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1631A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631A
KR20060001631A KR1020040050774A KR20040050774A KR20060001631A KR 20060001631 A KR20060001631 A KR 20060001631A KR 1020040050774 A KR1020040050774 A KR 1020040050774A KR 20040050774 A KR20040050774 A KR 20040050774A KR 20060001631 A KR20060001631 A KR 2006000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olymer
ion conductive
based polymer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799B1 (ko
Inventor
김희탁
권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799B1/ko
Priority to US11/155,850 priority patent/US20060003212A1/en
Priority to CNB2005100810141A priority patent/CN100402587C/zh
Priority to JP2005192708A priority patent/JP4565644B2/ja
Publication of KR2006000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membrane) 및 상기 고분자 막의 양 면에 코팅된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과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는 표면적이 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가 직접 증착 코팅되어 있어서, 촉매의 표면적이 크고,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 초극세 섬유, 전기방사법, 증착, 촉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ELECTRODE ASSEMBLY, FUEL CEL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일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미세기공층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 및 막-전 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적이 넒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효율이 우수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 전지, 용융탄산염 형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고분자 전해질형 또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 전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이들 중 근래에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탁월하며 작동 온도가 낮고 아울러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을 가지며,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 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PEMFC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택(stack), 개질기(reformer), 연료 탱크, 및 연료 펌프 등을 구비한다. 스택은 연료 전지의 본체를 형성하며,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한다.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 기체를 스택으로 공급한다. 따 라서, 이 PEMFC는 연료 펌프의 작동으로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하고, 이 개질기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며, 스택에서 수소 기체와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한편, 연료 전지는 액상의 메탄올 연료를 직접 스택에 공급할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방식의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개질기가 배제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분리판(Separator)(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으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 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고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전극"이라고 한다)이 접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분리판은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연료를 애노드 전극에 공급하고, 산소를 캐소드 전극에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과 각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애노드 전극에서는 연료의 전기 화학적인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캐소드 전극에서는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이 때 생성되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와 열 그리고 물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은 통상적으로 백금(Pt) 촉매를 포함한 다. 그러나, 상기 백금은 고가의 귀금속이므로 다량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종래에는 백금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백금을 탄소에 담지시킨 것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탄소에 담지된 백금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매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백금의 저장량에 한계가 있으며, 촉매층과 전해질막의 접촉상태가 좋지 못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막-전극 접합체의 촉매층 내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우수한 전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막-전극 접합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적이 넓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촉매의 표면적이 넓은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membrane), 및 상기 고분자 막의 양 면에 코팅된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 면에 증착 코팅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기체확산층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의 양면에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를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기체확산층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일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100)은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membrane)(101), 및 상기 고분자 막의 양 면에 코팅된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102)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101)은 통상적으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재료로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이며,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 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101)의 양 면에 코팅되는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102)는 0.01 내지 5 ㎛의 평균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0.5㎛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초극세 섬유의 직경이 0.01 ㎛ 미만인 경우에는 초극세섬유 제조시 전압이 너무 높아 공정이 어려우며,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적 증가의 효과가 적다 .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102)는 고분자 용융체(polymer melt) 또는 고분자 용액(polymer solution)에 전위차를 주어 방사하는 전기방사(elecctrospinning)법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102)는 통상적으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재료로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 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100)은 양 면의 표면적이 커서, 막-전극 접합체의 촉매층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고,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10)는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100),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0)의 양 면에 증착 코팅된 촉매층(110, 110'),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기체확산층(120, 120')을 포함한다.
상기 촉매층의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0.05 mg/cm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이 0.001 mg/cm2 미만인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출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0.5 mg/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매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은 10 내지 500 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전지의 산화/화원반응은 촉매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이 클수록 연료전지의 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이 10 m2/g미만인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며, 500 m2/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또는 백금-M 합금(M=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코발트 합금 또는 백금-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110, 110')의 양면에는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GDL)(120, 120')이 배치된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기체 및 산소기체를 상기 촉매층에 원활히 공급하여 촉매-전해질막-기체의 삼상계면의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소지(carbon paper) 또는 탄소천(carbon clot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매층(110, 110')과 기체확산층(120, 120') 사이에 수소기체 및 산소기체의 확산을 돕기 위해서, 미세기공층(micro porous layer:MP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미세기공층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미세기공층(121,121')은 수 ㎛ 이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탄소층인 것이 바람직하며, 흑연, 탄소나노튜브(CNT), 플러렌(C60), 활성탄소, 또는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촉매가 직접 증착 코팅된 촉매층을 포함하며, 촉매의 표면적이 넓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1)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10)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분리판(bipolar plate)(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의 양면에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를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기체확산층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은 통상적으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재료로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 며,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 벤즈이미다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전기방사법에 의해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의 양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electrospinning)법은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용융체 또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용액에 고전압을 걸어 주고, 수집판(collecting screen)을 접지(earth)하여 상기 고분자 용융체 또는 고분자 용액과 수집판 사이에 큰 전위차를 줌으로써, 초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상기 전기방사법은 방사와 동시에 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법으로 제조된 초극세 섬유는 매우 큰 표면적을 갖는다. 상기 전기방사법은 종래의 여러 문헌(Applied Chemistry, Vol.2, No.2, 1998)에서 공지된 방법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다만, 상기 전기방사법에서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용융체 또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용액에 걸리는 전압은 1 내지 1,000 kV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5 kV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를 증착하여 코팅함으로써, 촉매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은 단위면적당 0.001 내지 0.5 mg/cm2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0.05 mg/cm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촉매층은 통상적인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 열화학증착법(Thermal CVD),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VD; PECVD), 열증발법, 전기화학증착법 (electrochemical deposition) 또는 전자선(e-beam)증발법 등에서 선택되는 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증착방법이 상기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방법 중에서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또는 백금-M 합금(M=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코발트 합금 또는 백금-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는 기체확산층을 배치시킨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기체 및 산소기체를 상기 촉매층에 원활히 공급하여 촉매-전해질막-기체의 삼상계면의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소지(carbon paper) 또는 탄소천(carbon cloth)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기체 및 산소기체의 확산을 돕기 위해서, 상기 촉매층과 기체확산층 사이에 미세기공층을 추가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미세기공층은 미세기공이 형성된 탄소층인 것이 바람직하며, 흑연, 탄소나노튜브(CNT), 플러렌(C60), 활성탄소, 또는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막-전극 접합체는 촉매가 고분자 전해질막에 직접 증착 코팅된 촉매층을 포함하며, 촉매의 표면적이 넓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접지(earth)시킨 수집판(collecting screen)에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DuPont사의 NafionTM)을 위치시키고,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용액(DuPont사의 NafionTM solution)을 노즐 달린 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용액에 50 kV의 전압을 걸어 주었다. 전위차에 의해서 상기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용액이 방출되면서,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Nafion 112, Dupont)의 일면에 평균직경이 0.1 ㎛인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초극세 섬유가 코팅되었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의 다른 일면에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도 5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실시예 2(막-전극 접합체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백금을 스퍼터링 증착하여 단위면적당 0.04 mg/cm2의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층을 형성시켰다.
또한,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미세기공층을 입힌 2장의 탄소천(carbon cloth)을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배치시킴으로써,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연료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분리판(bipolar plate)를 배치하여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막-전극 접합체의 제조)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Nafion112) 위에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지 않고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백금을 스퍼터링 증착하여 단위면적당 0.04 mg/cm2의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층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와 같이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미세기공층을 입힌 2장의 탄소천 사이에 백금이 증착된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을 배치시켜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연료전지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분리판(bipolar plate)를 적층하여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과정에서 촉매층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실시예 2 비교예 1
촉매층의 비표면적(m2/g) 25 3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되는 막-전극 접합체의 촉매층의 비표면적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되는 막-전극 접합체에 비해 약 8배 이상 큰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의 양극과 음극에 100%로 가습된 산소와 수소를 각각 주입하고 60℃의 온도에서 전류밀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
실시예 3 비교예 2
0.6V 에서의 전류밀도(A/cm2) 1.3 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연료전지는 비교예 1의 연료전지에 비해 6배 이상 높은 전류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막-전극 접합체는 표면적이 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가 직접 증착 코팅되어 있어서, 촉매의 표면적이 크고,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7)

  1.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membrane), 및
    상기 고분자 막의 양 면에 코팅된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은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은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0.01 내지 5 ㎛의 평균직경을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전기방사(elecctrospinning)법으로 코팅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8. 제1항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 면에 증착 코팅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기체확산층
    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막-전극 접합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은 10 내지 500 m2/g인 막-전극 접합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M 합금(M=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탄소지(carbon paper) 또는 탄소천(carbon cloth)인 막-전극 접합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촉매층과 기체확산층의 사이에 미세기공층(micro porous layer:MPL)을 더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MPL)은 흑연, 탄소나노튜브(CNT), 플러렌(C60), 활성탄소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
  15. 제8항의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16.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의 양면에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촉매를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의 양면에 기체확산층을 배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은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 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은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퍼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 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는 단계는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으로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의 양면에 수소이온 전도성 초극세 섬유를 코팅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스퍼터링, 열화학증착법(Thermal CVD),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VD; PECVD), 열증발법, 전기화학증착법 및 전자선(e-beam)증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법으로 증착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M 합금(M=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탄소지(carbon paper) 또는 탄소천(carbon cloth)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과 기체확산층의 사이에 미세기공층(micro porous layer:MPL)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MPL)은 흑연, 탄소나노튜브(CNT), 플러렌(C60), 활성탄소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40050774A 2004-06-30 2004-06-30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10059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774A KR100599799B1 (ko) 2004-06-30 2004-06-30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US11/155,850 US20060003212A1 (en) 2004-06-30 2005-06-16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electrode assembly,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CNB2005100810141A CN100402587C (zh) 2004-06-30 2005-06-27 聚合物电解液膜、膜电极组件、燃料电池系统及膜电极组件的制备方法
JP2005192708A JP4565644B2 (ja) 2004-06-30 2005-06-30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アセンブリー,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膜−電極アセンブリー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774A KR100599799B1 (ko) 2004-06-30 2004-06-30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631A true KR20060001631A (ko) 2006-01-06
KR100599799B1 KR100599799B1 (ko) 2006-07-12

Family

ID=3551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774A KR100599799B1 (ko) 2004-06-30 2004-06-30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03212A1 (ko)
JP (1) JP4565644B2 (ko)
KR (1) KR100599799B1 (ko)
CN (1) CN100402587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68A3 (ko) * 2008-05-28 2010-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막 전극 접합체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KR20190026543A (ko) * 2017-09-05 2019-03-13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섬유 매트릭스 내장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WO2020068639A1 (en) * 2018-09-24 2020-04-02 American Nano, LLC Fuel cells incorporating silica fib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9016B2 (ja) * 2002-08-28 2008-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中温域で作動可能な燃料電池
JP4701695B2 (ja) * 2004-12-08 2011-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78011B2 (en) 2004-12-09 2012-10-02 Nanosys, Inc. Nanostructured catalyst supports
US7842432B2 (en) 2004-12-09 2010-11-3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US7939218B2 (en) * 2004-12-09 2011-05-1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KR101405353B1 (ko) 2004-12-09 2014-06-11 원드 매터리얼 엘엘씨 연료 전지용의 나노와이어 기반 막 전극 조립체
US20080212261A1 (en) * 2006-07-05 2008-09-0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Energy storage devices and composite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ame
JP5061544B2 (ja) * 2006-09-05 2012-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US20090155658A1 (en) * 2007-12-13 2009-06-18 Asahi Glass Company, Limited Electrod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process for producing catalyst layer
JP5300061B2 (ja) * 2008-03-11 2013-09-25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ナノファイバー、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EP4068914A3 (en) 2009-05-19 2022-10-12 OneD Material, Inc.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battery applications
KR101405721B1 (ko) 2011-04-29 2014-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수성이 개선된 기공체 및 그 제조 방법
JP5624009B2 (ja) * 2011-10-25 2014-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
US9531025B2 (en) 2013-06-04 2016-12-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solid polymer fuel cell
CN103490079B (zh) * 2013-09-09 2015-10-28 清华大学 一种絮状表面聚苯并咪唑膜电极的制备方法
JP6253149B2 (ja) * 2014-05-01 2017-12-27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固体電解質を用いる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CN105372308B (zh) * 2015-12-09 2018-04-24 广东南海普锐斯科技有限公司 一种低贵金属用量甲醛传感器膜电极组件及其制备方法
CN106179398A (zh) * 2016-06-30 2016-12-07 北京化工大学 一种硼氢化钠醇解制氢用钌钴合金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1984472B1 (ko) * 2016-09-27 2019-05-31 가드넥(주)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CN108504096B (zh) * 2018-04-19 2020-02-18 天津大学 一种碳纳米管/聚合物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8711626A (zh) * 2018-05-17 2018-10-26 天津理工大学 一种燃料电池膜电极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8695523B (zh) * 2018-05-17 2022-05-13 天津理工大学 一种燃料电池膜电极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8736020A (zh) * 2018-05-17 2018-11-02 天津理工大学 一种燃料电池膜电极催化剂及其制备方法
JP7108476B2 (ja) * 2018-06-20 2022-07-28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CN111342061B (zh) * 2018-12-18 2021-08-3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芯壳纤维结构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20736B (zh) * 2022-04-20 2024-01-26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基于纤维排布型微孔层的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8756A (ja) * 1992-03-02 1993-10-08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の表面処理方法
JP3423799B2 (ja) * 1994-11-24 2003-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反応層形成方法
US5599639A (en) * 1995-08-31 1997-02-0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Acid-modified polybenzimidazole fuel cell elements
US6248469B1 (en) * 1997-08-29 2001-06-19 Foster-Miller, Inc.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JP2002025563A (ja) * 2000-07-06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TW515129B (en) * 2000-09-29 2002-12-21 Sony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KR20020063020A (ko) * 2001-01-26 2002-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섬유상 고분자웹의 제조 방법
EP1383184B1 (en) * 2001-04-27 2017-03-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d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JP2003197202A (ja) * 2001-12-26 2003-07-11 Hitachi Chem Co Ltd 高分子固体電解質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材料及びその接合体
AU2002360007A1 (en) * 2001-12-27 2003-07-15 Daihatsu Motor Co., Ltd. Fuel cell
US7604887B2 (en) * 2002-07-25 2009-10-20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using this and fuel cell
CN1308381C (zh) * 2002-07-26 2007-04-04 旭硝子株式会社 高分子膜、其制造方法及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用膜电极接合体
JP2004079244A (ja) * 2002-08-12 2004-03-11 Toshiba Corp 燃料電池用触媒及び燃料電池
US20050233203A1 (en) * 2004-03-15 2005-10-20 Hampden-Smith Mark J Modified carbon products, their use in fluid/gas diffusion layers and similar device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same
JP2006134630A (ja) * 2004-11-04 2006-05-25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68A3 (ko) * 2008-05-28 2010-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막 전극 접합체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KR20190026543A (ko) * 2017-09-05 2019-03-13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섬유 매트릭스 내장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WO2020068639A1 (en) * 2018-09-24 2020-04-02 American Nano, LLC Fuel cells incorporating silica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3212A1 (en) 2006-01-05
JP2006019298A (ja) 2006-01-19
JP4565644B2 (ja) 2010-10-20
KR100599799B1 (ko) 2006-07-12
CN100402587C (zh) 2008-07-16
CN1724583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79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US9537156B2 (en) Method for mak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making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1136480B (zh) 燃料电池用膜电极组件,其制备方法及燃料电池系统
KR10113547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60058919A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0696621B1 (ko) 연료전지용 전극기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막-전극 어셈블리
KR100637486B1 (ko)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201816B1 (ko) 막-전극 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17790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0717796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EP1833110B1 (en) Cathode catalyst for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system
JP2006019300A (ja) 燃料電池用電極,燃料電池,燃料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10095911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78437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578977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1035620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20110002127A (ko)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택
KR100953613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4529345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101492431B1 (ko) 연료 전지용 애노드 촉매,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애노드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147204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60022870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0766975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59450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7123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제조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