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2999A -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999A
KR20050092999A KR1020040018201A KR20040018201A KR20050092999A KR 20050092999 A KR20050092999 A KR 20050092999A KR 1020040018201 A KR1020040018201 A KR 1020040018201A KR 20040018201 A KR20040018201 A KR 20040018201A KR 20050092999 A KR20050092999 A KR 2005009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mode
chinese
dictionary
electronic diction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샤프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전자(주) filed Critical 샤프전자(주)
Priority to KR102004001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999A/ko
Publication of KR2005009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9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사전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추가 및 삭제 등이 가능한 전자사전의 기능을 이용하여 특히 표의문자로서 매우 많은 수의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전DB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문자정보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따라 사전DB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출력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전을 이용하는 한자검색방법에 있어서, (1) 병음검색모드, 부수검색모드, 획수검색모드 및 한자음검색모드들을 포함하는 다중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검색모드선택단계와; (2) 상기 검색모드들 중 선택된 검색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철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사전DB에서 선택하는 한자선택단계; 및 (3) 상기 한자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Chinese character searching method at electronic dictionary}
본 발명은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종이사전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추가 및 삭제 등이 가능한 전자사전의 기능을 이용하여 특히 표의문자로서 매우 많은 수의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전은 크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종이로 만든 사전의 내용을 전자화(즉, 디지털화(Digitalized))한 것으로서, 텍스트 파일 형태로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형태(이하, '전자사전' 이라 한다)로 사용된다.
둘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단어(이하 '표제어' 라 한다)를 입력받고, 이를 전자사전에서 찾아 그 관련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이하 '전자사전시스템' 이라 한다)을 말한다.
상기에서 전자사전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나, 주메모리 그리고 컴팩트디스크(CD)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에 저장되고,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전자사전은 펌웨어(Firmware, 롬) 또는 칩(chip)의 형태로 전자수첩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서 또는 개인휴대전화(예로서, 핸드폰 및 PCS) 상에서 온라인 및 실시간으로 이러한 전자사전의 접근이 가능하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40279호에는 '전자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결합구조 정보 구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사전 검색 방법' 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전자사전시스템 등에서 전자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부가정보로서 표제어의 결합 형태를 밝혀, 즉 중심어와 부가어와의 결합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그 자체로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표제어를 질의로 사용하여 관련 표제어의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0-60727호에는 '다중 검색어를 갖는 전자사전 및 그 제어방법' 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사전을 전자문서화시킨 전자사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키 또는 스캐너 등으로 이루어져 검색어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과, 하나의 검색대상에 대한 다수개의 검색어를 각각의 검색대상에 대해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검색어저장수단과, 상기 검색어저장수단에 저장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대표 검색어를 저장하는 대표어저장수단과, 상기 대표어저장수단에 저장된 각 대표 검색어에 대한 설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전자사전기능을 위한 연산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첫째, 상기 검색어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가 포함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검색어가 저장된 대표어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독출하고, 둘째, 상기 독출된 어드레스에 저장된 대표 검색어의 설명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독출하고, 셋째, 설명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모니터 또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중 검색어를 갖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무수히 많은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소정의 한자를 쉽게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1-67827호에는 '다국어 한자 데이터 베이스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한자자전, 워드프로세서의 한자입력기, 웹사전등 한자를 이용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다국어 한자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국어 한자, 중국어 한자(대만 한자 포함), 일본어 한자 폰트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일렬로 저장하고, 각 한자폰트에 식별력을 갖는 문자코드를 부여하여 변환테이블의 도움 없이 다국어 한자폰트를 한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이 역시 수 많은 한자들을 손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사전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추가 및 삭제 등이 가능한 전자사전의 기능을 이용하여 특히 표의문자로서 매우 많은 수의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전DB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문자정보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따라 사전DB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출력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전을 이용하는 한자검색방법에 있어서, (1) 병음검색모드, 부수검색모드, 획수검색모드 및 한자음검색모드들을 포함하는 다중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검색모드선택단계와; (2) 상기 검색모드들 중 선택된 검색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철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사전DB에서 선택하는 한자선택단계; 및 (3) 상기 한자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병음검색모드는 병음(전체)검색모드와 병음(표제자)검색모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병음검색모드에서는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로마자를 대조하여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마자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한자음검색모드는 한자음(전체)검색모드와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한자음검색모드에서는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한글자모로 대조하여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와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전DB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문자정보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따라 사전DB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출력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전을 이용하는 한자검색방법에 있어서, (1) 병음검색모드, 부수검색모드, 획수검색모드 및 한자음검색모드들을 포함하는 다중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검색모드선택단계와; (2) 상기 검색모드들 중 선택된 검색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철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사전DB에서 선택하는 한자선택단계; 및 (3) 상기 한자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에서의 전자사전이라 함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전DB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문자정보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따라 사전DB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출력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출원일 현재 본 출원인을 비롯하여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1)의 검색모드선택단계는 병음검색모드, 부수검색모드, 획수검색모드 및 한자음검색모드들을 포함하는 다중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로서는 전자사전의 전원스위치를 연결한 후,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기능키 등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한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색모드선택단계는 출력부에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를 제공하고, 화살표키나 숫자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의 한자선택단계는 상기 검색모드선택단계에서 사용자가 검색모드를 선택한 후 실행되는 단계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색모드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철자 또는 숫자 등 검색의 기초가 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전자사전의 제어부에서 그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사전DB에서 선택하도록 수행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한자선택은 비교, 연산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에 의해 달성되며, 이러한 제어부는 상용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팅이 가능한 중앙처리장치와 이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비교, 연산 및 제어를 하며, 그에 필요한 저장수단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비교,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상기 한자선택단계는 각 검색모드에서 사용자가 검색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병음(전체)검색모드를 선택하고, 병음(전체)검색모드로 한자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음(전체)검색모드에서 알파벳 'a'를 입력하면 ' 아 '라는 발음에 해당하는 표제어 및 표제자를 순차적으로 출력부에 리스트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당해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표제어 또는 표제자가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또는 화살표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해당하는 리스트에 위치시키고, 엔터키를 눌러 선택함으로써 그 리스트에 해당하는 한자의 정보를 상세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정보를 찾은 후에는 ' ESC'키 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의 기능키를 눌러 해당 정보화면의 이전정보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시 다른 한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병음이라 함은 중국어 한자를 읽는 방식으로 알파벳 a에서 z까지를 이용하며, 각각의 경우에 4성(액센트 위치)을 이용하는 것으로 각각의 4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발음되는 것을 의미하며, 한자를 중국어로 읽는 행태를 의미하며, 전자사전에서는 이러한 중국어 한자를 알파벳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중국어 한자가 발음되는 것을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마자변환테이블을 사용하여 이를 매개하여 중국어 한자의 발음을 알파벳으로 바꿔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병음검색모드에서는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그 음가에 대응하는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로마자를 대조하여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마자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병음검색모드는 병음(전체)검색모드와 병음(표제자)검색모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병음(표제자)검색모드는 상기 병음(전체)검색모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검색결과로서 출력부에 나타나는 검색결과의 리스트를 표제자에 대해서만 나타내도록 하여 표제자에 대해서만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병음(표제자)검색모드에서의 검색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3)의 출력단계는 상기 한자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로서, 검색된 한자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화면은 전자사전에서 출력부로 많이 채용되는 것으로서, 경량이고, 소비전력이 작으며, 눈부심 등이 없이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을 자유로이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이를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정보를 통해 한자의 발음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역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스피커와 같은 출력부를 통해서 발음으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음성합성프로그램 등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합성프로그램 역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음성합성프로그램은 제어부 및/또는 이에 연결되는 저장수단 등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독출된 한자 등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와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출력은 각 검색모드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즉시로 그 결과에 대응하는 한자의 표제어나 표제자의 리스트를 출력하여 해당 리스트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리스트의 정보를 즉시 독출할 수 있는 실시간검색결과출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력은 버퍼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입력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대기시켰다가 입력을 완료하고, 검색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엔터(Enter)의 입력시까지 대기하였다가 엔터의 입력에 따라 그 결과에 대응하는 한자의 표제어나 표제자의 리스트를 출력하여 해당 리스트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리스트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입력후검색결과출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자선택단계는 부수검색모드를 선택하여 한자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부수검색모드는 부수획수검색모드와 부수목록검색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부수획수검색모드는 한자의 검색에 앞서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선택함에 있어 부수만의 획수를 숫자로 입력하여 부수를 리스트로 출력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먼저 선택하고, 계속해서 해당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이고, 부수목록 검색모드는 한자의 검색에 앞서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선택함에 있어 전자사전 중에 포함된 전체 부수를 먼저 출력부에 리스트로 표시하고, 화살표로 커서를 이동시켜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먼저 선택하고, 계속해서 해당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상기 부수획수검색모드에서는 상기 부수검색모드 중 부수획수검색모드를 선택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로 이루어진 옥편이나 기타 전자사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부수획수를 숫자로 입력한 후에,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부수를 화살표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선택하고, 해당 부수에서 다시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획수를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들 중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대한 한자 정보를 검색토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정보를 찾은 후에는 ' ESC'키 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의 기능키를 눌러 해당 정보화면의 이전정보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시 다른 한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수목록검색모드는 한자의 검색에 앞서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선택함에 있어 부수의 전체 목록을 출력부를 통하여 리스트로 출력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에 포함된 부수를 먼저 선택하고, 계속해서 해당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이 검색모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로 이루어진 옥편이나 기타 전자사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부수목록을 출력부에 표시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부수를 화살표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선택하고, 해당 부수에서 다시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획수를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들 중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대한 한자 정보를 검색토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정보를 찾은 후에는 ' ESC'키 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의 기능키를 눌러 해당 정보화면의 이전정보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시 다른 한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를 검색함에 있어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의 총획수를 숫자로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이 검색모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총획수검색모드를 선택하고, 이 총획수검색모드에서 종이로 이루어진 옥편이나 기타 전자사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의 총획수를 입력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들의 리스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그 리스트 중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를 화살표를 이용한 커서의 이동에 의해 또는 리스트에 표시된 숫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함으로써 그에 대한 한자정보를 검색토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정보를 찾은 후에는 ' ESC'키 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의 기능키를 눌러 해당 정보화면의 이전정보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시 다른 한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를 검색함에 있어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의 한글발음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이는 한자음검색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한자음검색모드는 한자음(전체)검색모드와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로 분할될 수 있으며, 한자음(전체)검색모드를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한자음(전체)검색모드를 선택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자음(전체)검색모드에서 예를 들어 한글 '아'를 입력하면 ' 아 '라는 발음에 해당하는 표제어 및 표제자를 순차적으로 출력부에 리스트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당해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표제어 또는 표제자가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또는 화살표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해당하는 리스트에 위치시키고, 엔터키를 눌러 선택함으로써 그 리스트에 해당하는 한자의 정보를 상세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한자의 정보를 찾은 후에는 ' ESC'키 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의 기능키를 눌러 해당 정보화면의 이전정보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시 다른 한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에서 한글을 입력하여 그에 해당하는 한자를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글변환테이블을 사용하여 이를 매개하여 중국어 한자의 발음을 한글로 바꿔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자음검색모드에서는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그 음가에 대응하는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한글을 대조하여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는 상기 한자음(전체)검색모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검색결과로서 출력부에 나타나는 검색결과의 리스트를 표제자에 대해서만 나타내도록 하여 표제자에 대해서만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에서의 검색은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의 검색모드들 및 그에 요구되는 테이블 및 한자DB들은 모두 프로그램화되어 전자사전 등 공지의 하드웨어에 저장되고, 또 전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검색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상기한 바의 하드웨어(전자사전) 및 소프트웨어(검색모드프로그램, 실행프로그램, 로마자변환테이블, 한글변환테이블 및 한자DB 등)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검색방법의 7가지의 검색모드들 중 사용자가 알고 있거나 또는 알수 있는 한자에 관한 기본정보들을 이용하여 한자를 가장 쉽고 또한 가장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사전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추가 및 삭제 등이 가능한 전자사전의 기능을 이용하여 특히 표의문자로서 매우 많은 수의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하드웨어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병음(전체)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병음(전체)검색모드의 검색을 위한 병음의 입력을 위한 로마자변환 테이블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병음(표제자)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부수획수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부수목록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총획수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한자음(전체)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한자음(전체)검색모드의 검색을 위한 한자음의 입력을 위한 한글변환테이블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을 구현하는 여러 검색모드들 중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1.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전DB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문자정보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따라 사전DB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출력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전을 이용하는 한자검색방법에 있어서,
    (1) 병음검색모드, 부수검색모드, 획수검색모드 및 한자음검색모드들을 포함하는 다중 검색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검색모드선택단계와;
    (2) 상기 검색모드들 중 선택된 검색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철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자를 사전DB에서 선택하는 한자선택단계; 및
    (3) 상기 한자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검색모드가 병음(전체)검색모드와 병음(표제자)검색모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검색모드에서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로마자를 대조하여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마자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음검색모드가 한자음(전체)검색모드와 한자음(표제자)검색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음검색모드에서 한자를 소리나는 대로 읽을 때에 이를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자발음과 이에 대응하는 한글자모로 대조하여 한글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변환테이블을 매개하여 검색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액정표시화면을 통한 시각정보와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KR1020040018201A 2004-03-17 2004-03-17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Ceased KR20050092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01A KR20050092999A (ko) 2004-03-17 2004-03-17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01A KR20050092999A (ko) 2004-03-17 2004-03-17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99A true KR20050092999A (ko) 2005-09-23

Family

ID=3727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201A Ceased KR20050092999A (ko) 2004-03-17 2004-03-17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9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87B1 (ko) * 2006-04-21 2007-12-12 엔에이치엔(주)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37750B1 (ko) * 2006-08-25 2008-06-13 엔에이치엔(주)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WO2008106470A1 (en) * 2007-03-01 2008-09-04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language model
KR100900564B1 (ko) * 2007-03-30 2009-06-02 (주)에이트리 휴대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획순 표시방법
WO2009070619A1 (en) * 2007-11-26 2009-06-04 Warren Daniel Child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inguistic data in electronic for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87B1 (ko) * 2006-04-21 2007-12-12 엔에이치엔(주)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37750B1 (ko) * 2006-08-25 2008-06-13 엔에이치엔(주)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US8271265B2 (en) 2006-08-25 2012-09-18 Nhn Corporation Method for searching for chinese character using tone mark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08106470A1 (en) * 2007-03-01 2008-09-04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language model
KR100900564B1 (ko) * 2007-03-30 2009-06-02 (주)에이트리 휴대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획순 표시방법
WO2009070619A1 (en) * 2007-11-26 2009-06-04 Warren Daniel Child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inguistic data in electronic 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540B2 (en)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WO2007083775B1 (en) Electronic dictionar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search control program is recorded
US848938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050092999A (ko)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KR20110069488A (ko) 입력 언어에 따른 전자사전의 자동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9925A (ko) 전자 도서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8059169A (ja) 中国語例文検索装置および中国語例文検索処理プログラム
JP5024335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451790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7384196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92499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900564B1 (ko) 휴대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획순 표시방법
JP4114695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44031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11770B2 (ja) 拡張漢字出力方法
KR101249890B1 (ko) 개인어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검색방법
JP2004303270A (ja) 電子辞書
JP3466124B2 (ja) 電子辞書
JPS62233880A (ja) 文章入力装置
JPH0895972A (ja) 文字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2009271593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23649A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H03142558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H04248659A (ja) 仮名漢字変換装置および方法
JPS63174165A (ja) ワ−ドプロセツ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