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2129B1 -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129B1
KR100772129B1 KR1020040062162A KR20040062162A KR100772129B1 KR 100772129 B1 KR100772129 B1 KR 100772129B1 KR 1020040062162 A KR1020040062162 A KR 1020040062162A KR 20040062162 A KR20040062162 A KR 20040062162A KR 100772129 B1 KR100772129 B1 KR 10077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ells
scheduling
optimal scheduling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351A (ko
Inventor
곽용준
최성호
이주호
얀귀샤
조준영
허윤형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513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5328525A/ja
Priority to EP20050009839 priority patent/EP1594335A2/en
Priority to US11/121,008 priority patent/US20050249164A1/en
Publication of KR2005010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1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 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효율적인 역방향 트래픽 전송율 제어와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선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은 액티브 셋에 포함된 셀들 중에서 최적 스케줄링 셀을 적절히 선택하여 역방향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 통지하며, 최적 스케줄링 셀과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은 독립된 각각의 스케줄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역방향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역방향 자원의 효휼적인 사용으로 시스템 전체적인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주게 된다.
WCDMA, UPLINK ENHANCEMENTS, NODE B CONTROLLED SCHEDULLING, SOFT HANDOVER, DYNAMIC NODE B SELECTION

Description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SERVING SCHEDULING CELL SELECTION METHOD FOR MOBILE STATION DURING SOFT HANDOFF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SYSTEM AND THEREFOR APPARATUS}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TRAN)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단말기와 무선망 제어기(RNC)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계층도.
도 3은 전형적인 무선링크에서 E-DCH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전송율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시간-전송율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E-DCH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E-DCH 송신 단말과 셀과 기지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을 통한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채널을 통한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적 스케줄링 셀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적 스케줄링 셀을 결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셀 ID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PCCH를 이용한 최적 스케줄링 셀 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DPCCH를 이용한 최적 스케줄링 셀 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를 전송하는 MAC-e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비동기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한다.)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서비스함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상향링크 전송 채널의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이동 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UMTS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같은 패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교환 방식의 접속이란 가상접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어떠한 종단에라도 항상 접속이 가능하다.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칭함)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UTRAN(12)은 무선망 제어기들(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6a,16b)과 노드 B들(Node B's)(18a,18b,18c,18d)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20)을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10)로 연결한다. 노드 B들(18a,18b,18c,18d)의 하위에는 복수의 셀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RNC(16a,16b)는 해당하는 하위의 노드 B들(18a,18b,18c,18d)을 제어하고, 각각의 노드 B(18a,18b,18c,18d)는 해당하는 하위의 셀들을 제어한다. 하나의 RNC와 상기 RNC에 의해서 제어를 받는 노드 B들과 셀들을 합쳐서 무선망 서브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 이하 RNS라 칭함)(14a,14b)이라고 한다.
RNC는 자신이 제어하는 노드 B들의 무선자원을 할당하거나 관리하며, 노드 B는 실제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자원은 셀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 B가 제공하는 무선자원은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의 무선 자원들을 의미한다. 단말은 특정 노드 B의 특정 셀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무선 채널을 구성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의 입장에서는 노드 B와 셀 간의 구별은 무의미하며, 오직 셀별로 구성되는 물리계층만을 인식하므로, 이하 노드 B와 셀은 동일한 의미로서 언급될 것이다.
단말기와 Node B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라 불리며, 도 2에 그 자세한 계층적 구조를 도시하였다. Uu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와 Node B 사이에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단(Control Plane)과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용자단(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단의 시그널링(3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계층(34), RLC(Radio Link Control)계층(40),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42)과 물리(Physical)계층(44)을 거쳐 처리되고, 사용자단의 정보(32)에는 PDCP(Packet Data Control Protocol) 계층(36),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계층(38), RLC계층(40), MAC계층(42), 물리계층(44)을 거쳐 처리된다. 여기에 도시한 계층들 중 물리계층(44)은 각 셀들에 위치하게 되며 MAC 계층(42)부터 RRC 계층(34)까지는 RNC에 위치한다.
물리계층(44)은 무선 전송(Radio Transfer)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제1 계층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44)과 MAC 계층(42) 사이는 전송 채널들(Transport Channels)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 채널들은 특정 데이터들이 물리계층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MAC 계층(42)과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MAC 계층(42)은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 채널을 통해 물리계층에 전달하고, 물리계층(44)이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MAC 계층(42)은 논리 채널이나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 받은 데이터들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데이터에 삽입된 부가정보를 해석해서 적절한 동작을 취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MAC 계층(42)에서 사용자단(32)에 관련된 부분은 MAC-d라 칭해지며, 제어단(30)에 관련된 부분은 MAC-c라 칭해진다.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의 설정 및 해제를 담당한다. RLC 계층(40)은 AM(Acknowledged Mode), UM (Unacknowledged Mode), TM (Transparent Mode)라는 3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마다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RLC 계층(40)은 상위계층으로부터 내려온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이하 SDU라 칭함)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조립하는 기능 및 오류 정정 기능 등을 담당한다.
PDCP 계층(36)은 사용자단(32)에서 RLC 계층(40)의 상위에 위치하며, IP 패킷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의 헤더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능과, 이동성으로 특정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RNC가 변경되는 상황 하에서 데이터의 무손실 전달 기능 등을 담당한다.
물리계층(44)과 상위 계층들 간을 연결하는 전송채널의 특성은 길쌈채널 부호화(convolutional channel en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서비스 고유 전송률 정합(service-specific rate matching)과 같은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규정하고 있는 전송형식(Transport Format: TF)에 의해 정해진다.
특히 UMT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기지국(Node B)으로의 역방향(Uplink: UL)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Enc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or E-DCH라 칭함)을 사용한다. E-DCH는 보다 안정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응적 변조/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와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및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 등의 기술 등을 지원한다. E-DCH의 처리는 MAC-d계층의 하위에 존재하게 되는 MAC-e 계층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MAC-e 계층에서 출력되는 E-DCH 데이터는 MAC-e PDU(MAC-enhanced Protocol Data Unit)라 칭한다.
도 3은 무선링크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E-DCH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E-DCH를 지원하는 노드 B를 나타내며 101, 102, 103, 104로 나타낸 단말들이 E-DCH를 수신하는 단말들이 된다. 노드 B(100)는 E-DCH를 사용하는 단말들(101 내지 104)의 채널 상황을 파악하여 각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스케줄링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노드 B의 측정 RoT(Rise Over Thermal) 값이 목표 잡음 증가 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노드 B에서 멀리 있는 단말에게는 낮은 데이터 전송율을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단말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과정(202)에서 노드 B와 단말은 E-DCH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 과정(202)은 전용 전송 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E-DCH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과정(204)와 같이 단말은 노드 B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는 역방향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중인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노드 B는 과정(206)에서 각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과정(208)에서 노드 B는 단말에게 역방향 패킷 전송을 허용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에게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는 허용된 데이터 전송율과 허용 타이밍 등이 포함된다.
단말은 과정(210)에서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할 E-DCH의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 TF)을 결정하고, 과정(212)에서 E-DCH를 통해 역방향(UL)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과정(214)에서 상기 TF 정보를 노드 B로 전송한다. 과정(216)에서 노드 B는 상기 TF 정보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한다. 과정(218)에서 노드 B는, 상기 판단 결과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부정응답(Non-Acknowledge: NACK)를, 모두 오류가 없을 경우에는 긍정응답(Acknowledge: ACK)를 ACK/NACK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가 전송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어 단말은 새로운 데이터 를 E-DCH를 통해 전송하고, NACK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같은 내용의 패킷 데이터를 E-DCH를 통해 재전송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스케줄링 방법으로 전송율 스케줄링(Rate Scheduling)과 시간-전송율 스케줄링(Time and Rate Scheduling)을 들 수 있다. 전송율 스케줄링 방법은 기지국이 각 단말의 전송율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며, 시간-전송율 스케줄링은 기지국이 단말의 역방향 패킷 전송의 시간과 전송율을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5는 UE와 기지국 사이에 전송율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502)은 전송율 요청 정보(505, Rate Request)와 E-DCH 데이터(506)를 전송하고 있으며, 기지국(501)은 스케줄링을 통하여 상기 단말(502)에게 할당된 전송율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율 그랜트(503, Rate Grant)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즉, 단말(502)은 역방향으로 보내야 할 데이터가 버퍼에 어느 정도 있는지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단말(502)이 송신할 수 있는 전력 여분치를 확인하여 다음에 송신하고자 하는 전송율을 설정하기 위해 전송율 요청 정보(505)를 통하여 전송율의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한다. 상기 요청 정보(505)를 수신한 기지국(501)은 상기 단말(502)과 상기 기지국(501)이 관장하고 있는 다른 여타 단말들이 전송한 전송율 요청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단말(502)에게 전송율을 증가시킬 것인지, 감소시킬 것인지, 또는 유지시켜줄 것인지를 정하여 전송율 그랜트 정보(503)를 이용하여 알려주게 된다.
상기 도 5에서 좀더 구체적인 예를 보면, 과정 508에서 단말(502)는 전송율의 증가를 위해 전송율 요청 정보(508)를 이용하여 전송율 증가를 요청한다. 상기 요청 정보(508)를 수신한 기지국(501)은 스케줄링을 통해 과정 510에서 전송율 그랜트 정보(509)를 이용하여 단말(502)에게 전송율을 증가시키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단말(502)은 전송율 증가를 허가받게 되어 이전 전송율10(511)에 비해 한 단계 증가된 전송율 11(512)로 역방향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전송율 스케줄링에서 전송율 정보는 기존에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테이블의 여러 단계를 전송율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경우 상기 전송율 정보는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이하 TBS라 칭함)를 나타내는 전송 블록 조합(Transport Block combination: 이하 'TBC'라 칭함)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시간-전송율 스케줄링에서 역방향과 순방향의 제어 정보의 전달과,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단말이 역방향 패킷을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603)은 단말 상태 정보(604)를 기지국(601)으로 주기적, 또는 사건 유발(event-triggered) 방식, 또는 주기적 방식에 기초한 사건 유발방식과 같은 정해진 방식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601)은 내부적인 스케줄링을 통해 다음 프레임 구간동안 전송을 허용할 단말(603)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603)의 허용된 전송율을 결정하여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정보(602)을 이용하여 단말(603)에게 전송해 준다. 이에 단말(603)은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602)가 지칭하는 전송율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 E-DCH 데이터(605)을 역방향으로 전송하게 된다.
일 예로, 최초에 단말(603)은 E-DCH 데이터(605)의 전송을 위해 전송율1(610)을 사용한다. 과정 621에서 단말(603)이 단말 상태 정보(611)를 기지국(601)으로 전송하게 되면 기지국(601)은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603)에게 다음 프레임 시간 구간동안 E-DCH 전송을 허용할 것인지를 정하고, 전송을 허용할 경우는 상기 단말(603)에게 허용할 전송율과 전송이 허용된 시간 정보까지도 정하게 된다. 과정 641에서 기지국(601)은 스케줄링 할당 정보(631)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할당 시간 정보와 할당 전송율 정보를 전달해 주게 된다. 단말(603)은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631)에 근거한 시간 구간동안 E-DCH데이터를 할당된 전송율10(651)따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631)가 전송율10을 이용하여 전송을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말(603)은 전송율10(654)으로 E-DCH 데이터(605)를 전송하게 된다.
반면 참조번호 630과 같이 기지국(601)이 단말(603)에 대하여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603)은 최저 전송율(minimum set)인 rate 1(650)을 이용하여 E-DCH 데이터(605)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과정 642에서 기지국(601)이 전송율15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할당 정보(632)를 전송하게 되면, 단말(603)은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632)에 따라 전송율15(652)로 E-DCH 데이터(605)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케줄링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E-DCH는 상향 링크 전송채널의 패킷전송을 위해 향상된 채널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전용 채널의 기본 성질을 따라가게 된다. 그 중 하나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단말은 활동 집합(Active set)에 속한 기지국 모두로부터 모두 순방향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은 E-DCH를 전송하기 위해서 활동 집합에 속한 기지국 모두로부터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럴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단말을 스케줄링 함에 있어서 활동 집합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이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상기 다수개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E-DCH를 전송하기 위한 TF를 결정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한 최적(serving)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 있어서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정보를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공유될 수 있도록 해주는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복수개의 셀들과 통신하는 단말이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스케줄링할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개의 셀들 중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및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는,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복수개의 셀들과 통신하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스케줄링할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하는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제어정보 송신부와,
상기 복수개의 셀들 중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및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는,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중인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통신하는 복수의 셀들 중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은,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혹은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을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율을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E-DCH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할 때 발생하는 순방향 시그널링 정보의 증가와,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E-DCH를 위한 전송 형식 결정 방식이 불명확해 지는 단점을 보안한다. 또한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위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선정하고, 이에 수반된 정보들을 시그널링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E-DCH 스케줄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소프트 핸드오버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서 기지국1(701)과 기지국2(702)는 E-DCH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1, 2, 3(703, 706, 710)은 E-DCH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1(703)과 단말2(706)은 소프트 핸드 오버 영역에 속해 있지 않으며, 각각 기지국1(701)과 기지국2(702)에 의해서만 E-DCH 스케줄링 된다. 따라서 단말1(703)은 기지국1(701)으로부터 스케줄링 할당 정보(704)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704)를 이용하여 E-DCH 데이터(705)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단말2(706)는 기지국2(702)으로부터 스케줄링 할당 정보(707)를 수신하여 E-DCH 데이터(708)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소프트 핸드오버에 속한 단말3(710)은 활동 조합(Active set)으로 기지국1(701)과 기지국2(702)를 모두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3(710)은 기지국1(701)과 기지국2(702)에서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701)과 기지국2(702) 역시 단말3(710)이 전송하는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1,2(701, 702)은 단말3(710)의 E-DCH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각각 상기 단말3(710)에 대한 E-DCH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711, 713과 같이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단말3(710)에게 전송하게 된다. 단말3(701)은 기지국1,2(701,702)로부터 한 개 이상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게 되므로, E-DCH 데이터(712,714)의 전송 형식을 결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3(710)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1,2(703,706)과 다른 방법으로 E-DCH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활동 조합에 속하는 기지국 중에서, 스케줄링을 할 때 가장 시스템 성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알려주고,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과 그렇지 않은 기지국들(즉, 비최적(Non serving) 스케줄링 기지국)이 서로 다른 E-DCH 스케줄링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단말이 전송하는 E-DCH에 대하여 수신 노이즈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과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들의 서로 다른 스케줄링 방법은 하기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전송율 스케줄링만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만이 상기 단말에 대한 E-DCH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만이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말의 활동 조합에 속하면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들은 상기 단말에 대한 E-DCH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 역시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만을 수신하여 E-DCH의 전송 형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둘째, 시간-전송율 스케줄링만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만이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단말의 활동 조합에 속하면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들은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할당된 전송율과 전송이 허용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 역시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스케줄링 정보만을 수신하여 E-DCH의 형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셋째, 전송율 스케줄링과 시간-전송율 스케줄링을 동시에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만이 전송율 스케줄링과 시간-전송율 스케줄링을 수행 하여 레이트 그랜트 정보 또는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의 활동 조합에 속하면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들은 전송율 스케줄링만을 수행한다. 즉, 레이트 그랜트 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 및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만을 수신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들의 정보들을, E-DCH의 전송 형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1, 최적 스케줄링 셀/기지국의 결정
상기와 같은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필요한 기술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여러 가지 정보들과, 단말 내부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E-DCH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결정한다.
이하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이 복수개의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셀들은 주파수(Frequency Allocation: FA)와 스크램블링 부호에 따라 구별되는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특정 셀을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하거나, 혹은 상기 특정 셀이 속한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활동 조합에 속한 셀 중에서 진로 손실(Path loss)이 가장 작은 셀을 선정하고 상기 셀이 속한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정한다. 구체적인 선정 방식은 하기와 같다.
첫째, 각 셀/기지국의 순방향 진로 손실을 고려하는 방법 :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셀들 각각은 하나의 공통 제어 파일럿 채널(Common Control Pilot Channel: CPICH)을 가지게 된다. 단말은 상기 CPICH의 수신 신호 코드 전력(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을 측정하며, 또한 상기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CPICH의 송신 전력을 전달 받으므로, 단말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각 셀의 순방향 진로 손실(Downlink Path loss) 값을 계산한다.
Figure 112004035312327-pat00001
여기서, Primary CPICH Tx power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받은 CPICH의 송신 전력이며, CPICH_RSCP는 CPICH에 대해 측정된 수신신호코드전력(RSCP)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단말은 활동 조합에 속한 셀들의 순방향 진로 손실 값들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순방향 진로 손실 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값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상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변수가 되며, 진로 손실 값이 가장 작은 기지국이 단말의 역방향 전송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물론 역방향 진로 손실 값과 순방향 진로 손실 값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긴 시간구간 동안에서 순방향 진로 손실 값은 역방향 진로 손실 값과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8에서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한 단말과 다수개의 기지국들 간의 통신에 대한 개념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1(801)은 셀 A(803)을 관장하고 있으며, 기지국2(802)은 셀B(804)과 셀C(805)을 관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셀A(803)과 셀B(804)과 셀C(805)이 겹치는 영역(806)에 위치한 단말(810)은 상기 셀들(803, 804, 805)을 활동 조합으로 가지고, 상기 기지국들(801, 802)가 상기 활동 조합에 포함된다. 상기 셀들(803,804,805)은 각각 CPICH(811,812,813)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810)은 상기 셀들(803, 804, 805)로부터 모두 각각의 CPICH(811,812,813)를 수신하며,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CPICH 송신 전력을 이미 알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810)은 상기 셀들(803, 804, 805)의 CPICH RSCP와 CPICH의 송신 전력의 차이에 의해 순방향 진로 손실 값들을 계산하고, 상기 진로 손실 값들을 비교하여 최소의 진로 손실 값을 갖는 셀을 선택한다. 그러면 단말은 상기 선택된 셀을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하거나, 혹은 상기 선택된 셀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위에서는 진로 손실값을 비교함에 있어서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을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른 실시 예로서, 단말은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을 선택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기지국이 관장하는 여러 개의 셀들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들은 상기 기지국에서 소프트 결합되므로 단말은 기지국 단위로 진로 손실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별로 진로 손실값을 계산하는 모든 절차는 위에서 설명한 셀별로 진로 손실값을 계산하는 절차와 동일하다. 즉 단말은 하나의 기지국에 속한 모든 셀들의 진로 손실값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진로 손실값을 얻는다. 그러면 최소의 진로 손실 값을 갖는 기지국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된다.
둘째, RoT를 이용하는 방법 :
단말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CPICH의 진로 손실 값 이외의 추가의 변수로서 역방향 부담 상황(UL Load Condition)을 고려한다.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들을 스케줄링 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역방향의 자원의 여분, 즉 RoT 등이 된다. 즉 역방향 자원의 여분이 많지 않은 기지국일수록 단말의 역방향 전송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최대의 RoT를 가지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단말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결정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을 이용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한다.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경우, 단말은 활동 조합에 있는 모든 셀들로부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절차가 추가가 되어야 하며 아래의 방법 등이 사용 가능하다.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각 셀 단위로 정의 될 수 있으며, 상기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은 상기 셀의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RoT는 기지국의 전체 수신 광대역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 lo에 대한 상기 기지국의 열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 No의 비율로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oT는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할당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이 된다.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상기 셀에 속한 단말들에게는 모두 동일한 정보가 되므로, 상기 단말들 각각에게 따로 보내주기 보다는 한번의 전송으로 모든 단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자원 활용에 있어서 이득을 볼 수 있다.
하나의 셀에 속한 모든 단말들에게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전송해 주는 방법으로 방송 채널(Broadcasting Channel: BCH)을 이용한다. 상기 BCH는 셀별로 정해지는 채널로서, 각 셀에 한정된 정보를 상기 셀에 포함된 모든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정해진 부호화와 정해진 전송 형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단말뿐만 아니라,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는 CELL-DCH(Cell Dedicated Channel) 상태에 있는 단말도, E-DCH 서비스를 위해, BCH의 수신 및 복호하여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도 9에서 BCH로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해주기 위한 시그널링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901)은 기지국(902)이 관장하는 셀에 속해 있으며, 과정 904에서 상기 기지국(902)은 상기 셀의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상기 단말(901)을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기(903, Serving RNC(SRNC))로 NBAP(Node B Application Part Protocol)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한다. 과정 905에서 SRNC(903)는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BCH를 이용한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901)로 전송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역방향 부담상황 정보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포함된 단말만이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역방향 부담상황 정보는 셀 내의 모든 단말들이 아니라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각각의 단말에게만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SRNC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단말에게 전용 채널(DCH)을 이용하여 역방향 부담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한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의 전달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01)은 기지국(1002)이 관장하는 셀에 속해 있으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다. 과정 1004에서 상기 기지국(1002)은 상기 셀의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상기 단말(1001)을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기(1003, SRNC)로 NBAP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한다. 과정(1005)에서 SRNC(1003)은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DCH를 이용한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1001)로 전송하게 된다.
삭제
삭제
상기에서는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BCH 혹은 DCH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셀 내에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 핸드오버 영역에 속한 단말 또는 역방향 부담상황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단말들에게 역방향 부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채널이나 방법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셋째, 복합 자동 재전송(HARQ)을 이용하는 방법 :
E-DCH에서는 HARQ를 지원하기 때문에, 단말은 E-DCH 데이터의 전송 후에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E-DCH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서 ACK 혹은 NACK를 수신한다. 이때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다수개의 기지국들로부터 ACK/NACK를 받게 된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 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활동 조합에 속한 기지국들에 대해 ACK의 비율이 높은 기지국이 역방향 채널 상황이 더 좋은 기지국, 즉 상기 단말의 역방향 전송 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기지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ACK의 송신비율이 높은 기지국을 최저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넷째,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ACK 비율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
이하 네번째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1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이 상기 열거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최적 스케줄링 셀,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1101단계에서 활동 조합에 포함된 모든 셀들의 순방향 진로 손실 값들 Path loss을 비교하고, 상기 셀들 중에서 가장 작은 진로 손실값 Path loss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한다. 상기 1101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진로 손실 값들의 양자화 방식에 따라 동일한 진로 손실값을 가지는 셀들이 존재할 수가 있다. 따라서 1102단계에서 단말은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의 개수가 하나인지를 판단하여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는 1103단계와 같이 상기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상기 1102단계에서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의 개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110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최소 진로 손실값을 갖는 셀들 중에서 역방향 부담 상황이 가장 높은, 즉 최대의 RoT값 Max RoT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최대의 RoT 값을 갖는 셀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1105단계에서 단말은 최대의 RoT 값을 갖는 셀들의 개수가 하나인지 판단한다. 상기 1105단계의 비교에서 최대 RoT 값을 갖는 셀이 하나인 경우, 1106단계와 같이 단말은 상기 최대 RoT 값을 갖는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반대로 상기 1105단계에서 최대 RoT 값을 갖는 셀이 하나 이상인 경우, 1107단계와 같이 단말은 상기 최대 RoT 값을 갖는 셀들에 대한 ACK의 비율들을 비교하여, ACK 비율이 가장 큰 셀의 기지국을 선택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위에서는 특정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은 상기 특정 셀을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할 수 있다. 위에서는 셀 단위로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과 달리 기지국의 관점에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상기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삭제
하나의 기지국이 관장하는 여러 개의 셀들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들은 상기 기지국에서 소프트 결합되므로, 단말은 기지국 단위로 진로 손실값을 계싼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에 속한 모든 셀들에 대해 합산된 진로 손실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의 진로 손실값을 계산한다. 그러면 1101단계에서 최저의 합산된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을 찾고, 1102단계에서 상기 최저의 합산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의 개수가 1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1102단계에서 최저의 합산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의 개수가 1인 경우, 1103단계와 같이 단말은 상기 최저 합산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판단한다. 상기 1102단계에서 최저의 합산 진로 손실값을 갖는 기지국의 개수가 1보다 큰 경우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1104단계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도 11에서 나타낸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은 활동 조합에 속한 각 셀들이 어떤 기지국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셀들이 속한 기지국을 알아야만 동일 기지국에 속한 다수개의 셀들의 진로 손실값들을 상기와 같이 합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SRNC는 활동 조합에 속한 각 셀들이 속한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해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ACK 비율 정보 순으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셀을 선택하는데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시스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들에 대한 적용순서는 가변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시된 정보의 일부만으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셀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및 ACK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셀을 선택할 수 있다.
다섯째,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 및 ACK 비율 정보를 가중 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 :
이하 다섯 번째 방법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2에서 단말은 활동 조합에 속한 셀들 별로 순방향 진로 손실값(1201),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즉, RoT 값)(1202), ACK/NACK 신호 중 ACK의 비율 값(1203), 및 다른 기준 값(1204)의 합한 값을 구한다. 이때, 상기 도 12와 같이 진로 손실값(1201)은 곱셈기(1206)에서 가중치 W1(1205)과 곱해지고,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RoT 값)(1202)는 곱셈기(1208)에서 가중치 W2(1207)의 곱해지고. ACK의 비율값(1203)은 곱셈기(1210)에서 가중치 W3(1209)과 곱해지고, 다른 기준값(1204)은 비율 값(1203)은 곱셈기(1212)에서 가중치 W4(1211)과 곱해진다. 이때, RoT 값(1202)과 ACK의 비율 값(1203)은 스케줄링 우선순위에 비례하나, 순방향 진로 손실 값은 스케줄링 우선순위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가중치W1(1205)은 다른 가중치(1207, 1209)과는 달리 음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 곱셈기(1206)로는 순방향 진로 손실 값의 역이 입력될 수 있다.
우선순위 계산부(1213)에서는 상기 가중치가 곱해진 값들을 합하여 가중 합을 구하고 상기 가중합에 따른 해당 셀의 우선순위(1214)를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는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1217)로 입력한다.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1217)는 상기 단말의 활동 조합에 속한 모든 셀들에 대한 우선 순위(1214,1215,1216)를 입력받고, 상기 가중 합들(1214,1215,1216)을 비교하여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또는 상기 가장 높은 가중 합을 가지는 셀을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단말은 각 기지국의 셀들에 대해 합산된 진로 손실값과, 합산된 RoT 값과 합산된 ACK비율 값에 대한 가중 합을 구하고,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해 구해진 가중 합들을 비교하여 최대의 가중 합을 가지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한다.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1217)는 상기 도 12에 나타낸 방법 혹은 앞서 설명한 다른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E-DCH 송신부(1219) 및 제어정보 송신부(1221)로 전달한다. 제어정보 송신부(1221)는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를, 단말과 통신하는 복수의 셀들로 통지하며, E-DCH 송신부(1219)는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에 따라 최적 스케줄링 셀 및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을 인식하며,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및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하는 스케줄링 할당 정보 혹은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E-DCH 전송율을 결정하고 E-DCH 데이터를 전송한다.
2. 최적 스케줄링 셀/기지국 ID의 통지
상기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함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들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정한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통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우선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함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최적 스케줄링 셀이 선택되는데, 단말은 셀 ID를 이용하여 시스템에게 최적 스케줄링 셀의 셀 ID를 알려주고, 시스템은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의 셀 ID와 일치하는 셀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은 셀 ID들의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이 필요하게 된다. 즉, 단말과 기지국들이 동일한 셀 ID를 가지고 있어야, 단말은 셀 ID를 이용하여 최적 스케줄링 셀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시스템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13을 이용하여 상기 셀 ID의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1301)은 기지국(1302)에 속한 셀과 송수신 관계에 있으며, 기지국 (1302)은 Iub 연결을 통해 DRNC(1303)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1301)을 제어하는 SRNC(1304)가 DRNC(1303)와 Iur 연결을 이루고 있다. E-DCH의 설정을 위해서는 SRNC(1304)가 DRNC(1303)로 RNSAP(Radio Network Subsystem Application Part protocol) 시그널링을 위한 RADIO LINK SETUP REQUEST 메시지(1310)을 보내면 DRNC(1303)는 상기 RADIO LINK SETUP REQUEST 메시지(1310)에 포함된 정보를 NBAP 시그널링을 위한 RADIO LINK SETUP(1311)을 통해 기지국(1302)으로 전달한다. 상기 RADIO LINK SETUP 메시지들(1310,1311)에는 상기 단말(1301)이 통신할 수 있는 셀들에 대한 셀 정보가 포함되게 되는데, 상기 셀 정보에는 상기 셀들의 셀 ID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RADIO LINK SETUP 메시지(1311)을 수신한 기지국은 NBAP 메시지인 RADIO LINK SETUP RESPONSE 메시지(1312)를 통해 DRNC(1303)으로 응답을 보내고, DRNC(1303)는 SRNC(1304)로 RNSAP 시그널링을 위한 RADIO LINK SETUP RESPONSE 메시지(1313)로 응답한다. 상기 과정은 상기 단말(1301)이 가지고 있는 활동 조합에 포함되는 모든 셀들에게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SRNC(1304)은 단말(1301)에게 상기 단말(1301)의 활동 조합에 포함된 각 셀들의 셀 ID로 다시 알려주기 위해 RRC 시그널링을 위한 RADIO BEARER SETUP 메시지(1314)을 이용하여 단말(1301)에게 각 셀들에 부여된 셀 ID를 통지해 준다. 단말(1301)은 SRNC(1304)에게 RRC 시그널링을 위한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1315)를 보내주게 되어, 셀 ID의 설정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 단말(1301)을 제어하는 SRNC(1304)는 상기 단말(1301)의 활동 조합에 포함되는 각 셀이 속한 기지국의 대한 정보를 상기 도 13의 RADIO BEARER SETUP(1314)과 같은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해준다.
삭제
상기에서 최적 스케줄링 셀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 단말이 하기에 설명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하여 최적 스케줄링 셀의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기지국 ID를 선정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통신중인 기지국들로 알려준다.
첫 번째 방법으로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를 기존 전용 물리 제어 채널(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을 이용하여 기지국들에게 보낸다. 도 14를 통해 단말에서 정해진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을 DPCCH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해 주는 단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최적 스케줄링 셀/기지국 ID 선택기(1401)는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을 선택하고, 상기 셀 ID/ 기지국 ID는 채널에서의 강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호화기(1402)에서 채널 부호화한다.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다중화기(1406)에서 파일럿신호(1403), 전력 제어 신호(1404), 기타 신호(1405)등과 함께 다중화 되어 DPCCH(1407)를 이루게 된다. 상기 DPCCH 데이터(1407)는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데이터(1408), E-DPCCH (Enhanced DPCCH)(1409) 및 E-DPDCH(Enhanced Dedicated Physical Channel)(1410)와 함께 다중화기(1411)에서 다중화되고 변조기(1412)를 통해 변조된 후 송신기(1413)에 의해 기지국으로 역방향 전송된다. 여기서, E-DPDCH는 E-DCH가 매핑되는 물리채널이며, E-DPCCH는 E-DCH를 위한 제어 정보로서, 예를 들어 E-DPDCH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 등 운반하는 물리채널이다 .
삭제
두 번째 방법으로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를, 향상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E-DPCCH는 E-DCH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역방향 채널로, E-DPCCH에 포함되는 정보로는 HARQ 정보, 전송 블록 크기(TBS)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5를 통해 단말에서 정해진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을 E-DPCCH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해 주는 단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최적 스케줄링 셀/기지국 ID 선택기(1501)는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을 선택하고, 상기 셀 ID/기지국 ID는 채널에서의 강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호화기(1502)에서 채널 부호화된다.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기(1506)에서 HARQ 관련 정보(1503), TBS 정보(1504), 기타 제어 정보(1505)등과 함께 다중화되어 E-DPCCH 데이터(1507)를 이루게 된다. 상기 E-DPCCH 데이터(1507)은 DPCCH 데이터(1508), DPDCH 데이터(1509), E-DPDCH 데이터(1510)과 함께 다중화기(1511)에서 다중화되고 변조기(1512)를 통해 변조된 후, 송신기(1513)에 의해 기지국으로 역방향 전송된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를 E-DCH의 MAC-e PDU(Protocol Data Unit)에 포함시켜서 전송한다. E-DCH의 MAC 구조는 도 16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부분인 MAC-e SDU(1602)는 HARQ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MAC-e 헤더(1601)과 합해져서 MAC-e PDU(1604)를 이루게 된다. 즉 여기서 MAC-e 헤더(1601)는 MAC-e PDU(1604)의 헤더에 위치하는 정보라기 보다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MAC-e PDU(1604)는 CRC(1603)와 합해져서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블록(code Block(s))(1605)이 된다. 이때 단말은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ID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를 상기 MAC-e 헤더(1601)에 포함시켜서 전송하며, 기지국은 상기 MAC-e 헤더(1601)를 수신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자신이 최적 스케줄링 셀을 포함하거나 또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MAC-e PDU를 이용하는 경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 ID를 송신하는 제어정보 송신부를 E-DCH 송신부와 일치하게 된다.
3. 스케줄링 수행
하기에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이 최적 스케줄링 셀 혹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여 시그널링한 후,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과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구체적인 스케줄링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스케줄링에 있어서 가장 큰 권한을 가진다. 즉,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시간 전송율 스케줄링을 위해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이용하거나, 전송율 스케줄링을 위해 레이트 그랜트를 이용하고, 또한 시간 전송율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할당 정보와 전송율 스케줄링을 위한 레이트 그랜트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단말의 활동 조합에는 포함되지만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아닌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에 있어서 큰 권한을 갖지 못한다. 즉,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자신의 역방향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능동적으로 할당하기 보다는 상기 단말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수동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하기에서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다.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지만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에 비하여 역방향 수신으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이러한 자원 상황을 효율적으로 고려한 스케줄링을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두 가지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1비트의 신호를 이용하여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무시(Don't Care) 정보와 내림(DOWN)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한 비트의 스케줄링 그랜트 정보를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상기 단말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무시 정보를 의미하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만을 이용하여 E-DCH의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한다. 반대로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 정보를 의미하면, 상기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무시하고, E-DCH의 전송율을 한단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는 한 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할 확률이 가장 큰 정보를 미전송(DTX) 방법을 취한다. 즉, 무시 정보가 내림 정보에 비해 발생할 확률이 크다면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무시 정보를 '0'값으로 나타내고, 내리 정보는 '+1' 또는 '-1' 값을 이용하여 물리 채널로 전송한다. 내림 정보의 발생 확률이 더 크다면 상기 방법은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두 개 이상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단말은 수신한 두 개 이상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한다.
OR of "DOWN" 방법을 사용할 경우, 수신한 스케줄링 그랜트 중 한 개라도 내림(DOWN) 정보이면, 단말은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DOWN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가중 합 방법을 사용할 경우, 단말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그랜트 값들을 해당 기지국별로 설정된 가중치들과 각각 곱하여 합산한 후, 스케줄링 그랜트의 가중 합(weighted combined scheduled grant)이 무시인지 내림인지에 따라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각 기지국별로 설정된 가중치와 곱해지는 스케줄링 그랜트 값은 실수를 나타내는 연판정 값(soft decision value), 또는 정수를 나타내는 경판정 값(Hard decision value)이다.
두 번째 방법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세 가지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1비트의 신호를 이용하는 스케줄링 방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무시(Don't Care) 정보와 내림(DOWN) 정보, 그리고 경계(MARGINAL)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1비트의 스케줄링 그랜트 정보를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상기 단말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무시 정보를 의미하면,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만을 이용하여 E-DCH의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한다. 반대로 비최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 정보를 의미하면, 상기 단말은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은 무시하고, E-DCH의 전송율을 한단계 감소시키게 된다. 또,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경계 정보를 의미하면, 단말은 확률적인 방법을 통하여 E-DCH의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은 랜덤 값을 발생시켜 상기 랜덤 값이 미리 설정된 제 1기준값보다 큰 경우는 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따르고, 미리 설정된 제 2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는 E-DCH의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며, 상기 랜덤 값이 상기 제1기준값과 상기 제2기준값의 사이인 경우는 E-DCH의 전송율을 유지한다.
스케줄링 그랜트는 한 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할 확률이 가장 큰 정보를 미전송(DTX)으로 나타낸다. 즉, 무시 신호가 다른 정보들에 비해 발생할 확률이 크다면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무시 정보를 '0'의 값으로 나타내고, 내림 정보는 '+1', 그리고 경제 정보는 '-1' 값을 이용하여 물리 채널로 전송한다. 반명 내림 정보 또는 경계 정보의 발생 확률이 크다면, 상기 가장 큰 확률의 정보를 미전송으로 나타낸다.
삭제
두 개 이상의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두 개 이상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단말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한다.
첫 번째로 OR of Worst 방법을 사용한다. 즉 수신한 스케줄링 그랜트 중 한 개라도 DOWN 이면 단말은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DOWN으로 판단하고, 한 개라도 경계 정보이면 단말은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경계'로 판단하며, 모든 스케줄링 그랜트가 무시 정보이면 단말은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무시'로 판단한다.
두 번째로 가중 합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단말은 비최적 스케줄링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그랜트 값들을 해당 기지국 별로 설정된 가중치들과 각각 곱하여 합산한 후 가중합(weighted combined)된 스케줄링 그랜트 값이 무시와 내림, 혹은 경계인지에 따라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각 기지국별로 설정된 가중치와 곱해지는 스케줄링 그랜트 값은 실수 나타내는 연판정 값(soft decision value), 또는 정수를 나타내는 경판정 정수 값(Hard decision value)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은 어느 정도 구체적일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 한정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방법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삭제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E-DCH를 사용하는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율 스케줄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단말의 활동 조합에 속한 기지국 중에서 손실 지연, 역방향 부담 상황, HARQ 정보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스케줄링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최적의 스케줄링 기지국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laims (45)

  1.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복수개의 셀들과 통신하는 단말이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스케줄링할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셀들로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셀들 중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및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 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CDMA) 시스템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E-DCH)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셀들이 송신하는 공통 제어 파일럿 채널(CPICH)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 코드 전력(RSCP)과 상기 CPICH의 송신 전력 간의 차이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셀들의 RoT(Rise Over Thermal) 값을 나타내며, 상기 복수 개의 셀들로부터 방송채널(BCH) 혹은 전용채널(DCH)을 통해 상기 단말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K의 비율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수신한 긍정적 응답 신호(ACK) 및 부정적 응답 신호(NACK) 중 상기 ACK가 차지하는 비율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상기 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에 미리 정해지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셀들에 대한 가중 합들을 구하고, 상기 가중 합들에 따라 최고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셀을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상기 ACK의 비율 정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향상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통해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e PDU)에 실어 상기 복수 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크 그랜트 값들을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DOWN)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을 나타내지 않거나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이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에 해당하는 셀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들을 적용하여 계산된 스케줄링 그랜트의 가중 합이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DOWN)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무시(Don't Care)를 나타내거나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성가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경계(Marginal)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지는 기준값들에 따라 확률적으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거나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이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경계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이 모두 무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무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에 해당하는 셀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들을 적용하여 계산된 스케줄링 그랜트의 가중 합에 따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 경계 혹은 무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복수개의 셀들과 통신하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스케줄링할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하는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제어정보 송신부와,
    상기 복수개의 셀들 중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및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셀들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 시스템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E-DCH)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셀들이 송신하는 공통 제어 파일럿 채널(CPICH)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 코드 전력(RSCP)과 상기 CPICH의 송신 전력 간의 차이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들의 RoT(Rise Over Thermal) 값을 나타내며, 상기 복수의 셀들로부터 방송채널(BCH) 혹은 전용채널(DCH)을 통해 상기 단말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CK의 비율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수신한 긍정적 응답 신호(ACK) 및 부정적 응답 신호(NACK) 중 상기 ACK가 차지하는 비율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는,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상기 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에 미리 정해지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셀들에 대한 가중 합들을 구하고, 상기 가중 합들에 따라 최고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셀을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선택기는,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상기 ACK의 비율 정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송신부는,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을 통해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송신부는,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향상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통해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송신부는,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e PDU)에 실어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DOWN)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고,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을 나타내지 않거나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고,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이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에 해당하는 셀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들을 적용하여 계산된 스케줄링 그랜트의 가중 합이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내림(DOWN)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고,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무시(Don't Care)를 나타내거나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성가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고,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가 경계(Marginal)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지는 기준값들에 따라 확률적으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거나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한 단계 감소시키고,
    상기 역방향 전송율을 이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셀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으로 결정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경계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레이트 그랜트 값들이 모두 무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무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로부터 수신한 레이트 그랜트 값들에 해당하는 셀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들을 적용하여 계산된 스케줄링 그랜트의 가중 합에 따라, 상기 최종 스케줄링 그랜트를 내림, 경계 혹은 무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3.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중인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통신하는 복수의 셀들 중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은,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와,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 혹은 선택되지 않은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을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율을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 시스템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E-DCH)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진로 손실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셀들이 송신하는 공통 제어 파일럿 채널(CPICH)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 코드 전력(RSCP)과 상기 CPICH의 송신 전력 간의 차이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들의 RoT(Rise Over Thermal) 값을 나타내며, 상기 복수의 셀들로부터 방송채널(BCH) 혹은 전용채널(DCH)을 통해 상기 단말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ACK의 비율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수신한 긍정적 응답 신호(ACK) 및 부정적 응답 신호(NACK) 중 상기 ACK가 차지하는 비율 값으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향상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셀 ID를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e PDU)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을 통해 상기 할당된 전송율을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할당된 전송율에 따라,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을 통해 내림(DOWN) 혹은 무시(Don't Care)을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할당된 전송율에 따라, 상기 비최적 스케줄링 셀들을 통해 내림(DOWN), 무시(Don't Care) 혹은 경계(Marginal)를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4. 향상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과 통신하는 노드 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상기 단말이 순방향 진로 손실과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택한 해당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율을 나타내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최적 스케줄링 셀과,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상기 단말이 순방향 진로 손실과 역방향 부담 상황 정보와 긍정적 응답 신호(ACK)의 비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택한 해당 최적 스케줄링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무시(Don't Care) 혹은 내림(Down)을 의미하는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비최적 스케줄링 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최적 스케줄링 셀의 상기 레이트 그랜트 정보를 따를 것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40062162A 2004-05-04 2004-08-06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4636A JP2005328525A (ja) 2004-05-04 2005-05-02 上りリンク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端末機の最適のスケジューリングセル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0050009839 EP1594335A2 (en) 2004-05-04 2005-05-04 Cell select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from a user equipment during soft handover
US11/121,008 US20050249164A1 (en) 2004-05-04 2005-05-04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erving scheduling cell for soft handover user equipment in an uplink packet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553 2004-05-04
KR20040031553 2004-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351A KR20050106351A (ko) 2005-11-09
KR100772129B1 true KR100772129B1 (ko) 2007-11-01

Family

ID=3535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1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2129B1 (ko) 2004-05-04 2004-08-06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2129B1 (ko)
CN (1) CN1694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680B1 (ko) 2008-02-06 2016-05-23 아이디티피 홀딩스, 인크. 강화된 업링크 fach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 처리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6840B2 (en) * 2003-10-17 2010-06-29 Nec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100866348B1 (ko) * 2004-07-26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7561550B2 (en) 2004-07-2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KR100933149B1 (ko) * 2006-02-11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성 대역폭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방송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059728B2 (en) 2006-02-11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channels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scalable bandwidth
CN100446626C (zh) * 2006-03-27 2008-12-2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上行分组接入技术的服务小区确定方法
CN1984058B (zh) * 2006-04-18 2010-09-2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高速上行分组接入的服务调度更新方法及其系统
KR101151817B1 (ko) * 2006-05-03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US8917673B2 (en) 2006-07-14 2014-12-23 Qualcomm Incorporation Configurable downlink and uplink channels for improving transmission of data by switching duplex nominal frequency spacing according to conditions
KR100749821B1 (ko) 2006-09-21 2007-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티브 셋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다단계 호수락 제어 방법
KR100926363B1 (ko) * 2007-08-23 2009-11-10 주식회사 케이티 링크 균형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8929B1 (ko) * 2008-02-19 2010-05-19 주식회사 케이티 셀 방송 서비스에서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01651910A (zh) * 2008-08-12 2010-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重选指示的发送方法
CN101873657B (zh) 2009-04-23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估算邻区上行信号质量的方法和切换优化方法
WO2011060566A1 (en) * 2009-11-20 2011-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user equipment for improving an snpl reporting mechanism
CN101790215B (zh) * 2009-12-30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调度方法、装置和基站
EP2343849B1 (en) * 2010-01-07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eatures of uplink reference signals
CN103458484A (zh) * 2013-09-11 2013-12-18 昆山奥德鲁自动化技术有限公司 基于异步转频的wcdma调度方法
CN115719100A (zh) 2021-08-24 2023-02-28 爱德万测试股份有限公司 云端仪器预约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9940A1 (en) 2000-11-22 2002-05-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MTS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on uplink channels
KR20030076702A (ko) * 2001-02-23 2003-09-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소프트 및 소프터 핸드오프 동안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링크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JP2003304567A (ja) 2002-04-08 200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無線基地局装置
KR20040074015A (ko) * 2003-02-15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9940A1 (en) 2000-11-22 2002-05-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MTS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on uplink channels
KR20030076702A (ko) * 2001-02-23 2003-09-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소프트 및 소프터 핸드오프 동안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링크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JP2003304567A (ja) 2002-04-08 200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無線基地局装置
KR20040074015A (ko) * 2003-02-15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680B1 (ko) 2008-02-06 2016-05-23 아이디티피 홀딩스, 인크. 강화된 업링크 fach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 처리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351A (ko) 2005-11-09
CN1694571A (zh)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129B1 (ko) 역방향 패킷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최적 셀 선정 방법 및 장치
US20050249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erving scheduling cell for soft handover user equipment in an uplink packet transmission system
EP1775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1007134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을 통한 스케쥴링 정보의 전송방법
KR100689450B1 (ko)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단말들의 상태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US7738508B2 (en) Packet switched connections using dedicated channels
EP1838125B1 (en) Efficient rise over thermal (RoT) control during soft handover
US7821977B2 (en) Determining data amounts for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with a user equipment
KR100819256B1 (ko)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 정보를전송하기 위한 전력의 설정 방법 및 장치
EP1655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transmission for a mobile station in soft handover reg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819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용 물리 채널들의 이득인자 설정방법 및 장치
US8644246B2 (en) Scheduling information at serving cell change
KR20080010424A (ko) E―dch를 통하여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EP16224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KR101174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290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을 위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0866348B1 (ko)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Ranta‐Aho et al. HSUPA principles
KR20060054658A (ko)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단말의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방법및 장치
KR20060115292A (ko) 역방향 패킷을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의 스케쥴링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