4)(도1)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표시부(58)에 형성하고자 하는 소정의 화면, 예를 들어 목적지 설정 화면에 각 표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리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58)에, 도8에 도시되는 목적지 설정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목적지 설정 화면에 각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1 내지 k26, k31 내지 k36) 등을 표시한다.
상기 키(k21)는 목적지를 주소에 따라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키(k22)는 목적지를 시설에 의해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키(k23)는 목적지를 현재지의 인근 시설, 즉 인근 시설에 의해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키(k24)는 목적지를 지도 상 에서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키(k25)는 목적지를 미리 검색하고, 설정된 메모리지점에 의해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키(k26)는 목적지를 전회의 목적지, 즉 전회목적지에 의해 검색하고, 설정하기 위해 표시된다. 또한, 키(k31)는, 미리 등록된 자택을 목적지로서 신속하게 설정하기 위한 키(k32 내지 k36)는, 미리 등록된 1번째 내지 5번째까지의 퀵 등록지를 목적지로서 신속하게 설정하기 위한 퀵 설정 키이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상태 정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8)에 형성되어 있는 화면, 예를 들어 상기 목적지 설정 화면을 특정하기 위한 화면 번호(이 경우, 1) 및 표시 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ROM(33)의 출력 상태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다.
그리고,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출력 상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작성하고,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상태 정보를 스테이터스 리스트로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상기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커맨드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커맨드 가부 플래그(FG)가 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 정 화면 상에서, 주소, 시설, 인근 시설 등의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2)를 터치하여 시설을 선택하면,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위해, 시설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그런데, 상기 커맨드는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대상으로서 시설이 선택된 것만을 나타내고, 커맨드 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ROM(33)에, 도9에 도시되는 커맨드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각 표시 요소와 대응시켜 커맨드 내용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시설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3으로 천이」가 기록된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 상기 커맨드가 보내져 오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커맨드 테이블을 참조하고,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판독하고, 목적지 설정 화면 중 화면 번호 3의 화면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리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의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고, 표시부(58)에 화면 번호 3의 화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의 요구를 기초로 하여, 표시부(58)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커맨드 내용은, 각 표시 요소가 선택되었을 때 다른 화면으로의 천이를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는, 다른 커맨드 내용으로서, 예를 들어 주소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2로 천이」가, 인근 시설에 대응시켜 「화면 번호 4로 천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측에 있어서,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및 경로 탐색 처리 등의 각 처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낼 수 있는 커맨드를 커맨드 가부 플래그(FG)의 온ㆍ오프에 의해 식별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표시 요소에 대해 처리의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부(58)에 형성된 지도 화면에 각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데 대해,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CPU(31)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이 각 표시 요소에 대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CPU(54)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이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이 지도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도 화면에 각 표시 요소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도 포함되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큰 데 반해 내비게이션 장치(14)와 정보 입출력 장치(51)가 인터페이스(21)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표시용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의 데이터량을 크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하여 지도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내비게이션 장치(14)로부터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충분한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경우에는 지도 화면이 일시적으로 공백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지도 화면을 스크롤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CPU(31)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변경용 데이터로서 1 화면용의 데이터량보다 많고,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0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또, 상기 화면에 의해 출력 구분이 구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묘화 처리의 개념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AR1은 스크롤이 개시되기 전에, RAM(55)(도1)에 기록된 캐쉬용 데이터의 영역, ε는 지도 화면에서 지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용 데이터의 영역이다.
상태 S1에 있어서, 운전자가 지도 화면을 스크롤하면 조작부(57)로부터 화면의 천이 요구가 CPU(54)에 보내어진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스크롤의 방향을 향해 상기 영역(ε)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영역(ε) 내의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화면을 천이시켜 연속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10개의 화면이 형성되면, 상태 S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ε)이 영역(AR1)의 외주연에 도달하 고, 또한 스크롤이 행해지면 상태 S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ε)의 일부가 영역(AR1)으로부터 제외되고, 지도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가 부족해져 버린다.
그래서,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상태 S2에 있어서의 영역(ε) 내의 표시용 데이터를 사용하고, 상태 S2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형성된 화면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 결과, 지도 화면이 일시적으로 공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도 화면이 스크롤되어 있는 동안, 스크롤의 방향을 향해 상기 영역(ε)의 위치가 이동하면, CPU(54)의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송신 요구 처리 수단은 데이터 송신 요구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송신 요구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고, 영역(ε)의 위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필요가 되는 표시용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CPU(31)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에 따라서 소정의 영역의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 결과, 상태 S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ε)이 새롭게 RAM(55)에 기록된 캐쉬용 데이터의 영역(AR2) 내로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복수의 화면용의 표시용 데이터가 RAM(55)에 기록되기 때문에, 묘화 처리에 수반하여 표시용 데이터가 부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충분히 표시할 수 있어 묘화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지도 화면을 스크롤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예를 들어 10 화면분의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미리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도록 되어 있지만, 운전자가 지도 화면을 스크롤하였을 때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스크롤의 방향을 향해 위치를 이동시키고, 예를 들어 10 화면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낼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목적지 설정 처리에 있어서, 키[k21(도8) 내지 k23, k25] 중 소정의 키가 터치되고, 주소, 시설, 인근 시설 및 메모리 지점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인근 시설이 선택되면,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표시부(58)에 화면 번호 4의 화면, 즉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에 인근 시설을 표시 요소로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다.
그로 인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인근 시설에 대한 명칭, 마크(육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용 데이터로서 작성하고,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게 되지만, 이 경우도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는 소정의 인근 시설이 목적지로서 선택되었을 때에 인근 시설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도 포함되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큰 데 반해 내비게이션 장치(14)와 정보 입출력 장치(51)가 인터페이스(21)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표시용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의 데이터량을 크게 할 수 없다.
또한,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인근 시설의 수는 한정되고, 모든 인근 시설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상기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작부(57)를 조작하여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내비게이션 장치(14)로부터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충분한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경우에는,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이 일시적으로 공백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CPU(31)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 변경용 데이터로서 1 화면용의 데이터량보다 많고,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 예를 들어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또,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CPU(54)의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은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캐쉬용 데이터로서 RAM(55)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가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제1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제2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표시용 데이터는 인근 시설의 명칭 및 마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11에 도시되는 표시용 데이터가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면, CPU(54)(도1)의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도12 및 도13에 도시하는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형성한다. 도12 및 도13에 있어서, 키(k41, k42)는 스크롤 키 이며, 키(k41, k42)를 터치하면 복수의 화면용의 인근 시설이 표시 요소로서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가 캐쉬용 데이터로서 RAM(55)에 기록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하면, 조작부(57)로부터 화면의 천이 요구가 CPU(54)에 보내어진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RAM(55) 내의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화면을 천이시켜 연속하여 형성한다.
그런데, 모든 표시용 데이터가 판독되면, 인근 시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표시용 데이터가 부족해져 버린다.
그래서,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마지막으로 형성된 화면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 결과,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이 일시적으로 공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이 스크롤되어 있는 동안, CPU(54)의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 처리 수단은 데이터 송신 요구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고, 스크롤에 수반하여 필요하게 되는 표시용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CPU(31)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에 따라서 소정 영역의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 (51)에 보낸다.
이와 같이, 미리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가 RAM(55)에 기록되기 때문에, 묘화 처리에 수반하여 표시용 데이터가 부족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충분히 표시할 수 있어 묘화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내비게이션 장치(14)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예를 들어 수화면분의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미리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도록 되어 있지만, 운전자가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을 스크롤하였을 때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이 스크롤의 방향을 향해 표시 요소를 변화시켜, 예를 들어 10 화면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낼 수도 있다.
또, 도14에 도시되는 인근 시설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는 스크롤을 행하기 위한 키(k51, k52) 이외에, 첫머리 탐색을 행하기 위한 키(k53, k54)가 표시 요소로서 표시된다.
이 경우, 첫머리 탐색이 행해지면 인근 시설 리스트의 각 인근 시설 중 선두의 인근 시설, 또는 마지막의 인근 시설을 표시 요소로서 즉시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모든 화면용의 표시용 데이터를 RAM(55)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화면이 스크롤되어 있을 때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관련되는 복수의 화면 사이에서 화면의 천이를 행할 때에, 복수의 화면용 데이터량의 표시용 데이터를 캐쉬용 데이터로서 RAM(55)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57)로부터 화면의 천이 요구가 CPU(54)에 보내면,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RAM(55) 내의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화면을 연속하여 형성한다. 또한, 모든 표시용 데이터가 판독되면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마지막으로 형성된 화면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이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는 스테이터스 리스트에는 표시 요소 데이터로서 커맨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소정의 표시 요소가 선택된 것만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ROM(33)에, 도9에 도시되는 커맨드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상기 커맨드 테이블을 참조하고, 커맨드 내용을 판독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CPU(31)의 처리량이 그 만큼 많아지고, 처리 시간이 그 만큼 길어져 버린다.
그래서, ROM(56)에 커맨드 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 커맨드 내용을 기록하도록 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상태 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부로서의 표시부(58)(도1)에 형성되어 있는 화면, 예를 들어 상기 목적지 설정 화면을 특정 하기 위한 화면 번호(이 경우, 1) 및 표시 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ROM(33)에 기록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로서의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작성 처리 수단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출력 상태 정보를 ROM(33)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작성하고, CPU(31)의 상기 출력 상태 정보 송신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상태 정보를 스테이터스 리스트로서 제2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상기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제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커맨드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진다.
한편,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ROM(56)에 커맨드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 커맨드 내용으로서, 예를 들어 주소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2로 천이」가, 시설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3으로 천이」가, 인근 시설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4로 천이」가 기록된다. 이 경우, 커맨드 내용에 의해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구성되고, 커맨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ROM(56)에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소, 시설, 인근 시설 등의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커맨드 가부 플래그(FG)가 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1 입력부로서의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 화면 상에서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2)(도8)를 터치하여 시설을 선택하 면, 제어 장치로서의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설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서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판독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 상기 커맨드가 보내져 오면, 상기 표시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판독하고, 목적지 설정 화면 중 화면 번호 3의 화면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낸다.
그리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이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면, 상기 기록 처리 수단이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묘화 처리 수단의 출력 상태 변경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행하여 화면 번호 3의 화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정보 입출력 장치(51)로부터의 요구를 기초로 하여 표시부(58)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PU(31)에 있어서 커맨드 테이블을 참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CPU(31)의 처리량이 그 만큼 적어져 처리 시간이 그 만큼 짧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정보 입출력 장치(51)(도1)에 보내어지 는 스테이터스 리스트의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제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커맨드 가부 플래그(FG)로 이루어진다.
한편,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ROM(56)에 커맨드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에 커맨드 내용으로서, 예를 들어 주소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2로 천이」가, 시설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3으로 천이」가, 인근 시설에 대응시켜「화면 번호 4로 천이」가 기록된다. 이 경우, 커맨드 내용에 의해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구성되고, 커맨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ROM(56)에 기록된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1 입력부로서의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 화면 상에서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2)(도8)를 터치하여 시설을 선택하면, 제어 장치로서의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설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커맨드 테이블로부터 시설이 선택된 것 및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판독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로서의 CPU(31)에 있어서 커맨드 테이블을 참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CPU(31)의 처리량이 그 만큼 적어져 처리 시간이 그 만큼 짧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정보 입출력 장치(51)(도1)에 보내어지는 스테이터스 리스트의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제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커맨드 가부 플래그(FG) 및 커맨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1 입력부로서의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 화면 상에서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2)(도8)를 터치하여 시설을 선택하면, 제어 장치로서의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설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테이터스 리스트로부터 시설이 선택된 것 및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판독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이 경우, 커맨드 내용에 의해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어진 스테이터스 리스트로부터 커맨드 내용을 판독할 수 있으므로, ROM(33, 56)에 커맨드 테 이블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정보 입출력 장치(51)(도1)에 보내어지는 스테이터스 리스트의 표시 요소 데이터는, 상기 각 표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요소 번호 및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각 표시 요소에 대해 소정의 커맨드를 제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출력 상태 변경 가부 정보로서의 커맨드 가부 플래그(FG) 및 커맨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1 입력부로서의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 화면 상에서 각 표시 요소 중 소정의 표시 요소, 예를 들어 키(k22)(도8)를 터치하여 시설을 선택하면, CPU(54)의 상기 출력 상태 변경 요구 처리 수단은 출력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설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테이터스 리스트로부터 시설에 상기하는 커맨드 내용인「화면 번호 3으로 천이」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판독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4)에 보낸다. 이 경우, 커맨드 내용에 의해 출력 상태 변경 조건으로서의 시나리오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입출력 장치(51)에 보내어진 스테이터스 리스트로부터 커맨드 내용을 판독할 수 있으므로, ROM(33, 56)에 커맨드 테이블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할만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로 보내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였을 때에 출력용 데이터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처리 수단과,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과,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은 출력용 데이터로서, 각종 화면에 표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내비게이션 장치.
  3. 입력부와, 출력부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수용하는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과, 상기 출력용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 수단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천이 요구에 따라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출력 구분을 천이시켜 출력 요소를 출력하는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표시용 데이터를 수용하고, 상기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정보 입출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요구는 화면 스크롤의 요구인 정보 입출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에 기록된 출력용 데이터가 부족하였을 때에, 상기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은 마지막으로 형성된 출력 구분을 그대로 유지하는 정보 입출력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에 기록된 출력용 데이터가 부족하였을 때에, 내비게이션 장치에 대해 출력용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송신 요구 처리 수단을 갖는 정보 입출력 장치.
  8. 내비게이션 장치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와 접속된 정보 입출력 장치를 갖는 동시에,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처리 수단,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 및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는 입력부, 출력 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수용하는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 상기 출력용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 수단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천이 요구에 따라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출력 구분을 천이시켜 출력 요소를 출력하는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9. 컴퓨터를,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처리 수단,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출력용 데이터 작성 처리 수단 및 출력 구분을 천이시키기 위해,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정보 입출력 장치에 보내는 출력용 데이터 송신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10. 컴퓨터를,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하나의 출력 구분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출력용 데이터를 수용하는 출력용 데이터 수신 처리 수단, 상기 출력용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 수단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천이 요구에 따라서, 상기 출력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출력 구분을 천이시켜 출력 요소를 출력하는 출력용 데이터 출력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출력 방법의 프로그램.
KR1020050082023A 2004-09-06 2005-09-05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프로그램 Withdrawn KR20060051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8441 2004-09-06
JP2004258441A JP2006071591A (ja) 2004-09-06 2004-09-06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入出力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08A true KR20060051008A (ko) 2006-05-19

Family

ID=3542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23A Withdrawn KR20060051008A (ko) 2004-09-06 2005-09-05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52935A1 (ko)
EP (1) EP1632751A1 (ko)
JP (1) JP2006071591A (ko)
KR (1) KR20060051008A (ko)
CN (1) CN17466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2458B (en) * 2006-07-05 2011-12-28 Primordi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f-road guidance
US20100138581A1 (en) * 2008-12-02 2010-06-03 Randall Bird Universal Docking System
JP5347988B2 (ja) * 2009-03-30 2013-11-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2147979A (zh) * 2010-02-09 2011-08-10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车辆所属区域的方法
JP6129482B2 (ja) * 2012-04-11 2017-05-17 古野電気株式会社 電子地図表示装置、及び電子地図に関する情報の表示方法
CN105095262A (zh) * 2014-05-08 2015-11-25 勤崴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行动装置快拼输入查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058B2 (ja) * 1989-06-07 1997-06-11 アルパイン 株式会社 地図描画方法
JPH08210862A (ja) * 1995-02-07 1996-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ョン用地図の表示方法
JPH1115371A (ja) * 1997-06-25 1999-01-22 Fujitsu Ten Ltd 地図表示装置
JP2001124579A (ja) * 1999-10-27 2001-05-11 Nippon Seiki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165671A (ja) * 1999-12-14 2001-06-22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3892197B2 (ja) * 2000-02-03 2007-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502351B2 (ja) * 2001-06-11 2010-07-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065783A (ja) * 2001-08-27 2003-03-05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地図情報提供通信センタ装置、通信ナビゲーション端末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075162A (ja) * 2001-09-03 2003-03-12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302225A (ja) * 2002-04-10 2003-10-24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4107383B2 (ja) 2002-11-25 2008-06-2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98841A (ja) * 2002-12-19 2004-07-15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58441A (ja) 2003-02-27 2004-09-16 Heiwa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2935A1 (en) 2006-03-09
EP1632751A1 (en) 2006-03-08
CN1746625A (zh) 2006-03-15
JP2006071591A (ja)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0242B1 (en) Map information guidance device, map information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6882931B2 (en) Navigation system
CN1325878C (zh) 使用图像数据的信息业务系统和通过用其指引路线的方法
KR20040054524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장치용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WO2007037281A1 (ja) 周辺検索データ作成システム、周辺検索システム、周辺検索データ作成方法、周辺検索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50062358A (ko)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정보 배신 방법의 프로그램
JP4519515B2 (ja) 周辺施設検索装置
JP4342400B2 (ja) 車載用電子装置
JP370293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録媒体
EP1998143A2 (en) Route setting system, route setting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1853064B1 (en) Program recording device, program recording method, program recor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19772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設定方法並びに経路設定プログラム及びこの経路設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KR20060051008A (ko) 내비게이션 장치, 정보 입출력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방법의 프로그램 및 정보 입출력 방법의프로그램
JP439442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履歴情報表示方法
JP4068637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2017078775A (ja)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地図情報更新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77753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469839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33402A (ja) 渋滞度案内装置、渋滞度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9106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6068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07159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入出力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のプログラム
JP200607159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入出力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のプログラム
JP20060715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入出力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のプログラム
KR20100051155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