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644A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2644A KR20060022644A KR20057019226A KR20057019226A KR20060022644A KR 20060022644 A KR20060022644 A KR 20060022644A KR 20057019226 A KR20057019226 A KR 20057019226A KR 20057019226 A KR20057019226 A KR 20057019226A KR 20060022644 A KR20060022644 A KR 200600226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ent
- information
- connection
- network
- process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소정의 동보 패킷을 송신하며, 이에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 범위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검출하고(단계 31 내지 33), 검출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하도록(단계 35 내지 37)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이들을 이용한 무선 시스템, 위치 검출 시스템, 설명 시스템, 이들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 클라이언트, 무선 시스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설명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네트워크 접속 방법,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 위치 검출 방법, 및 설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블루투스가 알려져 있다. 블루투스는 소정의 근거리 범위 내에 있다면 여러 가지의 기기 사이를 인터페이스 케이블 등에 의하지 않고, 장해물을 넘어 간단히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것으로서, 예컨대 각 점포에 블루투스 대응 기기를 설치해 놓고, 사용자가 블루투스 대응의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하고 그 기기의 통신 가능 범위에 진입했을 때, 기기가 자동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접속하여 점포 의 식별 정보 등을 송신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디지털 카메라에 보내어진 점포의 식별 정보는 그 후, 대응하는 점포의 WWW 사이트를 방문하는 등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점포를 방문한 사용자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래, 이러한 블루투스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를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른다. 즉 미리 서버를 모든 클라이언트에 의한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한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 설정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가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 검출이란, 블루투스 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는 조회 단계에 따라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정보를 얻는 동작이다. 다음에, 검출된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출한다. 그리고, 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하여 물리적 링크를 확립한다. 이 물리적 링크를 통하여 LAN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특허 공개 2002-230396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접속 단계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대해 접속하고자 할 때, 클라이언트는 무선 접속이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서버를 검출해야 한다. 즉, 검출되는 서버에 따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접속하고 싶은 서버에 관해 사전에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설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반드시 각종 설정을 그 때마다 요구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서버를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디바이스를 컴퓨터나 PDA 등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한 디바이스 그룹 중 특정 그룹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검출만을 허가하는 상태로 설정해 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로부터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나, 네트워크에 무제한으로 액세스될 위험성이 생긴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사전에 사용자를 특정해 놓고, 사용자 관리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관리해야 할 클라이언트를 서버에 대하여, 실제로 블루투스에 의한 핸드쉐이크가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게 하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를 검출하며, 양자간의 접속을 확립한 후, 서버에 클라이언트를 등록해야 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시작하여, 관리 하에서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관리해야 할 클라이언트의 수만큼 실제 등록 작업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관리해야 할 클라이언트가 많은 경우에는 현실적이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네트워크상의 서버를 무선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클라이언트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클라이언트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에서는,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할 때에 소정의 동보 패킷(broadcast packet)을 송신하며, 이에 응답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클라이언트 및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을 행하고,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될 때에 정보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소정의 동보 패킷을 수신하며, 클라이언트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회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할 때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보내어지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 및 클라이언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은, 전술의 본 발명에 관한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술의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시스템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본 발명의 각 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프로토콜로서는, 예컨대 블루투스가 해당된다. 클라이언트의 검출은, 예컨대 블루투스 사양서에서 규정되어 있는 조회 단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 정보의 송신은 반강제적으로 정보를 배신하는 푸시 배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배신은 예컨대 블루투스 사양에 의한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의 확립은, 예컨대 블루투스 사양에 의한 LAN 액세스 프로파일에 따른 PPP 프로토콜 등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의 확립, 및 그 상위 TCP/IP 프로토콜 등에 의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의 확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서는, 예컨대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대응 가능한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휴대 전화, PHS 등이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로서는, 예컨대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대응 가능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이 해당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보 패킷을 소정 간격으로 송출하고, 클라이언트를 검출하고 있을 때, 통신 가능 범위에 클라이언트가 진입해 있으면, 클라이언트는 동보 패킷을 수신하고, 응답 패킷을 회신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검출되게 된다. 이 때 응답 패킷에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 패킷을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는 그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의 검출 단계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종래의 단계와는 검출 주체가 반대다. 즉 종래는 클라이언트측이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고,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측이 클라이언트를 검출하고, 검출한 클라이언트 중에서 선택하여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검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측에서 검출할 수 없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또한, 검출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 중에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접속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허가되어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클라이언트를 정보 처리 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시켜 사전에 등록 처리를 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클라이언트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는, 그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접속 정보가 저장되는 공유 디렉토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공유 디렉토리를 감시하고, 공유 디렉토리 안에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지만, 이 때, 디렉토리를 비워 둔다. 한편, 클라이언트가 이와 같은 접속 정보를 취급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이 곤란해진다. 이에 따라서도, 네트워크에 대한 무제한적인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시스템 및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했을 때,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로서는, 예컨대 클라이언트에 의한 서버에 대한 과거의 액세스시에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정보를 요구하고, 또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를 제공했는지의 정보가 해당한다. 과거의 액세스시에 클라이언트에게 보낸 쿠키 등의 것도 좋다.
이에 따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에 근접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했을 때,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에 관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PDP와 같은 화면이 큰 것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예컨대 클라이언트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위치 검출이나, 명소·고적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의 예를 들 수 있다. 위치 검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클라이언트, 및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준비하고, 정보 처리 장치가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접속 정보를 보내고, 클라이언트가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며,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서버에게 송신하고, 서버가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위치 검출용 정보를 미리 기억하며, 서버가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위치 검출용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하면 좋다.
설명을 할 때에는 전술한 바대로 네트워크 접속 확립까지 행한 후,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서버에게 송신하고, 서버가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및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설명용 정보를 미리 기억하며, 서버가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설명용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고,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설명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이나 화상 표시에 의해 설명을 위한 출력을 하도록 하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블루투스 무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트북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때의 노트북에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때의 클라이언트에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인터넷 카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블루투스 무선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서버(1), 서버(1)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2), 서버(1)와 클라이언트(2)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노트북 PC(3)를 갖는다. 클라이언트(2)로서는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 및 노트북 PC(3) 간에는 이더넷(등록 상표)으로 접속되어 있고, TCP/IP에 의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져 있다. 노트북 PC(3) 및 클라이언트(2)는 각각, 무선 변조부나 기저 대역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며, 블루투스에 의한 링크를 확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블루투스 사양에 의한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이나 LAN 액세스 프로파일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 2는 노트북 PC(3)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PC(3)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나 각 부분을 제어하는 CPU(21),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23), CPU(21)에 의한 데이터 처리 결과 등에 기초하여 표시하고,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표시 장치(24),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 무선 변조부나 기저 대역부를 포함하며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26), 이들의 각 요소 사이를 접속하는 버스(27) 등을 구비한다.
메모리(22)는 ROM, RAM,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고, OS,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등을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노트북 PC(3)를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또한, 메모리(22)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용되어 있는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란, 블루투스 기기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기에 대하여 기기마다 부여된 것이다.
서버(1) 및 클라이언트(2)도 노트북 PC(3)와 같은 구성을 갖지만, 서버(1)에는 블루투스 모듈(26)이 필요하지 않고, 클라이언트(2)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가 필요하지 않다.
도 3은 클라이언트(2)가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때의 노트북 PC(3)에서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접속의 확립에 있어서, 종래는 클라이언트(2)측에서 노트북 PC(3)를 검출하도록 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트북 PC(3)이 클라이언트(2)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클라이언트(2)는 노트북 PC(3)과의 블루투스에 의한 링크를 확립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검출되는 것이 가능한 발견 가능 모드로 되어 있는 것,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른 파일 전송 기능이 유효한 것, LAN 접속 서비스가 유효한 것 등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에 있어서는, 우선 단계 31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범 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2)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이 디바이스 검출은 블루투스 디바이스 조회 단계에 따라 이루어지고, IAC(조회 액세스 코드)를 포함하는 동보 패킷을 일정 간격으로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동보 패킷으로서는, 모든 블루투스 기기를 조회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를 도시하는 GIAC(General/Unlimited Inquiry Access Code) 코드, 또는 특정한 종류의 블루투스 기기만을 조회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를 도시하는 DIAC(Device-Specific inquiry Access Code)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PDA만을 조회의 대상으로 삼는 DIAC 코드를 이용한다.
다음에, 단계 32에 있어서, 동보 패킷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2)가 송신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2)를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응답 패킷에는 응답한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클라이언트(2)를 인식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3에서 약 10초간 대기한 후 단계 31에 복귀하고, 다시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2)가 통신 가능 범위에 진입하여 응답할 때까지, 약 10초마다 디바이스 검출을 반복한다.
단계 32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2)를 인식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4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검출을 중단한다. 그리고, 단계 35에서,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 36에서, 취득한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것이, 네트워크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리 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7로 진행하고, 상기 검출한 클라이언트(2)에 대하여, 네트워크 접속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갖는 정보 파일을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푸시한다. 푸시된 정보 파일은 클라이언트(2)의 공유 디렉토리 내에 저장되게 된다.
단계 37의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단계 33에서 10초간 대기한 후 단계 31로 복귀하고, 또한 디바이스 검출을 속행한다.
도 4는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때의 클라이언트(2)에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41에 있어서, 노트북 PC(3)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파일을 대상으로서 공유 디렉토리 안을 검색하고, 단계 42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파일을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파일을 인식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43에서 약 1초간 대기한 후, 단계 41로 복귀하고, 다시 정보 파일을 검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정보 파일이 푸시되어 오는 것을 계속적으로 감시한다.
단계 42에 있어서, 공유 디렉토리 내에서의 정보 파일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44로 진행하고, 네트워크 접속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에 대하여 요구하며, 단계 45에서 공유 디렉토리를 비우고 나서, 단계 46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실행할 의지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네트워크 접속을 실행할 의지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43에서 약 1초간 대기한 후 단계 41로 복귀하고, 다시 정보 파일을 검색한다. 또한, 공유 디렉토리를 비우는 조작은 정보 파일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삭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계 46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의 실행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47에서 정보 파일에 기초하여, OS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설정하고, 단계 48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실행한다. 즉, 블루투스 사양의 LAN 액세스 프로파일에 따라서, 노트북 PC(3)에 대한 링크를 형성하는 동시에, 노트북 PC(3)를 액세스 포인트로 하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2)에 관해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의 접속 환경이 수립되게 된다. 네트워크 접속이 완료되면, 단계 43을 거쳐서 단계 41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와는 반대로 노트북 PC(3)측으로부터 클라이언트(2)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클라이언트(2)에 의해서 무제한으로 네트워크 접속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는, 노트북 PC(3)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해 놓고, 클라이언트(2)측에서 디바이스를 검출하였기 때문에, 노트북 PC(3)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검출시에 클라이언트(2)에 보내어지고, 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2)는 아무런 제한없이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트북 PC(3)를 검출할 수 없도록 설정해 놓고, 노트북 PC(3)측에서 검출하게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2)측에서는 노트북 PC(3)를 검출할 수 없고, 또한 노트북 PC(3)는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 얻어지는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네트워크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서, 그 클라이언트(2)에 대하여 자신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등을 푸시하고,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트북 PC(3)이 푸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2)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클라이언트(2)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설정하는 시간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는 노트북으로부터 푸시되는 정보 파일을 처리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갖고 있어야 한다. 즉,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2)는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도, 무제한적인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인터넷 카페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된 웹서버(51 및 52), 노트북 PC(53),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PDA(54)에 의해 구성된다. 서버(51 및 52)에는 각각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5)가 접속되어 있지만, 서버(52)에 접속되어 있는 PDP(55)는 점포 밖에서, 점포 앞의 고객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서버(51과 52), 노트북 PC(53), 및 PDA(54)는 각각,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서버(1), 노트북 PC(3), 및 클라이언트(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PDA(54)를 휴대한 고객이 가게 앞에 나타나면 , 노트북 PC(53)은 도 3에 도시된 순서와 같은 순서로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PDA(54)를 검출하고, 검출된 PDA(54)에 대하여, 네트워크 접속이 허용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서,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갖는 정보 파일을 푸시한다. 이 정보에는, 액세스 포인트명[노트북 PC(53)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 어드레스[노트북 PC(53)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 및 표시하게 하고 싶은 BMP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PDA(54)는 이들의 푸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4에서 도시된 순서와 같은 순서로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한다. 이 때, PDA(54)의 표시 장치에 의해, BMP 파일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 PDA(54)는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해지고, 서버(51 또는 52) 간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 후, PDA(54) 및 서버(52)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상호 통신할 수 있고, 서버(52)는, 과거에서의 PDA(54)로부터의 액세스시에, PDA(54)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등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당한 정보나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PDP(55)상에 표시하거나, PDA(54)에 대하여 푸시 배신할 수 있다. 또한, PDA(54)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는 요구를 서버(52)에 보내고, 서버(52)에 의해 PDP(55)상에 요구에 기초한 표시가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점포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에 대한 무제한적인 액세스를 방지하면서 점포 앞을 지나가는 고객에 대해서는, 각 고객의 필요성에 따른 정보 등을 푸시 배신하거나, 큰 화면의 PDP(55)상에 표시함으로써, 선전 효과나 고객 서비스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61)(61a 내지 61d,… ), 각 정보 처리 장치(61)에 대하여, 이더넷(등록상표)(62)을 통해 접속된 서버(63), 위치가 검출되는 클라이언트(64)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61), 서버(63), 클라이언트(64)는 각각 도 1의 노트북 PC(3), 서버(1) 및 클라이언트(2)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서버(63)는 각 정보 처리 장치(6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 정보 처리 장치(61)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위치 검출용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64)를 소지하여 정보 처리 장치(61a)의 통신 범위 내를 통과하면, 정보 처리 장치(61a)는 도 3의 순서로 클라이언트(64)를 검출하고, 클라이언트(64)에게 접속 정보를 푸시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64)는 도 4의 순서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61a)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61a)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서버(63)에 접속한다. 이 후, 클라이언트(64)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64) 및 정보 처리 장치(61a)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서버(63)의 프로그램에 보낸다. 서버(63)의 프로그램은 이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위치 검출용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64)가 정보 처리 장치(61a)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64)를 소지한 사용자가 화살표(65) 방향으로 진행하고, 정보 처리 장치(61a)의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정보 처리 장치(61b)의 통신 가능 범위에 진입하면, 클라이언트(64)는, 이번에는 정보 처리 장치(61b)를 통하여, 같은 단계로 정보 처리 장치(61b)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화살표(65)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순차 정보 처리 장치(61a 내지 61d…)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가 검출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이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71)(71a 내지 71d, … ), 각 정보 처리 장치(71)에 대하여, 이더넷(등록상표)(72)을 통해 접속된 서버(73),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는 클라이언트(74)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71), 서버(73), 및 클라이언트(74)는 각각 도 1의 노트북 PC(3), 서버(1) 및 클라이언트(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서버(73)는 각 정보 처리 장치(71)에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각 정보 처리 장치(71)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설명용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74)를 소지하여 정보 처리 장치(71a)의 통신 범위 내에 진입하면, 정보 처리 장치(71a)는 도 3의 순서로 클라이언트(74)를 검출하고, 클라이언트(74)에게 접속 정보를 푸시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74)는 도 4의 순서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71a)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71a)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서버(73)에 접속한다. 이 때, 도 4의 단계 45에서의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는지의 확인용 화면상에서 「설명을 듣겠습니까?」라는 확인용 메시지를 표시하고, 설명을 듣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경우에는 그 후에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한 후, 클라이언트(74)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74) 및 정보 처리 장치(71a)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서버(73)의 프로그램에 보낸다. 서버(73)의 프로그램은 이들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설명용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1a)에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74)에 보낸다. 이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74)의 프로그램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을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화면 상에 표시한다.
클라이언트(74)를 소지한 사용자가 화살표(75) 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보 처리 장치(71a)의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정보 처리 장치(71b)의 통신 가능 범위에 진입하면, 클라이언트(74)는 이번에는 정보 처리 장치(71b)를 통하여, 같은 순서로 정보 처리 장치(71b)에 대응한 설명용 정보를 수신하고, 설명의 음성 출력이나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화살표(75)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순차 정보 처리 장치(71a 내지 71d…)를 통해 설명용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 처리 장치(71a 내지 71d…)에 대응한 설명을 할 수 있다.
또한, 확인용 메시지로서, 그 외에 설명용 언어가 영어인지 또는 일본어인지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메시지나, 상세한 설명인지 또는 간략한 설명인지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내용에 따라, 서버(73)로부터 클라이언트(74)에 제공하는 정보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설명 시스템은, 명소·고적의 안내나, 박물관에서의 전시물의 설명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71)를 각 설명 포인트나 안내 포인트에 설치하고, 방문자에게 클라이언트(74)를 소지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에 있어서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블루투스와 마찬가 지로 서버측에서의 디바이스 검출이나,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전에 푸시 배신을 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있으면, 이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측에서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검출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접속 정보를 보내도록 하였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대한 무제한적인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내어진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Claims (27)
-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소정의 동보 패킷(broadcast packet)을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 범위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는 클라이언트 검출 수단과;검출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검출은 조회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정보의 송신은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의 경우와 검출의 주체 및 대상을 반대로 한 단계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가 클라이언트측에서 검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 파일과, 상기 검출한 클라이언트가 상기 파일 중에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 송신 수단은 상기 검출한 클라이언트가 상기 파일 중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기능이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로서,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소정의 동보 패킷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응답 수단과;상기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되는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검출은 조회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정보의 송신은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되는 접속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확립 수단은 상기 공유 디렉토리를 감시하며, 상기 접속 정보가 상기 공유 디렉토리 안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유 디렉토리를 비우는 동시에,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했을 때, 상기 접속을 확립한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는 정보에 관련된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접속이 가능한 블루투스 서버와;블루투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블루투스 서버는, 이더넷(등록상표)에 의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조회 단계에 따라 동보 패킷을 송신하고,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접속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블루투스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검출된 블루투스 클라이언트 중,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접속 정보를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푸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블루투스 클라이언트는,상기 조회 단계에 따라 상기 동보 패킷의 송신 유무를 감시하고, 동보 패킷을 수신했을 때, 자신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응답 수단과;상기 푸시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 표시 서버, 및 상기 정보 표시 서버에 접속되고, 옥외에 설치된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표시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확립된 블루투스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블루투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와 관련된 표시를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와;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포함하고,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서버는,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위치 검출용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검출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특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와;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포함하고,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서버는,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및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설명용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설명용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 또는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그것을 구성하는 각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으로서,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동보 패킷을 송 신하고, 이에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 범위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는 클라이언트 검출 단계와;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검출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검출은 조회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정보의 송신은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검출의 경우와 검출의 주체 및 대상을 반대로 한 단계에 의해 클라이언트측에서 검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단계에 있어서 검출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접속 정보 송신 단계는, 상기 검출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의 기능이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으로서,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소정의 동보 패킷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응답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되는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검출은 조회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정보의 송신은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접속 정보가 저장되는 공유 디렉토리를 포함하고,상기 접속 확립 단계는 상기 공유 디렉토리를 감시하며, 상기 접속 정보가 상기 공유 디렉토리 안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유 디렉토리를 비우는 동시에,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 제공 방법, 및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했을 때,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는 상기 접속이 확립된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는 정보와 관련된 표시를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
-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접속이 가능한 블루투스 서버 및 블루투스 클라이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블루투스 서버를 이더넷(등록 상표)에 의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와;블루투스 서버가, 조회 단계에 따라서 동보 패킷을 송신하고, 응답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접속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블루투스 클라이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블루투스 서버가, 검출된 블루투스 클라이언트 중,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가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오브젝트 푸시 프로파일에 따라서 푸시하는 단계와;블루투스 클라이언트가, 상기 조회 단계에 따라, 상기 동보 패킷의 송신 유무를 감시하고, 동보 패킷을 수신했을 때, 자신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와,블루투스 클라이언트가, 상기 푸시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네트워크에 정보 표시 서버를 접속하는 단계와,옥외에 설치된 패널 디스플레이를 상기 정보 표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상기 정보 표시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확립된 블루투스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블루투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와 관련된 표시를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무선 시스템 가동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준비하는 단계와;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를 검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송신된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서버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위치 검출용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와;상기 서버가, 송신되어 오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검출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거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준비하는 단계와;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를 검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송신된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중인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서버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및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갖는 설명용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와;상기 서버가, 송신되어 오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설명용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설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클라이언트가, 송신되어 오는 상기 설명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42923 | 2003-05-21 | ||
JPJP-P-2003-00142923 | 2003-05-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2644A true KR20060022644A (ko) | 2006-03-10 |
Family
ID=3347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7019226A Withdrawn KR20060022644A (ko) | 2003-05-21 | 2004-05-19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051031A1 (ko) |
EP (1) | EP1631008A1 (ko) |
JP (1) | JP4435089B2 (ko) |
KR (1) | KR20060022644A (ko) |
CN (1) | CN1826764A (ko) |
TW (1) | TW200503474A (ko) |
WO (1) | WO200410532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760Y1 (ko) * | 2015-03-19 | 2016-07-05 |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59105B2 (ja) * | 2005-04-26 | 2010-04-28 | 株式会社東芝 | 携帯通信機器 |
CN100547998C (zh) * | 2005-07-08 | 2009-10-07 |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在多个通信装置间建立网络联机的方法 |
TWI274284B (en) * | 2005-09-07 | 2007-02-21 | Micro Star Int Co Ltd | Method for changing parameter values of embedded system by way of object push profile |
US9185552B2 (en) * | 2009-05-06 | 2015-11-10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to establish trust and secure connection via a mutually trusted intermediary |
EP2489209A1 (en) | 2009-10-14 | 2012-08-22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Automat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between indicia reader system and mobile device |
CN104219081B (zh) * | 2013-06-05 | 2018-11-30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网络连接管理设备及网络连接管理方法 |
US9191832B2 (en) * | 2013-06-06 | 2015-11-17 | Apple Inc. | Category-based fence |
CN103716070B (zh) * | 2013-12-27 | 2016-07-06 | 深圳市国华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输出告警提示的方法、装置、设备及系统 |
CN104968030B (zh) | 2015-04-30 | 2016-12-2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
CN106101977A (zh) * | 2015-04-30 | 2016-11-09 | 马卡波罗股份有限公司 | 自动授权移动装置连接因特网的系统及方法 |
CN109309722B (zh) | 2018-10-18 | 2021-10-2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自动讲解实现方法、终端、服务器、系统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1043A (ja) * | 1993-03-05 | 1994-09-16 | Hitachi Ltd | 無線lan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JPH1155286A (ja) * | 1997-08-07 | 1999-02-26 | Kokusai Electric Co Ltd | 無線lanシステム |
US7146636B2 (en) * | 2000-07-24 | 2006-12-05 | Bluesocket, Inc. |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entralized control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US7062469B2 (en) * | 2001-01-02 | 2006-06-13 | Nokia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wireless network access subsidized by dynamic display advertising |
US7299007B2 (en) * | 2001-02-01 | 2007-11-20 | Ack Venture Holdings, Llc |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
US7054623B1 (en) * | 2001-05-08 | 2006-05-30 | Nokia Corporation | Grapevine driven updating technique |
JP2003069577A (ja) * | 2001-08-23 | 2003-03-07 | Sony Corp |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
JP2003091495A (ja) * | 2001-09-18 | 2003-03-28 | Sony Corp |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2003097967A (ja) * | 2001-09-20 | 2003-04-03 | Toshiba Corp | 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JP3799263B2 (ja) * | 2001-10-31 | 2006-07-19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情報の送受信方法 |
US7102640B1 (en) * | 2002-03-21 | 2006-09-05 | Nokia Corporation | Service/device indication with graphical interface |
US7254406B2 (en) * | 2002-06-10 | 2007-08-07 | Suman Beros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detection of mobile devices that are proximate and exhibit commonalities between specific data sets, or profiles, associated with the persons transporting the mobile devices |
JP4218934B2 (ja) * | 2002-08-09 | 2009-0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
US7336925B2 (en) * | 2002-10-28 | 2008-02-26 | Nokia Corporation | Graphical indication of a proximately located device |
US7356307B1 (en) * | 2003-06-27 | 2008-04-08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IP telephony with user localization for call control management |
CN1879427A (zh) * | 2003-11-13 | 2006-12-13 | 汤姆森许可贸易公司 | 集成蜂窝/pcs-pots通信系统 |
US7882238B2 (en) * | 2005-07-08 | 2011-02-01 | Qualcomm Incorporated | Using bluetooth to establish ad-hoc connections between non-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
-
2004
- 2004-05-07 TW TW093113002A patent/TW200503474A/zh unknown
- 2004-05-15 US US10/557,544 patent/US200800510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5-19 CN CNA2004800210470A patent/CN1826764A/zh active Pending
- 2004-05-19 EP EP20040733913 patent/EP163100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5-19 KR KR20057019226A patent/KR20060022644A/ko not_active Withdrawn
- 2004-05-19 JP JP2005506337A patent/JP443508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19 WO PCT/JP2004/006727 patent/WO200410532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760Y1 (ko) * | 2015-03-19 | 2016-07-05 |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31008A1 (en) | 2006-03-01 |
TW200503474A (en) | 2005-01-16 |
US20080051031A1 (en) | 2008-02-28 |
JP4435089B2 (ja) | 2010-03-17 |
CN1826764A (zh) | 2006-08-30 |
JPWO2004105324A1 (ja) | 2006-07-20 |
WO2004105324A1 (ja) | 200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1161B2 (ja) | 情報端末、ネットワーク接続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EP127313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electronic devices coupled to a wireless network | |
EP138216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distribution of local information | |
US897639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etermining a closest image forming device | |
JP4926994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 | |
JP3731980B2 (ja) |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 |
US20050198493A1 (en) | Distribu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moting distributed digital content on a local network | |
JP2000305885A (ja) |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 |
KR100636143B1 (ko) |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 |
KR20060022644A (ko)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 |
KR20120089100A (ko) | 앱스토어와 무선 ap를 활용한 모바일 기기용 기업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 |
JP2002540677A (ja) |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の負荷管理 | |
JP6452323B2 (ja) | 通信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US7725592B1 (en)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rvice hand-off function, user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destination terminal device, and proxy server device | |
KR10047173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제 매장에서의 쇼핑 정보서비스 방법 | |
KR20090045193A (ko) | 사전 프로그래밍된 선호에 따라 사람을 매칭시키는 방법 및장치 | |
CN115226084B (zh) | 智能设备及其网络连接方法、路由设备、存储介质 | |
JP2005203949A (ja) | 通信端末装置、データ配信用サーバ装置、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の受信方法、並びに、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ら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 |
WO2013107325A1 (zh) | 一种信息发送方法、设备及系统 | |
KR20110137068A (ko) |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20200053186A1 (en)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KR20040032670A (ko) | 인터넷망에 지능형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접속하는무선랜 사용자를 위한 지역정보 제공방법 | |
JP4735972B2 (ja) |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装置ならびに情報配信方法 | |
FI114597B (fi) | Menetelmä kirjautumisen suorittamiseksi | |
JP2002297888A (ja) |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対象機器、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