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0760Y1 -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60Y1
KR200480760Y1 KR2020150001746U KR20150001746U KR200480760Y1 KR 200480760 Y1 KR200480760 Y1 KR 200480760Y1 KR 2020150001746 U KR2020150001746 U KR 2020150001746U KR 20150001746 U KR20150001746 U KR 20150001746U KR 200480760 Y1 KR200480760 Y1 KR 200480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ring
bluetooth module
transceiver
communic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Priority to KR2020150001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6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차, 장갑차, 자주포와 같은 차량의 차체와 회전식 포탑과 같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군용차량용 슬립링(slip ring)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하부몸체(100); 회전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상부몸체(200); 및, 하단과 상단이 상호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하단은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와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의 전원용 포트(11)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의 전원용 포트(11)를 연결하는 슬립링의 내부 케이블 조립체(33)가 구비된 슬립링 회전부(300);로 구성되고 하부몸체(100)와 상부몸체(200)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Bluetooth Slip Ring for Military Vehicle}
본 고안은 전차, 장갑차, 자주포와 같은 차량의 차체와 회전식 포탑과 같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슬립링(slip ring)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와 회전체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유선통신 방식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립링(slip ring)이란 로터리 조인트, 로터리 커넥터 등으로도 불리는 전기기계적 부품으로서 회전하는 장비에 전원 또는 신호라인을 공급할 경우에 전선의 꼬임없이 전달가능한 일종의 회전형 커넥터이다.
이러한 슬립링은 회전부 장착방식에 따라서 끝단형(회전부의 끝단에 연결장착하는 방식)과 중공형(베어링처럼 슬립링 중앙부분에 hole이 있어 회전축에 끼워 장착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접점방식에 따라 카본그라파이트(Carbon graphite) 또는 합금 소재(Alloy)를 사용하는 접촉식 방식과 수은 또는 액체형 금속류를 사용하여 접촉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립링은 회전식 포탑이 구비된 전차나 장갑차의 경우 차체에 구비된 차량제어컴퓨터나 내장훈련장치와 포탑에 구비되는 사격통제컴퓨터나 전차장 조준경 전자유닛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통신규격마다 내부 케이블 조립체가 필요하여 차량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설계 비용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차량의 운영 목적이 달라짐에 따라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이미 장착된 슬립링 내부의 케이블 조립체를 개조해야 하는데, 그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블루투스는 좁은 범위 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PC, 휴대폰을 비롯한 이동 가능한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주는 기술명세를 말하는데,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준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이 휴대폰과 노트북 속에 구현되면 현재 휴대폰과 노트북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가신 케이블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데, 프린터, 데스크탑, 팩스, 키보드, 조이스틱을 비롯한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에릭슨, 노키아, 인텔, 도시바, IBM 5개 사가 1998년에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이라는 컨소시엄을 형성하면서 공개적인 표준으로 출범시킨 후, 루슨트테크놀로지스, 모토로라, 마이크로소프트, 3Com등이 SIG에 가세하였고, 현재 회원사는 세계적으로 이미 1790개(2000.4.20)에 이르고 있으며, 이 숫자는 계속해서 늘어날 추세여서, 블루투스는 이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세계적인 규격으로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은 근거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 장치간에 필요한 여러 케이블 연결을 대신하게 해주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 휴대폰과 랩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조이스틱은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특2001-0016625호:슬립링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슬립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은 신호 송수신을 위한 슬립링 내부의 케이블 조립체를 제거하고 이를 블루투스 모듈로 대체하여 슬립링의 전체 무게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슬립링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설계 및 제작 단가를 절감하고, 통신규격의 변경에 따라 쉽게 관련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슬립링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작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차, 장갑차, 자주포와 같은 차량의 차체와 회전식 포탑과 같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군용차량용 슬립링(slip ring)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하부몸체(100); 회전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상부몸체(200); 및, 하단과 상단이 상호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하단은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와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의 전원용 포트(11)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의 전원용 포트(11)를 연결하는 슬립링의 내부 케이블 조립체(33)가 구비된 슬립링 회전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에는,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는 하부 트랜시버(110); 상기 하부 트랜시버(1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하부 블루투스모듈(120); 상기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하부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에는,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는 상부 트랜시버(210); 상기 상부 트랜시버(2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상부 블루투스모듈(220); 상기 상부 트랜시버(210)와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부 제어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어부(1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부 트랜시버(2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을 제어하고, 상기 상부 제어부(2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상부 트랜시버(210)와 하부 트랜시버(1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을 제어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호 송수신을 위한 슬립링 내부의 케이블 조립체를 제거하고 전원용 케이블 조립체만 남겨둠으로써 슬립링 전체의 무게를 경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호 송수신은 블루투스 모듈이 수행하게 되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 조립체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인데, 슬립링의 무게 경감은 차량의 무게 경감으로 이어져 차량의 적재 능력과 기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슬립링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설계 및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 전달을 위한 케이블 조립체가 생략됨으로써 슬립링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용 케이블 조립체만 구비하면 되는 바, 슬립링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립링 설계 및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통신규격의 변경에 따라 쉽게 관련 모듈을 탈부착하여 새로운 임무 부여에 따른 개조 및 개량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블루투스 모듈과 제어부가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해당 통신규격의 트랜시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해당 통신규격의 트랜시버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신속한 개조 및 개량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슬립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사격통제컴퓨터와 차량제어컴퓨터 사이에 RS-232 통신규격에 따라 상호간 신호가 송수신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통식규격에 따른 트랜시버들이 모여 허브를 구성하고, 각각의 통신규격에 대응하는 제어부와 블루투스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탈부착식 모듈들이 모여 블루투스 엔드(END) 모듈을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전차, 장갑차, 자주포와 같은 차량의 차체와 회전식 포탑과 같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슬립링(slip ring)에 관한 것이다.
슬립링 하부몸체(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다.
슬립링 상부몸체(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다.
슬립링 회전부(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호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하단은 슬립링 하부몸체(100)와 결합되고, 상단은 슬립링 상부몸체(200)와 결합된다.
이러한 슬립링 회전부(300)의 내부에는 슬립링 하부몸체(100)의 전원용 포트(11)와 슬립링 상부몸체(200)의 전원용 포트(11)를 연결하는 슬립링의 내부 케이블 조립체(33)가 구비되는데, 내부 케이블 조립체(33)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슬립링에 구비된 내부 케이블 조립체(33)와 유사한 구조가 되는 바 별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내부 케이블 조립체(33)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구조 가운데 적절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슬립링 하부몸체(100)에는 하부 트랜시버(110), 하부 제어부(130),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이 각각의 통신규격별로 블루투스 연동제어보드를 구성하는데, 도3은 통신규격 가운데 하나인 RS-232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RS-422, RS-485. CAN, 1553B, LAN과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과 경보음이나 DISCRET와 같은 다양한 신호에 따른 블루투스 연동제어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트랜시버(110), 하부 제어부(130) 및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은 슬립링 하부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개폐식 점검창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한 슬립링 하부몸체(1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 트랜시버(110)는 각각의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고, 해당 통신용 포트(22)에는 그 각각에 대응한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데,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하부 트랜시버(110)가 차량제어컴퓨터와 RS-232 통신용 커넥터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은 하부 트랜시버(1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데, 각각의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에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구비된다.
하부 제어부(130)는 하부 트랜시버(110)와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연결되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하부 제어부(1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부 트랜시버(2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을 제어한다.
이러한 하부 제어부(130) 각각은 동일한 통신규격의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부 트랜시버(210) 각각에 연결된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끼리만 서로의 ID와 PIN CODE를 사전에 등록시켜 등록된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끼리만 페어링(pairing)되게 설계된다.
슬립링 상부몸체(200)에는 상부 트랜시버(210), 상부 제어부(230),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이 각각의 통신규격별로 블루투스 연동제어보드를 구성하는데, 도3은 통신규격 가운데 하나인 RS-232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RS-422, RS-485. CAN, 1553B, LAN과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과 경보음이나 DISCRET와 같은 다양한 신호에 따른 블루투스 연동제어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트랜시버(210), 상부 제어부(230) 및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은 슬립링 상부몸체(2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개폐식 점검창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한 슬립링 상부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 트랜시버(210)는 각각의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고, 해당 통신용 포트(22)에는 그 각각에 대응한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데,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상부 트랜시버(210)가 사격통제컴퓨터와 RS-232 통신용 커넥터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은 상부 트랜시버(2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데, 각각의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에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구비된다.
상부 제어부(230)는 상부 트랜시버(210)와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연결되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부 제어부(2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상부 트랜시버(210)와 하부 트랜시버(1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부 제어부(230) 각각은 동일한 통신규격의 상부 트랜시버(210)와 하부 트랜시버(110) 각각에 연결된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하부 블루투스모듈(120)끼리만 서로의 ID와 PIN CODE를 사전에 등록시켜 등록된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끼리만 페어링(pairing)되게 설계된다.
또한, 하부 제어부(130)와 상부 제어부(230) 각각은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검색기능을 차단시켜 외부 블루투스 장치에서 검색을 할 경우 목록이 뜨지 않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즉 외부 블루투스 장치에서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이나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목록 검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4는 각각의 통식규격에 따른 트랜시버들이 모여 허브를 구성하고, 각각의 통신규격에 대응하는 제어부와 블루투스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탈부착식 모듈들이 모여 블루투스 엔드(END) 모듈을 구성한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엔드 모듈을 구성하는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하부 제어부(130)는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해당 통신규격의 하부 트랜시버(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소정의 형태로 배열된 핀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와 같은 일반적인 탈부착 구조를 이용하면 탈부착식 모듈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블루투스 엔드 모듈을 구성하는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상부 제어부(230)는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해당 통신규격의 상부 트랜시버(2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소정의 형태로 배열된 핀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와 같은 일반적인 탈부착 구조를 이용하면 탈부착식 모듈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이에 대응하는 상부 제어부(230)가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하부 제어부(130)가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각각 해당 통신규격의 상부 트랜시버(210) 또는 하부 트랜시버(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해당 통신규격의 상부 트랜시버(210) 또는 하부 트랜시버(1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신속한 개조 및 개량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슬립링 하부몸체
110:하부 트랜시버
120:하부 블루투스모듈
130:하부 제어부
200:슬립링 상부몸체
210:상부 트랜시버
220:상부 블루투스모듈
230:상부 제어부
300:슬립링 회전부
11:전원용 포트
22:통신용 포트
33:내부 케이블 조립체

Claims (4)

  1. 전차, 장갑차, 자주포와 같은 차량의 차체와 회전식 포탑과 같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군용차량용 슬립링(slip ring)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하부몸체(100);
    회전체에 설치되며 전원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용 포트(11)와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된 슬립링 상부몸체(200); 및,
    하단과 상단이 상호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하단은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와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내부 케이블 조립체 없이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의 전원용 포트(11)와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의 전원용 포트(11)를 연결하는 슬립링의 내부 케이블 조립체(33)만 구비되는 슬립링 회전부(300);
    로 구성되되,
    상기 슬립링 하부몸체(100)에는,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는 하부 트랜시버(110);
    상기 하부 트랜시버(1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하부 블루투스모듈(120); 및,
    상기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하부 제어부(130);
    가 구비되며,
    상기 슬립링 상부몸체(200)에는,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용 포트(22)와 연결되는 상부 트랜시버(210);
    상기 상부 트랜시버(210)와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상부 블루투스모듈(220); 및,
    상기 상부 트랜시버(210)와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부 제어부(230);
    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제어부(1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부 트랜시버(2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을 제어하고,
    상기 상부 제어부(230)는 통신규격이 동일한 상부 트랜시버(210)와 하부 트랜시버(110) 사이에서만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을 제어하고,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기 하부 제어부(130)는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해당 통신규격의 하부 트랜시버(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과 상기 상부 제어부(230)는 통신규격별로 일체형으로 모듈화되고 해당 통신규격의 상부 트랜시버(2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제어부(130)와 상기 상부 제어부(230) 각각은 동일한 통신규격의 하부 트랜시버(110)와 상부 트랜시버(210) 각각에 연결된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끼리만 서로의 ID와 PIN CODE를 사전에 등록시켜 등록된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부 블루투스모듈(220)끼리만 페어링(pairing)되게 설계되고,
    상기 하부 제어부(130)와 상기 상부 제어부(230) 각각은 상기 하부 블루투스모듈(120)과 상기 상부 블루투스모듈(220)의 검색기능을 차단시켜 외부 블루투스 장치에서 검색을 할 경우 목록이 뜨지 않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1746U 2015-03-19 2015-03-19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Expired - Lifetime KR200480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46U KR200480760Y1 (ko) 2015-03-19 2015-03-19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46U KR200480760Y1 (ko) 2015-03-19 2015-03-19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60Y1 true KR200480760Y1 (ko) 2016-07-05

Family

ID=5649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746U Expired - Lifetime KR200480760Y1 (ko) 2015-03-19 2015-03-19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25A (ko) * 2016-09-21 2018-03-30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972Y1 (ko) * 1992-05-27 1994-11-16 김연수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KR200403149Y1 (ko) * 2005-09-06 2005-12-09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060022644A (ko) * 2003-05-21 2006-03-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KR20130066670A (ko) * 2010-08-25 2013-06-20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분산형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구비한 회전판 사출 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972Y1 (ko) * 1992-05-27 1994-11-16 김연수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KR20060022644A (ko) * 2003-05-21 2006-03-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이언트로의 서비스 제공
KR200403149Y1 (ko) * 2005-09-06 2005-12-09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130066670A (ko) * 2010-08-25 2013-06-20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분산형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구비한 회전판 사출 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25A (ko) * 2016-09-21 2018-03-30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KR101869846B1 (ko) * 2016-09-21 2018-06-22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레더 케이블 릴의 통신용 슬립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더 케이블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159B1 (ko) 피어-투-피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 근접성 페어링 및 스위칭
JP4103623B2 (ja) 車載制御装置
US9331747B2 (en) Enhanced device configuration
US20140228074A1 (en) Embedded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KR20070086072A (ko) 주변 장치의 검출 및 선택적 이용 방법 및 장치
CN104732790A (zh) 车辆信息更新方法及设备
US20150003432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3237142A (zh) 一种通过蓝牙耳机和手机产生汽车控制指令的方法
CA2824087A1 (en) Aircraft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US9628964B2 (en) Cable chip system
CN104333887A (zh) 控制无线网络装置进行网络连线的方法
CN105912115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蓝牙连接设备切换方法及系统
KR20048076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CN101420709B (zh) 显示运营商资料的方法及移动终端和后台软件设备
US20150104034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ogramming data between a data upgrade/transfer unit and a communications device through a speaker microphone
US9166676B2 (en) Telematic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300778B2 (en)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phone
US20180027604A1 (en) Method and system of assigning wi-fi or other wireless channel to mobile application
EP3234308B1 (en) Arrangement for delivery of production control information to a mining work machine
KR20180047954A (ko) Ble를 기반으로 하는 usb저장장치 잠금시스템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JP2009100413A (ja) 携帯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967694B1 (ko)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의 무선통신 장치
JP2009224876A (ja) 携帯端末装置、そ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25076B (zh) 射频拉远设备以及分布式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3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6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