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4834A -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834A
KR20040064834A KR1020030001697A KR20030001697A KR20040064834A KR 20040064834 A KR20040064834 A KR 20040064834A KR 1020030001697 A KR1020030001697 A KR 1020030001697A KR 20030001697 A KR20030001697 A KR 20030001697A KR 20040064834 A KR20040064834 A KR 2004006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transition
transition probability
reverse
transition probab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훈
윤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4834A/ko
Priority to US10/754,602 priority patent/US20040213182A1/en
Publication of KR2004006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별로 순방향 수신신호대잡음비 또는 순방향 처리율에 의해 역방향 채널상태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된 역방향 링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현재의 전송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선택된 하나의 천이확률에 따라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는 확률적으로 높은 전송율을 사용하도록 하고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단말기는 낮은 전송율을 사용하도록 하여, 전체 단말기의 출력 소모를 줄이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낮추어 역방향 링크의 처리율을 향상시키며 역방향 부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DATA R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시 역방향 링크 부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웹(WEB), FTP(File Transfer Protocol), 동영상 등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무선환경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트래픽은 매우 비대칭적인 특성을 지닌다.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사용자로 이동하는 트래픽의 양은 사용자로부터 서버로 이동하는 트래픽의 양에 비해 매우 크다. 이동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고려하면 서버는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되므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는 순방향 링크의 트래픽 양이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역방향 링크의 트래픽 양에 비해 매우 크다.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의 CDMA2000 1x EV-DO(Evolution - Data Only) 또는 HRPDA(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와 1x EV-DV(Evolution - Data and Voice),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규격들은 이러한 비대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특히 EV-DO는 순방향 링크에서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Modulation), 8PSK(8-ary Phase Shift Keying)와 같은 고차(high-order)의 변조방식 및 부호율(coding rate)을 사용하며, 적응형 변조 및 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MCS), 복합 자동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팻-파이프(fat-pipe) 스케줄링을 이용한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Multi-user diversity)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의 처리율(Throughput)을 얻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역방향 링크에서는 패킷 데이터의 돌발적(Burst) 특성을 고려한 스케줄링과 부하(Load) 제어 방식을 적용한다.
도 1은 통상적인 EV-DO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역방향 트래픽 채널(100)은 파일럿 채널(110)과 MAC(Medium Access Control) 채널(120)과 ACK(Acknowlegement) 채널(130)과 데이터 채널(140)로 구성되며 MAC 채널(120)은 RRI(Reverse Rate Indicator) 채널(122)과 DRC(Data Rate Control) 채널(124)로 더 세분된다.
파일럿 채널(110)은 트래픽 채널에 대한 동기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등을 위해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RRI 채널(122)은 트래픽 채널의 전송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하며 DRC 채널(124)은 순방향 링크에서의 적응형 변조 및 부호화(AMSC)를 위해 순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Feedback)한다. ACK 채널(130)은 복합-ARQ를 지원하기 위해 순방향 링크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오류 여부를 표시하는 ACK/NACK를 전송한다. 데이터 채널(140)은 사용자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100)은 9.6 kbps, 19.2kbps, 38.4 kbps, 76.8 kbps, 153.6 kbps 등 6가지의 전송율을 지원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단말기들의 역방향 트래픽 채널 전송율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역방향 링크의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EV-DO 이전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를 가지고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들의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들에게 상기 결정된 전송율을 알리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시간지연이 크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의 돌발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트래픽 및 채널 정보를 적시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역방향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즉 전송율)가 순방향 링크를 통해 전달되므로 순방향 링크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EV-DO에서는 기지국이 프레임단위로 역방향 부하를 측정하여 전송율을 높여야 하는지 또는 낮추어야 하는지 알려주면 단말기가 확률적인 방법으로 전송율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RAB(Reverse Activity Bit)와 천이확률(Transition probability) 및 제한 전송율(Rate Limit)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RAB는 매 순방향 프레임에 포함되는 1비트의 정보로서 역방향 전송율을 높이거나 낮출 것을 지시한다. 기지국은 역방향 링크 부하를 관찰하고 RAB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역방향 부하를 제어한다. 즉, 역방향 링크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을 때는 RAB를 '0'으로 설정하여 전송율을 높이도록 지시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높을 때는 RAB를 '1'로 설정하여 전송율을 낮추도록 지시한다.
천이확률에는 각 전송율별로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과 하위 전송율로의천이확률이 있다. 단말기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전송율을 결정할 때 0에서 1사이의 난수(Random number)를 발생시키고 상기 난수를 RAB에 따라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이하 상위 천이확률이라 칭함) 또는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이하 하위 천이확률이라 칭함)과 비교하여 현재 전송율을 변경하거나 유지한다.
상위 천이확률은 현재 전송율에 따라 Transition009k6_019k2, Transition019k2_038k4, Transition038k4_076k8 및 Transition076k8_153k6으로 표현된다. 대표적으로 Transition019k2_038k4는 현재 전송율이 19.2kbps 일 때 38.4kbps로 높일 수 있는 천이 확률을 뜻한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AB가 '0' 이면, 발생시킨 난수를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상위 천이확률과 비교하여 이보다 작으면 바로 다음의 상위 전송율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의 전송율을 유지한다.
하위 천이확률은 현재 전송율에 따라 Transition019k2_009k6, Transition038k4_019k2, Transition076k8_038k4 및 Transition153k6_076k8로 표현된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AB가 '1' 이면, 발생시킨 난수를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위 천이확률과 비교하여 이보다 작으면 바로 다음의 하위 전송율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의 전송율을 유지한다.
제한 전송율(RateLimit) 파라미터는 역방향 링크에서 단말기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율로서,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동기제어채널(Synchronous control channel)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중인 모든 단말기들에게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매 768 슬롯마다) 방송되거나 별도의 지정된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별로 전송된다.
상기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의한 스케줄링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현재 전송율(Current Rate)은 스케줄링 이전 프레임의 전송율(최초 전송시에는 0임)을 가리키고, 최대 전송율(Max Rate)은 스케줄링 이후 할당 가능한 최대 전송율을 가리키며, 새 전송율(New Rate)은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전송율을 가리킨다.
1. 단말기는 소프트 핸드오프에 의해 통신중인 모든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RAB들을 OR 연산하여 결합혼잡비트(Combined Busy Bit: CBB)를 생성한다.
2. 단말기는 0에서 1사이에서 균일한(Uniform) 분포를 갖는 난수 X를 발생시키고 도 2에 나타낸 조건표를 참조하여 상기 발생된 난수에 대해 현재 전송율과 결합혼잡비트에 따라 주어지는 조건이 참(True)이면 참의 최대 전송율(Max Rate True)을 최대 전송율로 결정하고 거짓(False)이면 거짓의 최대 전송율(Max Rate False)을 최대 전송율로 결정한다.
3. 새 전송율은 상기 결정된 최대 전송율과 미리 정해진 제한 전송율 중 크지 않은 값으로 정해진다.
4. 단말기는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에 따라 상기 정해진 새 전송율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만일 불가능하면 새 전송율을 전송 가능한 최대 전송율로 낮춘다.
5. 또한 단말기는 전송할 사용자 데이터의 양이 상기 정해진 새 전송율에 따라 전송 가능한 양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 만일 작으면 새 전송율을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모두 전송할 수 있는 최소 전송율로 낮춘다.
6. 4.5 과정들을 통해 최적화된 새 전송율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전송율이 19.2kbps이고, 소프트 핸드오프중인 모든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RAB들이 '0'이고, Transition019k2_038k4 값이 0.3이고, 제한 전송율이 153.6kbps 인 경우, 결합혼잡비트(CBB)는 '0'이므로 도 2의 4번째 줄에 해당한다. 여기서 발생된 난수 X가 0.2이라면 조건이 참이 되므로 최대 전송율은 38.4kbps가 된다. 만일 앞서 언급한 송신출력과 패킷 데이터 양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었다면 다음 프레임의 새 전송율은 38.4 kbps로 결정된다.
한편 기지국은 역방향 부하 또는 ROT(Rise Over Thermal)등을 측정하여 RAB를 결정한다. 여기서 ROT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ROT는 열잡음(Thermal noise) 전력에 대한 총수신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지국이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 j번째 안테나에 대한 ROT Zj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IO는 총 수신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로서 해당하는 셀에 속한 단말기들로부터의 수신전력 ISC와 인접한 다른 셀들에 속한 단말기들로부터의 수신전력 IOC및 열잡음 전력 NO의 합이다. 기지국은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j번째 안테나에 대한 ROT Zj를 계산하고, 안테나 별로 계산된 ROT들 중 최대값이 미리 정해지는 기준값 ZT보다 크면 RAB를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RAB를 '0'으로 설정한다.
상기한 역방향 링크의 전송율 제어방식은 순방향 링크와 달리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채널 정보를 활용하지 않는다. 순방향 링크에서는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된 순방향 채널의 상태, 즉 수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가지고 기지국이 채널 상태를 파악하여,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더 높은 전송율을 할당한다. 이에 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율이 제어되는 역방향 링크에서는 채널 상태와 관계없이 모든 단말기들에 동일한 천이확률과 RAB, 제한 전송율을 적용하며, 모든 단말기들에서 동일한 확률로 전송율이 결정된다.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는 그렇지 않은 단말기에 비해 같은 전송율에 대해서도 더 작은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또한 특정 기지국에 대해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는 다른 기지국과는 상대적으로 멀고 좋지 않은 채널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으로 비교적 적은 간섭을 발생시킨다. 만약 기지국에 가까운(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높은 전송율을 할당하면 셀 경계 근처의 단말기에 높은 전송율을 할당하는 것보다 셀간 간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식은 역방향 링크의 채널 정보를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셀간 간섭이 크고 처리율을 저하시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기존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방식은 순방향의 전송율과 연계되어있지 않으므로 역방향 처리율이 작아져서 상위 응용계층들 간 프로토콜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면 순방향 처리율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위 응용계층에서 역방향 링크를 통한 빠른 응답(Acknowledgement)을 필요로 하나 역방향 처리율이 작아 지연되고 있다면 순방향 처리율도 제한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역방향 링크 처리율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상위 응용계층의 프로토콜 등에 따라 순방향 링크 처리율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순방향 처리율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순방향 처리율을 제한한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천이확률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처리율을 높이기 위하여 채널 상태에 따라 천이확률을 변경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에 대해 소정 시간구간 동안의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구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에 대해 소정 시간구간 동안의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을 구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데이터 처리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EV-DO 시스템의 역방향 트래픽 채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역방향 전송율의 결정을 나타낸 조건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역방향 전송율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천이확률 집합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단말기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을 이용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을 이용한 단말기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전송율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위 전송율 및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들을 조절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순방향 파일럿 채널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천이확률 집합(set)을 이용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을 가지고 있으며 순방향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따라 지정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을 가지고 있으며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에 따라 지정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이용한 역방향 전송율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나타낸 동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각각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천이확률들을 가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위 천이확률이란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이란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과정(200)에서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고 과정(210)에서 상기 수신된 순방향 파일럿 채널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계산한다. 상기 신호대잡음비는 순방향 링크의 잡음과 간섭을 모두 포함하여 계산되는 것이다. 과정(220)에서 상기 계산된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대하여 소정 시간동안 저대역통과 필터링 등에 의해 평균 신호대잡음비가 구해지면, 상기 단말기는 과정(230)에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구해진 평균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고 과정(240)에서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순방향 파일럿 채널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며, 이에 따라 해당하는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여 역방향 링크 전송율을 제어한다. 순방향 파일럿 채널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대잡음비는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는 순방향 링크에서 적응적 변조및부호화(AMCS) 및 스케줄링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순방향 신호대잡음비를 활용한다.
수신 신호대잡음비는 1x EV-DO에 따른 DRC(Data Rate Control) 또는 1x EV-DV와 HSDPA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으로 대응된다. 여기서 DRC나 CQI는 모두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상태, 즉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기지국으로 보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천이들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구하여 평균을 계산할 수 있다.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잡음비는 채널손실 및 간섭량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채널손실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장기간손실(Long-term loss)과 단기간손실(Short-term loss)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채널손실) = (장기간손실) * (단기간손실)
장기간손실은 전파손실(Propagation loss) 및 음영(Shadowing)에 의한 손실로서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거리 및 주변환경에 의해 발생하며, 순방향 링크와 역방향 링크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단기간손실은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해 발생하고이동속도 및 사용 주파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서로 다른 대역을 사용하는 순방향 링크와 역방향 링크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단기간손실 때문에 순방향 링크의 채널손실로부터 역방향의 채널손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순방향 링크의 채널손실에 대해 장시간 평균을 취하면, 단기간손실이 평균화되어 장기간손실을 추정할 수 있고 이 추정 값은 역방향 링크의 장기간손실에 근사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순방향 파일럿 채널에 대해 측정한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장시간 평균을 구하여 장기간손실을 고려한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이를 역방향 전송율 제어에 활용한다. 수신 신호대잡음비의 평균을 구하기 위한 시간구간은 단기간손실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기간으로 설정되며 시스템 특성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구해진다. 일 예로서 상기 시간구간은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상관시간(coherence time)의 10배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가 통신하고 있는 복수의 기지국들 중 k번째 기지국에 대한 장기간 평균 신호대잡음비 SNRk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αi는 i번째 기지국에 대한 장기간손실(또는 이득)이고 Ior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으로 여기에서는 단말기가 통신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들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 한다. NO는 상기 k번째 기지국의 열잡음 전력이다. 열잡음을 무시한다고 하면 상기 <수학식 3>의 분자는 k번째 기지국에 대한 채널손실(또는 이득)이고 분모는 다른 기지국들에 대한 채널손실(또는 이득)의 합이 된다.
분자가 클수록 k번째 기지국에 대한 채널손실이 작으므로 단말기에서 높은 역방향 전송율을 사용할 때 필요한 송신 전력이 작아지며, 분모가 작을수록 다른 기지국에 대한 채널손실이 크므로 단말기에서 같은 전력을 사용할 때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이 적어진다. 즉 신호대잡음비가 큰 단말기에 높은 전송율을 할당하면 같은 전송율에 대해 단말기의 출력을 절약하면서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에 의하여 단말기가 선택할 수 있는 천이확률 집합들의 일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가능한 전송율은 9.6 kbps, 19.2kbps, 38.4 kbps, 76.8 kbps, 153.6 kbps의 6가지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AB(Reverse Activity Bit)와 천이확률(Transition probability) 및 제한 전송율(Rate Limit)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6가지 전송율들 중 하나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집합 1의 경우 상위 천이확률들은 Transition009k6_019k2 = 3/4, Transition019k2_038k4 = 1/4, Transition038k4_076k8 = 1/8 및 Transition076k8_153k6 = 1/8이고, 하위 천이확률들은 Transition019k2_009k6 = 1/64, Transition038k4_019k2 = 1/64, Transition076k8_038k4 = 1/32및 Transition153k6_076k8 = 1/32이다.
하기의 <표 1>에는 상기 도 4를 참조한 신호대잡음비와 천이확률 집합들 간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순방향 신호대잡음비 천이확률 집합
-5dB 이하 집합 4
-5 ~ 0 dB 집합 3
0 ~ 5 dB 집합 2
5 dB 이상 집합 1
순방향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상위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은 크고 하위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은 작은 천이확률 집합을 할당한다. 그러면 순방향 신호대잡음비가 큰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율을 사용하게 되며 작은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율을 사용하게 되어, 단말기 전체 출력의 합을 크게 낮추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순방향과 역방향 처리율(Throughput)을 높이고 역방향 한계 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천이확률 집합이 선택되면,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프레임에 포함된 RAB의 값을 확인하여 '0'이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에서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상위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상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다음의 상위 전송율로 천이한다. 반면 RAB의 값이 '1'이면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위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0과 1 사이에서 임의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하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다음의 하위 전송율로 천이한다.
이후 단말기는 상기 천이된 전송율과 미리 정해지는 제한 전송율 및 사용 가능한 송신 출력과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양에 따라 역방향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역방향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단말기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파일럿 채널수신기(300)는 순방향 링크에서 파일럿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며, 신호대잡음비 측정기(310)에서는 상기 복조한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한 신호대잡음비를 계산한다. 평균 계산기(320)는 상기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에 대하여 장기간 평균을 구한다. 천이확률 집합 선택기(330)에서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평균 계산기(320)에 의해 구해진 평균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며,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340)는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의 전송율을 결정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Throughput)을 이용한 역방향 전송율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나타낸 동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각각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천이확률들을 가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위 천이확률이란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이란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낸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과정(400)에서 소정 시간구간 동안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고 과정(410)에서 상기 수신된 순방향 데이터 채널 신호의 처리율을 계산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과정(420)에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구해진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고 과정(430)에서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단말기별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을 활용한다. 각 단말기의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은 순방향 링크의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다르나 셀 내의 단말기 수와 해당 단말기의 순방향 링크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역방향 전송율을 결정할 때, 셀 내 단말기 수가 적으면 단말기 당 역방향 전송율을 높일 수 있고 많으면 단말기 당 역방향 전송율을 낮추어야 한다. 또한 평균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큰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율을 사용하고 신호대잡음비가 작은 단말기가 낮은 전송율을 사용하도록 하면 같은 전송율에 대해 단말기의 출력을 낮추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순방향 링크의 단말기 별 처리율은 일반적으로 단말기 수와 해당 단말기의 순방향 링크의 평균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셀 내의 단말기 수가 작을수록 커지며 해당 단말기의 순방향 링크의 평균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커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순방향 처리율을 역방향 전송율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즉, 해당 단말기의 순방향 처리율이 높으면 높은 전송율을 할당하고 낮으면 낮은 전송율을 할당하면 같은 전송율에 대해 단말기의 출력을 낮추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줄이며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기의 <표 2>는 순방향 링크 처리율과 천이확률 집합 간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천이확률 집합들을 고려하였다.
순방향 처리율 천이확률 집합
30 kbps 이하 집합 4
30 ~ 100 kbps 집합 3
100 ~ 300 kbps 집합 2
300 kbps 이상 집합 1
여기서 순방향 처리율은 단말기 별로 수신한 데이터 양을 시간으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방향 처리율이 클수록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은 크고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은 작은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한다. 그러면 순방향 처리율이 큰 단말기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율을 사용하며 작은 단말가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율을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처리율(Throughput)을 이용한 단말기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채널 수신기(500)는 소정 시간구간 동안 순방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며, 처리율 계산기(510)에서는 상기 복조한 데이터 채널 신호에 대해 상기 소정 시간구간의 처리율을 계산한다. 그러면 천이확률집합 선택기(520)에서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계산된 처리율에 대응하는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며,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530)는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을 이용하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의 전송율을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데이터 채널의 전송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천이확률들에 대하여 단말기 별로 순방향 수신 신호대잡음비 또는 순방향 처리율에 의해 역방향 채널상태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천이확률을 다르게 적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기는 확률적으로 높은 전송율이 할당되도록 하고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단말기에 낮은 전송율이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같은 역방향 부하에 대해 전체 단말기의 출력의 합을 줄이고 다른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낮추어 역방향 링크의 처리율을 향상시키고, 역방향 부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Claims (14)

  1.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에 대해 소정 시간구간 동안의 평균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구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구하는 과정은,
    역방향 링크의 장기간손실을 추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간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파일럿 채널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대잡음비의 평균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전송율로 감소시키며,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전송율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에 대해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소정 시간구간 동안에 상기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대잡음비의 평균을 구하는 평균 계산기,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평균 수신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선택기와,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는,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전송율로 감소시키며,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전송율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데이터 채널에 대해 소정 시간구간 동안의 순방향데이터 처리율을 구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데이터 처리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을 구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시간구간 동안 수신된 데이터 양을 상기 시간구간으로 나누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이 클수록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이 클수록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전송율로 감소시키며,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전송율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데이터 채널에 대해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을 구하는 처리율 계산기와,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천이확률 집합들 중 상기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천이확률 집합을 선택하는 선택기와, 여기서 상기 천이확률 집합들은 각각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상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상위 천이확률들과 하위 전송율로의 천이확률을 나타내는 하위 천이확률들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현재의 전송율에 해당하는 하나의 천이확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에 따라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전송율들 중 하나의 전송율로 변경하는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이 클수록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하위 천이확률들은 해당 천이확률 집합에 대응하는 순방향 데이터 처리율이 클수록 더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기는,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하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전송율로 감소시키며,
    상기 역방향 전송율 제어 정보가 역방향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천이확률 집합 중 상기 현재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위 천이확률을 선택하여, 0과 1 사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된 난수가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의 전송율을 상기 선택된 상위 천이확률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전송율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0001697A 2003-01-10 2003-01-1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064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697A KR20040064834A (ko) 2003-01-10 2003-01-1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754,602 US20040213182A1 (en) 2003-01-10 2004-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r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acket dat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697A KR20040064834A (ko) 2003-01-10 2003-01-1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834A true KR20040064834A (ko) 2004-07-21

Family

ID=3735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697A KR20040064834A (ko) 2003-01-10 2003-01-1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48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91B1 (ko) * 2006-04-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효 전송량을 이용하여 ev-do망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00794B1 (ko) * 2005-07-0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6348B1 (ko) * 2004-07-26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7561550B2 (en) 2004-07-2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48B1 (ko) * 2004-07-26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7561550B2 (en) 2004-07-2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KR100800794B1 (ko) * 2005-07-0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792035B2 (en) 2005-07-01 2010-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te of voic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oice service via packet network
US8681625B2 (en) 2005-07-01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te of voic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oice service via packet network
KR100747691B1 (ko) * 2006-04-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효 전송량을 이용하여 ev-do망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131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r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acket data service
US8121072B2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US7215653B2 (en)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rate on the reverse link for each mobile station in a dedicated manner
US6611676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US7590181B2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US8442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s for delta-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30148780A1 (en) Transmission power correct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station
JP200910591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を送信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3533122A (ja) チャネル品質フィードバックを用いた動的伝送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US20070135131A1 (en) Call admission control device, and call admission control method
WO2004059870A2 (en) Method and system for a dynamic adjustment of a data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51126A1 (en) Method for allocating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4834A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JP439535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装置
KR100938087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3023395A (ja) 基地局通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WO200511736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plink scheduling
Xiao et al. 1/spl times/EV-DO system performance: analysis and simulation
JP2008245140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