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5499A - 누낭비강연결술 용 기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낭비강연결술 용 기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499A
KR20060015499A KR1020057019272A KR20057019272A KR20060015499A KR 20060015499 A KR20060015499 A KR 20060015499A KR 1020057019272 A KR1020057019272 A KR 1020057019272A KR 20057019272 A KR20057019272 A KR 20057019272A KR 20060015499 A KR20060015499 A KR 2006001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tear
inserter
tube
instru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114B1 (ko
Inventor
파올로 탐플레니자
티지아노 칼데라
왈터 폰타넬라
Original Assignee
세람옵텍 인더스트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람옵텍 인더스트리스, 인크. filed Critical 세람옵텍 인더스트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1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72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ear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삽입기 및 시스템 및 비눈물 배출 막힘(NLDO)의 치료용 내시경 조합 레이저 이용 DCR에서 삽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중공 외부 튜브 및 비외상 내부 심축을 포함하는 삽입기가 누낭 섹션에 삽입된다. 비외상 내부 심축이 제거되고 (하나 이상의) 시 섬유 또는 섬유 다발이 적당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명용 및 배출 채널 절제용으로 삽입된다. 섬유 또는 다발은 이때 제거되고 DCR 삽관세트가 배출 채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 및 방법의 장점은 과정의 모든 측면이 삽입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어서, 단지 1개의 삽입점이 필요하고, 누선에서 외상을 감소시키며, 복잡성 및 합병증 또는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 기구 및 방법의 또다른 장점은 현재 DCR 과정으로 사용되는 많은 이전에 존재하는 삽관 세트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본 기구 및 방법이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 1선 과정으로 유도될 수 있다.

Description

누낭비강연결술 용 기구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DACRYOCYSTORHINOSTOMY}
본 발명은 누낭비강연결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
유루증은 눈물의 과다유출로 정의되고, 눈물 생성 및 배출사이에 균형의 파괴로 발생한다. 배출은 눈물 배출 시스템으로 알려진 막 채널이 수반된다. 부적당한 눈물 배출의 원인은 변위된 눈물점, 눈거플 이완증, 약한 윤근, 또는 뇌신경 VII 마비로 인한 불량한 눈물 펌프 기능, 및 비눈물 배출 막힘(NLDO)로 알려진 배출 채널의 해부학적 막힘을 포함한다. NLDO은 상대적으로 특히 노인들에게 일반적이고, 거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지 않지만, 부적당한 배출로 인한 지속적으로 눈물이 나는 눈은 귀찮고 당혹스러울 수 있으며, 손상된 시각, 피부의 찰상 및 누선의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NLDO를 치료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협착의 외부 제거 수술과 관련된다. 이는 수술후 고통과 같은 상당한 부작용을 가진 긴 공정이다. 최근에, 신규한 방법이 개발되어 누선을 시각화하게 되었고 그 자체 시스템의 작동 채널을 통한 작은 기구의 응용으로 협착을 치료하게 되었다.
레이저와 같은 장치는 특히 현대 이비인후과, 안과 및 일반 의학 치료에서 흥미롭고 중요한 요소로서, 에너지를 구동력으로 공급하여 레이저 에너지를 이끌게 하고, 귀, 코 및 목 영역의 해부적 구조내에서 이동하게 하는 부속물을 필요로 한다.
NLDO의 치료는 누낭비강연결술(DCR)로 알려진 수술 중재법을 포함하고, 이는 눈물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비눈물선 및 비강사이에 새로운 채널을 통상 형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러 구축된 방법은 DCR을 수행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유형의 수술 중재법은 외부 DCR 또는 내시경 DCR로 구분된다. 외부 DCR은 코의 측면상 절개를 수반하고 코로 비낭을 통합하도록 충분한 양의 뼈를 제거하여 비강으로 눈물이 배출된다(미국 특허 제 5,345,948호 참조). 외부 DCR은 피부 절개를 필요하고 내시경 DCR보다 긴 회복 시간이 필요하며, 논란이 있는 성공률을 가진다. 내시경 DCR은, 눈물 낭으로부터 비강으로의 통로를 절개하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으로, 짧은 회복 시간을 가지고, 외상을 남기지 않으며, 국소 마취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제 1선 치료법으로 고려된다.
내시경 DCR은 내세관 및 내비 접근법 모두를 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많은 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필요로 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로드릴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레이저가 이용된다.
미국 특허 5,345,948호는 비디오 내시경 및 누낭으로의 섬유 시각 다발에 연결된 누경(translachrymal) 레이저 누낭비강연결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조명은 섬유 시각 다발로 제공되고 레이저는 비디오 내시경의 도움으로 알맞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2개의 구분된 기구가 이 방법을 불필요하게 복합적 이게 하여 복잡하기 쉬운 2개 구분된 지점, 즉 2개의 세관에서 2개의 눈물점에서 누낭으로 삽입되는 것이 필요하다. 튜브 또는 스텐트는 제 3 방향의 삽입이 필요하지만, 공정 이후에 개방되어 있도록 누관에 놓일 수 있다.
눈물점으로부터 비폐쇄된 누출 통로 및 비강으로 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텐트의 유도를 촉진시키는 많은 기구 및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새롭게 생성된 구멍이 폐색되지 않도록 DCR이후에 임시 기구로서 사용된다. 이 스텐트는 종종 눈물 시스템을 통하여 튜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상대적으로 강성 프로브를 공급하고 콧구멍을 통하여 이들을 끌어당겨서 유연성 튜브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이와 같은 방법은 시각화 또는 수술 기구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이러한 기구들로부터 분리된 스텐트를 유도하는 기구가 필요하고 기구는 스텐트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재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눈물조직에 추가 외상을 부여한다.
미국 특허 제 5,062,831호는 NLDO의 수술적 수정에 사용되는 도관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도관은 누낭 및 비강사이에서 생성된 구멍을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누낭위로 미끄러지거나 코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확장된 단부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전에 삽입된 슬랩스틱 튜브로 사용되도록 제한되고 도관을 위치시키시 위하여 누낭 및 비강 모두에서 절개가 필요하다.
미국 특허 출원 제 2002/0107579 A1은 스텐트를 비눈물통로(nasolachrymal)로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비눈물관 튜브을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튜브는 한 세트의 프로브를 가지고 상위 세관 및 하위 세관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튜브는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개방된 비눈물 통로를 유지하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통로에 묶인다. 본 발명에서, 프로브 또는 브로브들은 유연성 스텐트 연결을 위한 한 단부에 구멍을 함유하는 중공 튜브로 제조된다. 또 다른 구멍은 시섬유 또는 다른 조명 기구가 프로브에 삽입되도록 스텐트 구멍으로부터 특정 거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스텐트 유도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DCR 과정 후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DCR 및 삽입 치료의 결과로서 비눈물 조직에 삽입물의 수 및 관련 외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더욱이, 제공된 조명은 비강을 통하여 직접적인 시각화를 향상시키는데 제한되지 않고, 그래서 내부 시각화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고 DCR 과정 중에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 특허 출원 제 2002/0151960은 새로 형성된 배출 채널을 유지하는 단일세관 스텐트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스텐트는 바람직하게는 눈물점에 맞게 모양을 가지는 튜브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 플러그에 연결된 실리콘 튜브, 및 튜브를 새롭게 형성된 배출 채널에 배향시키고 전진시키도록 튜브로 삽입된 소침으로 구성된다. 소침은 관형성 후에 제거되고 플러그가 정위된다. 상기 특허와 같이 이 기구는 여전히 DCR 치료이후에 비눈물 시스템으로 새롭게 삽입되어야 하고 추가 외상을 조직에 입히게 된다.
치료 영역을 시각화하고, 누출관을 형성하며 삽관 튜브 또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최소 절제성이고 최소 직접적인 삽입을 필요로 하는 레이저 이용 DCR 기구 및 방법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비눈물 배출 막힘의 외상 최소 치료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최소한의 외상 및 기구의 단지 한번의 외상적 삽입이 필요한 레이저 이용 누낭비강연결술용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기구의 반복적인 외상적 삽입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삽관 튜브 또는 스텐트의 접근을 제공하는 레이저 이용 DCR용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추가 기구 또는 준비를 변경할 필요없이 존재하는 임상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레이저 치료에 대한 DCR 삽입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적합성 수단으로 최신 귀, 코 및 목 요소로 연장될 수 있는 완전한 기능적인 환경 자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간략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삽입기 및 비눈물 배출 막힘(NLDO)의 치료에 대한 내시경 조합 레이저 이용 DCR에서 삽입기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삽입기는 반강성 중공 외부 튜브 및 비외상성 내부 심축(mandril)을 포함한다. 내부 심축은 삽입을 돕고 삽입중에 외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둥근 원위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응하는 방법에서는, 삽입기가 누낭 섹션에 삽입된다. 비외상성 내부 심축은 제거되고 하나 이상의 시섬유 또는 섬유 다발이 적합한 위치를 결정하는 조명 및 배출 채널을 절제시키기 위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장점은 방법의 모든 측면이 삽입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1개 삽입점이 단지 필요하며 비눈물선으로 외상을 감소시키고, 치료의 복잡함 및 합병증 또는 감염 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장점은 현 DCR 방법에 사용되는 많은 이전에 존재하는 삽관 튜브로 사용될 수 있어서, 현재 기구 및 방법이 쉽고 효율적인 비용으로 제 1선 과정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진다.
도면의 간략한 설명
도 1. 비눈물 눈물 배출 시스템의 도시.
도 2. DCR 삽입기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횡단면도.
도 3. DCR 및 스텐트 삽입에서 사용되는 삽입기의 도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조명 수단 및 제거 수단용 및 많은 표준 삽관 세트용 누낭에 동시 접근을 제공하는 누낭비강연결술(DCR) 레이저 치료용 비외상성 삽입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DCR 방법 및 삽입기, 방사선 공급원 및 시 섬유 또는 섬유 다발 및 삽관 세트를 포함하는 DCR 시스템을 포함한다.
레이저 DCR 방법에서 일반적인 문제는 치료이후에 구멍을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삽관 세트 또느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누낭 및 중간관 사이에 새롭게 생성된 구멍에 접근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는 어려움이다. 중간관은 비강으로 튀어나온 3개의 주요 뼈중 하나인 비갑개 아래에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수술, 즉 레이저 DCR 치료 및 삽관 세트 삽입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과도한 외상을 초래하지 않고 수행되도록, 시각화와 같은 다른 필요한 수술에서 허용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원의 공개에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는 하기에서 정의된다. 도 1은 하기에서 인용되는 비눈물 눈물 배출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을 도시한다. "눈물점"(101)은 눈물을 위한 배출 기능을 하는 눈거풀의 내부 구석에 위치한 작은 구멍이다. 개별적인 눈거풀상에 위치한 상부 또는 하부 눈물점이 있다. "세관"(103)은 누낭에 눈물점을 연결하는데 이용되고 눈물이 눈에서 누낭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누낭"(105)은 눈물을 모으는 넓은 영역이다. 상단부는 원형이고 하단부는 비눈물선으로 연장된다. "비눈물선"(107)은 누낭의 하위부에서 비강(109)로 연장된 골막관이다. 눈물은 누샘(111)에서 생성되고, 눈물점 및 세관을 통하여 누낭으로 배출되고 누선을 통하여 계속 진행되어 결국 코로 배출된다.
"근위 말단"은 핸드피스가 부착되고 다양한 기구가 삽입된 삽입기의 단부를 말한다. "원위 말단"은 전형적인 DCR 응용에서 눈물점에 삽입되고 비눈물선으로 전진된 삽입기의 단부를 말한다. 이러한 인용은 또한 삽입기의 튜브를 통하여 진전된 모든 성분 및 기구에 적용된다.
추가로 치료 영역의 확장은 비용을 합리적으로 유지하도록, 존재하는 삽관 세트에 적합한 것이 상당하게 중요한 문제이다.
레이저 치료를 위한 신규 DCR 삽입기에는 고유의 많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DCR 삽입기의 작은 크기(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 mm 미만임)는 비눈물관 내부에 시섬유 또는 섬유 다발의 비외상성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폐색에 도달한다. 다른 장점은 DCR 치료는 레이저 에너지를 사용하여 안정한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주변 조직을 파괴시키지 않고 구멍을 만들기 위해, 지정된 수준으로 출력밀도에 대한 임상 프로토콜의 측정에 따라 레이저 공급원이 비눈물관 내부로 레이저 에너지를 안전하게 전달한다. 더욱이, 삽입기 그 자체는 매우 섬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220 미크론) 시섬유를, 다른 조직을 구멍내거나 잘못된 경로로 이끌 가능성 없이 누낭 중의 원하는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레이저 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섬유가 치료 부위로 접근하는 동안 우발적인 조사가 일어나는 경우 누선 시스템을 보호하고 섬유 파손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
세번째 주요 장점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유지시키기 위한 삽관 세트는 비눈물관에 연속적인 외상을 피하고 새롭게 형성된 통로를 찾는 동안 장애의 위험을 피하면서, DCR 삽입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구멍으로 즉시 도입될 수 있다. 많은 삽관 세트가 알려져 있고 사용되며, 시신경이 제거된 이후에 외부관을 통하여 눈물점으로 새롭게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없는 눈물점을 통한 스텐트의 도입은 사용자가 스텐트를 도입하고 새롭게 형성된 길을 찾아야 하는데 이는 환자에게 부가적인 통증 및 외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삽입 튜브이 항상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가적인 외상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 및 다른 기구들이 부가적인 외상 없이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환자는 스텐트 도입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구에도 불구하고 단지 한번의 외상적 삽입 및 제거의 경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상적 용도에 따른 모든 필요 장치를 완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시술될 수 있는 작은 DCR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눈물관 삽관 세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접근성 (또는 동일한 치료동안 다양한 접근성)을 제공하면서, 레이저 섬유에 의해 치료 부위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유의 안전성 장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삽관 세트와 호환될 수 있는 삽입기로서, 상기 언급된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절개 없이 세관을 통해 누낭으로 삽입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 및 누낭을 통해 누관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중공관으로 구성된 삽입기를 개시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삽입 튜브는 강성 또는 반강성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또한 삽입기는 삽입기를 누낭으로 삽입하는 동안, 관 내부에 위치된 내부 심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공관 및 내부 심축 모두가 멸균할 수 있는 금속 물질로부터 구성된다. 내부 심축은 또한 삽입하는 동안 외상을 감소시켜 삽입기의 삽입을 도와주는 원형 모양의 말단을 포함한다. 삽입을 도와주는 것 뿐만 아니라, 내부 심축은 체액 또는 다른 물질들이 삽입 튜브의 내부로 도달하여 다음 기구가 삽입되는 동안 폐색 또는 다른 문제들을 잠재적으로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내부 심축은 삽입 튜브로서 동일한 물질로부터 구성된다. 삽입기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핸드피스로 연결된다.
삽입기가 누낭내 또는 비눈물선에 위치된 후에 많은 기구가 조직에 추가 외상 없이 튜브로 삽입될 수 있다. 시 섬유 또는 시섬유 다발이 절제성 레이저 방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삽입될 수 있다. 삽입기의 원위 단부가 적당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시경이 투조진단법에 의하여 영역을 시각화하도록 레이저 전달 섬유를 삽입하기 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영역을 시각화하는 수단 및 절제용 섬유는 추가로 공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단일 다발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이저를 이용하는 다른 장점은 짧은 치료 시간 및 조직을 조명하고 절개하는 레이저의 이중적 능력으로 인한 보다 단순해진 치료를 포함한다. 더욱이 일부 파장에서 레이저는 예를 들어 980nm에서 절제/절개할 수 있고 동시에 조직을 마비시킬 수 있다. 조직을 동시에 절제시키고 마비시키는 능력의 중요성은 이러한 능력이 출혈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치료 영역의 보다 나은 시각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파장에 대하여, 조명 및/또는 시각화 수단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과정을 인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기는 레이저 이용 폐색 감소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이크로드릴링 뿐만 아니라 전자수술 기구와 같은 기계적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가진 본 발명의 용도는 눈물 시스템 조직에서 외상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배출 구멍이 생성된 후에, 삽관 튜브 또는 스텐트가 패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관 튜브가 추가 외상성 기구 재삽입을 피하도록 삽입기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다시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외상을 감소시킨다. 삽입기의 외부 튜브가 삽관튜브를 위한 많은 기구 및 방법에 편한 충분한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DCR 삽입기는 상부 또는 하부 눈물점 및 상부 또는 하부 세관을 통하여 삽입되어 누낭 섹션 또는 누선에 도달한다. 삽입기의 비외상 내부가 이때 제거 되고 시 섬유가 삽입기 자체를 통하여 삽입되어 섬유 원위 단부가 삽입기 튜브의 원위 단부 너머로 전진한다. 레이저 조준 광선은 이땐 적당한 삽입기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시 섬유가 적당하게 위치된 경우, 레이저 에너지가 비눈물선 및 중간관 사이에 구멍을 생성하기 위해 적용되고, 이는 삽입기가 비강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레이저 섬유는 이때 제거되고 삽입기가 구멍을 통하여 전진하며, DCR 삽관 세트가 삽입기를 통하여 삽입되며 누경로내에서 정위된다.
도 2는 DCR 삽입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다. 외부 튜브(201)은 절개 없이 눈물점으로 통하여 비눈물선으로 삽입되도록 충분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 것으로서, 다양한 기구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원위 단부(203)에서 구멍 및 튜브의 근위 단부(201)에서 보다 큰 구멍(205)을 가진다. 핸드피스(207)는 또한 튜브의 근위 단부(201)에 위치된다. 심축(209)이 비눈물선에 핸드피스를 삽입하기 전에 튜브(201)에 삽입된다.
도 3은 DCR 과정의 기본 요소 및 본 발명의 기본으로서 삽입기의 적용을 도시한다. 삽입기(301)는 하부 눈물점(305)을 경유하여 하부 세관(303)으로 삽입되고 누낭(307)을 통하여 비눈물선(309)으로 추가로 전진된다. 비외상 내부 심축(311)은 삽입기(301)의 원위 단부가 위치된 후에 제거된다. 적합한 레이저 공급원에 연결된 시 섬유는 이때 섬유의 원위 단부가 삽입기(301)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때까지 삽입기에 삽입된다. 조사는 구멍(313)이 누골(315)을 통하여 형성될 때까지 활성화되고 비눈물선(309) 및 비강(317)을 연결시킨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을 이용하는 핸드피스는 0.9mm의 외경 및 적어도 0.7mm의 내경을 가진 금속 튜브로 구성된 삽입기를 특징으로 한다. 고형 원통 심축은 튜브 내에 위치되고 0.7mmm 미만의 직경을 가진다. 심축은 삽입기가 삽입된 후에 제거를 촉진하기 위하여 근위 단부에서 고리(pul ring)를 가진다.
980nm 다이오드 레이저는 200마이크론의 바람직한 직경을 가진 시 섬유와 커플링된다. 또한 810nm 다이오드 레이저는 섬유에 커플링되거나 810nm 및 980nm 레이저 모두가 동시에 섬유에 커플링될 수 있다. 삽입기를 삽입한 후에, 심축은 제거되고 200마이크론 섬유는 튜브에 삽입된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이때 조직을 절제시키고 배출 구멍을 생성하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배출 구멍이 완료된 후에, 삽입기가 구멍을 통하여 전진되고 섬유가 비외상적으로 회수된다. 섬유가 회수된 후에, 마크와 같은 삽입기를 사용하여, 필요하다면, 새로 형성된 구멍 단부의 내시경 비강내 확장이 수행될 수 있다. 삽관 세트가 이때 삽입기를 통하여 삽입되고, 삽입기 튜브가 회수된다. 스텐트의 다른 끝이 상부 세관을 통하여 코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부 눈물점에서 유도되고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새롭게 형성된 비눈물선에서 유도된다. 삽관 세트의 2개 끝이 정상적인 매듭으로 코에서 앵커링된다. 세트는 변경된 관이 패쇄되지 않도록 일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 내지 6달 동안 까지 남아있는다.
첨부된 도명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은 정확한 구체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본원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5)

  1. 절개가 필요없이 눈물 배출 장치에 삽입될 수 있는 중공 외부 튜브 및
    상기 외부 튜브에 삽입되는 비외상 내봉(inner rod)을 포함하는 눈물 배출 시스템에서 막힘을 외상 최소화하여 치료하는 기구로서,
    상기 내봉은 상기 외부 튜브가 상기 눈물 배출 시스템에 삽입된 후에 제거되고, 상기 막힘 치료용 수단은 상기 눈물 배출 시스템에 추가 외상을 초래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는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가 강성 또는 반강성인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 및 내봉이 멸균성 금속 재료로 제조된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내봉의 원위 단부가 기구를 삽입하는 동안에 외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원형을 가지는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막힘 치료용 수단이 방사선 치료 기구, 기계적 치료 기구 및 전자 외상 치료 기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가 1mm의 최대 외직경을 가지는 기구.
  7. 중공 외부 튜브 및 내봉을 포함하는 제 1항의 기구;
    방사선 공급원; 및
    방사선을 상기 방사선 공급원으로부터 배출 채널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눈물 배출 시스템의 위치로 전달하도록 상기 공급원에 연결된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눈물 배출 시스템에서의 막힘을 최소 외상으로 치료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달 수단이 상기 기구 삽입후에 외부 튜브에 비외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방사선 공급원이 레이저인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방사선 공급원이 810nm 및 980nm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파장에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전달 수단이 시 섬유 및 시 섬유 다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전달 수단이 배출 채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회수된 후에 중공관에 삽입될 수 있는 연성 스텐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2. a. 중공 외부 튜브에 비외상 내봉을 삽입시키고;
    b. 외부 튜브의 원위 단부가 누선에 미리결정된 위치에 근접되어 상기 외부 튜브를 상기 누선에 삽입시키며,
    b. 상기 내봉을 제거하며;
    c. 상기 절제성 수단의 원위 단부가 외부 튜브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때까지 절제성 레이저 방사를 방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삽입시키며;
    d. 상기 누선 및 비공 사이의 구멍을 생성하도록 절제성 레이저 방사를 방출하는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물 배출 시스템에서의 막힘을 최소 외상으로 치료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e. 외부 튜브의 원위 단부가 비강을 통해 보일 때까지 구멍을 통해서 외부 튜브의 원위 단부를 전진시키고,
    f. 외부 튜브를 통하여 삽관 튜브를 삽입하여 삽관 튜브가 구멍에 위치되며,
    g. 외부 튜브를 제거하여 삽관 튜브가 구멍을 지지하도록 남아있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를 누선에 삽입하는 단계가 상기 튜브를 하부 눈물점에 삽입시켜서 수반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절제성 레이저 방사를 방출하는 수단이 하나 이상의 레이저 방사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시 섬유인 방법.
KR1020057019272A 2003-04-10 2005-10-10 누낭비강연결술용 기구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16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11,592 US20040204704A1 (en) 2003-04-10 2003-04-10 Device and method for dacryocystorhinostomy
US10/411,592 2003-04-10
PCT/US2004/010973 WO2004091431A2 (en) 2003-04-10 2004-04-07 Device and method for dacryocystorhinostom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499A true KR20060015499A (ko) 2006-02-17
KR101216114B1 KR101216114B1 (ko) 2012-12-27

Family

ID=3313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6114B1 (ko) 2003-04-10 2005-10-10 누낭비강연결술용 기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40204704A1 (ko)
EP (1) EP1622532B1 (ko)
JP (1) JP4577696B2 (ko)
KR (1) KR101216114B1 (ko)
CN (1) CN100490757C (ko)
WO (1) WO20040914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7355A1 (de) * 2005-06-13 2006-12-14 Femto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s organischen Materials
JP5124721B2 (ja) * 2006-04-27 2013-01-23 医療法人 すぎもと眼科医院 涙道治療用具
GB2442205B (en) * 2006-09-29 2008-11-05 Andrew Robert Pearson Improved tear-duct drain
FR2941618B1 (fr) 2009-02-04 2011-03-11 Bruno Fayet Ensemble pour l'insertion d'une sonde dans le canal lacrymal par poussee du cote de l'oeil
CN102470234A (zh) * 2009-07-06 2012-05-23 株式会社钟化 医疗器械用插入辅助工具以及具备其的医疗器械
US9022967B2 (en) 2010-10-08 2015-05-05 Sinopsys Surgical, Inc. Implant device, tool, and methods relating to treatment of paranasal sinuses
US9572964B2 (en) * 2012-04-11 2017-02-21 Sinapsys Surgical, Inc. Implantation tools, tool assemblies, kits and methods
FR2992852B1 (fr) 2012-07-06 2015-08-07 France Chirurgie Instr Canule a fond biseaute
EP2903575B1 (en) 2013-01-25 2017-11-22 Sinopsys Surgical, Inc. Paranasal sinus access implant device and kit
CN105828755B (zh) 2013-10-16 2019-01-22 西诺普西斯外科股份有限公司 与鼻窦的流体操纵治疗相关的设备、工具、套件和方法
JP2017522122A (ja) 2014-07-24 2017-08-10 シノプシス サージ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inopsys Surgical,Inc. 副鼻腔アクセスインプラント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製品ならびに方法
CN104398328A (zh) * 2014-09-30 2015-03-11 浦易(上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可完全降解的载药的鼻泪管支架及其植入系统
CN106264777A (zh) * 2015-06-08 2017-01-04 三鼎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辅助排泪管
CN105963069A (zh) * 2016-04-25 2016-09-2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泪囊定位器
US11129972B2 (en) 2017-09-20 2021-09-28 Sinopsys Surgical, Inc. Paranasal sinus fluid access implantation tools, assemblies, kits and methods
WO2019064292A1 (en) * 2017-09-27 2019-04-04 Prof. Arie Nemet Sherutei Refuah TOOLS AND METHODS OF DACRYOCYSTORHINOSTOMY
EP3773298A1 (en) 2018-04-03 2021-02-17 Convergent Dental, Inc. Laser system for surgical applications
WO2020202156A1 (en) * 2019-04-03 2020-10-08 Tearflow Care Ltd. Tools and methods for dacryocystorhinostomy
CN114446131B (zh) * 2022-03-08 2022-09-16 四川大学华西医院 泪道冲洗模型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4968A (en) * 1935-12-23 1939-04-18 Alkio Viljo Verner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diseased obstruction of the lacrymal ducts
US4846172A (en) * 1987-05-26 1989-07-11 Berlin Michael S Laser-delivery eye-treatment method
US5062831A (en) * 1988-09-28 1991-11-05 Griffiths John D Catheter for use in the surgical correction of a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US5169386A (en) * 1989-09-11 1992-12-08 Bruce B. Becker Method and catheter for dilatation of the lacrimal system
US5021043A (en) * 1989-09-11 1991-06-04 C. R. Bard, Inc. Method and catheter for dilatation of the lacrimal system
JPH085681Y2 (ja) * 1990-04-24 1996-02-21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トラカール
CA2069052A1 (en) * 1991-05-21 1992-11-22 L. Venkata Raman Superelastic formable guidewire
US5345948A (en) * 1993-04-08 1994-09-13 Donnell Jr Francis E O Method of performing translactrimal laser dacryocystorhinostomy
JP3599772B2 (ja) * 1994-02-21 2004-12-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5954744A (en) * 1995-06-06 1999-09-21 Quanam Medical Corporation Intravascular stent
DE19542955C2 (de) * 1995-11-17 1999-02-18 Schwind Gmbh & Co Kg Herbert Endoskop
AUPO394496A0 (en) * 1996-11-29 1997-01-02 Lions Eye Institute Biological microfistula tube and im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DE19823755A1 (de) * 1998-05-27 1999-12-02 Thomas Neuhann Vorrichtung zur Aufweitung und Wiederherstellung des Tränenkanals am menschlichen Auge, durch den Tränenflüssigkeit vom Auge in den Nasenraum gelangt
DE19744856B4 (de) * 1997-10-10 2006-07-06 POLYDIAGNOST Entwicklungs-, Produktions-, Vertriebs- und Servicegesellschaft für medizinelektronische Diagnostik- und Therapiegeräte mbH Vorrichtung für die Mikrosondenchirurgie
US6083188A (en) * 1998-02-04 2000-07-04 Becker; Bruce B. Lacrimal silicone stent with very large diameter segment insertable transnasally
US6383179B1 (en) * 1999-08-11 2002-05-07 Ceramoptec Industries Inc. Diode laser scalpel
US6878165B2 (en) * 2000-03-14 2005-04-12 Toray Industries, Inc. Nasolacrimal duct tube used for lacrimal duct reformation operation, and nasolacrimal duct tube instrument
JP2001327525A (ja) * 2000-03-14 2001-11-27 Nakagawa Akio 涙道再形成手術に用いる鼻涙管チューブおよび鼻涙管チューブ器具
US6371122B1 (en) * 2000-06-20 2002-04-16 Robert M. Mandelkorn Gauge/dilator apparatus
JP2002113092A (ja) * 2000-08-04 2002-04-16 Japan Lifeline Co Ltd 医療用具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具
US6824540B1 (en) * 2000-11-06 2004-11-30 Surgiligh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using fiber-coupled-lasers
JP3845296B2 (ja) * 2000-11-29 2006-11-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汚れ除去具
US6605108B2 (en) * 2001-04-13 2003-08-12 Eagle Vision, Inc. Monocanalicular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1012A (zh) 2006-05-10
WO2004091431A2 (en) 2004-10-28
EP1622532A2 (en) 2006-02-08
EP1622532B1 (en) 2013-11-13
US20040204704A1 (en) 2004-10-14
WO2004091431A3 (en) 2005-06-02
JP2006522665A (ja) 2006-10-05
KR101216114B1 (ko) 2012-12-27
JP4577696B2 (ja) 2010-11-10
US20060122582A1 (en) 2006-06-08
EP1622532A4 (en) 2010-10-06
CN100490757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114B1 (ko) 누낭비강연결술용 기구 및 방법
US11712369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ocular implants into an anterior chamber of the eye
Metson et al. Endoscopic laser dacryocystorhinostomy
Woog et al. Holmium: YAG endonasal laser dacryocystorhinostomy
US9750520B2 (en) Surgical endoscopic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US8979789B2 (en) In vivo punctal anchoring method for lacrimal stents
US20140012276A1 (en) Lithotripsy eye treatment
JP2012196481A (ja) 房水排出の外科的強化のための装置
JP2014501542A (ja) 副鼻腔の治療に関する、インプラントデバイス、ツールおよび方法
US20110118551A1 (en) Collateral soft tissue protection surgical device
JP2021514278A (ja) 対象手術部位の組織を剪断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50148948A1 (en) Sutureless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GB2551102A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guided insertion of intraocular devices for control of Intraocular pressure and other intraocular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RU2383320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ттока слезной жидкости путем операции лакориностомии с постоянной интубацией
CN202314625U (zh) 一种人体咽鼓管冲洗器
METSON 24 DACRYOCYSTORHINOSTOMY
RU240228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эпифоры
JP2572340B2 (ja) 涙道内挿管器具
Dolman Techniques in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Kolenda Endoscopic Equipment: Nuances and Technical Points
Komínek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with the Insertion of a Jones Tube
JP2002095623A (ja) 観察専用内視鏡フード
Codère Endoscopic Lacrimal Surgery
Meyer-Rüsenberg et al. Anatomic and Pathophysiological Basics
Ungerechts Lacrimal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