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50426A -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426A
KR20060050426A KR1020050074113A KR20050074113A KR20060050426A KR 20060050426 A KR20060050426 A KR 20060050426A KR 1020050074113 A KR1020050074113 A KR 1020050074113A KR 20050074113 A KR20050074113 A KR 20050074113A KR 20060050426 A KR20060050426 A KR 2006005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line
ima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841B1 (ko
Inventor
다카유키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화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양극 단자(41)와 음극 단자(42)에 삽입된 발광 소자(321)를 1라인에 복수 배열한 발광 소자 라인과, 상기 발광 소자 라인의 각 발광 소자(32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TFT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FT2)를 통하여 상기 양극 단자(41)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301)과 상기 음극 단자(42)를 대향 배치한다.
라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시프트 레지스터, 스타트 신호선, 클록 신호선

Description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헤드의 대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헤드의 회로 레이아웃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헤드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라인 헤드,
30 선택 회로,
31 데이터선부,
32 화소 회로,
301 전원 배선,
302 접지 배선,
302b 이면측 접지 배선,
303 시프트 레지스터,
304 스타트 신호선,
305 클록 신호선,
306 게이트선,
310 보호 저항,
311 입력 버퍼,
312 데이터선,
313 인출선,
321 발광 소자 
TFT1 유지 트랜지스터,
TFT2 구동 트랜지스터(구동 회로),
41 양극 단자(한쪽 전극),
42 음극 단자(다른쪽 전극),
43 게이트 단자,
44 게이트 단자층 배선
본 발명은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프린터 등,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일체로 구성되어,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노광)하는 장치로서 라인 헤드가 있다. 이 라인 헤드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기판 위에 일차원 형상으로 배열시키고, 기판 위에 패터닝된 배선을 통하여 각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인 헤드의 발광 소자로서는, 발광 다이오드(LED)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발광 소자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공지 문헌에는, 이러한 라인 헤드에 상당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11-274569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라인 헤드에 사용되는 발광 소자 패널에서는, 통상 발광 소자의 배열에 따라서 데이터선 및 제어 신호선을 배선한다. 따라서, 이들 배선의 배선 길이는, 예를 들면 수십 cm 에도 미치며, 따라서 전원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발광 소자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LED를 발광 소자로 하여 사용했을 경우보다도 대전류가 더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배선이 굵어지기 때문에, 전원을 보다 안정화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화된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라인 헤드에 관한 제1 수단으로서, 한쪽 전극과 다른쪽 전극에 삽입된 발광 소자를 1 라인에 복수 배열한 발광 소자 라인과, 상기 발광 소자 라인의 각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회로를 통하여 상기 한쪽 전극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과 상기 다른쪽 전극을 대향 배치한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전원 배선과 다른쪽 전극에 의해서 커패시터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원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라인 헤드에 관한 제2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수단에서, 상기 구동 회로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동일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단자층 배선과 상기 전원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전원 배선과 게이트 단자층 배선이 접속되기 때문에, 전원 배선과 게이트 단자층 배선을 합친 영역과 다른쪽 전극이 형성되는 영역 사이에 커패시터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 배선과 다른쪽 전극 사이에만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더 대용량의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어, 전원을 보다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라인 헤드에 관한 제3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수단에서, 상기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발광 소자를 사용한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채용한다.
이와 같이,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유기 EL 발광 소자를 발광 소자로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라인 헤드에 의하면, 적어도 전원 배선과 다른쪽 전극 사이에 커패시터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기 EL 발광 소자에 안정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제1 수단으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제1 ~ 제3 중 어느 하나의 라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를 노광함으로써, 형성 대상 화상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감광체 위의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감광체 위의 토너상을 전사재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재상의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을 구비한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채용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할 수 있으므로, 결함 발생의 방지, 안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제2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수단에서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채용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서도,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헤드에서의 전원을 안정화할 수 있으므로, 결함 발생의 방지, 안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의한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헤드의 대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라인 헤드(1)는 선택 회로(30), 데이터선부(31) 및 화소 회로(32) 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선택 회로(30)는 화소 회로(32)를 순차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303)로 이루어지고, 전원 배선(301)과 접지 배선(302)을 포함한다. 이 시프트 레지스터(303)는 스타트 신호선(304)을 통하여 초기 단계에 공급된 스타트 신호를 클록 신호선(305)의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후기 단계에 순차 전송하는 것이며, 각 단계의 출력 신호를 화소 회로(32)에서의 발광 소자(321)를 순차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로서 게이트선(306)을 통하여 화소 회로(32)에 공급한다.
데이터선부(31)는 발광 소자(321)를 발광/비발광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312)에 설치된 보호 저항(310) 및 입력 버퍼(311)를 통하여 전송하는 배선부이다. 이 데이터 신호는, 상기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외부로부터 데이터선(312)에 공급되며, 인출선(313)을 한번 더 경유하여 화소 회로(32)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선(312)에는 보호 저항(310)과 입력 버퍼(311) 사이에 ESD 보호 소자(60)가 부가되고, 선단부에 ESD 보호 소자(61)가 부가되어 있다.
화소 회로(32)는 유지 트랜지스터(TFT1), 구동 트랜지스터(TFT2)(구동 회로) 및 발광 소자(321)로 이루어진다. 유지 트랜지스터(TFT1)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게이트선(306)에, 소스 단자가 상기 인출선(313)에, 또 드레인 단자가 구동 트랜지스터(TFT2)의 게이트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FT2)는, 소스 단자가 전원, 즉 전원 배선(301)에, 드레인 단자가 발광 소자(321)의 양극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발광 소자(321)의 양극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FT2)를 통하여 전원 배선(301)과 접속되어 있다. 발광 소자 (321)는, 예를 들면 발광체가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 EL 발광 소자이지만, LED라도 좋다. 발광 소자(321)의 음극 단자는 GND, 즉 접지 배선(302)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회로(32)에서의 발광 소자(321)는, 시프트 레지스터(303)로부터 게이트선(306)을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고, 또 데이터선(312) 및 인출선(313)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비발광이 제어된다. 즉, 시프트 레지스터(303)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스타트 신호를 후기 단계에 순차 전송함으로써 발광 소자(321)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시프트 레지스터(303)에 의해서 선택된 발광 소자(321)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 레벨, 즉 L(Low)/H(High)에 따라 발광/비발광이 제어된다.
또한, 도 1에서는, 1개의 발광 소자(321)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n(예를 들면 5120)개의 발광 소자(321)가 기판 위에 1라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n개의 발광 소자(321)는, m(예를 들면 128)개마다 블록을 구성하고 있고, 시프트 레지스터(303)의 각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는 이 블록을 선택한다.
다음에,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라인 헤드(1)의 레이아웃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 도 2에서는, 도 1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발광 소자(32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기판에 대하여, 그 장변과 병행이 되도록 1라인에 배열한 발광 소자 라인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321)의 아래쪽에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FT2)가 1라인에 배열한 구동 회로 라인으로서 인접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TFT2)의 아래쪽에는 발광 소자(321), 즉 구동 트랜지스터(TFT2)에 따라서 전원 배선(301)이 설치되고, 이 전원 배선(301)의 아래쪽에는, 접지 배선(302)이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321)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외에 접지 컨택트부(302a)와 이면측 접지 배선(30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면측 접지 배선(302b)은, 기판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321)의 음극 전극이 접속된다. 접지 컨택트부(302a)는, 상기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표면의 접지 배선(302)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발광 소자(321)의 위쪽에는, 상기 유지 트랜지스터(TFT1)가 1라인에 배열한 유지 회로 라인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지 트랜지스터(TFT1)의 위쪽에는, 데이터선(312)이 발광 소자(321), 즉 유지 트랜지스터(TFT1)에 따라서 설치되고, 그 위쪽에는 데이터선(312)과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321)에 따른 상태로 스타트 신호선(304) 및 클록 신호선(3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선(312)의 갯수는 1개의 블록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321)의 개수, 즉 128개이다.
스타트 신호선(304)과 클록 신호선(305) 사이에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303)(선택 회로(30))가 발광 소자(321)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303)의 각단 출력단과 유지 트랜지스터(TFT1)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데이터선(312)을 타넘도록, 즉 데이터선(312)과는 다른 층에 게이 트선(306)(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데이터선(312)의 도중 부위에는 ESD 보호 소자(60)가, 또 데이터선(312)의 선단부에는 ESD 보호 소자(61)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ESD 보호 소자(60)는 좌우 방향에 배선된 데이터선(312)의 도중 부위, 즉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의 좌측에 발광 소자(321)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한편 ESD 보호 소자(61)는 데이터선(312)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판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데이터선(312)과 유지 트랜지스터(TFT1) 사이에는, 상술한 인출선(3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선(313)은 데이터선(312)과 유지 트랜지스터(TFT1)를 최단 거리로 묶도록, 즉 상하 방향에 데이터선(312)과는 다른 층에 배선되어 있다. 또, 유지 트랜지스터(TFT1)와 구동 트랜지스터(TFT2)는, 발광 소자(321)를 사이에 끼워서 상하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유지 트랜지스터(TFT1)의 드레인 단자와 구동 트랜지스터(TFT2)의 게이트 단자는, 발광 소자(321)를 타넘도록 배선된 접속 배선(도시 생략)에 의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라인 헤드(1)의 뒤쪽이 위로, 표면측(도 2에서의 보이는 면)이 아래로 나타나고 있다. 또, 유지 트랜지스터(TFT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라인 헤드(1)는, 유기 EL 발광 소자의 발광체(발광 소자(321))가 양극 단자(41)(한쪽 전극)와 음극 단자(42)(다른쪽 전극)에 삽입된 구조 를 가지고 있고, 양극 단자(41)가 구동 트랜지스터(TFT2)를 통하여 전원 배선(301)과 접속되며, 음극 단자(42)가 이면측 접지 배선(302b)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라인 헤드(1)에서는, 이면 접지 배선(302b)(음극 단자(42))이 반사성 도전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칼슘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양극 단자(41)가 투광성 도전 재료(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광 소자(321)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 소자(321)가 발광하면, 그 발광광은 라인 헤드(1)의 양극 단자(41)측(표면측)으로부터 사출(射出)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라인 헤드(1)에 의하면, 음극 단자(42), 즉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전원 배선(301)이 대향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전원 배선(301) 사이에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어, 전원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즉 상술한 라인 헤드(1)를 4개의 라인 헤드(11K, 11C, 11M, 11Y)로 하여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맨 처음, 도 4에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전체 제어부에는, CPU, 화상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9)와 원(元)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화상 형성 장치는 흑백 화상과 더불어 컬러 화상도 형성하는 것이며, 화상을 형성할 때 의 원색인 「흑」, 「시안」, 「마젠타」, 「옐로우」에 대응하는 4개의 라인 헤드(11K, 11C, 11M, 11Y)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의 부호의 말미에 붙여진 알파벳(K, C, M, Y)은, 각각 화상을 형성할 때의 원색인 흑, 시안, 마젠타, 옐로우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알파벳(K, C, M, Y)의 부기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데이터 처리부(9)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되어 기억부(10)에 기억되어 있는 원 화상 데이터(비트 맵 데이터)를 읽어내어, 스크린 처리, 색 변환 처리, 데이터 변환 처리, 데이터 전송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스크린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조건과의 매칭을 취해, 계조 재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만선 패턴, 오차 확산 패턴, 망점 패턴 등을 조합시킨 처리이다. 색 변환 처리는, 스크린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각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에 대응한 색으로 분해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데이터 변환 처리는 색 변환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각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에의 송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이다. 데이터 전송 처리는, 상기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각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에 전송하는 처리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동일한 구성의 4개의 라인 헤드(11K, 11C, 11M, 11Y)를 대응하는 동일한 구성인 4개의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 의 노광 위치에 각각 배치한 것이며, 텐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구동 롤러(13)와 종동 롤러(14)와 텐션 롤러(15)가 설치되어 있고, 텐션 롤러(15)에 의해 텐션을 가하여 팽팽하게 걸쳐 설치되고, 도시한 화살표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순환 구동되는 중간 전사 벨트(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6)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상 담지체로서 외주면에 감광층을 가지는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이 배치된다.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은, 중간 전사 벨트(16)의 구동과 동기 하여 도시한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주위에는,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코로나 대전기(17K, 17C, 17M, 17Y)와, 이 코로나 대전기(17K, 17C, 17M, 17Y)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된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외주면을 상기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회전에 동기하여 순차 라인 주사하는 라인 헤드(11K, 11C, 11M, 11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주위에는, 상기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에서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부여하여 토너상으로 하는 현상 장치(18K, 18C, 18M, 18Y)와, 이 현상 장치(18K, 18C, 18M, 18Y)에 의해서 현상된 토너상을 일차 전사 대상인 중간 전사 벨트(16)에 순차 전사하는 전사 수단으로서의 일차 전사 롤러(19K, 19C, 19M, 19Y)와, 전사된 후에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20K, 20C, 20M, 20Y)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라인 헤드(11K, 11C, 11M, 11Y)는 상술한 유기 EL 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이,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모선에 병행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각 라인 헤드(11K, 11C, 11M, 11Y)의 발광 에너지의 피크 파장과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감도 피크 파장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현상 장치(18K, 18C, 18M, 18Y)는, 예를 들면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성분 토너를 사용하는 것으로, 그 일성분 현상제를, 예를 들면 공급 롤러로 현상 롤러에 반송하고, 현상 롤러 표면에 부착한 현상제의 막 두께를 규제 블레이드로 규제하며, 그 현상 롤러를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에 접촉 혹은 압후(押厚)시킴으로써, 각 감광체 드럼(12K, 12C, 12M, 12Y)의 전위 레벨에 따라 현상제를 부착시키는 것으로써,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는 것이다.
이러한 4색의 단색 토너상 형성 스테이션에 의해 형성된 흑,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각 토너상은, 일차 전사 롤러(19K, 19C, 19M, 19Y)에 인가되는 일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 위에 순차 일차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16) 위에서 순차 중첩되어 풀 컬러가 된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21)에서 용지 등의 기록 매체(P)에 2차 전사되며, 정착부인 정착 롤러 쌍(22)을 통과함으로써, 기록 매체(P) 위에 정착되고, 배지 롤러 쌍(23)에 의해서, 장치 상부에 형성된 배지 트레이(24) 위로 배출된다. 또한, 2차 전사 롤러(21)는, 중간 전사 벨트(16)와 의 사이에 2차 전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구 구성에서, 부호 25는 여러 장의 기록 매체(P)가 적층 유지되고 있는 급지 카셋트, 부호 26은 급지 카셋트(25)로부터 기록 매체(P)를 한 장씩 급송하는 픽업 롤러, 부호 27은 2차 전사 롤러(21)의 2차 전사부로의 기록 매체(P)의 공급 타이밍을 규정하는 게이트 롤러 쌍, 부호 28은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16)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헤드(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라인 헤드(1)에서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결함 발생의 방지, 안정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도 6은, 본 제2 실시 형태의 라인 헤드(1)의 부분 단면도이며,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사용한 도 3과 동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 라인 헤드(1)에 대해서는, 구동용 TFT2의 게이트 단자(43)와 동일층에 게이트 단자층 배선(4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게이트 단자층 배선(44)과 전원 배선(301)이 컨택트부(4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단자층 배선(44)과 게이트 단자(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지만, 비접속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는 대향하는 도전층이 넓을수록, 대용량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원 배선(301)을 도 2에서 나타낸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대략 같은 면적이 될 때까지 넓혀 형성함으로써,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전원 배선(301)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용량이 커져, 전원의 안정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 헤드(1)에서는, 전원 배선(301)과 동일층에 전원 배선(301)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전원 배선(301)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원 배선(301)이나 접지 배선(302)이 형성되는 층보다도 하층에 컨택트부(45)를 통하여 전원 배선(301)과 접속되는 게이트 단자층 배선(44)을 배치함으로써, 이면측 접지 배선(302b)과 대향하는 도전층을 넓게 할 수 있어 커패시터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 실시 형태의 라인 헤드(1)에 의하면, 전원을 보다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이트 단자층 배선(44)은, 게이트 단자(43)와 동일 프로세스에 의해서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 예를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회로로서 구동 트랜지스터(TFT)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의 구동 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발광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회로이면, 다른 회로여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발광 소자를 사용했지 만,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유기 EL 발광 소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텐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텐덤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화된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한쪽 전극과 다른쪽 전극 사이에 삽입된 발광 소자를 1라인에 복수 배열한 발광 소자 라인과, 상기 발광 소자 라인의 각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회로를 통하여 상기 한쪽 전극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과 상기 다른쪽 전극을 대향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동일층에 형성되는 게이트 단자층 배선과 상기 전원 배선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헤드.
  4.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제 1 항에 기재된 라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를 노광함으로써 형성 대상 화상의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감광체 위의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감광체 위의 토너상을 전사재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재 위의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74113A 2004-09-30 2005-08-12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21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9226 2004-09-30
JP2004289226A JP4211720B2 (ja) 2004-09-30 2004-09-30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426A true KR20060050426A (ko) 2006-05-19
KR100721841B1 KR100721841B1 (ko) 2007-05-28

Family

ID=3609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13A KR100721841B1 (ko) 2004-09-30 2005-08-12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1876B2 (ko)
JP (1) JP4211720B2 (ko)
KR (1) KR100721841B1 (ko)
CN (2) CN100419585C (ko)
TW (1) TWI301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493A (ja) * 2004-09-30 2006-05-18 Seiko Epson Corp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2805B2 (ja) * 2010-01-26 2014-04-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
JP5428936B2 (ja) * 2010-02-23 2014-0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100880B1 (ko) * 2013-06-26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JP6530601B2 (ja) 2014-12-16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部品および液体吐出装置
CN109473510B (zh) * 2017-09-07 2022-05-13 佳能株式会社 发光晶闸管、发光晶闸管阵列、曝光头和图像形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820B2 (ja) * 1989-08-14 1996-08-28 株式会社テック 端面発光型elプリンタ
KR0151062B1 (ko) * 1995-06-23 1998-10-01 윤종용 음극선관 보강용 밴드
JPH11274569A (ja) 1998-03-24 1999-10-08 Canon Inc Led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源、画像形成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
JP3252897B2 (ja) * 1998-03-31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素子駆動装置および方法、画像表示装置
US6864863B2 (en) * 2000-10-12 2005-03-08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circuit includ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optical device
JP2003005434A (ja) * 2001-04-18 2003-01-08 Oki Data Corp トナー、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30032649A (ko) * 2001-10-19 2003-04-26 (주)에스피코리아 화상전환을 통한 다중화상표시장치
JP2004264633A (ja) * 2003-03-03 2004-09-24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4193805B2 (ja) * 2004-07-27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5539A (zh) 2006-04-05
US20060065812A1 (en) 2006-03-30
CN101335292B (zh) 2010-10-06
TW200611088A (en) 2006-04-01
CN101335292A (zh) 2008-12-31
JP4211720B2 (ja) 2009-01-21
KR100721841B1 (ko) 2007-05-28
JP2006103007A (ja) 2006-04-20
US7361876B2 (en) 2008-04-22
TWI301230B (en) 2008-09-21
CN100419585C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58477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721841B1 (ko)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US7999269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760345B1 (ko)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EP3382686A1 (en) Optical print head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705426B1 (ko) 라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
JP5515336B2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26247B2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479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44686A (ja) ライン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672937B2 (ja) 光書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578380C (zh) 线形曝光头以及图像形成装置
US115681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571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23494A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02958A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643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272685A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03219A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91402A (ja) 発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245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