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9793A -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793A
KR20060009793A KR1020040062973A KR20040062973A KR20060009793A KR 20060009793 A KR20060009793 A KR 20060009793A KR 1020040062973 A KR1020040062973 A KR 1020040062973A KR 20040062973 A KR20040062973 A KR 20040062973A KR 20060009793 A KR20060009793 A KR 2006000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base station
signal
transmission format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348B1 (ko
Inventor
곽용준
허윤형
이주호
권환준
한진규
조준영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521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JP4242858B2/ja
Priority to US11/189,008 priority patent/US7561550B2/en
Priority to EP20050016235 priority patent/EP1622413B1/en
Publication of KR2006000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효율적인 역방향 트래픽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수반된 시그널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활동 조합에는 최적 기지국과, 비최적 기지국들이 포함된다. 비최적 기지국들은 시스템 성능을 높이면서 순방향 채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케쥴링을 위해, 공통 채널을 이용한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순방향 채널 자원을 절약하면서 적절한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은 상기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결합하여 해석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더불어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WCDMA, UPLINK ENHANCEMENTS, SOFT HANDOVER, E-DCH, NODE B CONTROL SCHEDULING, COMMON SCHEDULING ASSIGNMENT, DESIGNATED SCHEDULING ASSIGNMENT

Description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OF MOBILE STATION IN SOFT HANDOFF AREA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TRAN)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단말과 무선망 제어기(RNC)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계층도.
도 3은 전형적인 무선링크에서 E-DCH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시간-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E-DCH 전송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최적 기지국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결정하 는 일 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비동기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한다.)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향상 전용 채널을 수신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스케쥴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이동 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UMTS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같은 패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교환 방식의 접속이란 가상접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어떠한 종단에라도 항상 접속이 가능하다.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칭함)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UTRAN(12)은 무선망 제어기들(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6a,16b)과 노드 B들(Node B's)(18a,18b,18c,18d)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20)을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10)로 연결한다. 노드 B들(18a,18b,18c,18d)의 하위에는 복수의 셀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RNC(16a,16b)는 해당하는 하위의 노드 B들(18a,18b,18c,18d)을 제어하고, 각각의 노드 B(18a,18b,18c,18d)는 해당하는 하위의 셀들을 제어한다. 하나의 RNC와 상기 RNC에 의해서 제어를 받는 노드 B들과 셀들을 합쳐서 무선망 서브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 이하 RNS라 칭함)(14a,14b)이라고 한다.
RNC(16a,16b)는 자신이 제어하는 노드 B들(18a 내지 18d)의 무선자원을 할당하거나 관리하며. 노드 B들(18a 내지 18d)은 실제 무선자원을 제공한다. 무선 자원은 셀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 B들(18a 내지 18d)이 제공하는 무선자원은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의 무선 자원들을 의미한다. 단말(20)은 특정 노드 B의 특정 셀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무선 채널을 구성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의 입장에서는 노드 B들(18a 내지 18d)과 해당하는 셀들 간의 구별은 무의미하며, 오직 셀별로 구성되는 물리계층만을 인식하므로, 이하 노드 B들(8a 내지 18d)과 셀들은 동일한 의미로서 언급될 것이다.
단말(20)과 RNC들(16a,16b)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라 불리며, 도 2에 그 자세한 계층적 구조를 도시하였다. Uu 인터페이스는 단말과 RNC 사이에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평면 신호(3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32), RLC(Radio Link Control) 계층(40),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42)과 물리(Physical: 이하 PHY라 칭함) 계층(44)을 거쳐 처리되고, 사용자 평면 정보(32)는 PDCP(Packet Data Control Protocol) 계층(36),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38), RLC 계층(40), MAC 계층(42), 물리계층(44)을 거쳐 처리된다. 여기에 도시한 계층들 중 물리계층(44)은 각 셀들에 위치하게 되며 MAC 계층(42)부터 RRC 계층(34)까지는 RNC에 위치한다.
물리계층(44)은 무선 전송(Radio Transfer)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제1 계층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44)과 MAC 계층(42) 사이는 전송 채널들(Transport Channels)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 채널들은 특정 데이터들이 물리계층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MAC 계층(42)과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MAC 계층(42)은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 채널을 통해 물리계층에 전달하고, 물리계층(44)이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논리 채널이나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들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부가정보를 해석해서 적절한 동작을 취하고,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MAC 계층 (42)에서 사용자 평면(30)에 관련된 부분은 MAC-d라 칭해지며, 제어 평면(32)에 관련된 부분은 MAC-c라 칭해진다.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의 설정 및 해제를 담당한다. RLC 계층(40)은 AM(Acknowledged Mode), UM(Unacknowledged Mode), TM (Transparent Mode)라는 3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마다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RLC 계층(40)은 상위계층으로부터 내려온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이하 SDU라 칭함)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조립하는 기능 및 오류 정정 기능 등을 담당한다.
PDCP 계층(36)은 사용자 평면(32)에서 RLC 계층(40)의 상위에 위치하며, IP 패킷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의 헤더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능과, 이동성으로 특정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RNC가 변경되는 상황 하에서 데이터의 무손실 전달 기능 등을 담당한다.
물리계층(44)과 상위 계층들간을 연결하는 전송채널의 특성은 길쌈채널 부호화(convolutional channel en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서비스 고유 전송률 정합(service-specific rate matching)과 같은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규정하고 있는 전송형식(Transport Format: TF)에 의해 정해진다.
특히 UMT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의 역방향(Uplink: UL)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Enc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DCH라 칭함)을 사용한다. E-DCH는 보다 안정된 고속의 데이터 전 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및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Node B controlled scheduling) 등의 기술 등을 지원한다.
도 3은 무선 역방향 링크에서 E-DCH를 통한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E-DCH를 지원하는 노드 B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01, 102, 103, 104는 E-DCH를 수신하는 단말들이 된다. 노드 B(100)는 E-DCH를 사용하는 단말들(101 내지 104)의 채널 상황을 파악하여 각 단말들(101 내지 104)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한다. 상기 스케쥴링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노드 B의 측정 잡음 증가(Noise Rise) 값이 목표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노드 B(100)에서 멀리 있는 단말(104)에게는 낮은 데이터 전송율을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단말(101)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과정(202)에서 노드 B와 단말은 E-DCH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 과정(202)은 전용 전송 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E-DCH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과정(204)와 같이 단말은 노드 B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스케쥴링 정보로는 역방향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중인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한 노드 B는 과정(206)에서 각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의 스케쥴링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과정(208)에서 노드 B는 단말에게 역방향 패킷 전송을 허용할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에게 스케쥴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는 허용된 최대 데이터 전송율과 허용 타이밍 등이 포함된다.
단말은 과정(210)에서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할 E-DCH의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 TF)을 결정하고, 과정(212)에서 E-DCH를 통해 역방향(UL)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TF 정보를 노드 B로 전송한다. 과정(216)에서 노드 B는 과정(2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TF 정보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한다. 과정(218)에서 노드 B는, 상기 판단 결과 어느 하나에라도 오류가 나타난 경우 부정응답(Non-Acknowledge: NACK)를, 모두 오류가 없을 경우는 긍정응답(Acknowledge: ACK)를 ACK/NACK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어 단말은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E-DCH를 통해 보내지만, N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같은 내용의 패킷 데이터를 E-DCH를 통해 다시 재전송한다.
E-DCH는 전송채널의 패킷전송을 위한 향상된 채널이므로 전용 채널의 기본적인 특성들을 가지는데, 상기 특성들 하나는 소프트 핸드오버의 지원이다. 즉,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단말은 활동 집합(Active set)에 속한 기지국 모두로부터 모두 순방향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은 E-DCH를 전송하기 위해서 활동 집합(Active Set)에 속한 기지국들 모두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결국 단말은 활동 집합에 속한 기지국들로부터 각각 다른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게 되기 때문에 E-DCH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E-DCH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단말을 스케쥴링 함에 있어서 활동 집합에 속한 기지국들이 모두 단말별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순방향 채널의 코드 자원 또는 송신 전력 자원 측면에서의 오버헤드 문제와, 상기 다수개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E-DCH의 전송을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향상된 역방향 전송 채널(E-DCH)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 있어서 활동 집합에 포함되면서 최적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들의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 있어서 활동 집합에 포함된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역방향 패킷 전송의 전송율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중인 사용자 단말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하나의 최적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과 통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합하여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따라 역방향 패킷의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 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스케쥴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순방향 시그널링 정보를 감소시키면서, E-DCH 전송형식을 명확하게 결정하고, 역방향 자원 관리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스케쥴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 스케쥴링 기술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활동 조합에 포함되지만 최적 스케쥴링 기지국(이하 최적 기지국이라 칭함)이 아닌 다른 기지국(이하 비최적 기지국이라 칭함)에 의한 스케쥴링 기술을 제시한다. 아울러,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상기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와, 비최적 스케쥴링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스케쥴링 방법으로 전송율 스케쥴링(Rate Scheduling)과 시간-전송율 스케쥴링(Time and Rate Scheduling)을 설명한다. 전송율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각 단말의 전송율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며,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단말의 역방향 패킷 전송의 시간과 전송율을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하 상기 두 가지의 스케쥴링 방법들을 설명한다.
도 5는 전송율 스케쥴링을 위한 역방향과 순방향의 제어 정보의 전달과, 역 방향 패킷의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502)은 전송율 요청 정보(505, Rate Request)와 역방향 패킷인 E-DCH 데이터(506, Enhanced decidated channel)를 전송하고 있으며, 기지국(501)은 스케쥴링을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율(allowed max rate)을 나타내는 전송율 허용 정보(503, Rate Grant: RG)를 전송하고 있다. 상기 전송율 허용 지시자는 올림('UP'), 내림('DOWN'), 유지('KEEP')의 세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502)은 역방향으로 보내야 할 데이터가 버퍼에 어느 정도 있는지를 판단하고, 또한 단말(502)이 송신할 수 있는 전력 여분치를 확인하여 원하는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요청 정보(505)를 통하여 기지국(501)에게 전송율의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한다. 상기 전송율 요청 정보(505)를 수신한 기지국(501)은 상기 단말(502)과 상기 기지국(501)이 관장하고 있는 다른 여타 단말들의 전송율 요청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단말(502)의 최대 전송율을 증가(UP)시킬 것인지, 감소(DOWN)시킬 것인지, 또는 유지(KEEP)시켜줄 것인지를 정하여 전송율 허용 정보(503)를 이용하여 알려주게 된다.
상기 도 5에서 좀더 구체적인 예를 보면, 507 구간에서 단말(502)은 전송율 요청 정보(508)를 이용하여 전송율 증가를 요청한다. 상기 전송율 요청 정보(508)를 수신한 기지국(501)은 509 구간에서 스케쥴링을 수행한 후 전송율 허용 정보(510)를 이용하여 단말(502)에게 전송율 증가를 지시한다. 이에 단말(501)은 기존 구간(511)에서 사용하던 전송율 10에 비해 한 단계 증가된 전송율 11로 다음 구간(512)에서 역방향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전송율 스케쥴링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송율들에 관한 정보를 미리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송율들에 관한 정보는, 일 예로 WCDMA 방식에서 사용되는 전송 블록 조합(Transport Block combination: 이하 "TBS"라 칭한다.)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6은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을 위한 역방향과 순방향의 제어 정보의 전달과, 역방향 패킷의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603)은 데이터 버퍼의 데이터 양과 송신 전력 등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정보(604)를 기지국(601)에 주기적으로 또는 사건 유발(event-triggered) 방식으로 전송한다. 기지국(601)은 상기 단말 상태 정보(604)를 참조하여 스케쥴링을 통해 다음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율을 결정하고, 스케쥴링 할당 정보(Scheduling assignment: SA)(602)를 이용하여 단말(603)에게 통보해 준다. 이에 단말(603)은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602)를 수신하여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602)가 지칭하는 최대 전송율 이내에서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 E-DCH 데이터(605)를 역방향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 단말(603)이 611 구간에서 단말 상태 정보(621)를 기지국(601)으로 전송하게 되면 기지국(601)은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603)에게 다음 구간동안 E-DCH 전송을 허용할 것인지를 정하고, 허용할 경우는 상기 단말(603)에게 허용할 전송율을 정하게 된다. 이에 기지국(601)은 631 구간에서 스케쥴링 할당 정보(64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603)에게 할당 시간 정보와 할당 전송율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641)를 수신한 단말(603)은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 보(641)에 근거한 시간 구간(651) 동안 정해진 전송율에 따라 E-DCH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641)가 상기 시간 구간(651)동안 전송율 10을 지시하고 있다. 반면 구간 630에서 기지국(601)은 상기 단말(603)에게 시간 구간을 할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말(603)은 시간 구간(650)에서 최저 전송율(minimum set)인 rate 1을 이용하여 E-DCH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론 상기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과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송율 허용 지시자를 이용한 전송율 스케쥴링을 사용하고, 데이터의 발생이나 소진, 채널 상황의 급박한 변화와 같은 전송율의 급격한 변화가 필요한 경우는 전송율 할당 정보를 이용하는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7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단말들(703, 706, 710)은 E-DCH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710)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관련된 기지국들(701,702)은 상기 단말(710)의 활동 집합에 포함된다. 단말들(703,706)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속해 있지 않으며, 각각의 기지국들(701,702)하고만 통신한다. 단말(703)은 E-DCH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지국(701)으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704)를 수신하여 E-DCH 데이터(705)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단말(706)은 E-DCH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지국(702)으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707)를 수신하여 E-DCH 데이터(708)를 전송한다.
하지만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속한 단말(710)은 활동 조합에 기지국들(701,702) 모두를 가지게 되어, 상기 기지국들(701, 702)로부터 스케쥴링을 받게 된다. 활동 조합에 속하는 상기 기지국들(701,702)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단말(710)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활동 조합에 속한 기지국들(701,702)은 상기 단말(71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스케쥴링 권한을 가지고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710)에 대해 최대의 스케쥴링 권한을 가지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710)의 최적 기지국이 된다.
단말(710)은 활동 조합에 기지국들(701,702)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활동 조합에 속한 기지국들(701,702) 중에서 하나의 최적 기지국이 정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 E-DCH를 역방향으로 전송함에 있어서 수신 노이즈 측면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기지국이 최적 기지국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과 가장 근접한 기지국, 역방향 채널 상황, 또는 순방향 채널 상황이 좋은 기지국이나 역방향 자원에 여유가 있는 하나의 기지국이 최적 기지국으로 규정된다.
도 7에서 기지국(701)이 상기 단말(710)의 최적 기지국이며, 기지국(702)은 비최적 기지국이다. 상기 단말(710)은 최적 기지국(701)과 비최적 기지국(702)에서 전송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며, 최적 기지국(701)과 비최적 기지국(702) 역시 단말(710)이 전송하는 신호를 모두 수신한다.
최적 기지국(701)과 비최적 기지국(702) 모두가 자신을 활동 조합에 포함시키는 모든 단말들에게 각각 전용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Dedicated scheduling)를 보내주게 되는 경우, 순방향 시그널링으로 인해 송신 전력이나 코드 자원 등에 있 어서 소모가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기지국들(701, 702)은 송신 전력이 부족해지거나, 사용 가능한 채널 코드가 부족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게 될 수 있다. 특히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속한 단말은 활동 조합에 포함된 두 개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게 되며,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그 특성상 매우 큰 순방향 신호 세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송신 전력이나 코드 자원의 소모에 관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스케쥴링 할당 방법을 상기 언급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최적 기지국(701)은 상기 단말(710)을 스케쥴링 하는데 있어서 비최적 기지국(702)에 비해 더 높은 권한을 갖는다. 즉, 최적 기지국(701)은 좀더 세밀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단말(710)에 대한 스케쥴링이 가능하고, 비최적 기지국(702)은 최적 기지국(701)에 비하여 단말(710)에 대한 대략적인 스케쥴링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적 기지국(701)은 상기 단말(710)을 스케쥴링 하는데 있어서 전용으로 스케쥴링 할당(Dedicated scheduling)을 수행하고, 비최적 기지국(702)은 상기 단말(710)에 대해 다른 단말들과 공통으로 스케쥴링 할당(Common scheduling)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은 순방향 자원 소모를 감소시키고, 기지국의 송신 전력 문제나 코드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최적 기지국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들(804,805)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다. 단 말(804)은 기지국들(801,802,803)을 포함하는 활동 조합을 관리하며, 이들 중 기지국(801)이 상기 단말(804)의 최적 기지국이다. 단말(805)은 기지국들(802,803)을 포함하는 활동 조합을 관리하며, 이들 중 기지국(803)이 상기 단말(805)의 최적 기지국이다. E-DCH의 스케쥴링에 있어서 최적 기지국들(801,803)은 각각 전용 신호를 이용하여 각 단말들을 스케쥴링하고, 비최적 기지국들은 단말들을 한꺼번에 공통 신호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한다. 이때, 전송율 스케쥴링 또는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이 사용되거나 두 스케쥴링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즉, 단말(804)의 최적 기지국(801)은 단말(804)에게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806)를 전송하고, 단말(805)의 최적 기지국(803) 역시 단말(805)에게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807)를 전송한다.
반면, 기지국(802)은 단말(804)과 단말(805) 모두에게 비최적 기지국이므로, 하나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808)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들(804,805)을 공통으로 스케쥴링 한다. 즉 기지국(802)은 상기 기지국(802)을 활동 조합에 포함시키면서 비최적 기지국으로 설정한 단말들(804,805)을 위하여 공통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808)를 순방향으로 전송한다. 상기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808)는 상기 단말들(804,805) 모두에 대해 역방향 링크의 최대 전송율을 지시한다. 따라서 단말들(804,805)은 상기 기지국(802)으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808)를 수신하여 E-DCH의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단말(804)은 기지국(803)을 비최적 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기지국(803)으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809)를 수신한다. 상기 기지 국(803)으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809)는 상기 단말(804) 외에, 기지국(803)을 활동 조합에 포함하면서 비최적 기지국으로 설정한 다른 단말들과 함께 공통으로 수신해야 하는 정보이다. 상기 한 개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들은 상기 한 개 이상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단말이 전송할 수 있는 E-DCH의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스케쥴링 할당을 받고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스케쥴링 할당을 받으며, 단말은 두 개 이상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결합하여 E-DCH의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단말이 비최적 기지국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두 개 이상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비최적 기지국은 두개의 레벨을 이용하여 공통 스케쥴링 할당을 수행한다. 최적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각각 독립된 전용 스케쥴링 할당 방법을 사용하고, 비최적 기지국은 여러 단말들에게 하나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을 사용한다. 즉, 최적 기지국은 전용 스케쥴링 할당을 위해 전송율 스케쥴링이나 시간-전송율 스케쥴링, 또는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며, 다른 경우 기타 가능한 다른 스케쥴링 방법을 사용한다. 반면 비최적 기지국은 공통 스케쥴링 할당을 위해 전송율 스케쥴링에 따른 1비트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Scheduling Grant) 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로서 1비트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이용한다면, 소모되는 기지국 송신 전력이나 채널 코드 자원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1비트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로 표현되는 두 개의 레벨은 내림 신호("DOWN")와 무시 신호("Don't Care")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1비트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는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내림 신호를 의미하고,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무시 신호를 의미한다. 다른 경우 상기 실수값들은 위의 경우와 반대의 의미를 가진다.
다른 예로서 내림 신호의 발생 빈도와 무시 신호의 발생 빈도를 고려하여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실수 값들을 사상한다. 즉, 발생 빈도가 작을 것으로 예측되는 신호를 물리 채널 상에서 비전송(DTX)의 방법을 취하는 실수값 0으로 사상하게 되면, 상기 신호를 전송할 경우 물리 채널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하게 됨으로 송신 전력과 잡음의 감소 측면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시 신호가 내림 신호에 비해 평균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면, 무시 신호를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0으로 사상하여 비전송의 방법으로 전송하고, 내림 신호를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1 (또는 -1)로 사상하여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수신기에서는 0이 아닌 문턱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신호 중 하나를 결정하게 된다.
비최적 기지국이 수행하는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은 하기와 같다.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포함된 단말들의 수신 세기들을 측정하여 역방향 자원을 관리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을 비최적 기지국으 로 설정한 단말들의 수신 세기가 매우 커서 상기 기지국을 최적 기지국으로 가지는 단말들, 또는 상기 기지국만을 활동 조합에 포함하는 단말들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모든 단말들, 또는 자신을 비최적 기지국으로 설정한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로 설정한다. 반대로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기지국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기지국의 역방향 자원에 여유가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무시 신호로 설정한다.
본 제1 실시예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하기에서 도 9를 이용하여 기술한다.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한 개의 최적 기지국과 한 개 이상의 비최적 기지국을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는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율 허용(Rate Grant: RG) 신호가 되며, 시간-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는 스케쥴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 신호가 되고, 상기 두 방법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전송율 허용 신호와 스케쥴링 할당 신호의 조합이 된다. 또한 상기 단말은 n개의(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을 수신한다. 여기서 스케쥴링 허용 값이라 함은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의 실수 값을 의미한다. 단말은 소정의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를 통해 상기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905)을 얻는다. 상기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으로부터 찾아진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905)은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와 함께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에 입력되어 상기 단말이 E-DCH의 형식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최종적인 스케쥴링 할당 값을 결정하고 단말은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가 결정한 상기 스케쥴링 할당 값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에 사용될 E-DCH 형식(907)을 결정한다.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 역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도 9의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단말의 비최적 기지국들의 수가 2보다 큰 경우에 사용되며 하기와 같은 동작들이 가능하다.
첫 번째 예로서,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단말이 수신한 스케쥴링 허용 값들 중에서 하나라도 내림 신호를 지시한다면, 비최적 기지국들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내림 신호로 결정한다. 즉, 단말은 전체 스케쥴링 허용 값들이 모두 무시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에만, 비최적 기지국들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 신호로 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내림 신호로 정한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은 가중치 합을 이용하여 비최적 기지국들의 스케쥴링 허용 값들을 결합한다. 가중치 합이란, 비최적 기지국 별로 설정된 가중치 값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10에서 상기 스케쥴링 허용 값들의 가중 합 결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에게 설정된 n개의 비최적 기지국들로부터 n개의 스 케쥴링 허용 값들(1001, 1002, 1003)이 수신되면, 상기 스케쥴링 허용 값들(1001 내지 1003)은 각각 정해진 가중치 값들(1005, 1007, 1009)과 곱셈기들(1006, 1008, 1010)에 의해 곱해진 후, 합산기(1011)에 의해 합산된다. 상기에서 비최적 기지국별로 정해진 가중치 값은 셀 형태에 따라 RNC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설정하여 단말에게 알려주거나, 단말이 기지국간 채널 상황에 따라 내부적으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비최적 기지국에서 수신된 스케쥴링 허용 값(1001)은 곱셈기(1006)에서 첫 번째 비최적 기지국을 위해 설정된 가중치값(1005)과 곱해져서 합산기(1011)로 입력되고, 두 번째 비최적 기지국에서 수신된 스케쥴링 허용 값(1002)은 곱셈기(1008)에서 두 번째 비최적 기지국을 위해 설정된 가중치값(1007)과 곱해져서 합산기(1011)로 입력되며, 이런 방식으로 모든 비최적 기지국에서 수신된 스케쥴링 허용 값들(1001 내지 1003)이 가중치들(1005 내지 1009)과 각각 곱해져서 합산기(1011)로 입력된다.
합산기(1011)는 상기 가중치들(1005 내지 1009)이 곱해진 스케쥴링 허용 값들을 더해서 하나의 가중합 값을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가중합 값에 따라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1012)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합 값을 미리 정해진 문턱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1012)을 결정한다. 즉,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내림 신호를 의미하고,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무시 신호를 의미한다면, 결국 상기 문턱치는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가중합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은 내림 신호로 결 정되고, 상기 가중합 값이 0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은 무시 신호로 결정된다. 또한, 내림 신호가 실수값 0이고, 무시신호가 실수값 +1(또는 -1)이라면, 상기 문턱치는 '0.5'(또는 '-0.5')가 될 것이다.
도 9의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는 상기에서 결정된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과 단말이 수신한 최적 기지국의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이 송신할 E-DCH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스케쥴링 할당 값을 출력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Don't care)'를 의미하면 단말의 E-DCH 전송 형식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상기 단말의 비최적 기지국이 역방향 자원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최적 기지국이 전송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따라 E-DCH의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내림(DOWN)'을 의미하면 단말의 E-DCH 전송이 비최적 기지국의 역방향 자원 이용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내림(DOWN)'은, E-DCH 전송에 있어서 전송율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율을 한 단계 내리라는 명령을 의미하고, 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 E-DCH의 전송을 제한하라는 명령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모든 단말이 상기 '내림' 신호에 따라 E-DCH의 전송율을 한 단계 내려서 E-DCH의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거나 전송 자체에 제한을 가한다면, 단말들의 개별적인 상황이 고려가 되지 않으므로 시스템 성능 측면이나 공평성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타계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확률적인 '내림' 결정 방법이 사용된다. 단말은 확률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따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무시한다. 상기 '내림'으로 결정된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전송율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의 전송율에 따라 상기 '내림' 결정을 받아들일지 그렇지 않을지를 판단한다. 단말은 일정 전송율 문턱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전송하는 E-DCH의 전송율이 상기 문턱치보다 크게 된다면, 비최적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E-DCH 전송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따른다. 반면, 현재 전송하는 E-DCH의 전송율이 상기 문턱치보다 작은 경우, 비최적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E-DCH 전송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따르지 않고 현재 전송율을 그대로 유지한다거나,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른다.
세 번째 방법으로 단말의 E-DCH에 대한 서비스 등급에 따라 상기 '내림' 결정을 받아들일지 그렇지 않을지를 판단한다. E-DCH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초기에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는데, 상기 등급은 단말의 E-DCH 서비스 품질을 나타낸다. 상기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단말 사용자의 과금 또는 채널 상황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위 등급의 단말은 '내림' 신호의 수신과 상관 없이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사용하며, 하위 등급의 단말은 '내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E-DCH 전송율을 한단계 낮추어 준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등급에 따라 다른 확률값을 가지고, 상기 확률값을 이용한 확률적인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따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무시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상기 각 단말의 등급 정보는 기지국에게 전달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단말기 설정 과정에서 네트워크 또는 단말이 직접 기지국에게 전해줄 수 있다.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등급을 알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 중에서 어느 정도가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인지를 예측하여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네 번째 방법으로 E-DCH를 서비스 받는 단말은 RNC로부터 상기 비최적 기지국의 내림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을 따로 시그널링 받는다. 즉 RNC는 각 단말들에게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비최적 기지국에서 오는 '내림'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을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알려주고, 단말은 상기 RNC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E-DCH의 전송율을 결정한다.
일 예로, RNC는 단말의 상태에 따라 결정 방법을 1과 0으로 알려준다. 1을 시그널링 받은 단말은 '내림' 신호의 수신과 상관 없이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사용하고, 반면, '0'을 시그널링 받은 단말은 '내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E-DCH 전송율을 한단계 낮추어 준다. 다른 예로, RNC가 각 단말에게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의 확률 테스트에 사용되는 기준값을 시그널링 해준다. 이에 단말은 비최적 기지국이 '내림' 신호를 전송했을 경우, 상기 확률값을 이용한 확률적인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따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 결정을 무시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RNC는 상기 단말에게 전송해주는 시그널링 정보를 기지국에게도 전해 줌으로써 기지국의 스케쥴링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들이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내림' 신호를 받았을 경우의 해석 방법을 알고,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 중에서 어느 정도가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인지에 대하여 예측하여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는 상기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 이외에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들과 최적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상기 조합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값을 출력한다. 결국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의 출력은 단말이 송신해야 할 E-DCH 의 형식을 결정하는 최종적인 스케쥴링 정보가 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E-DCH의 형식을 결정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비최적 기지국이 세 개의 레벨을 이용하여 공통 스케쥴링 할당을 수행한다. 즉 제2 실시예는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로 내림 신호('DOWN'), 여백 내림 신호('MARGINAL DOWN'), 무시 신호('Don't care')의 세 가지 레벨을 나타낸다. 또한 최적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각각 독립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통해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비최적 기지국은 여러 단말들에게 하나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통해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즉, 최적 기지국은 전용 스케쥴링 할당을 위해 전송율 스케쥴링이나 시간-전송율 스케쥴링, 또는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기타 가능한 모든 스케쥴링 방법을 사용한다. 반면 비최적 기지국의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은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Scheduling Grant indicator)를 이용하여 세 개의 레벨로 전송율을 제어한다.
상기 공통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상기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는 물리 채널 상의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내림 신호를 의미하고, 물리 채널 상의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무시 신호를 의미하며, 전송하지 않는 경우인 실수값 0을 갖는 경우 여백 내림 신호를 의미한다. 다른 경우 상기 3가지의 값들 +1, -1, 0은 다른 의미의 신호들과 조합될 수 있다.
한 예로 내림 신호, 무시 신호, 그리고 여백 내림 신호의 발생 빈도를 각각 고려하여, 상기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실수 값들을 사상한다. 즉 발생 빈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신호에 물리 채널 상에서 비전송(DTX)의 방법을 취하는 실수값 0을 사상한다. 비전송 방법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할 경우 물리 채널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하게 됨으로 송신 전력과 잡음의 감소의 감소 측면에서 동시에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시 신호가 내림 신호와 여백 내림 신호에 비해 평균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면, 단말은 무시 신호를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0으로 사상하여 비전송의 방법으로 전송하고, 내림 신호를 물리 채널 상에서 실수값 1, 그리고 여백 내림 신호를 -1로 사상하여 전송한다.
비최적 기지국이 수행하는 공통 스케쥴링 할당 방법은 하기와 같다.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포함된 단말들의 수신 세기들을 측정하여 역방향 자원을 관리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을 비최적 기지국으로 설정한 단말들의 수신 세기가 매우 커서 상기 기지국을 최적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들, 또는 상기 기지국만을 활동 조합에 포함하는 단말들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로 설정한다. 반대로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기지국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기지국의 역방향 자원이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무시 신호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기지국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지만 상기 비최적 기지국은 역방향 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상황이거나, 상기 단말들의 역방향 전송을 모두 제한하여 상기 기지국의 역방향 자원이 여유를 가지게 된 상황이라면, 상기 기지국은 상 기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여백 내림 신호로 설정한다. 즉 상기 여백 내림 신호는 상기 내림 신호에 비해 보다 덜 강제적으로 역방향 전송율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한다.
본 제2 실시예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앞서 언급한 도 9를 다시 이용하여 기술한다.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한 개의 최적 기지국과 한 개 이상의 비최적 기지국을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는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율 허용(RG) 신호가 되며, 시간-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는 스케쥴링 할당(SA) 신호가 되고, 상기 두 방법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전송율 허용 신호와 스케쥴링 할당 신호의 조합이 된다. 또한 상기 단말은 n 개의(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을 수신한다. 여기서 스케쥴링 허용 값이라 함은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의 실수 값을 의미한다. 단말은 소정의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를 통해 상기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905)를 얻는다. 상기 스케쥴링 허용 결함 함수(904)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n 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902 내지 903)으로부터 찾아진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905)은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901)와 함께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에 입력되어 상기 단말이 E-DCH의 형식을 결정하 는데 필요한 최종적인 스케쥴링 할당 값을 결정하고 단말은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가 결정한 상기 스케쥴링 할당 값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에 사용될 E-DCH 형식(907)을 결정한다.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 역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도 9의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단말의 비최적 기지국들의 수가 2보다 큰 경우에 사용되며 하기와 같은 동작들이 가능하다.
첫 번째 예로서,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우선적인 기준으로 내림 신호를 이용하는 기준 설정 방법을 사용한다. 즉,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단말이 수신한 스케쥴링 허용 값들 중에서 하나라도 내림 신호를 지시한다면, 비최적 기지국들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내림 신호로 결정한다. 만약 모든 스케쥴링 허용 값들이 내림 신호가 아니라면, 다음 기준으로 여백 내림 신호로 이용한다. 즉,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단말이 수신한 스케쥴링 허용 값들이 모두 내림 신호가 아니지만 하나라도 여백 내림 신호를 지시한다면, 비최적 기지국들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여백 내림 신호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이 수신한 모든 스케쥴링 허용 값들이 모두 무시 신호라면, 상기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비최적 기지국들의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 신호로 정한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은 가중치 합을 이용하여 비최적 기지국들의 스케쥴링 허용 값들을 결합한다. 가중치 합이란, 비최적 기지국 별로 설정된 가중치 값을 사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앞서 언급한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케쥴링 허용 가중 합들의 가중 합 결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에게 설정된 n개의 비최적 기지국들에서 수신된 n개의 스케쥴링 허용 값들(1001, 1002, 1003)이 수신되면, 상기 스케쥴링 허용 값들(1001 내지 1003)은 각각 정해진 가중치 값들(1005, 1007, 1009)과 곱셈기들(1006, 1008, 1010)에 의하여 곱해진 후, 합산기(1011)에 의해 합산된다. 합산기(1011)는 상기 가중치들(1005) 내지 1009)이 곱해진 스케쥴링 허용 값들을 더해서 하나의 가중합 값을 생성한다. 그러면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1012)은 상기 가중합 값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1012)은 상기 가중합 값을 미리 정해지는 2개의 문턱치와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내림 신호를 의미하고, 실수값 0을 가지면 여백 내림 신호, 그리고 실수값 -1을 갖는 경우 무시 신호를 의미한다면, 상기 가중합 값과 비교되는 문턱치들은 +1과 0 사이의 한 값(값 1)과, 0과 -1사이의 다른 값(값 2)이 된다. 따라서 상기 가중합 값이 상기 (값 1)보다 큰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은 내림 신호로 결정되고, 상기 가중 합 값이 상기 (값 2)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은 무시 신호로 결정된다. 상기 가중 합 값이 상기 (값 1)과 상기 (값 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은 여백 내림 신호로 결정된다. 상기 (값 1)과 상기 (값 2)는 미리 정해진 값이 되거나, RNC로부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통보된 값이거나, 단말이 선택한 값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상기한 두 가지의 예들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쥴링 허용 결합 함수(904)는 우선적으로 내림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스케쥴링 허용 값들 중 내림 신호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는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내림 신호로 판단하며, 내림 신호가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여백 내림 신호와 무시 신호의 가중 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판단한다. 여기서 여백 내림 신호와 무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서 0과 -1 사이의 하나의 문턱치가 사용된다.
도 9의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는 상기에서 결정된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과 단말이 수신한 최적 기지국의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이 송신할 E-DCH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스케쥴링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Don't care)'를 의미하면 단말의 E-DCH 전송 형식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상기 단말의 비최적 기지국이 역방향 자원 이용에 있어서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최적 기지국이 전송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E-DCH의 형식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내림(DOWN)'을 의미하면 단말의 E-DCH 전송이 비최적 기지국의 역방향 자원 이용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내림' 신호에 따라 E-DCH의 허용된 최대 전송율을 무조건 한 단계 내려서 E-DCH의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여백 내림(MARGINAL DOWN)'이면, 이는 상기 단말의 E-DCH 전송이 비최적 기지국이 역방향 자원 이용에 비교적 큰 부담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여백 내림(MARGINAL DOWN)'이라 함은, 비최적 기지국이 단말들 모두, 혹은 자신을 비최적 기 지국으로 설정한 단말들에게 전송율을 한 단계 내리는 명령(전송율 스케쥴링의 경우), 또는 E-DCH 전송 자체를 제한하는 명령(시간-전송율 스케쥴링의 경우)을 전송하였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내림' 신호와 마찬가지로 하기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 확률적인 '내림' 결정 방법이 사용된다. 단말은 확률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여백 내림' 결정을 '내림' 신호로 해석하여 E-DCH의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전송율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의 전송율에 따라 상기 '여백 내림' 결정을 받아들일지 그렇지 않을지를 판단한다. 단말은 일정 전송율 문턱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전송하는 E-DCH의 전송율이 상기 문턱치보다 크게 된다면, 비최적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E-DCH 전송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여백 내림' 결정을 '내림' 신호로 해석하여 E-DCH의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킨다. 반면, 현재 전송하는 E-DCH의 전송율이 상기 문턱치보다 작은 경우, 비최적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E-DCH 전송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하고 현재 전송율을 그대로 유지한다거나, 최적 기지국의 스케 쥴링 할당 정보를 따른다.
세 번째 방법은 E-DCH를 서비스 받는 단말은 초기에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는데, 상기 등급은 단말의 E-DCH의 품질에 대한 등급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등급에 따라 E-DCH의 전송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다르게 가져가는 방법이다. 상기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단말 사용자의 과금, 또는 채널 상황 등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정해진 등급이 있고, 등급에 따라 '여백 내림'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동작이 달라지게 된다. 상위 등급의 단말은 '여백 내림' 신호의 수신과 상관 없이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사용하고, 반면, 하위 등급의 단말은 '여백 내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신호를 '내림' 신호로 판단하여 E-DCH 전송율을 한단계 낮추어 주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또한 등급에 따라 다른 확률값을 가지고 상기 확률값을 이용하여 확률적인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 '여백 내림' 신호를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내림'으로 해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상기 각 단말의 등급 정보는 기지국에게 전달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단말기 설정 과정에서 네트워크, 또는 단말이 직접 기지국에게 전해줄 수 있다.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등급을 알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 중에서 어느 정도가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어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하나의 효율적인 변수로 사용이 가능하다.
네 번째 방법은 E-DCH를 서비스 받는 단말은 RNC로부터 상기 비최적 기지국의 '여백 내림'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을 따로 시그널링 받는 방법이다. 즉 RNC는 각 단말들에게 소프트 핸드오버에서 비최적 기지국에서 올 수 있는 '여백 내림'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을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알려주고, 단말은 상기 RNC의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E-DCH의 전송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다르게 가져가는 방법이다. 일예로, RNC는 단말의 상태에 따라 결정 방법을 1과 0으로 알려주고, 1을 시그널링 받은 단말은 '여백 내림' 신호를 '무시' 신호로 판단하여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반면, '0'을 시그널링 받은 단말은 '여백 내림' 신호를 '내림' 신호로 판단하여 E-DCH 전송율을 한단계 낮추어 주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RNC가 각 단말에게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의 확률 테스트에 사용되는 확률값을 시그널링 해준다. 이에 단말은 비최적 기지국이 '여백 내림' 신호를 전송 했을 경우, 상기 시그널링 받은 상기 확률값을 이용하여 확률적인 테스트를 통해서 임의로 발생된 확률이 상기 RNC가 시그널링 해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의 '여백 내림'신호를 '내림' 신호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을 무시한다.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값이 무시되는 경우 단말은 E-DCH의 형식 결정에서 이전 프레임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던가, 또는 최적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상기 RNC가 단말에게 전송해주는 정보는 기지국에게도 역시 전해 줌으로써 기지국의 스케쥴링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상기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에서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여백 내림' 신호를 받았을 경우의 해석 방법을 알 경우 소프트 핸 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 중에서 어느 정도가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인지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어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하나의 효율적인 변수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는 상기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 이외에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들과 최적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상기 조합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값을 출력한다. 결국 상기 스케쥴링 결정 함수(906)의 출력은 단말이 송신해야 할 E-DCH의 형식을 결정하는 최종적인 스케쥴링 정보가 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E-DCH의 형식을 결정한다.
상기에서 두 개의 실시예들을 통해 비최적 기지국이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통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을 스케쥴링하고, 단말은 상기 비최적 기지국에서 수신한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와 최적 스케쥴링 기지국에서 수신한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E-DCH의 형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로서 제1 실시예는 내림 신호와 무시 신호의 두 개의 레벨을, 제2 실시예는 내림 신호와 여백 내림 신호 및 무시 신호의 3개의 레벨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은 어느 정도 구체적일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 한정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는, 상기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로 보다 많은 레벨들을 표시하여 비최적 기지국이 공통 스케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좀 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방법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스케쥴링을 위해 순방향 스케쥴링 정보 신호의 전송으로 인해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소모와 순방향 채널 코드 자원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단말의 추가적인 해석 방법의 제시로 공통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별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Claims (18)

  1.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중인 사용자 단말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하나의 최적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과 통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합하여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따라 역방향 패킷의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는,
    상기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내릴 것을 지시하는 내림 신호 또는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을 지시하는 무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적어도 하나의 내림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모두 무시 신호이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무시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대응하는 비최적 기지국에 대해 할당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합 값을 계산하고, 상기 가중 합 값을 미리 정해지는 문턱치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 또는 무시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무시 신호이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고,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내림 신호이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내림 신호이면 임의로 발생된 확률 값을 미리 정해지는 값과 비교하고, 상기 확률 값이 크거나 같으면 역방향 링크의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며, 상기 확률 값이 작으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 또는 이전 프레임의 전송포맷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내림 신호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역방향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현재 역방향 전송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며, 상기 현재 역방향 전송율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 또는 이전 프레임의 전송포맷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는,
    상기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내릴 것을 지시하는 내림 신호 또는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따를 것을 지시하는 무시 신호 또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허용된 최대 전송율을 내릴 것을 지시하는 여백 내림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적어도 하나의 내림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로 결정하며, 내림신호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허용 지시자가 존재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여백 내림 신호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허용 지시자가 존재하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여백 내림 신호로 결정하며, 상기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모두 무시 신호이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무시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대응하는 비최적 기지국에 대해 할당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합 값을 계산하고, 상기 가중 합 값을 미리 정해지는 문턱치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내림 신호 또는 여백 내림 신호 또는 무시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무시 신호이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고,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내림 신호이면 역방향 링크의 최대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며,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여백 내림 신호이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 또는 상기 내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여백 내림 신호이면 임의로 발생된 확률 값을 미리 정해지는 값과 비교하고, 상기 확률 값이 크거나 같으면 역방향 링크의 최대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며, 상기 확률 값이 작으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 또는 이전 프레임의 전송포맷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가 여백 내림 신호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역방향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현재 역방향 전송율이 크거나 같으면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켜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며, 상기 현재 역방향 전송율이 작으면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 또는 이전 프레임의 전송포맷에 따라 상기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는,
    상기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내릴 것을 지시하는 내림 신호, 상기 최대 전송율을 유지할 것을 지시하는 유지 신호 또는 상기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올릴 것을 지시하는 올림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는,
    상기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최대 전송율을 지시하는 스케쥴링 할당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는,
    상기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내릴 것을 지시하는 내림 신호, 상기 최대 전송율을 유지할 것을 지시하는 유지 신호 또는 상기 최대 전송율을 한단계 올릴 것을 지시하는 올림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율 허용 신호와,
    상기 최대 전송율을 지시하는 스케쥴링 할당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의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은,
    각 단말별로 설정된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확률값을 이용하여 각 단말이 상기 결합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에 따라 역방향 패킷의 전송포맷을 결정하거나 상기 전용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따라 역방향 패킷의 전송 포맷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하나의 최적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과 통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스케쥴링 할당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와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이용하여 역방향 패킷의 전송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역방향 패킷의 전송 포맷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전용 스케쥴링 할당 정보만을 이용할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 허용 지시자를 같이 이용할지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62973A 2004-07-26 2004-08-10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10086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6023A JP4242858B2 (ja) 2004-07-26 2005-07-26 アップリンクパケット伝送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端末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装置
US11/189,008 US7561550B2 (en) 2004-07-26 2005-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EP20050016235 EP1622413B1 (en) 2004-07-26 2005-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8165 2004-07-26
KR1020040058165 2004-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93A true KR20060009793A (ko) 2006-02-01
KR100866348B1 KR100866348B1 (ko) 2008-11-03

Family

ID=3592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973A KR100866348B1 (ko) 2004-07-26 2004-08-10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6348B1 (ko)
CN (1) CN10047320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02B1 (ko) * 2007-09-14 2009-09-22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망 설정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0773A4 (en) 2008-09-05 2017-03-2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ving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95051B1 (ko) * 2008-09-23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프 환경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0035969A2 (en) 2008-09-23 2010-04-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ieving data in soft handoff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061288A (ja) *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057B2 (en) 2000-12-06 2005-08-0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scheduling a quality of service level in a high data rate system
JP4119721B2 (ja) 2002-10-04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制御情報通知方法
KR20040064834A (ko) *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37415B1 (ko) * 2003-05-20 2010-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율 제어 방법
KR100772129B1 (ko) * 2004-05-04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02B1 (ko) * 2007-09-14 2009-09-22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망 설정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8882A (zh) 2006-02-01
CN100473207C (zh) 2009-03-25
KR100866348B1 (ko) 200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3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EP17412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nsitive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634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상태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EP1655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transmission for a mobile station in soft handover reg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3096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JP4242858B2 (ja) アップリンクパケット伝送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端末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5328525A (ja) 上りリンク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端末機の最適のスケジューリングセル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7819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용 물리 채널들의 이득인자 설정방법 및 장치
KR100772129B1 (ko)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KR101174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66348B1 (ko)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EP1757153B1 (en) A method of scheduling a mobile terminal in soft handover
KR1009290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을 위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06009155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비 스케쥴링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17536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