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5840A -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840A
KR20050095840A KR1020057012615A KR20057012615A KR20050095840A KR 20050095840 A KR20050095840 A KR 20050095840A KR 1020057012615 A KR1020057012615 A KR 1020057012615A KR 20057012615 A KR20057012615 A KR 20057012615A KR 20050095840 A KR20050095840 A KR 2005009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data
reading
corr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763B1 (ko
Inventor
요아킴 니텔
하르트무트 리히터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5009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9Active plates, e.g. liquid crystal panels or electrostrictiv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데이터 층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7)가 판독되고 및/또는 그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경우에, 입력 빔은 특히 데이터 층의 상부 층에서 수차를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데이터 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4)는 입력 빔의 빔 경로에 위치한다. 입력 빔과 반사된 빔이 서로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 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디바이스(4)는 구현하기에 고가이고 감소된 광 효율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높은 광 효율과 구면 수차의 상쇄는 낮은 비용으로 달성된다. 이를 위해,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4)는 반사된 빔이 이러한 디바이스를 영향을 받지 않고 통과하도록 셋업되며, 여기서, 반사된 빔이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 유닛(13, 15, 17, 18, 20) 상에 맺은 영상을 정정하기 위한 수단(12, 16, 19)이 추가적인 빔 경로에서 제공된다.

Description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 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광 레코딩 매체의 데이터 층으로부터 판독하거나 이러한 데이터 층에 기록하기 위해 보통은 레이저 다이오드인 방사원에 의해 방출된 판독 또는 기록 빔(아래에서 입력 빔으로서 표기됨)을 사용한다. 방사원에 의해 방출된 빔은 먼저 시준기 렌즈에 의해 시준된 다음, 레코딩 매체의 데이터 층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물 렌즈에 의해 데이터 층 상에 집속되기 이전에 빔 분할기를 통과한다. 입력 빔에 반하는 데이터 빔은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층의 구조에서 입력 빔의 부분적인 반사에 의해 생성되고 트랙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데이터 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시준되고, 빔 분할기에 의해 검출기 유닛의 방향으로 편향되고, 데이터 빔은 집속 렌즈에 의해 검출기 유닛 상에 집속된다. 검출기 유닛은 데이터 빔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검출기를 갖는다. 광다이오드를 검출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관례적이다. 판독된 데이터는, 한편으론, 검출기의 신호로부터 복구되지만(데이터 신호), 다른 한편으론, 이들 데이터는 데이터 트랙에 대한 입력 빔의 위치 모니터링(트랙 에러 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층에 대한 입력 빔의 초점 위치 모델링(초점 에러 신호)을 허용한다.
이러한 장치로부터 판독되고 및/또는 이러한 장치에 기록되는 레코딩 매체는 예컨대 콤팩트 디스크 오디오(CD),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레코딩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CD-R) 또는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레코딩 매체 상의 데이터 밀도를 높이기 위해, 한편으론, 더 짧은 파장의 입력 빔이 사용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론, 복수의 데이터 층은 한 데이터 층이 다른 데이터 층 위에 놓이는 배치된다. 그러나, 복수의 데이터 층이 사용될 때, 입력 빔이 데이터 층을 덮는 커버 층에서의 수차, 전형적으로는 구면수차를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입력 빔의 수차는 특히 최저부에 위치한 데이터 층에서 초점 스폿의 상당한 확장을 초래하며, 이것은 더 높은 데이터 밀도를 얻기 위한 실제 목적에 반한다. 그 결과, 구면수차를 상쇄하는 입력 빔의 파면의 정정을 담당하는데 사용되는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빔 경로에 위치한다.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보통은 대물 렌즈의 빔 경로 업스트림 내에 도입된 액정 요소(LC 요소)이다. 너무 복잡하지는 않는 전형적인 LC 요소는 파면이 영향 받게 하고, 그에 따라 구면수차가 한 편광 방향에서만 정정되게 한다. 그에 따라, 만약 출력 및 반환 빔 모두가 영향을 받는다면, 두 빔의 편광 방향은 동일해야 한다.
미국특허출원, 제 US5,909,422호는 광 빔이 부분 반사 빔 분할기에 의해 멀티레이어 레코딩 매체 상에 유도되는 판독 장치를 기술한다. 빔은 적절하게 구동된 LC 요소 및 렌즈에 의해 각각의 데이터 층 상에 집속된다. 반환 데이터 빔은 렌즈와 LC 요소를 통과하고, 추가적인 집속 렌즈에 의해 검출기 상에 유도된다. 편광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요소도 제안된 배열에서 사용되지 않으므로, 출력 입력 빔 및 반환 데이터 빔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가지며, 즉 이들 둘은 LC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보통,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는 소위 "광 다이오드", 즉 편광 빔 분할기와 다운스트림 1/4 파면이나 편광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소의 조합을 사용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감쇄시키지 않고도 대부분 편광 빔 분할기를 통과하는 선형 편광된 입력 빔을 방출한다. 1/4 파면을 통과하면, 입력 빔은 위상 이동에 의해 원형 편광된 빔으로 변환된다. 데이터 층 중 하나에 의해 반사된 데이터 빔은 다시 1/4 파면을 통과하며, 추가적인 위상 이동은 다시 원형 편광된 데이터 빔으로부터 그 편광 방향이 그러나 인입 입력 빔의 위상에 대해 90°만큼 회전된 선형 편광된 빔을 생성한다. 편광 빔 분할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빔은 입력 빔에 수직하게 출력되어 검출기 유닛 상에 유도된다. "광 다이오드"의 사용은 광 효율, 즉 검출기 유닛 상에 충돌하는 광 대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된 광의 비율은 입력 빔과 데이터 빔이 대체로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경우에 부분적으로 반사하는 빔 분할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보다 4의 인자만큼 더 크다.
"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출력되는 입력 빔과 반환 데이터 빔은 서로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다. 그러나, 만약 두 빔이 영향을 받는다면, 두 개의 교차하는 LC 요소가 필요하다. 이들은 작동기 상의 집속 렌즈와 1/4 파면과 함께 배열되고, 작동기는, 조정시, 초점을 여러 데이터 층 상에 있게 하므로, 강력한 조정 메커니즘이 빔의 초점이 데이터 층에서 유지되게 하는데 필요하며, 이러한 데이터 층은, 레코딩 매체나 레코딩 매체의 구동의 기계적인 불충분성으로 인해, 초점 깊이보다 배수만큼 더 큰 크기로 변한다. 게다가, LC 요소는 그 송신 손실이 대략 10 내지 20%의 크기라는 단점을 갖는다. 만약 두 출력되는 입력 빔과 반환되는 데이터 빔이 LC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면, 대략 최대 40%의 손실이 결국 있게 된다. 만약 다른 한편으로 출력되는 입력 빔의 파면이 영향을 받는다면, 상당한 수차가 검출기 유닛 상에서 발생한다.
도 1은 제 1 시스템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제 2 시스템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제 3 시스템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문제점을 기초로 하며, 이 경우에, 높은 광 효율, 초점 평면의 신속한 조정가능성, 및 구면수차의 자동 상쇄(automatic balancing)가 낮은 비용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고 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에,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반사된 데이터 빔이 이 디바이스를 영향 받지 않고 통과하도록 셋업된다는 사실과, 데이터 빔이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 유닛 상에 맺은 영상을 정정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적인 빔 경로에서 제공된다는 사실에 의해 해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반환되는 데이터 빔이 구면수차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빔이 에러없이 검출기 유닛 상에 영상을 맺는 것을 방해한다는 고찰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수차는 상기 영상을 정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출력 데이터 빔에서의 정정 수단 배치는 추가적인 요소가 작동기 상에서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로 조정 메커니즘에 기초한 요건이 감소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구면수차를 상쇄하기 위해 한 편광 방향에서 파면에 영향을 미치는 액정 요소로 구성되며, 1/4 파면은 레이저 빔의 방향에서 편광 빔 분할기의 다운스트림 상에 배치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파면의 정정을 액정 요소에서 겪게되는 편광 입력 빔을 방출하며, 이러한 정정의 도움으로 레코딩 매체에서 발생한 수차가 바로 보상된다. 빔이 편광되므로, 액정 요소는 또한 한 편광 방향에서만 동작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달성하기 쉽다. 이러한 요소는 또한 매우 무겁지 않다. 후속해서, 파면-정정된 광 빔은 1/4 파면을 통과해서 진행하며, 원형 편광된 빔으로 변환된다. 이 빔은 대물 렌즈의 도움으로 각 데이터 층 상에 집속되며, 이러한 층에서, 이러한 빔은 이러한 층에서 존재한 공간 구조(피트)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된다. 반사된 빔은 먼저 대물렌즈를 통과하며, 다시 1/4 파면에 의해 그 편광 방향이 그러나 입력되는 빔의 방향에 대해 90°만큼 회전되는 선형 편광된 빔으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반사된 빔은 액정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편광 빔 분할기의 도움으로, 이러한 빔은 입력 빔에 대해 직각으로 출력되며, 영상을 정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빔 분할기가 출력된 데이터 빔의 빔 경로에 위치하며, 개별적인 부분 빔은 각 경우에 하나의 전용 검출기 상으로 유도된다. 검출기 각각은 이 경우에 특정한 데이터 층에 대해 최적화된다. 영상의 정정은 여러 검출기의 집속 렌즈로부터의 서로 다른 거리에 의해 실행된다. 데이터 신호 및 트랙 에러 신호는 이 경우에 개별 검출기의 신호의 합으로부터 결정되고, 그리하여 시스템의 효율은 단지 약간 감소하는 반면, 초점 에러 신호는 각 데이터 층에 할당된 개별 검출기의 신호로부터만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데이터 빔의 일부분을 추가적인 검출기 상으로 편향시키는 예컨대 홀로그램과 같은 회절 렌즈가 출력 데이터 빔에서 제공되며, 이러한 추가적인 검출기 각각은 다시 특정한 데이터 층에 대해 최적화된다. 영상 정정은 여기서 데이터 빔의 일부분이 회절 렌즈로부터 각 검출기까지 커버하는 서로 다른 경로 길이에 의해 실행된다. 이 경우에, 또한, 데이터 신호와 트랙 에러 신호는 모든 검출기의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반면, 초점 에러 신호는 각 데이터 층에 할당된 개별 검출기의 신호로부터만 결정된다. 개별 검출기의 짧은 이격 덕분에, 검출기는 공통 칩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것은 신호의 합계를 상당히 간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정정 수단은 그 초점이 연속해서 또는 불연속 단계로 변화될 수 있는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LC 요소이다. 이 경우에, 개별 검출기 유닛으로도 신호를 결정하는데 충분하며, 이는 영상이 항상 이러한 검출기 유닛에 대해 정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추가적인 LC 요소가 시스템의 광 효율을 감소시킬지라도, 교차된 LC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처럼, 광 세기가 레코딩 매체 상에서 감소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특히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는데 중요하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든 시스템은 선형 편광된 광빔을 방출하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인 방사원(1)을 갖는다. 방출된 광은 시준 렌즈(2)에 의해 평행하게 되어, 편광 빔 분할기(3)를 통과하며, 이러한 분할기(3)는 제 1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방해하지 않고 통과시키고,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90°만큼 편광된 광을 편향시킨다. 편광 빔 분할기(3)는 방사원(1)으로부터 유래되는 빔이 편향되지 않도록 정렬된다. 그 다음 단계는 이 빔이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 디자인으로 인해 입력되는 빔의 파면을 조작할 수 있는 LC 요소(4)를 통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컨대 미국특허출원, 제 US6,182,957호나 제 US5,909,422호에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LC 요소(4)는 한 편광 방향에서만 빔에 반응하도록 디자인되며, 이점은 그 디자인 및 구동 공정을 상당히 간략화시킨다.
LC 요소(4) 다음에는 1/4 파면(5)이 오며, 이러한 파면(5)의 도움으로, 입력되는 선현 편광된 빔은 원형 편광된 빔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형태로, 빔은 대물 렌즈(6)에 진입하며, 이러한 대물 렌즈(6)는 이러한 빔을 디스크-형상의 레코딩 매체(7)의 층층이 위치된 복수의 데이터 층중 하나의 층 상에 각 경우에 집속시키며, 이러한 매체(7)는 회전 구동기(8)에 의해 그 회전축(9) 주위의 신속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빔의 충돌 지점은, 데이터 층이 빔에 의해 나선형 트랙 상에 주사되도록 디스크 표면 위에서 회전축(9)에 대해 방사 방식으로 느리게 변위된다.
대물 렌즈는 대략 0.5 및 그 이상의 크기를 갖는 높은 개구수(numerical aperture)를 갖는다. 그 결과, 비록 높은 광 처리량이 달성될지라도, 커버 층에 상당한 수차가 또한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C 요소가 파면 정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작동기는 더 상세하게는 예시되지 않으며, 이러한 작동기의 도움으로, 대물 렌즈(6)와 LC 요소(4)는 레코딩 매체(7)에 수직하게 연합하여 이동될 수 있다. 두 가지 임무가 이를 통해 실행된다: 첫째, 초점은 한 데이터 층에서 다른 데이터 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둘째, 초점 정정이 실행된다: 즉, 데이터 층은 빔에 수직한 평면에서 정확하게 이동하지 않으며, 이는 한편으로 데이터 층이 절대적으로 평면이 아니고, 다른 한편으로 레코딩 매체 자체가 그 회전축에 대해 그에 따라 빔 축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로, 데이터 층 내의 판독되게될 현재의 영역이 빔축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게 된다. 초점이 이를 따라야 한다.
피트 시퀀스에 의해 표시된 레코딩 매체에서 데이터 층의 기하학적인 데이터 구조에서, 광은, 반사된 데이터 빔의 광 세기의 시퀀스가 이 데이터 구조에 영상을 맺게 되도록 여러 각도로 반사된다. 반환하는 데이터 빔은 먼저 대물 렌즈(6) 및 그런 다음 1/4 파면(5)을 통과하며, 그 결과로, 원형 편광된 빔은 다시 입력되는 빔의 편광 방향에 특히 수직하게 선형 편광된다. 편광 빔 분할기(3)에서, 그러므로, 반환되는 빔은 측면방향으로 편향되며, 검출 시스템으로 인도되고, 이러한 시스템 상에서 반환되는 빔은 집속 렌즈(10) 및 원통형 렌즈(11)의 도움으로 영상을 맺게된다.
반환되는 빔에는 LC 요소(4)에 의해 보상되지 않는 구면수차가 제공되며, 이는 편광 방향이 LC 요소(4)의 동작 방향에 수직이기 때문이다. 반환되는 빔이 검출 시스템 상에 영상을 맺게되는 경우에 수차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영상 정정을 위한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영상 정정을 위한 시스템은 시스템(1)(도 1)에 따라서 추가적인 빔 분할기(12)로 구성된다. 빔 분할기(12)는 빔을 레코딩 매체 내의 데이터 층의 개수에 다라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빔으로 분할한다. 두개보다 많은 데이터 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빔 분할기가 필요하다. 각 부분적인 빔은 검출기(13, 15)로 유도된다. 검출기(13, 15)로부터의 신호의 합은 데이터 신호이다. 게다가, 각 빔 경로는 각 부분 빔이 검출기(13)까지 커버해야 하는 서로 다른 경로 길이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층 중 하나에 대해 각 경우에 최적화된다. 이것은, 대부분 에러가 없는 영상이 검출기(13, 15) 중 하나로 각 경우에 실행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검출기(13, 15)의 신호는 트랙 에러 신호와 초점 에러 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층에 대해 도시된 시스템은 각 데이터 층을 검출기에 할당함으로서 복수의 데이터 층을 갖는 레코딩 매체로 이동된다.
제 2 시스템은 회절 렌즈(16)를 포함한다. 회절 렌즈(16)는 예컨대 홀로그래픽 광 요소일 수 있으며, 그 경우에, 빔 축에 근접한 빔과 나아가 빔 축에서 멀리 있는 빔은 서로 다른 검출기(17, 18) 상으로 유도된다. 이 경우, 또한, 각 검출기는 레코딩 매체의 데이터 층 중 하나에 대해 서로 다른 경로 길이를 사용하여 최적화된다. 데이터 신호는 그에 따라 검출기(17, 18)의 신호 합계로부터 다시 한번 달성되는 반면, 트랙 에러 신호와 초점 에러 신호는 각 데이터 층에 대해 최적화된 검출기(17, 18)의 신호로부터 달성된다.
시스템(3)은 데이터 빔의 수차를 보상하는 추가적인 LC 요소(19)를 제공한다. 게다가, LC 요소(19)는 바람직하게 LC 요소(19)가 가변 초점 길이의 구면 또는 비구면 렌즈로서 기능하게 하는 전극 배열을 갖는다. 데이터 빔은 초점 길이를 적응시킴으로써 개별 검출기(20) 상에 대부분 에러가 없는 방식으로 영상을 맺게 된다.
비록 추가적인 LC 요소(19)가 시스템의 광 효율을 감소시킬지라도, 상기 배열은 종래기술의 경우에서처럼 동시에 레코딩 매체 상의 광 세기가 감소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는데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 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 장치에 이용된다.

Claims (7)

  1. 층위에 다른 층이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층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판독되고 및/또는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입력 빔에 의해 레코딩 매체(7)에서 겪게되는 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4)를 가지며, 상기 입력 빔과 상기 레코딩 매체(7)에서 반사된 빔은 상기 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동안에 서로 본질적으로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4)는 상기 반사된 빔이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디바이스(4)를 통과하도록 셋업된다는 것과, 상기 반사된 빔이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 유닛(13, 15, 17, 18, 20) 상에 맺은 영상을 정정하기 위한 수단(12, 16, 19)은 추가적인 빔 경로에서 제공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4)는 상기 구면수차를 상쇄하기 위해 단 하나의 편광 방향에서 파면에 영향을 미치는 액정 요소로 구성되며, 1/4 파면(5)은 상기 입력 빔의 방향에서 상기 디바이스(4)의 다운스트림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빔 경로에서 제공되는 상기 정정 수단(12, 16, 19)은 상기 반사된 빔이 통과되고 상기 반사된 빔을 둘 이상의 부분 빔을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빔 분할기이며, 상기 개별 부분 빔은 상기 데이터 층 중 하나의 층에 대해서 각 경우에 최적화되는 하나의 검출기(13, 15) 상으로 각각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빔 경로에 제공된 상기 정정 수단(12, 16, 19)은 상기 반사된 빔이 통과하고 상기 반사된 빔을 둘 이상의 부분 빔으로 분할하는 회절 렌즈이고, 상기 개별 부분 빔은 상기 데이터 층 중 하나의 층에 대해서 각 경우에 최적화되는 하나의 검출기(17, 18) 상으로 각각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검출기(13, 15, 17, 18)의 신호의 합계로부터 달성되고, 초점 에러 신호 및/또는 트랙 에러 신호는 각 데이터 층에 대해 최적화되는 상기 검출기(13, 15, 17, 18)의 신호로부터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빔 경로에서 제공된 상기 정정 수단(12, 16, 19)은 상기 수차를 상쇄시키는 상기 파면을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면을 정정하기 위한 디바이스(19)는 액정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KR1020057012615A 2003-01-10 2003-12-22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13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0810.1 2003-01-10
DE10300810A DE10300810A1 (de) 2003-01-10 2003-01-10 Gerät zum Lesen und/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840A true KR20050095840A (ko) 2005-10-04
KR101013763B1 KR101013763B1 (ko) 2011-02-14

Family

ID=3251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3763B1 (ko) 2003-01-10 2003-12-22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85905B2 (ko)
EP (1) EP1581940B1 (ko)
JP (1) JP4396523B2 (ko)
KR (1) KR101013763B1 (ko)
CN (1) CN100361211C (ko)
AU (1) AU2003296709A1 (ko)
DE (2) DE10300810A1 (ko)
WO (1) WO20040640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2206A1 (fr) * 2003-03-26 2004-09-29 Lasag Ag dispositif laser pour percer des trous dans des composants d'un dispositif d'injection d'un fluid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717A (en) * 1995-06-07 1997-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ding optical disks having substrates with diverse axial thicknesses
ES2175119T3 (es) * 1995-08-30 2002-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lentes y aparato de captacion optica que utiliza el dispositivo de lentes.
US5907530A (en) * 1995-08-30 1999-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device
US5798994A (en) * 1996-01-16 1998-08-25 Kamatani; Yasuo Multi-layered optical disk reading method using liquid crystal diffraction device
JPH10269611A (ja) * 1997-03-27 1998-10-09 Pioneer Electron Corp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ディスク再生装置
US6151154A (en) * 1998-03-12 2000-11-2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aberration correction unit and astigmatism measurement method
EP0984440A3 (en) * 1998-09-04 2000-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berration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666632B2 (ja) * 1998-12-11 2005-06-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収差補正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20036958A1 (en) * 2000-07-24 2002-03-28 Hidenori Wada Optical element, optical hea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4136273B2 (ja) * 2000-05-24 2008-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収差補正ユニット、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WO2002021520A1 (fr) * 2000-09-06 2002-03-14 Hitachi, Ltd. Tête optique et dispositif à disque optique
JP2002237076A (ja) * 2001-02-06 2002-08-23 Pioneer Electronic Corp 収差補正装置
JP2003067966A (ja) * 2001-06-13 2003-03-07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US7206277B2 (en) * 2001-07-27 2007-04-17 Pioneer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and focal error detecting device therefor and wave aberration and focal error detecting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96523B2 (ja) 2010-01-13
WO2004064049A3 (en) 2004-10-28
EP1581940B1 (en) 2008-05-07
US20060256693A1 (en) 2006-11-16
KR101013763B1 (ko) 2011-02-14
CN100361211C (zh) 2008-01-09
DE60320853D1 (de) 2008-06-19
US7385905B2 (en) 2008-06-10
EP1581940A2 (en) 2005-10-05
JP2006513515A (ja) 2006-04-20
AU2003296709A1 (en) 2004-08-10
AU2003296709A8 (en) 2004-08-10
CN1735935A (zh) 2006-02-15
WO2004064049A2 (en) 2004-07-29
DE10300810A1 (de)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771B2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rive
JP4389154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639588B2 (e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KR100269105B1 (ko) 두께가다른디스크의호환이가능한기록재생용광픽업
JP4726254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情報機器
US20070274188A1 (en) Multi-Layer Disk-Use Optical Pickup Device
US6304542B1 (en) Compact dual wavelength optical pickup head
KR101013763B1 (ko)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JP3503995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7916618B2 (en) Optical pickup and information device
EP0911819B1 (en) Compact dual wavelenght optical pickup head
JP2010061772A (ja) 多層型光ディスク
JPH1016241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9990049998A (ko) 광량조절형 액정판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JP200600457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72086B1 (ko) 광량조절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JP4726256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情報機器
US8339922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9980069456A (ko) 듀얼 광 픽업장치
JP2005513710A (ja) 光走査装置
KR19990049993A (ko) 광량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JP2010040151A (ja) 多層型光ディスク
WO2006061745A2 (en) Optical pick-up unit for use in a multi-disc optical player and method for correcting optical aberrations in such an optical pick-up unit
JP200723408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チルト検出方法
KR19990049992A (ko) 광량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